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207B1 -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 Google Patents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207B1
KR101981207B1 KR1020170184663A KR20170184663A KR101981207B1 KR 101981207 B1 KR101981207 B1 KR 101981207B1 KR 1020170184663 A KR1020170184663 A KR 1020170184663A KR 20170184663 A KR20170184663 A KR 20170184663A KR 101981207 B1 KR101981207 B1 KR 10198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wearer
cerebral palsy
elastic force
hip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주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18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207B1/ko
Priority to PCT/KR2018/016611 priority patent/WO201913248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54Patients' garments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가랑이가 위치하는 곳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가랑이부; 착용자의 다리 옆 라인에 위치하는 측단부; 착용자의 앞 허벅지가 위치하는 앞허벅지부; 착용자의 뒷 허벅지가 위치하는 뒷허벅지부;를 포함하며, 착용자가 착용용 하의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측단부에서는, 상기 측단부에서 상기 가랑이부를 항하는 방향으로 외측 탄성력이 작용하며, 상기 앞허벅지부 및 상기 뒷허벅지부에서는, 상기 가랑이부에서 상기 측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Bottom Wear for Preventing Hip Disloc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본 발명은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단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앞허벅지부 및 뒷허벅지부에서는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증의 뇌성마비 환아는 뇌의 손상으로 인해 하지의 경직이 심하게 발생하며, 대체로 내전근의 경직이 외전근에 비해 심하게 발생한다. 내전근의 경직으로 인해 뇌성마비 환아의 다리뼈는 안쪽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안쪽으로 잡아 당겨지는 다리뼈에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어 고관절의 탈구가 촉진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다리뼈(20)는 내전근에 의해 다리 안쪽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은 힘에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어, 다리뼈(20)의 끝단에서는 고관절(10)을 이탈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다리뼈(20)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고관절(10)을 이탈하려는 힘에 의해 고관절(10)에 마련되어 있는 캡슐은 찢어지게 되고, 고관절(10)의 탈구가 촉진된다.
종래에는 다리뼈(20)가 안쪽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다리뼈(20) 사이에 고정바(30)를 사용하게 된다. (고정바(30)는 뇌성마비 환아의 다리와 다리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고정바(30)는 다리뼈(20) 사이에 끼워짐에 따라 다리뼈(20)가 안쪽으로 모이는 힘에 대해 저항하게 되지만, 고정바(30)를 사용하면 오히려 지렛대의 원리가 촉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다리뼈(20) 사이에 고정바(30)가 끼워지면, 고정바(30)는 다리뼈(20)가 안쪽으로 모이는 힘에 대하여 저항하지만, 고정바(30)가 끼워진 곳을 중심으로 오히려 회전 모멘트가 증가하게 된다. 즉, 내전근에 의해 발생하는 다리뼈(20)가 모이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와, 고정바(30)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가 더해져서, 다리뼈(20)의 상부 끝단에서는 다리뼈(20)가 고관절(10)을 이탈하려는 힘이 더 강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증가된 회전 모멘트는 오히려 고관절(10)의 탈구를 촉진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고정바(30)의 사용은 다리가 모이는 힘에 저항되지만, 이 저항된 힘은 오히려 고정바(30)를 중심으로 다리뼈(20)가 회전하는 방향의 힘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고정바(30)를 사용할 경우 오히려 고관절(10)의 탈구가 촉진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고관절의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압박의자, 교정 장치 등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지정된 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장치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뇌성마비 환아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단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앞허벅지부 및 뒷허벅지부에서는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는, 착용자의 착용자의 가랑이가 위치하는 곳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가랑이부; 착용자의 다리 옆 라인에 위치하는 측단부; 착용자의 앞 허벅지가 위치하는 앞허벅지부; 착용자의 뒷 허벅지가 위치하는 뒷허벅지부;를 포함하며, 착용자가 착용용 하의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측단부에서는, 상기 측단부에서 상기 가랑이부를 항하는 방향으로 외측 탄성력이 작용하며, 상기 앞허벅지부 및 상기 뒷허벅지부에서는, 상기 가랑이부에서 상기 측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의 상기 앞허벅지부 및 상기 뒷허벅지부의 재질은 섬유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앞허벅지부 및 상기 뒷허벅지부에서 상기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내측 탄성력이 방향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의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허리선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1선으로부터 0도 내지 30도의 상향 경사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의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에는,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절단하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착용자의 다리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착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의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에는,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골반의 측단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앞허벅지부 및 뒷허벅지부에서는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관한 것으로, 고관절의 위와 아래에서 감싸는 형태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이, 착용자가 착용용 하의를 착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고관절의 위와 아래에서 압력을 가하여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에서 발생하는 힘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뇌성마비 환아의 다리뼈 사이에 고정바를 사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힘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절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절개부와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관한 것으로, 측단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앞허벅지부 및 뒷허벅지부에서는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는 가랑이부(110), 측단부(120), 앞허벅지부(130), 뒷허벅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는 착용자의 다리가 넣어질 수 있는 다리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하의로, 착용자는 다리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곳에 다리를 넣어서 착용용 하의(100)를 착용하게 된다.
