KR102483616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616B1
KR102483616B1 KR1020210014264A KR20210014264A KR102483616B1 KR 102483616 B1 KR102483616 B1 KR 102483616B1 KR 1020210014264 A KR1020210014264 A KR 1020210014264A KR 20210014264 A KR20210014264 A KR 20210014264A KR 102483616 B1 KR102483616 B1 KR 10248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edge
substrate
flexible substrat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076A (ko
Inventor
장기훈
김갑용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616B1/ko
Priority to US17/507,046 priority patent/US20220244562A1/en
Priority to CN202210030187.4A priority patent/CN114845011A/zh
Priority to CN202220076053.1U priority patent/CN217159825U/zh
Publication of KR2022011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3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광축에 수직인 축으로 틸트하도록 구성되고, 렌즈계 및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광학 조립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기판과 이격 배치된 메인기판; 및 상기 센서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시키는 제1 가요성 기판 및 제2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는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렌즈모듈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있으며, 액추에이터는 통상적으로 마그네트와 코일에 의한 구동력으로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 및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런데, 카메라 모듈에 발생하는 흔들림이 항상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므로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렌즈모듈을 이동시킬 경우, 흔들림 보정에 한계가 있다.
특히, 동영상 촬영과 같이 지속적으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보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동영상 촬영 시에 촬영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동시켜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이동하는 피사체에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를 회전시킴으로써 흔들림을 보정하는 경우에, 이미지 센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적 배선이 이미지 센서의 회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광축에 수직인 축으로 틸트하도록 구성되고, 렌즈계 및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광학 조립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기판과 이격 배치된 메인기판; 및 상기 센서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시키는 제1 가요성 기판 및 제2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광축에 수직인 축으로 틸트하도록 구성되고, 렌즈계 및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광학 조립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기판과 이격 배치된 메인기판; 및 상기 센서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시키는, 제1 가요성 기판 및 제2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광축에 수직하고 서로 교차하는 제1 축과 제2 축을 기준으로 틸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기판은 상호 대향하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는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제3 단부에서 제4 단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4 단부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3 단부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센서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구간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효과는, 고정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사진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영상에서도 흔들림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효과는, 동영상 촬영 시에 트래킹 기능을 구현할 정도로 큰 각도로 회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를 회전시킴으로써 흔들림을 보정하는 경우에, 이미지 센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적 배선이 이미지 센서의 회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가요성 기판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가요성 기판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4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제5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6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제7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제8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제9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카메라 모듈(1)은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 광학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조립체(200)는 렌즈계, 및 이미지 센서(230)를 포함한다. 광학 조립체(200)는 내부에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230)를 쉬프트 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조립체(200)는 이미지 센서(230)가 실장된 센서기판(210)을 포함하고, 센서기판(210)이 광학 조립체(200)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가 실장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요성 기판(400)이 센서기판(210)을 메인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400)에 포함된 배선들을 통해 이미지 센서(23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메인기판(300)으로 전달되거나, 전력이 센서기판(210)에 공급될 수 있다. 메인기판(300)은 연장부(330)를 통해 커넥터(350)에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350)를 통해 카메라 모듈(1) 외부의 전자회로와 통신할 수 있다.