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876A -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876A
KR20200142876A KR1020190070299A KR20190070299A KR20200142876A KR 20200142876 A KR20200142876 A KR 20200142876A KR 1020190070299 A KR1020190070299 A KR 1020190070299A KR 20190070299 A KR20190070299 A KR 20190070299A KR 20200142876 A KR20200142876 A KR 20200142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ssembly
driving unit
disposed
driving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석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876A/ko
Priority to US17/617,858 priority patent/US20220244485A1/en
Priority to CN202080043400.4A priority patent/CN113994247B/zh
Priority to PCT/KR2020/007137 priority patent/WO2020251203A1/ko
Publication of KR2020014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1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1 길이보다 길거나 같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2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2 길이보다 짧다.

Description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ASSEMBLY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기, 노트북, 드론 및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영상 흔들림 방지(image stabilization, IS)기술을 채용하여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흔들림 방지(IS) 기술에는 광학적 영상 흔들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기술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흔들림 방지기술 등이 있다.
OIS기술은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이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흔들림 방지기술은 기계적인 방식과 전자적인 방식으로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인데, OIS기술이 더 많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 기능을 위해 줌 액츄에이터(actuator)를 이용하는데, 액츄에이터의 기구적 움직임에 의해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찰 토크에 의해 구동력의 감소, 소비전력의 증가 또는 제어특성 저하 등의 기술적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서 복수의 줌 렌즈군(zoom lens group)을 이용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과 복수의 렌즈군들과 이미지 센서와의 얼라인이 잘 맞아야 하는데, 렌즈군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 기능을 위해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찰이 발생되는 영역에서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 줌 이동 또는 줌 운동의 반전 시에 렌즈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가 심화되는 기술적 문제 모순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미지센서는 고화소로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져 화소(Pixel)의 크기가 작아지는데, 화소가 작아지면 동일한 시간에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어두운 환경에서는 셔터속도가 느려지면서 나타나는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이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어두운 야간이나 동영상에서 고화소 카메라를 이용하여 변형 없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OIS 기능은 최근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한편, OIS 기술은 카메라의 렌즈나 이미지센서를 움직여 광로(Optical path)를 수정함으로써 화질을 보정하는 방식인데, 특히 OIS 기술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렌즈나 이미지 센서가 움직여야 할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예를 들어, OIS 보정 방식은 렌즈 이동 방식과 모듈 틸팅(Tilting) 방식이 있다. 렌즈 이동 방식은 이미지센서의 중심과 광축을 재정렬하기 위해 카메라모듈 내에 있는 렌즈만 이동시킨다. 반면, 모듈 틸팅 방식은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한 전체 모듈을 움직이는 방식이다.
특히, 모듈 틸팅 방식은 렌즈 이동 방식에 비해 보정범위가 더 넓으며 렌즈와 이미지센서 사이의 초점거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렌즈 이동 방식의 경우 렌즈의 위치와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위치 인식 센서, 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를 사용한다. 반면, 모듈 틸팅 방식에서는 모듈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포토 리플렉터(Photo reflector)를 사용한다. 그러나, 두 방식 모두 카메라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사용한다.
OIS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렌즈 또는 모듈이 이동해야 할 위치를 예측하는데 자이로 센서가 인식한 데이터를 이용한다.
