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613A - 혈당 반응 변형을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혈당 반응 변형을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613A
KR20220115613A KR1020227024297A KR20227024297A KR20220115613A KR 20220115613 A KR20220115613 A KR 20220115613A KR 1020227024297 A KR1020227024297 A KR 1020227024297A KR 20227024297 A KR20227024297 A KR 20227024297A KR 20220115613 A KR20220115613 A KR 2022011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composition
formulation
phenylpropanoid
phenylpropano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 한 셔먼 호
Original Assignee
하우 푸즈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 푸즈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우 푸즈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8Carbohydrates
    • A21D2/181Sugars or 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1Ketones a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23V2200/044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68Querce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2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2Arabin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Botan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당뇨병 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혈당 반응을 조절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제조된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이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혈당 반응 변형을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본 출원은 2019년 12월 16일에 출원된 싱가포르 특허 출원 번호 10201912271S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혈당 반응을 조절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다음 논의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다. 논의는 언급된 자료 중 어느 것이 발명의 우선권 일자 기준으로 모든 관할권에서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적인 일반 지식의 일부이거나, 공개되었거나, 알려졌음을 인정하거나 인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통상적인 식품은 종종 정제된 가루뿐만 아니라 당 함량이 높으며, 정제된 가루는 소화가 잘 되는 전분을 소비자의 장에 제공한다. 특히 선진국에서 과식이라는 일반적인 문제와 결합하여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발병률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싱가포르는 당뇨병 발병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소비자들이 혈당을 많이 올리지 않는 음식과 습관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고 있다. 여기에는 정제된 설탕 대신 갈색 설탕이나 꿀을 사용하고, 일반 밀가루 대신 통곡물 또는 통밀 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것은 그들이 소개된 음식의 맛과 질감을 바꾼다는 점에서 부분적인 해결책이다. 이것은 덜 유리한 흡수로 이어진다.
당뇨병 (Diabetes Mellitus, DM)은 장기간에 걸친 고혈당 수준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 장애 그룹이다. 2017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4억 2,500만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 (Diabetes atlas 2017). 당뇨병은 췌장이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신체의 세포가 생산된 인슐린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당뇨병에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제 1 형 당뇨병은 베타 세포의 손실로 인해 췌장이 충분한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제 2 형 당뇨병은 세포가 인슐린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인 인슐린 저항성으로 시작된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인슐린 부족도 발생할 수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세 번째 주요 형태이며, 이전에 당뇨병 병력이 없는 임산부가 고혈당 수치를 나타낼 때 발생한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이 혈액 내 포도당 수치를 정상 범위 내로 유지함으로써 엄격한 혈당 조절을 유지할 때 합병증을 덜 경험한다는 광범위한 합의가 있다. 모든 형태의 당뇨병은 장기적인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현재, 인슐린 주사가 요구되는 많은 경우,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엄격한 식단을 통한 양호한 혈당 수치 조절 외에 고혈당증 (고혈당)에 대한 확실한 관리는 없다. 혈당 수치를 관리하는 것은 비용, 주사 및 모니터링의 고통으로 인해 일부 환자, 특히 인슐린을 주사하는 환자에게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사람들이 엄격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 또한 어렵다. 정기적인 모니터링, 식단 또는 주사를 준수하지 않는 환자들을 덜 힘들게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혈당 반응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위험에 처한 개인들의 또 다른 그룹은 비만, 과체중, 좌식 및 건강에 해로운 생활 방식과 같은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을 포함하는 당뇨병 전단계인 사람들이다. 이 그룹의 경우 혈당 수치를 거의 측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담당 의사는 체중 관리를 위해 이러한 개인의 혈당 반응을 조절하고 당뇨병 발병 위험을 줄이기를 여전히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의 운동 습관과 식단을 바꾸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체중 증가를 피하고 개인의 체중 감소를 촉진하기 위해 혈당 반응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식후 혈당 반응을 약화시킬 수 있는 섬유질과 검(gums)의 혼합물로 주로 구성된 것과 같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물 흡수성 섬유(용해성 또는 불용성) 및 검/하이드로콜로이드의 존재에 크게 의존하는 이러한 조성물은 이들이 첨가되는 식품의 질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음식의 질감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속성 중 하나이다. 맛과 냄새와 함께 질감은 음식을 정의하고 우리가 어떻게 음식의 맛과 입에 느껴지는 느낌을 인식하는지를 정의한다. 우리가 관련된 식품에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질감을 갖는 것은 음식을 즐기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보다 건강한 식생활이 필요한 곳에서는 음식 질감과 창의적인 질감 솔루션의 개발이 중요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때때로 섬유질 대체제로 사용된다. 섬유질, 검 또는 섬유질 대체제는 섬유질 기반 조성물의 위 배출을 지연시키고 소화를 느리게 하여 혈당 반응을 약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기계론적으로 간단하다.
다른 것으로는 뽕나무 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주로 1% 또는 5%로 표준화된 1-데옥시노지리마이신(1-DNJ)에 의한, 효소 억제를 통해 혈당 반응을 줄였다. 동일한 것은 용량당 250mg의 최대 효능 한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상에서는 혈당 반응이 더 이상 감소하지 않았다. 소화의 대체 효소 억제가 보고되었다.
다양한 식물에서 분리된 바이오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페닐프로파노이드가 제공하는 건강상의 이점을 보고하는 많은 연구가 있었다. 일부 플라보놀은 소화 효소 억제제로 보고되지만, 아마도 페닐프로파노이드가 쓴맛과 떫은맛이 나기 때문에 맛이 좋지 않은것으로 간주되어,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는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제품은 시장에 없다. 일부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또한 산에 민감하다. 또한,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비교적 고가의 성분이다.
전술한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완화하는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를 가질 필요가 존재한다.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 및 이것이 첨가되는 식품의 질감 또는 맛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의 제조 방법이 계획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a)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2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 (b) 이미노당(iminosugar); (c)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 및 (d)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phenylpropanoid); 및 (b)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제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당뇨병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제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품 첨가물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당뇨병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제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품 첨가물의 제조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c) 전단력으로 페이스트를 반죽하는 단계; (d)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단계; (e) 건조된 페이스트를 파우더로 분쇄하는 단계; 및 (f) 상기 파우더에 이미노당,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제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의 제조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c) 전단력으로 페이스트를 반죽하는 단계; (d)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단계; (e) 건조된 페이스트를 파우더로 분쇄하는 단계; 및 (f)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파우더에 첨가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체의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양의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제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품 첨가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체의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고, 소화를 늦추고 및/또는, 개체의 식후 포만감을 유지시키기 위한 양의 상기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식품 첨가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해 질것이다.
