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259A -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259A
KR20220108259A KR1020210010412A KR20210010412A KR20220108259A KR 20220108259 A KR20220108259 A KR 20220108259A KR 1020210010412 A KR1020210010412 A KR 1020210010412A KR 20210010412 A KR20210010412 A KR 20210010412A KR 20220108259 A KR20220108259 A KR 20220108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extinguisher
powder
waste
powde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203B1 (ko
Inventor
진영배
조재영
Original Assignee
진영배
조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배, 조재영 filed Critical 진영배
Priority to KR102021001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2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분말소화기의 재활용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 폐소화기를 안착 이동하면서 일렬로 정렬되는 분류대를 구비하고, 하부에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이동부; 이동부에 의해 이송되는 호스를 어태치 체인과 제1거치부를 통해 직각으로 세우면서 손잡이를 제2가압부의 로봇집게가 가압하여 내장된 소화약재 분말을 일정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부; 분출되는 소화약재 분말을 수용하도록 분말수집통의 일 측편에 유입구를 구비하고, 소화약재 분말을 포집하는 제1집진부; 이동부에서 연속 이송되는 폐소화기를 낙하시켜 잘게 분쇄하는 파쇄부; 분쇄된 폐소화기의 재질에 따라 분류하여 재활용하는 분류부 및 잔존 소화약재 분말을 파쇄부 및 분류부에서 재 포집하는 제2집진부 및 제3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되는 분말소화기를 회수하여 재생 자원으로 리사이클링하는 과정에서 자동화 처리시스템에 의한 작업 용이성 및 최종 결과물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생력화 공정을 기반으로 폐 소화기 약제의 회수율을 높이면서도 폐 소화기 자원의 재활용 극대화 도모를 위해 폐 분말소화기 내부의 잔류 분말과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재 및 수지재 등을 개별적으로 세세히 분류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률을 드높임과 동시에 자동화 처리과정 및 최소한의 보조 작업행위들을 통해 작업능률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Reprocessing equipment of waste powder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되는 분말소화기를 회수하여 재생 자원으로 리사이클링(recycling)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자동화 처리시스템에 의한 작업 용이성 및 최종 결과물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생력화(省力化) 공정을 기반으로 폐 소화기 약제의 회수율을 높이면서도 폐 소화기 자원의 재활용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폐 분말소화기 내부의 잔류 분말과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재 및 수지재 등을 개별적으로 세세히 분류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률을 드높임과 동시에 자동화 처리과정 및 최소한의 보조 작업행위들을 통해 작업능률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소화기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초기 진압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소화분말이 수용되어 있어 화재현장 속으로 분말을 분사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분말소화기는 초기 화재에 대응하는 진화도구로서, 한국소방산업기술원으로부터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에 대해서만 생산과 판매가 허용되는데, 이때 행해지는 분말소화기의 국가적 검정은 비교적 엄격하지만 오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분말이 굳어버리기도 해 위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늘 관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마냥 방치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에 따라 2017년도부터는 법규로서 제조일로부터 10년이 경과한 분말소화기를 폐기토록 하고 있음에 반해, 폐기를 위한 시설이나 장치 설비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분말소화기는 폭발의 위험성이 상존(尙存)하기 때문에 폐기할 때도 주의 깊은 처리가 필요하지만 무자격업체들의 무분별한 폐기로 인해 환경오염과 자원낭비 및 임의적 재활용 개조 등의 여러 문제점이 점점 더 증대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 해소와 관련하여 여러 개발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일예로 한국 등록 특허공보 제1738663호에 따르면, “수거된 폐 분말소화기의 소화제를 분사시키는 분사 회수기; 회수된 분말소화제를 담아 교반하며 건조시키는 교반 건조기; 교반 건조기를 통해 건조되어 이송 공급되는 상기 분말소화제를 선별 채눈판을 통해 분리 선별하는 분체 선별기”를 포함하며, 이에따라 안정하게 분사 회수하고 이물 선별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재생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폐기 소화기에서 부분적으로 약제를 선별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의 여지가 클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재생산의 여지도 그리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 특허 제1954578호에 따르면, “재활용 소화기의 재가공 공정을 자동화하는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를 