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469A -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469A
KR20220117469A KR1020210020867A KR20210020867A KR20220117469A KR 20220117469 A KR20220117469 A KR 20220117469A KR 1020210020867 A KR1020210020867 A KR 1020210020867A KR 20210020867 A KR20210020867 A KR 20210020867A KR 20220117469 A KR20220117469 A KR 20220117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insulating
wiring pattern
insulating layer
contact plug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배
남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469A/ko
Priority to US17/476,985 priority patent/US11837548B2/en
Priority to CN202111527486.0A priority patent/CN114944360A/zh
Priority to TW110147188A priority patent/TW202247400A/zh
Publication of KR2022011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469A/ko
Priority to US18/373,392 priority patent/US2024002152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6Aspects relating to the layout of the pattern or to the size of vias or tre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85By forming conductive members before deposition of protective insulating material, e.g. pillars, stu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2Capaci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6Via connections in a multilevel interconnec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8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8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01L23/5283Cross-sectional geomet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H01L23/53295Stacked insulat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반도체 장치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층간 절연막, 제1 층간 절연막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트렌치, 제1 트렌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컨택 플러그, 컨택 플러그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 패턴,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제1 배선 패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배선 패턴,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제1 배선 패턴의 측벽 및 제2 배선 패턴의 측벽 각각을 둘러싸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제1 트렌치의 내부에서 컨택 플러그 상에 형성되는 제1 에어 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 다기능화 및/또는 낮은 제조 단가 등의 특성들로 인하여 반도체 소자는 전자 산업에서 중요한 요소로 각광 받고 있다. 반도체 소자들은 논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기억 소자, 논리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반도체 논리 소자, 및 기억 요소와 논리 요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반도체 소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 전자 기기의 고속화, 저 소비전력화에 따라 이에 내장되는 반도체 소자 역시 빠른 동작 속도 및/또는 낮은 동작 전압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특성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는 보다 고집적화 되고 있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심화될수록,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높은 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의 일부가 식각된 컨택 플러그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여, 인접한 배선 패턴과의 사이에서의 분리(isolation) 마진을 확보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몇몇 실시예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층간 절연막, 제1 층간 절연막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트렌치, 제1 트렌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컨택 플러그, 컨택 플러그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 패턴,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제1 배선 패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배선 패턴,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제1 배선 패턴의 측벽 및 제2 배선 패턴의 측벽 각각을 둘러싸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제1 트렌치의 내부에서 컨택 플러그 상에 형성되는 제1 에어 갭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다른 몇몇 실시예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층간 절연막, 제1 층간 절연막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트렌치, 제1 트렌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컨택 플러그, 컨택 플러그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 패턴,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제1 배선 패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배선 패턴,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제1 배선 패턴의 측벽 및 제2 배선 패턴의 측벽 각각을 둘러싸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제1 트렌치의 내부에서 컨택 플러그 상에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에어 갭 및 제2 에어 갭을 포함하되, 컨택 플러그의 상면으로부터 제1 층간 절연막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제1 트렌치와 제2 배선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제1 배선 패턴의 수평 방향의 폭은 컨택 플러그에 인접할수록 증가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몇몇 실시예는, 기판 상에 트렌치를 포함하는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트렌치의 내부에 컨택 플러그를 형성하고, 컨택 플러그 상에 제1 배선 패턴을 형성하고,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제1 배선 패턴의 측벽을 둘러싸는 제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여, 트렌치의 내부에서 컨택 플러그와 제2 층간 절연막 사이에 에어 갭을 형성하고, 제2 층간 절연막 상에 제3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에어 갭의 상면은 제1 층간 절연막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R1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R2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R3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R4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중간 단계 도면들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중간 단계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R1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기판(100), 제1 층간 절연막(110), 컨택 플러그(120), 제1 배선 패턴(130), 제2 배선 패턴(135), 제2 층간 절연막(140), 에어 갭(150), 제3 층간 절연막(160), 비아(170), 제4 층간 절연막(180),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베이스 기판과 에피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 갈륨 비소 기판, 실리콘 게르마늄 기판, 세라믹 기판, 석영 기판, 또는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등일 수도 있고, SOI(Semiconductor On Insulator) 기판일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판(100)은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패턴은 금속 배선 또는 컨택 등일 수도 있고,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또는 다이오드 등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판(100)은 핀형 패턴 형상의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핀형 트랜지스터(FinFET), 나노 와이어 또는 나노 시트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MBCFETTM(Multi-Bridge 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터널링 트랜지스터(tunneling FET), 평면(planar) 트랜지스터, 양극성 접합(bipolar junction) 트랜지스터 또는 횡형 이중 확산 트랜지스터(LDMO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기판(100)은 NCFET(Nagative Capacitance 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VFET(Vertical Field-Effect