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89A -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89A
KR20230001389A KR1020210084184A KR20210084184A KR20230001389A KR 20230001389 A KR20230001389 A KR 20230001389A KR 1020210084184 A KR1020210084184 A KR 1020210084184A KR 20210084184 A KR20210084184 A KR 20210084184A KR 20230001389 A KR20230001389 A KR 2023000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using
disposed
holder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89A/ko
Priority to PCT/KR2022/009247 priority patent/WO2023277540A1/ko
Publication of KR2023000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제1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무버 리지드; 상기 무버 리지드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가 상기 제2마그네트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2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액추에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Actuator device and camera device}
본 실시예는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장치이며, 스마트폰과 같은 광학기기,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최근 카메라 장치에서는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광학식 영상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기능,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 Focus, AF) 기능,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zoom)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반사부재 틸팅을 통해 OIS 기능이 구현되는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외부 충격으로 인한 무버 리지드의 파손이 방지되는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 인한 하우징의 파손이 방지되는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우징에 기판을 조립할 때 본드의 넘침이 방지되는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제1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무버 리지드; 상기 무버 리지드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가 상기 제2마그네트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2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무버 리지드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버 리지드는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의 상기 거리는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마그네트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으로 상기 제2마그네트와 이격되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3방향에 수직인 제4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재의 폭은 상기 제2마그네트의 폭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추가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버 리지드가 상기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버 리지드는 상기 추가 완충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재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마그네트의 위에 배치되는 제1완충부재와, 상기 제2마그네트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무빙 플레이트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2완충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무빙 플레이트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구동 마그네트;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결합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은 4각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제1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무버 리지드; 상기 무버 리지드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버 리지드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버 리지드는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액추에이터 장치; 및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의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형성하는 광경로에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제1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무버 리지드;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무버 리지드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 인한 무버 리지드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신뢰성 테스트 과정에서의 무버 리지드의 부러짐, 깨짐 또는 홀더와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 인한 하우징의 파손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기판을 조립할 때 본드가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저면분해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무빙 플레이트 관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이동부 등의 구성을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기판 등의 구성을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고정부에 이동부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무버 리지드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무버 리지드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기판이 생략된 상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기판이 생략된 상태를 도 19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저면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기판이 투시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투시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홀더와 무버 리지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홀더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무버 리지드, 제1마그네트 및 제2마그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제1마그네트, 제2마그네트 및 구동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제1마그네트, 제2마그네트 및 구동 마그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제1마그네트, 제2마그네트 및 구동 마그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후측면도(b)이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이동부에 무빙 플레이트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과 도 3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x축을 중심으로 한 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y축을 중심으로 한 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37는 도 36에 도시된 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 기판과 코일 등의 구성이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0는 도 39에 도시된 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 제1렌즈와 관련구성이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42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코일과 센서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도 39에 도시된 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 제2하우징이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에 도시된 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 가이드 레일이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5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4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 및 관련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7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제2이동부와 관련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제2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0와 도 5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2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3 내지 도 5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줌 기능과 오토포커스 기능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7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이미지 센서와 필터 및 관련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5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저면분해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무빙 플레이트 관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이동부 등의 구성을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기판 등의 구성을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고정부에 이동부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무버 리지드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무버 리지드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기판이 생략된 상태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기판이 생략된 상태를 도 19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저면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에서 기판이 투시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투시도이고,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홀더와 무버 리지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홀더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무버 리지드, 제1마그네트 및 제2마그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제1마그네트, 제2마그네트 및 구동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제1마그네트, 제2마그네트 및 구동 마그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제1마그네트, 제2마그네트 및 구동 마그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후측면도(b)이고,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이동부에 무빙 플레이트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광학식 영상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반사부재(1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반사부재(1220)를 틸트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반사부재(1220)를 반사부재(1220)를 2축을 중심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반사부재(1220)를 x축과 y축을 중심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x축과 y축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반사부재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OIS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OIS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프리즘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액추에이터 장치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틸팅장치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고정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0)는 이동부(1200)의 이동시 상대적으로 고정된 부분일 수 있다. 고정부(1100)는 이동부(1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부(1100)는 이동부(1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하우징(1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하우징(1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홀더(1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홀더(1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상판과 어느 하나의 측판에 광의 경로 확보를 위한 개구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상판과 하판과 복수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제1부분(1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111)은 하우징(1110)의 측판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1111)에는 무빙 플레이트(13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1111)은 홀더(1210)와 무버 리지드(1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1111)은 무버 리지드(1230)와 무빙 플레이트(1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1111)에는 제2마그네트(1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1111)의 일측에는 무빙 플레이트(1300)가 배치되고 반대편의 타측에는 제2마그네트(112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의 일부는 무빙 플레이트(1300)와 무버 리지드(1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제2부분(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1112)은 홀더(12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분(1112)은 홀더(1210)가 위로 이동하는 경우 홀더(12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부분(1112)은 홀더(1210)와 홀더(1210)의 이동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부분(1112)은 하우징(1110)의 상판일 수 있다.
하우징(1110)은 제3부분(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부분(1113)은 홀더(12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분(1113)은 홀더(1210)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홀더(12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3부분(1113)은 홀더(1210)와 이동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부분(1113)은 하우징(1110)의 하판일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홀(1114)을 포함할 수 있다. 홀(1114)은 무버 리지드 통과홀일 수 있다. 홀(1114)은 하우징(1110)의 측판에 형성될 수 있다. 홀(1114)은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에 형성될 수 있다. 홀(1114)에는 무버 리지드(1230)가 배치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홀(1114)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1114)은 무버 리지드(1230)와 간섭되지 않도록 무버 리지드(1230)의 이동 공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무버 리지드(1230)가 삽입되는 2개의 홀(1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홈(1115)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15)은 무빙 플레이트 제1돌기 수용홈일 수 있다. 홈(1115)에는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가 배치될 수 있다. 홈(1115)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홈(1115)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의 회전을 제외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홈(1115)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은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복수의 제1돌기(1310)가 배치되는 복수의 홈(11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의 복수의 홈(1115)은 복수의 제1돌기(1310) 중 하나의 제1돌기(1310)와 4점 접촉하는 제1홈(1115-1)과, 복수의 제1돌기(1310) 중 다른 하나의 제1돌기(1310)와 2점 접촉하는 제2홈(1115-2)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15)는 제1홈(11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115-1)은 4점 접촉홈일 수 있다. 제1홈(1115-1)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2개의 제1돌기(1310) 중 하나와 4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110)의 제1홈(1115-1)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 중 하나의 돌기의 회전을 제외한 상하좌우 4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홈(1115)은 제2홈(1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1115-2)은 2점 접촉홈일 수 있다. 제2홈(1115-2)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2개의 제1돌기(1310) 중 나머지 하나와 2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110)의 제2홈(1115-2)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 중 나머지 하나의 돌기의 2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1110)의 제2홈(1115-2)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고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구속하지 않을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홈(1116)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완충부재 수용홈일 수 있다. 홈(1116)은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에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10)의 홈(1116)에 배치될 수 있다. 홈(1116)은 완충부재(16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홈(1116)은 완충부재(16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10)의 홈(1116)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홈(1117)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접착제 수용홈일 수 있다. 홈은 본드 탱크일 수 있다. 