최근 기술추세에 따라 초슬림,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요구되는데,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서는 OIS 구동을 위한 공간제약이 있게 되어 일반적인 대형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OIS 기능이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OIS 구동 적용시 초슬림,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OIS 기술에서는 제한된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 내에서, 고체 렌즈 어셈블리의 측면에 OIS 구동부가 배치됨에 따라 OIS 대상이 되는 렌즈의 사이즈 제한이 있어 광량 확보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서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렌즈이동이나 모듈의 틸팅을 통해 OIS 구현시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이 잘 맞아야 하는데, 종래 OIS 기술에서는 렌즈군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 OIS 기술에서는 OIS 구동과 동시에 AF 또는 Zoom 구현이 가능한데, 카메라 모듈의 공간상의 제약과 기존 OIS 기술의 구동부 위치로 인해 OIS용 마그넷과 AF 또는 Zoom용 마그넷이 근접하게 배치되어 자계 간섭을 일으켜 OIS 구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OIS 기술은 렌즈이동이나 모듈의 틸팅을 위해 기계적 구동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항목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present disclosure)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을 통한 각 렌즈군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 토크를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을 통한 각 렌즈군 이동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렌즈 틸트(tilt) 등 렌즈의 중심과 이미지 센서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초슬림 및 초소형의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OIS 구현시 광학계의 렌즈 어셈블리에서의 렌즈의 사이즈 제한을 해소하여 충분한 광량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OIS 구현시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낼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OIS 구현 시 AF 또는 Zoom용 마그네트와의 자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소비 전력으로 OIS 구현이 가능한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1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1 길이보다 길거나 같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2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2 길이보다 짧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일면과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이 서로 다른 극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제1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요크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제2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적어도 2개의 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인식 센서는 상기 제1 구동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인식 센서는 상기 제1 구동부의 측면과 중심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인식 센서는 복수의 위치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인식 센서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의 양 끝단 범위 내에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렌즈군을 포함하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코일의 길이는 상기 렌즈군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는 코일 또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코일일 경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마그네트이고,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마그네트일 경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코일이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코일의 제1 길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제1 길이보다 길거나 같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코일의 제2 길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제2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1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1 길이보다 길거나 같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2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2 길이보다 짧다.
본 실시예를 통해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을 통한 각 렌즈군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 토크를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을 통한 각 렌즈군 이동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렌즈 틸트(tilt) 등 렌즈의 중심과 이미지 센서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통해 초슬림 및 초소형의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통해 OIS 구현시 광학계의 렌즈 어셈블리에서의 렌즈의 사이즈 제한을 해소하여 충분한 광량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통해 OIS 구현시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낼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통해 OIS 구현 시 AF 또는 Zoom용 마그네트와의 자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통해 저소비 전력으로 OIS 구현이 가능한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이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이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동작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 구동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위치 인식 센서의 인식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에 결합된 각 렌즈군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이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이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와, 제1 구동부(130, 150)와, 기판(200)과,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 렌즈 어셈블리(400)와, 제2 구동부(370, 470)와, 스토퍼(500)와, 커버 어셈블리(600)와, 센서 어셈블리(7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제외하지 않는다.