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60A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60A
KR20220118660A KR1020210022348A KR20210022348A KR20220118660A KR 20220118660 A KR20220118660 A KR 20220118660A KR 1020210022348 A KR1020210022348 A KR 1020210022348A KR 20210022348 A KR20210022348 A KR 20210022348A KR 20220118660 A KR20220118660 A KR 2022011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덕
심홍보
김진식
김봉우
Original Assignee
나인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인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660A/ko
Publication of KR2022011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미백, 보습, 항산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미백, 보습, 항산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의 각질층 세포들이 벽돌 같은 역할을 하며, 각질층 세포들간 지질들은 몰타르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는 몸의 노화가 진행되면서 건조한 피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대기오염, 자외선 등에 의해 피부 색소침착, 주름생성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의 건조, 색소침착, 주름생성 등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보습제, 미백제, 항산화제 등의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당류, 다가 알코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사용 시 끈적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피부에 충분한 보습 효과를 부여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다.
상기 미백제로는 히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시스테인, 알파히드록시산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대부분 그 자체가 불안정하거나 미백효과가 미약하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천연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피부 색소침착, 주름생성, 피부보습 등의 기능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색소침착을 개선하여 미백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천연 추출물은 유효성분의 함량이 미량이고, 각종 화합물이 함께 추출됨으로써 가려움, 홍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개개의 천연 추출물 자체는 피부 자극 평가를 통하여 그 안전성이 입증되고 있으나, 다수의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여 화장료를 제조할 경우, 가려움,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보습, 미백, 항산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13602호
본 발명은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보습, 미백, 항산화 등과 같은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쌀추출물, 유용성 감초추출물, 청호추출물, 컴프리잎추출물, 에버라스팅추출물, 님잎추출물 및 카렌듈라꽃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쌀추출물은 쌀가루가 투입된 정제수에 진동수가 10 내지 70 kHz이고 출력이 100 내지 500 W인 초음파를 인가하는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청호추출물, 컴프리잎추출물, 에버라스팅추출물, 님잎추출물 및 카렌듈라꽃추출물은 청호, 컴프리잎, 에버라스팅, 님잎, 카렌듈라꽃 각각을 2 내지 4:0.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의 중량비율로 용매에 투입하고, 50 내지 70 ℃에서 3 내지 7 시간 동안 추출과정을 거쳐 얻어진 복합 추출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쌀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상기 유용성 감초추출물 0.01 내지 5 중량부, 상기 청호추출물 0.001 내지 1 중량부, 상기 컴프리잎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부, 상기 에버라스팅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부, 상기 님잎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부 및 상기 카렌듈라꽃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5 내지 15 중량부, 소듐클로라이드 0.5 내지 2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3 내지 8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 유화제 1 내지 5 중량부, 천연오일 0.0001 내지 1 중량부, 토코페롤 0.0001 내지 0.001 중량부 및 정제수 40 내지 8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쌀추출물, 유용성 감초추출물, 청호추출물, 컴프리잎추출물, 에버라스팅추출물, 님잎추출물 및 카렌듈라꽃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피부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을 최소화) 우수한 보습, 미백, 항산화 등의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4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제조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수행되거나,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더라도 가려움, 홍반 등의 부작용이 없고, 독성이 없어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보습, 미백, 