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597A -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597A
KR20220113597A KR1020210017039A KR20210017039A KR20220113597A KR 20220113597 A KR20220113597 A KR 20220113597A KR 1020210017039 A KR1020210017039 A KR 1020210017039A KR 20210017039 A KR20210017039 A KR 20210017039A KR 20220113597 A KR20220113597 A KR 2022011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mol
polyester
antioxida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제원
허영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3597A/ko
Priority to PCT/KR2022/000707 priority patent/WO2022169129A1/ko
Priority to TW111102432A priority patent/TWI804171B/zh
Publication of KR2022011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93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63/197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condens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구현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고유점도 및 색상 특성이 우수하며,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도 색상 특성이 저하되지 않아 품질이 우수하므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 재활용성 또한 뛰어나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POLYESTER RESIN PELLET, POLYESTER FILM,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구현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섬유, 필름, 용기 등에서 가장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합성 수지이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투과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포장용, 캐리어용, 광학용, 편광용 등을 포함한 산업 전반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는 구조상 자외선에 노출되면 필름의 열화가 진행되어 황변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광학용이나 편광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황변이 발생되면 휘도도 감소할 수 있으므로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색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들의 재활용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용융압출 또는 연신 공정에서 불량품이나 자투리 같은 폴리에스테르 폐기물(이하, 폐폴리에스테르)이 발생된다. 이러한 폐폴리에스테르를 재활용하기 위해 이를 재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폴리에스테르는 열에 민감하므로 이러한 폐폴리에스테르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의 품질, 특히 색상 특성이 매우 저하된다.
일례로, 일본 공개특허 제2007-092204호는 폐폴리에스테르를 에틸렌글리콜과 혼합용융한 후 해중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공정은 복잡하고 생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은 기계적 물성은 물론, 색상 면에서 품질이 좋지 않으므로, 재활용성이 낮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7-092204호
따라서, 구현예는 색상 특성이 우수하면서 폐폴리에스테르를 재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pellet)은 디올 성분으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은 디올 성분으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 1 방향으로 1차 연신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2차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신 시트를 200℃ 내지 260℃에서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디올 성분으로 70 몰% 이상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70 몰% 내지 99 몰%의 테레프탈산 및 1 몰% 내지 30 몰%의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L*이 90 이상이고, a*이 0.1 이하이고, b*이 4.0 이하이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고유점도 및 색상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복잡한 공정 없이 폐폴리에스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도 색상 특성이 저하되지 않아 품질이 우수하므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 재활용성 또한 뛰어나다.
나아가,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제 1 산화방지제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은 물론, 색상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또는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도 색상 특성이 저하되지 않아 품질이 우수하므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 재활용성 또한 뛰어나다.
이하, 구현예를 통해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현예는 이하에서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써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1차, 2차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pellet)은 디올 성분으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은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올 성분은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올 성분은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70 몰%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디올 성분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70 몰% 이상, 75 몰% 이상, 85 몰% 이상, 88 몰% 이상, 90 몰% 이상, 93 몰% 이상, 95 몰% 이상, 97 몰% 이상, 99 몰% 이상 또는 100 몰%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이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유연성, 밀착성, 내구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디올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만 구성되는 경우, 내열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올 성분은 필요에 따라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디올 성분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1 몰% 내지 30 몰%, 1 몰% 내지 20 몰%, 1 몰% 내지 15 몰%, 1 몰% 내지 10 몰% 또는 1 몰% 내지 5 몰%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70 몰% 내지 99 몰%의 테레프탈산 및 1 몰% 내지 30 몰%의 이소프탈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테레프탈산을 70 몰% 내지 99 몰%, 75 몰% 내지 99 몰%, 80 몰% 내지 98 몰%, 83 몰% 내지 98 몰% 또는 85 몰% 내지 98 몰%로 포함할 수 있고, 이소프탈산을 1 몰% 내지 30 몰%, 1 몰% 내지 25 몰%, 1 몰% 내지 20 몰%, 2 몰% 내지 15 몰% 또는 3 몰% 내지 13 몰%로 포함할 수 있다.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유연성, 내구성, 내열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디메틸테레프탈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1 몰% 내지 15 몰%, 1 몰% 내지 10 몰% 또는 3 몰% 내지 7 몰%의 디메틸테레프탈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폐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폐폴리에스테르 수지 시트를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폐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량품이나 자투리 같은 폴리에스테르 폐기물일 수 있고, 시트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폐폴리에스테르를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8 중량%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폐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8.1 중량% 내지 99.9 중량%, 98.6 중량% 내지 99.9 중량% 또는 98.8 중량% 내지 99.8 중량%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용융압출 또는 연신 공정에서 불량품이나 자투리 같은 폐폴리에스테르가 발생된다. 이러한 폐폴리에스테르를 재활용하기 위해 이를 재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폴리에스테르는 열에 민감하므로 이러한 폐폴리에스테르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의 품질, 특히 색상 특성이 매우 저하되어 황변이 발생한다.