홈(1117)은 하우징(1110)의 제1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10)의 제1면에는 기판(113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홈(1117)은 하우징(1110)의 기판(1130)이 결합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117)은 하우징(1110)의 양측면과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117)은 4각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1117)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30)과 하우징(1110)이 오버랩되는 부분에 홈(1117)이 형성되어 본드(bond)가 기판(113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홈(1117)은 하우징(1110)의 제1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홈(111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117-1)은 4각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1117)은 하우징(1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홈(111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1117-2)은 4각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1117)은 하우징(1110)의 제1외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외측면에 형성되는 제3홈(11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홈(1117-3)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홈(1117-1)과 제2홈(1117-2)은 4개의 직선 형상의 홈이 4각으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제3홈(1117-3)은 3개의 직선 형상의 홈이 2각을 갖고 드라이버 IC(117) 측은 오픈된 형상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본드일 수 있다. 접착제는 기판(1130)을 하우징(1110)에 결합할 수 있다. 접착제는 기판(1130)을 하우징(1110)에 접착할 수 있다. 접착제는 기판(1130)을 하우징(1110)에 고정할 수 있다.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10)의 홈(1117)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홀(1117a)을 포함할 수 있다. 홀(1117a)에는 제2코일(1422)이 배치될 수 있다. 홀(1117a)은 하우징(1110)의 홈(111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홈(1117)은 홀(1117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홈(1117)은 홀(1117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렌즈 구동 장치(2000)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는 하우징(1110)의 측판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하우징(1110)의 렌즈 구동 장치(2000)를 향하는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하우징(2110)과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하우징(2110)의 제1홈(2111)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하우징(2110)과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는 렌즈 구동 장치(2000)와 결합될 수 있다. 돌기는 하우징(1110)의 측판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하우징(1110)의 렌즈 구동 장치(2000)를 향하는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원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하우징(2110)과 결합될 수 있다. 돌기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하우징(2110)의 제2홈(2112)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하우징(2110)과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돌기(1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18)는 무버 리지드 접촉돌기일 수 있다. 돌기(1118)는 하우징(1110)의 제2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18)는 무버 리지드(1230)와 접촉될 수 있다. 돌기(1118)는 무버 리지드(1230)가 통과하는 하우징(1110)의 홀(1114)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18)는 무버 리지드(1230)의 이동시 무버 리지드(1230)의 하면과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18)는 무버 리지드(1230)가 원위치에서 지나치게 벗어나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1118)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18)는 2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돌기는 하우징(1110)의 홈(1119) 중 아래에 배치되는 제2홈과 같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는 하우징(1110)의 2개의 돌기(1118)와 접촉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홈(1119)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19)에는 돌출부(1231)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홈(1119)에는 돌출부(123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홈(1119)은 하우징(1110)의 외측으로 오픈될 수 있다. 홈(1119)은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보다 클 수 있다. 홈(1119)은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와 이격될 수 있다. 구동부(14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홈(1119)은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와 이격될 수 있다. 구동부(140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는 경우에도 홈(1119)은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와 이격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의 홈(1119)과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는 외부 충격에 의해 접촉 가능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10)의 홈(1119)과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는 무버 리지드(1230)의 정상적인 구동 범위 내에서는 접촉되지 않고 충격에 의해 정상적인 구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접촉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의 홈(1119)과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는 충격 시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홈(1119)은 제1홈부와, 제1홈부로부터 함몰되는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홈(1119)은 2단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1119)은 2중 홈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홈부에는 댐퍼(15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홈부에 의해 댐퍼(1500)와 하우징(111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제2홈부는 댐퍼(1500)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홈(1119)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19)은 무버 리지드(1230)의 제1돌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1홈과, 제2돌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의 하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하우징(1110)의 제1면에 형성되는 제1홈과, 하우징(1110)의 제2면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제2마그네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0)는 제2마그네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고정부(1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2척력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에 대하여 무빙 플레이트(13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와 무빙 플레이트(1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와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와 척력이 발생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와 서로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를 밀어낼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마그네트(1240)와 무빙 플레이트(1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와 무빙 플레이트(1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중심은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과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1400)는 이동부(1200)를 무빙 플레이트(1300)의 서로 수직인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이때, y축의 방향으로, 제2마그네트(1120)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x축과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로축은 x축과 평행할 수 있다.
x축을 지나는 방향으로, 제2마그네트(1120)의 중심은 y축과 편심되지 않을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에서 제1마그네트(1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2마그네트(1120)의 중심은 y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중심부는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부와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중심은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과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무게 중심은 제1마그네트(1240)의 무게 중심과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2마그네트(1120)의 제2면과 마주보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은 제2마그네트(1120)의 제2면과 같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제2마그네트(1120)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제2마그네트(1120)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기판(1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0)는 기판(11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3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130)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기판(1130)은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서스(SUS)(1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0)는 서스(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1140)는 기판(1130)에 배치될 수 있다. 서스(1140)는 기판(113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서스(1140)는 기판(113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자이로 센서(1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0)는 자이로 센서(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150)는 카메라 장치(10)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 기능을 통해 자이로 센서(1150)에서 감지된 흔들림이 상쇄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150)는 기판(113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150)는 기판(113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0)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하우징(1110)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무버 리지드(1230)를 덮을 수 있다. 플레이트는 무버 리지드(1230)를 커버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하우징(1110)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하우징(1110)의 개구된 전방을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플레이트를 하우징(1110)에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드라이버 IC(11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0)는 드라이버 IC(117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1170)는 기판(1130)에 배치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1170)는 제1코일(1412)과 제2코일(14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1170)는 제1코일(1412)과 제2코일(1422)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1170)는 제1코일(1412)과 제2코일(1422)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1170)는 홀센서(1413, 14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1170)는 홀센서(1413, 1423)에서 감지된 반사부재(1220)의 위치를 통해 제1코일(1412)과 제2코일(1422)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이동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무빙부일 수 있다. 이동부(1200)는 가동부일 수 있다. 이동부(1200)는 가동자일 수 있다. 이동부(1200)는 고정부(110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고정부(1100)에 대하여 틸트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고정부(1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1200)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부(1100)와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40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이동부(1200)는 고정부(1100)와 접촉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홀더(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홀더(121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10)는 하우징(1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210)는 하우징(11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홀더(1210)는 하우징(1110)에 대하여 틸트될 수 있다. 홀더(121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10)과 이격될 수 있다. 홀더(1210)는 하우징(1110)과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1210)는 제1구동부(1410)에 의해 하우징(1110)의 제2부분(1112)과 제3부분(1113)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구동부(141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홀더(1210)는 하우징(1110)과 접촉될 수 있다. 초기상태에서, 홀더(1210)는 반사부재(1220)의 입사면과 인접한 하우징(111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구동부(1400)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홀더(1210)는 하우징(1110)의 내면과 이격되며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축을 기준으로 틸트될 수 있다.
홀더(1210)는 홈(121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211)은 무빙 플레이트 제2돌기 수용홈일 수 있다. 홈(1211)에는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가 배치될 수 있다. 홈(1211)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홈(1211)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의 회전을 제외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홈(1211)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은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10)는 복수의 제2돌기(1320)가 배치되는 복수의 홈(1211)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10)의 복수의 홈(1211)은 복수의 제2돌기(1320) 중 하나의 제2돌기(1320)와 4점 접촉하는 제1홈(1211-1)과, 복수의 제2돌기(1320) 중 다른 하나의 제2돌기(1320)와 2점 접촉하는 제2홈(1211-2)을 포함할 수 있다.
홈(1211)은 제1홈(12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211-1)은 4점 접촉홈일 수 있다. 제1홈(1211-1)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2개의 제2돌기(1320) 중 하나와 4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1210)의 제1홈(1211-1)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 중 하나의 돌기의 회전을 제외한 상하좌우 4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홈(1211)은 제2홈(1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1211-2)은 2점 접촉홈일 수 있다. 제2홈(1211-2)은 2점 접촉홈일 수 있다. 제2홈(1211-2)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2개의 제2돌기(1320) 중 나머지 하나와 2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1210)의 제2홈(1211-2)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 중 나머지 하나의 돌기의 2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일례로, 홀더(1210)의 제2홈(1211-2)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고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은 구속하지 않을 수 있다.
홀더(1210)는 제1돌기(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1212)는 상측 스토퍼일 수 있다. 제1돌기(1212)는 홀더(12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1212)는 홀더(1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돌기(1212)는 홀더(121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110)에 접촉될 수 있다. 제1돌기(1212)는 홀더(121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110)의 제2부분(1112)에 접촉될 수 있다.
홀더(1210)는 제2돌기(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기(1213)는 하측 스토퍼일 수 있다. 제2돌기(1213)는 홀더(12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1213)는 홀더(12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돌기(1213)는 홀더(121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110)에 접촉될 수 있다. 제2돌기(1213)는 홀더(121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110)의 제3부분(1113)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상태에서 홀더(1210)의 제1돌기(1212)는 하우징(1110)의 제2부분(1112)과 접촉될 수 있다. 제1구동부(1410)에 전류가 인가되거나 충격에 의해, 홀더(1210)의 제2돌기(1213)는 하우징(1110)의 제3부분(1113)과 접촉하도록 될 수 있다.
