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082A - 토크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토크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082A
KR20220117082A KR1020210020757A KR20210020757A KR20220117082A KR 20220117082 A KR20220117082 A KR 20220117082A KR 1020210020757 A KR1020210020757 A KR 1020210020757A KR 20210020757 A KR20210020757 A KR 20210020757A KR 20220117082 A KR20220117082 A KR 20220117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ver
torque sensor
coupled
screw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1002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082A/ko
Priority to US17/672,115 priority patent/US20220260443A1/en
Publication of KR2022011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는, 토크 센서; 랙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상기 토크 센서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센서 수용부; 상기 센서 수용부에 대해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커버하는 센서 커버; 및 상기 센서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하니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크 센서 장치{TORQUE SENSOR APPARATUS}
본 발명은, 토크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한 토크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장치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의 회전력을 랙기어에 전달하는 조향축 및 랙기어가 형성되어 조향축의 회전력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는 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랙바의 외주면은 랙하우징에 의해 감싸지게 구비되는데, 랙하우징의 일측에는 조향축의 회전력을 감지하기 위한 토크 센서가 배치되고, 토크 센서는 센서 커버를 통해 외부 이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크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토크 센서 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한 토크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는, 랙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토크 센서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센서 수용부; 상기 센서 수용부에 대해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커버하는 센서 커버; 및 상기 센서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하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수용부는 상기 센서가 구비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에는 상기 센서 커버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벽부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커버는 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벽부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벽부의 단면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플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부의 상단면과 상기 플렌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커버에는 상기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은 상기 센서 커버가 상기 센서 수용부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에는 피니언축이 관통되는 피니언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하니스는 와이어 커버를 통해 상기 센서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커버는,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센서 커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는, 센서 수용부에 대해 센서 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센서 커버를 센서 수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토크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센서가 설치되는 안착부로부터 센서 커버를 향하는 방향을 상측 또는 상방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측 또는 하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토크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는, 용이한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제조 공정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토크 센서(101), 센서 수용부(100), 센서 커버(200) 및 와이어 하니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토크 센서 장치는 랙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는 토크 센서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일 수 있다. 센서는 토크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어떠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수용부(100)는 랙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100)는 내부에 토크 센서(101)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100)는 토크 센서(101)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안착부(110) 및 안착부(1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소정의 높이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수용부(100)는 대체로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센서 수용부(100)의 내부에는 이러한 안착부(110) 및 벽부(120)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안착부(110)의 일측에는 피니언축이 배치되는 피니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0)에는 토크 센서(101)가 설치될 수 있다.
벽부(120)에는 센서 커버(200)의 결합부(220)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230)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사산(1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나사산(130)은 벽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벽부(120)의 내주측 횡단면은 원형으로 구비되나, 외주측 횡단면의 형상이 반드시 원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벽부(120)의 상단면은 센서 커버(200)와 결합 시, 센서 커버(200)의 플렌지부(250)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커버(200)는 센서 수용부(100)에 대해 나사 결합되어 센서가 배치되는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센서 커버(200)가 센서 수용부(100)에 대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커버(200)가 공간을 커버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커버(200)는 대체로 돔 형상으로 구비되며, 결합부(220), 플렌지부(250) 및 상면부(210)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는 센서 커버(20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커버(200)는 결합부(220)를 통해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센서 수용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2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에는 센서 수용부(100)의 벽부(120)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30)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산(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나사산(230)은 결합부(2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렌지부(250)는 센서 커버(200)가 센서 수용부(100)와 결합 시, 센서 수용부(100)의 벽부(120)의 상단면과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플렌지부(250)와 벽부(120)의 상단면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씰링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커버(200)의 상면부(210)에는 와이어 하니스(310)의 커넥터(35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26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홀(260)은 상면부(2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홀(260)은 센서 커버(200)가 센서 수용부(100)에 대해 나사 결합을 위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수용부(100)의 안착부(110)에 설치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하니스(310)가 센서 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 하니스(310)의 선단부에는 센서 커버(200)의 관통홀(260)을 통과하여 토크 센서(101)와 결합되는 커넥터(350)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하니스(310)는 와이어 커버(320)를 통해 센서 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커버(320)는 결합부(220)재를 통해 센서 커버(2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321) 및 와이어 하니스(310)를 제1 고정부(321)에 결합하기 위한 제2 고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322)는 엘보우(elbow)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3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3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부(321)는 센서 커버(200)에 결합 부재(330)를 통해 고정적으로 결합되나 제2 고정부(322)가 제1 고정부(32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센서 커버(200)가 센서 수용부(100)와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회전되더라도 와이어 하니스(31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시 발생될 수 있는 와이어 하니스(31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는 제1 나사산(130)이 센서 수용부(100)의 벽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고, 제2 나사산(230)이 센서 커버(200)의 결합부(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나사산(130)이 벽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이고, 제2 나사산(230)이 결합부(2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토크 센서 장치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와이어 하니스(310)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커넥터(350)가 센서 커버(200)의 관통홀(260)을 통과하여 센서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센서 커버(200)를 센서 수용부(100)에 대해 나사 결합시키고, 그 이후 와이어 하니스(310)를 센서 커버(200)에 고정함으로써 와이어 하니스(31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6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는 센서 커버(200)에 와이어 커버(320)의 제1 고정부(321)가 고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커넥터(350)를 센서에 결합시키고, 그 이후 센서 커버(200)를 센서 수용부(100)에 대해 나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하니스(310)를 잡고 있는 제2 고정부(322)가 제1 고정부(321)에 회전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와이어 하니스(310)를 센서 커버(200)에 먼저 결합시키더라도 와이어 하니스(31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커버(200) 어셈블리는, 센서 수용부(100)에 대해 센서 커버(200)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센서 커버(200)를 센서 수용부(100)에 결합시킴으로써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랙하우징
100: 센서 수용부
101: 토크 센서
110: 안착부
120: 벽부
130: 제1 나사산
200: 센서 커버
210: 상면부
220: 결합부
230: 제2 나사산
250: 플렌지부
260: 관통홀
310: 와이어 하니스
320: 와이어 커버
321: 제1 고정부
322: 제2 고정부
330: 결합 부재
350: 커넥터
400: 씰링 부재