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카메라 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내부가 노출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100)에는 기판(200)과,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 렌즈 어셈블리(400)와, 스토퍼(500)와, 커버 어셈블리(600)와, 센서 어셈블리(7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100)에는 제1 렌즈군(11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100)에는 제1 구동부(130, 15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100)에는 가이드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100)에는 위치 인식 센서(140, 16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하우징'으로 호칭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 렌즈군(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군(110)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군(110)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렌즈군(110)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후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렌즈군(110)은 제2 렌즈군(3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군(11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 구동부(13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는 제2 구동부(370, 47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는 코일 또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가 마그네트인 경우 제1 구동부(130, 150)는 코일일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가 코일일 경우 제1 구동부(130, 150)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는 제2 구동부(370, 4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 렌즈 어셈블리(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의 광축 방향의 제1 길이는 제2 구동부(370, 4780)의 광축 방향의 제1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의 제2 길이는 제2 구동부(370, 470)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제2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제1 구동부(130, 150)는 제2 구동부(370, 47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제1 구동부(130, 150)는 제2 구동부(370, 470)의 중심 영역과 오버랩될 수 있다. 광축 방향에 있어서, 제1 구동부(130, 150)의 양 끝단 범위 내, 예를 들어, 제1 길이의 범위 내에서 제2 구동부(370, 470)가 이동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는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렌즈군(110, 320, 420) 중 하나의 광축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130, 150)의 광축 방향 제1 길이는 제1 내지 제3 렌즈군(110, 320, 420) 중 하나의 광축 방향 제1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는 제1-1 구동부(150)와, 제1-2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구동부(150)와 제1-2 구동부(1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1 구동부(13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2 구동부(15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 중 제1-1 구동부(130) 배치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구동부(15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구동부(150)는 코일일 수 있다. 제1-1 구동부(150)는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 요크(151)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1 구동부(150)의 전자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1 구동부(150)는 제2-1 구동부(37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1 구동부(150)는 제2-1 구동부(3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및/또는 제3 렌즈 어셈블리(300, 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1 구동부(150)는 제2-1 구동부(3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300, 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2 구동부(13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구동부(130)는 코일일 수 있다. 제1-2 구동부(130)는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요크(131)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2 구동부(130)의 전자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2 구동부(130)는 제2-2 구동부(47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2 구동부(130)는 제2-2 구동부(4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및/또는 제3 렌즈 어셈블리(300, 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2 구동부(130)는 제2-2 구동부(4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대해 제3 렌즈 어셈블리(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메라 모듈(10)은 가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광축 방향으로 연장 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고정부(105, 106)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제1 바디(310)의 제1 측면(312)의 제1-2 측면홈(3124)과, 제1-3 측면홈(3126)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제1 가이드부(122)와, 제2 가이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와, 제2 가이드부(124)는 각각 광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와, 제2 가이드부(12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제1 고정부(105)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제1-2 측면홈(3124)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제1-2 측면홈(3124)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제2 가이드부(124)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4)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4)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제2 고정부(106)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4)는 제1-3 측면홈(3126)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4)는 제1-3 측면홈(3126)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4)는 제1 가이드부(12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부(122, 124)는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rod)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및 제2 가이드부(122, 124)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위치 인식 센서(140,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제2 구동부(370, 470)와 대향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제1 구동부(130, 15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하는 제2 구동부(370, 47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제1 구동부(130, 15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제1 구동부(130, 150)의 측면과 중심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제1 구동부(130, 150)의 측면과 중심 사이의 영역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복수의 위치 인식 센서(140,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140, 160)는 제1 위치 인식 센서(160)와, 제2 위치 인식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인식 센서(16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인식 센서(160)는 제2-1 구동부(37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위치 인식 센서(160)는 제1-1 구동부(15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인식 센서(160)는 제1-1 구동부(15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인식 센서(160)는 제1-1 위치 인식 센서(162)와, 제1-2 위치 인식 센서(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위치 인식 센서(162)와 제1-2 위치 인식 센서(164)는 광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1 위치 인식 센서(162)와 제1-2 위치 인식 센서(164)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제1-1 구동부(150)와 평행할 수 있다. 