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로 둘러싸인 공간(320)에 센서기판(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인출되어 메인기판(300)까지 연장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400)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230)는 복수개의 단자들을 포함하는데,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제1 가요성 기판(예를 들어, 도 4의 제1 가요성 기판(410))을 통해 메인기판(300)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제2 가요성 기판(예를 들어, 도 4의 제2 가요성 기판(420))을 통해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기판(210)과 가요성 기판(400)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 기판(400)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4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은 흔들림 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틸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은 하우징(100)에 대해 제1 축(A1)을 기준으로 틸트하도록 구성된 제1 프레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과 제1 프레임(500) 사이에 제1 볼부재들(B1)이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표면에 제공된 제1 홈(101)과 제1 프레임(500) 사이에 제1 볼부재(B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볼부재들(B1)은 제1 축(A1)을 따라 배열되고, 제1 프레임(500)은 제1 축(A1)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에 대해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은 제1 프레임(500)에 대해 제2 축(A2)을 기준으로 틸트하도록 구성된 제2 프레임(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500)과 제2 프레임(600) 사이에 제2 볼부재들(B2)이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500)의 표면에 제공된 제2 홈(501)과 제2 프레임(600) 사이에 제2 볼부재(B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볼부재들(B2)은 제2 축(A2)을 따라 배열되고, 제2 프레임(600)은 제2 축(A2)을 기준으로 제1 프레임(500)에 대해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은 흔들림 보정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2 프레임(600)에 구비된 마그네트들(711, 712), 및 하우징(100)에 구비된 코일들(721, 7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600)에서 X방향을 향하는 제1 면(601)에 제1 마그네트(711)가 부착되고, Y방향을 향하는 제2 면(602)에 제2 마그네트(712)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코일(721)과 제코일이 각각 제1 마그네트(711) 및 제2 마그네트(712)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721)과 제2 코일(722)은 기판(731, 732)에 부착되고, 기판(731, 732)이 하우징(100)에 부착됨으로써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721, 722)과 마그네트(711, 712)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광학 조립체(200)가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은 하우징(100) 일부를 커버하고, 카메라 모듈(1)의 외관을 일부 구성하는 쉴드캔(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은 제1 프레임(500)과 제2 프레임(6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토퍼(810, 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은 제1 프레임(500)의 +Z방향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1 스토퍼(8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100)의 제1 홈(101) 주변에 제1 스토퍼(810)가 끼워질 수 있다. 제1 스토퍼(810)가 하우징(100)에 끼워졌을 때, 제1 스토퍼(810)의 일부는 제1 프레임(500)의 일부 상에 배치되고, 이는 제1 프레임(5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Z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은 제2 프레임(600)의 +Z방향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2 스토퍼(8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100)의 제2 홈 주변에 제2 스토퍼(820)가 끼워질 수 있다. 제2 스토퍼(820)가 하우징(100)에 끼워졌을 때, 제2 스토퍼(820)의 일부는 제2 프레임(600)의 일부 상에 배치되고, 이는 제2 프레임(6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Z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가요성 기판(400)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가요성 기판(400)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은 가요성 기판(400)을 통해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기판(30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센서기판(210)은 사각판 형태로 제공되고, 메인기판(30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둘러싸는 사각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둘러싸며,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 사이에 가요성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을 연결하는 가요성 기판(400)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에 전기적 신호 또는 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배선들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기판(21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230)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며, 단자들 각각에 하나씩의 배선들이 요구된다. 복수의 배선들이 복수의 가요성 기판(400)들에 나뉘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을 연결한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이 각각 포함하고 있는 전기적 배선을 통해 전기적 신호나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본 개시에서 가요성 기판(400)이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는 것은 가요성 기판(400)이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센서기판(210)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연장하고,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친다. 즉, 광축(O)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요성 기판(400)을 바라볼 때, 제1 가요성 기판(410)의 일부는 제2 가요성 기판(420)에 의해 시인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제1 가요성 기판(410)의 +Z방향에 배치되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의 일부가 제2 가요성 기판(420)에 의해 가려지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제2 가요성 기판(420)의 +Z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의 일부는 제2 가요성 기판(420) 상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의 일부가 제1 가요성 기판(4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도 마찬가지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서 각각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다른 부분이라고 함은 광축(O)에서 센서기판(210)을 볼 때,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연결된 부분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연결된 부분이 서로 구분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제1 부분(211c)은 제2 부분(211d)보다 +X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 사이의 영역(OL1)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제1 축(A1)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1 대각선(231)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2 대각선(232)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A1) 또는 제2 축(A2)이 대각선에 대응한다고 함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이 대각선의 방향과 일치하거나 대체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단부(211a)와 제2 단부(211b)를 잇는 제1 가장자리(211)의 주변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보다 크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보다 짧을 수 있다.
