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886A - 콘솔의 틸트 구조 및 콘솔 - Google Patents

콘솔의 틸트 구조 및 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886A
KR20220117886A KR1020227022842A KR20227022842A KR20220117886A KR 20220117886 A KR20220117886 A KR 20220117886A KR 1020227022842 A KR1020227022842 A KR 1020227022842A KR 20227022842 A KR20227022842 A KR 20227022842A KR 20220117886 A KR20220117886 A KR 20220117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n
operation member
console
j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가토
아미 이시미즈
노리히로 이와하시
다쿠마 쇼다
게이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62D1/18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the entire column being tiltable as a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고, 구성도 심플한 틸트 구조를 제공한다. 제1 프레임(20)의 상부에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2 프레임(25)과, 상기 제2 프레임(25)에 경동축(26)을 통하여 전후로 경동 조작 가능하게 부착된 조작 부재(30)를 갖춘다. 상기 조작 부재(30)는 상기 제1 프레임(20)의 핀(23)을 수용하는 홈(34)이 형성된 가이드부(32)를 갖춘다. 상기 조작 부재(30)를 경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핀(23)이 복수의 걸어맞춤부(35) 중 어느 하나에 걸어맞춤한 로킹 상태와, 상기 핀(23)이 상기 걸어맞춤부(35)로부터 빠진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35) 중 임의의 걸어맞춤부(35)에 상기 핀(23)을 걸어맞춤시켜, 상기 경동축(26)과 상기 핀(23)과의 거리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20)에 대한 상기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가 변화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콘솔의 틸트 구조 및 콘솔
본 발명은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는 콘솔, 및 이 콘솔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압 쇼벨 등의 건설기계에서는, 캐빈 내에 운전석이 설치되고, 이 운전석에 대해 타고 내리기 위한 승강구가 좌우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 좌석의 측부에는 콘솔이 배치되고, 이 콘솔에 조종용의 조종 레버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좌석에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거나, 좌석에 앉았을 때의 조종 레버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하기 위해, 콘솔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를 설치한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틸트 브래킷에 상하 2개 평행하게 로킹 핀이 세팅되고, 상측의 로킹 핀이 가동 프레임측에 고정되고, 하측의 로킹 핀이 고정 프레임측의 치구부(齒溝部)에 로킹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고정 프레임측의 치구부에 대한 하측의 로킹 핀의 걸어맞춤 위치를 바꿈으로써, 가동 프레임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일본 실개 평7-19058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 기재의 구조는 가동 프레임의 기울기를 바꾸기 위해 콘솔의 내부에 배치된 틸트 브래킷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틸트 브래킷을 회전시키는 기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어,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고, 구성도 심플한 틸트 구조 및 콘솔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는 콘솔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로서, 좌석의 측부에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경동(傾動)축을 통하여 전후로 경동 조작 가능하게 부착된 조작 부재를 갖추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돌출하는 핀을 갖추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핀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추고, 상기 홈은 상기 핀과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갖추고, 상기 조작 부재를 경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핀이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 중 어느 하나에 걸어맞춤한 로킹 상태와, 상기 핀이 상기 걸어맞춤부로부터 빠진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 중 임의의 걸어맞춤부에 상기 핀을 걸어맞춤시켜, 상기 경동축과 상기 핀과의 거리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 프레임의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로킹 상태와 해제 상태를 직접 전환할 수 있고, 이 전환 조작에 의해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또, 구성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좌석 및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콘솔의 기울기를 바꾼 상태의 좌석 및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콘솔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2 프레임이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로킹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콘솔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해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콘솔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2 프레임을 상방으로 이동시킨 로킹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콘솔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2 프레임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로킹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콘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3 프레임을 조립하기 전의 도면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콘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3 프레임을 조립한 도면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콘솔을 구성하는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콘솔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틸트 구조의 조작 부재를 생략)으로서, (a) 게이트 레버가 차단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 (b) 게이트 레버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따른 콘솔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틸트 구조의 조작 부재를 2점쇄선으로 표시)으로서, (a) 게이트 레버가 차단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 (b) 게이트 레버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변형예에 따른 콘솔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틸트 구조의 조작 부재를 생략)으로서, (a) 제1 프레임이 하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 (b) 제1 프레임이 상방 위치로 뛰어올려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변형예에 따른 콘솔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틸트 구조의 조작 부재를 2점쇄선으로 표시)이며, (a) 제1 프레임이 하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 (b) 제1 프레임이 상방 위치로 뛰어올려진 상태의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종자가 좌석(10)에 착석했을 때의 수평한 정면 방향을 「전측」 방향으로 하고, 이 「전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측」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조종자가 좌석(10)에 착석하고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조종자로부터 보아 좌측을 「좌측」 방향이라고 하고 조종자로부터 보아 우측을 「우측」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11)은 유압 쇼벨 등의 건설기계에 사용된다. 