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757A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9757A KR20220109757A KR1020210013161A KR20210013161A KR20220109757A KR 20220109757 A KR20220109757 A KR 20220109757A KR 1020210013161 A KR1020210013161 A KR 1020210013161A KR 20210013161 A KR20210013161 A KR 20210013161A KR 20220109757 A KR20220109757 A KR 202201097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disposed
- housing
- lens assembly
- driv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 H04N5/2252—
-
- H04N5/2254—
-
- H04N5/23287—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측면에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높이가 상이한 경사면이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기, 노트북, 드론 및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영상 흔들림 방지(image stabilization, IS)기술을 채용하여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흔들림 방지(IS) 기술에는 광학적 영상 흔들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기술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흔들림 방지기술 등이 있다.
OIS기술은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이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흔들림 방지기술은 기계적인 방식과 전자적인 방식으로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인데, OIS기술이 더 많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 기능을 위해 줌 액츄에이터(actuator)를 이용하는데, 액츄에이터의 기구적 움직임에 의해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찰 토크에 의해 구동력의 감소, 소비전력의 증가 또는 제어특성 저하 등의 기술적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서 복수의 줌 렌즈군(zoom lens group)을 이용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과 복수의 렌즈군들과 이미지 센서와의 얼라인이 잘 맞아야 하는데, 렌즈군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 기능을 위해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찰이 발생되는 영역에서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 줌 이동 또는 줌 운동의 반전 시에 렌즈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가 심화되는 기술적 문제 모순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미지센서는 고화소로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져 화소(Pixel)의 크기가 작아지는데, 화소가 작아지면 동일한 시간에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어두운 환경에서는 셔터속도가 느려지면서 나타나는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이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어두운 야간이나 동영상에서 고화소 카메라를 이용하여 변형 없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OIS 기능은 최근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한편, OIS 기술은 카메라의 렌즈나 이미지센서를 움직여 광로(Optical path)를 수정함으로써 화질을 보정하는 방식인데, 특히 OIS 기술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렌즈나 이미지 센서가 움직여야 할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예를 들어, OIS 보정 방식은 렌즈 이동 방식과 모듈 틸팅(Tilting) 방식이 있다. 렌즈 이동 방식은 이미지센서의 중심과 광축을 재정렬하기 위해 카메라모듈 내에 있는 렌즈만 이동시킨다. 반면, 모듈 틸팅 방식은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한 전체 모듈을 움직이는 방식이다.
특히, 모듈 틸팅 방식은 렌즈 이동 방식에 비해 보정범위가 더 넓으며 렌즈와 이미지센서 사이의 초점거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렌즈 이동 방식의 경우 렌즈의 위치와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위치 인식 센서, 예를 들어 센서(Hall sensor)를 사용한다. 반면, 모듈 틸팅 방식에서는 모듈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포토 리플렉터(Photo reflector)를 사용한다. 그러나, 두 방식 모두 카메라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사용한다.
OIS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렌즈 또는 모듈이 이동해야 할 위치를 예측하는데 자이로 센서가 인식한 데이터를 이용한다.