그러나,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이러한 폐폴리에스테르를 상기와 같이 98 중량% 내지 99.9 중량%로 다량 포함하는 경우에도 광투과성이나 내열성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 색상 특성도 저하되지 않아 품질이 우수하다.
상기 폐폴리에스테르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페놀계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제 1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산화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A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A]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A에서,
R11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이고,
X11은 C(R15)b이고,
R15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이고,
a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b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a + b = 4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R11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R11 및 상기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tert-부틸기일 수 있고, 상기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X11은 C(R15)b이고, 상기 R15는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는 1 내지 4의 정수이며, 상기 b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a + b = 4이다. 상기 a가 2 이상일 때 2 이상의 R11 내지 R14는 각각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상기 b가 2 이상일때 2 이상의 R15는 각각 서로 같거나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a는 4이며, 상기 b는 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산화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A-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A-1]
Figure pat00004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산화방지제를 0.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산화방지제를 0.05 중량% 내지 0.95 중량%, 0.05 중량% 내지 0.7 중량%, 0.1 중량% 내지 0.6 중량% 또는 0.15 중량% 내지 0.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황변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우수한 색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또는 헥실기로 치환된 페닐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tert-부틸기로 치환된 페닐기일 수 있고, 2,4-디-tert-부틸페닐기, 2,5-디-tert-부틸페닐기 또는 3,5-tert-부틸페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1 내지 R3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산화방지제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1-3으로 표시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6
[화학식 1-2]
Figure pat00007
[화학식 1-3]
Figure pat00008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 2 산화방지제를 0.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산화방지제를 0.05 중량% 내지 0.95 중량%, 0.05 중량% 내지 0.7 중량%, 0.1 중량% 내지 0.6 중량% 또는 0.15 중량% 내지 0.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황변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우수한 색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4.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4.0, 1 : 0.5 내지 3.5, 1 : 0.5 내지 3.0, 1 : 0.6 내지 2.5, 1 : 0.6 내지 2.3, 1 : 0.6 내지 2.0, 1 : 0.65 내지 1.8, 1 : 0.65 내지 1.5 또는 1 : 0.7 내지 1.2일 수 있다. 상기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내구성 및 내열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색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카본블랙, 산화 티타늄, 불용성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및 폴리아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안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가시광선 흡수 파장대가 560 nm 내지 680 nm인 블루 계열의 안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황변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우수한 색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루 계열의 안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황변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색상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상기 안료를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료의 함량은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0.01 중량부 내지 0.7 중량부, 0.03 중량부 0.7 중량부, 0.05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또는 0.2 중량부 내지 0.4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안정제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0.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또는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상기 자외선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요오드계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0.05 중량부 내지 4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0.15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또는 0.