이러한 건설기계는, 캐빈 내에 조종자용의 좌석(1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좌석(10)의 양측부에 콘솔(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콘솔(11)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종용의 조종 레버(12)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종자는 이 조종 레버(12)를 양손으로 조작함으로써, 좌우로 선회하거나, 암을 움직이거나와 같은 조종을 행한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좌석(10)으로부터 보아 한쪽의 콘솔(11)(도 1에서는 좌측의 콘솔(11))의 더 안쪽에는, 좌석(10)에 대해 타고 내리기 위한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석(10)에 앉기 위해서는 콘솔(11)의 앞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있어, 이 콘솔(11)의 앞이 좌석(10)으로의 승강 통로로 되어 있다. 이 한쪽의 콘솔(11)에는, 조종 시에 있어서의 승강을 방해하기 위한 게이트 레버(42)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 중은 승강 통로를 차단함과 아울러, 승강 시에는 게이트 레버(42)를 뛰어올림(flip up)으로써 승강 통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콘솔(11)은 좌석(10)으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거나, 좌석(10)에 앉았을 때의 조종 레버(12)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하기 위해, 콘솔(11)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솔(11)의 기울기를 바꾸어, 조종 레버(12)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콘솔(1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25)과, 조작 부재(30)를 갖추고 있다. 이들 기구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커버(41)로 덮여 있어, 조작 가능한 일부를 제외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 프레임(20)은 좌석(10)의 측부에 고정되는 프레임이다. 이 제1 프레임(20)은 바닥면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프레임(20)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측판부(20a)를 갖춘다. 이 측판부(20a)에는, 수평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는 핀(23)이 고정되어 있다. 이 핀(23)은 제1 프레임(20)의 전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홈(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2 프레임(25)은 제1 프레임(20)의 상부에 부착되고, 제1 프레임(20)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프레임(25)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측판부(25a)를 갖춘다. 이 제2 프레임(25)의 측판부(25a)의 하단부는 제1 프레임(20)의 측판부(20a)의 상단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측판부(20a, 25a)가 후측부에서 겹치는 위치에, 양자를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요동축(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요동축(21)의 주위에 댐퍼(22)가 배치되어 있어, 제1 프레임(20) 및 제2 프레임(25)의 요동에 대하여 제동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프레임(25)이 요동 가능한 상태(후술하는 해제 상태)로 된 경우에도, 제2 프레임(25)이 급격하게 요동하지 않고, 완만하게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30)는 콘솔(11)의 기울기를 바꿀 때에 조종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이며, 제2 프레임(25)에 대하여 전후로 경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부재(30)는 제2 프레임(25)의 전단 부근에 설치된 경동축(26)을 통하여, 제2 프레임(25)에 경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경동축(26)은 제1 프레임(20)의 핀(23)과 마찬가지로 수평한 축이며, 핀(23)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30)를 경동 조작시키기 위한 그립부(31)와, 홈(34)이 형성된 가이드부(32)를 갖춘다.
그립부(31)는 조작 부재(30)의 상단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도 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프레임 커버(4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그립부(31)는 선단이 전방으로 돌출한 역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역L자형의 그립부(31)를 조종자가 쥐고 조작 부재(30)를 경동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32)는 그립부(31)의 하방에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의 부위이다. 이 가이드부(32)의 상단 부근에는, 상기한 경동축(26)을 삽입하기 위한 축 구멍(33)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축 구멍(33)보다 하방에는, 상기한 핀(2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홈(3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홈(34)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뻗는 이형(異形)의 긴 구멍이며, 핀(23)을 걸 수 있는 복수의 걸어맞춤부(35)를 갖추고 있다. 걸어맞춤부(35)는 핀(23)을 걸 수 있도록, 홈(34)의 일부를 전방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홈(34)을 슬라이딩한 핀(23)이 이 걸어맞춤부(35)에 들어가 걸어짐으로써, 핀(23)을 걸어맞춤부(35)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걸어맞춤부(35)는 선단 방향으로 감에 따라 점차로 끝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부(35)의 입구를 크게 하여 핀(23)을 걸어맞춤부(35)에 유도하기 쉽게 함과 아울러, 핀(23)이 걸어맞춤부(35)에 들어갔을 때에는 덜커덕 거림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홈(34)은 복수의 걸어맞춤부(35)를 갖추고 있고, 이들 복수의 걸어맞춤부(35)의 사이를 핀(23)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걸어맞춤부(35)는 상하에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어느 걸어맞춤부(35)에 핀(23)이 걸어맞춤하는지에 따라 조작 부재(30)(및 조작 부재(30)에 걸어맞춤된 제2 프레임(25))의 높이가 바뀌게 되어 있다.