상기 가랑이부(110)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를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가랑이가 위치하는 곳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랑이부(110)는 착용자의 가랑이가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착용자의 허리가 있는 곳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착용용 하의(100)의 내측 부분이 된다.
상기 측단부(120)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를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다리 옆 라인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측단부(120)는 골반의 측면이 되는 것으로, 두 개의 다리 옆 라인에 각각 형성되며 착용용 하의(100)의 양측단 부분이 된다.
상기 앞허벅지부(130)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를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앞 허벅지가 위치하는 부분이며, 상기 뒷허벅지부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를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뒷 허벅지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뒷허벅지부는 상기 앞허벅지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앞허벅지부(130)에 마련되는 구성은 상기 뒷허벅지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하, 후술할 설명 및 도면에서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는 착용자가 착용용 하의(100)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측단부(120)에서는, 상기 측단부(120)에서 상기 가랑이부(110)를 항하는 방향으로 외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이며, 상기 앞허벅지부(130) 및 상기 뒷허벅지부에서는, 상기 가랑이부(110)에서 상기 측단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즉, 착용용 하의(100)는 고관절의 위와 아래를 감싸는 형태로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외부에서는 다리뼈가 고관절을 이탈하는 힘에 저항하는 외측 탄성력을 가하는 것이며, 내부에서는 다리뼈가 안쪽으로 모아지는 힘에 저항하는 내측 탄성력을 가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 탄성력은 착용용 하의(100)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측단부(120)에서 내부를 항하여 작용하는 힘으로, 고관절이 탈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관절의 측면을 감싸면서 작용 되는 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 탄성력은 상기 측단부(120) 중, 고관절의 최상부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10 내지 30cm 떨어진 영역까지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관절의 최상부에서 시작하여, 10 내지 20cm 떨어진 영역까지 상기 외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탄성력을 통해 고관절이 밖으로 빠지도록 가해지는 힘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고관절을 감싸는 캡슐의 기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여 캡슐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측 탄성력은 착용용 하의(100)의 상기 앞허벅지부(130) 및 상기 뒷허벅지부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것이 좋으며, 다리뼈가 모아지는 것에 대응되도록 다리를 벌리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이다. (상기 내측 탄성력은 상기 앞허벅지부(130) 및 상기 뒷허벅지부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앞허벅지부(130) 및 상기 뒷허벅지부의 부분에 걸쳐 발생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허리선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1선(140)으로부터 0도 내지 30도의 상향 경사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의 제1선(140)은 허리선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선으로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기준이 된다.
상기 내측 탄성력은 상기 가랑이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측단부(120)를 향하여 각각 발생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가랑이부(110)를 중심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서도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각도는 상기 가상의 제1선(140)으로부터 0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다리뼈가 고관절에 끼워지는 각도는 120도 정도로 끼워지며, 이러한 다리뼈는 120도로 끼워지기 위해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뇌성마비 환아들은 내전근에 의해 다리뼈가 모아지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다리뼈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각도로 세워지게 된다.(즉, 다리뼈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각도로 세워지기 때문에, 고관절에 끼워지는 각도가 120도 정도 보다 벌어져 150~160 정도로 된다.)