설정된 경로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라인(10); 상기 컨베이어 라인(10) 상에서 소화기의 몸체를 순차적으로 절단ㆍ파쇄 하도록 설치되고, 집진기(38)와 덕트(37)로 연결되는 캡 분리부스(22), 컨베이어 라인(10)의 하류단에 설치되는 배출기(14)와 파쇄기(16)를 더 구비하는 몸체처리부(20); 상기 컨베이어 라인(10) 상에서 소화기의 약제를 단계적으로 인출 및 수거하도록 설치되고, 캡 분리부스(22)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분말포집부스(31), 캡 분리부스(22)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약제수거부스(33), 분말포집부스(31) 및 약제수거부스(33)에 동시에 연결되는 약제탱크(35)를 구비하는 약제처리부(30); 및 상기 약제처리부(30)에서 수거된 약제를 종류별로 선별하고, 약제수거부스(33)의 하류 측에서 약제를 교반하는 교반기(42), 약제를 냉각하는 냉각기(44), 약제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선별기(46), 약제를 사용처별로 분류하는 분류기(48)를 구비하는 선별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재가공 자동화 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상기한 소화기 재가공 자동화 장치는 낱개로 하나하나씩 분해하는 절차를 통해 폐기하다 보니 폐기에 따른 작업시간도 많이 걸리고 작업 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을 뿐더러 폐 소화기 내부의 잔류분말이 많아 재활용률 또한 떨어지는 아쉬움이 존재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38663호 "분말소화기용 분말소화제 회수 및 재생 장치" (공개일자 : 2017.03.30.) 한국 등록 특허 제1954578호 "소화기 재가공 자동화 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되는 분말소화기를 회수하여 재생 자원으로 리사이클링(recycling)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자동화 처리시스템에 의한 작업 용이성 및 최종 결과물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생력화(省力化) 공정을 기반으로 폐 소화기 약제의 회수율을 높이면서도 폐 소화기 자원의 재활용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폐 분말소화기 내부의 잔류 분말과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재 및 수지재 등을 개별적으로 세세히 분류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률을 드높임과 동시에 자동화 처리과정 및 최소한의 보조 작업행위들을 통해 작업능률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 분말소화기를 재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폐 분말소화기를 무수히 안착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이동하면서 일렬로 정렬되도록 하는 분류대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 폐 분말소화기의 순차적인 이동이 가능하게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통해 이송되는 폐 분말소화기의 호스를 어태치 체인과 제1거치부를 통해 직각으로 곧추 세우도록 하면서 폐 분말소화기의 손잡이를 제2가압부의 로봇집게가 서서히 가압(加壓)하여 내장되어 있는 소화약재 분말을 일정한 방향으로 분출시키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에서 분출되는 소화약재 분말을 수용하도록 분말수집통의 일 측편에 유입구를 구비하고, 유입구로 흡입되는 소화약재 분말을 차례대로 포집하는 제1집진부; 상기 이동부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폐 분말소화기를 낙하시켜 잘게 분쇄하도록 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를 통해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의 구성 재질에 따라 낱낱이 분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류부; 및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의 잔존 소화약재 분말을 상기 파쇄부 및 분류부에서 재차 포집하도록 구성하는 제2집진부 및 제3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사부는 폐 분말소화기의 호스를 직각으로 곧추 세우도록 하는 어태치 체인 및 제1거치부와, 이송하는 과정에서 로봇집게가 손잡이를 지긋이 가압토록 하는 제2가압부를 각각 구비하되, 어태치 체인 및 제1거치부는 이송과정에서 호스를 서서히 곧추 세우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유입구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제2가압부는 폐 분말소화기의 손잡이를 이송과정에 따라 로봇집게가 점진적으로 점점 더 가압하여 내장되어 있는 소화약재 분말을 압축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와 제3집진부는 소화약재 분말을 손쉽게 유입하게끔 흡기송풍기와, 유입된 소화약재 분말을 포집하는 집진기 및 다수의 톤백 상으로 순차적인 수용이 가능하면서도 소화약재 분말의 이송을 도우는 배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제1집진부에는 분말수집통 내부의 횡 방향으로 길게 내설되어 있는 U자형 통속에 스크류컨베이어를 장설하고 스파이얼 배관과 연결 구성함과 동시에 스파이얼 배관과 배출부가 서로 연접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쇄부는 상부 아래에 다수 개의 압착로울러(상하 또는 좌우 등의 압축로울러))를 추가 형성한 뒤 파쇄부로부터 낙하되는 둥근 폐 분말소화기를 단차별로 좀 더 납작하게 압착시키면서 잘게 분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분류부는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의 금속재와 비철금속재 및 수지재와 고무재 등의 파쇄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속재를 자력(磁力)으로 끌어당겨서 분류하는 마그넷 기구와, 금속재를 수용하는 철재수용부 및 비철금속재와 수지재를 각각 수용하는 비철수용부와 수지재수용부를 더 구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되는 분말소화기를 회수하여 재생 자원으로 리사이클링(recycling)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자동화 처리시스템에 의한 작업 용이성 및 최종 