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861A -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6861A KR20220116861A KR1020210020239A KR20210020239A KR20220116861A KR 20220116861 A KR20220116861 A KR 20220116861A KR 1020210020239 A KR1020210020239 A KR 1020210020239A KR 20210020239 A KR20210020239 A KR 20210020239A KR 20220116861 A KR20220116861 A KR 202201168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accident
- vehicle
- trunk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retractable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4—Adaptations of signalling devices having a part on the vehicle body and another on the boot d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는, 차량의 트렁크에 구비되고, 교통사고가 발생된 사고지점 후방을 향해 사고발생을 경고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렁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강되어 후방을 향해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스크린부. 상기 트렁크에서 상기 스크린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스크린부가 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를 하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사고 발생시, 탑승자 또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동작되어 개방된 트렁크에서 하강되며 사고지점 후방을 향해 경고하는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사고차량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 정지하는 거리, 시간 등에 따라 다수의 추돌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과의 거리가 멀어 브레이크를 안정적으로 밟아 정지하는 거리와 시간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앞선 차량의 사고발생을 인지하지 못해 추돌사고가 발생하는 우려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로 차량의 사고를 경고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차량이 이동중인 도로에서 탑승자가 직접적으로 차량에서 내려 사고발생에 대한 안내가 후방 차량이 접근하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차량에서 내리는 도중, 접근하는 차량에 경고하는 도중, 사고의 후속처리 도중, 차량에서 대피도중 등 다양한 방면에서 차량에서 내린 탑승자에게 위험요소가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에어백이 작동되고, 에어백의 작동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경우에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면 경고장치가 동작되지 않아서 차량의 접근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을 안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었다.
때문에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경고할 수 있으면서도, 에어백과 연동되는 것 이외의 방법으로도 동작시키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과 접근하는 차량의 안전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교통사고 발생시, 탑승자 또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동작되어 개방된 트렁크에서 하강되며 사고지점 후방을 향해 경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는, 차량의 트렁크에 구비되고, 교통사고가 발생된 사고지점 후방을 향해 사고발생을 경고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렁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강되어 후방을 향해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스크린부, 상기 트렁크에서 상기 스크린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스크린부가 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를 하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제1 접철부재 및 상기 제1 접철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 접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접철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재 및 상기 모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부재의 동작에 따라 신축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접철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모터부재를 향해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고,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는 교통사고 발생시, 탑승자 또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동작되어 개방된 트렁크에서 하강되며 사고지점 후방을 향해 경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가 완전히 하강했을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가 하강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가 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크린부가 하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크린부가 승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가 완전히 하강했을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가 하강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가 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크린부가 하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크린부가 승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가장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100)는 차량(V)의 트렁크에 구비되고, 교통사고가 발생된 사고지점 후방을 향해 사고발생을 경고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렁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강되어 후방을 향해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스크린부(200), 상기 트렁크에서 상기 스크린부(20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L), 상기 스크린부(200)가 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구동부(300)와 상기 스크린부(200)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200)를 하강시키는 승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V)은 사고가 발생한 이후, 상기 차량(V)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상기 차량(V)에 충격이 가해지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트렁크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도록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200)에는 상기 발광부(L)가 조사하는 빛을 후방을 향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타공부재(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부(200)에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밝은색 혹은 강렬한 색상으로 표기된 경고부재(24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공부재(220)는 일반적으로 경고 표지판에 형성되는 삼각형 형상을 따라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L)가 조사하는 빛에 따라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 사고 발생을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재(220)는 상기 발광부(L)에서 조사하는 빛이 상기 타공부재(220)를 통과하며, 상기 타공부재(220)를 통하여 상기 발광부(L)를 직접적으로 바라보게 되어 생길 수 있는 시각적 자극을 최소화시키고, 상기 타공부재(220)의 전체면에 일정한 광량을 시야각에 구애받지 않고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고부재(240)는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바라보는 상기 스크린부(200)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재(2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근하고 