홀더(1210)는 접착제 수용홈(1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수용홈(1214)은 반사부재(1220)를 홀더(1210)에 고정하는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다. 접착제 수용홈(1214)은 반사부재(122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수용홈(1214)에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210)는 홈(1215)을 포함할 수 있다. 홈(1215)은 반사부재(122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제공하는 이격홈일 수 있다. 홈(1215)은 반사부재(122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215)에 의해 반사부재(1220)와 홀더(1210)가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홀더(1210)는 홈(1216)을 포함할 수 있다. 홈(1216)은 살빼기 홈일 수 있다. 홈(1216)은 홀더(121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홈(1216)에 의해 홀더(1210)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홀더(1210)는 마그네트 수용홈(1217)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217)에는 구동 마그네트(1411, 1421)가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217)은 구동 마그네트(1411, 14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217)은 홀더(1210)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217)은 홀더(1210)의 하면과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217)은 복수의 마그네트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217)은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요크(1414)를 수용하는 제1마그네트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217)은 제2구동 마그네트(1421)와 요크(1424)를 수용하는 제2마그네트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1411, 1421)는 홀더(121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210)는 홈(1218)을 포함할 수 있다. 홈(1218)은 무버 리지드 수용홈일 수 있다. 홈(1218)에는 무버 리지드(1230)의 결합부(1232)가 배치될 수 있다. 홈(1218)은 무버 리지드(1230)의 결합부(123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1218)은 무버 리지드(1230)의 결합부(1232)를 홀더(1210)에 고정하는 접착제가 수용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10)는 홈(1218)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의 결합부(1232)의 적어도 일부는 홈(1218)에 삽입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무버 리지드(1230)를 홀더(1210)에 고정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1210)의 홈(1218)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버 리지드(1230)와 홀더(121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홀더(1210)는 측방 스토퍼(1219)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스토퍼(1219)는 홀더(12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측방 스토퍼(1219)는 홀더(1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측방 스토퍼(1219)는 홀더(1210)가 측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110)에 접촉될 수 있다. 측방 스토퍼(1219)는 홀더(1210)가 측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110)의 측판에 접촉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반사부재(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반사부재(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홀더(1210)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홀더(1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홀더(1210)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홀더(1210)에 고정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접착제에 의해 홀더(1210)에 고정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홀더(12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220)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1220)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와 출사되는 광의 경로 사이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무버 리지드(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무버 리지드(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홀더(1210)와 결합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홀더(121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하우징(1110)의 홀(1114)을 통과해서 홀더(1210)와 결합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을 사이에 두고 홀더(1210)와 결합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비자성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와 홀더(1210) 사이에는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는 서로 같은 극성이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서로 밀어낼 수 있다. 하우징(1110)에 고정된 제1마그네트(1240)가 제2마그네트(1120)를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척력에 의해 제2마그네트(1120)가 고정된 무버 리지드(1230)도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가 고정된 홀더(1210)도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1210)가 무빙 플레이트(1300)를 하우징(1110)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빙 플레이트(1300)가 홀더(1210)와 하우징(1110) 사이에서 탈거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돌출부(1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31)는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231)는 댐퍼(1500)에 의해 하우징(1110)과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1231)는 무버 리지드(1230)의 중심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231)는 무버 리지드(1230)의 중심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1)는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231)는 무버 리지드(1230)의 이동시 하우징(1110)에 접촉될 수 있다.
돌출부(1231)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는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의 제1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10)의 제1홈에 배치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의 제2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10)의 제2홈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231)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영역과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돌출영역 각각을 돌출부로 호칭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을 기준으로 무빙 플레이트(13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몸체부의 양옆으로 돌출되는 2개의 결합부(1232)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몸체부의 상하로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231)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결합부(12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32)는 레그부일 수 있다. 결합부(1232)는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1232)는 하우징(1110)의 홀(1114)을 통과할 수 있다. 결합부(1232)는 홀더(12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32)는 접착제에 의해 홀더(121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232)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1210)의 홈(1218)에 삽입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제1마그네트(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제1마그네트(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이동부(12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1척력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무버 리지드(12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무버 리지드(1230)의 몸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2마그네트(112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2마그네트(1120)와 척력이 발생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2마그네트(1120)와 서로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2마그네트(1120)를 밀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광축을 기준으로,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축과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광축은 z축일 수 있다. 제1광축은 이미지 센서(3400)의 센서면에 수직인 축일 수 있다. 제1광축은 이미지 센서(34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군들의 광축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의 가로방향 중심축(A)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가로방향 중심축(B)과 세로방향으로 갭(G)을 갖도록 편심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에서 제1마그네트(1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과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축을 지나는 가로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축을 지나는 가로축과 제1광축과 수직인 제2광축의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가로축은 x축일 수 있다. 가로축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광축은 y축일 수 있다. 제2광축은 이미지 센서(3400)의 센서면과 평행한 축일 수 있다. 제2광축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축과 만나거나 접하는 가로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축을 지나는 가로축과 제1광축과 수직인 제2광축의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축을 지나는 세로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축을 지나는 세로축과 가로축의 방향으로 편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가로축은 x축일 수 있다. 가로축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광축은 y축일 수 있다. 제2광축은 이미지 센서(3400)의 센서면과 평행한 축일 수 있다. 제2광축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는 편심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선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선과 세로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을 수 있다.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과 가로 방향으로 편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가로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가로축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마그네트(1240)의 가로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가로축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는 무버 리지드(1230)와 무빙 플레이트(1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크기는 제2마그네트(1120)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2마그네트(1120)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크기는 제2마그네트(11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2마그네트(112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의 면적은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마그네트(1120)의 제2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면과 제2면은 임의로 지칭한 것으로 둘 중 어느 하나를 제1면이라하고 다른 하나를 제2면이라할 수 있으며 둘 모두를 제1면이라 할 수도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의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의 면적은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은 제1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은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변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변은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변의 55% 내지 75%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변은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변의 60% 내지 66%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변은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변의 62% 내지 64%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높이(H1)는 제2마그네트(1120)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폭(W1)은 제2마그네트(1120)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의 면적은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의 면적의 30% 내지 50%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의 면적은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의 면적의 35%~45%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의 면적은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의 면적의 38%~42%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는 같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부피는 제1마그네트(1240)의 부피의 30% 내지 50%일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에서 제1마그네트(1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 때, 제2마그네트(1120)의 엣지 영역은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엣지 영역은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엣지 영역은 모서리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1마그네트(1240)가 제2마그네트(1120)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제2마그네트(1120)의 모든 영역이 제1마그네트(1240)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1마그네트(1240)가 제2마그네트(1120)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제2마그네트(1120)의 모든 영역이 제1마그네트(1240)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마그네트(1240)의 크기는 제2마그네트(112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의 중심축은 일치할 수 있다. 다만, 실제 제품에서는 +-1% 내지 +-2%의 허용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마그네트(1240)의 중심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중심축과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의 면적은 제2마그네트(1120)의 제2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40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이동부(1200)는 고정부(11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에서 제1마그네트(1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 때, 제1마그네트(1240)의 모서리는 제2마그네트(1120)을 둘러쌀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에서 제1마그네트(1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 때, 제2마그네트(1120)는 제1마그네트(1240)의 모서리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2마그네트(1120)를 바라보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은 제1변과, 제1변보다 짧은 제2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변은 1mm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2변은 0.8mm 내지 4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두께는 0.1mm 내지 0.5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구동부(1410)에 의해 형성되는 힘(Fx)은 7mN 내일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1420)에 의해 형성되는 힘(Fy)은 7mN 내일 수 있다. 또는, 제1구동부(1410)에 의해 형성되는 힘(Fx)은 3mN 내일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1420)에 의해 형성되는 힘(Fy)은 3mN 내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과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 각각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적어도 일부에서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적어도 일부에서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마그네트(124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가장자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가장자리가 C컷 또는 R컷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가장자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가장자리가 C컷 또는 R컷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무빙 플레이트(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사이 플레이트일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하우징(1110)과 홀더(1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무버 리지드(1230)와 홀더(1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제1마그네트(1240)와 홀더(1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고정부(1100)와 이동부(1200) 사이에 배치도리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과 홀더(1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하우징(1110)에 대한 홀더(12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홀더(1210)의 틸트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홀더(1210)는 무빙 플레이트(1300)를 중심으로 틸트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일측이 홀더(1210)에 배치되고 타측이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홀더(1210)와 하우징(1110)에 접촉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하우징(1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홀더(1210)와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면은 제1축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돌기(13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면은 제2축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돌기(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볼록부를 포함하고, 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볼록부는 제1돌기(1310)일 수 있다. 