비 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에서,
도 1 : 제제 제조를 위한 개략도.
도 2 : 모든 대상체, 대조군 및 제제 1 테스트로부터의 절대 혈당 수치.
도 3 : 표준 편차, 대조군 및 제제 1 테스트를 사용한 평균 혈당 수치.
도 4 : 모든 대상체, 대조군 및 제제 1 테스트에 대한 기준선과의 차이.
도 5 : 표준 편차, 대조군 및 제제 1 테스트를 사용한 기준선과의 평균 차이.
도 6 : (A): 밀가루 중 10% 제제2; (B): 일반 밀가루; (C & D) 밀가루 중 6% 제제 2; (E&F) 쌀가루 중 5% 제제 2;로 만든 식품의 묘사.
도 7 : 표준 편차, 대조군 및 제제 2 테스트를 사용한 평균 혈당 수치.
도 8 : (A) 참고 식품 (포도당); 테스트 식품 - 밀가루 중 6% 제제2 로 만든 흰 빵 (흰빵 LD) n=9; 및 (B) 참고 식품 (포도당); 테스트 식품 - 명백히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흰 빵 (흰 빵) n=12;에 대한 혈당 지수 응답 곡선.
본 문서 전체에 걸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포함하는", "구성되는", "갖는" 등의 용어는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욱이, 문서 전체에 걸쳐, 문맥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단어 "포함하다" 또는 "포함하다" 또는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은 언급된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의 포함을 의미하지만,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의 배제를 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다른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원의 주제가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a)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2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 (b) 이미노당(iminosugar); (c)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 및 (d)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가 있다.
이 제제는 혈당 반응을 상당히 약화시키기 위해 단일 제품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여러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97.63%의 혈당 수치의 전례 없는 하락이 관찰되었다. 제제는 또한 혈당 수치를 단지 약화시키는 것보다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추측된다.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효과적으로 소화를 늦출 수 있기 때문에 더 오랜 기간 식후 포만감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칼로리 섭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체중 관리에 유용할 것이다.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또한 항산화제이기 때문에, 노화 방지, 항염증 및 면역 조절과 관련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당 반응 조절'은 예를 들어 식사 후 혈당 수치 곡선 아래 면적의 감소, 또는 최고 혈당 수치 감소, 또는 최고치가 발견되는 시점의 지연과 같은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거나 약화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첨가되는 식품에 대한 신체의 혈당 반응을 낮출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이것은 식품의 혈당 지수를 낮추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 및(b)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이 있다.
제제 또는 조성물은, 사용된 어느 페닐프로파노이드의 불쾌한 맛은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공동 내에 캡슐화함으로써 감각 수용체로부터 감춰지는 이점이 있다.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하나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생성된 복합체는, 맛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조성물을 소비하는 개체에게 훨씬 더 허용 가능하다. 이것은 페닐프로파노이드가 위장의 산성 환경으로부터 보호되어 적어도 하나의 페닐프로파노이드가 장에 도달하도록 하는 추가 이점을 가질 것이다. 이것은 또한 조성물 당 더 적은 페닐프로파노이드가 사용되도록 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한다. 복합화되지 않은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면 조성물이 공지된 당 및 전분과 유사하게 작용하게하여 이것이 첨가되는 식품의 질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아미노산 페닐알라닌 및 티로신으로부터 식물에 의해 합성되는 다양한 유기 화합물 계열이다. 그들의 이름은 페닐프로파노이드 생합성의 중심 중간체인 쿠마르산의 6개의 탄소, 방향족 페닐 그룹 및 3개의 탄소 프로펜 꼬리에서 파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2 종 또는 그 이상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적어도 2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또는 3종 또는 그 이상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1, 2, 3, 4, 5, 또는 10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3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또는 적어도 2 종 또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칼콘, 스틸벤, 아우론, 플라보노이드, 또는 이들과 관련된 C-, N-, 또는 O-글리코사이드 및 이들 각각의 환원되거나 산화된 형태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3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또는 적어도 2 종 또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바이칼린, 아피게닌, 캠페롤,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플로리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종의 플라보노이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다양한 실시예에서, 3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또는 적어도 2 종 또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 칼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3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또는 적어도 2 종 또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적어도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칼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플라보노이드는 안토잔틴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보놀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플라보놀은 다음을 포함한다;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칼콘은 다음을 포함한다: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또는 플로레틴.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2 종의 플라보놀 및 1 종의 칼콘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3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또는 적어도 2 종 또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는 플로리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3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또는 적어도 2 종 또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퀘르세틴은 2-(3,4-디하이드록시페닐)-3,5,7-트리하이드록시-4H-크로멘-4-온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퀘르세틴은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다양한 실시예에서 미리세틴은 3,5,7-트리하이드록시-2-(3,4,5-트리하이드록시페닐)-4-크로메논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미리세틴은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2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하이드로미리세틴(아멜롭신 또는 DHM으로도 지칭됨)은 (2R,3R)-3,5,7-트리하이드록시-2-(3,4,5-트리하이드록시페닐)-2,3-디하이드로크로멘-4-온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3
다양한 실시예에서 플로리진 (phlorizin, 플로리진(phloridzin)으로도 지칭됨)은 플로레틴-2'- 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플로리진은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4
퀘르세틴 및 미리세틴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리하게는 상승 활성을 갖는다. 개별적으로, 퀘르세틴 및 미리세틴은 아밀레이스와 알파-글루코시데이스를 억제한다. 함께 사용하면 억제가 향상된다. 생리학적 맥락에서, 이것은 소장의 브러시 경계에서 췌장 아밀레이스, 소화 아밀레이스, 및 효소 수크레이스-아이소말테이스 및 말테이스-글루코아밀레이스의 억제로 해석될 수 있다. 퀘르세틴 및 미리세틴이 포도당 수용체 억제 능력, 특히 나트륨 포도당 수용체 2 (SGLT2) 및 포도당 수송체 2 (GLUT-2)를 억제하는 능력이 있는 플로리진과 함께 조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페닐프로파노이드 혼합물은 혈당 반응/지수 조절의 두 가지 측면을 다룰 수 있는데, 이는 탄수화물 소화 억제와 소장의 브러시 경계에서 포도당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놀랍게도,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알파-글루코시데이스 뿐만 아니라 아밀레이스를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이 수용체 억제 능력, 특히 나트륨 포도당 수용체 2 (SGLT2) 및 포도당 수송체 2 (GLUT-2)를 억제하는 능력이 있는 플로리진과 함께 조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페닐프로파노이드 혼합물은 혈당 반응/지수 조절의 두 가지 측면을 다룰 수 있는데, 이는 탄수화물 소화 억제와 소장의 브러시 경계에서 포도당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1,4 글리코사이드 단위의 올리고당으로 고리를 형성한다. 글루코피라노스 단위를 연결하는 결합 주위의 자유 회전이 없기 때문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일반적으로 소수성 중심 공동을 형성하는 환상체 또는 원뿔모양이다(도 1 참조). 다양한 화합물이 소수성 중심 공동 내에 캡슐화 될 수 있다. 복합화되지 않은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면 제제 또는 조성물이 다른 전분 기반 제품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동하므로 이것이 첨가되는 식품의 질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소화 아밀레이스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가 보다 빠르게 방출될 수 있고, 이는 이것이 작용하도록 되어있는 장에서 페닐프로파노이드의 방출을 허용한다. 또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더 크고 잠재적으로 그 공동에 적어도 2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모두 췌장 또는 타액 아밀레이스에 의해 가수분해될 수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고,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아밀레이스의 억제제로 작용하고, 또한 위 배출을 느리게 하는 섬유질로서 작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하기 구조를 갖는 6개의 글루코피라노스 단위를 갖는다:
Figure pct00005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하기 구조를 갖는 7개의 글루코피라노스 단위를 갖는다:
Figure pct00006
다양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하기 구조를 갖는 8개의 글루코피라노스 단위를 갖는다:
Figure pct00007
중심 공동의 부피는 서로 다른 사이클로덱스트린에 대해 상이하며, 예를 들어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약 0.10ml/g의 중심 공동을 가지고;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약 0.14ml/g의 중심 공동을 가지며;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약 0.20ml/g의 중심 공동을 갖는다. 중심 공동이 클수록 소수성 전하 사이의 거리가 커진다. 일반적으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이 여덟 또는 그 이상의 글루코피라노스 단위를 갖는 더 큰 크기의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화합물을 포함시키는 것은 어렵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2 종 또는 그 이상의 페닐프로파노이드 혼합물의 복합체가 놀랍게도 가능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혈당 반응을 상당히 약화시키기 위해 단일 조성물에서 다수의 작용 기전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또한 혈당 지수를 단지 약화시키는 것 보다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고 추측된다.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효과적으로 소화를 늦출 수 있기 때문에, 더 오랜 기간 식후 포만감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체중 관리에 유용할 것이다.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항산화제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항노화, 항염, 면역조절과 과련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제 또는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혈당 반응의 약화에 대한 전체론적 접근을 포함하고,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조절된" 식품의 혈당 지수를 감소시킨다. 음식에 대한 신체의 혈당 반응을 결정하는 세 가지 측면이 있다. 첫째, 위 배출(gastric emptying)은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이 소장의 소화 효소에 제시되는 속도를 조절하는데, 이것은 전분과 자당이 소장 내강을 통해 흡수되기 위해 포도당 및 기타 단당류로 분해되는 곳이다. 지방이 풍부하거나 섬유질이 많은 식사는 위 배출을 지연시켜 소화를 늦추고 혈당 반응을 약화시킨다. 둘째, 소화 효소의 존재와 활성은 또한 포도당이 탄수화물로부터 유리되는 속도를 결정한다. 억제제의 존재는 또한 이것을 늦추고, 다시 한번 혈당 반응에 약화 효과를 발휘한다. 셋째, 장 내강(브러시 경계)에 있는 포도당 운반체의 존재와 활동은 유리된 포도당이 흡수되어 혈류로 전달되는 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위 배출을 지연시켜, 소화를 늦추고 혈당 반응을 약화시키며,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소화 효소와 포도당 운반체가 방출되는 부위에서 이들을 억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이미노당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1-DNJ)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미노당은 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추출물의 약 5%는 1-DNJ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미노당은 1-DNJ를 생산할 수 있는 변형된 미생물로부터 얻은 1-DNJ를 포함한다. 1-DNJ는 아밀레이스, 알파-글루코시데이스를 억제하고, 심지어 포도당 수송체까지 억제 가능한 이미노당이다. 상기 본원에 기재된 복합물과의 병용 투여는, 식사당 250mg의 비교적 낮은 용량에서 포화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 이미노당의 활성을 향상시킨다. 소화 효소 및 포도당 수송체에 대한 광범위한 억제 활성을 갖는 조합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순수한 1-DNJ가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5% 1-DNJ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단당류계 효소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수크레이스-이소말테이스의 억제제인 아라비노스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자일로스, 알룰로스 또는 타가토스와 같은 당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임의의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되지 않은 적어도 1종의 유리 페닐프로파노이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어도 1종의 유리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하기 전에 상기 본원에 기재된 페닐프로파노이드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제의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제제의 적어도 2 종 또는 3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플로리진이며; 제제의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고; 제제의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아라비노스이며; 제제의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퀘르세틴 : 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 아라비노스의 제제는 40:9:9:5:5:10:22 또는 35:9:9:4:5:37:1의 비율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제의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제제의 적어도 2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이며; 제제의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고; 제제의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아라비노스이며; 제제의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디하이드로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 아라비노스의 제제는 5:2:1:3:1:30 내지 25:6:6:10:10:90의 비율로 존재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디하이드로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 아라비노스의 제제는 30:8:4:15:10:128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제는 풍미 또는 색 변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풍미는 쓴맛을 차폐하는 풍미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색 변화 첨가제는 이산화 티타늄을 포함한다. 이산화 티타늄은 제품의 노란색 톤을 감소시키는 색 조절제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제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식품은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 의해 먹거나 소비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식료품은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소비재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식품은 조리된 쌀, 빵, 조리된 국수 또는 파스타, 감자 튀김, 칩(chips), 칩(crisps), 비스킷, 쿠키, 케이크, 음료 또는 소스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파우더화된 식품 첨가제는 상기 식품의 혈당 지수를 낮출 목적으로 다른 성분 또는 완성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파우더화된 식품 첨가제는 설탕 상에 분무 코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파우더화된 식품 첨가제는 더 큰 크기의 입자로 과립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파우더화된 식품 첨가제는 설탕 또는 밀가루와 건조 블렌드 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당뇨병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제;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품 첨가물이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하다, 예방 또는 예방하는(prevent, prevention or preventing)"은 체중 감소, 허용 가능한 체중 유지 또는 당뇨병 발병 예방을 위해 대상체의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거나 줄이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다, 치료 또는 치료하는(treat, treatment or treating)"은 혈액 내 포도당 수준을 정상 범위 내로 유지함으로써 엄격한 혈당 조절을 유지하기 위해 대상체에서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거나 줄이는 것을 지칭하며, 대상체는 더 적은 합병증을 경험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당뇨병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품 첨가물의 제조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c) 전단력으로 페이스트를 반죽하는 단계; (d)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단계; (e) 건조된 페이스트를 파우더로 분쇄하는 단계; 및 (f) 상기 파우더에 이미노당,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제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의 제조 방법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종의 또는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제 1 환상체 또는 원뿔 모양의 사이클로덱스트린에 복합화되어,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심 공동에 봉입된 페닐프로파노이드에 이어 원으로 표현되는 이미노당, 정사각형으로 표현되는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 및 제 2 환상체 또는 원뿔 모양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첨가되어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형이 만들어진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서로 다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된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 칼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1종 또는 그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1종의 칼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되는 플라보노이드는 다음 중 어느 1종을 포함한다: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바이칼린,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칼콘은 다음을 포함한다: 디하이드로칼콘 글루코사이드, 또는 플로레틴.