제1-1 위치 인식 센서(162)는 제1-1 구동부(150)의 일측면과 중심 영역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위치 인식 센서(162)는 제1-1 구동부(150)의 일측면과 중심 영역 사이의 영역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2 위치 인식 센서(164)는 제1-1 구동부(150)의 타측면과 중심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위치 인식 센서(164)는 제1-1 구동부(150)의 타측면과 중심 영역 사이의 영역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위치 인식 센서(14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 중 제1 위치 인식 센서(160)가 배치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인식 센서(140)는 제2-2 구동부(47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위치 인식 센서(140)는 제1-2 구동부(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인식 센서(140)는 제1-2 구동부(13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인식 센서(140)는 제2-1 위치 인식 센서(142)와 제2-2 위치 인식 센서(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위치 인식 센서(142)와 제2-2 위치 인식 센서(144)는 광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1 위치 인식 센서(142)와 제2-2 위치 인식 센서(144)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제1-2 구동부(130)와 평행할 수 있다. 제2-1 위치 인식 센서(142)는 제1-2 구동부(130)의 일측면과 중심 영역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위치 인식 센서(142)는 제1-2 구동부(130)의 일측면과 중심 영역 사이의 영역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2 위치 인식 센서(144)는 제1-2 구동부(130)의 타측면과 중심 영역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 위치 인식 센서(144)는 제1-2 구동부(130)의 타측면과 중심 영역 사이의 영역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구동부(370, 470)는 제1 구동부(130, 150)의 광축 방향인 제1 길이 내에서 이동 하고, 제2 구동부(370, 470) 하나당 2개의 위치 인식 센서(142, 144, 162, 164)를 통해 위치를 감지하므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0)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200)은 하우징 어셈블리(100)를 감쌀 수 있다. 기판(200)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에 전원 또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기판(200)은 연성 기판(Flexible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0)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2 렌즈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안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는 제1 렌즈군(11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는 제3 렌즈 어셈블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는 제1-1 구동부(150)와 제2-1 구동부(3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는 제3 렌즈 어셈블리(400)와 함께 제1 렌즈군(110)과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10)의 주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는 가이드부(120)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는 제2-1 요크(360)와, 제2-1 구동부(3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는 제3 렌즈 어셈블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는 스토퍼(5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300)는 제1 바디(310)와, 제2 렌즈군(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군(320)는 제1 바디(3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군(320)은 제1 렌즈군(110)과 제3 렌즈군(42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제2 렌즈군(32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1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310)에는 제2 바디(4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310)의 중앙 영역에는 제2 렌즈군(3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310)는 제1 측면(312)과, 제1 돌출부(322, 324)와, 제2 돌출부(332, 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312)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과 대향할 수 있다. 제1 측면(312)은 제1-1 구동부(150)와 제1 위치 인식 센서(16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측면(312)은 제1-1 측면홈(3122)과, 제1-2 측면홈(3124)과, 제1-3 측면홈(3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측면홈(3122)은 제1-2 측면홈(3124)과, 제1-3 측면홈(3126)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측면홈(3122)에는 제2-1 요크(360)와, 제2-1 구동부(3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2 측면홈(3122)에는 제1 가이드 돌기(3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3122a)는 제2-1 요크(360)의 제1 요크홈(36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1 측면홈(3122)에 대한 제2-1 요크(36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2 측면홈(3124)과 제1-3 측면홈(3126)에는 가이드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2 측면홈(3124)에는 제1 가이드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3 측면홈(3126)에는 제2 가이드부(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2 측면홈(3124)의 내측면과 제1-3 측면홈(3126)의 내측면 중 하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20)와의 접촉점의 개수를 달리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22, 324)와, 제2 돌출부(332, 334)는 광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22, 324)는 제2 돌출부(332, 334)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22, 324)의 광축 방향 길이는 제2 돌출부(332, 334)의 광축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22, 324)와 제2 돌출부(332, 334) 사이에는 제3 렌즈 어셈블리(400)의 제2 바디(4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22, 324)는 제1-1 돌출부(322)와, 제1-2 돌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돌출부(322)와, 제1-2 돌출부(324)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1 돌출부(322)는 제1-1 돌출홈(3322)을 포함하고, 제1-2 돌출부(324)는 제1-2 돌출홈(3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돌출홈(3322)과, 제1-2 돌출홈(3242)에는 가이드볼(48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1 