이와 같이 다리뼈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각도로 세워지고, 다리뼈가 고관절에 끼워지는 각도가 벌어져 있는 뇌성마비 환아들의 다리뼈를, 정상인의 다리뼈가 고관절에 끼워지는 각도와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각도는 상기 가상의 제1선(140)으로부터 0도 내지 3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3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각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뇌성마비 환아들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각도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탄성력과 상기 내측 탄성력은 라이크라와 같이 탄력성 있는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착용용 하의(100)의 상기 측단부(120), 상기 앞허벅지부(130), 상기 뒷허벅지부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라이크라와 같은 탄력성 재질을 통해 프리스트레스(prestressed)가 가해지도록 재단한다. 즉, 착용자가 착용용 하의(100)를 착용하였을 때, 다리에 의해 착용용 하의(100)가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탄성력이 상기 외측 탄성력 및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되도록 재단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앞허벅지부(130) 및 상기 뒷허벅지부의 재질은 섬유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앞허벅지부(130) 및 상기 뒷허벅지부에서 상기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내측 탄성력의 방향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착용자의 다리에 의해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섬유가 늘어날 때 상기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늘어나게 되고, 섬유가 늘어남에 따라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상기 섬유가 늘어날 수 있는 방향)을 상기 내측 탄성력 방향과 동일하게 하면, 착용자가 착용용 하의(100)를 입었을 경우 상기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내측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단부(1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외측 탄성력도 상기 내측 탄성력이 발생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섬유를 포함하는 재질을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단부(120)를 주변보다 탄성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하면, 상기 측단부(120)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측 탄성력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탄성계수가 크면 동일한 길이가 늘어나도 발생하는 탄성력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상기 측단부(120)에서 고관절을 강하게 쪼이는 압력(외측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앞허벅지부(130)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에는 상기 앞허벅지부(130)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앞허벅지부(130)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절단하는 절개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50)는 착용자의 다리를 쉽게 착용용 하의(100)에 착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열려져 있는 상기 절개부(150)를 통해 착용자의 다리를 넣음으로써 착용용 하의(100)를 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뇌성마비 환아들은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많으며, 하의를 착용할 때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하의는 다리를 다리 구멍에 집어 넣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150)를 통해 착용자의 다리를 쉽게 넣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양측으로 벌리고, 벌려진 공간에 착용자의 다리를 위치시킨다. 그 이후, 다시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양측을 덮으면, 착용자의 다리가 착용용 하의(100)에 착용 된다.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에서 착용자의 다리가 들어가는 두 지점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 중앙 부분에 하나의 지점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세 지점, 네 지점에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50)를 통해 착용자의 다리가 착용용 하의(100)에 착용된 이후에 상기 절개부(150)가 벌어지는 것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앞허벅지부(130)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에는, 상기 절개부(150)에 의해 분리된 상기 앞허벅지부(130)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0)는 상기 절개부(150)가 벌어지는 것을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지퍼, 벨크로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일측 하면과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타측 상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마련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50)는 착용자의 편의를 위해 마련된 것이지만, 상기 절개부(150)를 통해 상기 외측 탄성력 및 상기 내측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가랑이부(110)에서 착용자의 머리가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선과 평행한 가상의 제2선(160)에 대하여 0도 내지 30도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상의 제2선(160)은 상기 가상의 제1선(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절개부(15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가상의 제2선(160)에 대하여 0도 내지 30도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동시에,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탄성력의 작용방향은 상기 가상의 제1선(140)에 대하여 0도 내지 30도,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30도이다. 상기 가상의 제1선(140)과 상기 가상의 제2선(160)은 서로 수직이고, 상기 절개부(150)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수직이므로,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가상의 제2선(160)에 대하여 0도 내지 30도,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30도로 기울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상기 절개부(150)가 연장되는 방향을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두면, 상기 절개부(150)를 통해 착용자의 다리를 집어넣은 후, 상기 결합부(170)를 이용하여 결합할 때, 상기 내측 탄성력 및 상기 외측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가랑이부(110) 방향에 있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일측면을 잡아당기고,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측단부(120) 방향에 있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타측면을 잡아당긴 후, 잡아당긴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70)를 통해 결합시킨다.