있는 차량의 헤드램프 불빛과 주변환경에 의하여 존재하는 빛이 반사되거나 확산되면서 상기 경고부재(240)의 형상이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200)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가까이 접근한 이후 사고현장을 피해감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와 통과속도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정체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부(200)의 둘레를 따라 점열하는 유도등(G)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등(G)은 순차적인 점멸, 일시점멸, 시계방향 회전, 반시계방향 회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200)의 둘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L)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를 향해 빛을 조사하며, 빛이 상기 타공부재(220)를 통해 후방에 접근하는 차량에 전달되어 사고발생을 경고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L)는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점멸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타공부재(220)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조절하거나 주변부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터널과 같은 어두운 상황에서 강렬한 빛이 발생하며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시야확보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빛이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스크린부(200)와 상기 트렁크 사이에서 상기 스크린부(200)를 하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동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2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제1 접철부재(420)와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340), 상기 연결부재(340)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재(320) 및 상기 모터부재(320)와 상기 연결부재(34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부재(320)의 동작에 따라 신축되며 상기 연결부재(340)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재(320)는 배터리 또는 별도의 전선을 통해서 상기 차량(V)과 연동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터부재(3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40)는 상기 제1 접철부재(420)의 일단부와 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부재(3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모터부재(320)를 향해 이동되거나 상기 모터부재(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재(320)와 상기 연결부재(340) 사이에는 상기 모터부재(3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40)를 이동시키도록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부재(322)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부(200)를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340)를 상기 모터부재(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늘어나며, 상기 스크린부(200)를 승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340)가 상기 모터부재(320)를 향해 이동되도록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4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철부재(420)의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340) 및 상기 스크린부(200)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340)의 이동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스크린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모터부재(320)를 향해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접철부재(440)는 상기 스크린부(200)의 하단부와 상기 제1 접철부재(420)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접철부재(4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200)의 하단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크린부(200)는 상기 승강부(400)에 의해 말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스프링을 이용하여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하강된 상기 스크린부(200)가 상기 승강부(400)에 의해 승강되더라도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V)이 사고가 발생되어 상기 탑승자가 스위치(S)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가압한 경우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차량(V)이 주행하면서 상기 탑승자가 실수로 스위치(S)를 동작시켜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스위치(S)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가압된 경우, 상기 차량(V)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인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V)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주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위치(S)의 가압신호를 무시할 수 있고, 상기 차량(V)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트렁크를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기 설정된 속도는 20, 30, 40과 같이 주행 중인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으나, 상기 차량(V)이 사고가 발생하여 정지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트렁크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300)가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기 이전에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렁크가 완전히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트렁크의 개방 정도를 판단하는 판단부가 별도로 구비도리 수 있으며, 상기 트렁크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 후, 재차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트렁크가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키고,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스크린부(200)가 하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스크린부(200)가 완전히 하강될 때까지 동작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이 멈추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이 멈춘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L)를 동작시켜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게 사고발생을 경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량(V)에 탑승한 상기 탑승자가 사고발생으로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스위치(S)를 가압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V)에 가해지는 충격량에 따라 동작되는 에어백과 연동되어 에어백이 동작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스위치(S)에 가압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V)의 속도를 판단하고, 상기 트렁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탑승자 또는 상기 차량(V)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사고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트렁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활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가 하강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가 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크린부가 