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960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960A
KR20220132960A KR1020210038163A KR20210038163A KR20220132960A KR 20220132960 A KR20220132960 A KR 20220132960A KR 1020210038163 A KR1020210038163 A KR 1020210038163A KR 20210038163 A KR20210038163 A KR 20210038163A KR 20220132960 A KR20220132960 A KR 20220132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driving signal
gain
lens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미
문영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960A/ko
Publication of KR2022013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04N5/2254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 및 상기 렌즈부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1 구동 신호 또는 기울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2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제1 게인을 적용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 데이터에 대응한 상기 렌즈부의 이동량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수신한 기울기 데이터 별 상기 렌즈부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장치이며, 휴대용 디바이스,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카메라 장치 또는 카메라 모듈은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영상 안정화(Image Stabilization, IS) 기능,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 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AF) 기능,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주밍(zooming)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미지센서는 고화소로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져 화소(Pixel)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데, 화소가 작아질수록 동일한 시간 동안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어두운 환경에서 셔터속도가 느려지면서 나타나는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영상 안정화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인 광학식 영상 안정화(OP1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술이 있다.
일반적인 OIS 기술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gyrosensor) 등을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바탕으로 렌즈를 틸팅 또는 이동시키거나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틸팅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OIS를 위하여 틸팅 또는 이동할 경우,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 주변에 틸팅 또는 이동을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확보될 필요가 있다.
한편,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는 렌즈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는 광축에 대하여 수직하는 두 축에 대해 틸팅을 담당하는 엑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초슬림 및 초소형의 카메라 장치의 니즈에 따라 OIS 등를 위한 엑추에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 상의 제약이 크며, 렌즈 또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자체가 OIS를 위하여 틸팅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보장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수광되는 빛의 양을 늘리기 위해 렌즈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렌즈의 사이즈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카메라 모듈의 AF 또는 OIS 시 렌즈의 위치에 따라 억압비가 저하되고 해상도가 낮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렌즈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게인을 적용하여 상이한 스트로크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시 렌즈의 위치에 대응하여 화각 변화에 따라 영상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는 픽셀을 감소시키며, 억압비가 개선되고 센서 이동에 따른 해상도 향상을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화각에서도 흔들림 방지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오토 포커싱(AF, auto focusing) 구동은 물론 렌즈와 이미지 센서가 함께 이동하는 모듈 틸트 방식으로 요잉(yawing), 피칭(pitching), 롤링(rolling)의 3방향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 및 상기 렌즈부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1 구동 신호 또는 기울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2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제1 게인을 적용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 데이터에 대응한 상기 렌즈부의 이동량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수신한 기울기 데이터 별 상기 렌즈부의 이동량에 대응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스트로크에 따라 제1 구동신호에 상이한 제1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인은 상기 렌즈부의 스트로크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인은 상기 렌즈부의 초기위치가 이미지 센서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에 대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상이한 제2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인은 상기 렌즈부의 스트로크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인은 상기 렌즈부의 위치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따라 스트로크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의한 스트로크 범위가 동일할 수 있다.
싱기 제1 게인은 렌즈부와 초기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소 또는 최대인 경우 가장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제는 렌즈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게인을 적용하여 상이한 스트로크로 렌즈를 이동시켜 억압비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시 렌즈의 위치에 대응하여 화각 변화에 따라 영상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는 픽셀을 감소시키며, 억압비가 개선되고 센서 이동에 따른 해상도 향상을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은 화각에서도 흔들림 방지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II'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부의 위치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어부의 AF 구동 시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8 및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따른 OIS 수행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어부의 OIS 구동 시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II'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하우징(H), 홀더(1100), 엑추에이터(1200), 렌즈 모듈(1300), 필터(F), 베이스(1400), 이미지 센서(1500) 및 기판(16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은 카메라 모듈(1000)의 최외측에 배치되어 홀더(1100), 엑추에이터(1200), 렌즈 모듈(1300), 필터(F), 베이스(1400) 및 이미지 센서(1500)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H)은 예컨대, 내부에 홀 또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수용부에는 홀더(1100), 렌즈 모듈(1300)이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H)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각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전자파로부터 하우징(H) 내의 다른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홀더(1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H)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1100)는 수용부 또는 홀을 포함하고, 홀더(1100)의 수용부 또는 홀에는 렌즈 모듈(1300)이 안착할 수 있다.