한편, 광학 조립체(200)가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할 때 가요성 기판(400)이 광학 조립체(20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요성 기판(400)은 흔들림 방지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가요성 기판(400)은 되도록 길게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메인기판(300)에서 센서기판(210)까지의 연장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가판이 광학 조립체(200)의 회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서로 중첩될 때까지 최대한 길게 연장하므로,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는 일치할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는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각 센서기판(210)의 제2 가장자리(212)에서 메인기판(300)의 제1 내측 가장자리(311)까지 연장하는 구간(OL2)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을 이등분하는 선으로써,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에 나란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Y축에 나란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Y방향으로 제1 길이(L11) 연장하고, 제1 가장자리(211)를 따라 -X방향으로 제2 길이(L12)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제3 길이(L13)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제4 길이(L14) 연장하고, -Y방향으로 제5 길이(L15) 연장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Y방향으로 제6 길이(L21) 연장하고, 제1 가장자리(211)를 따라 +X방향으로 제7 길이(L22)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제8 길이(L23)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제9 길이(L24) 연장하고, -Y방향으로 제10 길이(L25)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중심선(CL)에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길이(L11), 제2 길이(L12), 제3 길이(L13), 제4 길이(L14), 제5 길이(L15)는 각각 제6 길이(L21), 제7 길이(L22), 제8 길이(L23), 제9 길이(L24), 제10 길이(L25)와 일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길이(L11) 내지 제5 길이(L15)의 합은 제6 길이(L21) 내지 제10 길이(L25)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거리(d3)는 제2 거리(d2)와 동일하고, 제4 거리(d4)는 제1 거리(d1)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심선(CL)으로부터 제1 부분(211c)까지 제9 거리(d9)와 중심선(CL)에서 제2 부분(211d)까지 제10 거리(d10)는 일치할 수 있다. 제9 거리(d9)는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중심선(CL) 사이의 최단거리, 제10 거리(d10)는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중심선(CL)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와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는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는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는 제3 부분(311a)의 중심점(P3) 또는 제4 부분(311b)의 중심점(P4)과 제1 축(A1) 또는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중심선(CL)으로부터 제3 부분(311a)의 중심점(P3)까지의 제11 거리(d11)와 중심선(CL)으로부터 제4 부분(311b)의 중심점(P4)까지 사이의 제12 거리(d12)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의 폭(W1)은 제2 가요성 기판(420)의 폭(W2)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광학 조립체(200)가 하우징(100)에 대해 제1 축(A1)으로 회전할 때 가요성 기판(400)으로 인해 광학 조립체(200)에 작용하는 저항력과, 제2 축(A2)으로 회전할 때 가요성 기판(400)으로 인해 광학 조립체(200)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대칭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모듈(1)의 흔들림 보정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연장하고,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친다. 즉, 광축(O)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요성 기판(400)을 바라볼 때, 제1 가요성 기판(410)의 일부는 제2 가요성 기판(420)에 의해 시인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서 각각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제1 부분(211c)은 제2 부분(211d)보다 +X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 사이의 영역(OL1)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제1 축(A1)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1 대각선(231)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2 대각선(23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단부(211a)와 제2 단부(211b)를 잇는 제1 가장자리(211)의 주변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보다 크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 너머까지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 너머까지 연장한다. 이 경우,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의 사이의 영역(OL2)에서 서로 중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제1 가요성 기판(410) 상에 배치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제2 가요성 기판(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는,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을 이등분하는 선으로써,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에 나란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Y축에 나란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연장하고,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친다. 즉, 광축(O)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요성 기판(400)을 바라볼 때, 제1 가요성 기판(410)의 일부는 제2 가요성 기판(420)에 의해 시인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서 각각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제1 부분(211c)은 제2 부분(211d)보다 +X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 사이의 영역(OL1)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제1 축(A1)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1 대각선(231)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2 대각선(23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단부(211a)와 제2 단부(211b)를 잇는 제1 가장자리(211)의 주변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보다 크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에 미치기 전까지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에 미치기 전까지 연장한다. 이 경우,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와 제1 내측 가장자리(311) 사이의 영역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보다 클을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는,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을 이등분하는 선으로써,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에 나란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Y축에 나란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제4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연장하고,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친다. 