Transisto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1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1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및 저유전율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유전율 물질은 예를 들어, FOX(Flowable Oxide), TOSZ(Tonen SilaZen), USG(Undoped Silica Glass), BSG(Borosilica Glass), PSG(PhosphoSilaca Glass), BPSG(BoroPhosphoSilica Glass), PETEOS(Plasma Enhanced Tetra Ethyl Ortho Silicate), FSG(Fluoride Silicate Glass), CDO(Carbon Doped silicon Oxide), Xerogel, Aerogel, Amorphous Fluorinated Carbon, OSG(Organo Silicate Glass), Parylene, BCB(bis-benzocyclobutenes), SiLK, polyimide, porous polymeric material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트렌치(T1)는 제1 층간 절연막(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렌치(T1)는 제1 층간 절연막(110)을 수직 방향(DR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컨택 플러그(120)는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120)의 측벽은 제1 층간 절연막(1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 플러그(120)는 기판(100)의 내부에 배치된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는 컨택 플러그(120)가 단일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택 플러그(120)는 이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택 플러그(120)는 제1 트렌치(T1)의 측벽 및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는 배리어층 및 배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필링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은 예를 들어,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륨(Ta), 탄탈륨 질화물(TaN), 탄탈륨 탄질화물(TaC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텅스텐 탄질화물(WCN), 지르코늄(Zr), 지르코늄 질화물(ZrN), 바나듐(V), 바나듐 질화물(VN), 니오븀(Nb), 니오븀 질화물(NbN)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링층은 예를 들어, 탄소(C), 은(Ag), 코발트(Co), 탄탈륨(Ta), 인듐(In), 주석(Sn), 아연(Zn), 망간(Mn), 티타늄(Ti), 마그네슘(Mg), 크롬(Cr), 게르마늄(Ge), 스트론튬(Sr), 백금(Pt),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또는 지르코늄(Z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적어도 일부는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 상에서 제1 트렌치(T1)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130)은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130)은 컨택 플러그(120)와 접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1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130)의 측벽은 경사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선 패턴(130)의 수평 방향(DR1)의 폭은 컨택 플러그(120)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패터닝 공정을 통해 제1 배선 패턴(130)이 형성된 후에, 제2 층간 절연막(140)이 형성됨으로써, 제1 배선 패턴(130)의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이 상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130)은 제1 배리어층(131) 및 제1 배선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131)은 제1 배선 패턴(13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131)은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층(131)은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131)은 예를 들어,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륨(Ta), 탄탈륨 질화물(TaN), 탄탈륨 탄질화물(TaC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텅스텐 탄질화물(WCN), 지르코늄(Zr), 지르코늄 질화물(ZrN), 바나듐(V), 바나듐 질화물(VN), 니오븀(Nb), 니오븀 질화물(NbN)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배선층(132)은 제1 배리어층(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층(132)은 예를 들어, 탄소(C), 은(Ag), 코발트(Co), 탄탈륨(Ta), 인듐(In), 주석(Sn), 아연(Zn), 망간(Mn), 티타늄(Ti), 마그네슘(Mg), 크롬(Cr), 게르마늄(Ge), 스트론튬(Sr), 백금(Pt),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또는 지르코늄(Z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배선 패턴(135)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 패턴(135)은 제1 배선 패턴(130)과 수평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 패턴(135)은 기판(100)의 내부에 배치된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 배선 패턴(135)의 측벽은 제1 배선 패턴(130)의 측벽과 마찬가지로 경사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 패턴(135)의 수평 방향(DR1)의 폭은 제1 층간 절연막(110)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패터닝 공정을 통해 제2 배선 패턴(135)이 형성된 후에, 제2 층간 절연막(140)이 형성됨으로써, 제2 배선 패턴(135)의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이 상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선 패턴(135)은 제1 배리어층(131) 및 제1 배선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131)은 제2 배선 패턴(135)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131)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층(131)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 패턴(135)은 제1 트렌치(T1)로부터 수평 방향(DR1)으로 제1 간격(P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으로부터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까지의 수직 방향(DR2)의 제1 높이(H1)는 제1 트렌치(T1)와 제2 배선 패턴(135) 사이의 제1 간격(P1)보다 클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0)은 제1 층간 절연막(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0)은 제1 배선 패턴(130)의 측벽의 일부 및 제2 배선 패턴(135)의 측벽 각각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0)의 상면은 제1 배선 패턴(130)의 상면 및 제2 배선 패턴(135)의 상면 각각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 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및 저유전율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갭(150)은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서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갭(150)은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과 제2 층간 절연막(140) 사이에서, 제1 배선 패턴(130)의 측벽 중에서 적어도 하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갭(150)은 제1 에어 갭(151) 및 제2 에어 갭(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 갭(151)은 제2 에어 갭(152)과 수평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에어 갭(151)은 제1 배선 패턴(130)의 제1 측벽(130s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에어 갭(152)은 제1 배선 패턴(130)의 제1 측벽(130s1)과 대향하는 제1 배선 패턴(130)의 제2 측벽(130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배선 패턴(1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에어 갭(151)과 제2 에어 갭(1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에어 갭(151)은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 제1 층간 절연막(110), 제1 배선 패턴(130)의 제1 측벽(130s1) 및 제2 층간 절연막(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 갭(152)은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 제1 층간 절연막(110), 제1 배선 패턴(130)의 제2 측벽(130s2) 및 제2 층간 절연막(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에어 갭(150)의 상면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어 갭(151)의 상면(151a)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 갭(152)의 상면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층간 절연막(160)은 제2 층간 절연막(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층간 절연막(160)은 제1 배선 패턴(130)의 상면 및 제2 배선 패턴(135)의 상면 각각을 덮을 수 있다. 제3 층간 절연막(16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및 저유전율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렌치(T2)는 제3 층간 절연막(16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트렌치(T2)는 제3 층간 절연막(160)을 수직 방향(DR2)으로 관통할 수 있다.