최근 기술추세에 따라 초슬림,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요구되는데,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서는 OIS 구동을 위한 공간제약이 있게 되어 일반적인 대형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OIS 기능이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OIS 구동 적용시 초슬림,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OIS 기술에서는 제한된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 내에서, 고체 렌즈 어셈블리의 측면에 OIS 구동부가 배치됨에 따라 OIS 대상이 되는 렌즈의 사이즈 제한이 있어 광량 확보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서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렌즈이동이나 모듈의 틸팅을 통해 OIS 구현시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이 잘 맞아야 하는데, 종래 OIS 기술에서는 렌즈군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 OIS 기술에서는 OIS 구동과 동시에 AF 또는 Zoom 구현이 가능한데, 카메라 모듈의 공간상의 제약과 기존 OIS 기술의 구동부 위치로 인해 OIS용 마그넷과 AF 또는 Zoom용 마그넷이 근접하게 배치되어 자계 간섭을 일으켜 OIS 구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OIS 기술은 렌즈이동이나 모듈의 틸팅을 위해 기계적 구동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항목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present disclosure)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신속하고 정확한 성능 검사를 통해,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낼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측면에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높이가 상이한 경사면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경사면을 통해 렌즈의 광학적 성능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사용 과정에서도 모듈 내 구성들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분해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제2렌즈 어셈블리와 제3렌즈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단면도.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내 경사면 형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분해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제2렌즈 어셈블리와 제3렌즈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단면도.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내 경사면 형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된 각 렌즈군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분해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100), 제1렌즈 어셈블리(200), 제2렌즈 어셈블리(300), 제3렌즈 어셈블리(400), 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100), 제1렌즈 어셈블리(200), 제2렌즈 어셈블리(300), 제3렌즈 어셈블리(400) 및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가 노출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전면과 후면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 내에는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200),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300) 및 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 내에는 전술한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되거나,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제1렌즈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의 후면에는 상기 리브(110)가 결합되는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110)와 상기 홈(23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와 상기 하우징(1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는 제2렌즈 어셈블리(3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는 제1 렌즈군(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210)은 디컷(D-cut)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렌즈군(210)을 수용하는 제1렌즈 배럴(2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배럴(212)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렌즈군(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배럴(212)의 후면에는 후술할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1충격 흡수부(2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충격 흡수부(214)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의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1충격 흡수부(214)는 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제1 렌즈군(210)을 중심으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의 후면에는 타 영역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220)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2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상에 고정되는 고정 렌즈일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제2렌즈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 및 제3렌즈 어셈블리(400)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와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는 제1구동부(380)와 제2구동부(55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는 제1가이드부(350)에 의해 광축 방향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는 제2렌즈군(310)이 배치되는 제2렌즈 배럴(312)과,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측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내측에는 상기 제2렌즈군(31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후면에는 후술할 제3렌즈 어셈블리(400)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2충격 흡수부(3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충격 흡수부(314)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와의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2충격 흡수부(314)는 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제2렌즈군(310)을 중심으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의 내면에는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은 상기 제1측면(330)의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은 상기 제2렌즈 배럴(312)과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의 외면에는 제1구동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구동부(38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의 외면 중 상기 제1구동부(380)의 배치 영역의 외측에는 제1볼(39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볼(390)은 후술할 제1가이드부(350)의 내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가 상기 제1가이드부(35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볼(39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볼(390)은 4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측면(330)의 전단과 인접한 영역에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1측면(330)의 후단과 인접한 영역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제1볼(390)은 상기 제1측면(330)의 외면 각 코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의 광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광축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의 광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2렌즈 배럴(312) 및 후술할 제3렌즈 배럴(412)의 광축 방향 길이의 합보다 클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제3렌즈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는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는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 