홈(34) 안의 핀(23)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조작 부재(30)를 경동 조작한다. 조작 부재(30)를 경동 조작함으로써, 핀(23)이 복수의 걸어맞춤부(35) 중 어느 하나에 걸어진 로킹 상태와, 핀(23)이 걸어맞춤부(35)로부터 빠진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로킹 상태에서는, 홈(34) 안에서 핀(23)이 로킹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프레임(25)을 제1 프레임(20)에 대하여 요동시킬 수 없다. 그러나, 해제 상태에서는, 핀(23)을 홈(34)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핀(23)을 홈(34)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2 프레임(25)을 제1 프레임(20)에 대하여 요동시킬 수 있어,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부재(30)는 경동축(26)을 중심으로 경동 가능하지만, 스프링 등의 바이어스 부재(40)에 의해 상시 바이어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연 상태에서는, 그립부(31)가 전방으로 바이어스됨과 아울러, 가이드부(32)의 하부(홈(34)이 형성된 부분)가 후방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되고 있지 않은 자연상태에서는, 핀(23)을 걸어맞춤부(35)에 걸어맞춤시키는 방향으로 조작 부재(30)가 바이어스되어 있고, 즉, 로킹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조작 부재(30)가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러한 자연상태로부터 그립부(31)를 잡고 자기 앞쪽(후방)으로 당김 조작함으로써, 조작 부재(30)가 바이어스 부재(40)에 저항하여 경동하고, 로킹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립부(31)의 당김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조작 부재(30)가 바이어스 부재(40)에 바이어스되어 경동하고, 해제 상태로부터 로킹 상태로 자동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립부(31)를 자기 앞쪽으로 당김 조작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로킹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핀(23)이 걸어맞춤부(35)로부터 빠지므로, 핀(23)이 홈(34)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제2 프레임(25)을 올리고 내림으로써,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2 프레임(25)을 임의의 높이로 설정하면, 그립부(31)를 놓아 조작 부재(30)를 경동 전의 위치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3)이 걸어맞춤부(35)에 들어가 로킹 상태로 되므로, 그 높이로 제2 프레임(25)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틸트 구조에서는, 복수의 걸어맞춤부(35) 중 어느 걸어맞춤부(35)에 핀(23)을 걸어맞춤시키는지에 따라, 경동축(26)과 핀(23)과의 거리가 변화되어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홈(34)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걸어맞춤부(35)에 대향하는 면에 안내부(36)을 갖추고 있다. 이 안내부(36)는 홈(34)의 내면을 걸어맞춤부(35)의 방향으로 돌출시킨 것이며, 걸어맞춤부(35)에 핀(23)을 유도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3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에 경사면을 형성한 대략 〈 모양의 돌출부이다. 이 안내부(36)는 해제 상태에서 제2 프레임(25)을 올리고 내렸을 때에 핀(23)이 부딪치도록, 홈(34)의 내측으로 돌출해 있다. 핀(23)이 홈(34)의 경사면에 부딪침으로써, 핀(23)은 걸어맞춤부(35)의 방향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핀(23)을 용이하게 걸어맞춤부(35)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또, 조종자는 핀(23)이 안내부(36)에 부딪치는 감촉을 바탕으로 걸어맞춤부(35)의 대체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립부(31)를 놓을 타이밍(로킹 상태로 이행하는 타이밍)을 잡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홈(34)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35)를 일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한 제1 구획(37)과, 제1 구획(37)의 하방에 상기 일정 간격보다도 큰 간격을 두고 1개의 걸어맞춤부(35)를 배치한 제2 구획(38)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구획(37)에 의해 콘솔(11)(조종 레버(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 제2 구획(38)에 의해 콘솔(11)을 뛰어올려지게 할 수 있다.
즉, 콘솔(11)의 높이를 미세 조정하여, 조종자의 체격에 맞는 위치에 조종 레버(12)를 배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 구획(37)에 설치된 복수의 걸어맞춤부(35)(걸어맞춤부(35A∼E))를 사용하여, 콘솔(11)의 높이를 결정하면 된다.
또, 콘솔(11)을 뛰어올려 좌석(10)으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구획(38)에 설치된 걸어맞춤부(35F)를 사용함으로써, 크게 콘솔(11)을 뛰어올릴 수 있다. 이때, 게이트 레버(42)도 동시에 뛰어올려지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로킹 상태와 해제 상태를 직접 전환할 수 있고, 이 전환 조작에 의해 콘솔(11)(제2 프레임(25) 및 프레임 커버(41))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으로 콘솔(11)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또, 구성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 경동축(26)을 사이에 끼고, 상방에 그립부(31)가 배치되고, 하방에 홈(34)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부(31)를 크게 조작하지 않아도(그립부(31)를 조금 움직이는 것만으로), 로킹 상태와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30)는 콘솔(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립부(31)를 자기 앞쪽으로 당김 조작함으로써, 핀(23)이 걸어맞춤부(35)로부터 빠져 해제 상태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프레임(25)을 유지하며 높이를 바꿀 때, 그립부(31)를 당김 조작하면 자연적으로 제2 프레임(25)을 유지한 자세로 되기 때문에, 제2 프레임(25)의 올림과 내림을 한쪽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20)이 좌석(10)의 측부에 고정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프레임(20)을 상방으로 뛰어올려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좌석(10)으로의 승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구획(38)에 설치된 걸어맞춤부(35F)를 사용함으로써, 제2 프레임(25)만을 뛰어올리도록 했지만(도 7 참조), 이것 대신에, 제2 프레임(25)을 지지하고 있는 제1 프레임(20)을 상방으로 뛰어올리도록 해도 된다.
