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012A -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 Google Patents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012A
KR20220112012A KR1020210015478A KR20210015478A KR20220112012A KR 20220112012 A KR20220112012 A KR 20220112012A KR 1020210015478 A KR1020210015478 A KR 1020210015478A KR 20210015478 A KR20210015478 A KR 20210015478A KR 20220112012 A KR20220112012 A KR 2022011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downward
wearing part
hip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594B1 (ko
Inventor
한현정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5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은, 착용자의 엉덩이 상부쪽을 감싸 지지하기 위한 엉덩이 착용부;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좌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좌측 하향 가압단;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우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우측 하향 가압단;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좌측에서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감싸도록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대퇴 지지부와,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감싸면서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좌측 대퇴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좌측 착용부; 및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서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감싸도록 우측 하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대퇴 지지부와,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감싸면서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우측 대퇴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우측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착용부와 우측 착용부를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와 우측 대퇴부에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하향 가압단을 골반의 좌측 상부를 감싸도록 우측 사선 하향으로 당겨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에 결합하고, 상기 우측 하향 가압단을 골반의 우측 상부를 감싸도록 좌측 사선 하향으로 당겨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에 결합하여, 좌,우측 대퇴골두가 좌,우측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DOWNWARD PRESSURE TYPE HIP JOINT DISLOCATION PREVENTION CLOTHING}
본 발명은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관절의 대퇴골두를 중심으로 양쪽 위에서 하향 사선으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대퇴골두가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압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관절을 외전시킬 수 있는 자세를 만들어 줌으로써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관절은 골반의 오른쪽 및 왼쪽이 양쪽 넙적 다리뼈와 연결되는 관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골반 뼈의 일부인 소케트 모양으로 생긴 비구부와 대퇴골(넓적다리뼈) 윗부분의 동그란 구형의 대퇴골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관절의 탈구는 일반적인 성인에서는 드물지만, 교통사고나 낙상과 같은 고에너지 손상을 입을 경우 탈구되는 경우가 있다. 고관절 탈구는 탈구로 인해 비구에 대하여 대퇴골두가 어느 위치에 자리하게 되는가에 따라 후방탈구, 전방탈구, 중심성 탈구로 나뉘며, 전체 탈구 가운데 90%에 이르는 후방탈구각각의 탈구 유형 가운데 가장 흔히 일어나는 고관절 탈구이다.
한편, 뇌 손상을 입은 환자의 경우에, 뇌의 손상으로 인해 하지의 경직이 심하게 발생하며, 대체로 내전근의 경직이 외전근에 비해 심하게 발생한다. 내전근의 경직으로 인해 환자의 다리뼈는 안쪽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안쪽으로 잡아 당겨지는 다리뼈에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어 고관절의 탈구가 촉진된다.