및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는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는 제3구동부(480)와 제4구동부(57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는 제2가이드부(450)에 의해 광축 방향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는 제3렌즈군(410)이 배치되는 제3렌즈 배럴(412)과,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측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내측에는 상기 제3렌즈군(41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군(4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의 내면에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은 상기 제2측면(430)의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은 상기 제3렌즈 배럴(412)과 함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의 외면에는 상기 제3구동부(4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구동부(48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의 외면 중 상기 제2구동부(480)의 배치 영역의 외측에는 제2볼(49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볼(490)은 후술할 제2가이드부(450)의 내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가 상기 제2가이드부(45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볼(49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볼(490)은 4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측면(430)의 전단과 인접한 영역에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430)의 후단과 인접한 영역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제2볼(490)은 상기 제2측면(430)의 외면 각 코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의 광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광축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의 광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2렌즈 배럴(312) 및 제3렌즈 배럴(412)의 광축 방향 길이의 합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제4렌즈(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40)는 상기 제1렌즈(210), 제2렌즈(310) 및 제3렌즈(410)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40)는 상기 제1렌즈(210)와 마찬가지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310) 및 제3렌즈(410)의 광축 방향 이동에 의해 주밍(zooming)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렌즈(310) 및 제3렌즈(410)의 광축 방향 이동에 의해 오토 포커싱(AF)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310) 및 제3렌즈(410)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이동으로 주밍 기능이 구현되고, 다른 하나의 렌즈의 이동으로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100) 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 및 제3렌즈 어셈블리(400)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50)는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50)는 상기 제2 및 제3렌즈 어셈블리(300, 4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50)는 제1측면(3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50)의 전면은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350)의 후면은 상기 하우징(100) 내 공간(102)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가이드부(350)의 전단에는 타 영역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브(110)가 관통하는 홀(353)이 형성된 결합부(35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리브(110)가 상기 홀(353)을 관통하여 상기 홈(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50)의 후면에는 타 영역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리브(3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55)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리브(355)가 결합되는 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부(350)는 상기 하우징(100) 내 공간(10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50)는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제1개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370)를 통해 상기 제1구동부(380)와 상기 제2구동부(550)가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50)의 내면에는 제1홈(364, 36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볼(390)은 상기 제1홈(364, 368)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쉬프트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홈(364, 368)은 가이드 라인(362, 366)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가이드부(350)는 제1가이드 라인(362)과, 제2가이드 라인(3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라인(362)과 상기 제2가이드 라인(366)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사이에 상기 제1개구부(3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라인(362)과 상기 제2가이드 라인(366)은 광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과 마주하는 상기 제1가이드 라인(362)의 내면에는 상기 제1볼(390)이 이동되는 제1-1홈(3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330)과 마주하는 상기 제2가이드 라인(366)의 내면에는 상기 제1볼(390)이 이동되는 제1-2홈(36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홈(364, 368)은 상기 제1볼(39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홈(364, 368) 중 하나는 상기 제1볼(390) 중 일부와 1점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1홈(364, 368)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볼(390) 중 다른 일부와 2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1홈(364)은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볼(390)과 1점에서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1-2홈(368)은 단면이 “V”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볼(390)과 2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볼(390)이 상기 제1측면(330)의 외면 각 코너 영역에 4개가 배치되므로, 상기 제1가이드 라인(362)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2개의 제1볼(390)은 상기 제1-1홈(364)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2가이드 라인(366)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2개의 제1볼(390)은 상기 제1-2홈(368)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부(350)는 상기 제1가이드 라인(362)과 상기 제2가이드 라인(366)을 연결하는 연결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72)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72)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개구부(37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제2가이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450)는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450)는 상기 제2 및 제3렌즈 어셈블리(300, 4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450)는 제2측면(4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450)의 전면은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200)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450)의 후면은 상기 하우징(100) 내 공간(102)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가이드부(450)의 전단에는 타 영역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브(110)가 관통하는 홀(453)이 형성된 결합부(45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리브(110)가 상기 홀(453)을 관통하여 상기 홈(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450)의 후면에는 