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의 상기 열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4차 암모늄염, 금속염, 전도성 고분자, 금속 산화물, 계면활성제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0.05 중량부 내지 4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0.15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또는 0.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의 대전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폴리우레탄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0.2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0.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0.5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또는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의 상기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L*은 55 이상일 수 있고, a*은 -0.5 이하일 수 있고, b*이 8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L*은 55 이상, 56 이상 또는 57 이상일 수 있고, a*은 -0.5 이하, -0.6 이하 또는 -0.8 이하일 수 있고, b*이 8 이하, 7.5 이하, 7 이하 또는 6.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L*, 상기 a* 및 상기 b*은 국제 표준 컬러 측정 기구(CIE(Commission International d'Eclairage)에 의해 정립된 컬러 체계로서, Color를 L(명도), a(녹색에서 적색의 보색), b(황색에서 청색의 보색)로 표기하여 색상을 표현하며, UltraScan PRO(제조사: Hunterlab)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필름에 황변이 발생하는 경우, b*의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고유점도(IV)는 0.60 dl/g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고유점도(IV)는 0.60 dl/g 이상, 0.61 dl/g 이상 또는 0.62 dl/g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황색도(Y.I.)는 6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황색도는 6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제조 방법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제조 방법은 디올 성분으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와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용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칩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혼합물을 260℃ 내지 320℃, 270℃ 내지 310℃ 또는 270℃ 내지 295℃에서 2시간 내지 8시간, 3시간 내지 7시간 또는 4시간 내지 7시간 동안 반응시켜 칩 형태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폐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폐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폐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폐폴리에스테르는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폐폴리에스테르 수지 시트를 분쇄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폐폴리에스테르 또는 폐폴리에스테르 시트를 5 mm 내지 25 mm의 크기로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의 크기는 5 mm 내지 25 mm, 5 mm 내지 20 mm, 5 mm 내지 18 mm, 7 mm 내지 15 mm, 7 mm 내지 13 mm 또는 9 mm 내지 13 mm일 수 있다.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의 크기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균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와 혼합한다.
상기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제 2 산화방지제와 혼합한다. 이때, 첨가제로서 안료,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펠릿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을 용융압출하고, 건조 및 냉각시킨 후, 펠릿 커팅기로 커팅하여 펠릿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융압출은 260℃ 내지 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융압출은 260℃ 내지 300℃, 265℃ 내지 300℃, 270℃ 내지 295℃ 또는 275℃ 내지 295℃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60℃ 내지 100℃에서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는 65℃ 내지 95℃, 70℃ 내지 90℃ 또는 75℃ 내지 85℃에서 3시간 내지 12시간, 3시간 내지 10시간 또는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펠릿의 건조 공정 조건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제조되는 펠릿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건조된 펠릿을 15 ℃ 이하, 10℃ 이하 또는 6℃ 이하로 냉각시킨 후, 펠릿 커팅기로 커팅하여 펠릿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구형,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단면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별과 같은 기하학적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은 디올 성분으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 1 방향으로 1차 연신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2차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신 시트를 200℃ 내지 260℃에서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펠릿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와 혼합한다.