돌출홈(3322)에는 제1 가이드볼(482)이 배치되고, 제1-2 돌출홈(3242)에는 제2 가이드볼(48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1 돌출홈(3322)의 내측면과 제1-2 돌출홈(3242)의 내측면 중 하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대한 제3 렌즈 어셈블리(400)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22, 324)는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3224, 324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돌출부(322)의 단부에는 제1 결합홈(3224)이 형성되고, 제1-2 돌출부(324)의 단부에는 제2 결합홈(32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3224)과 제2 결합홈(3244)은 제1 바디(3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홈(316)과 함께 스토퍼(500)의 결합 돌기(520, 53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결합홈(316)에는 제1 결합 돌기(520)가 스냅 핏(snap-fit) 결합되고, 제1 결합홈(3224)에는 제2-1 결합 돌기(532)가 스냅 핏 결합되고, 제2 결합홈(3244)에는 제2-2 결합 돌기(534)가 스냅 핏 결합되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스토퍼(5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3 렌즈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제1 렌즈군(110)과,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 함께 제1-1 구동부(150)와 제2-1 구동부(3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제1 렌즈군(110)과의 광축 방향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제1-2 구동부(130)와 제2-2 구동부(4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의 광축 방향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10)의 주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가이드볼(480)을 통해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에는 제2-2 요크(460)와, 제2-2 구동부(4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 어셈블리(400)는 제2 바디(410)와, 제3 렌즈군(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군(420)은 제2 바디(4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군(420)은 제1 렌즈군(110)과, 제2 렌즈군(32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 렌즈군(42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41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410)는 제1 바디(3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410)는 제1 바디(310)의 제1 돌출부(322, 324)와, 제2 돌출부(332, 3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410)의 중앙 영역에는 제3 렌즈군(4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410)는 제2 측면(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412)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측면(412)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 중 제1 측면(312)과 대향하는 면과 대향하는 면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측면(412)은 제1-2 구동부(130)와 제2 위치 인식 센서(14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측면(412)은 제2-1 측면홈(4122)과, 제2-2 측면홈(4124)과, 제2-3 측면홈(4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측면홈(4122)은 제2-2 측면홈(4124)과, 제2-3 측면홈(4126)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측면홈(4122)에는 제2-2 요크(460)와, 제2-2 구동부(4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1 측면홈(4122)에는 제2 가이드 돌기(4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4122a)는 제2-2 요크(460)의 제2 요크홈(46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1 측면홈(4122)에 대한 제2-2 요크(46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2 측면홈(4124)은 제1-1 돌출홈(332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3 측면홈(4126)은 제1-2 돌출홈(334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2 측면홈(4124)과 제2-3 측면홈(4126)에는 가이드볼(48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2 측면홈(4124)에는 제1 가이드볼(48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3 측면홈(4126)에는 제2 가이드볼(48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2 측면홈(2124)의 내측면과 제2-3 측면홈(4126)의 내측면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볼(480)과의 2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2 측면홈(2124)의 내측면과 제2-3 측면홈(4126)의 내측면 중 하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가이드볼(48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볼(480)은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대한 제3 렌즈 어셈블리(400)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볼(480)은 제1 가이드볼(482)과 제2 가이드볼(4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볼(482)은 제2-2 측면홈(4124)과 제1-1 돌출홈(3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볼(482)은 광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볼(484)은 제2-3 측면홈(4126)과 제1-2 돌출홈(33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볼(484)은 광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볼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2 구동부(370, 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는 렌즈 어셈블리(300, 4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는 렌즈 어셈블리(300, 400)의 제1 측면(312)과, 제2 측면(4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는 제1 구동부(130, 15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는 코일 또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가 마그네트일 경우 제2 구동부(370, 470)는 코일일 수 있다. 제1 구동부(130, 150)가 코일일 경우 제2 구동부(370, 470)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는 제1 구동부(130, 15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 렌즈 어셈블리(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의 광축 방향 제1 길이는 제1 구동부(130, 150)의 광축 방향 제1 길이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제2 길이는 제1 구동부(130, 150)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제2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제2 구동부(370, 470)의 중심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구동부(130, 1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제2 구동부(370, 470)의 중심 영역은 제1 구동부(130, 150)와 오버랩될 수 있다. 광축 방향에 있어서, 제2 구동부(370, 470)는 제1 구동부(130, 150)의 양 끝단 범위 내, 예를 들어, 제1 길이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는 위치 인식 센서(140, 160)와 대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 렌즈 어셈블리(400)의 위치가 인식될 수 있다.