비아(170)는 제2 트렌치(T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비아(170)의 측벽은 제3 층간 절연막(16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아(170)는 제1 배선 패턴(130)과 접할 수 있다.
도 1에는 비아(170)가 단일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아(170)는 이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아(170)는 제2 트렌치(T2)의 측벽 및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는 비아 배리어층 및 비아 배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비아 필링층을 포함할 수 있다.
비아 배리어층은 예를 들어,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륨(Ta), 탄탈륨 질화물(TaN), 탄탈륨 탄질화물(TaC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텅스텐 탄질화물(WCN), 지르코늄(Zr), 지르코늄 질화물(ZrN), 바나듐(V), 바나듐 질화물(VN), 니오븀(Nb), 니오븀 질화물(NbN)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아 필링층은 예를 들어, 탄소(C), 은(Ag), 코발트(Co), 탄탈륨(Ta), 인듐(In), 주석(Sn), 아연(Zn), 망간(Mn), 티타늄(Ti), 마그네슘(Mg), 크롬(Cr), 게르마늄(Ge), 스트론튬(Sr), 백금(Pt),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또는 지르코늄(Z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아(170)의 상면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배선 패턴(190)은 비아(17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190)은 비아(170)와 접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190)은 비아(170), 제1 배선 패턴(130) 및 컨택 플러그(120)를 통해 기판(100)의 내부에 배치된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3 배선 패턴(190)의 수평 방향(DR1)의 폭이 비아(170)에 인접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배선 패턴(190)의 수평 방향(DR1)의 폭은 비아(170)에 인접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190)은 제2 배리어층(191) 및 제2 배선층(1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191)은 제3 배선 패턴(19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191)은 비아(17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층(191)은 비아(170)의 상면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배리어층(191)은 예를 들어,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륨(Ta), 탄탈륨 질화물(TaN), 탄탈륨 탄질화물(TaC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텅스텐 탄질화물(WCN), 지르코늄(Zr), 지르코늄 질화물(ZrN), 바나듐(V), 바나듐 질화물(VN), 니오븀(Nb), 니오븀 질화물(NbN)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배선층(192)은 제2 배리어층(19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층(192)은 예를 들어, 탄소(C), 은(Ag), 코발트(Co), 탄탈륨(Ta), 인듐(In), 주석(Sn), 아연(Zn), 망간(Mn), 티타늄(Ti), 마그네슘(Mg), 크롬(Cr), 게르마늄(Ge), 스트론튬(Sr), 백금(Pt),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또는 지르코늄(Z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 배선 패턴(195)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배선 패턴(195)은 제3 배선 패턴(190)과 수평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4 배선 패턴(195)의 수평 방향(DR1)의 폭이 비아(170)에 인접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4 배선 패턴(195)의 수평 방향(DR1)의 폭은 비아(170)에 인접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제4 배선 패턴(195)은 제2 배리어층(191) 및 제2 배선층(1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191)은 제4 배선 패턴(195)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191)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층(191)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 층간 절연막(180)은 제3 층간 절연막(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층간 절연막(180)은 제3 배선 패턴(190)의 측벽 및 제4 배선 패턴(195)의 측벽 각각을 둘러쌀 수 있다.