즉, 광축(O)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요성 기판(400)을 바라볼 때, 제1 가요성 기판(410)의 일부는 제2 가요성 기판(420)에 의해 시인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동일한 부분에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동일한 부분이라고 함은 광축(O)에서 센서기판(210)을 볼 때,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연결된 부분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연결된 부분이 일치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은 일치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각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의 동일 부분에서 인출되고, +Y방향으로 연장하는 구간(OL1)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제1 축(A1)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1 대각선(231)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2 대각선(23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단부(211a)와 제2 단부(211b)를 잇는 제1 가장자리(211)의 주변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와 일치할 클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와 일치하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와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는 일치할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는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각 센서기판(210)의 제2 가장자리(212)에서 메인기판(300)의 제1 내측 가장자리(311)까지 연장하는 구간(OL2)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을 이등분하는 선으로써,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에 나란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Y축에 나란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제5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연장하고,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친다. 즉, 광축(O)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요성 기판(400)을 바라볼 때, 제1 가요성 기판(410)의 일부는 제2 가요성 기판(420)에 의해 시인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동일한 부분에서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은 일치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각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의 동일 부분에서 인출되고, +Y방향으로 연장하는 구간(OL1)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제1 축(A1)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1 대각선(231)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2 대각선(23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단부(211a)와 제2 단부(211b)를 잇는 제1 가장자리(211)의 주변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와 일치할 클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와 일치하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와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 너머까지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 너머까지 연장한다. 이 경우,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의 사이의 영역(OL2)에서 서로 중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제1 가요성 기판(410) 상에 배치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제2 가요성 기판(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는,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을 이등분하는 선으로써,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에 나란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Y축에 나란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제6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
*
*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연장하고,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친다. 즉, 광축(O)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요성 기판(400)을 바라볼 때, 제1 가요성 기판(410)의 일부는 제2 가요성 기판(420)에 의해 시인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동일한 부분에서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은 일치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각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의 동일 부분에서 인출되고, +Y방향으로 연장하는 구간(OL1)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단부(211a)와 제2 단부(211b)를 잇는 제1 가장자리(211)의 주변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와 일치할 클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와 일치하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와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에 미치기 전까지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에 미치기 전까지 연장한다. 이 경우,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와 제1 내측 가장자리(311) 사이의 영역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보다 클을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는,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2는 제7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서 각각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제1 축(A1)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1 대각선(231)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2 대각선(23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보다 작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부분(211c)과 제2 부분(211d)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는 일치할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는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각 센서기판(210)의 제2 가장자리(212)에서 메인기판(300)의 제1 내측 가장자리(311)까지 연장하는 구간(OL2)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을 이등분하는 선으로써,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에 나란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Y축에 나란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제8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서 각각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제1 축(A1)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1 대각선(231)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2 대각선(23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보다 작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 너머까지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 너머까지 연장한다. 이 경우,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의 사이의 영역(OL2)에서 서로 중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제1 가요성 기판(410) 상에 배치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제2 가요성 기판(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는,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을 이등분하는 선으로써,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에 나란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Y축에 나란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제9 실시 예에서 센서기판(210)과 메인기판(300)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