상기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제 2 산화방지제를 혼합한다. 이때, 첨가제로서 안료,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단계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상기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와 1차 혼합하는 단계; 및 원료 수지(base resin)에 상기 1차 혼합물을 2차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일 경우, 폐폴리에스테르만을 사용하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의 성분 및 함량과 동일한 원료 수지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상기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와 1차 혼합하여 제조된 1차 혼합물을 원료 수지와 2차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료 수지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수지의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상기 폐폴리에스테르의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그 종류 및 함량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원료수지와 상기 폐폴리에스테르 시트의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이 동일할 경우, 폐폴리에스테르의 재활용성을 높이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2차 혼합 단계는 상기 1차 혼합물을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차 혼합 단계는 상기 원료 수지 100 중량부에 상기 1차 혼합물을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7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7 중량부 내지 32 중량부 또는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1차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광투과율, 헤이즈, 인장강도, 고유점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과 색상 특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2차 혼합 단계는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을 상기 원료 수지와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을 1차 혼합물로서 사용하고, 이를 상기 원료 수지와 혼합함으로써 2차 혼합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은 상기 원료 수지와 동일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 또는 2차 혼합물을 T-다이(T-die)로 용융압출한 후, 냉각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융압출 단계는 Tm+5℃ 내지 Tm+70℃, Tm+5℃ 내지 Tm+50℃ 또는 Tm+7℃ 내지 Tm+3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냉각 단계는 Tg-120℃ 내지 Tg+20℃, Tg-110℃ 내지 Tg+10℃, Tg-105℃ 내지 Tg-30℃, Tg-105℃ 내지 Tg-50℃, Tg-105℃ 내지 Tg-65℃, Tg-105℃ 내지 Tg-8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융압출 온도는 260℃ 내지 320℃, 270℃ 내지 310℃ 또는 270℃ 내지 295℃일 수 있고, 상기 냉각 온도는 -20℃ 내지 100℃, 0℃ 내지 90℃, 5℃ 내지 75℃, 10℃ 내지 60℃, 10℃ 내지 50℃ 또는 15℃ 내지 45℃일 수 있다. 용융압출 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용융이 원활하면서 압출물의 점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 1 방향으로 1차 연신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2차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1차 연신은 6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배 내지 5배의 연신율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연신 단계는 60℃ 내지 120℃, 70℃ 내지 110℃, 75℃ 내지 105℃,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의 온도에서 2배 내지 5배, 2.5배 내지 4.5배, 2.5배 내지 4배 또는 3배 내지 3.5배의 연신율로 수행될 수 있다. 1차 연신의 온도 및 연신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내열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폭 방향(TD) 또는 길이 방향(MD)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은 길이 방향(MD)일 수 있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은 폭 방향(TD)일 수 있다.
상기 1차 연신 이후에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2차 연신한다. 상기 2차 연신은 2배 내지 5배의 연신율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차 연신은 70℃ 내지 140℃, 80℃ 내지 140℃, 90℃ 내지 135℃, 100℃ 내지 130℃ 또는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2배 내지 5배, 2.5배 내지 5배, 3배 내지 4.5배 또는 3.5배 내지 4.5배의 연신율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연신 이전에 예열 단계 또는 코팅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예열 단계는 70℃ 내지 120℃에서 0.01 내지 1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열 온도는 70℃ 내지 120℃, 75℃ 내지 115℃ 또는 80℃ 내지 110℃일 수 있고, 상기 예열 시간은 0.01 내지 1분, 0.05분 내지 0.5분, 0.08분 내지 0.2분일 수 있다.
