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928A -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928A
KR20220109928A KR1020210013532A KR20210013532A KR20220109928A KR 20220109928 A KR20220109928 A KR 20220109928A KR 1020210013532 A KR1020210013532 A KR 1020210013532A KR 20210013532 A KR20210013532 A KR 20210013532A KR 20220109928 A KR20220109928 A KR 20220109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heating cover
cover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조
Original Assignee
허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조 filed Critical 허조
Priority to KR102021001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928A/ko
Publication of KR2022010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B60J11/08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는, 차량의 앞유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앞유리와 대응되는 내측 표면 둘레에 다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열 커버와, 그리고 상기 발열 커버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열 커버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여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앞유리에 장착되는 발열 커버에 의해 동절기 눈 또는 비에 의한 앞유리의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S WINDSCREEN}
본 발명은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절기 눈 또는 비에 의한 앞유리의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변화가 심한 동절기에는 차량을 바깥에서 주차시켜 놓으면 차량 앞면 유리에 성에가 생기거나 결빙되므로 시야 확보를 위해 주행 전에 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보통 운전자들은 결빙이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차량에 시동을 켠 상태로 예열하거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차량 유리에 얼어붙은 결빙이나 성에를 긁어서 제거한다.
그런데, 차량 시동에 의한 예열을 통해 결빙이나 성에를 제거하는 방법은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차량의 공회전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결빙이나 성에를 차량 유리로부터 긁어내는 방법은 유리 표면의 코팅층을 손상시키고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추운 날씨에도 이를 긁어내야 하는 불편함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차량의 유리를 덮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보호커버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보호커버는 차량의 외관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형태이므로 부피가 크고 설치하는 방법이 매우 번거로워 운전자 혼자서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큰 불편함이 있었고, 차량 유리의 결빙이나 성에 방지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89322호(등록일자 2017년10월17일) KR 등록특허공보 제10-1592822호(등록일자 2016년02월01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앞유리에 장착되고 발열구조에 의해 동절기 눈 또는 비에 의한 앞유리의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앞유리에 편리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앞유리에 장착된 후 눈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앞유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앞유리와 대응되는 내측 표면 둘레에 다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열 커버; 및 상기 발열 커버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열 커버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여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힌지를 기준으로 하여 발열 커버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발열 커버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동작되는 장력조절부;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힌지를 기준으로 하여 발열 커버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발열 커버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동작되는 장력조절부;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를 구획하도록 흡착부에 결합되는 격판; 및 상기 격판과 제1 부재 및 격판과 제2 부재 사이에 힌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 커버는 폐현수막에 의해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표면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고, 플러스 전극 및 마이너스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과 연결되도록 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전도성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열 커버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 표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외측 표면에 상기 안내롤러를 발열 커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 커버는 외측 표면에 열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열차단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앞유리에 장착되는 발열 커버에 의해 동절기 눈 또는 비에 의한 앞유리의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발열 커버를 고정 모듈에 의해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또한, 발열 커버에 고정 모듈부터 일정한 장력이 제공되어 커버부의 표면에 쌓이는 눈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눈의 무게에 의한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열 커버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모듈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의 고정 모듈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는, 발열 커버(100)와, 그리고 고정 모듈(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는 발열 커버(100)가 고정 모듈(200)에 의해 차량의 앞유리(1)에 장착되어 동절기 기온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앞유리의 결빙이나 성에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열 커버(100)는 차량의 앞유리(1)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커버부(110)와, 전극부(120)와, 다수의 전도성 발열부(130)와, 그리고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커버부(110)는 차량의 앞유리를 덮을 수 있도록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부(110)는 폐현수막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폐현수막의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전극부(120)는 커버부(110)에 표면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부(120)는 다수의 전도성 발열부(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플러스 전극(122) 및 마이너스 전극(124)으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전도성 발열부(130)는 커버부(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극부(120)의 플러스 전극(122)과 마이너스 전극(124)과 연결된다. 이러한 전도성 발열부(130)는 플러스 전극(122)과 마이너스 전극(124)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전도성 발열부(130)는 안정적인 발열구조를 갖는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소섬유는 탄소 및 그래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이 나일론에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혹은 면사에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혹은 유리섬유에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니크롬선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발열 커버(100)를 고정 모듈(200)에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14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부(110)에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부(142)와, 지지부(142)의 내측 표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144)를 포함한다. 즉, 커버부(110)는 연결부(140)에 의해 고정 모듈(200)에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커버부(110)의 연결구조는 후술하는 고정 모듈(20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발열 커버(100)는 발열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커버부(110)의 외측 표면으로 발산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하여 커버부(110)의 외측 표면에 열차단코팅부(150)가 형성된다. 이때, 열차단코팅부(150)는 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나노미터 크기의 무기질(세라믹)과 희토류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열차단코팅부(150)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무기질 40~50%, 희토류 50~60%의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희토류는 란탄(La), 루테튬(Lu), 세륨(Ce), 가돌리븀(Gd) 및 프라세오디륨(Pr)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기질과 희토류의 혼합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무기질과 희토류의 혼합물은 전도성 발열부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반사하는 특성이 있다.