엑추에이터(1200)는 렌즈 모듈(13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홀더(1100)와 하우징(H)은 고정부이고, 렌즈 모듈(1300)은 이동부일 수 있다. 엑추에이터(1200)는 고정부와 이동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엑추에이터(1200)는 구동력을 이동부에 제공하여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또는 손떨림 보정(OIS)가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로, 엑추에이터(1200)는 후술하는 제어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광축(OX)을 따라 이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카메라 모듈(1000)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엑추에이터(1200)는 후술하는 제어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광축(OX)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부를 이동 또는 틸트할 수 있다. 이에, 카메라 모듈(1000)은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엑추에이터(1200)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추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추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추에이터, 초음파 모터(USM), 스텝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모듈(1300)은 '렌즈 어셈블리'와 혼용되며, 하우징(H), 홀더(1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 모듈(1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1200)와 연결되며, 엑추에이터(1200)의 구동에 의해 광축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모듈(1300)은 복수 개의 렌즈와 복수 개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렌즈 홀더는 내주면에 렌즈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연결 부재를 통해 서로 간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와 베이스(1400) 사이 또는 렌즈 홀더와 하우징(H) 사이에는 탄성 부재(예컨대, 판 스프링, 볼, 스프링, 와이어), 가이드부(슬라이드, 홈), 핀 등 다양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렌즈 홀더와 베이스(1400) (또는 하우징(H)) 간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에 대한 설명은 다른 고정부와 이동부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필터(F)는 렌즈 모듈(13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F)는 베이스(1400)에 안착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F)는 베이스(1400)에 형성된 베이스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F)는 소정의 파장 대역의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F)는 로우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또는 밴드 패스 필터 등일 수 있다.
또한, 필터(F)는 이미지 센서(1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필터(F)는 이미지 센서91600)와 광축(OX)을 따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F)는 베이스(1400)와 결합하고, 필터(F), 베이스(1400) 및 기판(1500)은 이미지 센서(1500)를 둘러쌀 수 있다. 즉, 베이스(1400)는 이미지 센서(1500)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1400)는 하우징(H) 내에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1400)는 하우징(H)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400)는 기판(1600) 상부에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1500)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베이스(1400)는 광축(OX) 상에 위치한 베이스홀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00)의 베이스홀은 상술한 렌즈 모듈(1300)과 광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400)는 베이스홀을 통해 렌즈 어셈블리(300) 및 하우징(H)을 수용할 수 있다. 또는 베이스(1400)는 하우징(H) 또는 홀더(1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500)는 베이스(1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1500)는 기판(1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500)는 광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1500)는 렌즈 모듈(1300)의 렌즈, 필터(F)와 광축(OX)을 따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1500)는 렌즈의 광축(OX)과 정렬(alignment)될 수 있다. 이에, 이미지 센서(1500)는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500)는 기판(1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판(1600)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커넥터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1500)는 기판(1600)에 와이어링 또는 솔더링(soldering)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500)는 카메라 모듈(1000)을 수용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술한 이미지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15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판(1600)은 카메라 모듈(1000)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600)은 필터(F), 렌즈 모듈(1300), 베이스(1400), 이미지 센서(15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1500)는 기판(1600) 상에 안착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60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600)은 전자 장치(예로,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0)은 엑추에이터(1200)에 의해 이동하지 않는 즉, 고정된 구성요소(예로, 하우징(H))와 엑추에이터(1200)에 의해 이동하는 구성요소(예로, 렌즈 모듈(13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예로, 탄성부재, 스프링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0)은 하우징(H)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미도시됨)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미도시됨)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미도시됨)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미도시됨)는 기판(160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미도시됨)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미도시됨)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미도시됨)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부의 위치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어부의 AF 구동 시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8 및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따른 OIS 수행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어부의 OIS 구동 