제2 구동부(370, 470)는 제2-1 구동부(370)과, 제2-2 구동부(470)를 포함할 수 잇다. 제2-1 구동부(370)와 제2-2 구동부(47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배치되고, 제2-2 구동부(470)는 제3 렌즈 어셈블리(4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제1 측면(3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는 제1-1 측면홈(31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와 제1-1 측면홈(3122) 사이에는 제2-1 요크(3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의 적어도 2개의 면은 제2-1 요크(36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누설되는 전자기력을 줄일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는 제1-1 구동부(15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는 제1-1 구동부(15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및/또는 제3 렌즈 어셈블리(300, 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1 구동부(370)는 제1-1 구동부(15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300, 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1 구동부(370)는 제1 위치 인식 센서(16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는 제1-1 위치 인식 센서(162)와, 제1-2 위치 인식 센서(164)와 대향할 수 있다. 제2-1 구동부(370)의 일면은 제1 극성(372)으로 자화되고, 타면은 제2 극성(374)으로 자화될 수 잇다. 이 때, 제1 극성(472)은 제1 위치 인식 센서(160)와 대향되고, 제2 극성(374)은 제2-1 요크(360)에 접촉될 수 있다.
제2-2 구동부(470)는 제3 렌즈 어셈블리(400)의 제2 측면(4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구동부(470)는 제2-1 측면홈(41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구동부(470)와 제2-1 측면홈(4122) 사이에는 제2-2 요크(4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2 구동부(470)의 적어도 2개의 면은 제2-2 요크(47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누설되는 전자기력을 줄일 수 있다. 제2-2 구동부(470)는 제1-2 구동부(13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2 구동부(470)는 제1-2 구동부(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및/또는 제3 렌즈 어셈블리(300, 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2 구동부(470)는 제1-2 구동부(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대해 제3 렌즈 어셈블리(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2 구동부(470)는 제2 위치 인식 센서(14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2 구동부(470)는 제2-1 위치 인식 센서(142)와, 제2-2 위치 인식 센서(144)와 대향할 수 있다. 제2-2 구동부(470)의 일면은 제1 극성(472)으로 자화되고, 타면은 제2 극성(474)으로 자화될 수 잇다. 이 때, 제1 극성(472)은 제2 위치 인식 센서(140)와 대향되고, 제2 극성(474)은 제2-2 요크(460)에 접촉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스토퍼(stopper)(5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5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5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50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토퍼(50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에 대해 이동하는 제3 렌즈 어셈블리(4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500)는 개구(510)와, 제1 결합 돌기(520)와, 제2 결합 돌기(5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510)는 스토퍼(50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510)는 제1 내지 제3 렌즈군(110, 320, 42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개구(510)에는 투광성 재질의 투광부(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돌기(520)는 스토퍼(500)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52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제3 결합홈(316)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돌기(520)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제3 결합홈(316)에 스냅-핏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530)는 스토퍼(500)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530)는 제2-1 결합 돌기(532)와 제2-2 결합 돌기(5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결합 돌기(532)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제1 결합홈(322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결합 돌기(532)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제1 결합홈(3224)에 스냅-핏 결합될 수 있다. 제2-2 결합 돌기(534)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제2 결합홈(324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2 결합 돌기(534)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의 제2 결합홈(3244)에 스냅-핏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커버 어셈블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6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600)와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에는 제2 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 렌즈 어셈블리(400)와 스토퍼(5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600)는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600)의 개구는 제1 내지 제3 렌즈군(110, 320, 420)과, 스토퍼(500)의 개구(5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600)의 개구에는 투광성 재질의 투광부(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센서 어셈블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700)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700)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700)의 이미지 센서는 제1 내지 제3 렌즈군(110, 320, 420)을 지나는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동작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렌즈군(110)에 대해 제2 렌즈 어셈블리(300) 및 제3 렌즈 어셈블리(400)가 이동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군(110)에 대해 제2 렌즈군(320) 및 제3 렌즈군(420)의 광축 방향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10)의 주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 구동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위치 인식 센서의 인식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1 구동부(150)와 제2-1 구동부(37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1-2 구동부(37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위치 인식 센서(160)를 통한 제1 위치 인식 센서(160)의 인식도를 알 수 있다. 즉, 제1-1 위치 인식 센서(162)와 제1-2 위치 인식 센서(164)인 2개의 위치 인식 센서(162, 164)를 통해 안정적인 제2-1 구동부(37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인식 센서(162)의 일부 영역과 제1-2 위치 인식 센서(163)의 일부 영역 사이의 길이(d)는 제2-1 구동부(370)의 광축 방향 제1 방향 길이와 같거나 길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1 구동부(370)의 위치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카메라 모듈 100: 하우징 어셈블리