제2볼록부는 제2돌기(1320)일 수 있다. x축은 복수개의 제1볼록부 중 2개의 볼록부를 연결한 직선과 대응될 수 있다. x축은 복수개의 제1볼록부 중 2개의 볼록부를 연결한 직선과 일치하거나 평행할 수 있다. y축은 복수개의 제2볼록부 중 2개의 볼록부를 연결하는 직선과 대응될 수 있다. y축은 복수개의 제2볼록부 중 2개의 볼록부를 연결하는 직선과 일치하거나 평행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볼록부는 제2돌기(1320)이고 제2볼록부는 제1돌기(1310)일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제1돌기(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1310)는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돌기(1310)는 하우징(111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돌기(1310)는 하우징(1110)의 홈(1115)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돌기(1310)는 홀더(1210)에 대해 제1축 틸트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돌기(1310)는 홀더(1210)에 대해 x축 틸트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돌기(1310)는 2개의 제1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1돌기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2개의 제1돌기는 x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210)는 제1구동부(1410)에 의해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를 중심으로 틸트될 수 있다. 홀더(1210)는 제1구동부(1410)에 의해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축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와 하우징(1110)의 홈(111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을 홀더(1210) 측이 아닌 하우징(1110) 측에 배치하여, 제1축을 중심으로한 틸트의 회전중심이 더 멀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축 틸트 이동량을 감지하기 위한 홀 값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x축 틸트 구동에 대한 기구적 스트로크가 확보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00)는 제2돌기(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기(1320)는 홀더(1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기(1320)는 홀더(12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돌기(1320)는 홀더(1210)의 홈(12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기(1320)는 홀더(1210)에 대해 제1축에 수직인 제2축 틸트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제2돌기(1320)는 홀더(1210)에 대해 y축 틸트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제2돌기(1320)는 2개의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2돌기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2개의 제2돌기는 y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210)는 제2구동부(1420)에 의해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를 중심으로 틸트될 수 있다. 홀더(1210)는 제2구동부(1420)에 의해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변형례로,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가 홀더(1210)에 y축 틸트 중심을 제공하고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가 x축 틸트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구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리스는 무빙 플레이트(1300)와 하우징(1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리스는 댐퍼(1500)와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리스는 댐퍼(1500)와 이격될 수 있다. 구리스는 댐퍼(1500)와 구분될 수 있다. 구리스는 댐퍼(1500)와 상이한 형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구리스는 댐퍼(1500)와 상이한 위치에 도포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구동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이동부(1200)를 고정부(110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이동부(1200)를 고정부(1100)에 대하여 틸트시킬 수 있다. 구동부(1400)는 홀더(1210)를 틸트시킬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이동부(1200)를 무빙 플레이트(1300)의 서로 수직인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코일과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부(1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변형례로, 구동부(1400)는 형상기억합금(SMA, shape memory alloy)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제1구동부(1410)와 제2구동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410)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제1코일(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1420)와 제2구동 마그네트(1421)와 제2코일(1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제1코일(1412)은 홀더(1210)를 제1축을 중심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와 제2코일(1422)은 홀더(1210)를 제1축에 수직인 제2축을 중심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제2구동 마그네트(1421) 중 어느 하나를 제3마그네트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4마그네트라 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네트(1411, 1421)는 홀더(121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1412, 1422)은 기판(113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1412, 14220은 구동 마그네트(1411, 142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제1구동부(1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410)는 이동부(1200)를 고정부(1100)에 대하여 제1축을 중심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1410)는 홀더(1210)를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축을 기준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1410)는 이동부(1200)를 고정부(1100)에 대하여 x축을 중심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1410)는 코일과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41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부(1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변형례로, 제1구동부(1410)는 형상기억합금(SMA, shape memory alloy)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410)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와 하우징(111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와 하우징(1110)의 하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를 틸트시킬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홀더(1210)를 제1축에 대해 틸트시킬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제1코일(1412)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제1코일(1412)과 대향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제1코일(14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제1코일(1412)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제1코일(1412)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1210)의 홈(1217)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반사부재(1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는 반사부재(1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면은 제2마그네트(1120)와 가장 인접한 제1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영역은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과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면은 제1영역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영역은 S극을 갖고 제2영역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변형례로,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영역은 N극을 갖고 제2영역은 S극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제2마그네트(1120)의 자석 극성 배치를 통해 자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면과 반대편의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2면은 제1영역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2면은 제2영역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4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2면은 제1코일(1412)과 마주볼 수 있다. 제3영역은 N극을 갖고 제4영역은 S극을 가질 수 있다. 변형례로, 제3영역은 S극을 갖고 제4영역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는 제3영역과 제4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립부는 극성이 중립에 가까운 부분일 수 있다. 중립부는 공극일 수 있다. 또는, 변형례로 중립부는 제1영역과 제3영역 사이 및 제2영역과 제4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과 가장 인접한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영역은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과 인력을 발생시키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과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과 가장 인접한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영역은 서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와 제1구동 마그네트(1411) 각각은 이동부(1200)의 중심부를 향하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면은 서로 극성이 다른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은 제2구동 마그네트(1421)보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영역은 제2영역보다 제2마그네트(11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영역은 상기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과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와 제1구동 마그네트(1411) 각각은 홀더(1210)의 중심부를 향하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제1면과 제2마그네트(1120)의 제1면은 다른 극성을 갖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410)는 제1코일(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1412)은 기판(1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1412)은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1412)은 기판(1130)에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1412)은 홀더(12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1412)은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코일(14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코일(1412)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제1코일(1412)은 홀더(1210)를 제1축을 기준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축은 x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코일(1412)을 구동하기 위해 제1코일(1412)에 제1방향 구동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 구동전류와 반대인 제2방향 구동전류는 제1코일(1412)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코일(1412)에는 역방향 또는 정방향의 전류 중 어느 한 방향의 전류만 공급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홀센서(Hall sensor)(1413)를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1413)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1413)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1413)는 홀더(12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1413)는 반사부재(12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1413)는 홀더(1210)의 x축을 중심으로 하는 틸트량을 감지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요크(1414)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1414)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홀더(1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요크(1414)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1414)는 제1구동 마그네트(1411)와 제1코일(1412) 사이의 상호작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제2구동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1420)는 이동부(1200)를 고정부(1100)에 대하여 제2축을 중심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1420)는 홀더(1210)를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1420)는 이동부(1200)를 고정부(1100)에 대하여 y축을 중심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1420)는 코일과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142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부(1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변형례로, 제2구동부(1420)는 형상기억합금(SMA, shape memory alloy)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1420)는 제2구동 마그네트(1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와 하우징(111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와 하우징(1110)의 측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를 틸트시킬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를 제1축에 수직인 제2축에 대해 틸트시킬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제2코일(1422)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제2코일(142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제2코일(14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제2코일(1422)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제2코일(1422)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극성을 갖지 않는 중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립부는 공극일 수 있다. 중립부는 N극과 S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립부는 제2구동 마그네트(1421)의 전방에 해당하는 제1부분과 후방에 해당하는 제2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중립부는 제2구동 마그네트(1421)의 내측부분과 외측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제1서브 마그네트(14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 마그네트(1421-1)는 홀더(1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 마그네트(1421-1)는 제1서브 코일(1422-1)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 마그네트(1421-1)는 제1서브 코일(1422-1)과 대향할 수 있다. 제1서브 마그네트(1421-1)는 제1서브 코일(1422-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 마그네트(1421-1)는 제1서브 코일(1422-1)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서브 마그네트(1421-1)는 제1서브 코일(1422-1)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는 홀더(12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는 제1서브 마그네트(1421-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는 제1서브 마그네트(1421-1)와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는 제2서브 코일(1422-2)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는 제2서브 코일(1422-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는 제2서브 코일(142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는 제2서브 코일(1422-2)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는 제2서브 코일(1422-2)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구동부(1420)는 제2코일(1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1422)은 기판(1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1422)은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1422)은 기판(1130)의 제2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1422)은 홀더(1210)의 양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14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코일(1422)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제2구동 마그네트(1421)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코일(1422)은 홀더(1210)에 대하여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2개의 서브 코일(1421-1, 1421-2)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서브 코일(1421-1, 1421-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와 제2코일(1422)은 홀더(1210)를 제1축에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축은 y축일 수 있다. 제1축은 x축이고 z축은 이미지 센서(3400)의 광축일 수 있다.
