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313B1 - 자동차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313B1
KR101658313B1 KR1020150069734A KR20150069734A KR101658313B1 KR 101658313 B1 KR101658313 B1 KR 101658313B1 KR 1020150069734 A KR1020150069734 A KR 1020150069734A KR 20150069734 A KR20150069734 A KR 20150069734A KR 101658313 B1 KR101658313 B1 KR 10165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ack housing
fastening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윤
김흥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6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313B1/ko
Priority to US15/150,430 priority patent/US9731749B2/en
Priority to DE102016208554.9A priority patent/DE102016208554B4/de
Priority to CN201610332361.5A priority patent/CN10616703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1Permanent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22Moulds for peculiarly-shaped castings
    • B22C9/24Moulds for peculiarly-shaped castings for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랙바를 감싸며 일측에 제1샤프트가 관통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샤프트가 관통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되 제1개구부의 외주면에서 복수개의 체결부가 돌출형성되며 체결부의 각 끝단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랙하우징, 제1개구부가 삽입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개구부의 토크센서커버가 결합되는 가장자리는 토크센서커버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랙하우징과 토크센서커버를 연결시키는 제2랙하우징,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홀에 체결되어 제2랙하우징을 제1랙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장치{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랙하우징 중 복잡한 구조를 별도 제작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랙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해져 랙하우징을 제작하는 메인코어의 취약부가 보강되어 크랙을 줄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시 사용되는 슬라이드 코어의 갯수가 줄어들어 형상 슬라이드에서 비교적 간단한 핀 슬라이드로 일부 변경됨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제작공정이 줄어들어 제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100)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102)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104), 그리고 조향축(104)이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 조향 컬럼(106), 조향축(104)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기어(108)와 피니언 기어(110), 양단부에 이너 볼 조인트(130)가 구비된 랙바(140), 랙바(1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랙하우징(150), 이너 볼 조인트(130)의 볼과 일체로 형성된 타이로드(160) 및 타이로드(160)의 끝단에 구비된 아우터 볼 조인트(170), 아우터 볼 조인트(170)는 타이어(180)의 너클(Knuckle, 1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100)는, 자동차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 일측에 랙기어(108)를 구비하는 랙바(140), 랙기어(108)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10)를 구비하는 조향축(104), 조향축(104)에 결합되는 토크센서(207), 랙바(140)와 조향축(104)과 토크센서(207) 등이 내장되는 랙하우징(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는, 랙하우징(150)에 조향축(104)과 토크센서(207)를 결합하고, 랙하우징(150)의 일측을 통해 삽입된 와이어하니스(209)의 커넥터(211)를 토크센서(207)에 결합하며, 와이어하니스(209)는 고정볼트(221)를 통해 랙하우징(150)에 고정되는 와이어커버(219)를 통해 랙하우징(150) 내부로 인입된다.
이렇게 랙하우징(150)에 조향축(104)과 토크센서(207)가 결합되면 상측에 씰링부재(213)가 결합된 랙하우징 커버(215)가 체결부재(217)에 의해 랙하우징(150)에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랙하우징의 형상이 복잡해 랙하우징을 제작하는 메인코어가 취약해져 크랙이 발생됨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제작시 사용되는 형상 슬라이드의 유지보수가 어렵고 랙하우징 주조설비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형상의 랙하우징을 제조함에 있어서, 슬라이드 코어의 갯수가 많아 제작 공정이 많고 제작시간이 길어지며 제작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랙하우징 제작시 복잡한 구조를 별도 제작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형상이 간단해져 랙하우징을 제작하는 메인코어의 취약부가 