제4 층간 절연막(180)의 상면은 제3 배선 패턴(190)의 상면 및 제4 배선 패턴(195)의 상면 각각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 될 수 있다. 제4 층간 절연막(18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및 저유전율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상부의 일부가 식각된 컨택 플러그(120) 상에 제1 배선 패턴(130)을 형성하여, 제1 배선 패턴(130)과 제1 배선 패턴(130)에 인접한 제2 배선 패턴(135) 사이의 분리(isolation) 마진을 확보함으로써,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에어 갭(250)이 제1 배선 패턴(230)의 일 측벽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갭(250)은 제1 배선 패턴(230)의 제1 측벽(250s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230)의 제1 측벽(250s1)과 대향하는 제1 배선 패턴(230)의 제2 측벽(250s2)은 제1 층간 절연막(110)과 접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배선 패턴(230)의 제2 측벽(250s2)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 제2 층간 절연막(140)이 배치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배선 패턴(230)의 제2 측벽(250s2)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서 일부의 공간에 제2 층간 절연막(14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배선 패턴(230)은 제1 배리어층(231) 및 제1 배선층(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231)은 제1 층간 절연막(110)과 접하는 제1 배선 패턴(230)의 측벽 및 컨택 플러그(120)와 접하는 제1 배선 패턴(23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231)은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120a) 및 제1 층간 절연막(110)과 접할 수 있다. 제1 배선층(232)은 제1 배리어층(2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R2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컨택 플러그(320)가 제1 부분(321) 및 제1 부분(32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부분(32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 플러그(320)의 제1 부분(321) 및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 각각은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320)의 제1 부분(321)의 측벽들은 제1 층간 절연막(110)과 접할 수 있다.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측벽들은 제1 층간 절연막(110)과 이격될 수 있다.
에어 갭(150)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1 부분(321)의 상면과 제2 층간 절연막(140) 사이에서,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양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갭(150)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측벽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갭(150)은 제1 에어 갭(151) 및 제2 에어 갭(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 갭(151)은 제2 에어 갭(152)과 수평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에어 갭(151)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1 부분(321)의 상면, 제1 층간 절연막(110),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제1 측벽 및 제2 층간 절연막(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 갭(152)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1 부분(321)의 상면, 제1 층간 절연막(110),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제2 측벽 및 제2 층간 절연막(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여기에서,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제2 측벽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을 의미한다.
에어 갭(150)의 상면(151a)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 갭(150)의 상면(151a)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측벽의 일부는 제2 층간 절연막(140)과 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배선 패턴(330)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330)의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330)의 하면은 제2 배선 패턴(135)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330)은 제1 배리어층(331) 및 제1 배선층(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331)은 제1 배선 패턴(33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331)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층(331)은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상면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층(332)은 제1 배리어층(3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컨택 플러그(420)가 제1 부분(421) 및 제1 부분(421)으로부터 수직 방향(DR2)으로 돌출된 제2 부분(42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 플러그(420)의 제1 부분(421) 및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 각각은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갭(450)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1 부분(421)의 상면과 제2 층간 절연막(140) 사이에서,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일 측벽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갭(450)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제1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갭(450)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제1 측벽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제2 측벽은 제1 층간 절연막(110)과 접할 수 있다.
에어 갭(450)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1 부분(421)의 상면, 제1 층간 절연막(110),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제1 측벽 및 제2 층간 절연막(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도 6에는 제1 배선 패턴(430)의 제2 측벽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 제2 층간 절연막(140)이 배치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배선 패턴(430)의 제2 측벽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서 일부의 공간에 제2 층간 절연막(14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에어 갭(450)의 상면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11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 갭(150)의 상면(151a)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제1 측벽의 일부는 제2 층간 절연막(140)과 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배선 패턴(430)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430)의 제1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제1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430)의 하면은 제2 배선 패턴(135)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430)은 제1 배리어층(431) 및 제1 배선층(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431)은 제1 배선 패턴(43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431)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층(431)은 컨택 플러그(420)의 제2 부분(422)의 상면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층(432)은 제1 배리어층(4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R3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비아(570)의 상면 상에 제3 에어 갭(551) 및 제4 에어 갭(552)이 형성될 수 있다.
비아(570)는 제2 트렌치(T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비아(570)의 상면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적어도 일부는 비아(570)의 상면 상에서 제2 트렌치(T2)에 노출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590)의 측벽은 경사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배선 패턴(590)의 수평 방향(DR1)의 폭은 비아(570)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패터닝 공정을 통해 제3 배선 패턴(590)이 형성된 후에, 제4 층간 절연막(180)이 형성됨으로써, 제3 배선 패턴(590)의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이 상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590)은 제2 배리어층(591) 및 제2 배선층(5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591)은 제2 배선 패턴(59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591)은 비아(57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층(591)은 비아(570)의 상면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배선 패턴(195)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16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배선 패턴(195)은 제3 배선 패턴(590)과 수평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배선 패턴(195)은 제2 트렌치(T2)로부터 수평 방향(DR1)으로 제2 간격(P2)만큼 이격될 수 있다. 비아(570)의 상면으로부터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160a)까지의 수직 방향(DR2)의 제2 높이(H2)는 제2 트렌치(T2)와 제4 배선 패턴(195) 사이의 제2 간격(P2)보다 클 수 있다.