제2코일(1422)은 제1서브 코일(14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 코일(1422-1)은 기판(1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 코일(1422-1)은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 코일(1422-1)은 기판(1130)의 제2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 코일(1422-1)은 홀더(121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 코일(1422-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서브 코일(1422-1)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제1서브 마그네트(1421-1)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코일(1422)은 제2서브 코일(14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서브 코일(1422-2)은 기판(1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 코일(1422-2)은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 코일(1422-2)은 기판(1130)의 제2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 코일(1422-2)은 홀더(121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 코일(142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서브 코일(1422-2)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제2서브 마그네트(1421-2)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1421)는 홀더(1210)의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서브 마그네트(1421-1)와, 홀더(1210)의 제2측면에 배치되는 제2서브 마그네트(14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1422)은 기판에 배치되고 제1서브 마그네트(142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서브 코일(1422-1)과, 기판에 배치되고 제2서브 마그네트(1421-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서브 코일(1422-2)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홀센서(Hall sensor)(1423)를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1423)는 제2구동 마그네트(1421)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1423)는 제2구동 마그네트(1421)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1423)는 홀더(12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1423)는 반사부재(12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1423)는 홀더(1210)의 y축을 중심으로 하는 틸트량을 감지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요크(1424)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1424)는 제2구동 마그네트(1421)와 홀더(1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요크(1424)는 제2구동 마그네트(14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1424)는 제2구동 마그네트(1421)와 제2코일(1422) 사이의 상호작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댐퍼(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500)는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1500)는 점성을 가질 수 있다. 댐퍼(1500)는 고정부(1100)와 이동부(1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500)는 무버 리지드(1230)와 하우징(1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500)는 무버 리지드(1230)와 하우징(1110)을 연결할 수 있다. 댐퍼(1500)는 무버 리지드(1230)와 하우징(1110)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1500)는 무버 리지드(1230)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500)는 무버 리지드(1230)와 결합할 수 있다. 댐퍼(1500)는 무버 리지드(1230)에 결합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하우징(1110)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1500)에 의해 하우징(1110)과 무버 리지드(1230)가 접착될 수 있다.
댐퍼(1500)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500)는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와 하우징(1110)을 연결할 수 있다. 댐퍼(15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10)의 홈(1119)에 무버 리지드(1230)의 돌출부(1231)와 하우징(1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5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10)의 제1홈부로부터 함몰되는 제2홈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10)과 무버 리지드(1230) 사이에 댐퍼 역할을 하는 젤(gel) 성분의 본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득(gain)값은 유지하되 위상(phase) 마진을 확보하여 액츄에이터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즉, FRA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x축을 중심으로 하는 틸트(pitch)의 응답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y축을 중심으로 하는 틸트(yaw)도 개선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완충부재(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하우징(1110)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에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로, 완충부재(1600)는 무버 리지드(1230)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충격 흡수 부재일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충격 흡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무버 리지드(1230)와 하우징(1110)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고무와 실리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류의 충격 흡수용 스토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 대비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버 리지드(1230)의 이동시 무버 리지드(1230)가 완충부재(1600)에 먼저 닿아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무버 리지드(1230)의 정상 구동 범위 내에서는 무버 리지드(123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정상 구동 범위 내일 때는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 사이의 척력에 의해 무버 리지드(1230)는 완충부재(160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 사이의 척력을 이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무버 리지드(1230)는 완충부재(1600)와 접촉될 수 있다. 변형례로, 완충부재(1600)는 초기 위치 또는 최대 구동 스트로크 위치에서 무버 리지드(123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가 제2마그네트(1120)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무버 리지드(1230)와 완충부재(1600) 사이의 거리는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2마그네트(1120)를 향하는 제1마그네트(1240)의 제1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무버 리지드(1230)와 완충부재(1600) 사이의 거리는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버 리지드(1230)가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마그네트(1240)가 제2마그네트(1120)에 접촉하기 전에 무버 리지드(1230)가 완충부재(1600)에 접촉할 수 있다.
제1방향으로, 무버 리지드(1230)와 완충부재(1600) 사이의 거리는 무버 리지드(1230)와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은 제1마그네트(1240)가 제2마그네트(112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무버 리지드(1230)는 완충부재(1600)와 접촉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가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무버 리지드(1230)는 완충부재(1600)와 접촉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무버 리지드(1230)가 하우징(111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하우징(1110)에 배치된 완충부재(1600)에 접촉할 수 있다.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완충부재(1600)는 제2마그네트(1120)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방향은 제2마그네트(1120)가 제1마그네트(124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완충부재(1600)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보다 돌출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와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되는 구성인 제2마그네트(1120),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 및 완충부재(1600) 중 완충부재(1600)가 무버 리지드(1230) 측으로 가장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버 리지드(1230)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110)과 제2마그네트(1120)가 아닌 완충부재(1600)에 접촉할 수 있다. 수평방향은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제1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으로 제2마그네트(112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제3방향에 수직인 제4방향으로, 완충부재(1600)의 폭(도 17의 W1 참조)은 제2마그네트(1120)의 폭(도 17의 W2 참조)보다 길 수 있다. 제3방향으로, 완충부재(1600)의 길이는 제2마그네트(112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은 후방향이고 제2방향은 전방향이고 제3방향은 상하방향이고 제4방향은 좌우방향일 수 있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은 z축과 평행하고 제3방향은 y축과 평행하고 제4방향은 x축과 평행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240)는 제1방향으로 완충부재(160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마그네트(1240)가 완충부재(1600)와 접촉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1마그네트(1240)와 무버 리지드(1230)에 적용되는 충격은 완화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마그네트(1240)는 제1방향으로 완충부재(1600)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무버 리지드(1230)와 상기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가 이동하는 경우, 완충부재(1600)는 무버 리지드(1230) 및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과 접촉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무버 리지드(1230)가 이동하는 경우, 무버 리지드(1230)는 완충부재(1600)와 접촉할 수 있다. 변형례로, 완충부재(1600)는 무버 리지드(12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무버 리지드(1230)가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110)의 제1부분(1111)은 완충부재(1600)와 접촉할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제1완충부재(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완충부재(1610)는 제2마그네트(112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완충부재(1610)는 무버 리지드(1230)의 상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제1완충부재(1610)는 제1방향으로 무빙 플레이트(1300)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완충부재(1600)는 제2완충부재(1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완충부재(1620)는 제2마그네트(1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완충부재(1620)는 무버 리지드(1230)의 하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제2완충부재(1620)는 제1방향으로 무빙 플레이트(130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는 미도시 구성인 추가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완충부재는 무버 리지드(1230)의 위와 아래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가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무버 리지드(1230)는 추가 완충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하우징(1110)의 돌기(1118)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무버 리지드(1230)는 하우징(1110)의 홈(1119)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0과 도 3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x축을 중심으로 한 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구동부(141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홀더(1210)가 하우징(1110)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홀더(1210)는 하우징(1110)의 상판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도 30 참조).
이때, 제1코일(1412)에 제1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1코일(1412)과 제1구동 마그네트(141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홀더(1210)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틸트될 수 있다(도 31의 θ 참조).
즉, 제1코일(1412)에 전류가 인가되어 홀더(1210)는 하우징(1110)에 대해 x축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이때, 홀더(1210)와 함께 반사부재(1220)도 틸트되므로 광경로가 변경되어 자이로 센서(1150)에 의해 감지된 흔들림이 상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코일(1412)의 제어를 위해 제1방향의 전류만 사용하고 제1방향과 반대인 제1방향의 전류는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방향의 전류가 제1코일(1412)에 인가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무빙 플레이트(1300)의 탈거 문제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비교예로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의 중심이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1돌기(1310)와 같은 높이로 배치되는 경우,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 사이의 척력과 제1코일(1412)와 제1구동 마그네트(1411) 사이의 전자기력이 불균일할 경우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부(1200)가 미끄러져 무빙 플레이트(1300)가 탈거될 수 있다. 제1코일(1412)와 제1구동 마그네트(1411) 사이의 전자기력이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 사이의 척력보다 클 경우, 무버 리지드(1230)가 제1마그네트(1240)와 제2마그네트(1120) 사이의 갭만큼 빠짐 현상이 일어나서 무빙 플레이트(1300)가 이탈할 수 있다. 이는 홀 캘리브레이션 동특성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척력 힘의 센터축과 x축 구동 센터축이 일정 거리만큼 어긋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부재(1220)가 상측 방향으로 기구적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이때, 상측 방향은 중력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제어가 아닌 코드(code)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피봇구조에서는 중력에 의한 처짐 등의 이유로 오픈(open) 상태에서 초기 위치를 알기가 어렵기에 클로즈드(closed) 방식(초기 상태에서 이동부(1200)가 고정부(1100)에 접촉된 방식)으로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로즈드 방식으로 제어되므로 보다 정밀한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클로즈드 방식에 의해 이동부(1200)가 이리저리 움직여서 발생되는 소음도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 구동 장치의 y축을 중심으로 한 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구동부(142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홀더(1210)가 하우징(1110)의 양측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홀더(1210)는 하우징(1110)의 양측판 모두에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도 32 참조).