한편, 발열 커버(100)에서 설명되지 않았지만, 커버부(110)에는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단자(160)가 형성되며, 전원연결단자(160)는 차량 혹은 별도의 배터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발열 커버(100)는 리모트컨트롤러와 같은 사용자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제어부에는 발열 커버(100)를 동절기 심야시간에 동작시킬 수 있는 타이머가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모듈(200)은 차량의 앞유리(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발열 커버(100)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흡착부(210)와, 장력조절부(220)와, 그리고 탄성부(230)를 포함한다.
흡착부(210)는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흡착부(210)는 진공흡착 구조를 갖는 흡착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220)는 흡착부(210)에 결합되는 제1 부재(222) 및 제1 부재(222)와 힌지(223)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224)로 구성되고,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는 힌지(223)를 기준으로 하여 발열 커버(100)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장력조절부(220)는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가 발열 커버(100)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는 외측 표면에 안내홈(226)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226)은 발열 커버(100)에 마련된 연결부(140)의 안내롤러(144)를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안내홈(226)은 함몰 구조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안내롤러(144)를 발열 커버(100)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면서도 바람에 의한 발열 커버(100)의 임의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230)는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 사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부(230)는 장력조절부(220)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한다. 이때, 탄성부(230)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230)는 장력조절부(220)의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에 일정한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발열 커버(100)는 연결부(140)에 의해 장력조절부(220)를 따라 안내되면서 장력조절되어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모듈(200)은 흡착부(210)에 의해 차량 앞유리(1)의 설정된 위치에 다수 장착되어 고정된다.
발열 커버(100)는 연결부(140)에 의해 고정 모듈(200)에 결합되도록 연결된다. 즉, 연결부(140)의 안내롤러(144)는 장력조절부(220)의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에 형성된 안내홈(226)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발열 커버(100)는 고정 모듈(200)에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발열 커버(100)의 발열부(130)는 전극부(120)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발열됨으로써 동절기 기온변화에 따라 차량의 앞유리(1)에 생기는 결빙이나 성에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열 커버(100)는 고정 모듈(200)의 장력조절부(220)와 탄성부(230)에 의해 장력조절됨으로써 눈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장력조절부(220)는 탄성부(230)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벌어지도록 유지되어 안내롤러(144)의 이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동절기 커버부(110)의 표면에 쌓이는 눈의 대응하여 일정한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발열 커버(100)를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앞유리용 보호장치는, 차량의 앞유리(1)에 장착되는 발열 커버(100)에 의해 동절기 눈 또는 비에 의한 앞유리(1)의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앞유리용 보호장치는, 발열 커버(100)를 고정 모듈(200)에 의해 차량의 앞유리(1)에 탈부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앞유리용 보호장치는, 발열 커버(100)에 고정 모듈(200)부터 일정한 장력이 제공되어 커버부(110)의 표면에 쌓이는 눈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눈의 무게에 의한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는, 고정 모듈(2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갖는 고정 모듈(2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 모듈(200)은 차량의 앞유리(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발열 커버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흡착부(210)와, 장력조절부(220)와, 격판(212)과, 그리고 한 쌍의 탄성부(232)를 포함한다.
흡착부(210)는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흡착부(210)는 진공흡착 구조를 갖는 흡착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220)는 흡착부(210)에 결합되는 제1 부재(222) 및 제1 부재(222)와 힌지(223)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224)로 구성되고,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는 힌지(223)를 기준으로 하여 발열 커버(100)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장력조절부(220)는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가 발열 커버(100)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223)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는 외측 표면에 안내홈(226)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226)은 발열 커버(100)에 마련된 연결부(140)의 안내롤러(144)를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안내홈(226)은 함몰 구조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안내롤러(144)를 발열 커버(100)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면서도 바람에 의한 발열 커버(100)의 임의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격판(212)은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 사이를 구획하도록 흡착부(210)에 결합된다.