제3 에어 갭(551) 및 제4 에어 갭(552) 각각은 제2 트렌치(T2)의 내부에서 비아(570)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에어 갭(551)의 제4 에어 갭(552)과 수평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에어 갭(551) 및 제4 에어 갭(552)은 비아(570)의 상면과 제4 층간 절연막(180) 사이에서, 제3 배선 패턴(590)의 양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에어 갭(551)은 제3 배선 패턴(590)의 제1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에어 갭(552)은 제3 배선 패턴(590)의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제3 배선 패턴(590)의 제2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배선 패턴(590)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에어 갭(551)과 제4 에어 갭(5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에어 갭(551)은 비아(570)의 상면, 제3 층간 절연막(160), 제3 배선 패턴(590)의 제1 측벽 및 제4 층간 절연막(18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또한, 제4 에어 갭(552)은 비아(570)의 상면, 제3 층간 절연막(160), 제3 배선 패턴(590)의 제2 측벽 및 제4 층간 절연막(18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제3 에어 갭(551)의 상면(551a) 및 제4 에어 갭(552)의 상면 각각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16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3 에어 갭(651)이 제3 배선 패턴(690)의 일 측벽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에어 갭(651)은 제3 배선 패턴(690)의 제1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690)의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제3 배선 패턴(690)의 제2 측벽은 제3 층간 절연막(160)과 접할 수 있다.
도 9에는 제3 배선 패턴(690)의 제2 측벽과 제3 층간 절연막(160) 사이에 제4 층간 절연막(180)이 배치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배선 패턴(690)의 제2 측벽과 제3 층간 절연막(160) 사이에서 일부의 공간에 제4 층간 절연막(18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배선 패턴(690)은 제2 배리어층(691) 및 제2 배선층(6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691)은 제3 층간 절연막(160)과 접하는 제3 배선 패턴(690)의 측벽 및 비아(570)와 접하는 제3 배선 패턴(69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691)은 비아(570)의 상면 및 제3 층간 절연막(160)과 접할 수 있다. 제2 배선층(692)은 제2 배리어층(69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R4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비아(770)가 제1 부분(771) 및 제1 부분(771)으로부터 수직 방향(DR2)으로 돌출된 제2 부분(772)을 포함할 수 있다. 비아(770)의 제1 부분(771) 및 비아(770)의 제2 부분(772) 각각은 제2 트렌치(T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비아(770)의 제1 부분(771)의 측벽들은 제3 층간 절연막(160)과 접할 수 있다.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측벽들은 제3 층간 절연막(160)과 이격될 수 있다.
제3 에어 갭(551) 및 제4 에어 갭(552)은 비아(770)의 제1 부분(771)의 상면과 제4 층간 절연막(180) 사이에서,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양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에어 갭(551) 및 제4 에어 갭(552) 각각은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양 측벽과 제3 층간 절연막(1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에어 갭(551)은 비아(770)의 제1 부분(771)의 상면, 제3 층간 절연막(160),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제1 측벽 및 제4 층간 절연막(18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또한, 제4 에어 갭(552)은 비아(770)의 제1 부분(771)의 상면, 제3 층간 절연막(160),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제2 측벽 및 제4 층간 절연막(18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여기에서,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제2 측벽은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을 의미한다.
제3 에어 갭(551)의 상면(551a) 및 제4 에어 갭(554)의 상면 각각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16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에어 갭(551)의 상면(551a) 및 제4 에어 갭(554)의 상면 각각은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측벽의 일부는 제4 층간 절연막(180)과 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배선 패턴(790)은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790)의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은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790)의 하면은 제4 배선 패턴(195)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790)은 제2 배리어층(791) 및 제2 배선층(7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791)은 제3 배선 패턴(79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791)은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층(791)은 비아(770)의 제2 부분(772)의 상면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선층(792)은 제2 배리어층(79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비아(870)가 제1 부분(871) 및 제1 부분(871)으로부터 수직 방향(DR2)으로 돌출된 제2 부분(872)을 포함할 수 있다. 비아(870)의 제1 부분(871) 및 비아(870)의 제2 부분(872) 각각은 제2 트렌치(T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에어 갭(851)은 비아(870)의 제1 부분(871)의 상면과 제4 층간 절연막(180) 사이에서,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일 측벽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3 에어 갭(851)은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제1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에어 갭(851)은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제1 측벽과 제3 층간 절연막(1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제1 측벽과 대향하는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제2 측벽은 제3 층간 절연막(160)과 접할 수 있다.