즉,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양측에 있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잡아당기면서 결합시키면,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가 늘어난 상태에서 결합이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절개부(15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내측 탄성력과 상기 외측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가랑이부(110) 방향에 있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일측면을 잡아당겨 짐에 따라 상기 내측 탄성력이 발생하고,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측단부(120) 방향에 있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타측면이 잡아당겨 짐에 따라 상기 외측 탄성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170)는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가랑이부(110) 방향에 있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일측면을 잡아당기고, 상기 절개부(150)를 중심으로 상기 측단부(120) 방향에 있는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의 타측면을 잡아당겨 있는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가령, 벨크로 테이프 형태의 상기 결합부(170)가 마련되면,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가 잡아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벨크로 테이프가 서로 붙지 않게 되고,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가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만 서로 붙도록 벨크로 테이프의 위치를 고정한다.
다만, 상기 결합부(170)가 벨크로 테이프 형태일 때는 결합력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170)를 벨크로 테이프 대신 지퍼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70)가 지퍼 형태로 마련되면,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가 잡아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퍼를 잠글 수 없게 되고, 상기 앞허벅지부(130)(또는 상기 뒷허벅지부)가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만 지퍼가 잠길 수 있도록 지퍼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뇌성마비의 고관절의 탈구는 6개월 내지 1년에 1회씩 단순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고관절의 탈구 여부를 확인하며, 완전 탈구가 발생하면 수술적 치료로 교정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고관절의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압박의자, 교정 장치 등도 사용하였지만, 이와 같은 장치는 지정된 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장치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뇌성마비 환아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이, 착용자가 착용용 하의(100)를 착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고관절의 위와 아래에서 압력을 가하여 고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고관절의 탈구를 지속적으로 예방하는 보조 기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수술까지 이르는 비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뇌성마비 환아의 다리뼈가 모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고정바(30)는 오히려 지렛대의 원리로 고관절의 탈구를 악화시켰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측단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앞허벅지부 및 뒷허벅지부에서는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관절의 탈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는 뇌성마비 환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뇌성마비 환아들에게 나타나는 증상과 비슷한 증상의 질환을 갖는 환아들에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근육병과 같이 점진적인 근력감소로 인해 외측 탄성력(또는 내측 탄성력)이 필요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110...가랑이부 120...측단부
130...앞허벅지부 140...가상의 제1선
150...절개부 160...가상의 제2선
170...결합부

Claims (5)

  1.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해 다리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용 하의에 있어서,
    착용자의 가랑이가 위치하는 곳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가랑이부; 착용자의 다리 옆 라인에 위치하는 측단부; 착용자의 앞 허벅지가 위치하는 앞허벅지부; 착용자의 뒷 허벅지가 위치하는 뒷허벅지부;를 포함하며,
    착용자가 착용용 하의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측단부에서는, 상기 측단부에서 상기 가랑이부를 항하는 방향으로 외측 탄성력이 작용하며,
    상기 앞허벅지부 및 상기 뒷허벅지부에서는, 상기 가랑이부에서 상기 측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며,
    상기 내측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허리선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1선으로부터 0도 내지 30도의 상향경사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허벅지부 및 상기 뒷허벅지부의 재질은 섬유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앞허벅지부 및 상기 뒷허벅지부에서 상기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내측 탄성력이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에는,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절단하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착용자의 다리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착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에는,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앞허벅지부 또는 상기 뒷허벅지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KR1020170184663A 2017-12-29 2017-12-29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KR10198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63A KR101981207B1 (ko) 2017-12-29 2017-12-29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PCT/KR2018/016611 WO2019132487A1 (ko) 2017-12-29 2018-12-26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63A KR101981207B1 (ko) 2017-12-29 2017-12-29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207B1 true KR101981207B1 (ko) 2019-05-22