이때, 제2코일(1422)에 제1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코일(1422)과 제2구동 마그네트(142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홀더(1210)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틸트될 수 있다(도 33의 a 참조).
한편, 제2코일(1422)에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코일(1422)과 제2구동 마그네트(142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홀더(1210)가 무빙 플레이트(1300)의 제2돌기(1320)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틸트될 수 있다(도 34의 b 참조).
즉, 제2코일(1422)에 전류가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가되어 홀더(1210)는 하우징(1110)에 대해 y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이때, 홀더(1210)와 함께 반사부재(1220)도 틸트되므로 광경로가 변경되어 자이로 센서(1150)에 의해 감지된 흔들림이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x축 틸트와 y축 틸트 즉, 2축 틸트에 대한 손떨림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5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37는 도 36에 도시된 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3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 기판과 코일 등의 구성이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0는 도 39에 도시된 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 제1렌즈와 관련구성이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42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코일과 센서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3은 도 39에 도시된 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 제2하우징이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4는 도 43에 도시된 상태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 가이드 레일이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5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고, 도 4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 및 관련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47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제2이동부와 관련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4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제2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0와 도 5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2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줌(zoom)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연속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렌즈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복수의 군으로 형성되는 렌즈를 군 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2군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3군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렌즈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AF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줌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렌즈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일구성이 아닌 카메라 장치(10)의 일구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렌즈는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의 반사부재(1220)와 이미지 센서(3400)가 형성하는 광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복수의 군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는 3개의 군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는 제1 내지 제3군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220)와 이미지 센서(3400) 사이에 제1군 렌즈, 제2군 렌즈, 제3군 렌즈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군 렌즈는 제1렌즈(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군 렌즈는 제2렌즈(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군 렌즈는 제3렌즈(23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고정부(2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00)는 제1이동부(2200)와 제2이동부(2300)의 이동시 상대적으로 고정된 부분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하우징(2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00)는 하우징(2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제1홀더(2210)와 제2홀더(23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제1홀더(2210)와 제2홀더(23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전면판과 후면판과 복수의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면판을 상판이라하고 후면판을 하판이라하고 연결판을 측판이라 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제1하우징(21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1)은 하우징(2110)의 전면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1)은 제1렌즈(21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1)은 커버일 수 있다. 제1하우징(2110-1)은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1)에는 제1렌즈(2120)가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제2하우징(2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110-2)은 하우징(2110)의 후면판과 연결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하우징(2110-2)은 전방으로 오픈될 수 있다. 제2하우징(2110-2)의 전방에 제1하우징(2110-1)이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1)과 제2하우징(2110-2)의 사이에 가이드 레일(21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제1홈(2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2111)은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의 하우징(1110)의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홈(2111)은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2111)에는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를 렌즈 구동 장치(2000)와 결합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제2홈(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2112)은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의 하우징(1110)의 돌기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홈(2112)에는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제2홈(2112)은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의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112)에는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를 렌즈 구동 장치(2000)와 결합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제1홀(2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2113)은 제1홀더(2210)의 돌기(2211)와 제2홀더(2310)의 돌기(2311)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1홀(2113)은 하우징(2110)의 연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제조 시 테스트 단계에서, 제1홀(2113)을 통해 노출되는 제1홀더(2210)의 돌기(2211)와 제2홀더(2310)의 돌기(2311)를 확인하여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플레이트(2113-1)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113-1)는 제1홀(2113)을 커버할 수 있다. 플레이트(2113-1)는 제1홀(2113)에 배치되어 제1홀(2113)을 폐쇄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제2홀(2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2114)은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이 배치되는 코일 수용홀일 수 있다. 제2홀(2114)에는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홀(2114)은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돌기(2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115)는 제2하우징(2110-2)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2115)는 2단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2115)는 가이드 레일(2130)과 결합될 수 있다. 돌기(2115)는 제1하우징(2110-1)과 결합될 수 있다. 돌기(2115)의 직경이 큰 부분에 가이드 레일(2130)이 결합되고 돌기(2115)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 제1하우징(2110-1)이 결합될 수 있다.
돌기(2115)는 제1돌기(21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2115-1)는 제1직경(D2)을 갖는 제1부분과, 제1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직경(D1)을 갖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2115)는 제2돌기(21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기(2115-2)는 제3직경(D3)을 갖는 제3부분과, 제3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제4직경(D4)을 갖는 제4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직경(D4)은 제2직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돌기(2115-1)가 제2돌기(2115-2)보다 제1하우징(2110-1)에 더 타이트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가이드 돌기(211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16)는 하우징(211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16)는 제1홀더(2210)와 제2홀더(2310)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돌기(2116)는 제1홀더(2210)와 제2홀더(2310)의 광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광축방향은 x축과 y축에 수직인 z축 방향일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16)는 광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16)는 광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홈(2117)을 포함할 수 있다. 홈(2117)은 제1하우징(2110-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10-1)의 홈(2117)은 제2하우징(2110-2)의 돌기(2115)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돌기(2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118)는 기판(2140)과 결합될 수 있다. 돌기(2118)는 기판(2140)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2118)는 기판(2140)의 홈에 형합되도록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10)은 벤트홀(2119)을 포함할 수 있다. 벤트홀(2119)은 하우징(2110)의 후면판에 형성될 수 있다. 벤트홀(2119)은 하우징(2110)과 더미 글라스(2600) 사이에 갭(gap)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110)과 더미 글라스(2600) 사이의 갭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벤트홀(2119)을 통해 접착제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gas)가 빠져나갈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1렌즈(2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렌즈(2120)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일구성이 아닌 카메라 장치(10)의 일구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정부(2100)는 제1렌즈(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광축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반사부재(1220)와 이미지 센서(3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반사부재(1220)와 제2렌즈(2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제1하우징(211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제1하우징(2110-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제2렌즈(2220)와 제3렌즈(232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제1군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2120)는 3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가이드 레일(2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00)는 가이드 레일(2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130)은 제1하우징(2110-1)과 제2하우징(2110-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130)은 제1홀더(2210)와 제2홀더(23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레일(2130)은 제1홀더(2210)와 제2홀더(2310)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130)은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130)은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130)은 볼(2500)이 구르도록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기판(21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00)는 기판(21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40)은 하우징(2110)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2140)은 FPCB일 수 있다. 기판(2140)에는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2140)은 제1영역(214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2140-1)은 기판(214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2140-1)에는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2140)은 제2영역(2140-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40)의 제1영역(2140-1)은 제2영역(2140-2)에 대해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2140)의 단자와 인쇄회로기판(3300)을 연결하는 솔더링의 배치 영역을 확보하면서 인쇄회로기판(33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영역(2140-1)은 제2영역(2140-2)과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2140)은 제1기판(2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141)은 하우징(2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2141)에는 제1코일(24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2141)에는 제1 및 제2홀센서(2413, 2414)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2140)은 제2기판(2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판(2142)은 하우징(21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2142)은 제1기판(214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2142)에는 제2코일(24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2142)에는 제3 및 제4홀센서(2423, 2424)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서스(SUS)(2145)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2145)는 기판(2140)에 배치될 수 있다. 서스(2145)는 기판(214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서스(2145)는 기판(21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EEPROM(2150)을 포함할 수 있다. EEPROM(2150)은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EEPROM(2150)은 제조 단계에서 렌즈 구동 장치(2000)를 드라이버 IC(3900)와 연결하기 전에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EEPROM(2150)은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EPROM(2150)은 기판(214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1이동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부(2200)는 고정부(210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제1이동부(2200)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부(2100)와 제2이동부(2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이동부(2200)는 고정부(2100)와 제2이동부(230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1홀더(2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부(2200)는 제1홀더(2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2210)는 하우징(2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2210)는 하우징(21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홀더(221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21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홀더(2210)는 하우징(211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홀더(2210)는 이동시 하우징(2110)과 접촉될 수 있다. 또는, 초기상태에서 제1홀더(2210)는 하우징(211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홀더(2210)는 돌기(2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211)는 테스트 돌기일 수 있다. 돌기(2211)는 제1홀더(22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11)는 제1홀더(22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기(2211)는 하우징(2110)의 제1홀(2113)을 통해 외측에서 보일 수 있다. 돌기(2211)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시에 이용될 수 있다. 돌기(2211)는 평면(2211-1)과 경사면(2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2210)는 레일 홈(2212)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2212)에는 볼(2500)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 홈(2212)에서 볼(2500)은 구름 이동할 수 있다. 레일 홈(2212)과 볼(2500)은 2점에서 접촉될 수 있다. 