제3 에어 갭(851)은 비아(870)의 제1 부분(871)의 상면, 제3 층간 절연막(160),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제1 측벽 및 제4 층간 절연막(180)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 일 수 있다.
도 12에는 제3 배선 패턴(890)의 제2 측벽과 제3 층간 절연막(160) 사이에 제4 층간 절연막(180)이 배치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배선 패턴(890)의 제2 측벽과 제3 층간 절연막(160) 사이에서 일부의 공간에 제4 층간 절연막(18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에어 갭(851)의 상면은 제3 층간 절연막(16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에어 갭(851)의 상면은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제1 측벽의 일부는 제4 층간 절연막(180)과 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배선 패턴(890)은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890)의 제1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은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제1 측벽의 경사 프로파일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890)의 하면은 제4 배선 패턴(195)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890)은 제2 배리어층(891) 및 제2 배선층(8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891)은 제3 배선 패턴(89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배리어층(891)은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층(891)은 비아(870)의 제2 부분(872)의 상면 상에서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선층(892)은 제2 배리어층(89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중간 단계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1 층간 절연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층간 절연막(110)의 내부에 수직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1 트렌치(T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렌치(T1)에 의해 기판(10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프리(pre) 컨택 플러그(120p)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 컨택 플러그(120p)는 제1 트렌치(T1)를 완전히 채울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리 컨택 플러그(120p)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남아있는 프리 컨택 플러그(120p)의 일부는 컨택 플러그(120)를 형성할 수 있다.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층간 절연막(110) 및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 상에 제1 배리어 물질층(131M)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물질층(131M)은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제1 배리어 물질층(131M) 상에 제1 배선 물질층(132M)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렌치(T2)는 컨택 플러그(120), 제1 배리어 물질층(131M) 및 제1 배선 물질층(132M)에 의해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배리어 물질층(131M) 및 제1 배선 물질층(132M)에 대하여 패터닝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패터닝 공정을 통해, 컨택 플러그(120) 상에 제1 배선 패턴(130)이 형성되고, 제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2 배선 패턴(1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130)의 일부는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선 패턴(135)은 제1 배선 패턴(130)과 수평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배선 패턴(130) 및 제2 배선 패턴(135) 각각은 제1 배리어층(131) 및 제1 배선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선 패턴(135)은 제1 트렌치(T1)로부터 수평 방향(DR1)으로 제1 간격(도 2의 P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120)의 상면(도 2의 120a)으로부터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도 2의 110a)까지의 수직 방향(DR2)의 제1 높이(도 2의 H1)는 제1 트렌치(T1)와 제2 배선 패턴(135) 사이의 제1 간격(도 2의 P1)보다 클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2 층간 절연막(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0)은 제1 배선 패턴(130)의 일부의 측벽 및 제2 배선 패턴(135)의 측벽을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서 제1 배선 패턴(130)의 양 측벽 상에 에어 갭(15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에어 갭(151)은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서 제1 배선 패턴(130)의 제1 측벽(130s1)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에어 갭(152)은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서 제1 배선 패턴(130)의 제2 측벽(130s2)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0)의 일부는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갭(150)의 상면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층간 절연막(140) 상에 제3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층간 절연막(160)의 내부에 수직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2 트렌치(T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트렌치(T2)에 의해 제1 배선 패턴(130)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트렌치(T2)의 내부에 비아(17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아(170)는 제2 트렌치(T2)를 완전히 채울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 층간 절연막(160) 상에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은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 각각은 제3 층간 절연막(160)에 인접할수록 수평 방향(DR1)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어서, 제3 층간 절연막(160) 상에 제4 층간 절연막(180)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층간 절연막(180)은 제3 배선 패턴(190)의 측벽 및 제4 배선 패턴(195)의 측벽 각각을 둘러쌀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은 다마신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 각각은 제3 층간 절연막(160)에 인접할수록 수평 방향(DR1)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중간 단계 도면들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1 층간 절연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층간 절연막(110)의 내부에 수직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1 트렌치(T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렌치(T1)에 의해 기판(10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프리(pre) 컨택 플러그(120p)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 