도 8∼14는 제1 프레임(20)을 상방으로 뛰어올려지도록 구성한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따른 조작 부재(30)는 상기한 실시형태와는 다른 형상이며, 또, 상기한 실시형태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작 부재(30)는, 제2 구획(38)(걸어맞춤부(35F))을 갖추고 있지 않다고 하는 차이는 있지만,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부재(30)와 비교하여 기능이나 작용에 있어서 상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른 조작 부재(3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콘솔(1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프레임(45)과, 제1 프레임(20)의 뛰어오름(flip up)을 억제하기 위한 뛰어오름 스토퍼(46)와, 뛰어오름 스토퍼(46)를 조작하기 위한 뛰어오름 조작 부재(47)와, 제2 프레임(25)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게이트 레버(42)를 갖춘다.
제3 프레임(45)은, 제1 프레임(20)의 하방에서, 좌석(10)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제3 프레임(45)의 후단부 부근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뛰어오름 요동축(45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뛰어오름 요동축(45a)의 주위에는, 뛰어오름 댐퍼(45b)가 배치되어 있다. 이 뛰어오름 댐퍼(45b)는 제1 프레임(20)을 상방으로 뛰어올리도록 바이어스함과 아울러, 제1 프레임(20)이 세차게 요동하지 않도록 제동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술하는 뛰어오름 스토퍼(46)에 의한 억제가 해제되면, 이 뛰어오름 댐퍼(45b)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제1 프레임(20)이 완만하게 상방으로 요동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뛰어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프레임(20)은 도 13(a)에 나타내는 하방 위치로부터, 도 13(b)에 나타내는 상방 위치까지 뛰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뛰어오름 스토퍼(46)는 상기한 뛰어오름 댐퍼(45b)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제1 프레임(20)을 하방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뛰어오름 스토퍼(46)에 대하여, 제1 프레임(20)에 고정된 핀(23)이 걸어맞춤함으로써, 제1 프레임(20)이 하방 위치에 고정된다.
본 변형예에 따른 뛰어오름 스토퍼(46)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요동축(46f)에 의해 하단 부근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3 프레임(45)에 대하여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뛰어오름 스토퍼(46)는, 스토퍼용 스프링(46g)에 의해, 상시 후방(핀(23)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뛰어오름 스토퍼(46)는 상방으로 뻗는 아암부(46c)를 갖추고 있고, 이 아암부(46c)의 선단이 역J자 모양으로 구부려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아암부(46c)의 하방에는, 핀(23)을 걸고 빼기 가능한 걸음부(4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음부(46a)는 전방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핀(23)을 들어가게 하여 걸어맞춤시킬 수 있다.
또, 이 걸음부(46a)의 하방에는 핀(23)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하측 규제부(46b)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규제부(46b)는 걸음부(46a)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속되도록 후방으로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규제부(46b)는 아암부(46c)의 내측(후방측)의 능선보다도 후방으로 튀어나와 형성됨으로써, 이 하측 규제부(46b)보다도 하방으로 핀(23)을 이동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 아암부(46c)의 상단(역J자 모양으로 구부려진 부분)에는, 상측 규제부(46d)와 선단 훅(46e)이 설치되어 있다. 상측 규제부(46d)는 제2 프레임(25)이 소정의 범위를 넘어 뛰어올려지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부위이며, 아암부(46c)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선단 훅(46e)은 콘솔(11)이 뛰어올려진 상태에서 게이트 레버(42)가 전방으로 돌출할 수 없도록 규제하기 위한 부위이며, 상측 규제부(46d)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핀(23)이 걸음부(46a)에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는, 도 11(a) 및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은 뛰어오름 댐퍼(45b)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하방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뛰어오름 스토퍼(46)가 핀(23)과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기 때문에, 뛰어오름 스토퍼(46)가 전방으로 요동하지 않는 한은, 제1 프레임(20)은 하방 위치에 머물러 있다.