레일 홈(2212)은 광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 홈(2212)은 광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 홈(2212)은 복수의 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2212)은 4개의 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2212)는 제1 내지 제4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일 홈(2212) 각각에 볼(2500)이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2210)는 돌기(2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213)는 제1홀더(2210)의 제1하우징(2110-1)을 바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13)는 제1홀더(2210)가 제1하우징(2110-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하우징(2110-1)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돌기(2213)가 생략된 경우와 비교하면 돌기(2213)가 형성되는 경우 제1홀더(2210)와 제1하우징(2110-1)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홀더(2210)와 제1하우징(2110-1)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2렌즈(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렌즈(2220)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일구성이 아닌 카메라 장치(10)의 일구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1이동부(2200)는 제2렌즈(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광축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반사부재(1220)와 이미지 센서(3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제1렌즈(2120)와 제3렌즈(2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제1홀더(2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제1홀더(2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제1홀더(2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제1렌즈(21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제3렌즈(2320)와 별개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제2군 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2220)는 2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2이동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부(2300)는 고정부(210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제2이동부(2300)는 제1이동부(2200)와 별개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이동부(2300)는 제1이동부(2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이동부(2300)는 제1이동부(2200)와 가까워지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2홀더(2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부(2300)는 제2홀더(2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하우징(2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하우징(21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홀더(231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21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하우징(2110)과 접촉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이동시 하우징(2110)과 접촉될 수 있다. 또는, 초기상태에서 제2홀더(2310)는 하우징(2110)과 접촉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제1홀더(22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제1홀더(22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이동시 제1홀더(2210)와 접촉될 수 있다. 또는, 초기상태에서 제2홀더(2310)는 제1홀더(22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돌기(2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311)는 테스트 돌기일 수 있다. 돌기(2311)는 제2홀더(23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2311)는 제2홀더(2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기(2311)는 하우징(2110)의 제1홀(2113)을 통해 외측에서 보일 수 있다. 돌기(2311)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시에 이용될 수 있다. 돌기(2311)는 평면(2311-1)과 경사면(23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레일 홈(2312)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2312)에는 볼(2500)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 홈(2312)에서 볼(2500)은 구름 이동할 수 있다. 레일 홈(2312)과 볼(2500)은 2점에서 접촉될 수 있다. 레일 홈(2312)은 광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 홈(2312)은 광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 홈(2312)은 복수의 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2312)은 4개의 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2312)는 제1 내지 제4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일 홈(2312) 각각에 볼(2500)이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2310)는 돌기(2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313)는 제2홀더(2310)의 제1홀더(2210)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2313)는 제2홀더(2310)가 제1홀더(2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홀더(221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돌기(2313)가 생략된 경우와 비교하면 돌기(2313)가 형성되는 경우 제2홀더(2310)와 제1홀더(221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홀더(2310)와 제1홀더(2210)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3렌즈(2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3렌즈(2320)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일구성이 아닌 카메라 장치(10)의 일구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2이동부(2300)는 제3렌즈(2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광축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반사부재(1220)와 이미지 센서(3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제2렌즈(2220)와 이미지 센서(3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제2홀더(23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제2홀더(2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제2홀더(23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제1렌즈(21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제2렌즈(2220)와 별개로 이동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제3군 렌즈일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2320)는 2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구동부(2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400)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2400)는 제1이동부(2200)와 제2이동부(2300)를 고정부(210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2400)는 코일과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40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1이동부(2200)와 제2이동부(2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변형례로, 구동부(2400)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400)는 제1구동부(2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2410)는 제1이동부(2200)를 고정부(210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2410)는 제1이동부(2200)를 제2이동부(230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2410)는 줌 기능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1구동부(2410)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구동부(2410)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홀더(2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홀더(22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홀더(2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홀더(2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홀더(221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홀더(22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코일(2412)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코일(2412)과 대향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코일(24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코일(2412)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코일(2412)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1마그네트부(24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부(2411-1)는 제1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제2마그네트부(24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부(2411-2)는 제1극성과 상이한 제2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극성은 N극이고 제2극성은 S극일 수 있다. 반대로, 제1극성은 S극이고 제2극성은 N극일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는 중립부(2411-3)를 포함할 수 있다. 중립부(2411-3)는 제1마그네트부(2411-1)와 제2마그네트부(24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립부(2411-3)는 중립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중립부(2411-3)는 자화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제1구동부(2410)는 제1코일(2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2412)은 기판(2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은 제1기판(214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은 하우징(2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은 제1홀더(2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코일(2412)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제1구동 마그네트(2411)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코일(2412)이 제1홀더(2210)에 배치되고 제1구동 마그네트(2411)가 하우징(2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은 사각의 링 또는 원형의 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이 사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코너부분은 커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은 사이에 갭(G1)을 갖는 제1부분(2412-1)과 제2부분(24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2412)의 갭(G1)에는 제1 및 제2홀센서(2413, 2414)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는 복수의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는 제1홀센서(2413)와 제2홀센서(2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센서(2413)와 제2홀센서(241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홀센서(2413)와 제2홀센서(2414)는 사이에 갭(G2)이 형성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1홀센서(2413)와 제2홀센서(2414)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를 감지할 수 있다. 제1홀센서(2413)와 제2홀센서(2414)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홀센서(2413)와 제2홀센서(2414)는 제1홀더(22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홀센서(2413)와 제2홀센서(2414)는 제2렌즈(22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요크(2415)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2415)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와 제1홀더(2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요크(2415)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2415)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와 제1코일(2412) 사이의 상호작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요크(2415)는 연장부(2415-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415-1)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의 전측면과 후측면을 감쌀 수 있다. 요크(2415)는 홈(2415-2)을 포함할 수 있다. 홈(2415-2)은 요크(2415)의 몸체부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400)는 제2구동부(2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2420)는 제2이동부(2300)를 고정부(210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2420)는 제2이동부(2300)를 제1이동부(220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2420)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2구동부(2420)는 줌 기능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구동부(2420)는 제2구동 마그네트(2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홀더(23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홀더(23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홀더(2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홀더(23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홀더(231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홀더(23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코일(2422)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코일(242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코일(24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코일(2422)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는 제2코일(2422)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구동부(2420)는 제2코일(2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2422)은 기판(2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2422)은 제2기판(214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2422)은 하우징(2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2422)은 제2홀더(23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24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코일(2422)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제2구동 마그네트(2421)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변형례로, 제2코일(2422)이 제2홀더(2310)에 배치되고 제2구동 마그네트(2421)가 하우징(211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는 제2구동 마그네트(2421)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는 복수의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는 제3홀센서(2423)와 제4홀센서(2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홀센서(2423)와 제4홀센서(242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홀센서(2423)와 제4홀센서(2424)는 사이에 갭(G2)이 형성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3홀센서(2423)와 제4홀센서(2424)는 제2구동 마그네트(2421)를 감지할 수 있다. 제3홀센서(2423)와 제4홀센서(2424)는 제2구동 마그네트(2421)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3홀센서(2423)와 제4홀센서(2424)는 제2홀더(23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3홀센서(2423)와 제4홀센서(2424)는 제3렌즈(23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요크(2425)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2425)는 제2구동 마그네트(2421)와 제2홀더(2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요크(2425)는 제2구동 마그네트(24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2425)는 제2구동 마그네트(2421)와 제2코일(2422) 사이의 상호작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1요크(2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요크(2430)는 제1구동 마그네트(2411)과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요크(2430)는 하우징(2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요크(2430)는 기판(2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요크(2430)는 제1기판(214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마그네트(2411)와 제1요크(2430)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1홀더(2210)가 볼(2500)을 가이드 레일(213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구동 마그네트(2411)와 제1요크(2430) 사이의 인력에 의해 볼(2500)이 제1홀더(2210)와 가이드 레일(2130) 사이에서 탈거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제2요크(2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요크(2440)는 제2구동 마그네트(2421)과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요크(2440)는 하우징(2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요크(2440)는 기판(2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요크(2440)는 제2기판(214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마그네트(2421)와 제2요크(2440)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2홀더(2310)가 볼(2500)을 가이드 레일(213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즉, 제2구동 마그네트(2421)와 제2요크(2440) 사이의 인력에 의해 볼(2500)이 제2홀더(2310)와 가이드 레일(2130) 사이에서 탈거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볼(2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볼(2500)은 제1홀더(22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볼(2500)은 제1홀더(2210)와 가이드 레일(2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볼(2500)은 제2홀더(23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볼(2500) 제2홀더(2310)와 가이드 레일(2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볼(2500)은 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2500)은 제1홀더(2210)의 레일 홈(2212)과 가이드 레일(2130)의 레일(2133)을 구를 수 있다. 볼(2500)은 제1홀더(2210)의 레일 홈(2212)과 가이드 레일(2130)의 레일(2133) 사이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2500)은 제2홀더(2310)의 레일 홈(2312)과 가이드 레일(2130)의 레일(2133)을 구를 수 있다. 볼(2500)은 제2홀더(2310)의 레일 홈(2312)과 가이드 레일(2130)의 레일(2133) 사이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2500)은 복수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볼(2500)은 제1홀더(2210)에 4개, 제2홀더(2310)에 4개 총 8개로 구비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더미 글라스(26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미 글라스(2600)는 하우징(2110)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글라스(2600)는 하우징(2110)의 후방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더미 글라스(2600)는 광이 통과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2000)는 포론(2700)을 포함할 수 있다. 포론(2700)은 충격흡수부재일 수 있다. 포론(2700)은 제1홀더(2210)와 제2홀더(2310)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포론(2700)은 제1홀더(2210)가 하우징(2110)과 충돌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포론(2700)은 제2홀더(2310)가 하우징(2110)과 충돌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3 내지 도 5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줌 기능과 오토포커스 기능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240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제1렌즈(2120)와 제2렌즈(2220)와 제3렌즈(2320)가 광축(OA)에 정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도 53 참조).