보강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시 사용되는 슬라이드 코어의 갯수가 줄어들어 제작공정이 줄어들고 제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랙하우징을 제작하는 메인코어의 크랙을 줄일 수 있게 되며, 형상 슬라이드에서 비교적 간단한 핀 슬라이드로 일부 변경됨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랙하우징 주조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랙바를 감싸며 일측에 조향축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되 개구부의 외주면에서 체결부가 돌출형성되며 체결부에 체결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랙하우징, 토크센서가 내장되며 조향축이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체결홀과 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관통부가 구비되어 있는 토크센서커버, 랙하우징과 토크센서커버를 연결하도록, 개구부가 삽입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체결홀에 대응되어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부가 구비되고, 외측면이 토크센서커버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토크센서커버 방향으로 돌출되어 토크센서커버가 결합되는 커버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랙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해져 랙하우징을 제작하는 메인코어의 취약부가 보강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시 사용되는 슬라이드 코어의 갯수가 줄어들어 제작공정이 줄어들고 제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랙하우징을 제작하는 메인코어의 크랙을 줄일 수 있게 되며, 형상 슬라이드에서 비교적 간단한 핀 슬라이드로 일부 변경됨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랙하우징 주조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랙바(140)를 감싸며 일측에 조향축(104)이 관통하는 개구부(311)가 형성되되 개구부(311)의 외주면에서 체결부(315)가 돌출형성되며 체결부(315)에 체결부재(370)가 나사결합되는 체결홀(416)이 형성되는 랙하우징(150), 토크센서(도 2의 207참조)가 내장되며 조향축(104)이 관통하는 연통홀(352)이 형성되고 체결홀(416)과 체결부(315)에 대응되어 체결부재(370)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356)이 형성되는 제1관통부(355)가 구비되어 있는 토크센서커버(350), 랙하우징(150)과 토크센서커버(350)를 연결하도록, 개구부(311)가 삽입결합되는 삽입홀(332)이 형성되는 삽입부(331)가 구비되며 체결홀(416)에 대응되어 체결부재(370)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336)이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부(335)가 구비되고, 외측면이 토크센서커버(35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토크센서커버(350) 방향으로 돌출되어 토크센서커버(350)가 결합되는 커버연결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향휠(102)을 회전시켜 바퀴(180)를 조향하는 장치로, 운전자가 조향휠(102)을 회전시키면 조향축(104)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조향축(104)의 끝단에 형성된 피니언기어(110)가 회전하게 되며, 피니언기어(110)는 랙바(140)에 형성된 랙기어(108)와 치합되어 있어서, 피니언기어(110)의 회전운동이 랙바(140)의 좌우 방향 직선 운동으로 전환되어, 타이로드(160)와 너클(190)을 통하여 바퀴(180)에 전달되게 된다.
이에 추가하여 일예로, 조향축(104)이 회전하면 토크센서(도 2의 207참조)가 토크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ECU(미도시)로 전달하며 ECU(미도시)는 전기적 신호를 모터(미도시)에 전달하고 모터(미도시)는 제2피니언기어(미도시)가 형성된 피니언샤프트(미도시)를 회전시켜 제2랙기어(미도시)가 형성된 랙바(140)에 조향 보조력을 제공하게 될 수도 있다.
랙바(140)를 감싸는 랙하우징(150)은 이러한 조향축(104)과 피니언샤프트(미도시)가 랙바(140)에 치합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개구부(311)와 피니언개구부(3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향축(104)은 개구부(311)에 삽입되어 랙바(140)와 치합되고 피니언샤프트(미도시)는 피니언개구부(312)에 삽입되어 랙바(140)와 치합된다.
이러한 랙하우징(150)은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하여 가공되는데, 메인코어에 슬라이드 코어와 핀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랙하우징(150)이 가공되며, 종래에는 개구부(311)와 피니언개구부(312)의 개구되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각각에 슬라이드 코어가 필요하여 총 2개의 슬라이드 코어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코어의 수가 많을수록 슬라이드 코어가 지나갈 경로만큼 메인코어가 움푹 패이게 되어 메인코어에 취약부가 발생되며, 특히 2개의 슬라이드 코어의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취약부의 두께는 더욱 얇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커버연결부재(330)가 구비되어 개구부(311)는 핀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가공되어 총 1개의 슬라이드코어가 요구됨에 따라 메인코어의 취약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코어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게 되고, 랙하우징(150)의 주조설비가 대형화되는 우려를 방지한다.