이 상태로부터, 후술하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조작되어 뛰어오름 스토퍼(46)가 전방으로 요동하면, 도 13(a) 및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3)이 걸음부(46a)로부터 빠진다. 핀(23)이 걸음부(46a)로부터 빠지면, 뛰어오름 댐퍼(45b)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제1 프레임(20)이 완만하게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프레임(20)에 고정된 핀(23)도 일체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뛰어오름 스토퍼(46)는 핀(23)의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부(46c)의 내측이 핀(23)에 밀어붙여진다. 바꾸어 말하면, 핀(23)이 아암부(46c)의 내측의 능선을 타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1 프레임(20)은, 도 13(b) 및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누름부(48d)(후술)가 상측 규제부(46d)에 맞닿는 위치까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 누름부(48d)가 상측 규제부(46d)에 맞닿으면, 제1 프레임(20) 및 제2 프레임(25)은 그 이상 이동할 수 없으므로, 뛰어올려진 상방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 상태로부터 제1 프레임(20)을 다시 하방 위치로 내리고 싶을 때에는, 제2 프레임(25)의 위로부터 제1 프레임(20)을 밀어 내리면 된다. 핀(23)이 하측 규제부(46b)에 맞닿는 위치까지 제1 프레임(20)을 밀어 내리면, 도 11(a) 및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용 스프링(46g)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핀(23)과 걸음부(46a)가 걸어맞춤한다. 이 때문에, 제1 프레임(20)을 밀어 내리는 힘이 없어져도, 제1 프레임(20)을 하방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이 제3 프레임(45)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해도, 핀(23)과 걸어맞춤부(35)의 걸어맞춤은 그대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콘솔(11)의 기울기(제1 프레임(20)에 대한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유지한 채로, 제1 프레임(20)을 제3 프레임(4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뛰어오름 동작의 전후에서 콘솔(11)의 기울기가 바뀌지 않으므로, 조종자가 승강한 경우에도 틸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콘솔(11)을 뛰어올리거나, 게이트 레버(42)를 조작하거나 할 때에 조종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이다. 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제2 프레임(25)에 대하여 전후로 경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제2 프레임(25)에 설치된 회동축(47d)을 통하여, 제2 프레임(25)에 경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도 1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종 레버(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조종 레버(12)의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뛰어오름 조작이나 게이트 레버(42)의 조작 시에 잘못해서 조종 레버(12)에 접촉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30)도 조종 레버(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어, 조작 부재(30)와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도 8∼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략 L자형의 부재이며, 대략 L자형의 굴절부 부근을 회동축(47d)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 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상단부에 파지부(47a)를 갖추고 있다. 또, 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회동축(47d)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전방 돌출부(47b)를 갖추고 있다.
파지부(47a)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경동 조작시킬 때에 조종자가 쥐기 위한 부위이다. 이 파지부(47a)는, 조작 부재(30)의 그립부(31)와 마찬가지로, 조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프레임 커버(4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전방 돌출부(47b)는 후술하는 제1 링크 부재(48)를 접속하기 위해 설치된 부위이다. 이 전방 돌출부(47b)의 선단에는, 제1 링크 부재(48)를 회전 자유롭게 접속하기 위한 제1 링크 접속부(47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링크 접속부(47c)에는, 도 10∼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1 링크 부재(48)가 회전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이 제1 링크 부재(48)는 링크 요동축(48e)을 통하여, 제2 프레임(25)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제1 링크 부재(48)는 링크 요동축(48e)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1 아암부(48a)와, 링크 요동축(48e)보다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2 아암부(48c)를 갖춘다.
제1 아암부(48a)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제2 링크 부재(49)를 회전 자유롭게 접속하기 위한 제2 링크 접속부(48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제1 아암부(48a)에는, 링크 요동축(48e)과 제2 링크 접속부(48b)의 사이에서, 상기한 제1 링크 접속부(47c)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아암부(48c)의 선단에는, 뛰어오름 스토퍼(46)의 아암부(46c)에 면하도록 스토퍼 누름부(48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누름부(48d)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의 조작에 연동하여 뛰어오름 스토퍼(46)를 전방으로 누르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한 제1 링크 부재(48)의 제2 링크 접속부(48b)에는, 도 10∼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2 링크 부재(49)가 회전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링크 부재(49)에는, 후술하는 게이트 레버(42)와 걸어맞춤시키기 위한 원호 형상 가이드(49a)가 설치되어 있다. 원호 형상 가이드(49a)는 원호 형상의 홈 또는 구멍이다. 이 원호 형상 가이드(49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게이트 레버(42)의 가이드핀(42b)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게이트 레버(42)는 조종 중에 좌석(10)으로의 승강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며, 게이트 레버 요동축(42c)을 통하여, 제2 프레임(25)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게이트 레버(42)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석(10)으로의 승강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석(10)으로의 통로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단 위치에서는, 게이트 레버(42)의 차단부(42a)가 게이트 레버 요동축(42c)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조종자의 좌석(10)으로의 승강을 방해하도록 되어 있다. 