즉, 다리뼈(대퇴골)는 내전근에 의해 다리 안쪽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은 힘에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어, 다리뼈의 끝단에서는 대퇴골두가 비구부에서 이탈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다리뼈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고관절을 이탈하려는 힘에 의해 고관절의 비구부에 마련되어 있는 캡슐은 찢어지게 되고, 대퇴골두가 비구부에서 이탈되는 탈구가 촉진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쪽의 다리뼈가 안쪽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쪽 다리뼈 사이에 고정바를 배치하여 다리뼈가 안쪽으로 모이는 힘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양쪽의 다리뼈 고정바(30)를 사용하면 오히려 지렛대의 원리가 촉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42459호(공고일 : 2016.07.29)에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넙다리근막 긴장근, 장경인대, 큰볼기근의 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 장경인대 인조인대, 큰볼기근 인조근을 구비하되, 실제 각 근육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여 수동불충분을 일으키어, 고관절내전, 고관절 안쪽돌림, 고관절 굽힘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 되어 고관절 탈구방지를 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넙다리근막긴장근, 장경인대, 큰볼기근의 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 장경인대 인조인대, 큰볼기근 인조근을 구비하되, 실제 각 근육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여, 수동불충분을 일으키어, 고관절내전, 고관절 안쪽돌림, 고관절 굽힘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 되어, 고관절 탈구를 방지하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어느 한쪽에만 착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양쪽 고관절의 탈구를 예방해야 하는 환자에게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이러한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허리장착부와 다리 장착부가 밴드가 큰볼기근 인조근에 의해서만 연결되어 있는 구조였기 때문에 대퇴골두를 비구내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42459호(공고일 : 2016.07.29)
본 발명의 목적은, 고관절의 대퇴골두를 중심으로 양쪽 상부에서 하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대퇴골두가 비구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압박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체형이나 나이 또는 증상에 따라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착용자의 엉덩이 상부쪽을 감싸 지지하기 위한 엉덩이 착용부;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좌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좌측 하향 가압단;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우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우측 하향 가압단;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좌측에서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감싸도록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대퇴 지지부와,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감싸면서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좌측 대퇴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좌측 착용부; 및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서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감싸도록 우측 하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대퇴 지지부와,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감싸면서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우측 대퇴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우측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착용부와 우측 착용부를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와 우측 대퇴부에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하향 가압단을 골반의 좌측 상부를 감싸도록 우측 사선 하향으로 당겨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에 결합하고, 상기 우측 하향 가압단을 골반의 우측 상부를 감싸도록 좌측 사선 하향으로 당겨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에 결합하여, 좌측 대퇴골두가 좌측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우측 대퇴골두가 우측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엉덩이 착용부와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 및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의 경계영역에는, 착용자의 활동시 성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엉덩이 착용부와 상기 좌측 착용부 및 우측 착용부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의 외측면은 후크원단이 부착되도록 루프원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엉덩이 착용부와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 및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에는, 상기 좌측 하향 가압단이 상기 우측 착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하향 가압단이 상기 좌측 착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양쪽 대퇴골두를 착용자의 골반 중심 방향으로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압박력 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압박력 조절수단은, 일단이 상기 엉덩이 착용부 및 우측 대퇴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 하향 가압단에 결합되는 우측 압박부재; 및 일단이 상기 엉덩이 착용부 및 좌측 대퇴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좌측 하향 가압단에 결합되는 좌측 