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252A -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252A
KR20200114252A KR1020190035662A KR20190035662A KR20200114252A KR 20200114252 A KR20200114252 A KR 20200114252A KR 1020190035662 A KR1020190035662 A KR 1020190035662A KR 20190035662 A KR20190035662 A KR 20190035662A KR 20200114252 A KR20200114252 A KR 20200114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
disposed
camera module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252A/ko
Priority to CN202080025679.3A priority patent/CN113678428B/zh
Priority to EP20776665.0A priority patent/EP3952274A4/en
Priority to PCT/KR2020/003644 priority patent/WO2020197149A1/ko
Priority to US17/310,924 priority patent/US20220137486A1/en
Publication of KR2020011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H04N5/2328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3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5Folded back on itsel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83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component,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Abstract

본 실시예는 마그네트와 코일을 포함하고, 마그네트는 카메라 모듈의 제1측면과 제2측면 각각에 배치되고 코일과 대향하는 면의 상부와 하부의 극성이 상이한 제1마그네트와, 카메라 모듈의 제3측면과 제4측면 각각에 배치되고 코일과 대향하는 면의 양측부의 극성이 상이한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코일은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코일과,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2코일과,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제1코일 및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3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
본 실시예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가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 장치에는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카메라 모듈 틸트 방식의 OIS 구조는 X축/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요잉(yawing)/피칭(pitching)에 대한 2축 손떨림 보정 방식이며,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링(rolling)의 손떨림은 보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장치에서는 중력에 의한 자세차 처짐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모듈 틸트 방식의 OIS 구조로서 요잉(yawing), 피칭(pitching), 롤링(rolling)의 3축 손떨림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세차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접점 지지 구조로 인해 기판에서 발생되는 응력집중을 분산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하우징;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외주면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면과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면과 제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면의 상부와 하부의 극성이 상이한 제1마그네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4측면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면의 양측부의 극성이 상이한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코일과,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2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3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1마그네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2측면에 배치되는 제1-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제1-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1코일과, 상기 제1-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2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1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1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1코일과, 상기 제1-1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1코일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2코일과, 상기 제1-2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2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3코일과, 상기 제1-2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2코일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4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3측면에 배치되는 제2-1마그네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4측면에 배치되는 제2-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코일은 상기 제2-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3-1코일과, 상기 제2-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3-2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결합되는 홀더; 일부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상부 탄성부재; 및 상기 상부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기판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과 결합되는 연성의 제3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기판은 상기 제2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내측부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단자를 포함하는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며 적어도 일부에서 절곡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와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코일과 상기 커버의 상기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하우징;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광축에 수직한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광축과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3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면과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면과 제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4측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부와 하부의 극성이 상이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는 양측부의 극성이 상이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3개의 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1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모듈 틸트 방식으로 요잉(yawing), 피칭(pitching), 롤링(rolling)의 3축 손떨림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향상된 손떨림 보정(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세차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어가 보다 단순해지고 모든 자세에서 보다 정밀한 손떨림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특정 지점에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현상이 방지되어 낙하충격 등에 의해 기판 및 기판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1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마그네트와 코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a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일측으로의 요잉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a의 (b)는 카메라 모듈의 일측으로의 피칭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a의 (c)는 카메라 모듈의 일측으로의 롤링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타측으로의 요잉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b의 (b)는 카메라 모듈의 타측으로의 피칭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b의 (c)는 카메라 모듈의 타측으로의 롤링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도 14와 다른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8의 (a)는 카메라 모듈이 위를 바라보는 자세에서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예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의 (b)는 카메라 모듈이 아래를 바라보는 자세에서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예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의 (c)는 카메라 모듈이 옆을 바라보는 자세에서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예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0의 (a)는 비교예에서 카메라 모듈에 작용하는 낙하 충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에 작용하는 낙하 충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광학기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Optical Axis, 도 7의 OA 참조)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되는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수직방향'은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수직방향은 'z축 방향(도 7 참조)'과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수평방향'은 수직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즉, 수평방향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포함(도 7 참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와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요잉(yawing)'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요(yaw) 방향의 움직임일 수 있다(도 16a와 도 16b의 (a) 참조). 이하에서 사용되는 '피칭(pitching)'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치(pitch) 방향의 움직임일 수 있다(도 16a와 도 16b의 (b) 참조). 이하에서 사용되는 '롤링(rolling)'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roll) 방향의 움직임일 수 있다(도 16a와 도 16b의 (c) 참조).