*
*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센서기판(210)의 가장자리(211, 212, 213, 214)를 따라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각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여 메인기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은 광축(O)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광축(O)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3 가장자리(213)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가장자리(214)를 따라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 일부를 따라 -X방향으로 연장한 후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서 각각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1 부분(211c)에서,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의 제2 부분(211d)에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이후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을 우회한 후 메인기판(3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기판(400)은 센서기판(210)의 제1 가장자리(211)에서 인출된 후,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장자리(212)까지 연장한 가요성 기판(40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 중 제2 가장자리(212)와 마주보는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광학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O)에 수직인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기판(210)은 광학 조립체(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센서기판(210)은 메인기판(300)에 대해 제1 축(A1)과 제2 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장자리(211)는 제1 단부(211a)에서 제2 단부(211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가장자리(212)는 제1 가장자리(211)와 대향하면서 제3 단부(212a)에서 제4 단부(212b)까지 +X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은 제1 단부(211a)에서 제4 단부(212b)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제2 단부(211b)에서 제3 단부(212a)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제1 축(A1)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1 대각선(231)에 대응하고, 제2 축(A2)은 이미지 센서(230)의 제2 대각선(23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부분(211c)에서 인출된 후 제1 단부(211a)를 향하는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부분(211d)에서 인출된 후 제2 단부(211b)를 향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센서기판(210)을 우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1 축(A1)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1 축(A1)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1 축(A1)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1 부분(211c)과 제2 축(A2)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가요성 기판(420)이 센서기판(210)에 연결되는 제2 부분(211d)과 제2 축(A2) 사이의 제4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는 각각 제1 부분(211c)의 중심점(P1)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 제2 부분(211d)의 중심점(P2)과 제2 축(A2)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보다 작고, 제2 거리(d2)는 제4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메인기판(300)의 내측 가장자리(310)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3 부분(311a)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내측 가장자리(311)의 제4 부분(3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부분(311a)과 제4 부분(311b)은 광축(O)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41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에 미치기 전까지 연장하고,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2 가장자리(212)를 따라 -X방향으로 중심선(CL)에 미치기 전까지 연장한다. 이 경우,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제1 가장자리(211)와 제1 내측 가장자리(311) 사이의 영역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부분(311a)과 제1 축(A1)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4 부분(311b)과 제1 축(A1) 사이의 제6 거리(d6)보다 클을 수 있다. 또는 제3 부분(311a)과 제2 축(A2) 사이의 제7거리(d7)는, 제4 부분(311b)과 제2 축(A2) 사이의 제8 거리(d8)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축(A1)과 제2 축(A2)을 이등분하는 선으로써,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에 나란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요성 기판(410)과 제2 가요성 기판(420)은 Y축에 나란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카메라 모듈
100: 하우징
200: 광학 조립체
300: 메인기판
400: 가요성 기판
410: 제1 가요성 기판
420: 제2 가요성 기판
500: 제1 프레임
600: 제2 프레임
800: 스토퍼
900: 쉴드캔

Claims (1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틸트하도록 구성되고, 렌즈계 및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광학 조립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기판과 이격 배치된 메인기판; 및
    상기 센서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시키는 제1 가요성 기판 및 제2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센서기판의 가장자리 일부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적어도 일부 겹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각각 상기 센서기판의 가장자리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서 인출되고, 서로 중첩된 상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기판은 상기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가장자리의 일부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다른 일부분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의 상기 제1 부분과 적어도 일부 겹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기판은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센서기판을 우회하고,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상기 센서기판을 우회하는, 카메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기판은 상호 대향하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메인기판의 내측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부분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메인기판의 내측 가장자리 중 동일한 부분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광축에 수직인 제1 축을 기준으로 틸트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 축과 교차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틸트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조립체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기준으로 틸트하는, 카메라 모듈.