상기 코팅 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전방지 등과 같은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단계로서 스핀 코팅 또는 인라인 코팅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방향의 연신비(d1) 및 상기 제 2 방향의 연신비(d2)의 비율(d1/d2)은 0.5 내지 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의 연신비(d1) 및 상기 제 2 방향의 연신비(d2)의 비율(d1/d2)은 0.5 내지 0.95, 0.65 내지 0.95 또는 0.7 내지 0.9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신 시트를 200℃ 내지 260℃에서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열고정은 어닐링일 수 있고, 200℃ 내지 260℃에서 0.01분 내지 1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고정 온도(T2)는 200℃ 내지 260℃, 210℃ 내지 250℃, 225℃ 내지 250℃ 또는 235℃ 내지 245℃일 수 있고, 상기 열고정 시간은 0.05분 내지 0.5분 또는 0.08분 내지 0.2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디올 성분으로 70 몰% 이상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70 몰% 내지 99 몰%의 테레프탈산 및 1 몰% 내지 30 몰%의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L*이 90 이상이고, a*이 0.1 이하이고, b*이 4.0 이하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L*이 90 이상이고, a*이 0.1 이하이고, b*이 4.0 이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L*은 90 이상, 92 이상, 95 이상 또는 96 이상일 수 있고, a*은 0.1 이하, 0.07 이하 또는 0.05 이하일 수 있으며, b*은 4.0 이하, 3.5 이하, 2.8 이하, 2.5 이하, 1.8 이하, 1.3 이하, 1.0 이하 또는 0.7 이하일 수 있다. L*, a* 및 b*이 각각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색상 특성이 우수하다. 특히, b*이 매우 낮으므로, 황변 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색 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황색도(Y.I.)는 2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황색도는 2 이하, 1 이하 또는 0.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고유점도(IV)는 0.65 dl/g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고유점도(IV)는 0.65 dl/g 이상 또는 0.70 dl/g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인장강도는 3.5 kgf/mm2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1 방향의 인장강도는 3.5 kgf/mm2 이상, 3.8 kgf/mm2 이상 또는 4.0 kgf/mm2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의 인장강도는 3.5 kgf/mm2 이상, 3.8 kgf/mm2 이상 또는 4.0 kgf/mm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는 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는 5% 이하, 4.5% 이하 또는 4%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투과율은 9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투과율은 90% 이상, 90.5% 이상, 91% 이상 또는 91.4%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제조
실시예 1-1
10 mm의 크기로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 99.7 중량%,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Irganox 1010, 제조사: BASF) 0.15 중량% 및 제 2 산화방지제(Songnox 1680, 제조사: 송원산업) 0.15 중량%를 혼합했다. 이때, 상기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는 디올 성분으로서 100 몰%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했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88 몰%의 테레프탈산 및 12 몰%의 이소프탈산을 포함했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280℃에서 용융압출하고, 80℃에서 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5℃로 냉각시키고, 펠릿 커팅기로 커팅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내지 1-4 및 비교예 1-1
각각의 구성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1-4는 상기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피그먼트 블루 안료 0.3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구분 혼합물 첨가제
폐폴리에스테르 제 1 산화방지제 제 2 산화방지제 블루 안료
실시예 1-1 99.70 중량% 0.15 중량% 0.15 중량% -
실시예 1-2 99.30 중량% 0.35 중량% 0.35 중량% -
실시예 1-3 99.00 중량% 0.50 중량% 0.50 중량% -
실시예 1-4 99.70 중량% 0.15 중량% 0.15 중량% 0.30 중량부
비교예 1-1 100.00 중량% - - -
실험예 1-1: 색상(color)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1 내지 1-4 및 비교예 1-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에 대하여, UltraScan PRO(제조사: Hunterlab)를 이용하여 색상 특성인 L*, a* 및 b*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2: 고유점도(IV)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1 내지 1-4 및 비교예 1-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10 mg)을 각각 100℃의 오르쏘-클로로페놀(Ortho-Chlorophenol)에 용해시킨 후, 35℃의 항온조에서 오스트발트(Ostwald) 점도계로 시료의 낙하 시간을 구하여 상대점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상대점도는 상대점도-고유점도 환산표에 의거하여 고유점도(IV)로 변환하였으며, 이때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L* a* b* 고유점도(dl/g)
실시예 1-1 58.56 -0.86 5.33 0.628
실시예 1-2 59.84 -0.81 6.39 0.623
실시예 1-3 61.80 -1.05 6.65 0.620
실시예 1-4 57.54 -1.83 0.62 0.659
비교예 1-1 51.69 -0.14 8.59 0.63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4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비교예 1-1의 펠릿에 비하여 색상 및 고유점도 특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1 내지 1-4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은 제 1 산화 방지제 및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실시예 1-4와 같이 안료가 첨가된 경우는 물론, 안료가 첨가되지 않은 실시예 1-1 내지 1-3의 경우에도 색상 특성이 우수했다. 특히, b*값이 낮아 황변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1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구체적으로 폐폴리에스테르만을 포함하고, 제 1 산화방지제 및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하지 않은 펠릿은 색상의 품질이 매우 낮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실시예 2-1
10 mm의 크기로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 99.7 중량%,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Irganox 1010, 제조사: BASF) 0.15 중량% 및 제 2 산화방지제(Songnox 1680, 제조사: 송원산업) 0.15 중량%를 1차 혼합했다. 이때, 상기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는 디올 성분으로서 100 몰%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했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88 몰%의 테레프탈산 및 12 몰%의 이소프탈산을 포함했다.