이러한 랙하우징(150)의 개구부(311)에는 조향축(104)의 토크를 감지하여 ECU(미도시)로 신호를 보내는 토크센서(도 2의 207참조)를 감싸는 토크센서커버(350)가 커버연결부재(330)를 매개로 결합되게 되며 아래에 상세히 후술한다.
먼저, 본 발명의 랙하우징(150)의 개구부(311)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조향축(104)이 관통하며, 특히 개구부(311)는 조향축(104)이 관통될 정도로 작게 개구된다.
또한, 체결부재(370)가 랙하우징(15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311)에는 상부 끝단에서 이격되는 위치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체결부(315)가 형성되며, 체결부(315)에는 체결부재(370)가 나사결합되는 체결홀(416)이 형성된다.
토크센서커버(350)는 하부가 개구되는 커버개구부(351)가 형성되어 랙하우징(150)에 커버연결부재(330)를 매개로 결합되며, 상부에는 연통홀(3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조향축(104)이 연통홀(352)을 통해 토크센서커버(35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크센서커버(350)는 체결홀(416)에 대응되어 제1관통홀(356)이 형성되어 있는 제1관통부(355)가 구비되며, 체결부재(370)가 제1관통홀(356)과 후술할 제2관통홀(336)을 관통하여 체결홀(416)에 나사체결되게 된다.
커버연결부재(330)는 랙하우징(150)과 토크센서커버(350) 사이에 결합되도록, 체결홀(416)에 대응되어 제2관통홀(336)이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부(335)가 구비되어 랙하우징(150)의 개구부(311)와 토크센서커버(350) 사이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커버연결부재(330)는 랙하우징(150)의 개구부(311)와 토크센서커버(350)의 커버개구부(351)를 밀폐시키도록 수밀면(339)이 형성되며, 수밀면(339)의 내측에 삽입부(331)가 구비되어 삽입부(331)에 형성된 삽입홀(432)에 개구부(311)가 삽입 결합되고, 수밀면(339)의 외측에 제2관통부(335)가 구비되어 제2관통부(335)의 상단부와 커버개구부(351)의 하단부가 맞닿으면서 체결부재(370)로 결합된다.
이러한 수밀면(339)은 내측의 삽입부(331)와 외측의 제2관통부(335)가 구비되어 있어서, 종래에 비해 작게 개구된 랙하우징(150)의 개구부(311)와 토크센서(207)가 수용되도록 크게 개구된 토크센서커버(350)의 커버개구부(351) 사이를 연결하면서 밀폐시킴에 따라 랙하우징(150) 내부로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연결부재(330)는 외측면이 토크센서커버(35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커버연결부재(330)의 돌출된 상단부에 커버개구부(351)의 하단부가 맞닿아 조립되게 되며, 커버연결부재(330)의 돌출된 상단부와 커버개구부(351)의 하단부 사이에는 커버씰링부재(337)가 구비된다.
즉, 커버씰링부재(337)가 구비되어 커버연결부재(330)와 토크센서커버(350) 사이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연결부재(330)에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상단부가 구비되어 커버연결부재(330)의 상단부와 토크센서커버(350)의 하단부 사이에 커버씰링부재(337)가 압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커버씰링부재(337)는 체결부재(370)가 체결홀(416)에 나사결합되면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커버연결부재(330)는 가운데에 삽입홀(332)이 형성되어 삽입홀(332)에 개구부(311)가 삽입결합되며, 삽입홀(332) 내주면에 개구부(311) 외주면이 맞닿아 조립되게 되며, 삽입홀(332) 내주면과 개구부(311) 외주면 사이에는 하우징씰링부재(338)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씰링부재(338)가 구비될 수 있도록, 삽입홀(332)의 내주면 또는 개구부(31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함몰되는 그루브(3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루브(313)에 하우징씰링부재(338)가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연결부재(330)의 삽입부(391)는 수밀면(339)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삽입부(331)의 내주면과 개구부(311)의 외주면 사이에 하우징씰링부재(338)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커버씰링부재(337)와 하우징씰링부재(338)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랙하우징(15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랙하우징(150)과 커버연결부재(330) 사이의 진동과 소음 등을 흡수하게 된다.