이하에서는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1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투시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마그네트와 코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a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일측으로의 요잉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a의 (b)는 카메라 모듈의 일측으로의 피칭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a의 (c)는 카메라 모듈의 일측으로의 롤링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b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타측으로의 요잉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b의 (b)는 카메라 모듈의 타측으로의 피칭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b의 (c)는 카메라 모듈의 타측으로의 롤링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도 14와 다른 방향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18의 (a)는 카메라 모듈이 위를 바라보는 자세에서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예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의 (b)는 카메라 모듈이 아래를 바라보는 자세에서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예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의 (c)는 카메라 모듈이 옆을 바라보는 자세에서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예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20의 (a)는 비교예에서 카메라 모듈에 작용하는 낙하 충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에 작용하는 낙하 충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 장치(10A)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구동 모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A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OI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베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인쇄회로기판(50)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인쇄회로기판(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인쇄회로기판(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하우징(210)과 인쇄회로기판(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커버(500)의 측판(52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홀(111)은 중공홀일 수 있다. 홀(111)은 개구(opening)일 수 있다. 홀(111)은 베이스(110)를 광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2)은 베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12)은 홀(111)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홈(112)에는 탄성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홈(112)의 깊이는 탄성부재(120)의 돌출부(121)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홈(112)에 배치된 탄성부재(120)의 돌출부(121)가 베이스(110)의 상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3)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3)는 제3기판(430)의 제1홀(434)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113)는 제3기판(430)의 일부를 베이스(110)에 고정할 수 있다. 돌기(113)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3)는 베이스(110)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2개, 베이스(110)의 타측면과 인접하게 2개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가이드벽(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벽(114)은 베이스(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벽(114)은 베이스(110)의 외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벽(114)과 베이스(110)의 외주 사이의 이격 거리는 커버(500)의 측판(52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가이드벽(114)과 베이스(110)의 외주 사이의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커버(500)의 측판(520)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벽(114)은 커버(500)의 측판(520)에 대한 조립 가이드로 작용하는 한편, 조립된 커버(500)의 측판(520)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접착제를 통해 커버(500)의 측판(520)은 가이드벽(114) 및/또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탄성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카메라 모듈(6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카메라 모듈(600)과 베이스(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판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600)의 하면의 중심부 접점 지지 구조로 인한 제2기판(690)에서의 응력집중을 분산하고자 접점 지지 구조에 충격 완화 스프링 구조인 탄성부재(120)를 적용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20)는 상부 탄성부재(410)를 통한 예압 구조에서 제2기판(690)의 특정 지점에 응력집중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600) 지지 구조에 충격 완화 스프링 구조를 적용하여 낙하 충격 시, 제2기판(690)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분산하여 이미지 센서(695)의 손상(Damage)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낙하 충격(F)이 작용하면 탄성부재(120)가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되어 제2기판(690)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120)의 탄성변형을 도 20의 (a)의 비교예의 지지부재(120a)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충격 완화 효과를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돌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1)는 카메라 모듈(600)의 피벗(pivot) 움직임에 대한 피벗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돌출부(121)는 카메라 모듈(600)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돌출부(121)는 카메라 모듈(6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돌출부(121)의 상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1)는 곡률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2)는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2)는 베이스(110)의 홈(112)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2)는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22)는 사각의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3)는 돌출부(121)와 결합부(12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2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23)는 고정부인 결합부(122)와 가동부인 돌출부(121)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23)는 밴딩 또는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3)는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하우징(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베이스(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홀더(3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내측에 홀더(310)의 일부와 카메라 모듈(600)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복수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4개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제1 내지 제4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제2측벽과, 제1측벽과 제2측벽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제1 내지 제4측벽 각각에는 코일(22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제1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211)은 하우징(21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211)에는 코일(22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홈(211)은 코일(2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일 수 있다. 제1홈(211)은 하우징(210)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서, 제1홈(211)은 하우징(210)의 측벽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홈(211)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211)은 하우징(210)의 4개의 측벽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제2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212)은 하우징(21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12)을 통해 형성되는 공간은 제3기판(430)이 통과할 수 있다. 즉, 제2홈(212)은 제3기판(43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일 수 있다. 제2홈(212)은 하우징(210)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12)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212)은 하우징(210)의 일측 측벽과 타측 측벽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홀(213)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3)은 하우징(210)을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213)에는 와이어(420)가 배치될 수 있다. 홀(213)은 와이어(420)와 간섭되지 않는 직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213)은 하우징(210)의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홀(213)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3)은 하우징(210)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 홀(213)은 하방이 막힌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420)의 하단은 하우징(210)에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코일(2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220)은 하우징(21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220)은 마그네트(320)와 대향할 수 있다. 코일(220)은 제1기판(23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코일(220)은 제1기판(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코일(2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20)의 주변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2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20)과 마그네트(32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코일(220)과 마그네트(3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220)에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트(320)가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변형례에서 코일(220)과 마그네트(320)의 위치가 서로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코일(220)은 제1코일(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221)은 제1마그네트(321)와 대향할 수 있다. 제1코일(221)은 제2코일(222) 및 제3코일(223)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코일(221, 222, 223)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코일(221, 222, 223)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3코일(221, 222, 223)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과 양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코일(221)은 마그네트(3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을 광축에 수직한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축은 x축일 수 있다.
도 16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일(221)은 마그네트(3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을 x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도 16a의 (b)의 b 참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1코일(221-1)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1-1코일(221-1)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에 상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b1)이 발생하고 제1-2코일(221-2)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1-2코일(221-2)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에 하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b2)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600)이 x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b)할 수 있다. 다만, 제1-1코일(221-1)과 제1-2코일(221-2)에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변형례로 다른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1-1코일(221-1)과 제1-2코일(221-2)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도 16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일(221)은 마그네트(3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을 x축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도 16b의 (b)의 e 참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1코일(221-1)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1-1코일(221-1)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에 하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e1)이 발생하고 제1-2코일(221-2)에 상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제1-2코일(221-2)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에 상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e2)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600)이 x축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e)할 수 있다.