  9.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틸트하도록 구성되고, 렌즈계 및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광학 조립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기판과 이격 배치된 메인기판; 및
    상기 센서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시키는, 제1 가요성 기판 및 제2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광축에 수직하고 서로 교차하는 제1 축과 제2 축을 기준으로 틸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기판은 상호 대향하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는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제3 단부에서 제4 단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4 단부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3 단부로 향하는 대각선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센서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구간에서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1 가장자리의 제1 부분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센서기판을 우회하고,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1 가장자리의 제2 부분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센서기판을 우회하고,
    광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축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1 축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큰,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제3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제4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와 동일한, 카메라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메인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제1 가요성 기판과 연결된 제3 부분과 상기 메인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제2 가요성 기판과 연결된 제4 부분은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카메라 모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1 가장자리의 제1 부분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센서기판을 우회하고,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1 가장자리의 제2 부분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센서기판을 우회하고,
    광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1 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카메라 모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등분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를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센서기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내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센서기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제1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제2 가요성 기판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광축에 수직인 제1 축을 기준으로 틸트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광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 축과 교차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틸트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조립체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기준으로 틸트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014264A 2021-02-01 2021-02-01 카메라 모듈 KR10248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64A KR102483616B1 (ko) 2021-02-01 2021-02-01 카메라 모듈
US17/507,046 US20220244562A1 (en) 2021-02-01 2021-10-21 Camera module
CN202210030187.4A CN114845011A (zh) 2021-02-01 2022-01-12 相机模块
CN202220076053.1U CN217159825U (zh) 2021-02-01 2022-01-12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64A KR102483616B1 (ko) 2021-02-01 2021-02-01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76A KR20220111076A (ko) 2022-08-09
KR102483616B1 true KR102483616B1 (ko) 2023-01-02

Family

ID=8256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64A KR102483616B1 (ko) 2021-02-01 2021-02-0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44562A1 (ko)
KR (1) KR102483616B1 (ko)
CN (2) CN1148450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3011B (zh) * 2020-12-08 2021-02-19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摄像装置及电子设备
US20230069902A1 (en) * 2021-09-07 2023-03-09 Apple Inc. Moveable flex circuit for cameras with moveable image sens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2466A (ja) * 2009-03-11 2010-09-24 Casio Computer Co Ltd 接合構造の製造方法
KR102106525B1 (ko) * 2019-09-30 2020-05-06 자화전자(주)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9647B2 (en) * 2004-07-21 2010-03-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suspension for image stabilization
JP5694017B2 (ja) * 2011-03-16 2015-04-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KR101927237B1 (ko) * 2011-11-18 2018-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7181675A (ja) * 2016-03-29 2017-10-05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560085B1 (ko) * 2017-09-29 2023-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525608B1 (ko) * 2018-06-29 2023-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US11555978B2 (en) * 2018-07-05 2023-01-17 Mcnex Co., Ltd. Camera module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KR102589379B1 (ko) * 2018-08-27 2023-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522700B1 (ko) * 2019-01-08 2023-04-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00114252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CN114594562A (zh) * 2020-12-04 2022-06-07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及包括该光学单元的便携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2466A (ja) * 2009-03-11 2010-09-24 Casio Computer Co Ltd 接合構造の製造方法
KR102106525B1 (ko) * 2019-09-30 2020-05-06 자화전자(주)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159825U (zh) 2022-08-09
CN114845011A (zh) 2022-08-02
US20220244562A1 (en) 2022-08-04
KR20220111076A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441B1 (ko) 카메라 모듈
US11940665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US11921301B2 (en) Dual lens drive device,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EP3667408B1 (en)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JP3207632U (ja) 手ぶれ防止レンズモジュールの構造
KR102483616B1 (ko) 카메라 모듈
US11650394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20230362467A1 (en) Sensor driving device having substrate with electromagnetic driving unit and protrusion part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JP2020507805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US20230421876A1 (en) Camera module having gyro sensor and camera including the same
WO2021232948A1 (zh) 具有防抖功能的感光组件、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KR20170021682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US20230379563A1 (en) Micro gimbal stabilizer (mgs) camera module
KR20230070835A (ko)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16242B1 (ko) 카메라 모듈
KR102416241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20947A (ko) 카메라 모듈
US20240077745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20180092131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50114930A (ko) 카메라 렌즈 모듈
TW202309639A (zh) 攝影機裝置
TWI600939B (zh) 相機模組
KR20230109371A (ko) 센서 시프팅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32960A (ko) 카메라 모듈
KR2021012960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