압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압박부재 및 상기 좌측 압박부재는,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좌측과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 및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우측과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에 각 일단이 결합되는 상부 조절밴드와 하부 조절밴드로 쌍을 이루어 각각 구성되되, 양쪽의 각 상기 상부 조절밴드는 상부에서 하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되고, 양쪽의 각 상기 하부 조절밴드는 하부에서 상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조절밴드와 상기 하부 조절밴드의 타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조절밴드 및 상기 좌측 조절밴드는, 신축성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조절밴드와 상기 하부 조절밴드의 타단에는 상기 루프원단에 부착 결합되기 위한 후크원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엉덩이 착용부를 기준으로 좌측 하향 가압단 및 우측 하향 가압단 그리고 좌측 착용부와 우측 착용부를 구성함으로써, 양쪽 고관절의 대퇴골두를 중심으로 좌측 대퇴부를 우측 상향 사선 방향으로 가압하고, 우측 대퇴부를 좌측 상향 사선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양쪽의 대퇴골두가 비구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어 대퇴골두의 탈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을 착용 후 활동을 하더라도 좌측 착용부와 우측 착용부들이 대퇴골두가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함으로써 대퇴골두의 탈구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양쪽에 압박력 조절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좌측 착용부와 우측 착용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이나 증상 등에 따라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측과 우측의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좌우 고관절 탈구 차이에 따라 압박 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양쪽에 압박력 조절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좌측 착용부와 우측 착용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전 연령층의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은 좌측 착용부와 우측 착용부 및 압박력 조절수단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이중 압박 효과에 의해 탈구방지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은 전개가 가능하고 대퇴부 및 골반을 감싸면서 착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병인 등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아동이나 지체부자유자 등)가 누운 상테에서도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고, 고관절 위치에 맞도록 착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양쪽 좌,우측 결합단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대퇴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대퇴부의 외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을 도시한 전면 전개도 및 후면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착용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을 도시한 전면 전개도 및 후면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은, 착용자의 양쪽 대퇴부의 대퇴골두가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양쪽 대퇴골두의 탈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엉덩이에 대응되는 엉덩이 착용부(20)와, 엉덩이 착용부(20)의 좌측 및 우측에서 골반의 좌,우측 상부를 감싸면서 착용자의 좌,우측 대퇴부 전면을 향하여 하향 사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 하향 가압단(50) 및 우측 하향 가압단(60)과, 엉덩이 착용부(20)의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좌측 대퇴부 및 우측 대퇴부를 감싸는 좌측 착용부(30) 및 우측 착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착용부(20)는, 착용자의 엉덩이 상부쪽(허리 아래 영역)을 감싸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엉덩이 착용부(20)는, 골반의 상부 양쪽까지 감싸도록 좌,우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착용부(30)는,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감싸고 좌측 대퇴부를 골반의 중심을 방향으로 가압하여 좌측의 대퇴골두가 좌측의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좌측 착용부(30)는, 엉덩이 착용부(20)의 좌측 하단 영역에서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감싸도록 좌측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대퇴 지지부(32)를 포함한다.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감싸면서 좌측 대퇴 지지부(32)의 바깥면(일단)에 결합되도록 좌측 대퇴 지지부(32)의 타단(안쪽)에서 연장 형성되는 좌측 대퇴 결합단(34)를 포합한다. 좌측 대퇴 지지부(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대퇴부의 바깥쪽을 감싸도록 좌측으로 확장(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우측 착용부(40)는,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감싸고 우측 대퇴부를 골반의 중심을 방향으로 가압하여 우측의 대퇴골두가 우측의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좌측 착용부(30)와 대칭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우측 착용부(40)는, 엉덩이 착용부(20)의 우측 하단 영역에서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감싸도록 우측 하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대퇴 지지부(42)를 포함한다.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감싸면서 우측 대퇴 지지부(42)의 바깥면에 결합되도록 우측 대퇴 지지부(42)의 일단(안쪽)에서 연장 형성되는 우측 대퇴 결합단(44)을 포함한다.