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되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이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2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스레틴, 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이며; 이 방법에 사용되는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고; 이 방법에 사용되는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아라비노스이며; 이 방법에 사용되는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퀘르세틴 : 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 아라비노스의 제제는 40:9:9:5:5:10:22 또는 35:9:9:4:5:37:1의 비율로 제조하여 제제를 제조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사용되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이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이며; 이 방법에 사용되는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고; 이 방법에 사용되는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아라비노스이며; 및 이 방법에 사용되는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디하이드로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리지마이신 : 아라비노스의 제제는 5:2:1:3:1:30 내지 25:6:6:10:10:90의 비율로 제조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디하이드로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리지마이신 : 아라비노스의 제제는 30:8:4:15:10:128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풍미 또는 색 변화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풍미는 쓴맛을 차폐하는 풍미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색 변화 첨가제는 이산화 티타늄을 포함한다. 이산화 티타늄은 제품의 노란색 톤을 감소시키는 색 조절제 역할을 한다.
(a)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c) 전단력으로 페이스트를 반죽하는 단계; (d)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단계; (e) 건조된 페이스트를 파우더로 분쇄하는 단계; 및 (f)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파우더에 첨가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페이스트를 전단력으로 반죽하는 것은 고전단 절단기, 과립기, 유성 혼합기, 푸드 프로세서, 모르타르 및 막자 또는 강한 전단력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서로 다르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모두 췌장 또는 타액 아밀레이스에 의해 가수분해될 수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고,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아밀레이스의 억제제로 작용하고, 및 또한 위 배출을 느리게 하는 섬유질로서 작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 칼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2 종 또는 그 이상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적어도 2 종 또는 그 이상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1, 2, 3, 4, 5 또는 10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된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칼콘, 스틸벤, 아우론, 플라보노이드, 또는 이들과 관련된 C-, N-, 또는 O-글리코사이드 및 이들 각각의 환원되거나 산화된 형태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바이칼린, 아피게닌, 캠페롤,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플로레틴, 플로리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플라보노이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 칼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플라보노이드는 안토잔틴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종의 플라보노이드는 적어도 1종의 플라보놀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 종의 플라보놀은 다음을 포함한다: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1종의 칼콘은 다음을 포함한다: 디하이드로칼콘 글루코사이드, 플로리진 또는 플로레틴.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2 종의 플라보놀 및 1 종의 칼콘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디하이드로칼콘 글루코사이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는 플로리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적어도 1 종의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1 종의 칼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1 종의 플라보노이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바이칼린, 아피게닌, 캠페롤, 플로리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칼콘은 다음을 포함한다: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또는 플로레틴.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는 플로리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은 이미노당을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1-DNJ)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이미노당은 순수한 1-DNJ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이미노당은 5% 1-DNJ를 포함한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이미노당은 5% 1-DNJ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은 단당류 억제제를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은 캡슐화 되지 않은 적어도 1 종의 유리 페닐프로파노이드를 임의의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어도 1 종의 유리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하기 전에 상기 본원에 기재된 페닐프로파노이드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체의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양의 상기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또는 상기 본원에 기재된 식품 첨가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있다.
다른 가능한 용도는 제 2 형 당뇨병에 대한 전형적인 약물 치료 요법에 대한 보조수단으로서 혈당의 장기 관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특한 제제 또는 조성물은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포도당 이용을 개선하며, 또한 항염증 효과를 발휘하여 당뇨병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체의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고, 소화를 늦추고 및/또는, 개체의 식후 포만감을 유지시키기 위한 양의 상기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상기 본원에 기재된 식품 첨가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있다.
다른 가능한 용도는 더 낮은 칼로리 섭취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체중 관리를 위한 용도와 관련이 있다.
당업자는 상기 기재된 특징의 변형 및 조합이 결합되어, 대안 또는 대체가 아니라, 본 발명의 의도된 범위 내에 속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음을 추가로 인식해야 한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 또는 몇몇 실시예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페닐프로파노이드 복합체의 제조.
플라보노이드와 사이클로덱스트린(CD)의 몰비가 1:1 내지 1:3(플라보노이드 7 내지 40 g 대 사이클로덱스트린 20 내지 60 g)의 건조 혼합물에, 물을1:2 질량비 (플라보노이드+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 : 물)로 첨가하고, 매끄러운 페이스트가 형성될 때 까지 격렬하게 반죽한다. 반죽은 고전단 절단기, 과립기, 유성 혼합기, 푸드 프로세서, 모르타르 및 강한 전단력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장비의 막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점도가 더 이상 조작할 수 없는 단단한 페이스트로 진행되면, 페이스트와 동등한 제 2 의 물의 질량이 첨가되어 묽게 만들고 계속 반죽된다. 이것이 한번 더 반복되어, 총 반죽 시간이 약 2시간이고, 총 물의 질량이 플라보노이드 :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에 5 내지 10 질량비로 첨가된다. 결과물 페이스트는 회백색에서 노란색, 녹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상의 매끄러운 페이스트이다.
이어서, 이 페이스트를 수분 함량이 5% 또는 그 이하가 될 때까지 35 내지 40℃의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건조된 케이크를 미세한 파우더로 분쇄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생성한다.