타 영역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리브(4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455)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리브(455)가 결합되는 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부(450)는 상기 하우징(100) 내 공간(10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450)는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제2개구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부(470)를 통해 상기 제3구동부(480)와 상기 제4구동부(570)가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450)의 내면에는 제2홈(464, 46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볼(490)은 상기 제2홈(464, 468)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쉬프트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홈(464, 468)은 가이드 라인(462, 466)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가이드부(450)는 제3가이드 라인(462)과, 제4가이드 라인(4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 라인(462)과 상기 제4가이드 라인(466)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사이에 상기 제2개구부(4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 라인(462)과 상기 제4가이드 라인(466)은 광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0)과 마주하는 상기 제3가이드 라인(462)의 내면에는 상기 제2볼(490)이 이동되는 제2-1홈(4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330)과 마주하는 상기 제4가이드 라인(466)의 내면에는 상기 제2볼(490)이 이동되는 제2-2홈(46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홈(464, 468)은 상기 제2볼(49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홈(464, 468) 중 하나는 상기 제2볼(490) 중 일부와 1점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2홈(464, 468)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볼(390) 중 다른 일부와 2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1홈(464)은 단면이 “V”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볼(490)과 2점에서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2홈(468)은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볼(490)과 1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볼(490)이 상기 제2측면(430)의 외면 각 코너 영역에 4개가 배치되므로, 상기 제3가이드 라인(462)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2개의 제1볼(490)은 상기 제2-1홈(464)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4가이드 라인(466)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2개의 제2볼(490)은 상기 제2-2홈(468)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이드부(450)는 상기 제3가이드 라인(462)과 상기 제4가이드 라인(466)을 연결하는 연결부(4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72)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72)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개구부(47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제1구동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80)는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80)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80)는 상기 제2구동부(550)와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80)는 상기 제2구동부(55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80)는 전방이 제1극성으로 착자되고, 후방이 제2극성으로 착자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8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면(330)과 상기 제1구동부(380) 사이에는 요크(미도시)가 개재되어, 상기 제1구동부(380)의 자기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제3구동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480)는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480)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480)는 상기 제4구동부(570)와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480)는 상기 제4구동부(57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480)는 전방이 제1극성으로 착자되고, 후방이 제2극성으로 착자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48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측면(430)과 상기 제3구동부(480) 사이에는 요크(미도시)가 개지되어, 상기 제3구동부(480)의 자기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제2구동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550)는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550)는 제1개구부(37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55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550)는 후술할 기판(5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550)는 상기 기판(500)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550)는 단면이 “ㅁ”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제4구동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570)는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570)는 제2개구부(47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57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570)는 후술할 기판(5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570)는 상기 기판(500)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570)는 단면이 “ㅁ”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요크(32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크(320, 420)는 상기 제2구동부(550)와 상기 제4구동부(57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320, 420)는 후술할 기판(5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요크(320, 420)는 상기 제2구동부(550)와, 상기 제4구동부(570)의 전기장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요크(320, 420)는 제1요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320)는 상기 기판(5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320)는 상기 제2구동부(55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요크(320)와 상기 제2구동부(5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3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요크(320, 420)는 제2요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요크(420)는 상기 기판(5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요크(420)는 상기 제4구동부(57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요크(420)와 상기 제4구동부(5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요크(420)는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상기 요크(320, 420)가 결합되도록 리브(12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요크(320, 420)에는 상기 리브(124)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은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에는 상기 제2구동부(550)와 상기 제4구동부(5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에는 센서(555, 57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은 상기 제2구동부(550), 상기 제4구동부(570) 및 센서(555, 5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기판(5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은, 제1기판(510), 제2기판(520) 및 연결기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510)은 상기 제1측면(3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510)은 상기 제1측면(33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510)의 