항산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쌀추출물, 유용성 감초추출물, 청호추출물, 컴프리잎추출물, 에버라스팅추출물, 님잎추출물 및 카렌듈라꽃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쌀추출물은 미백 및 보습 기능을 화장료 조성물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쌀추출물은 쌀가루를 정제수에 투입하고 추출 및 여과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쌀가루를 얻기 위한 원료로는 백미, 현미, 흑미, 찹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원료를 분쇄하여 얻어진 쌀가루는 쌀추출물 내 미백 작용을 하는 유효성분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10 내지 100 ㎛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쌀가루가 투입된 정제수에는 진동수가 10 내지 70 kHz이고 출력이 100 내지 500 W인 초음파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가 인가됨에 따라 쌀가루가 투입된 정제수에 균일한 진동이 가해져 쌀추출물 내에 미백 및 보습 작용을 하는 유효성분의 함유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쌀가루가 투입된 정제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얻어진 수득물은 40 내지 60 ℃에서 3 내지 10 분 동안 가열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가열 과정을 거침에 따라 쌀추출물 내에 미백 및 보습 작용을 하는 유효성분의 함유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쌀가루가 투입된 정제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얻어진 수득물은 알코올계 용매에 투입하고 추출 및 여과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쌀추출물의 함량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 내지 7 중량부일 수 있다. 쌀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미백 기능이 우수하면서 다른 추출물들 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용성 감초추출물은 미백 및 항산화 기능을 화장료 조성물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용성 감초추출물은 감초추출물 중에서, 물에는 난용성이면서 알코올, 오일 등에는 가용성인 부분만을 분리 동정한 추출물로, 글라브리딘(Glabr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감초추출물은 감초를 알코올계 용매(예를 들어, 에탄올)에 투입하여 추출 과정을 거친 후 분획 및 여과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감초추출물의 함량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2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유용성 감초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미백 및 항염 기능이 우수하면서 다른 추출물들 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청호추출물은 미백 및 항산화 기능을 화장료 조성물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청호추출물은 청호를 알코올계 용매(예를 들어, 글리세린, 글리콜)에 투입하여 추출 및 여과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청호는 개똥쑥(Artemisia annua, sweet wormwood)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청호로부터 얻어진 청호추출물은 아르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청호추출물의 함량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02 내지 0.01 중량부일 수 있다. 청호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미백 및 항산화 기능이 우수하면서 다른 추출물들 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컴프리잎추출물은 피부진정 및 항염 기능을 화장료 조성물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컴프리잎추출물은 컴프리(comfrey)의 잎을 알코올계 용매(예를 들어, 글리세린, 글리콜)에 투입하여 추출 및 여과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컴프리는 일반 영양소를 비롯하여 단백질, 아미노산, 미네랄, 비타민 B, 토코페롤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알라토인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컴프리의 잎으로부터 얻어진 컴프리잎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진정 및 항염 기능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컴프리잎추출물의 함량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003 내지 0.001 중량부일 수 있다. 컴프리잎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미백 및 항염 기능이 우수하면서 다른 추출물들 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버라스팅추출물은 피부진정 및 피부영양공급 기능을 화장료 조성물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버라스팅추출물은 산떡쑥으로도 불리우는 에버라스팅을 알코올계 용매(예를 들어, 글리세린, 글리콜)에 투입하여 추출 및 여과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에버라스팅추출물의 함량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003 내지 0.001 중량부일 수 있다. 에버라스팅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피부진정 및 피부영양공급 기능이 우수하면서 다른 추출물들 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님잎추출물은 피부진정, 항염 및 항균 기능을 화장료 조성물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님잎추출물은 님잎(azadirachta indica leaf)을 알코올계 용매(예를 들어, 글리세린, 글리콜)에 투입하여 추출 및 여과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님잎추출물의 함량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003 내지 0.001 중량부일 수 있다. 