전술한 좌측 착용부(30) 및 우측 착용부(40)에서, 대퇴부의 안쪽과 바깥쪽은, 양쪽 대퇴부의 서로 마주보는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영역은 안쪽을 의미하고 외측을 향하는 영역은 바깥쪽을 의미하며, 좌측 대퇴 지지부(32)에서 일단은 좌측 대퇴부의 안쪽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타단은 좌측 대퇴부의 바깥쪽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우측 대퇴 지지부(42)에서 일단은 우측 대퇴부의 안쪽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타단은 우측 대퇴부의 바깥쪽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엉덩이 착용부(20)의 하부 영역과 좌측 대퇴 지지부(32) 및 우측 대퇴 지지부(42)의 경계영역(신체의 가랑이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착용자의 활동시 성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부(80)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회피부(80)는,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을 착용한 후 활동을 할 때 엉덩지 지지부(20) 하부 영역과 좌측 대퇴 지지부(32) 및 우측 대퇴 지지부(42)의 경계영역이 착용자의 성기나 좌,우측 대퇴부의 안쪽 피부에 쓸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엉덩지 지지부(20) 하부 영역과 좌측 대퇴 지지부(32) 및 우측 대퇴 지지부(42)의 경계영역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회피부(80)가 형성됨으로써 엉덩지 지지부(20) 하부 영역과 좌측 대퇴 지지부(32) 및 우측 대퇴 지지부(42)의 경계영역의 일부가 착용자의 성기나 좌,우측 대퇴부의 피부에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착용자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좌측 하향 가압단(50)은,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골반의 좌측 상부 방향으로 압박하여 우측 대퇴골두가 우측 비구내에 위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지지부(20)의 상부 좌측에서 연장 형성된 것이다. 이때, 좌측 하향 가압단(50)은 엉덩이 지지부(20)의 좌측에서 골반의 좌측 상부를 감싸도록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 전면을 향하여 하향 사선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측 하향 가압단(50)은,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골반 좌측 상부를 감싸면서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 전면 영역에서 우측 착용부(40)의 우측 대퇴 지지부(42)의 외측면 및/또는 우측 대퇴 결합단(44)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 우측 착용부(40)의 우측 대퇴 지지부(42) 및 우측 대퇴 결합단(44)은 우측 대퇴부를 감싸면서 결합된 상태이어야 한다. 즉, 우측 착용부(40)가 우측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에서만 좌측 하향 가압단(50)이 우측 착용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하향 가압단(60)은,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골반의 우측 상부 방향으로 압박하여 좌측 대퇴골두가 좌측 비구내에 위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지지부(20)의 상부 우측에서 연장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우측 하향 가압단(60)은 좌측 하향 가압단(50)과 대칭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우측 하향 가압단(60)은 엉덩이 지지부(20)의 우측에서 골반의 우측 상부를 감싸도록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 전면을 향하여 하향 사선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우측 하향 가압단(60)은,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골반 우측 상부를 감싸면서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 전면 영역에서 좌측 착용부(30)의 좌측 대퇴 지지부(32)의 외측면 및/또는 좌측 대퇴 결합단(34)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 좌측 착용부(30)의 좌측 대퇴 지지부(32) 및 우측 대퇴 결합단(34)은 좌측 대퇴부를 감싸면서 결합된 상태이어야 한다. 즉, 좌측 착용부(30)가 좌측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에서만 우측 하향 가압단(60)이 좌측 착용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엉덩이 착용부(20)와 좌측 착용부(30) 및 우측 착용부(40)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 예를 들면 사방신축원단(여러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원단의 외측면은 벨크로의 후크가 부착되도록 루프원단이 결합된다. 원단의 외측면에 루프원단(R)이 부착(합포)되는 것은 좌,우측 대퇴 결합단(34,44) 및 좌,우측 하향 가압단(50,6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후크원단(H)의 후크가 안정적으로 부착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엉덩이 착용부(20)와 좌측 착용부(30) 및 우측 착용부(40)의 외측면 전체에 루프원단(R)이 구비됨으로써 좌,우측 대퇴 결합단(34,44) 및 좌,우측 하향 가압단(50,60)의 결합위치, 즉 조임정도(가압 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좌,우측 대퇴 결합단(34,44) 및 좌,우측 하향 가압단(50,60)의 결합위치를 넓은 범위 내에서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은 좌,우측 대퇴 결합단(34,44) 및 좌,우측 하향 가압단(50,60)의 크기에 따라 어린아이부터 성인까지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좌,우측 대퇴 결합단(34,44)이 각각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각 대퇴부를 감싸면서 좌,우측 대퇴지지부(32,42)의 외측면에 결합되므로, 착용자의 양쪽 대퇴부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착용부(20)와 좌측 대퇴 지지부(32) 및 우측 대퇴 지지부(42)에는, 골반의 좌,우측을 감싸 골반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하여 좌,우측의 대퇴골두가 안정적으로 비구내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압박력 조절수단(70)이 마련 된다.
압박력 조절수단(70)은, 좌측 하향 가압단(50)이 우측 대퇴 지지부(42)에 결합되고 우측 하향 가압단(60)이 좌측 대퇴 지지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양쪽 대퇴골두를 착용자의 골반 중심 방향으로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일단이 엉덩이 착용부(20) 및 우측 대퇴 지지부(42)에 고정되고 타단은 우측 하향 결합단(60)에 결합되는 우측 압박부재(72)와, 일단이 엉덩이 착용부(20) 및 좌측 대퇴 지지부(32)에 고정되고 타단은 좌측 하향 결합단(50)에 결합되는 좌측 압박부재(74)로 구성된다.