컨택 플러그(120p)는 제1 트렌치(T1)를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이어서, 제1 층간 절연막(110) 및 프리 컨택 플러그(120p) 상에 제1 배리어 물질층(331M) 및 제1 배선 물질층(332M)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배리어 물질층(331M) 및 제1 배선 물질층(332M)에 대하여 패터닝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패터닝 공정을 통해, 컨택 플러그(120) 상에 제1 배선 패턴(130)이 형성되고, 제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2 배선 패턴(1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터닝 공정을 통해, 프리 컨택 플러그(120p)의 상부의 일부가 식각되어 컨택 플러그(320)가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320)는 제1 부분(321) 및 제1 부분(321)으로부터 수직 방향(DR2)으로 돌출된 제2 부분(322)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터닝 공정을 통해, 제1 층간 절연막(110)과 접하는 프리 컨택 플러그(120p)의 일부가 식각되어,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이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은 제1 층간 절연막(110)과 수평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2 층간 절연막(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0)은 제1 배선 패턴(330)의 일부의 측벽 및 제2 배선 패턴(135)의 측벽을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서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양 측벽 상에 에어 갭(15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에어 갭(151)은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서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제1 측벽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에어 갭(152)은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서 컨택 플러그(320)의 제2 부분(322)의 제2 측벽과 제1 층간 절연막(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0)의 일부는 제1 트렌치(T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갭(150)의 상면은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 층간 절연막(140) 상에 제3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층간 절연막(160)의 내부에 수직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2 트렌치(T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트렌치(T2)에 의해 제1 배선 패턴(330)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트렌치(T2)의 내부에 비아(17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아(170)는 제2 트렌치(T2)를 완전히 채울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층간 절연막(160) 상에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은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 각각은 제3 층간 절연막(160)에 인접할수록 수평 방향(DR1)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어서, 제3 층간 절연막(160) 상에 제4 층간 절연막(180)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층간 절연막(180)은 제3 배선 패턴(190)의 측벽 및 제4 배선 패턴(195)의 측벽 각각을 둘러쌀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은 다마신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 배선 패턴(190) 및 제4 배선 패턴(195) 각각은 제3 층간 절연막(160)에 인접할수록 수평 방향(DR1)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기판 110: 제1 층간 절연막
120: 컨택 플러그 130: 제1 배선 패턴
135: 제2 배선 패턴 140: 제2 층간 절연막
150: 에어 갭 160: 제3 층간 절연막
170: 비아 180: 제4 층간 절연막
190: 제3 배선 패턴 195: 제4 배선 패턴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트렌치;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컨택 플러그;
    상기 컨택 플러그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 패턴;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배선 패턴;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측벽 및 상기 제2 배선 패턴의 측벽 각각을 둘러싸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부에서 상기 컨택 플러그 상에 형성되는 제1 에어 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갭은 상기 컨택 플러그와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사이에서,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측벽 중에서 적어도 하나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갭은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제1 측벽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제2 측벽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과 접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플러그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에어 갭은 상기 컨택 플러그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사이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갭은 상기 컨택 플러그의 상기 제1 부분의 제1 측벽 상에 형성되고, 상기 컨택 플러그의 상기 제1 부분의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상기 컨택 플러그의 상기 제1 부분의 제2 측벽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과 접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플러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상면까지의 제1 높이는 상기 제1 트렌치와 상기 제2 배선 패턴 사이의 제1 간격보다 큰 반도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갭의 상면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상기 수평 방향의 폭은 상기 컨택 플러그에 인접할수록 증가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3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트렌치와,
    상기 제2 트렌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비아와,
    상기 비아 상에 배치되는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4 배선 패턴과,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측벽 및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측벽 각각을 둘러싸는 제4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2 트렌치의 내부에서 상기 비아 상에 형성되는 제2 에어 갭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 갭은 상기 비아와 상기 제4 층간 절연막 사이에서,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측벽 중에서 적어도 하나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에어 갭은 상기 비아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사이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3 층간 절연막의 상면까지의 제2 높이는 상기 제2 트렌치와 상기 제4 배선 패턴 사이의 제2 간격보다 큰 반도체 장치.