이후, 원료 수지(base resin) 100 중량부에 상기 1차 혼합물 10 중량부를 2차 혼합했다. 이때, 상기 원료 수지는 디올 성분으로서 100 몰%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했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88 몰%의 테레프탈산 및 12 몰%의 이소프탈산을 포함했다.
상기 2차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한 후, T-다이(T-Die)로 290℃에서 용융압출한 후, 냉각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95℃에서 3.3배의 연신율로 MD 방향으로 1차 연신하고, 30 m/분의 속도로 이송하면서 105℃로 예열한 후, 120℃에서 3.9배의 연신율로 TD 방향으로 2차 연신하고, 240℃에서 0.1분 동안 열고정하여 두께가 40 ㎛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1차 혼합물을 3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1차 혼합물에 피그먼트 블루 안료 0.3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1차 혼합물을 3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제 1 산화방지제 및 제 2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분쇄된 폐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1차 혼합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2
1차 혼합물에 피그먼트 블루 안료 0.3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1: 색상(color)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2-1 내지 2-4,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UltraScan PRO(제조사: Hunterlab)를 이용하여, 색상 특성인 L*, a* 및 b*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2: 고유점도(IV)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2-1 내지 2-4,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 mg)을 각각 100℃의 오르쏘-클로로페놀(Ortho-Chlorophenol)에 용해시킨 후, 35℃의 항온조에서 오스트발트(Ostwald) 점도계로 시료의 낙하 시간을 구하여 상대점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상대점도는 상대점도-고유점도 환산표에 의거하여 고유점도(IV)로 변환하였으며, 이때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2-3: 인장 강도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2-1 내지 2-4,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ASTM D 882에 따라 인스트론(INSTRON)사의 만능시험기(4206-001, 제조사: UTM)을 이용하여 척간 간격이 50 mm가 되도록 장착하고 인장속도 500 mm/분의 속도로 실험한 후, 설비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4: 헤이즈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2-1 내지 2-4,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헤이즈미터(SEP-H, 제조사: Nihon Semitsu Kogaku)를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5: 광투과율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2-1 내지 2-4,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UltraScan PRO(제조사: Hunterlab)를 이용하여, 380 nm에서의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구분 L* a* b* 고유점도(dl/g)
실시예 2-1 96.19 0.04 0.59 0.748
실시예 2-2 96.15 0 0.69 0.720
실시예 2-3 96.18 0.01 0.49 0.743
실시예 2-4 96.11 -0.03 0.51 0.720
비교예 2-1 51.69 -0.14 8.59 0.639
비교예 2-2 53.01 -1.79 4.55 0.633
구분 인장강도 (kgf/mm2) 헤이즈(%) 광투과율(%)
MD TD
실시예 2-1 4.08 4.10 2.88 91.60
실시예 2-2 4.13 4.11 3.42 91.54
실시예 2-3 4.05 4.10 3.03 91.47
실시예 2-4 4.12 4.09 3.96 91.56
비교예 2-1 3.57 3.69 4.50 90.60
비교예 2-2 3.60 3.65 4.40 90.50
상기 표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2-4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비교예 2-1 및 2-2의 필름에 비하여 색상, 고유점도, 인장강도, 헤이즈 및 광투과율 특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1 내지 2-4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제 1 산화 방지제 및 제 2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2-3 및 2-4와 같이 안료를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물론, 안료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실시예 2-1 및 2-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은 물론, 색상 특성이 우수했다. 특히, 실시예 2-1 내지 2-4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b*값이 매우 낮아 황변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2-1 및 2-2와 같이 제 1 산화 방지제 및 제 2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필름의 경우,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은 물론, 색상의 품질이 매우 낮았다. 특히, 비교예 2-2는 안료를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2-1 내지 2-4의 필름에 비하여 b*값이 매우 높아, 황변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디올 성분으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pellet):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산화방지제를 0.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산화방지제를 0.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의 중량비가 1 : 0.5 내지 4.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 성분이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70 몰% 이상으로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70 몰% 내지 99 몰%의 테레프탈산 및 1 몰% 내지 30 몰%의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이 카본블랙, 산화 티타늄, 불용성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및 폴리아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6. 제 1 항에 있어서,