내면에는 상기 제2구동부(550)가 배치되고, 외면에는 상기 제1요크(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520)은 상기 제2측면(4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520)은 상기 제2측면(43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520)의 내면에는 상기 제4구동부(570)가 배치되고, 외면에는 상기 제2요크(4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520)은 상기 제1기판(51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530)은 상기 제1기판(510)과 상기 제2기판(520)을 연결하며, 상기 제1기판(510) 및 상기 제2기판(520)과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530)은 상기 제1기판(510) 또는 상기 제2기판(52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센서(555, 5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555, 575)는 상기 제1기판(510)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센서(555)와, 상기 제2기판(520)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센서(5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555, 575)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555, 575)로부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555)는 상기 제2구동부(5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555)는 상기 제1구동부(380)와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구동부(380)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575)는 상기 제4구동부(57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575)는 상기 제3구동부(480)와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구동부(480)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555, 575)가 상기 제1구동부(380) 또는 상기 제3구동부(480)의 자계를 통해,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400)에는 각각 상기 제1센서(555) 또는 상기 제2센서(575)에 의해 자계가 감지되는 별도의 센서 마그네트(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렌즈 어셈블리(400)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경사면을 통해 제2렌즈(310)와 제3렌즈(410)의 광학적 성능을 측정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제2렌즈 어셈블리와 제3렌즈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렌즈 어셈블리(400)는 각각 돌기(313, 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313, 413)는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돌기(313)와,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돌기(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제2렌즈 배럴(312)과 상기 제3렌즈 배럴(41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10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구(105)를 통해 상기 돌기(313, 413)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313, 413)는 성능 검사를 위해, 상기 개구(105)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보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돌기(313, 413)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돌기(313, 413)는 경사면(314, 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14, 414)은 외부로 돌출된 상기 돌기(313, 413)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돌기(313, 413)는 일측단(313a 413a)의 측면과 타측단(313b, 413b)의 측면을 통해 측면이 정의되며, 상기 일측단(313a 413a)과 상기 타측단(313b, 413b) 사이에 상기 경사면(314, 414)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면(314, 414)은 상기 일측단(313a, 413a)으로부터 타측단(313b, 413b)으로 갈수록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측면 또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길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측면 또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으로부터 정의되는 상기 일측단(313a 413a)과 상기 타측단(313b, 413b)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상기 일측단(313a, 413a)이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측면 또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일측단(313a, 413a)은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측면 또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외부에 배치되는 발광부를 통해 조사된 광이 상기 경사면(314, 414)을 통해 반사되고, 반사된 광은 수광부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렌즈군(310) 또는 상기 제3렌즈군(410)의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와 같은 광학적 성능이 측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313, 413)의 외면 일부는 상기 경사면(314, 414)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에는 평면(315, 415) 또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경사면(314, 414)은 상기 돌기(313, 413)의 외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경사면(314, 414)은 상기 돌기(313, 413)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314, 414)은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성능 측정이 종료되면 상기 하우징(100) 내 공간은 타 영역으로부터 밀폐되어야 하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개구(105)를 커버하는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20)는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기(313)와 상기 제2돌기(413)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측면,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에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1돌기(313) 간 광축 방향 이격 거리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돌기(413) 간 광축 방향 이격 거리는 0.2mm 내지 3mm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제1돌기(313) 사이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돌기(413) 사이의 광축 방향 이격 거리는 0.7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돌기를 통해 렌즈의 광학적 성능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사용 과정에서도 모듈 내 구성들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돌기(313)와, 상기 제2돌기(413)의 형상이 동일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돌기(313)와 상기 제2돌기(413)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돌기(313) 상에 배치되는 경사면(314)의 각도와, 상기 제2돌기(413) 상에 배치되는 경사면(414)의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돌기(313) 내 배치되는 제1경사면(314)은 상기 제1돌기(313)의 일 측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돌기(413) 내 배치되는 제2경사면(414)은 상기 제2돌기(413)의 타 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돌기(313)의 일 측단과 상기 제2돌기(413)의 타 측단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영역일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제1돌기(313) 간 형상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돌기(413) 간 형상 또한 상술한 구조들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내 경사면 형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제2렌즈 어셈블리(300)와 제3렌즈 어셈블리(400)는 홈(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변형예서는 상기 홈(700)의 바닥면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홈(700)의 바닥면에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2렌즈 배럴(312) 또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7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면(720)를 통해 광이 반사되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광학적 성능이 테스트될 수 있다.