님잎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피부진정, 항염 및 항균 기능이 우수하면서 다른 추출물들 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카렌듈라꽃추출물은 피부진정 및 피부컨디셔닝 기능을 화장료 조성물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렌듈라꽃추출물은 카레듈라(calendula)의 꽃을 알코올계 용매(예를 들어, 글리세린, 글리콜)에 투입하여 추출 및 여과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렌듈라꽃추출물의 함량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003 내지 0.001 중량부일 수 있다. 카렌듈라꽃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피부진정 및 피부컨디셔닝 기능이 우수하면서 다른 추출물들 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는 청호추출물, 컴프리잎추출물, 에버라스팅추출물, 님잎추출물 및 카렌듈라꽃추출물이 상호 복합된 복합 추출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호추출물, 컴프리잎추출물, 에버라스팅추출물, 님잎추출물 및 카렌듈라꽃추출물은 청호, 컴프리잎, 에버라스팅님잎, 님잎, 카렌듈라꽃 각각을 2 내지 4:0.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구체적으로, 3:0.5:0.5:0.5:0.5)의 중량비율로 용매에 투입하고, 50 내지 70 ℃에서 3 내지 7 시간 동안 추출과정을 거쳐 얻어진 복합 추출물로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합 추출물로 포함됨에 따라 각 추출물을 준비하는 공정이 줄어들어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추출물 간의 상호 작용이 잘 이루어져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분산성, 항산화 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보습제 5 내지 15 중량부, 소듐클로라이드 0.5 내지 2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3 내지 8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 유화제 1 내지 5 중량부, 천연오일 0.0001 내지 1 중량부, 토코페롤 0.0001 내지 0.001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구체적으로 정제수 40 내지 8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안료, 또는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
도정한 유기농 쌀을 정제수로 세정한 후 분쇄하여 10 내지 100 ㎛ 입자 크기를 갖는 쌀가루를 얻었다. 얻어진 쌀가루 4kg에 펜틸렌글라이콜 4kg과 정제수 96 kg을 투입한 후 60 ℃에서 2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 완료 후 수득물을 100 mesh와 400 mesh 거름망으로 순차적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25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쌀추출물을 얻었다.
[준비예 2]
유용성 감초추출물(현대바이오랜드社)을 준비하였다.
[준비예 3]
건조된 청호잎, 컴프리잎, 에버라스팅전초, 님잎, 카렌듈라꽃 각각이 3 중량부, 0.5 중량부, 0.5 중량부, 0.5 중량부, 0.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원재료를 준비하고, 글리세린 10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45 중량부 및 정제수 40 중량부가 혼합된 용매에 준비된 원재료를 투입한 후(원재료+용매=100 중량부) 60 ℃에서 5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 완료 후 수득물을 100 mesh와 400 mesh 거름망으로 순차적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이후 25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정제수 60 중량부, 글리세린 11 중량부, 준비예 1의 쌀추출물 4.8 중량부, 소듐클로라이드 1 중량부, p-아니식애씨드 0.3 중량부, 폴리라이신 0.1 중량부를 수상용해조에 넣어 80 ℃에서 완전 용해하여 수상용해물을 제조하였다.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6 중량부, 폴리글리세릴-4올리에이트 5.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올리에이트 1.8 중량부, 글리세릴올리에이트 1.5 중량부, 트라이올레인 1.5 중량부,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1.2 중량부, 글리세릴다이올리에이트 0.5 중량부를 유상용해조에 넣어 80 ℃에서 완전 용해하여 유상용해물을 제조하였다.
메인믹서에 제조된 유상용해물을 투입하고 믹서로 교반한 후 제조된 수상용해물을 소량씩 천천히 투입하였다. 투입 완료 후 믹서로 교반하여 유화시켰다.
별도의 용기에 준비예 2의 유용성 감초추출물 0.05 중량부와 부틸렌글라이콜 4.3 중량부를 넣고 80 ℃에서 가온하여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완전 용해시켰다. 다음, 준비예 3의 복합 추출물 0.005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459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2 중량부, 레몬껍질오일 0.05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0157 중량부, 티트리잎오일 0.015 중량부, 유칼립투스잎오일 0.005 중량부, 토코페롤 0.0003 중량부를 첨가하고 믹서로 교반하여 혼합시켰다. 혼합 완료 후 30 ℃까지 냉각 탈포하여 크림 제형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tyrosinase 활성 억제 평가(Tyrosinase inhibition assay)
하기 표 1과 같이 시험군을 준비하고, 다음의 과정으로 tyrosinase 활성 억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1) 시약 제조
Tyrosinase를 PBS에 녹여 1.5 U/μL의 Tyrosinase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Tyrosine을 PBS에 녹여 1.5 mM의 Tyrosine액을 제조하였다.
2) 시료의 전처리
실시예 1의 조성물을 100%로 하여 PBS로 상기 표 1의 처리농도가 되도록 전처리하였다.