복합체 1
Figure pct00008
복합체2
Figure pct00009
복합체3
Figure pct00010
복합체4
Figure pct00011
복합체5
Figure pct00012
복합체6
Figure pct00013
퀘르세틴, 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이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감마CD)과 함께 모르타르에 칭량되었다. 25ml의 물이 첨가되고 막자를 사용하여 혼합물이 격렬하게 분쇄되었다. 페이스트의 점도는 2 분 후에 급격히 증가되어, 복합체화의 시작을 나타낸다. 또 다른 12.59ml의 물이 첨가되고 다시 분쇄되었다. 21분이 경과된 후 5.84ml의 물이 첨가되었다. 40분 동안 다시 페이스트가 굳어진 후 물 6.30ml가 다시 첨가되었다. 페이스트는 총 1시간 45분 동안 분쇄되어 매끄러운 녹색 페이스트를 얻었다. 한 실시예에서, 페이스트는 유리 증발 접시에 스크랩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그 다음 경화된 덩어리는 스테인리스-스틸 모르타르에서 미세한 파우더로 분쇄되고 완전한 공기의 흐름이 있는 건조 오븐에서 2시간동안 다시 건조되었다. 수율은 30.00g, 95%였다. 그런 다음, 이 파우더는 스테인리스-스틸 모르타르에서 나머지 성분과 건조 블렌딩되어 칙칙한 녹황색 파우더 47.70g을 얻었다.
추가 개선은 주로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에서 페닐 프로파노이드의 캡슐화와 관련된 생산 공정의 최적화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캡슐화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가 수행되었다(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제제 또는 조성물의 제조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페닐프로파노이드의 강화된 복합체는 이미노당 (5% 뽕나무 잎 추출물과 같음), 단당류, 복합체화 되지 않은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어,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알파CD))과 같은 다른 구성 성분이 함께 첨가되고 및 블렌딩된다.
조성물 1
Figure pct00014
조성물 2
Figure pct00015
조성물 3
Figure pct00016
조성물 4
Figure pct00017
조성물 5
Figure pct00018
제제 1
Figure pct00019
이것은 이후 밀가루, 설탕의 일부로 추가 가공되거나 포장될 수 있는 최종 파우더화된 제품을 제공한다.
화합물은 미세한 파우더로 만들어지고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쿠키, 케이크, 빵, 브라우니 등과 같은 제품의 베이킹 용도로 밀가루의 2 내지 10% 대체
파스타 또는 국수 제조에 사용되는 밀가루의 2 내지 10% 대체
정제된 설탕, 갈색 설탕 또는 기타 설탕 제품의 2 내지 10% 대체
가공 중 또는 가공 후에 식품에 첨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봉지(sachet), 백, 또는 기타 용기에 자유-유동성 파우더로 제공된다.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함께 가공/조리될 베이킹 혼합물, 튀김 반죽, 소스, 생 쌀, 음료 믹스에 1 내지 10중량% 첨가.
완성된 소스, 조리된 밥, 조리된 수프 요리 및 준비된 음료에 1 내지 10 중량% 첨가.
비스킷, 크래커, 튀긴 음식과 같은 건조 식품에 분말 파우더로 1 내지 10중량% 첨가.
일부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공급될 수도 있다.
압축된 경질 정제, 씹을 수 있는 정제
캡슐
20 내지 100ml의 수성 비히클에 "샷"형 보충제 음료로 용해됨
물 또는 기타 음료에 녹여 매일 아침 또는 의도된대로 복용하는 1회용 봉지.
제제 1의 사용 테스트
전분 식품에 대한 신규 혈당 지수 조절제에 의한 조절이 있거나 없는 흰 빵에 대한 혈당 반응에 대한 생체 내(In Vivo) 예비 조사. 제제 1이 실험실 규모 (50g)로 생산되었다. 이를 4명의 피험자가 각각 10g씩 섭취한 후 테스트된 결과, 흰 빵 100g을 섭취한 후 혈당 반응이 감소되는 생체 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함께 섭취되는 식품의 혈당 반응을 약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신규 제제 또는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며, 이하 "GI Mod" (제제 1)이라고 이름 지어졌다. 그것은 수분산성/부분 용해성 회백색 내지 녹색 파우더의 형태를 취하고, 약간의 곡물 맛이 난다. 본 연구는 GI Mod (제제 1)의 생체 내 기능을 직접 조사하여 흰 빵과 같은 전분 식품에 대한 혈당 반응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혈당 지수 연구
4 명의 남성 중국인 정상 혈당 대상체가 하기 프로파일로 이 연구에 모집되었다:
Figure pct00020
표 2: 테스트 대상체 프로파일
연구 설계는 대응 표본(paired-sample), 대조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각 대상체는 연속 2일에 걸쳐 연구되었으며, 연구는 점심시간 정오 12시부터 오후 1시 30분 사이에 시작되었으며 3시간 전 금식 (물은 허용됨)하였다. 연구는 2019년 9월 4일부터 2019년 9월 10일까지 수행되었다.
대조 식품 샘플은 100 내지 150 ml의 일반 물과 함께 100g의 얇게 썬 흰 빵 (Gardenia Enriched White Bread)이었다. 얇게 썬 흰빵 100g에는 약 57g의 탄수화물이 포함되어 있었다. 테스트 식품 샘플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파우더 형태의 GI Mod 1 (제제 1)을 10g 추가하여 테스트 식품 샘플과 함께 섭취되도록 하였다. GI Mod 1 (제제 1)은 빵 조각 사이에 뿌려서 섭취되거나, 또는 물에 녹여서 마실 수 있었다. 대상체들이 음식 샘플을 섭취하는데 10분이 주어졌었다.
글루코스 옥시데이스 검정 (Abbott Optium Neo)을 기반으로 하는 글루코미터로 혈당 수치(mmol/L)가 측정되었다. 제공된 란셋 및 채혈 장치로 혈액 샘플이 채취되었다. 각 샘플은 양손의 손가락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채취되었다. 테스트 당 총 7개의 샘플이 테스트 식품 섭취 후 0(테스트 식품을 섭취하기 전), 15, 30, 45, 60, 90, 120분의 시점에서 대상체 마다 채취되었다.
혈당 수치는 시간에 대해 플로팅되었고, 기준선 (0분)과의 차이도 계산되어 플로팅되었다. 곡선 아래 증분 면적 (iAUC)이 계산되었고, 대조 샘플의 경우 이는 GI 100에 고정되었다. 따라서 GI Mod 1 (제제 1)의 효과는 100을 곱한 iAUC(대조군)에 대한 iAUC(테스트)의 나눗셈을 통해 평가되었다.