제1코일(221)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221)은 제1-1코일(221-1)과 제1-2코일(2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코일(221-1)은 제1-1마그네트(321-1)와 대향할 수 있다. 제1-2코일(221-2)은 제1-2마그네트(321-2)와 대향할 수 있다. 제1-1코일(221-1)은 제2-1코일(222-1)과 제2-2코일(2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코일(221-2)은 제2-3코일(222-3)과 제2-4코일(22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코일(221-1)과 제1-2코일(221-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1코일(221-1)과 제1-2코일(221-2)은 일체로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로 제1-1코일(221-1)과 제1-2코일(221-2)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1코일(221-1)과 제1-2코일(221-2)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1코일(221-1)과 제1-2코일(221-2)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과 양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코일(220)은 제2코일(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222)은 제1마그네트(321)와 대향할 수 있다. 제2코일(222)은 제1코일(221)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코일(222)은 마그네트(3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을 광축과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축은 y축일 수 있다.
도 16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코일(222)은 마그네트(3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을 y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도 16a의 (a)의 a 참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1코일(222-1)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1코일(222-1)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에 상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1)이 발생하고 제2-3코일(222-3)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3코일(222-3)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에 상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1)이 발생하고 제2-2코일(222-2)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2코일(222-2)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에 하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2)이 발생하고 제2-4코일(222-4)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4코일(222-4)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에 하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2)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600)이 y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a)할 수 있다. 제2-1코일(222-1)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1)과 제2-3코일(222-3)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1)은 같은 방향을 향하고, 제2-2코일(222-2)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2)과 제2-4코일(222-4)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2)은 같은 방향을 향하되, 제2-1코일(222-1)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1)과 제2-2코일(222-2)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2)은 상이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례로, 제2-1코일(222-1)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1)과 제2-3코일(222-3)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1)은 위를 향하고, 제2-2코일(222-2)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2)과 제2-4코일(222-4)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a2)은 아래를 향할 수 있다. 제2-1코일(222-1)과 제2-2코일(222-2)에는 상이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변형례로 코일의 감긴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치되고 같은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도 16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코일(222)은 마그네트(3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을 y축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도 16b의 (a)의 d 참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1코일(222-1)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1코일(222-1)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에 하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d1)이 발생하고 제2-3코일(222-3)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3코일(222-3)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에 하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d1)이 발생하고 제2-2코일(222-2)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2코일(222-2)과 제1-1마그네트(321-1) 사이에 상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d2)이 발생하고 제2-4코일(222-4)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4코일(222-4)과 제1-2마그네트(321-2) 사이에 상방으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d2)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600)이 y축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d)할 수 있다.
제2코일(222)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222)은 제2-1 내지 제2-4코일(222-1, 222-2, 222-3, 2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코일(222-1)은 제1-1마그네트(321-1)와 대향할 수 있다. 제2-1코일(222-1)은 제1-1코일(221-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코일(222-2)은 제1-1마그네트(321-1)와 대향할 수 있다. 제2-2코일(222-2)은 제1-1코일(221-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3코일(222-3)은 제1-2마그네트(321-2)와 대향할 수 있다. 제2-3코일(222-3)은 제1-2코일(221-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4코일(222-4)은 제1-2마그네트(321-2)와 대향할 수 있다. 제2-4코일(222-4)은 제1-2코일(221-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내지 제2-4코일(222-1, 222-2, 222-3, 222-4)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1 내지 제2-4코일(222-1, 222-2, 222-3, 222-4)은 일체로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로 제2-1 내지 제2-4코일(222-1, 222-2, 222-3, 222-4)은 모두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1 내지 제2-4코일(222-1, 222-2, 222-3, 222-4)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제2-1 내지 제2-4코일(222-1, 222-2, 222-3, 222-4)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과 양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1코일(222-1)과 제2-3코일(22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2코일(222-2)과 제2-4코일(222-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1코일(222-1)과 제2-2코일(222-2)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코일(220)은 제3코일(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코일(223)은 제2마그네트(322)와 대향할 수 있다. 제3코일(223)은 제1코일(221) 및 제2코일(222)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6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코일(223)은 마그네트(3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을 광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도 16a의 (c)의 c 참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3-1코일(223-1)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3-1코일(223-1)과 제2-1마그네트(322-1) 사이에 제1방향으로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c1)이 발생하고 제3-2코일(223-2)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3-2코일(223-2)과 제2-2마그네트(322-2) 사이에 제2방향으로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c2)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600)이 z축을 일측으로 중심으로 회전(c)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과 제2방향은 각각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 방향이고 서로 광축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 각각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례로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에 서로 상이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2-1마그네트(322-1)와 제2-2마그네트(322-2)의 배치방향 또는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의 감긴 방향을 통해 필요한 전자기적 상호작용력이 유도될 수 있다.