Family

ID=6667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663A KR101981207B1 (ko) 2017-12-29 2017-12-29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1207B1 (ko)
WO (1) WO20191324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518A (ko) * 2019-10-30 2021-05-10 서울대학교병원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KR20220112012A (ko) * 2021-02-03 2022-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20220112011A (ko) * 2021-02-03 2022-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563A (ko) * 2003-05-01 2006-02-17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100620834B1 (ko) * 2002-06-06 2006-09-13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JP2008138322A (ja) * 2006-12-01 2008-06-19 Descente Ltd 旋回機能を有するスポーツウェア
KR20130018250A (ko) * 2010-03-31 2013-02-20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2013087384A (ja) * 2011-10-18 2013-05-13 Nagai Les-Ben Kk メディカル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ェア
KR20130136055A (ko) * 2012-06-04 2013-12-12 지정우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US20140165264A1 (en) * 2012-12-13 2014-06-19 Marc Safra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KR20140113284A (ko) * 2013-03-14 2014-09-24 토요타 쯔우쇼우 가부시키가이샤 운동용 타이즈
KR101500297B1 (ko) * 2014-03-18 2015-03-13 정홍균 휜 다리 교정용 하의
US20170035596A1 (en) * 2009-07-06 2017-02-09 Intelliskin Usa, Llc Posture Improving Garment
KR20170045001A (ko) * 2015-10-16 2017-04-26 최범 착용 및 탈의가 용이한 운동겸용 보정 옷 하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834B1 (ko) * 2002-06-06 2006-09-13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KR20060015563A (ko) * 2003-05-01 2006-02-17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2008138322A (ja) * 2006-12-01 2008-06-19 Descente Ltd 旋回機能を有するスポーツウェア
US20170035596A1 (en) * 2009-07-06 2017-02-09 Intelliskin Usa, Llc Posture Improving Garment
KR20130018250A (ko) * 2010-03-31 2013-02-20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2013087384A (ja) * 2011-10-18 2013-05-13 Nagai Les-Ben Kk メディカル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ェア
KR20130136055A (ko) * 2012-06-04 2013-12-12 지정우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US20140165264A1 (en) * 2012-12-13 2014-06-19 Marc Safra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KR20140113284A (ko) * 2013-03-14 2014-09-24 토요타 쯔우쇼우 가부시키가이샤 운동용 타이즈
KR101500297B1 (ko) * 2014-03-18 2015-03-13 정홍균 휜 다리 교정용 하의
KR20170045001A (ko) * 2015-10-16 2017-04-26 최범 착용 및 탈의가 용이한 운동겸용 보정 옷 하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518A (ko) * 2019-10-30 2021-05-10 서울대학교병원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KR102306052B1 (ko) 2019-10-30 2021-09-29 서울대학교병원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KR20220112012A (ko) * 2021-02-03 2022-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20220112011A (ko) * 2021-02-03 2022-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102576594B1 (ko) 2021-02-03 2023-09-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102576593B1 (ko) 2021-02-03 2023-09-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487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511A (en) Protective pants for the hip
KR101981207B1 (ko) 뇌성마비 환아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US11590046B2 (en) Flexible members for anchoring to the body
US4817589A (en) Foot support device for improved ambulation
CA2893919C (e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US4926883A (en) Protective body appliance
US9901506B2 (en) Ear insert for relief of TMJ discomfort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3526221A (en) Hip joint protective appliance
HU227462B1 (en) Device for users having after-troubles resulting from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or a locomotor apparatus of the body
DK173798B1 (da) Beskyttelsesindretning til beskyttelse mod læsioner
KR101026825B1 (ko) 척추 보정용 속옷
US6719712B2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back, hips, upper thighs and groin areas
KR101677269B1 (ko) 탄력성을 보유한 어깨 보호대
KR101922492B1 (ko) 착탈식 하지 보조기
KR102306052B1 (ko)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KR101513289B1 (ko) 경골역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지 교정 방법
KR200368706Y1 (ko) 목 디스크 예방 및 치료용 보호구
JP4006071B2 (ja) 股関節症用装具
EP2625977B1 (fr) Dispositif d'aide à la marche
JP3759532B2 (ja) 外反母趾保護具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CN205494109U (zh) 一种悬吊式膝关节固定器
CN206080800U (zh) 一种x型腿矫形器
JP6285017B2 (ja) 肩鎖関節脱臼または鎖骨遠位端骨折の治療用肩装具
KR102541350B1 (ko) 편마비 체험 의복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