3) 시료 처리
PBS 440 μL, 시료 40 μL, 1.5 U/μL의 tyrosinase액 40 μL를 투입하고, 1.5 mM의 tyrosine액 80 μL를 첨가한 후 20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다. 이후 96 well plate에 100 μL씩 분주한 뒤 4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tyrosinase 활성 억제율 산출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활성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1]
Tyrosinase 활성 억제율(%) = 100-{(b-b')/(a-a')×100}
a: Tyrosinase 40 μL + Tyrosine 80 μL + PBS 480 μL
a': Tyrosinase 40 μL + PBS 560 μL
b: Tyrosinase 40 μL + Tyrosine 80 μL + Sample 40 μL + PBS 440 μL
b': Tyrosinase 40 μL + Sample 40 μL + PBS 520 μL
5) 결과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을 유발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율이 99.8%까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미백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실험예 2] L-DOPA 산화 활성 억제 평가(L-DOPA oxidation inhibition assay)
하기 표 2와 같이 시험군을 준비하고, 다음의 과정으로 L-DOPA 산화 활성 억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1) 시약 제조
Tyrosinase를 PBS에 녹여 1.5 U/μL의 Tyrosinase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L-DOPA를 PBS에 녹여 6 mM의 L-DOPA액을 제조하였다.
2) 시료의 전처리
실시예 1의 조성물을 100%로 하여 PBS로 상기 표 2의 처리농도가 되도록 전처리하였다.
3) 시료 처리
PBS 850 μL, 시료 50 μL, 1.5 U/μL의 tyrosinase액 50 μL를 투입하고, 6 mM의 L-DOPA액 50 μL를 첨가한 후 20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다. 이후 96 well plate에 100 μL씩 분주한 뒤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L-DOPA 산화 활성 억제율 산출
하기 수학식 2을 통해 산화 활성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2]
L-DOPA 산화 활성 억제율(%) = 100-{(b-b')/(a-a')×100}
a: Tyrosinase 50 μL + L-DOPA 50 μL + PBS 900 μL
a': Tyrosinase 50 μL + PBS 960 μL
b: Tyrosinase 50 μL + L-DOPA 50 μL + Sample 50 μL + PBS 850 μL
b': Tyrosinase 50 μL + Sample 50 μL + PBS 900 μL
5) 결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라 L-DOPA 산화 활성 억제율이 75.2%까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미백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세포 독성 평가
96 well plate에 세포(B16-F10 cell)를 3×104 cell/well 농도로 분주하고, 37 ℃, 5 %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 24시간 후에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무혈청 배지와 실시에 1의 조성물을 농도별(0.01 %, 0.05 %, 0.1 %, 0.5 %, 1 %로 희석)로 처리하여 37 ℃, 5 %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모두 제거한 뒤, MTT kit protocol에 따라 MTT 시약을 처리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2시간 배양 후 59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수학식 3에 적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3]
세포 생존율(%) = (시료 첨가군의 O.D. at 590 nm/ 시료 무첨가군의 O.D. at 590 nm)×100
도 3을 참조하면, 0.01%, 0.05% 농도일 때 세포가 컨트롤에 비하여 100% 이상으로 존재하여 세포 생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멜라닌 생성 저해 평가(melanogenesis inhibition assay)
하기 표 3과 같이 시험군을 준비하고, 다음의 과정으로 멜라닌 생성 저해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1) 세포 분주
6 well plate에 세포(B16-F10 cell)를 3.5×104 cell/well 농도로 분주하고, 37 ℃, 5 %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 시료 처리
세포 분주 24 시간 후에 dish안의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PBS로 wash하여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후 phenol red free 배지로 희석한 α-MSH와 각 시료를 총 2 mL씩 처리하고 37 ℃, 5 % CO2 배양기에서 9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회수하여 cell lysis buffer로 녹인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한 상층액을 이용하여 BCA protein assay kit를 수행한 후 BSA 표준곡선에 따라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또한 세포를 회수하여 10 % DMSO가 함유된 1N NaOH를 첨가하여 세포를 풀어준 뒤 heat block 80 ℃에서 1시간 동안 끓여 멜라닌을 용해시킨 후 47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멜라닌 생성 저해율 산출
단백질양 대비 멜라닌양으로 환산하고, 이를 하기 수학식 4에 적용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4]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저해율(%) = {시료 첨가군(멜라닌/단백질)/음성 대조군(멜라닌/단백질, G2)}×100