도 16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코일(223)은 마그네트(3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을 광축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도 16b의 (c)의 f 참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3-1코일(223-1)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3-1코일(223-1)과 제2-1마그네트(322-1) 사이에 제3방향으로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f1)이 발생하고 제3-2코일(223-2)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3-2코일(223-2)과 제2-2마그네트(322-2) 사이에 제4방향으로의 전자기적 상호작용력(f2)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600)이 z축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f)할 수 있다. 이때, 제3방향과 제4방향은 각각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 방향이고 서로 광축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제3방향은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이고 제4방향은 제2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제3코일(223)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코일(223)은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1코일(223-1)은 제2-1마그네트(322-1)와 대향할 수 있다. 제3-2코일(223-2)은 제2-2마그네트(322-2)와 대향할 수 있다.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은 일체로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로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제3-1코일(223-1)과 제3-2코일(223-2)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과 양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제1기판(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하우징(2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인쇄회로기판(50)과 코일(2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기판(230)의 내면에는 코일(2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기판(230)의 내면에는 센서(4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기판(230)의 하단은 인쇄회로기판(5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연성일 수 있다. 제1기판(23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제1-1기판(230-1)과 제1-2기판(2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기판(230-1)은 하우징(210)의 제1측벽과 제3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기판(230-2)은 하우징(210)의 제2측벽과 제4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기판(230-1)과 제1-2기판(230-2)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1기판(230-1)과 제1-2기판(230-2)은 하우징(2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1기판(230-1)과 제1-2기판(230-2) 각각에는 4개의 코일이 결합될 수 있다. 제1-1기판(230-1)과 제1-2기판(230-2) 각각에는 2개의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단자(23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31)는 제1기판(23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231)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의 단자(50a)에 결합될 수 있다. 단자(231)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절곡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하우징(210)의 외면에 배치되는 평판 부분과, 2개의 평판 부분을 연결하는 절곡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232)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기판(230)은 절곡부(232)에서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홀더(31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1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10)의 일부는 하우징(2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10)는 카메라 모듈(600)과 결합될 수 있다. 홀더(310)의 내에 카메라 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홀더(310)에는 마그네트(32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310)는 상판과,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10)의 복수의 측벽은 상판으로부터 카메라 모듈(6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홀더(310)의 측벽은 하우징(210)의 측벽과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10)는 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홀(311)은 중공홀일 수 있다. 홀(311)은 개구(opening)일 수 있다. 홀(311)은 홀더(310)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311)에는 카메라 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홀(311)은 카메라 모듈(60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310)는 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12)는 홀더(3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312)에는 상부 탄성부재(410)가 결합될 수 있다. 돌기(312)는 홀더(310)의 상판의 상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312)는 홀더(310)의 상판의 코너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312)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12)의 개수는 상부 탄성부재(410)의 제1결합부(411)의 개수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312)는 4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10)는 스토퍼(3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13)는 홀더(3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13)는 홀더(310)의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313)는 상측 스토퍼일 수 있다. 스토퍼(313)는 커버(500)의 상판(510)과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스토퍼(313)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13)는 8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10)는 제1홀(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314)은 홀더(31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홀(314)에는 마그네트(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홀(314)은 마그네트 수용홀일 수 있다. 제1홀(314)은 마그네트(320)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홀(314)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314)의 개수는 마그네트(320)의 개수와 대응할 수 있다. 제1홀(314)은 4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10)는 제2홀(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315)은 홀더(310)를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홀(315)은 홀더(310)의 상판의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20)는 제2홀(315)을 통과할 수 있다. 제2홀(315)은 와이어(4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와이어(4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홀(315)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315)의 개수는 와이어(420)의 개수와 대응할 수 있다. 제2홀(315)은 4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마그네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카메라 모듈(6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코일(220)과 대향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코일(2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코일(2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코일(220)에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트(320)가 이동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갖는 평판 마그네트일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4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제1마그네트(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는 카메라 모듈(600)의 제1측면과 제2측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는 코일(220)과 대향하는 면의 상부와 하부의 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는 2극을 갖는 단일 마그네트일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서 제1마그네트(321)는 2극을 갖는 단일 마그네트 2개가 겹쳐진 형태의 양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의 상부는 N극이고 하부는 S극일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 제1마그네트(321)의 상부는 S극이고 하부는 N극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는 제1코일(221) 및 제2코일(222)과 대향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의 수평방향으로의 폭은 제1코일(221)의 폭과 제2코일(222)의 폭을 합한 것과 대응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는 제1-1마그네트(321-1)와 제1-2마그네트(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마그네트(321-1)는 카메라 모듈(600)의 제1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마그네트(321-2)는 카메라 모듈(600)의 제2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제2마그네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는 카메라 모듈(600)의 제3측면과 제4측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는 코일(220)과 대향하는 면의 양측부의 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는 2극을 갖는 단일 마그네트일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서 제2마그네트(322)는 2극을 갖는 단일 마그네트 2개가 겹쳐진 형태의 양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의 일측부는 N극이고 타측부는 S극일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 제2마그네트(322)의 일측부는 S극이고 타측부는 N극일 수 있다. 