결과
절대 혈당 그래프 및 기준선 그래프와의 차이를 도 2 내지 5에 나타내었다.
요약하면, 개체가 테스트 조성물을 섭취하였을 때 취한 혈당 수치가 일반적으로 대조군보다 낮고, 이는 식품 샘플에 대한 테스트 대상체의 혈당 반응에 대한 약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크 농도까지의 시간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위 데이터에 대한 iAUC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생성된다:
Figure pct00021
표3: 대조군 및 테스트 샘플에 대한 iAUC 값, 및 식품 샘플의 계산된 혈당 지수
모든 대상체가 흰 빵에 대한 혈당 반응에 대한 상당한 약화 효과를 경험하였고, 흰 빵의 혈당 지수에서 29.05 내지 97.63% 감소를 초래했다. 평균적으로, GI에 대한 약화 효과는 66.52%였으며, 알려진 어떤 조성물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했다. 놀랍게도, 대상체 YP는 빵을 전혀 섭취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정도로 강력한 약화 효과를 경험하였다. 반면, 덜 흔한 이중 피크 혈당 프로파일을 나타낸 HX는 28.05%로 가장 적은 효과를 보였다.
GI Mod 1(제제 1)이 체중 관리 제품으로서의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음 식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하기 위해 포만감에 대한 두 가지의 질문이 또한 제기되었다.
"테스트 식사를 한 후 얼마나 지나서 배고픔을 느끼기 시작하였는가?"
Figure pct00022
"평소와 비교하여 다음 식사의 양은 얼마인가?"
Figure pct00023
상기 답변은 상기의 테스트 결과와 대략 일치하였다. 가장 큰 약화 효과를 경험한 YP도 긴 배고픔의 지연을 경험하였으며, 다음 식사도 양적으로 크게 줄었다. 가장 적은 약화 효과를 경험한 HX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후 차이를 느끼지 못하였다. 요약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섭취 후 어느 정도의 배고픔 관리를 발휘할 가능성이 있으며, 체중 및 식욕 관리용 제품으로 제제화할 때 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GI Mod 1(제제 1)은 식사와 관련하여 10%의 비율로 첨가될 때 전형적으로 탄수화물이 많은 식사인 100g 흰빵에 대한 혈당 반응에 강한 약화 효과를 나타냈다. 파우더의 프로토타입 형태는 섭취 가능했고, 주관적인 의견은 쓴맛에 대한 불만이 거의 없는 "차 같은" 또는 "시리얼 같은" 맛이었으며, 이는 또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의한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성공적인 맛 차폐를 나타낸다. 일부 확장된 포만감 효과도 관찰되었으며,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제제 2
Figure pct00024
제제 2는 제제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풍미는 쓴맛 차폐제로, 이 제제에 첨가된 풍미는 Smoothenol™ (Sensient 사의 N13917)이었다. 이산화 티타늄은 노란색 톤을 감소시키는 색 조절제 역할로써 첨가되었다. 이것은 식품에서 이산화 티타늄의 전형적인 기능이다.
10%의 제제 2를 포함하는 밀가루가 풀먼 덩어리(Pullman loaf)로 구워졌다 (도 6A). 6%의 제제 2를 포함하는 밀가루가 전형적인 크랜베리 번 레시피로 구워졌다 (도 6C-6D). 마지막으로, 5%의 제제 2를 포함하는 밀가루가 전통적인 중국의 납작한 쌀 국수인, 퀘티아우(kway teow)에 첨가되었다 (도 6E). 이 퀘티아우는 아무 문제없이 퀘티아우 튀김 요리로 튀겨질 수 있다 (그림6F).
상기 대조군 및 테스트 풀먼 덩어리는 하기에 따라 내부 GI 시험에 사용되었다:
3 명의 중국인 남성 정상 혈당 대상체가 이 연구에서 다음 프로파일로 모집되었다:
Figure pct00025
테스트 대상체 프로파일
연구 설계는 대응 표본(paired-sample), 대조 연구였다. 구체적으로, 각 대상체는 2일에 걸쳐 연구되었으며, 연구는 점심시간 정오 12시부터 1시 30분 사이에 시작되었고, 테스트 전 물이 허용된 3시간의 금식이 있었다. 연구는 2019년 3월 5일부터 2019년 9월 10일까지 수행되었다.
대조군 식품 샘플은 100g의 얇게 썬 흰 빵, 제제 2가 없는 테스트 식품 샘플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가내 풀먼(in-house Pullman) 덩어리였다. 대조군 식품 샘플은 100-150ml의 일반 물과 함께 취했다. 얇게 썬 흰 빵 100g에는 약 50g의 탄수화물이 들어있었다. 테스트 식품 샘플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10%의 제제2를 포함하는 밀가루로 만든 100g의 얇게 썬 빵으로 구성되었다. 테스트 식품 샘플은 100-150ml의 일반 물과 함께 취했다. 대상체들이 음식 샘플을 섭취하는데 10분이 주어졌었다.
글루코스 옥시데이스 검정 (Abbott Optium Neo)을 기반으로 하는 글루코미터로 혈당 수치(mmol/L)가 측정되었다. 제공된 란셋 및 채혈 장치로 혈액 샘플이 채취되었다. 각 샘플은 양손의 손가락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채취되었다. 테스트 당 총 7개의 샘플이 테스트 식품 섭취 후 0(테스트 식품을 섭취하기 전), 15, 30, 45, 60, 90, 120분의 시점에서 대상체 마다 채취되었다.
혈당 수치는 시간에 대해 플로팅되었고, 기준선 (0분)과의 차이도 계산되어 플로팅되었다(도 7). 곡선 아래 증분 면적 (iAUC)이 계산되었고, 대조 샘플의 경우 이는 GI 100에 고정되었다. 따라서 GI Mod 1 (제제 2)의 효과는 100을 곱한 iAUC(대조군)에 대한 iAUC(테스트)의 나눗셈을 통해 평가되었다.
결과
절대 혈당 그래프 및 기준선 그래프와의 차이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요약하면, 개체가 테스트 조성물을 섭취하였을 때 취한 혈당 수치가 일반적으로 대조군보다 낮고, 이는 식품 샘플에 대한 테스트 대상체의 혈당 반응에 대한 약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크 농도까지의 시간은 일관되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위 데이터에 대한 iAUC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생성된다:
Figure pct00026
표4: 대조군 및 테스트 샘플에 대한 iAUC 값, 및 식품 샘플의 계산된 혈당 지수
모든 대상체가 흰 빵에 대한 혈당 반응에 대한 상당한 약화 효과를 경험하였고, 흰 빵의 혈당 지수에서 16.03 내지 49.07% 감소를 초래했다. 평균적으로, GI에 대한 약화 효과는 38.65%였다.