하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의 스크린부가 승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자가 스위치(S)를 동작시키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차량(V)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고,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5의 상기 스위치(S)는 도시된 바와 같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터치스크린,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한 구성도 가능하여 탑승자가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S)의 배열은 구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재(320)가 동작되면서 상기 작동부재(322)가 신축되고, 상기 연결부재(340)가 상기 모터부재(320)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연결부재(340)와 결합된 상기 제1 접철부재(420)가 상기 스크린부(2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철부재(420)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재(340) 및 상기 스크린부(200)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340)가 상기 모터부재(320)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제1 접철부재(420)의 일단부도 함께 상기 모터부재(32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접철부재(420)의 일단부가 상기 모터부재(320)를 향해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부는 상기 스크린부(200)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타단부가 회전되며, 상기 제1 접철부재(420)의 타단부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제1 접철부재(42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접철부재(440)가 상기 스크린부(200)의 하단부를 하강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전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탑승자가 상기 스크린부(200)를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선 과정의 역순으로 스위치(S)를 동작시켜 상기 스크린부(200)를 회수할 수 있으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재(320)의 동작으로 상기 작동부재(322)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340)가 상기 모터부재(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접철부재(420)가 상기 스크린부(200)의 상단부와 결합된 위치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상기 스크린부(200)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 접철부재(440)가 상기 스크린부(2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탑승자는 상기 차량(V)에서 벗어나지 않고 사고 발생을 후방에서 접근하는 또 다른 차량에게 경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탑승자가 상기 차량(V)에서 벗어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사고발생을 인지하지 못한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혹여 추돌사고에 의해 상기 탑승자의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렁크와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켜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게 사고 발생을 경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G: 유도등
L: 발광부
S: 스위치
V: 차량
100: 경고장치
200: 스크린부
220: 타공부재
240: 경고부재
300: 구동부
320: 모터부재
322: 작동부재
340: 연결부재
400: 승강부
420: 제1 접철부재
440: 제2 접철부재
L: 발광부
S: 스위치
V: 차량
100: 경고장치
200: 스크린부
220: 타공부재
240: 경고부재
300: 구동부
320: 모터부재
322: 작동부재
340: 연결부재
400: 승강부
420: 제1 접철부재
440: 제2 접철부재
Claims (5)
- 차량의 트렁크에 구비되고, 교통사고가 발생된 사고지점 후방을 향해 사고발생을 경고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렁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강되어 후방을 향해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스크린부;
상기 트렁크에서 상기 스크린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스크린부가 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를 하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제1 접철부재; 및
상기 제1 접철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 접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접철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재; 및
상기 모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부재의 동작에 따라 신축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모터부재를 향해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고,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239A KR20220116861A (ko) | 2021-02-16 | 2021-02-16 |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239A KR20220116861A (ko) | 2021-02-16 | 2021-02-16 |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6861A true KR20220116861A (ko) | 2022-08-23 |
Family
ID=8309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0239A KR20220116861A (ko) | 2021-02-16 | 2021-02-16 |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16861A (ko) |
-
2021
- 2021-02-16 KR KR1020210020239A patent/KR202201168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972967B (zh) | 基于响应时间学习来调整车辆警示 | |
CN107107808B (zh) | 空中升降机及其实施方法 | |
CN107985194A (zh) | 预防汽车开门碰撞事故的预警系统及方法 | |
US20240075870A1 (en) | Method for operating an environment lighting device of a vehicle | |
KR20150051930A (ko) |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경광등 | |
US20170210283A1 (en) | Display device of operation state of automobile brake | |
JP2005225483A (ja) | 車輌用ウインカーランプシステム、車輌用ブレーキランプシステム並びに車輌用ヘッドライトシステム | |
KR102450920B1 (ko)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 |
JP6969855B1 (ja) |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トラック | |
KR101607318B1 (ko) |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 |
KR20170021394A (ko) |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안전구역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경광등 | |
US20200148098A1 (en) | Driver monitor camera to control lighting features | |
KR20220116861A (ko) | 2차 사고 예방 경고장치 | |
KR102568360B1 (ko) | 차량용 세이프티 싸인보드시스템 | |
EP3693219A1 (en) | Specific signalling system for warning road users of the imminent opening of vehicle doors | |
KR20140010804A (ko) | 차문의 손잡이 모듈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엘이디를 갖는 근접 경보장치 | |
JP3233281U (ja) | 車両ドア開閉アラートシステム | |
JP7017293B2 (ja) |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 |
KR101962704B1 (ko) | 차량용 2차사고 방지장치 | |
JP3221891U (ja) | あおり運転の自動車を感知し、ランプを点灯させる通信システム | |
JP2022080360A (ja) | 危険報知装置 | |
KR20210022794A (ko) | 차량의 가이드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3175790U (ja) | 後輪照明装置 | |
KR102678438B1 (ko) | 전방 차량의 하이 마운티드 스탑 램프 연동 자동 차로변경 시스템 및 방법 | |
CN112078483A (zh) | 车辆安全警示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