이때, 일측부는 제2마그네트(322) 중 왼쪽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타측부는 제2마그네트(322) 중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는 제3코일(223)과 대향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의 수평방향으로의 폭은 제3코일(223)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는 제2-1마그네트(322-1)와 제2-2마그네트(3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마그네트(322-1)는 카메라 모듈(600)의 제3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마그네트(322-2)는 카메라 모듈(600)의 제4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상부 탄성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10)는 일부가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10)는 홀더(310)의 돌기(312)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10)는 홀더(310)와 와이어(4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10)는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10)는 판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600)의 하면의 중심부에 접점 지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판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상부 탄성부재(410)가 베이스(110) 조립 후 오프셋 밴딩(Offset bending)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600) 전체가 베이스(110) 방향으로 힘을 받는 예압 구조가 형성되어 중력(도 18의 g 참조)에 의한 자세차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부 탄성부재(410)가 오프셋 밴딩되어 제품 조립 상태에서 예압(Pre-load)이 적용되는 구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력 방향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수직 항력인 예압이 카메라 모듈(600)의 중량 대비 충분히 커 자세차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의 (a)를 참고하면, 상부 탄성부재(410)의 제1결합부(411)와 제2결합부(412) 사이에 존재하는 높이차(도 17의 a와 18의 (a)의 a 참조)를 발생시키는 오프셋 밴딩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의 (a)는 카메라 모듈(600)이 위를 촬영하는 자세이고, 도 18의 (b)는 카메라 모듈(600)이 아래를 촬영하는 자세이고, 도 18의 (c)는 카메라 모듈(600)이 측방을 촬영하는 자세이다. 다시 말해, 도 18의 (a)는 카메라 모듈(600)의 렌즈(680)가 이미지 센서(695)의 위에 배치되는 자세이고, 도 18의 (b)는 카메라 모듈(600)의 렌즈(680)가 이미지 센서(695)의 아래에 배치되는 자세이고, 도 18의 (c)는 카메라 모듈(600)의 렌즈(680)의 중심과 이미지 센서(695)의 중심이 같은 높이로 배치되는 자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도시한 위 3가지 자세를 포함하는 모든 자세에서 상부 탄성부재(410)의 오프셋 밴딩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600)의 자세차 처짐은 방지될 수 있다.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탄성부재(410)의 예압에 의해 카메라 모듈(600)과 탄성부재(120)의 돌출부(121) 사이에는 마찰력(F)이 작용하고 이를 통해 자세차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자세에 따라 상부 탄성부재(410)의 오프셋 밴딩량은 변화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10)는 제1결합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411)는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411)는 홀더(310)의 돌기(312)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411)는 연결부(413)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10)는 제2결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412)는 와이어(4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결합부(412)는 와이어(4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412)는 솔더링에 의해 와이어(4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412)는 와이어(420)과 통과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10)는 연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13)는 제1결합부(411)와 제2결합부(41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1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413)는 제1결합부(411)와 제2결합부(412)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13)는 제1결합부(411) 및 제2결합부(4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와이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20)는 탄성부재(120)와 하우징(210) 또는 탄성부재(120)와 베이스(110)를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420)의 상단부는 상부 탄성부재(410)의 제2결합부(412)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420)의 하단부는 베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변형례로, 와이어(420)의 하단부는 하우징(2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420)는 상부 탄성부재(410)의 제2결합부(412)의 홀, 홀더(310)의 제2홀(315), 하우징(210)의 홀(213)을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420)는 와이어 스프링(wire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220)과 마그네트(32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X, Y, Z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돌림힘을 발생시키고, 판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상부 탄성부재(410)와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와이어(420)를 수직 배치하여 3축 회전에 대한 강성을 낮춰 요(Yaw), 피치(Pitch), 롤(Roll) 모드(mode)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와이어(420)를 통해 강성이 낮아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3축 회전 구동에 소모되는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와이어(420)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20)는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20)는 제1 내지 제4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와이어는 홀더(310)의 4개의 코너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제3기판(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제2기판(690)과 결합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제2기판(690)과 인쇄회로기판(50)을 연결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이미지 센서(695)와 인쇄회로기판(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카메라 모듈(60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3기판(430)의 일부는 카메라 모듈(60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연성일 수 있다. 제3기판(43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내측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431)는 제2기판(690)과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431)는 카메라 모듈(60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내측부(431)는 단자(43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431-1)는 제2기판(690)의 하면에 배치되는 단자(690a)와 연결될 수 있다. 내측부(431)는 홀(43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431)의 홀(431-2)은 중공홀 일 수 있다. 탄성부재(120)의 돌출부(121)가 내측부(431)의 홀(43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외측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432)는 베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외측부(432)는 인쇄회로기판(50)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432)는 단자(432-1)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432)의 단자(432-1)는 인쇄회로기판(50)의 단자에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432)에는 제1홀(4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홀(434)은 베이스(1100의 돌기(1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홀(434)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연결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33)는 내측부(431)와 외측부(43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33)는 적어도 일부에서 절곡될 수 있다. 연결부(433)는 연성일 수 있다. 연결부(433)는 가요성일 수 있다. 연결부(43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433)는 내측부(431)와 외측부(432)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기판(430)은 제2홀(4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435)은 제3기판(4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홀(435)은 내측부(431)의 일부와 연결부(433)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홀(435)을 통해 연결부(433)의 폭이 축소되며 이를 통해 연결부(433)가 더 쉽게 휘어지고 이동할 수 있다. 제2홀(435)은 연결부(433)의 폭 방향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센서(4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40)는 제1기판(23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440)는 홀센서(Hall IC)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40)는 마그네트(320)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440)에서 감지된 마그네트(320)의 자기력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의 이동이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OIS 피드백(feedback)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센서(44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40)는 4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센서를 통해 카메라 모듈(600)의 요잉, 피칭, 롤링이 모두 감지될 수 있다. 센서(440)는 제1 내지 제4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와 제2센서는 제1-1마그네트(321-1)와 대향하고, 제3센서는 제2-1마그네트(322-1)와 대향하고, 제4센서는 제1-2마그네트(321-2)와 대향할 수 있다.