  13.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트렌치;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컨택 플러그;
    상기 컨택 플러그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 패턴;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배선 패턴;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측벽 및 상기 제2 배선 패턴의 측벽 각각을 둘러싸는 제2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부에서 상기 컨택 플러그 상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에어 갭 및 제2 에어 갭을 포함하되,
    상기 컨택 플러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트렌치와 상기 제2 배선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상기 수평 방향의 폭은 상기 컨택 플러그에 인접할수록 증가하는 반도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에어 갭과 상기 제2 에어 갭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플러그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컨택 플러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에어 갭과 상기 제2 에어 갭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제3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트렌치와,
    상기 제2 트렌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비아와,
    상기 비아 상에 배치되는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4 배선 패턴과,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측벽 및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측벽 각각을 둘러싸는 제4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2 트렌치의 내부에서 상기 비아 상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3 에어 갭 및 제4 에어 갭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7. 기판 상에 트렌치를 포함하는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컨택 플러그를 형성하고,
    상기 컨택 플러그 상에 제1 배선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측벽을 둘러싸는 제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여,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서 상기 컨택 플러그와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사이에 에어 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에 제3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 갭의 상면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상기 컨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트렌치의 내부를 채우도록 프리(pre) 컨택 플러그를 형성하고,
    상기 프리 컨택 플러그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상면보다 낮은 상면을 갖는 컨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상기 컨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컨택 플러그 상에 상기 제1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트렌치의 내부를 채우도록 프리 컨택 플러그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층간 절연막과 접하는 상기 프리 컨택 플러그의 일부를 식각하여,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컨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플러그 상에 상기 제1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컨택 플러그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트렌치와 상기 제2 배선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10020867A 2021-02-17 2021-02-17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17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67A KR20220117469A (ko) 2021-02-17 2021-02-17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476,985 US11837548B2 (en) 2021-02-17 2021-09-16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2111527486.0A CN114944360A (zh) 2021-02-17 2021-12-14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TW110147188A TW202247400A (zh) 2021-02-17 2021-12-16 半導體裝置及其製作方法
US18/373,392 US20240021520A1 (en) 2021-02-17 2023-09-27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67A KR20220117469A (ko) 2021-02-17 2021-02-17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469A true KR20220117469A (ko) 2022-08-24

Family

ID=8280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67A KR20220117469A (ko) 2021-02-17 2021-02-17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37548B2 (ko)
KR (1) KR20220117469A (ko)
CN (1) CN114944360A (ko)
TW (1) TW202247400A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4765A (en) 1995-06-07 1997-03-25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lf aligned via dual damascene
JP2000208615A (ja) 1999-01-06 2000-07-28 Texas Instr Inc <Ti> 集積回路および集積回路内接続方法
JP3943294B2 (ja) 1999-08-18 2007-07-1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282444B2 (ja) 2003-11-17 2009-06-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560375B2 (en) * 2004-09-30 2009-07-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as dielectric structure forming methods
US7888798B2 (en) 2007-05-16 2011-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interlayer conductive contact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288424B1 (ko) 2007-05-16 201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 및 콘택 플러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방법
US20090072409A1 (en) * 2007-09-14 2009-03-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connect Structures Incorporating Air-Gap Spacers
KR20090106159A (ko) 2008-04-04 2009-10-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과도식각을 수반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KR101102715B1 (ko) 2009-04-08 2012-01-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20140004343A (ko) 2012-07-02 201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18546A (ko) * 2012-08-02 2014-02-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25096B2 (en) * 2014-07-14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Air gap between tungsten metal lines for interconnects with reduced RC delay
US9786550B2 (en) 2015-06-25 2017-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resistance metal contacts to interconnects
US20170025354A1 (en) 2015-07-24 2017-01-26 SanDisk Technologies, Inc. Contact Plug Extension for Bit Line Connection
US10276505B2 (en) * 2017-03-08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57400B1 (ko) * 2018-01-17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10629484B1 (en) 2018-11-01 2020-04-21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forming self-aligned via
US10777456B1 (en) 2019-03-18 2020-09-15 Tokyo Electron Limited Semiconductor back end of line (BEOL) interconnect using multiple materials in a fully self-aligned via (FSAV) process
US11049770B2 (en) 2019-03-24 2021-06-29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abrication of self aligning interconnect structure
US11502166B2 (en) * 2019-12-20 2022-11-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al material for air gaps in semiconductor devices
US11361989B2 (en) * 2020-02-11 2022-06-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connect structures including air gaps
US11302641B2 (en) * 2020-06-11 2022-04-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lf-aligned cavity strucut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47400A (zh) 2022-12-01
CN114944360A (zh) 2022-08-26
US11837548B2 (en) 2023-12-05
US20240021520A1 (en) 2024-01-18
US20220262739A1 (en)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15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00105783A1 (en) Vertical memory devices
US1196882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US1170543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10320125A1 (en) Vertical memory devices
TW202213681A (zh) 積體電路裝置及其製造方法
KR20120119093A (ko) 반도체 소자
KR20210009000A (ko) 반도체 장치
US20230102747A1 (en) Semiconductor device
US11329045B2 (en) Field effect transistor,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layout in process of forming the same
KR20220117469A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14997A (ko) 반도체 장치
KR102520599B1 (ko) 반도체 소자
US20240179914A1 (en) Semiconductor device
US7351625B2 (en) Recessed transisto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1322496B2 (en) Method for making field effect transistor and field effect transistor formed
US2023042248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30112907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3016498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3016320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10060747A (ko) 매립비트라인을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68854A (ko) 반도체 소자
KR2023015702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30003998A (ko)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TW202347629A (zh) 半導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