커버연결부재(330)가 구비되어 랙하우징(150)의 형상이 복잡해지지 않아 랙하우징(150)을 제작하는 메인코어의 취약부가 보강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시 사용되는 슬라이드코어의 갯수가 줄어들어 제작공정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제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랙바(140)에 조향축(104)과 피니언샤프트(미도시)가 치합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경우, 조향축(104)이 랙바(140)에 치합되는 방향과 피니언샤프트(미도시)가 랙바(140)에 치합되는 방향이 다르더라도 메인코어의 크랙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비교적 간단한 슬라이드 코어로 변경됨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랙하우징(150) 주조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370)가 토크센서커버(350)의 제1관통홀(356), 커버연결부재(330)의 제2관통홀(336)을 관통하여 랙하우징(150)의 체결부(315)에 형성된 체결홀(416)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랙하우징(150)에 커버연결부재(330)와 토크센서커버(350)를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부(315)는 개구부(311)의 외주면에 두곳 이상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 체결부(315)에 형성되는 체결홀(4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토크센서커버(350)는 제1관통부(355)와 제1관통홀(356)이 두곳 이상 형성되며, 커버연결부재(330)는 제2관통부(335)와 제2관통홀(336)이 두곳 이상 형성되게 된다.
또한, 커버연결부재(330)를 개구부(311)에 조립시킴에 있어서, 커버연결부재(330)가 개구부(311)에 맞춰 위치고정되도록, 제2관통부(335)와 삽입부(331)가 랙하우징(150) 방향으로 돌출되고, 체결부(315) 끝단에 체결홀(416) 둘레를 따라 단차지는 제1안착부(417a)가 형성되며, 개구부(311)방향의 체결부(315) 단부에 개구부(311) 둘레를 따라 단차지는 제2안착부(417b)가 형성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즉, 제1안착부(417a)에 제2관통부(335)가 조립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제2안착부(417b)에 삽입부(331)가 조립되어 안착될 수 있어서, 랙하우징(150)에 커버연결부재(330)가 제대로 조립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랙하우징(150)에 커버연결부재(330)를 조립시키기 용이해지게 되며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부(315)는 끝단에서 개구부(311)로 향할수록 좌우방향 길이가 점차 넓어지는 제1보강부(415a)가 형성되며 상하방향 길이가 점차 두꺼워지는 제2보강부(515b)가 형성되어 랙하우징(150) 제작시 개구부(311)와 체결부(315) 사이의 강성을 보완하게 되며 랙하우징(150)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부(315)는 체결홀(416)과 개구부(311) 사이의 내측이 함몰되어 형성됨에 따라 랙하우징(150)의 제작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랙하우징(15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랙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해져 랙하우징을 제작하는 메인코어의 취약부가 보강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시 사용되는 슬라이드 코어의 갯수가 줄어들어 제작공정이 줄어들고 제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랙하우징을 제작하는 메인코어의 크랙을 줄일 수 있게 되며, 형상 슬라이드에서 비교적 간단한 핀 슬라이드로 일부 변경됨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랙하우징 주조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4: 조향축 150: 랙하우징
311: 개구부 312: 피니언개구부
313: 그루브 315: 체결부
330: 커버연결부재 337: 커버씰링부재
338: 하우징씰링부재 350: 토크센서커버
351: 커버개구부 352: 연통홀
355: 제1관통부 356: 제1관통홀
370: 체결부재 415a: 제1보강부
416: 체결홀 417a: 제1안착부
417b: 제2안착부 331: 삽입부
332: 삽입홀 335: 제2관통부
336: 제2관통홀 515b: 제2보강부

Claims (7)

  1. 랙바를 감싸며 일측에 조향축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서 체결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랙하우징;
    하측으로 개구되는 커버개구부로 토크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조향축이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과 체결부에 대응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관통부가 구비되어 있는 토크센서커버;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커버개구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랙하우징과 토크센서커버를 밀폐시키는 수밀면이 구비되되, 상기 수밀면의 내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홀에 상기 개구부가 삽입되며 상기 수밀면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관통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관통부의 상단부와 상기 커버개구부의 하단부가 맞닿는 커버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외주면과 상기 삽입부 내주면 사이에 하우징씰링부재가 구비되어 압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씰링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부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함몰되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부와 삽입부는 상기 랙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 끝단에는 상기 체결홀 둘레를 따라 단차지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방향의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개구부 둘레를 따라 단차지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끝단에서 상기 개구부로 향할수록 좌우방향 길이가 점차 넓어지는 제1보강부와, 상하방향 길이가 점차 두꺼워지는 제2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0150069734A 2015-05-19 2015-05-19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65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34A KR101658313B1 (ko) 2015-05-19 2015-05-19 자동차의 조향장치