센서(440)는 마그네트(320)의 x축 방향 이동량 및/또는 변위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40)는 마그네트(320)의 y축 방향 이동량 및/또는 변위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40)는 마그네트(320)의 z축 방향 이동량 및/또는 변위를 감지하는 제3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센서, 제2홀센서 및 제3홀센서 중 어느 둘 이상을 통해 카메라 모듈(600)의 요잉, 피칭, 롤링이 감지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0)는 '커버 캔'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0)는 홀더(310)와 하우징(21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500)는 베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500)는 카메라 모듈(600)을 안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500)는 카메라 장치(10A)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5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5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50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5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500)는 인쇄회로기판(5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5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5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5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500)는 상판(510)과, 측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0)는 홀을 포함하는 상판(510)과, 상판(510)의 외주(outer periphery) 또는 에지(edge)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0)의 측판(520)의 하단은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500)의 측판(520)의 내면은 베이스(11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500)의 측판(520)은 복수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판은 제1 내지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0)의 측판(520)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제2측판, 및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A)는 카메라 모듈(6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하우징(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탄성부재(120)의 돌출부(121)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탄성부재(120)의 돌출부(121)를 중심으로 피벗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홀더(3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의 외주면에는 마그네트(32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요잉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요방향으로 회전, 틸트, 이동 또는 피벗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피칭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피치방향으로 회전, 틸트, 이동 또는 피벗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롤링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롤방향으로 회전, 틸트, 이동 또는 피벗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제1 내지 제4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의 외주면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면과 제2측면과, 제1측면과 제2측면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면과 제4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커버(6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610)는 '커버 캔'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10)는 하우징(62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610)는 베이스(67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610)는 카메라 모듈(6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61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61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61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61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610)는 제2기판(69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61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61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61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610)는 상판(611)과, 측판(61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10)는 홀을 포함하는 상판(611)과, 상판(611)의 외주(outer periphery) 또는 에지(edge)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61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10)의 측판(612)의 하단은 베이스(67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610)의 측판(612)의 내면은 베이스(67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610)의 측판(612)은 복수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판은 제1 내지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10)의 측판(612)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제2측판, 및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하우징(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20)은 보빈(6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620)은 보빈(6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620)은 커버(6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620)은 커버(610)와 보빈(6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620)은 커버(61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2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20)은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20)에는 마그네트(63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620)과 마그네트(630)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20)의 상부에는 상부 탄성부재(661)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20)의 하부에는 하부 탄성부재(662)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20)은 탄성부재(660)와 열융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마그네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코일(650)과 커버(610)의 측판(6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하우징(620)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보빈(640)과 하우징(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보빈(640)과 커버(610)의 측판(6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코일(650)과 커버(610)의 측판(6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코일(650)과 대향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코일(65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하우징(620)의 코너부 사이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630)는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갖는 평판 마그네트일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4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630)는 제1마그네트(631)와, 제1마그네트(631)보다 폭이 작은 제2마그네트(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632)는 제2마그네트(32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632)는 제2마그네트(322)와의 자기력 간섭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632)는 제2마그네트(322)의 일측부에만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보빈(6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640)은 커버(6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640)은 렌즈(68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640)은 하우징(6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640)은 하우징(620)의 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640)은 하우징(6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빈(640)은 하우징(62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빈(640)에는 렌즈(68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빈(640)과 렌즈(680)는 나사 결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빈(640)에는 코일(65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빈(640)의 상부에는 상부 탄성부재(661)가 결합될 수 있다. 보빈(640)의 하부에는 하부 탄성부재(662)가 결합될 수 있다. 보빈(640)은 탄성부재(660)와 열융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코일(65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650)은 보빈(64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650)은 AF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AF 구동 코일'일 수 있다. 코일(650)은 보빈(64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650)은 보빈(640)과 하우징(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650)은 보빈(640)과 커버(610)의 측판(6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650)은 보빈(640)의 외측면(outer lateral surface) 또는 외주면(outer peripheral surface)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650)은 보빈(640)에 직권선될 수 있다. 