퇴피 위치에서는, 게이트 레버(42)의 차단부(42a)가 하방을 향하고 있어, 승강 통로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게이트 레버(42)는, 게이트 레버용 스프링(42d)(도 8 및 도 9 참조)에 의해, 상시 후방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게이트 레버용 스프링(42d)은 차단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가장 신장하도록 설정된 인장 스프링이다. 이 게이트 레버용 스프링(42d)에 의해, 게이트 레버(42)가 퇴피 위치 또는 차단 위치를 유지하도록 바이어스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 게이트 레버(42)를 차단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또는 퇴피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게이트 레버용 스프링(42d)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게이트 레버용 스프링(42d)이 가장 신장하는 위치를 넘어)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게이트 레버(42)는 게이트 레버 요동축(42c)과 평행한 가이드핀(42b)을 갖추고 있다. 이 가이드핀(42b)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부재(49)의 원호 형상 가이드(49a)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링크 부재(49)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원호 형상 가이드(49a)에 삽입된 가이드핀(42b)도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게이트 레버(42)가 전방으로 선회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링크 부재(49)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원호 형상 가이드(49a)에 삽입된 가이드핀(42b)도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게이트 레버(42)가 후방(하방)으로 선회하게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게이트 레버(42)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즉, 도 11(a)에 도시하는 차단 위치에 게이트 레버(42)가 있을 때에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가장 전방의 제1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후방으로 당김 조작하면,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제2 포지션까지 이동한다.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하면, 제1 링크 접속부(47c)가 당겨 올려져, 제1 링크 부재(48)가 링크 요동축(48e)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링크 접속부(48b)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제2 링크 부재(49)가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가이드핀(42b)이 후방으로 끌어 당겨지고, 게이트 레버(42)가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반대로, 도 11(b)에 도시하는 퇴피 위치에 게이트 레버(42)가 있을 때에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는 제2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전방으로 밀기 조작하면,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제1 포지션까지 이동한다.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제1 포지션으로 이동하면, 제1 링크 접속부(47c)가 밀어 내려져, 제1 링크 부재(48)가 링크 요동축(48e)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링크 접속부(48b)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2 링크 부재(49)가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가이드핀(42b)이 전방으로 밀리고, 게이트 레버(42)가 차단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에 의해, 제1 프레임(20)의 뛰어오름 조작도 가능하여, 게이트 레버(42)의 퇴피 조작에 연속하여 뛰어오름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도 11(a)에 나타내는 제1 포지션으로부터, 도 11(b)에 나타내는 제2 포지션을 경유하여, 도 13(a)에 나타내는 제3 포지션까지 더 조작했을 때, 뛰어오름 스토퍼(46)의 걸음부(46a)와 핀(2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제1 프레임(20)이 뛰어올라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b)에 도시하는 제2 포지션으로부터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더욱 당김 조작하면,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제3 포지션까지 이동한다.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제3 포지션으로 이동하면, 제1 링크 접속부(47c)가 끌어 당겨지고, 제1 링크 부재(48)가 링크 요동축(48e)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스토퍼 누름부(48d)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뛰어오름 스토퍼(46)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이것에 의해, 뛰어오름 스토퍼(46)가 스토퍼용 스프링(46g)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요동하고, 걸음부(46a)와 핀(23)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걸음부(46a)와 핀(23)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뛰어오름 댐퍼(45b)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도 13(b)에 도시하는 상방 위치까지 제1 프레임(20)이 뛰어올려진다.
또한,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제2 포지션으로부터 제3 포지션까지 조작되었을 때에는, 원호 형상 가이드(49a)의 내부를 가이드핀(42b)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제2 링크 부재(49)를 움직이는 힘이 게이트 레버(42)에 전달되지 않아, 게이트 레버(42)가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까지 조작하면, 게이트 레버(42)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제2 포지션으로부터 제3 포지션까지 더 조작하면, 게이트 레버(42)는 그대로, 뛰어오름 동작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일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게이트 레버(42)의 퇴피 조작과 제1 프레임(20)의 뛰어오름 조작을 연속해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이 상방 위치로 뛰어올려진 상태에서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전방으로 조작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이 상방 위치로 뛰어올려진 상태에서는, 스토퍼 누름부(48d)가 뛰어오름 스토퍼(46) 