이때, 우측 압박부재(72) 및 좌측 압박부재(74)는, 상부 조절밴드(72A,74A)와 하부 조절밴드(72B,74B)로 쌍을 이루어 각각 구성된다. 즉, 우측 압박부재(72)는 상부 조절밴드(72A)와 하부 조절밴드(72B)로 쌍을 이루고, 좌측 압박부재(74)는 상부 조절밴드(74A)와 하부 조절밴드(74B)로 쌍을 이룬다.
양쪽의 각 상부 조절밴드(72A,74A)는 상부에서 하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 일단이 엉덩이 착용부(2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각 하부 조절밴드(72B,74B)는 하부에서 상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 일단이 좌,우측 대퇴 지지부(32,42)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좌,우측의 상부 조절밴드(72A,74A) 및 하부 조절밴드(72B,74B)의 각 타단은 서로 결합되며 내측면에 후크원단(H)이 구비된다. 또한, 우측 압박부재(72) 및 좌측 압박부재(74)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우측 압박부재(72) 및 좌측 압박부재(74)가 상부에서 하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되는 상부 조절밴드(72A,72B) 및 하부에서 상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되는 하부 조절밴드(74A,74B)로 구성됨으로써, 착용자의 골반 양쪽을 각각 골반의 중심 방향으로 견고하게 압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부 조절밴드(72A,72B)와 하부 조절밴드(74A,74B)가 골반의 양쪽을 각각 상향과 하향으로 균형있게 압박하게 되므로 전술한 좌측 착용부(30) 및 우측 착용부(40)와 더불어 양쪽 대퇴골두가 안정적으로 비구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조절밴드(72A,72B) 및 하부 조절밴드(74A,74B)가 신축성을 구비하고 서로 결합된 각 타단에 후크원단(H)이 구비됨으로써, 양쪽의 상부 조절밴드(72A,72B) 및 하부 조절밴드(74A,74B)의 타단 부착 위치를 조절하여 우측 압박부재(72) 및 좌측 압박부재(74)로 골반의 양쪽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체형이나 나이 증상 증에 따라 압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의 착용 방법 및 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의 착용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을 착용하기 위해서는, 엉덩이 착용부(20)를 착용자의 엉덩이 상부(허리와의 경계영역)에 밀착시키고 좌측 착용부(30)의 좌측 대퇴 지지부(32)와 좌측 대퇴 결합단(34)으로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바깥방향으로 감싸 착용한다. 즉, 좌측 대퇴 지지부(32)로 좌측 대퇴부를 감싼 후 좌측 대퇴 결합단(34)으로 좌측 대퇴부를 안쪽에서 바깥족으로 감싸면서 결합한다. 이때 좌측 대퇴 결합단(34)의 단부에 후크원단(H)이 구비되어 있고, 좌측 대퇴 지지부(32)의 외측면에 루프원단(R)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좌측 대퇴 결합단(34)을 좌측 대퇴 지지부(32)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좌측 대퇴 결합단(34)은 좌측 대퇴 지지부(32)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결합된다.
이어서, 우측 착용부(40)의 우측 대퇴 지지부(42)와 우측 대퇴 결합단(44)으로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바깥방향으로 감싸 착용한다. 착용 과정은 전술한 좌측 착용부(30)와 같다.