또는, 코일(650)은 직권선된 상태로 보빈(640)에 결합될 수 있다. 코일(650)은 마그네트(630)와 대향할 수 있다. 코일(650)은 마그네트(63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코일(650)은 마그네트(63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650)에 전류가 공급되어 코일(650)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면, 코일(650)과 마그네트(63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코일(650)이 마그네트(63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코일(650)은 단일의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코일(650)은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탄성부재(66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보빈(640)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하우징(620)과 보빈(640)을 연결할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하우징(620)과 보빈(640)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보빈(64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보빈(64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AF 구동 시 보빈(64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660)는 'AF 지지부재'일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상부 탄성부재(6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661)는 보빈(640)의 상부와 하우징(6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661)는 하우징(6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외측부와, 보빈(64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측부와, 외측부와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661)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660)는 하부 탄성부재(66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662)는 보빈(640)의 하부와 하우징(6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662)는 하우징(6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측부와, 보빈(640)의 하부에 결합되는 내측부와, 외측부와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662)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베이스(6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70)는 하우징(6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70)는 제2기판(690)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70)는 보빈(64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70)는 적어도 일부에서 보빈(640)과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670)는 커버(610)의 측판(612)과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렌즈(68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68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680)는 이미지 센서(695)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680)는 배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680)는 보빈(640)에 나사 결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렌즈(680)는 보빈(64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제2기판(6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판(690)에는 이미지 센서(69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690)은 센서 기판일 수 있다. 제2기판(690)은 강성의 PCB(Rigid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2기판(690)은 베이스(67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690)은 탄성부재(120)의 돌출부(1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690)은 제3기판(43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기판(690)은 제3기판(43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이미지 센서(6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95)는 렌즈(680)와 필터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이미지가 결상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695)는 제2기판(69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95)는 제2기판(6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695)는 제2기판(69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95)는 렌즈(680)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695)의 광축과 렌즈(680)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95)는 이미지 센서(695)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95)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렌즈(680)를 통과하는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695)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는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렌즈(680)와 이미지 센서(69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베이스(670)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695)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변형례에서, 카메라 모듈(600)은 가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초점 가변렌즈일 수 있다. 가변렌즈는 초점(focus)이 조절되는 렌즈일 수 있다. 초점은 렌즈의 이동 및/또는 렌즈의 형상 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렌즈배럴(68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배럴(686)은 렌즈배럴(686)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변렌즈는 렌즈배럴(686)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가변렌즈는 인쇄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가변렌즈를 인쇄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전라인은 MID(Molded Interconnection Device) 방식을 통해 하우징(620), 베이스(670) 등의 구성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제2기판(690)과 제3기판(43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액체렌즈(687)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렌즈(687)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687)는 렌즈(680)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687)는 렌즈(680)와 얼라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5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제1 내지 제5렌즈(681, 682, 683, 684, 6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체렌즈(687)는 제2렌즈(682)와 제3렌즈(68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초점 거리가 조정되는 액체렌즈(687)는 상부단자를 통해서 동작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부단자는 동일한 각 거리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된 4개의 개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단자를 통해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렌즈영역에 형성된 도전성 액체와 비도전성 액체의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하부단자는 공통단자일 수 있다. 상부단자는 상부전극일 수 있다. 하부단자는 하부전극일 수 있다. 액체렌즈(687)는 고체렌즈와 이격될 수 있다. 액체렌즈(687)와 고체렌즈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에폭시가 도포될 수 있고, 액체렌즈(687)의 액티브 얼라인먼트(active alignment)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액티브 얼라인먼트는 액체렌즈를 작동시키며 액체렌즈(687)를 이미지 센서(695)에 얼라인하는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액티브 얼라인먼트는 액체렌즈를 작동시키며 액체렌즈(687)를 고체렌즈에 얼라인하는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액체렌즈(687),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 SMA(shape memory alloy) 액츄에이터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687)는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687) 및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68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687)는 액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와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멤브레인을 가압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687)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렌즈(687)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폴리머 렌즈는 고분자 물질을 피에조 등의 구동부를 통해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 렌즈는 전자기력에 의해 액정을 제어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VCM 액츄에이터는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을 통해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SMA 액츄에이터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MEMS 액츄에이터는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전압 인가시 발생되는 정전기력을 통해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A)는 2축 보정 모듈 틸트(Module Tilt) 방식에 Z축 회전 모드인 롤(Roll) 보정까지 추가하여 3축 손떨림 보정이 가능한 구조로서 동영상 촬영 시 손 떨림 영향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A)는 스마트폰은 물론 캠코더, 액션 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A)는 렌즈 시프트 방식의 OIS VCM과 유사구조로 조립 공정에서 기존 공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광학기기의 구성도이다.