한 쌍의 탄성부(232)는 격판(212)과 제1 부재(222) 및 격판(212)과 제2 부재(224) 사이에 힌지(223)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부(232)는 장력조절부(220)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한다. 이때, 탄성부(232)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232)는 격판(212)을 사이에 두고 독립적인 탄성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커버부(110)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처짐 현상으로 인한 장력조절부(220)의 불균형한 장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발열 커버(100) 전체를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발열 커버(100)는 커버부(110)의 표면에 불규칙적으로 쌓이는 눈에 의해 국부적인 처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장력조절부(220)는 격판(212)과 한 쌍의 탄성부(232)에 의해 안정적인 장력을 제공하여 커버부(110)의 국부적인 처짐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함으로써 발열 커버(100)의 표면 전체를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앞유리용 보호장치는, 발열 커버(100)에 불규칙적으로 쌓이는 눈에 의한 커버부(110)의 국부적인 처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발열 커버(100)에 안정적인 장력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발열 커버
110: 커버부 120: 전극부
130: 발열부 140: 연결부
142: 지지부 144: 안내롤러
150: 열차단코팅부
200: 고정 모듈
210: 흡착부 212: 격판
220: 장력조절부 222: 제1 부재
233: 힌지 224: 제2 부재
226: 안내홈 230, 232: 탄성부

Claims (7)

  1. 차량의 앞유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앞유리와 대응되는 내측 표면 둘레에 다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열 커버; 및
    상기 발열 커버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열 커버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여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힌지를 기준으로 하여 발열 커버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발열 커버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동작되는 장력조절부;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차량의 앞유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힌지를 기준으로 하여 발열 커버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발열 커버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이도록 동작되는 장력조절부;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를 구획하도록 흡착부에 결합되는 격판; 및
    상기 격판과 제1 부재 및 격판과 제2 부재 사이에 힌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커버는,
    폐현수막에 의해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표면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고, 플러스 전극 및 마이너스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과 연결되도록 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전도성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열 커버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 표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외측 표면에 상기 안내롤러를 발열 커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커버는 외측 표면에 열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열차단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KR1020210013532A 2021-01-29 2021-01-29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KR20220109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532A KR20220109928A (ko) 2021-01-29 2021-01-29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532A KR20220109928A (ko) 2021-01-29 2021-01-29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28A true KR20220109928A (ko) 2022-08-05

Family

ID=8282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532A KR20220109928A (ko) 2021-01-29 2021-01-29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9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822B1 (ko) 2015-06-09 2016-02-11 최종권 차량 윈도우 보호장치
KR101789322B1 (ko) 2017-01-13 2017-11-20 김광배 차량 앞유리용 자동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822B1 (ko) 2015-06-09 2016-02-11 최종권 차량 윈도우 보호장치
KR101789322B1 (ko) 2017-01-13 2017-11-20 김광배 차량 앞유리용 자동 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8923B1 (en) Defrosting windshield sunshade panel
US6028291A (en) Heated windshield wiper system
KR20200031085A (ko)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기능 버스 승강장 시스템
US5558431A (en) Replaceable warning light lens protector
CN110106806A (zh) 一种公路用自动化智能隔离桩
CN103569065A (zh) 一种汽车后视镜的除水雾装置
KR20220109928A (ko) 차량 앞유리용 보호장치
CN101037085A (zh) 一种汽车遮阳篷
KR20160034880A (ko) 자동차 유리의 서리방지용 히터
KR20150129385A (ko) 자동차 유리의 서리방지용 히터
KR20120128189A (ko) 차량용 유리창 외부 유리 햇볕가리개 및 보온막 개폐기
CN109089339A (zh) 一种玻璃除冰除雾装置
CN210526399U (zh) 一种带风口除侧窗雨雪雾霜的汽车后视镜支架
CN206884997U (zh) 车窗除雾系统及包含其的车辆
CN214728685U (zh) 一种基于云端操控的汽车前挡风玻璃除霜装置
CN209795415U (zh) 一种新型可除霜的雨刮器结构
CN105025603A (zh) 汽车车窗除霜装置
CN201729142U (zh) 一种车辆雨刮器
CN203854470U (zh) 汽车车窗除霜装置
CN108643614A (zh) 一种安装有视觉暂留全彩led广告风扇的公交站台
CN212425931U (zh) 一种汽车玻璃贴膜辅助机构
CN211308498U (zh) 一种车用除霜器
CN214992823U (zh) 压电式石墨烯发热桥面除冰装置
CN217822012U (zh) 一种可移动的广告设计用宣传栏
CN207047725U (zh) 太阳能与压力混合发电的led交通标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