상기 홈(70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측면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의 홈(700) 간 이격 거리는 0.2mm 내지 3mm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홈(700) 간 이격 거리는 0.7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720)은 상기 홈(700)의 바닥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700)의 바닥면 일부는 상기 경사면(720)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평면(710) 또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렌즈 배럴(312)의 측면 또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의 측면과 상기 평면(710)을 연결하는 상기 홈(700)의 내주면(730)은 상기 평면(710)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면(720) 또한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렌즈 배럴(312)에 배치되는 홈(700)과, 상기 제3렌즈 배럴(412)에 배치되는 홈(700)이 동일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렌즈 배럴(312)에 배치되는 홈(700)과, 상기 제3렌즈 배럴(412)에 배치되는 홈(700)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렌즈 배럴(312)에 배치되는 홈(700)의 경사면의 각도와, 상기 제3렌즈 배럴(412)에 배치되는 홈(700)의 경사면의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렌즈 배럴(312)에 배치되는 홈(700)의 경사면은 상기 홈(700)의 일 측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렌즈 배럴(412)에 배치되는 홈(700)의 경사면은 상기 홈(700)의 타 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700)의 일 측단과 타 측단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영역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렌즈 배럴(312)에 배치되는 복수의 홈 간 형상 또는 상기 제3렌즈 배럴(412)에 배치되는 복수의 홈 간 형상 또한 상술한 구조들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측면에는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돌기의 외면에는 경사면이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렌즈 배럴의 측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상이한 영역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복수로 구비되어 광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 간 광축 방향 이격거리는 0.2mm 내지 3mm인 렌즈 구동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간 광축 방향 이격거리는 0.7mm인 렌즈 구동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외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제2렌즈 배럴과, 상기 제2렌즈 배럴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렌즈 배럴 및 상기 제3렌즈 배럴 각각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렌즈 구동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측면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홈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복수로 구비되어 광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홈 간 광축 방향 이격거리는 0.2mm 내지 3mm인 렌즈 구동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 간 광축 방향 이격거리는 0.7mm인 렌즈 구동 장치.
-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제2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수용하는 제2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제2렌즈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내 제2렌즈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3렌즈와, 상기 제3렌즈를 수용하는 제3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제3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와 마주하는 제2구동부;
상기 제3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제3구동부; 및
상기 제3구동부와 마주하는 제4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 배럴 또는 상기 제3렌즈 배럴의 측면에는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돌기의 외면에는 경사면이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대향하는 제1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제2가이드부와 대향하는 제2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은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카메라 모듈.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에는 제1볼이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볼이 이동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에는 제2볼이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2볼이 이동되는 제2홈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은 상기 제1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161A KR20220109757A (ko) | 2021-01-29 | 2021-01-29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PCT/KR2022/000515 WO2022164083A1 (ko) | 2021-01-29 | 2022-01-12 | 액추에이터 장치 |
US18/265,878 US20240036304A1 (en) | 2021-01-29 | 2022-01-12 | Actuator device |
JP2023537419A JP2024504254A (ja) | 2021-01-29 | 2022-01-12 | アクチュエータ装置 |
EP22746112.6A EP4286936A1 (en) | 2021-01-29 | 2022-01-12 | Actuator device |
TW111102058A TW202242523A (zh) | 2021-01-29 | 2022-01-18 | 致動器裝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161A KR20220109757A (ko) | 2021-01-29 | 2021-01-29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9757A true KR20220109757A (ko) | 2022-08-05 |
Family
ID=8282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161A KR20220109757A (ko) | 2021-01-29 | 2021-01-29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09757A (ko) |
-
2021
- 2021-01-29 KR KR1020210013161A patent/KR2022010975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2591B1 (ko) | 카메라 모듈 | |
CN113875224B (zh) | 摄像装置模块 | |
US11287725B2 (en) | Optical system | |
KR102513041B1 (ko) |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 |
KR20210014875A (ko) |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220133050A (ko) | 액추에이터 장치 | |
US20220276462A1 (en) | Camera module | |
CN113994247B (zh) | 镜头组件驱动设备和包括该镜头组件驱动设备的相机模块 | |
KR20220162547A (ko) | 렌즈 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EP4286936A1 (en) | Actuator device | |
KR20200142876A (ko) |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210011269A (ko) |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20230384649A1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
CN116783547A (zh) | 致动器装置 | |
KR20220109757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20220413356A1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 |
US20220326510A1 (en) | Prism drive device | |
KR20220133045A (ko) | 액추에이터 장치 | |
KR20220133044A (ko) | 액추에이터 장치 | |
TW202307522A (zh) | 透鏡驅動裝置 | |
KR20230001389A (ko) |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 |
KR20220136828A (ko) | 렌즈 구동 장치 | |
KR20230128778A (ko) |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 |
KR20220136827A (ko) | 렌즈 구동 장치 | |
KR20240002426A (ko) |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