시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AP)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장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부(10), 엑추에이터(20), 제어부(30), 메모리(40), 홀 센서부(50), 이미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렌즈 모듈(1300)에 대응하고, 엑추에이터(20)는 상술한 엑추에이터(1200)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엑추에이터(20)가 VCM 엑추에이터인 경우, 렌즈부(10)가 렌즈 배럴로 구성되어 VCM 엑추에이터가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고, MEMS 엑추에이터인 경우에는 렌즈부(10)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MEMS 엑추에이터와 결합되어 초점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0)는 상술한 이미지 센서(1500)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술한 내용이 각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30)는 상술한 기판(150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렌즈부(10)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20)로 엑추에이터(20)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에 의한 구동 신호에 의해 엑추에이터(20)는 구동력을 생성하고, 구동력에 의해 렌즈부(10)가 광축을 따라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틸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메라 모듈(1000)은 제어부(30)의 구동 신호에 의해 손떨림 방지 또는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오토 포커싱을 위한 구동 신호는 '제1 구동 신호'와 혼용하며,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 신호는 '제2 구동 신호'와 혼용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증폭부(31), 복수 개의 변환부(32 내지 34), 스위칭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31)는 홀 센서부(50)로부터 수신한 위치 데이터 또는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예로, 제1 구동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이 때, 증폭부(31)에서 증폭은 제1 게인 또는 제2 게인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게인 또는 제2 게인은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렌즈부의 위치에 맞춰 오토 포커싱을 보다 빠르게 수행하고, 손떨림 보정을 정확하게 수행하여 억압비를 개선하며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환부(32 내지 34)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변환부(32)는 홀 센서부(50)와 증폭부(31)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의 구동 신호를 디지털 신호의 구동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변환부(32)는 미도시됨 오프셋 신호 발생기로부터 오프셋 신호(디지털)를 아날로그의 오프셋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3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환부(34)는 홀 센서부(50)로 인가된느 바이어스 신호(디지털)를 아날로그의 바이어스 신호로 변환하여 홀 센서부(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아날로그로 변환된 바이어스 신호 또는 아날로그의 오프셋 신호에도 제1 게인 또는 제2 게인에 대응하는 증감이 이루어져 홀 센서부(50) 또는 증폭부(31) 각각에 인가될 수 있다. 이에, 오프셋이 원활이 이루어지고, 홀 센서부(50)의 구동 에러도 줄일 수 있다.
실시예로, 제어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홀 센서부로부터 렌즈부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렌즈부의 초기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초기 위치는 예컨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기 전 렌즈부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렌즈부(10)의 초기 위치에 따라 엑추에이터(20)를 구동하는 제1 구동 신호에 제1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구동 신호는 렌즈부(10)의 초기 위치와 이미지 센서(6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얻은 변화 위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 신호는 렌즈부(10)의 초기 위치와 오토 포커싱을 위하여 렌즈부(10)가 이동해야하는 변화 위치 간의 차이만큼 렌즈부(10)를 이동 또는 스트로크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제1 구동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토 포커싱을 위해 렌즈부(10)의 이동을 위하여 엑추에이터로 송신되는 구동 신호이다. 또는, 제1 구동 신호는 렌즈부의 위치 데이터에 대응한 렌즈부(10)의 이동량(초기 위치에서 변화 위치 간의 차이)이에 대응한다. 이로써, 오토 포커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자이로 센서(ZS) 또는 전자 장치(AP)로부터 수신한 기울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2 구동 신호에 제2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제2 구동 신호는 기울기 데이터 별 렌즈부(10)의 이동량일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0)의 이동량은 손떨림 보정을 위해 수신된 기울기 데이터에 대응하여 엑추에이터를 통해 렌즈부(10)를 이동 또는 틸트하는 해야 하는 렌즈부(10)의 위치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렌즈부(10)의 이동량와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얻은 변화 위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구동 신호가 엑추에이터로 인가되면 제2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렌즈부가 이동 또는 틸트하여 손떨림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상기 렌즈부의 스트로크에 따라 제1 구동신호에 상이한 제1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게인이 렌즈부의 스트로크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렌즈부(10)의 초기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제1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게인은 렌즈부(10)의 초기위치가 이미지 센서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중력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며 렌즈부(10)의 이동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게인은 렌즈부(10)의 초기위치가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깝거나 가장 먼 경우에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게인은 렌즈부와 초기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소 또는 최대인 경우 가장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렌즈부(10)의 이동 범위가 큰 경우에 제1 게인을 증가시켜 제1 구동 신호에 의한 렌즈부(10)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렌즈부에 대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제2 구동 신호에 상이한 제2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게인은 렌즈부(10)의 위치가 이미지 센서(60)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게인은 렌즈부(10)의 스트로크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다.