4) 결과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98.8%까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미백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Claims (5)

  1. 쌀추출물, 유용성 감초추출물, 청호추출물, 컴프리잎추출물, 에버라스팅추출물, 님잎추출물 및 카렌듈라꽃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추출물은 쌀가루가 투입된 정제수에 진동수가 10 내지 70 kHz이고 출력이 100 내지 500 W인 초음파를 인가하는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호추출물, 컴프리잎추출물, 에버라스팅추출물, 님잎추출물 및 카렌듈라꽃추출물은 청호, 컴프리잎, 에버라스팅, 님잎, 카렌듈라꽃 각각을 2 내지 4:0.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0.1 내지 1의 중량비율로 용매에 투입하고, 50 내지 70 ℃에서 3 내지 7 시간 동안 추출과정을 거쳐 얻어진 복합 추출물로 포함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상기 유용성 감초추출물 0.01 내지 5 중량부, 상기 청호추출물 0.001 내지 1 중량부, 상기 컴프리잎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부, 상기 에버라스팅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부, 상기 님잎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부 및 상기 카렌듈라꽃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보습제 5 내지 15 중량부, 소듐클로라이드 0.5 내지 2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3 내지 8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 유화제 1 내지 5 중량부, 천연오일 0.0001 내지 1 중량부, 토코페롤 0.0001 내지 0.001 중량부 및 정제수 40 내지 8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22348A 2021-02-19 2021-02-19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8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48A KR20220118660A (ko) 2021-02-19 2021-02-19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48A KR20220118660A (ko) 2021-02-19 2021-02-19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60A true KR20220118660A (ko) 2022-08-26

Family

ID=8311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348A KR20220118660A (ko) 2021-02-19 2021-02-19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86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17831A (zh) * 2023-09-08 2023-11-10 广州市宝颜化妆品有限公司 一种美白抗初老洁面乳及其制备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02A (ko) 2015-07-28 2017-02-07 한국콜마주식회사 피세아타놀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02A (ko) 2015-07-28 2017-02-07 한국콜마주식회사 피세아타놀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17831A (zh) * 2023-09-08 2023-11-10 广州市宝颜化妆品有限公司 一种美白抗初老洁面乳及其制备工艺
CN117017831B (zh) * 2023-09-08 2024-03-19 广州市宝颜化妆品有限公司 一种美白抗初老洁面乳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847B1 (ko) 조직배양한 덴드로비움 칸디둠 다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1083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JPH09328410A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26140B1 (ko) 동백 추출물, 금화규 추출물, 개서어 추출물, 누에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CN105434201B (zh) 含石榴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和皮肤外用剂
CN115887518A (zh) 青蒿提取物的抗糖化应用
KR20220118660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JP4460420B2 (ja)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1990824B1 (ko) 색소가 제거된 닥나무 수피 추출물 및 천연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6123A (ko) 은이버섯, 바다포도, 천화분, 백차, 연자육, 에버라스팅, 나노화백금으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8018118A1 (fr) Composition contenant du nemagaritake et un agent hydratant, un stimulant cellulaire, un agent de blanchiment et un anti-oxydant
KR20170122671A (ko)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CN112386639A (zh) 金花茶汁液用于制备抗蓝光组合物的用途
JP2009197035A (ja) 皮膚外用剤
KR20160036122A (ko)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2276A (ko) 감초를 이용하여 포제된 서목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21605A (ko) 유자 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조성물
JP2008056587A (ja) 皮膚外用剤
KR102246846B1 (ko)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600A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