이때, 제1코일(24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코일(2412)과 제1구동 마그네트(241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2렌즈(2220)가 광축(O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도 54의 a 참조). 제1렌즈(2120)가 고정된 상태로 제2렌즈(2220)가 이동함에 따라 줌(zoom)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1코일(2412)에 제1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렌즈(2220)는 제1렌즈(21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코일(2412)에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렌즈(2220)는 제1렌즈(2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코일(24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코일(2422)과 제2구동 마그네트(2421)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3렌즈(2320)가 광축(O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도 55의 b 참조). 제1렌즈(2120)와 제2렌즈(2220)에 대한 제3렌즈(2320)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오토 포커스(AF)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2코일(2422)에 제1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3렌즈(2320)는 제1렌즈(21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코일(2422)에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3렌즈(2320)는 제1렌즈(2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5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57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이미지 센서와 필터 및 관련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카메라 장치(10)는 커버부재(3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커버 캔' 또는 '쉴드 캔'일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와 렌즈 구동 장치(2000)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와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와 렌즈 구동 장치(2000)을 감쌀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와 렌즈 구동 장치(2000)를 수용할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상판(3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3110)은 개구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3110)의 개구 또는 홀을 통해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상판(3110)의 개구 또는 홀은 반사부재(122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3100)는 측판(3120)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3120)은 복수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3120)은 4개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3120)은 제1 내지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3120)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판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 및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인쇄회로기판(3300)(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300)은 기판 또는 회로기판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300)에는 센서 베이스(3500)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300)은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와 렌즈 구동 장치(2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300)에는 이미지 센서(340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각종 회로, 소자,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3300)은 마킹부(3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300)의 후면에는 마킹부(331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서스(SUS)(3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3320)는 인쇄회로기판(3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서스(3320)는 인쇄회로기판(33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서스(3320)는 인쇄회로기판(3300)에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이미지 센서(3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400)는 인쇄회로기판(33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400)에는 렌즈와 필터(360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이미지가 결상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400)는 인쇄회로기판(3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3400)는 인쇄회로기판(330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3400)는 인쇄회로기판(330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400)는 렌즈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400)의 광축과 렌즈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400)는 이미지 센서(3400)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4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센서 베이스(3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500)는 인쇄회로기판(330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500)에는 필터(360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3600)가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3500)의 부분에는 필터(360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3400)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필터(3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3600)는 렌즈를 통과하는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340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3600)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3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3600)는 센서 베이스(3500)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3600)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3400)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기판(37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700)은 인쇄회로기판(3300)과 연결될 수 있다. 기판(3700)은 인쇄회로기판(330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기판(3700)은 반사부재 구동 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3700)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커넥터(37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710)는 기판(370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3710)는 기판(3700)의 연장부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3710)는 일례로 스마트폰의 전원부에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온도 센서(38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3800)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3800)에서 감지된 온도는 손떨림 보정 기능,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줌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다 정확한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드라이버 IC(39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3900)는 렌즈 구동 장치(2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3900)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일구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3900)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3900)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3900)는 렌즈 구동 장치(2000)의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3900)는 홀센서(2413, 2414, 2423, 24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 IC(3900)는 홀센서(2413, 2414, 2423, 2424)에서 감지된 제2렌즈(2220)와 제3렌즈(2320)의 위치를 통해 제1코일(2412)과 제2코일(2422)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하기기의 전면의 사시도이고, 도 5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광학기기(1)는 핸드폰, 휴대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1)는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1)는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1)는 카메라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본체(20)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광학기기(1)는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본체(20)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카메라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본체(20)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는 본체(20)의 제1면과,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는 폴디드(folded)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폴디드 카메라 모듈은 15도 내지 40도의 화각을 가질 수 있다. 폴디드 카메라 모듈은 초점거리 18mm 내지 20mm 또는 그 이상을 가질 수 있다. 폴디드 카메라 모듈은 광학기기(1)의 후면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광학기기(1)의 후면에는 화각 70도 내지 80도를 갖는 메인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폴디드 카메라는 메인 카메라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는 광학기기(1)의 복수의 후면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는 광학기기(1)의 2개, 3개, 4개 이상 등의 후면 카메라에서 그 중 한 개의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는 광학기기(1)의 전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1)의 전면 카메라가 1개인 경우 광각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광학기기(1)의 전면 카메라가 2개 이상일 경우, 그 중 한 개가 본 실시예와 같은 텔레 카메라일 수 있다. 다만, 후면 텔레 카메라보다는 초점거리가 길지 않아 폴디드 카메라 모듈이 아닌 반사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보통의 카메라 모듈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제1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무버 리지드;
    상기 무버 리지드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가 상기 제2마그네트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2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액추에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버 리지드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버 리지드는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의 상기 거리는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액추에이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마그네트보다 돌출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보다 돌출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으로 상기 제2마그네트와 이격되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3방향에 수직인 제4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재의 폭은 상기 제2마그네트의 폭보다 긴 액추에이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추가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버 리지드가 상기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버 리지드는 상기 추가 완충부재에 접촉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완충부재와 오버랩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마그네트의 위에 배치되는 제1완충부재와, 상기 제2마그네트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무빙 플레이트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2완충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무빙 플레이트와 오버랩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을 갖는 액추에이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구동 마그네트;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결합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은 4각의 링 형상을 갖는 액추에이터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제1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무버 리지드;
    상기 무버 리지드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무버 리지드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버 리지드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버 리지드는 상기 완충부재와 접촉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에 접촉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장치.
  19.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추에이터 장치; 및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의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형성하는 광경로에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0.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제19항의 카메라 장치;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2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제1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무버 리지드;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무버 리지드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KR1020210084184A 2021-06-28 2021-06-28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20230001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84A KR20230001389A (ko) 2021-06-28 2021-06-28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PCT/KR2022/009247 WO2023277540A1 (ko) 2021-06-28 2022-06-28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84A KR20230001389A (ko) 2021-06-28 2021-06-28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89A true KR20230001389A (ko) 2023-01-04

Family

ID=8492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184A KR20230001389A (ko) 2021-06-28 2021-06-28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3557A1 (en) Actuator device
CN114174915B (zh) 相机模块
US20240040253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230001389A (ko)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20230128778A (ko) 액추에이터 장치 및 카메라 장치
US20240126042A1 (en) Actuator device
EP4286936A1 (en) Actuator device
KR20220133045A (ko) 액추에이터 장치
KR20220133044A (ko) 액추에이터 장치
KR20220133049A (ko) 액추에이터 장치
KR20220157810A (ko) 액추에이터 장치
KR20220136828A (ko) 렌즈 구동 장치
KR20220136827A (ko) 렌즈 구동 장치
EP4318117A1 (en) Lens driving device
KR20220136829A (ko) 렌즈 구동 장치
KR20230016036A (ko) 반사부재 구동 장치
US20230367135A1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US20240152028A1 (en) Reflective member driving device
KR20230174102A (ko) 반사부재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20136830A (ko) 반사부재 구동 장치
KR20220136831A (ko) 반사부재 구동 장치
KR20220157818A (ko) 카메라 장치
KR20210143454A (ko) 카메라 모듈
KR2023013599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3010908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