메모리(40)는 저장소로서 전자 장치(AP) 또는 제어부(30)로부터 수신하며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또는 스트로크와 이동(또는 스트로크) 별 이에 대응하는 제1 구동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40)는 오토 포커싱을 위해 필요한 이동 또는 스트로크 대응하는 제1 구동 신호(디지털 값)를 스트로크의 크기 또는 방향(예로, 상 또는 하) 별로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0)는 전자 장치(AP)의 자이로 센서(ZS) 또는 카메라 모듈 내의 자이로 센서(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각속도 데이터 또는 기울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구동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40)는 손떨림 보정을 위해 필요한 이동 또는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제2 구동 신호(디지털 값)를 스트로크의 크기 또는 방향 별로 각각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자이로 센서(ZS)는 예를 들어 복수의 회전축을 이용하여 움직임 또는 방향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나, 기울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홀 센서부(50)는 카메라 모듈(10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홀 센서부(50)는 렌즈부(1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이동부 또는 고정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홀 센서부(50)는 렌즈부(10) 또는 상술한 베이스나 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홀 센서부(50)는 기판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렌즈부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홀 센서부는 제어부로 렌즈부(10)의 위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홀 센서부(50)로부터 예컨대 렌즈부(10)의 위치 정보인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치 데이터에 대응한 구동 신호(예로, 제1 구동 신호 또는 제2 구동 신호)를 엑추에이터(2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모듈(1300)은 엑추에이터에 의해 광축(OX)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렌즈 모듈(1300)의 저면(1310) 예컨대, 렌즈의 최하면과 이미지 센서(1500)의 상면 간의 광축(OX)을 따른 이격 거리(GR1 내지 GR3)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줌(zoom)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또는 렌즈 모듈)와 이미지 센서 간의 제1 이격 거리(GP1)는 일반(normal)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 간의 제2 이격 거리(GP2)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매크로(macro)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 간의 제3 이격 거리(GP2)는 줌(zoom) 또는 일반(normal)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 간의 이격 거리(제1 이격거리 또는 제2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표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매크로(macro), 일반(normal) 그리고 줌(zoom) 상태로 변할수록, 렌즈부는 광축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렌즈부 및 이미지 센서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한다. 반대로, 줌(zoom), 일반(normal), 매크로(macro) 상태로 변할수록, 렌즈부는 광축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렌즈부 및 이미지 센서 간의 이격 거리가 감소한다.
이는 필터(F)와 렌즈부 간의 이격 거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제어부에 의한 구동 신호(예로, 코일로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여기서, 가로축은 구동 신호를 의미하며, 세로축은 엑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한 렌즈부의 이동 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렌즈부의 초기 위치가 일반(normal) 상태인 경우, 매크로(macro)인 경우, 줌(zoom)인 경우 구동 신호에 따른 렌즈 이동 거리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스탑(Stop)은 렌즈부의 이동 또는 구동 한계지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normal) 상태에서는 렌즈부를 "가"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A"값의 구동 신호가 필요한 반면, 매크로(macro) 상태에서는 렌즈부를 "가" 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A" 보다 낮은 값인 "C"값의 구동 신호가 필요하다 그리고, 줌(zoom) 상태에서는 렌즈부를 "가"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A"보다 높은 값인 "B"값의 구동 신호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제1 구동 신호에 적용되는 제1 게인이 렌즈부의 초기 위치(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렌즈부가 이미지 센서와 상대적으로 큰 이격 거리를 가질수록 제1 게인이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줌(zoom) 상태에서 제1 게인이 가작 작고, 매크로(macro) 상태에서 제1 게인이 가장 클 수 있다. 제어부는 이러한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여 오토 포커스 수행 시 제1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초기 상태가 일반(normal) 상태인 경우에 렌즈부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특정한 크기의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매크로(macro) 상태인 경우 대비 제1 구동 신호에 적용되는 제1 게인이 크다. 또한, 초기 상태가 일반(normal) 또는 매크로(macro) 상태인 경우에 렌즈부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특정한 크기의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줌(zoom) 상태인 경우 대비 제1 구동 신호에 적용되는 제1 게인이 작다. 이에 따라, 초기 위치에 따라 스트로크 범위가 상이하며, 제1 게인을 변화하여 보다 빠른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고 다양한 씬에 적합한 오포 토커싱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는 렌즈부의 초기 위치(각 상태에 대응)에 따라 제1 구동 신호에 상이한 제1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초기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제1 게인을 적용하며, 렌즈부의 스트로크에 따라 제1 구동신호에 상이한 제1 게인을 적용되어 정확도 또는 해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게인은 렌즈부의 스트로크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 신호에 대한 스트로크의 증가량에 대응하는 기울기 또는 경사각도가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기울기는 게인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줌(zoom) 상태에서의 기울기(θ1)는 일반(normal) 상태에서의 기울기(θ2)보다 작고, 일반(normal) 상태에서의 기울기(θ2)는 매크로(macro) 상태에서의 기울기(θ3)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제어부는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한 제1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이동 방향이 상부(중력 방향)인 경우 하부인 경우 대비 제1 게인을 크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따라 렌즈부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상부 방향 대비 낮은 제1 게인(엑추에이터로 제공되는 제1 구동 신호)으로도 렌즈부를 원하는 스트로크로 구동 또는 이동가능하다.