200: 기판 300: 제2 렌즈 어셈블리
400: 제3 렌즈 어셈블리 500: 스토퍼
600: 커버 어셈블리 700: 센서 어셈블리

Claims (13)

  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1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1 길이보다 길거나 같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2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2 길이보다 짧은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일면과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이 서로 다른 극성인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제1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요크의 둘레에 감기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제2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적어도 2개의 면과 접촉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의 중심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인식 센서는 상기 제1 구동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센서는 상기 제1 구동부의 측면과 중심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센서는 복수의 위치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인식 센서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10. 하우징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의 양 끝단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렌즈군을 포함하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코일의 길이는 상기 렌즈군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12.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는 코일 또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코일일 경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마그네트이고,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마그네트일 경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코일이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코일의 제1 길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제1 길이보다 길거나 같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코일의 제2 길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제2 길이보다 짧은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13.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와 대향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1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1 길이보다 길거나 같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동부의 제2 길이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제2 길이보다 짧은 카메라 모듈.
KR1020190070299A 2019-06-13 2019-06-13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142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99A KR20200142876A (ko) 2019-06-13 2019-06-13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7/617,858 US20220244485A1 (en) 2019-06-13 2020-06-02 Lens assembly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202080043400.4A CN113994247B (zh) 2019-06-13 2020-06-02 镜头组件驱动设备和包括该镜头组件驱动设备的相机模块
PCT/KR2020/007137 WO2020251203A1 (ko) 2019-06-13 2020-06-02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99A KR20200142876A (ko) 2019-06-13 2019-06-13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876A true KR20200142876A (ko) 2020-12-23

Family

ID=7408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299A KR20200142876A (ko) 2019-06-13 2019-06-13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8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2328B2 (en) 2021-07-06 2023-10-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including sound reducing member
WO2024035166A1 (ko) * 2022-08-11 2024-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2328B2 (en) 2021-07-06 2023-10-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including sound reducing member
WO2024035166A1 (ko) * 2022-08-11 2024-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6891B2 (en) Optical driving mechanism
KR102029532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72591B1 (ko) 카메라 모듈
KR2016012129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805621B (zh) 相机致动器和包括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US20220128885A1 (en) A lens assembly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94329B1 (ko) 카메라 모듈
EP3883232A1 (en) Camera module
KR101586242B1 (ko) 자동초점 장치와 손떨림 보정장치가 분리된 카메라 모듈
KR20210014875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20244485A1 (en) Lens assembly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20200142876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11269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3050340B (zh) 相机模块
US20220276462A1 (en) Camera module
KR20200041067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341654A1 (en) Optical system
KR20220106014A (ko) 반사계 액추에이터
KR20220051650A (ko) 카메라 장치
KR20210014874A (ko)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 기기
KR20210057415A (ko)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 기기
KR102537561B1 (ko) 프리즘을 포함하는 영상 흔들림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40027877A1 (en) Camera module and moving device
KR2022010975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