상기 조성물이 체중 관리 제품으로서의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음 식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하기 위해 포만감에 대한 두 가지의 질문이 또한 제기되었다.
"테스트 식사를 한 후 얼마나 지나서 배고픔을 느끼기 시작하였는가?"
Figure pct00027
“평소와 비교하여 다음 식사의 양은 얼마인가?”
Figure pct00028
상기 답변은 상기의 테스트 결과와 대략 일치하였다. 두 번째로 큰 약화 효과를 경험한 YP도 긴 배고픔의 지연을 경험하였으며, 다음 식사도 양적으로 크게 줄었다. 가장 적은 약화 효과를 경험한 SH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후 차이를 느끼지 못했다. 요약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섭취 후 어느 정도의 배고픔 관리를 발휘할 가능성이 있으며, 체중 및 식욕 관리용 제품으로 제제화 할 때 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맛 면에서, 세 대상체 모두 두 빵의 질감이 동일하였으며, 이전의 프로토타입과 비교하여 쓴 맛이 없다고 언급하였다.
혈당 지수 연구
절차는 ISO26642:2010 혈당 지수 테스트 시설에서 수행되었다.
대상체는 8시간 동안 금식하였음.
대상체는 포도당 용액 (50g의 포도당에 해당) 또는 약 108g의 빵 샘플 (순 탄수화물 50g에 해당)을 섭취하도록 제공받았음.
대상체는 식후 0(식사 전), 15, 30, 45, 60, 90 및 120분의 시점에서 혈액이 채취되었으며, 혈액에서 포도당 농도가 분석되었다.
iAUC는 혈당 지수를 도출하기 위해 빵 및 포도당에 대한 곡선 사이에서 비교되었다.
명백히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흰 빵(흰 빵)에 대한 피크 혈당 지수는 70이었던 반면에(도 8B), 6%의 제제2를 포함하는 밀가루로 만든 흰 빵 (흰 빵 LD)의 피크 혈당 지수는 55이었다 (그림 8A). 이는 21% 감소를 나타낸다.
제제 3
Figure pct00029
별도로, 제제 2는 설탕의 혈당 지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제 3으로 수정되었다. 이 조성물은 수크레이스 효소의 천연 억제제인 아라비노스 및 뽕 나무 잎 추출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미세한 입자 또는 캐스터 설탕, 또는 재거리(jaggery), 갈색 설탕, 머스코바도(muscovado), 터비나도(turbinado), 원 당 등과 같은 다양한 정제도의 설탕에 적합하다.
제제 4
Figure pct00030
쌀의 혈당 지수를 조절하기 위해 제제 4가 제조되었다. 이 조성물은 조리 과정에서 3 내지 10%의 질량 비율로 쌀에 첨가될 수 있다.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은 먼저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복합체 6을 형성하고, 건조되고, 파우더로 분쇄된 다음, 제제 2의 다른 구성 성분과 결합된다.
이 제제에 첨가된 풍미 또는 쓴맛 차폐제는 Smoothenol™ (Sensient 사의 N 13917)이었다.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백색의 화합물이기 때문에, 상기 조성을 갖는 최종 조리된 쌀은 친숙한 백색을 유지한다.
알파-글루코시데이스의 플라보노이드 억제의 시험관 내(in vitro) 테스트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는 효모로부터 정제된 알파-글루코시데이스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알파-글루코시데이스 반응 혼합물은 2.9mM p-니트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pNPG) (Sigma-Aldrich), DMSO 중의 플라보노이드 0.25ml 및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9) 중의 빵 효모 α-글루코시데이스 (Sigma-Aldrich) 0.6 U.ml를 함유했다. 대조군 튜브에는 DMSO, 효소 및 기질만 포함된 반면, 양성 대조군에는 아카보스(acarbose)가 플라베노이드를 대체하였다. 효소, 플라보노이드 또는 아카보스가 없는 혼합물이 블랭크로 사용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25℃ 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트 된 후, 2분 동안 끓임으로써 반응이 중단되었다. 생성된 p-니트로페놀 (pNP)의 흡광도는 405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축정되었고 효소의 활성에 정비례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글루코시데이스 활성 억제는 다음과 같이 대조군의 백분율로 결정되었다:
%글루코시데이스 억제 = 100% - 대조군의 백분율로서 테스트 활성 %
%테스트의 활성 =
Figure pct00031
배경 판독값을 제거하기 위해, 기질 및 효소가 없는 플라베노이드의 흡광도는 다음과 같이 플라보노이드 및 기질 혼합물의 흡광도로부터 뺄셈하였다:
수정된 A405 테스트 샘플 = A405플라보노이드 및 기질 - A405 플라보노이드 단독 (배경)
대조군 (α-글루코시데이스는 있지만 억제제는 없는) 에서의 활성은 100%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효소 활성을 50% 억제하는 추출물의 농도 (IC50 값)가 그래프로 측정되었다. 용량 반응 곡선에서 추정된 IC50값을 기반으로 다양한 플라보노이드가 비교되었다.
Figure pct00032
조성물에 사용된 미리세틴, 퀘르세틴, 및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강력한 효소 억제제로 확인되어, 이들의 사용을 지지한다.
알파 아밀레이스에 대한 상기 화합물의 억제를 결정하기 위해 유사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퀘르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및 미리세틴이 또한 아밀레이스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립되었다.
개별적으로, 퀘르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및 미리세틴은 알파-글루코시데이스 뿐만 아니라 아밀레이스를 억제한다. 생리학적 맥락에서, 이것은 소장의 브러시 경계에서 췌장 아밀레이스, 소화 아밀레이스, 및 효소 수크레이스-이소말테이스 및 말테이스-글리코아밀레이스의 억제로 해석된다.

Claims (56)

  1. a.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2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
    b. 이미노당(iminosugar);
    c.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 및
    d.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서로 다른 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제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 칼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칼콘은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플로리진, 또는 플로레틴을 포함하는 제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플로리진을 포함하는 것인 제제.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적어도 2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플로리진이며;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고;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아라비노스이며;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인 제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퀘르세틴 : 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 아라비노스 :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비는 40:9:9:5:5:10:22 또는 35:9:9:4:5:37:1인 제제.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및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플로리진을 포함하는 제제.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 플로리진이며;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고;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아라비노스이며;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인 제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디하이드로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 아라비노스 :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비는 5:2:1:3:1:30 내지 25:6:6:10:10:90인 제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풍미 또는 색 변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제.