이때, 좌측 착용부(30)와 우측 착용부(40)의 착용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좌측 착용부(30)와 우측 착용부(40)가 좌,우측 대퇴부에 착용되면, 좌측 하향 가압단(50)을 골반의 좌측 상부를 감싸도록 우측 사선 하향으로 당겨 우측 대퇴 지지부(42)이 외측면에 결합한다. 이어서, 우측 하향 가압단(60)을 골반의 우측 상부를 감싸도록 좌측 사선 하향으로 당겨 좌측 대퇴 지지부(32)의 외측면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좌측 하향 가압단(50)이 우측 대퇴 지지부(42)의 전면 외측면에 결합되면 좌측 하향 가압단(50)의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가 좌측 상향으로 압박되고, 우측 하향 가압단(60)이 좌측 대퇴 지지부(42)의 전면 외측면에 결합되면 우측 하향 가압단(60)의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가 우측 상향으로 압박된다.
이어서, 우측 압박부재(72) 및 좌측 압박부재(74)를 각각 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10)의 전면 쪽으로 펼친 후 착용자 골반의 좌,우측을 감싸면서 좌,우측 하향 가압단(50,60)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결합한다. 이때, 우측 압박부재(72) 및 좌측 압박부재(74)의 타단 일부는 좌,우측 대퇴 지지부(32,42)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도 있다.
이 과정으로 좌측 하향 가압단(50)이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우측 상향 사선방향으로 당겨 가압하고, 우측 하향 가압단(60)이 우측 대퇴부를 좌측 상향 사선방향으로 당겨 가압하게 되므로 좌,우측 대퇴골두는 골반의 비구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어 고관절의 탈구가 예방된다.
또한, 양쪽의 압박력 조절수단(70)이 골반의 양쪽을 상,하부 방향에서 골반의 중심 방향으로 감싸면서 압박함으로써, 좌,우측 대퇴골두가 골반의 양쪽 비구내에서 이탈(탈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착용자의 체형이나 나이, 증상 등에 따라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좌,우측 대퇴 결합단(34,44)이 각각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각 대퇴부를 감싸면서 좌,우측 대퇴 지지부(32,42)에 결합되고, 좌,우측 하향 가압단(50,60) 그리고 양쪽의 압박력 조절수단(70)이 구비되어 양쪽 대퇴골두가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압박함으로써, 착용자의 양쪽 대퇴골두는 양쪽 각 비구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양쪽 대퇴부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20 : 엉덩이 착용부
22 : 엉덩이 지지부 30 : 좌측 착용부
32 : 좌측 대퇴 지지부 34 : 좌측 대퇴 결합단
40 : 우측 착용부 42 : 우측 대퇴 지지부
44 : 우측 대퇴 결합단 50 : 좌측 하향 가압단
60 : 우측 하향 가압단 70 : 압박력 조절수단
72 : 우측 압박부재 74 : 좌측 압박부재
72A,72B : 상부 조절밴드 74A,74B : 하부 조절밴드
80 : 회피부

Claims (6)

  1. 착용자의 엉덩이 상부쪽을 감싸 지지하기 위한 엉덩이 착용부;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좌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좌측 하향 가압단;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우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우측 하향 가압단;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좌측에서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감싸도록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대퇴 지지부와,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를 감싸면서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좌측 대퇴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좌측 착용부; 및
    상기 엉덩이 착용부에서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감싸도록 우측 하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대퇴 지지부와, 착용자의 우측 대퇴부를 감싸면서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우측 대퇴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우측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착용부와 우측 착용부를 착용자의 좌측 대퇴부와 우측 대퇴부에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하향 가압단을 골반의 좌측 상부를 감싸도록 우측 사선 하향으로 당겨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에 결합하고, 상기 우측 하향 가압단을 골반의 우측 상부를 감싸도록 좌측 사선 하향으로 당겨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에 결합하여, 좌측 대퇴골두가 좌측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우측 대퇴골두가 우측 비구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와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 및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의 경계영역에는,
    착용자의 활동시 성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와 상기 좌측 착용부 및 우측 착용부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의 외측면은 후크원단이 부착되도록 루프원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착용부와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 및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에는,