또한, 제어부는 이동 방향이 상부 또는 하부라 하더라도 정도 또는 각도에 따라 구동 신호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구동 신호 또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및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은 매크로(macro) 또는 광각(wide angle) 상태이고, 도 9는 줌(zoom) 또는 망원(telephoto) 상태로 설명한다.
매크로 또는 광각 상태에서 렌즈부(10)와 이미지 센서(60)에 의한 초점 거리(L)는 줌 또는 망원 상태에서 렌즈부(10)와 이미지 센서(60)에 의한 초점 거리(L')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매크로 또는 광각 상태에서 렌즈부(10)와 이미지 센서(60)에 의한 화각(θ)은 줌 또는 망원 상태에서 렌즈부(10)와 이미지 센서(60)에 의한 화각(θ')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매크로 또는 광각 상태에서 렌즈부(10)가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떨리는 경우, 이미지 센서(60)에 맺힌 상은 이미지 센서(60)의 전체 크기 또는 면적에 대해 제1 흔들림 영역(SR1)을 가질 수 있다.
줌 또는 망원 상태에서 렌즈부(10)가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떨리는 경우, 이미지 센서(60)에 맺힌 상은 이미지 센서(60)의 전체 크기 또는 면적에 대해 제2 흔들림 영역(SR2)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손떨림이 동일한 경우(예컨대, 소정의 흔들림 각도로 떨리는 경우) 제1 흔들림 영역(SR1)은 제2 흔들림 영역(SR)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화각이 감소할수록 손떨림에 의한 흔들림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의 위치 데이터에 따라 제2 구동 신호에 상이한 제2 게인을 적용하여, 화각이 감소하더라도 개선된 억압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씬(scene)에 대한 해상력이 개선된 카메라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억압비는 하기의 식 1을 만족한다.
[식 1]
억압비(Suppression Ratio)=-20(onpixels/offpixels)
여기서, onpixels은 손떨림 보정(OIS) 작동시 pixel 흔들림 개수이고, offpixels는 손떨림 보정(OIS) 미작동시 pixel 흔들림 개수이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엑추에이터는 흔들림 각도에 대응하도록 이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흔들림 각도는 상술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카메라 모듈 또는 이동부가 이동한 각도 또는 거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흔들림 각도는 카메라 모듈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위치 센서(예로, 자이로센서)로부터 제공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에 의한 제2 게인이 적용된 제2 구동 신호(예로, 코일로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여기서, 가로축은 구동 신호를 의미하며, 세로축은 엑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한 렌즈부의 이동 거리 또는 틸트량를 의미한다. 그리고 렌즈부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렌즈부의 위치가 일반(normal) 상태인 경우, 매크로(macro)인 경우, 줌(zoom)인 경우 제2 구동 신호에 따른 렌즈 스트로크(예로, 틸트양)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normal) 상태에서는 렌즈부를 "나"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D" 값의 구동 신호가 필요한 반면, 매크로(macro) 상태에서는 렌즈부를 "나" 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D" 보다 낮은 값인 "F" 값의 구동 신호가 필요하다 그리고, 줌(zoom) 상태에서는 렌즈부를 "나" 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D"보다 높은 값인 "E" 값의 구동 신호가 필요하다.