상측 규제부(46d) 및 선단 훅(46e)에 걸어맞춤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 누름부(48d)가 선단 훅(46e)을 미는 방향(도 13(b)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는, 제1 링크 부재(48)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전방으로 조작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뛰어오름 스토퍼(46)에 의해 조작 불능으로 로킹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프레임(20)이 뛰어올려진 상태에서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전방으로 조작하여 게이트 레버(42)를 차단 위치로 이동할 수는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는, 제1 프레임(20)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프레임(45)과, 제1 프레임(20)을 상방으로 뛰어올리도록 바이어스하는 뛰어오름 댐퍼(45b)와, 제3 프레임(45)에 부착되어 핀(23)에 걸어맞춤 가능한 뛰어오름 스토퍼(46)와, 뛰어오름 스토퍼(46)를 조작하기 위한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갖춘다. 그리고, 뛰어오름 스토퍼(46)는 핀(23)을 걸고 빼기 가능한 걸음부(46a)를 갖추고, 핀(23)이 걸음부(46a)에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는, 제1 프레임(20)은 뛰어오름 댐퍼(45b)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하방 위치에 고정되고,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조작되어 핀(23)이 걸음부(46a)로부터 빠졌을 때에는, 제1 프레임(20)은 뛰어오름 댐퍼(45b)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상방 위치까지 뛰어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틸트 구조를 구성하는 핀(23)을 사용하여, 콘솔(11)의 뛰어오름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는, 제1 프레임(20)에 대한 제2 프레임(25)의 기울기를 유지한 채로, 제1 프레임(20)을 제3 프레임(4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종자가 승강하기 전후에 있어서 틸트 위치가 유지되므로, 조종자가 승강할 때마다 틸트 위치를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 본 변형예는 조종자의 좌석(10)으로의 승강을 방해하기 위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게이트 레버(42)를 갖추고, 게이트 레버(42)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소정의 제1 포지션으로 조작했을 때, 좌석(10)으로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 로 이동하고,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소정의 제2 포지션으로 조작했을 때, 좌석(10)으로의 통로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에 의해, 콘솔(11)의 뛰어오름 조작뿐만 아니라, 게이트 레버(42)의 조작도 행할 수 있으므로, 콘솔(11)을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는,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을 경유하여 소정의 제3 포지션으로 조작했을 때, 걸음부(46a)와 핀(23)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뛰어오름 조작 부재(47)를 일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게이트 레버(42)의 퇴피와 콘솔(11)의 뛰어오름 동작을 연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는, 제1 프레임(20)이 뛰어올려진 상태에서 게이트 레버(42)가 차단 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뛰어오름 조작 부재(47)가 뛰어오름 스토퍼(46)에 의해 조작 불능으로 로킹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프레임(20)이 뛰어올려진 상태에서, 잘못해서 게이트 레버(42)를 차단 위치로 이동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10 좌석
11 콘솔
12 조종 레버
20 제1 프레임
20a 측판부
21 요동축
22 댐퍼
23 핀
25 제2 프레임
25a 측판부
26 경동축
30 조작 부재
31 그립부
32 가이드부
33 축 구멍
34 홈
35, 35A∼F 걸어맞춤부
36 안내부
37 제1 구획
38 제2 구획
40 바이어스 부재
41 프레임 커버
42 게이트 레버
42a 차단부
42b 가이드핀
42c 게이트 레버 요동축
42d 게이트 레버용 스프링
45 제3 프레임
45a 뛰어오름 요동축
45b 뛰어오름 댐퍼
46 뛰어오름 스토퍼
46a 걸음부
46b 하측 규제부
46c 아암부
46d 상측 규제부
46e 선단 훅
46f 스토퍼 요동축
46g 스토퍼용 스프링
47 뛰어오름 조작 부재
47a 파지부
47b 전방 돌출부
47c 제1 링크 접속부
47d 회동축
48 제1 링크 부재
48a 제1 아암부
48b 제2 링크 접속부
48c 제2 아암부
48d 스토퍼 누름부
48e 링크 요동축
49 제2 링크 부재
49a 원호 형상 가이드

Claims (12)

  1. 좌석의 측부에 배치되는 콘솔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틸트 구조로서,
    좌석의 측부에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경동축을 통하여 전후로 경동 조작 가능하게 부착된 조작 부재
    를 갖추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돌출하는 핀을 갖추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핀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추고,
    상기 홈은 상기 핀과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갖추고,
    상기 조작 부재를 경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핀이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 중 어느 하나에 걸어맞춤한 로킹 상태와, 상기 핀이 상기 걸어맞춤부로부터 빠진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 중 임의의 걸어맞춤부에 상기 핀을 걸어맞춤시켜, 상기 경동축과 상기 핀과의 거리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 프레임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를 후방으로 당김 조작함으로써, 상기 경동축을 지지점으로 상기 가이드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프레임에 갖추어진 핀이 상기 걸어맞춤부로부터 빠져 해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상기 걸어맞춤부에 대향하는 측에, 상기 걸어맞춤부의 방향으로 상기 핀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경동축을 사이에 끼고, 상방으로 상기 조작 부재를 경동 조작시키기 위한 그립부가 배치되고, 하방에 상기 홈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걸어맞춤부를 일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한 제1 구획과, 상기 제1 구획의 하방에 상기 일정 간격보다 큰 간격을 두고 1개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배치한 제2 구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콘솔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의 틸트 구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틸트 구조를 갖춘 콘솔로서,
    상기 제1 프레임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을 상방으로 뛰어올리도록 바이어스하는 뛰어오름 댐퍼와,