  15. a.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 및
    b.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서로 다른 조성물.
  17. 제 15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8. 제 15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 15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 칼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칼콘은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플로리진, 또는 플로레틴을 포함하는 조성물.
  22.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23.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을 포함하는 조성물.
  24. 제 15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미노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5.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27. 당뇨병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 26 항의 식품 첨가물.
  28. 당뇨병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 26 항의 식품 첨가물의 제조 방법.
  29. a.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c. 전단력으로 페이스트를 반죽하는 단계;
    d.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단계;
    e. 건조된 페이스트를 파우더로 분쇄하는 단계; 및
    f. 상기 파우더에 이미노당,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제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의 제조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서로 다른 방법.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2.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방법.
  33. 제 2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 칼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34. 제 2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1 종 또는 그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1종의 칼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5. 제 33항 또는 제 34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36.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칼콘은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플로리진, 또는 플로레틴을 포함하는 방법.
  37. 제 29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적어도 2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및 플로리진이며;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고;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아라비노스이며;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인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퀘르세틴 : 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 아라비노스 :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이 40:9:9:5:5:10:22 또는 35:9:9:4:5:37:1의 비율로 제조되는 방법.
  39. 제 33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및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플로리진인 방법.
  40. 제 33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적어도 2 종의 서로 다른 페닐프로파노이드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 플로리진이며; 이미노당은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이고;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는 아라비노스이며;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인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 디하이드로미리세틴 : 플로리진 : 1-디옥시노지리마이신 : 아라비노스 :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비는 5:2:1:3:1:30 내지 25:6:6:10:10:90인 방법.
  42. 제 2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풍미(flavor) 또는 색 변화 첨가제(colour varying additive)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3. a.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및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c. 전단력으로 페이스트를 반죽하는 단계;
    d.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단계;
    e. 건조된 페이스트를 파우더로 분쇄하는 단계; 및
    f.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파우더에 첨가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는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캡슐화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혈당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의 형성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서로 다른 방법.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6.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제 1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방법.
  47. 제 43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 칼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48. 제 43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적어도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칼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9.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플라보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루테올린, 바이칼레인, 아피게닌, 캠페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50.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칼콘은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플로리진, 또는 플로레틴을 포함하는 방법.
  51. 제 43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페닐프로파노이드는 퀘르세틴, 미리세틴,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코사이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2. 제 43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미노당을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3. 제 43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당류 기반 효소 억제제를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4. 제 43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슐화 되지 않은 적어도 1종의 유리 페닐프로파노이드를 임의의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5. 개체의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양의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 26항의 식품 첨가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56. 개체의 혈당 반응을 감소시키고, 소화를 늦추고 및/또는, 개체의 식후 포만감을 유지시키기 위한 양의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 26항의 식품 첨가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KR1020227024297A 2019-12-16 2020-12-10 혈당 반응 변형을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20220115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912271SA SG10201912271SA (en) 2019-12-16 2019-12-16 Formulation, composition or foodstuff additives for the modification of glycemic response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SG10201912271S 2019-12-16
PCT/SG2020/050739 WO2021126078A1 (en) 2019-12-16 2020-12-10 Formulation, composition or foodstuff additives for the modification of glycemic response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613A true KR20220115613A (ko) 2022-08-17

Family

ID=7647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297A KR20220115613A (ko) 2019-12-16 2020-12-10 혈당 반응 변형을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49572A1 (ko)
EP (1) EP4076011A1 (ko)
JP (1) JP2023507396A (ko)
KR (1) KR20220115613A (ko)
CN (1) CN115038340A (ko)
SG (1) SG10201912271SA (ko)
WO (1) WO202112607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7014A1 (en) * 2003-02-14 2004-08-18 Wacker-Chemie GmbH Method for reducing the glycemic index for food
JP2006115772A (ja) * 2004-10-22 2006-05-11 Cyclochem:Kk カテキン含有組成物の苦味低減方法
JP2007319075A (ja) * 2006-05-31 2007-12-13 Kao Corp 容器詰飲料
WO2010042633A2 (en) * 2008-10-08 2010-04-1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Naringenin complex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4000186A (zh) * 2013-12-09 2014-08-27 胡安然 一种调理高血糖的膳食
CN103961395A (zh) * 2014-05-21 2014-08-06 吕健军 一种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用于调控血糖的方法
CN104666293A (zh) * 2015-02-05 2015-06-03 江苏丰园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二氢杨梅素环糊精包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823188A (zh) * 2017-11-23 2018-03-23 华益药业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复方黄酮缓释胶囊及其制备方法
WO2019230013A1 (ja) * 2018-06-01 2019-12-05 太陽化学株式会社 フラボノイド-シクロデキストリン包接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
CN110226721A (zh) * 2019-04-29 2019-09-13 潘元风 一种具有辅助降血糖功能的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6078A1 (en) 2021-06-24
EP4076011A1 (en) 2022-10-26
SG10201912271SA (en) 2021-07-29
JP2023507396A (ja) 2023-02-22
CN115038340A (zh) 2022-09-09
US20230049572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4669B1 (en) Application of d-psicose to suppression of abnormal circadian increase in blood glucose level
EP2977052B1 (en) Agent for lifestyle-related disease and or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TWI303992B (ko)
EP1328280B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ysglucaemia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id composition
JP5442243B2 (ja) 腎障害抑制剤
EP1787625B1 (en) Preventive/remedy for obesity
JP2790610B2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それを含む糖組成物、甘味料、食品、及び飼料
CA2958712C (en) Slowly digestible, sustained-type energy supplying agent
KR20220115613A (ko) 혈당 반응 변형을 위한, 제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JPH0965836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それを含む糖組成物、甘味料、食品及び飼料
JP4851902B2 (ja) 体脂肪蓄積抑制剤
JP7217089B2 (ja) 血糖値上昇抑制剤及びこれを含んでなる経口組成物
JP2000152744A (ja) サラシア・オブロンガ含有菓子・パン類及びその製法
KR20020033336A (ko) 둥굴레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JP2011057707A (ja) 血糖値上昇抑制組成物、血糖値上昇抑制食品、および二糖類水解酵素活性阻害組成物
WO2009051786A2 (en) Methods for treating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inducing satiety
KR102366453B1 (ko) 손가락조 핑거 1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41938B1 (ko) 누에 분말을 함유하는 건빵
US20080063731A1 (en) Mineral infused polyol and method to improve metabolism of individ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