    L*이 55 이상이고, a*이 -0.5 이하이고, b*이 8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7. 디올 성분으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2 산화방지제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 1 방향으로 1차 연신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2차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신 시트를 200℃ 내지 260℃에서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폐폴리에스테르 수지 시트를 분쇄한 것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상기 페놀계 제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제 2 산화방지제와 1차 혼합하는 단계; 및
    원료 수지(base resin)에 상기 1차 혼합물을 2차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혼합 단계가 상기 1차 혼합물을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혼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10. 디올 성분으로 70 몰% 이상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70 몰% 내지 99 몰%의 테레프탈산 및 1 몰% 내지 30 몰%의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L*이 90 이상이고, a*이 0.1 이하이고, b*이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고유점도(IV)가 0.65 dl/g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3.5 kgf/mm2 이상이고, 헤이즈가 5%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210017039A 2021-02-05 2021-02-05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13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39A KR20220113597A (ko) 2021-02-05 2021-02-05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2/000707 WO2022169129A1 (ko) 2021-02-05 2022-01-14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TW111102432A TWI804171B (zh) 2021-02-05 2022-01-20 聚酯樹脂丸粒、聚酯薄膜及其製備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39A KR20220113597A (ko) 2021-02-05 2021-02-05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597A true KR20220113597A (ko) 2022-08-16

Family

ID=8306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039A KR20220113597A (ko) 2021-02-05 2021-02-05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35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204A (ja) 2005-09-28 2007-04-12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系熱接着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204A (ja) 2005-09-28 2007-04-12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系熱接着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29378T2 (de) Grosse polyesterbehält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2258534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용기의 재생 방법
EP1557439B1 (en) Polyester resi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sheet or film obtained therefrom and hollow molded container
US7229581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film using plastic bottle recyclate
KR102514280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41974A (ko) 색상이 우수한 고투명성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10722859A (zh) 一种光学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CN103890052A (zh) 塑料饮料容器中的可回收着色剂
KR102514285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1257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필름
KR20220113597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6775B1 (ko) 정색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 가공 제품
TWI804171B (zh) 聚酯樹脂丸粒、聚酯薄膜及其製備方法
CN107936230B (zh) 一种低雾度膜用聚酯母粒及其薄膜的制备方法
KR101705241B1 (ko) 백색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341770B (zh) 一种环保高阻燃petg片材及其制备方法
EP0579087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film
CA2333219A1 (en) Hollow molded product comprising ethylene-2,6-naphthalene dicarboxylate polymer and ultraviolet absorb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KR101552429B1 (ko) 차광성 및 표면활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09825057B (zh) 一种高增透防紫外性好的改性pet/pc合金及其制备方法
KR101227550B1 (ko) 색상이 향상된 이축연신 폴리에스터 필름
JPH07267937A (ja) ベンゾトリアゾール系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S63193934A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WO2016194757A1 (ja) 赤外光透過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253530B1 (ko) 염색이 용이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