광학기기(10B)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10B)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10B)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본체(8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850)는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본체(850)는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850)는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광학기기(10B)의 각종 전자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본체(85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751)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850)의 일면과 일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는 카메라(721)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무선 통신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광학기기(10B)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광학기기(10B)와 광학기기(10B)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A/V 입력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72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A)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센싱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40)는 광학기기(10B)의 개폐 상태, 광학기기(10B)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광학기기(10B)의 방위, 광학기기(10B)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광학기기(10B)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광학기기(10B)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기기(10B)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입/출력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이다. 입/출력부(750)는 광학기기(10B)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광학기기(10B)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751)는 카메라(721)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751)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콜(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메모리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에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76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인터페이스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광학기기(10B)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광학기기(10B)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광학기기(10B)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제어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광학기기(10B)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180) 내에 제공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광학기기(10B)는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하우징;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외주면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면과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면과 제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면의 상부와 하부의 극성이 상이한 제1마그네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4측면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면의 양측부의 극성이 상이한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코일과,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2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3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1마그네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2측면에 배치되는 제1-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제1-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1코일과, 상기 제1-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2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1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1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1코일과, 상기 제1-1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1코일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2코일과, 상기 제1-2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2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3코일과, 상기 제1-2마그네트와 대향하고 상기 제1-2코일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4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3측면에 배치되는 제2-1마그네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4측면에 배치되는 제2-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코일은 상기 제2-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3-1코일과, 상기 제2-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3-2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결합되는 홀더;
    일부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상부 탄성부재; 및
    상기 상부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기판의 내면에 결합되는 카메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과 결합되는 연성의 제3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기판은 상기 제2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내측부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단자를 포함하는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며 적어도 일부에서 절곡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와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코일과 상기 커버의 상기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0.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하우징;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광축에 수직한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광축과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3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1.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면과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면과 제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3측면과 상기 제4측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부와 하부의 극성이 상이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는 양측부의 극성이 상이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3개의 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1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1020190035662A 2019-03-28 2019-03-28 카메라 장치 KR20200114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662A KR20200114252A (ko) 2019-03-28 2019-03-28 카메라 장치
CN202080025679.3A CN113678428B (zh) 2019-03-28 2020-03-17 相机模块
EP20776665.0A EP3952274A4 (en) 2019-03-28 2020-03-17 CAMERA DEVICE
PCT/KR2020/003644 WO2020197149A1 (ko) 2019-03-28 2020-03-17 카메라 장치
US17/310,924 US20220137486A1 (en) 2019-03-28 2020-03-17 Camer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662A KR20200114252A (ko) 2019-03-28 2019-03-28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252A true KR20200114252A (ko) 2020-10-07

Family

ID=7260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662A KR20200114252A (ko) 2019-03-28 2019-03-28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37486A1 (ko)
EP (1) EP3952274A4 (ko)
KR (1) KR20200114252A (ko)
CN (1) CN113678428B (ko)
WO (1) WO202019714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5011A (zh) * 2021-02-01 2022-08-02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
KR102620859B1 (ko) * 2022-10-20 2024-01-04 주식회사 나무가 광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WO2024058486A1 (ko) * 2022-09-14 2024-03-21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7365B2 (ja) * 2020-12-25 2022-08-12 ジョウシュウシ レイテック オプ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用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電子機器
CN115734049A (zh) * 2021-08-27 2023-03-03 晋城三赢精密电子有限公司 驱动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装置
US20230069902A1 (en) * 2021-09-07 2023-03-09 Apple Inc. Moveable flex circuit for cameras with moveable image sensors
CN216670463U (zh) * 2021-11-10 2022-06-03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9543A1 (ko) * 2008-05-14 2009-11-19 (주)하이소닉 떨림 보정기능이 구비된 영상 촬영 장치
KR101064131B1 (ko) * 2010-06-29 2011-09-15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KR101085645B1 (ko) * 2010-10-04 2011-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JP5755476B2 (ja) * 2011-03-31 2015-07-2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20150127792A (ko) * 2012-03-30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792328B1 (ko) * 2014-11-28 2017-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473886B2 (en) * 2015-09-08 2019-11-1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34908B1 (ko) * 2016-02-04 2024-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8182203A1 (ko) * 2017-03-30 2018-10-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527720B1 (ko) * 2017-09-12 2023-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5011A (zh) * 2021-02-01 2022-08-02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
WO2024058486A1 (ko) * 2022-09-14 2024-03-21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KR102620859B1 (ko) * 2022-10-20 2024-01-04 주식회사 나무가 광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37486A1 (en) 2022-05-05
WO2020197149A1 (ko) 2020-10-01
EP3952274A4 (en) 2022-12-21
CN113678428B (zh) 2024-03-12
CN113678428A (zh) 2021-11-19
EP3952274A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78428B (zh) 相机模块
US20220191359A1 (en) Camera device
EP4102820A1 (en) Camera device
CN109073852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20210100429A (ko) 프리즘 액츄에이터
US20230171497A1 (en) Camera module
CN116075773A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其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CN115552877A (zh) 相机装置
KR20210073243A (ko) 카메라 레이더 복합장치
EP4152090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US20220360696A1 (en) Camera module
US20220334453A1 (en) Lens module
KR20210036764A (ko) 렌즈 구동 장치
EP4180868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210155190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20008106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10139030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10036763A (ko) 렌즈 구동 장치
KR20210036765A (ko) 카메라 모듈 및 렌즈 구동 장치
KR20210049622A (ko) 렌즈 구동 장치
KR20220017185A (ko)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1003015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20220081755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10136584A (ko) 카메라 장치
KR20220049929A (ko) 렌즈구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