    상기 좌측 하향 가압단이 상기 우측 착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하향 가압단이 상기 좌측 착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양쪽 대퇴골두를 착용자의 골반 중심 방향으로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압박력 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압박력 조절수단은, 일단이 상기 엉덩이 착용부 및 우측 대퇴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 하향 가압단에 결합되는 우측 압박부재; 및 일단이 상기 엉덩이 착용부 및 좌측 대퇴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좌측 하향 가압단에 결합되는 좌측 압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압박부재 및 상기 좌측 압박부재는,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좌측과 상기 좌측 대퇴 지지부 및 상기 엉덩이 착용부의 우측과 상기 우측 대퇴 지지부에 각 일단이 결합되는 상부 조절밴드와 하부 조절밴드로 쌍을 이루어 각각 구성되되, 양쪽의 각 상기 상부 조절밴드는 상부에서 하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되고, 양쪽의 각 상기 하부 조절밴드는 하부에서 상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조절밴드와 상기 하부 조절밴드의 타단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압박부재 및 상기 좌측 압박부재는,
    신축성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조절밴드와 상기 하부 조절밴드의 타단에는 상기 루프원단에 부착 결합되기 위한 후크원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1020210015478A 2021-02-03 2021-02-03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10257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78A KR102576594B1 (ko) 2021-02-03 2021-02-03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78A KR102576594B1 (ko) 2021-02-03 2021-02-03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12A true KR20220112012A (ko) 2022-08-10
KR102576594B1 KR102576594B1 (ko) 2023-09-08

Family

ID=8284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78A KR102576594B1 (ko) 2021-02-03 2021-02-03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5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608B2 (ko) * 1980-09-18 1987-07-15 Oki Electric Ind Co Ltd
KR20120005025U (ko) * 2010-12-31 2012-07-10 유영호 허리보호대
JP5366059B2 (ja) * 2008-05-28 2013-12-11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下半身装着用具
KR101642459B1 (ko) 2014-12-11 2016-07-2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CN206120523U (zh) * 2016-07-20 2017-04-26 诸燮平 一种骨盆外固定装置
KR101981207B1 (ko) * 2017-12-29 2019-05-22 서울대학교병원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2608B1 (ja) * 2017-05-31 2017-11-22 株式会社アネスネット 骨盤ベルト付き衣類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608B2 (ko) * 1980-09-18 1987-07-15 Oki Electric Ind Co Ltd
JP5366059B2 (ja) * 2008-05-28 2013-12-11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下半身装着用具
KR20120005025U (ko) * 2010-12-31 2012-07-10 유영호 허리보호대
KR101642459B1 (ko) 2014-12-11 2016-07-2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CN206120523U (zh) * 2016-07-20 2017-04-26 诸燮平 一种骨盆外固定装置
KR101981207B1 (ko) * 2017-12-29 2019-05-22 서울대학교병원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594B1 (ko)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4598B2 (ja) タイツ
JPH0612747Y2 (ja) 膝装具
CA2893919C (e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JP2014177721A (ja) 運動用タイツ
WO1997020527A9 (en) Knee orthosis with improved suspension strap
KR101642459B1 (ko)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CA2951238A1 (en) Triple flexion device
JP3923929B2 (ja) 運動用被服
KR102576593B1 (ko) 상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102576594B1 (ko)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JP2620700B2 (ja) ベルト押さえ付膝蓋骨装具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JPH1189864A (ja) パッド付き股関節用サポーター
JP6833655B2 (ja) 運動用衣服
TWM542494U (zh) 加壓型關節護具(一)
JP2005168532A (ja) 膝関節サポーター
KR101701960B1 (ko) 골반 벨트
JP3187542U (ja) コンプレッションインナーショーツ
CN113101027B (zh) 一种柔性膝关节矫形医疗辅助器械
JP7205900B2 (ja) 股関節用サポーター
KR102547946B1 (ko) 선택적 브릿지 압박을 통한 기능성 언더웨어 시스템
JP4639015B2 (ja) ガードル
JP2021025174A (ja) 運動用衣服
JP2004156199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KR20220126464A (ko) 자세교정용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