즉, 렌즈부를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 또는 스트로크하기 위해서 제1 구동 신호에 인가되는 제2 게인이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줌(zoom) 상태에서 제2 게인이 가작 작고, 매크로(macro) 상태에서 제2 게인이 가장 클 수 있다. 제어부는 이러한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여 오토 포커스 수행 시 제2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렌즈부의 위치가 일반(normal) 상태인 경우에 렌즈부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특정한 크기의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매크로(macro) 상태인 경우 대비 제2 구동 신호에 적용되는 제2 게인이 작다. 또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렌즈부의 위치가 일반(normal) 또는 매크로(macro) 상태인 경우에 렌즈부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특정한 크기의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줌(zoom) 상태인 경우 대비 제1 구동 신호에 적용되는 제2 게인이 크다. 이로써, 이미지 센서와 렌즈부 간의 이격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2 게인을 증가하여 흔들림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손떨림 보정을 위해 렌즈부의 이동 스트로크 범위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와 렌즈부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제2 게인을 조절하여 억압비를 개선하며 정밀하게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구동 신호에 대한 스트로크의 증가량에 대응하는 기울기 또는 경사각도가 렌즈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게인은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 간의 이격 거리가 감소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신호에 대한 스트로크의 증가량에 대응하는 기울기 또는 경사각도가 렌즈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기울기는 게인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줌(zoom) 상태에서의 기울기(θ4)는 일반(normal) 상태에서의 기울기(θ2)보다 작고, 일반(normal) 상태에서의 기울기(θ5)는 매크로(macro) 상태에서의 기울기(θ6)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렌즈부의 손떨림 보정의 경우에 렌즈부의 위치가(상술한 각 상태(일반, 매크로, 줌)에 대응)에 따라 제2 구동 신호에 상이한 제2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렌즈부의 위치에 따른 화각을 고려하여 렌즈부의 스트로크를 조정하도록 제2 구동신호에 상이한 제2 게인을 적용할 수 있다. 따러서 카메라 모듈은 억압비를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게인은 렌즈부의 스트로크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로크가 증가할수록 구동 신호와 스트로크 간의 기울기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도 1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통신장치,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본체(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는 카메라 모듈(1000)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1)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2)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의 일면에 디스플레이(2) 및 카메라 모듈(1000)이 배치되고 본체(1)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모듈(100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는 본체(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는 카메라 모듈(10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본체(1)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적어도 일부가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듀얼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본체(1)의 일면과 본체(1)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동부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동부를 이동 시키기 위해 힘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 및
    상기 렌즈부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1 구동 신호 또는 기울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2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제1 게인을 적용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 데이터에 대응한 상기 렌즈부의 이동량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수신한 기울기 데이터 별 상기 렌즈부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스트로크에 따라 제1 구동신호에 상이한 제1 게인을 적용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인은 상기 렌즈부의 스트로크가 클수록 증가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인은 상기 렌즈부의 초기위치가 이미지 센서에 인접할수록 증가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에 대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상이한 제2 게인을 적용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인은 상기 렌즈부의 스트로크가 클수록 증가하는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인은 상기 렌즈부의 위치가 이미지 센서에 인접할수록 증가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초기 위치에 따라 스트로크 범위가 상이한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2 구동 신호에 의한 스트로크 범위가 동일한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싱기 제1 게인은 렌즈부와 초기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소 또는 최대인 경우 가장 큰 카메라 모듈.
KR1020210038163A 2021-03-24 2021-03-24 카메라 모듈 KR20220132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63A KR20220132960A (ko) 2021-03-24 2021-03-2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63A KR20220132960A (ko) 2021-03-24 2021-03-2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960A true KR20220132960A (ko) 2022-10-04

Family

ID=8360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63A KR20220132960A (ko) 2021-03-24 2021-03-2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9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9296B (zh) 驅動液體鏡頭的音圈馬達及具有音圈馬達的鏡頭元件
CN106911879B (zh) 成像装置模块及其操作方法、以及包括该模块的终端设备
US11982934B2 (en) Camera module
KR101792441B1 (ko) 카메라 모듈
CN113448045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装置
KR102620533B1 (ko) 카메라 모듈
CN113572918B (zh) 潜望式连续光变模组及相应的多摄模组
KR20210014875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27400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161227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CN214381107U (zh) 相机模组及移动终端
US20230072601A1 (en) Prism actuator
US20230341654A1 (en) Optical system
KR102327730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012011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기술 기기
KR20200142876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11269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32960A (ko) 카메라 모듈
KR20090086755A (ko)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장치
KR20230011048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00139484A (ko) 카메라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20947A (ko) 카메라 모듈
EP4141533A1 (en) Camera module
US20230161225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20230254561A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