Claims (11)

  1. 토크 센서;
    랙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토크 센서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센서 수용부;
    상기 센서 수용부에 대해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커버하는 센서 커버; 및
    상기 센서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하니스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용부는 상기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에는 상기 센서 커버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토크 센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벽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토크 센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는 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토크 센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벽부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벽부의 단면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플렌지부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상단면과 상기 플렌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에는 상기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토크 센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센서 커버가 상기 센서 수용부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동축상에 형성되는 토크 센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피니언축이 관통되는 피니언홀이 형성되는 토크 센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하니스는 와이어 커버를 통해 상기 센서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커버는,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센서 커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장치.

KR1020210020757A 2021-02-16 2021-02-16 토크 센서 장치 KR20220117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57A KR20220117082A (ko) 2021-02-16 2021-02-16 토크 센서 장치
US17/672,115 US20220260443A1 (en) 2021-02-16 2022-02-15 Torque sens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57A KR20220117082A (ko) 2021-02-16 2021-02-16 토크 센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82A true KR20220117082A (ko) 2022-08-23

Family

ID=8280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757A KR20220117082A (ko) 2021-02-16 2021-02-16 토크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260443A1 (ko)
KR (1) KR20220117082A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0740A (ja) * 1987-02-27 1988-09-01 Honda Motor Co Ltd トルクセンサ
JP3608634B2 (ja) * 1995-09-01 2005-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472744B2 (ja) * 2010-07-07 2014-04-1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452559B1 (ko) * 2011-12-06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피니언 센서 어셈블리와 피니언 센서 커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DE102012005130A1 (de) * 2012-03-14 2013-09-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Gehäuse mit einem Kabeldurchführungselement
KR20150069181A (ko)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만도 토크센서 커버
KR102207483B1 (ko) * 2014-10-16 2021-01-2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KR101658313B1 (ko) * 2015-05-19 2016-09-2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510862B1 (ko) * 2016-01-22 2023-03-17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JP6565065B2 (ja) * 2016-06-08 2019-08-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KR20190046570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JP2019104439A (ja) * 2017-12-14 2019-06-2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10108011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553094B1 (ko) * 2021-03-25 2023-07-11 (주)케이에이씨 자동차 조향장치용 토크 센서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0443A1 (en)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0021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465767B2 (en) Actuator
WO2011036950A1 (ja) 機器接続用コネクタ
US20080277178A1 (en) Steering wheel assembly with centrally located stationary support member
US11639074B2 (en) Rim cover assembly having waterproof structure and in-wheel motor having the same
WO2015118991A1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20117082A (ko) 토크 센서 장치
CN102047509A (zh) 电连接结构
JP5956058B2 (ja) コネクタ装置
CN110612244B (zh) 机电的机动车转向系
KR102124900B1 (ko) 모터
JP5973261B2 (ja) カバー
CN110893878B (zh) 转向装置的壳体结构
JP2009190479A (ja) 車両用操舵装置
JP7047309B2 (ja) モータ、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102242935B1 (ko) 자동차 조향장치
KR10251086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JP7117204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543637B1 (ja) コネクタ
JP200829053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0050130A (ja) 操舵装置
JP2022118902A (ja) ステアリング装置用コネクタ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JPH10199609A (ja) 防水コネクタ装置
CN214776365U (zh) 车把结构、车把组件及车辆
JP2014213652A (ja) 車両用ミラ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