US15/150,430 US9731749B2 (en) 2015-05-19 2016-05-10 Power 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DE102016208554.9A DE102016208554B4 (de) 2015-05-19 2016-05-18 Servolenkvorrichtung für Fahrzeuge
CN201610332361.5A CN106167039B (zh) 2015-05-19 2016-05-19 车辆助力转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34A KR101658313B1 (ko) 2015-05-19 2015-05-19 자동차의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313B1 true KR101658313B1 (ko) 2016-09-20

Family

ID=5710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734A KR101658313B1 (ko) 2015-05-19 2015-05-19 자동차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31749B2 (ko)
KR (1) KR101658313B1 (ko)
CN (1) CN106167039B (ko)
DE (1) DE10201620855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011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장치
US11725691B2 (en) * 2020-03-09 2023-08-1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Hemispherical bushing assembly
KR20220117082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만도 토크 센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988A (ja) * 2003-02-17 2004-09-02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149843A (ja) * 2006-12-15 2008-07-03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241786A (ja) * 2008-03-31 2009-10-22 Jtekt Corp 車両用操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418B1 (ko) * 2002-03-14 2008-03-27 주식회사 만도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EP2374691B1 (en) * 2007-11-06 2014-04-23 Honda Motor Co.,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1452559B1 (ko) * 2011-12-06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피니언 센서 어셈블리와 피니언 센서 커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561350B1 (ko) 2013-12-16 2015-10-19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고형물과 액상을 분리 포장하는 로터리 타입 백 포장기 및 그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988A (ja) * 2003-02-17 2004-09-02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149843A (ja) * 2006-12-15 2008-07-03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241786A (ja) * 2008-03-31 2009-10-22 Jtekt Corp 車両用操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7039A (zh) 2016-11-30
DE102016208554A1 (de) 2016-11-24
CN106167039B (zh) 2018-08-10
US20160339942A1 (en) 2016-11-24
US9731749B2 (en) 2017-08-15
DE102016208554B4 (de)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313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US10010006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US9255857B2 (en) Torque detecting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7930950B2 (en) Motor-driven steering assist apparatus
US9397530B2 (en) Control device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integral with control device
CN102468707A (zh) 传动-驱动单元
US9021895B2 (en) Torque sens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2159413B (zh) 门装置和用于门装置的组装方法
JP7171906B2 (ja) ステアリングセンサユニットの電気的なコンタクトのためのコネクタユニット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4129012A1 (ja) 車載用電子制御装置
JP6269987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用の作動ユニットおよび製造方法
US20110067981A1 (en) Vehicle switch unit
KR101537585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토크 센서
US8539674B2 (en) Method of assembling a gearshift member to a steering wheel main body
EP1622438A2 (de) Elektrisches Gerät, insbesondere Sensor für ein Kraftfahrzeug
US11273867B2 (en) Steering angle sensor assembly and steering gearbox for a vehicle including same
EP3845727A1 (de) Türgriff für ein fahrzeug
KR20190046570A (ko) 자동차 조향장치
KR102242935B1 (ko) 자동차 조향장치
KR10251086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US20070035460A1 (en) High-frequency motor-vehicle antenna
JP2022501255A (ja) ステアリングセンサユニットの電気的なコンタクトのためのコネクタユニット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50017627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3982922B2 (ja) センターテイクオフ型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ダストブーツの取付け構造
KR200350391Y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로킹장치의 로크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