    상기 제3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핀에 걸어맞춤 가능한 뛰어오름 스토퍼와,
    상기 뛰어오름 스토퍼를 조작하기 위한 뛰어오름 조작 부재
    를 갖추고,
    상기 뛰어오름 스토퍼는 상기 핀을 걸고 빼기 가능한 걸음부를 갖추고,
    상기 핀이 상기 걸음부에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뛰어오름 댐퍼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하방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뛰어오름 조작 부재가 조작되어 상기 핀이 상기 걸음부로부터 빠졌을 때에는,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뛰어오름 댐퍼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상방 위치까지 뛰어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 프레임의 기울기를 유지한 채로,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조종자의 좌석으로의 승강을 방해하기 위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게이트 레버를 갖추고,
    상기 게이트 레버는, 상기 뛰어오름 조작 부재를 소정의 제1 포지션으로 조작했을 때, 상기 좌석으로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뛰어오름 조작 부재를 소정의 제2 포지션으로 조작했을 때, 상기 좌석으로의 통로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뛰어오름 조작 부재를,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을 경유하여 소정의 제3 포지션으로 조작했을 때, 상기 걸음부와 상기 핀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이 뛰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 레버가 상기 차단 위치 로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뛰어오름 조작 부재가 상기 뛰어오름 스토퍼에 의해 조작 불능으로 로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계의 조종용의 조종 레버를 갖추고,
    상기 뛰어오름 조작 부재는 상기 조종 레버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KR1020227022842A 2019-12-26 2020-12-02 콘솔의 틸트 구조 및 콘솔 KR20220117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6072 2019-12-26
JP2019236072 2019-12-26
PCT/JP2020/044871 WO2021131556A1 (ja) 2019-12-26 2020-12-02 コンソールのチルト構造およびコンソ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886A true KR20220117886A (ko) 2022-08-24

Family

ID=7657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842A KR20220117886A (ko) 2019-12-26 2020-12-02 콘솔의 틸트 구조 및 콘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71649A1 (ko)
JP (1) JP7498457B2 (ko)
KR (1) KR20220117886A (ko)
CN (1) CN114846207A (ko)
DE (1) DE112020006367T5 (ko)
WO (1) WO2021131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483A (ko) * 2021-09-16 2023-03-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58A (ja) 1993-06-15 1995-01-20 Fuji Heavy Ind Ltd 過給機付エンジン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00Y2 (ko) * 1984-09-28 1991-06-12
JPH0719058U (ja) 1993-09-22 1995-04-04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縦装置に於けるチルトロック装置
JP3034795B2 (ja) * 1996-04-25 2000-04-17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コンソールのチルト装置
TW529866U (en) * 2001-08-03 2003-04-21 Veutron Corp Integrated spring sheet structure for paper pressing and blocking of automatic paper feeding device
JP4214001B2 (ja) * 2003-06-04 2009-01-28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解除機構
JP4535457B2 (ja) 2006-06-13 2010-09-01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作業機械における乗降遮断装置
JP4555268B2 (ja) 2006-09-11 2010-09-29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チルト角度調節装置
EP2800518B1 (en) * 2012-01-08 2020-06-10 Stryker Corporation X-ray compatible patient support apparatus
US9265440B2 (en) * 2012-05-30 2016-02-23 General Electric Company Split bridge for PET-MR scan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58A (ja) 1993-06-15 1995-01-20 Fuji Heavy Ind Ltd 過給機付エンジン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1556A1 (ja) 2021-07-01
DE112020006367T5 (de) 2022-10-20
JPWO2021131556A1 (ko) 2021-07-01
US20220371649A1 (en) 2022-11-24
JP7498457B2 (ja) 2024-06-12
CN114846207A (zh)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8536B1 (en) Vehicle seat
KR100398935B1 (ko) 건설기계
JP4544171B2 (ja) キャビン昇降装置
JPH0212772B2 (ko)
KR20220117886A (ko) 콘솔의 틸트 구조 및 콘솔
JP5647437B2 (ja) 座席シート
US20220410766A1 (en) Tilt structure for console
JP4535457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乗降遮断装置
CN110435403B (zh) 锁定机构和敞开式车顶构造
JP2008025141A (ja) 作業用機械における乗降遮断装置
JP2019111971A (ja)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アジャスタ装置
JPH0735882Y2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4413669B2 (ja) 建設機械のゲートロック装置
JP4150607B2 (ja) 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キャンセル装置
JP426057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5446982A (en) Motion controller handrest with lever lock
JP5087351B2 (ja) テールゲート付き荷台
JP4793925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乗降遮断装置
KR20220117887A (ko) 콘솔의 틸트 구조
JP2009536054A (ja) 自動車のシートの調整可能なヘッドレストの上昇および下降の機構において使用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ブラケットシステム
JP3942085B2 (ja) 車両用シート
JPH08198147A (ja) キャブロック装置
JPWO2004108471A1 (ja) インターロック機構を備える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JPS60169339A (ja) ダンプカ−のレバ−操作装置
JPH08127270A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