결과물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생력화(省力化) 공정을 기반으로 폐 소화기 약제의 회수율을 높이면서도 폐 소화기 자원의 재활용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폐 분말소화기 내부의 잔류 분말과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재 및 수지재 등을 개별적으로 세세히 분류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률을 드높임과 동시에 자동화 처리과정 및 최소한의 보조 작업행위들을 통해 작업능률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 분말소화기 처리과정의 전체적인 작업과정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처리 가공장치의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재처리 가공장치의 분사부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처리 가공장치의 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재처리 가공장치의 제1집진부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처리 가공장치의 파쇄부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처리 가공장치의 압착로울러 부분을 나타내는 설치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처리 가공장치의 분류부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 분말소화기 처리과정의 또 다른 전체적인 작업과정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폐 분말소화기(1)의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한 재처리 가공장치에 관련되며, 이동부(10) · 분사부(20) · 제1집진부(30) · 파쇄부(40) · 제2집진부(41) · 분류부(50) · 제3집진부(6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10)는 다수개의 폐 분말소화기(1)를 무수히 안착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일렬로 정렬되게끔 분류대(11)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 순차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이송컨베이어(12)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동부(10)는 폐 분말소화기(1)를 이송컨베이어(12)에 안착시켜 순차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폐 분말소화기(1)로부터 고정부(2a)에 고정된 호스(2)를 살짝 외부로 빼내고 안전핀(5)을 제거한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12)에 무작위로 안착시키면, 분류대(11)를 통해 폐 분말소화기(1)는 앞으로 전진 이송되면서 일렬로 정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10)의 분류대(11)는 다수개의 폐 분말소화기(1)를 안착하여 일렬로 정렬시키면서 이동되는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게끔 구성되어 있는 정렬판(1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렬판(13)은 넓게 형성된 부분(안착판 위)에 여러 기구들을 이용하거나 작업자의 수작업 방법으로 호스(2) 분리 및 안전핀(5)을 빼낸 다음 다수개의 폐 분말소화기(1)를 연속적으로 안착시키게 되면, 정렬판(13)의 양 측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직 이송로울러(14)와 하부에 형성된 이송컨베이어(12)를 통해 이동하게 되고(수직 이송로울러 대신 일반적인 측벽 판만 세우거나 굳이 구성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작업이 다소 덜 원활하게 됨), 이송되는 폐 분말소화기(1)는 내측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정렬판(13)으로 통과하게 됨에 따라 일렬로 정렬하면서 하나하나씩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20)에는 상기 이동부(10)를 통해 이송되는 폐 분말소화기(1)의 호스(2)를 아래 부분에서 서서히 약 90 ㅀ 내외의 직각으로 곧추 세우는 어태치 체인(15: Attach chain) 및 제1거치부(21)를 형성한 뒤 호스(2)를 서서히 90ㅀ방향까지 거의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로봇집게(16)가 앞으로 전진하는 폐 분말소화기(1)의 손잡이(3)를 천천히 가압하면서 내장되어 있는 소화약재 분말(4)을 일정한 방향으로 분사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분사부(20)는 폐 분말소화기(1)의 호스(2)를 90도ㅀ방향으로 곧추 세우고, 손잡이(3)를 가압하여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소화약재 분말(4)을 밖으로 거의 모두 분출시킴으로써 폐 분말소화기(1) 내부에 있는 소화약재 분말(4)이 거의 존재하지 않도록 분사한다.
이를 좀 더 설명하면, 상기한 분사부(20)의 경우에 폐 분말소화기(1)의 전진과정과 함께 호스(2)를 아래에서 위로 서서히 세우면서 약 90도ㅀ까지 곧추 서도록 하는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를 구비함과 동시에 로봇집게(16)로 천천히 폐 분말소화기(1)의 손잡이(3)를 가압하는 제2가압부(23)를 구비하되, 제1거치부(21)는 호스(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유입구(31)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제2가압부(23)는 손잡이(3)를 이송흐름의 속도에 걸 맞는 압력으로 로봇집게(16)가 서서히 가압하되, 내부가 점점 좁아지는 가이드홀(22)을 타고 가압하면서 잔류되어 있는 소화약재 분말(4)을 전방을 향해 분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분사부(20)는 이송컨베이어(12)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폐 분말소화기(1)의 호스(2)와 손잡이(3)를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와 제2가압부(23)를 통해 각각 동작시키되,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는 폐 분말소화기(1)의 호스(2)를 잡아 걸친 뒤 수평방향으로 곧추 세우게 되면 유입구(31)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제2가압부(23)의 로봇집게(16)는 내부가 점점 좁아지는 가이드홀(22)을 타고 손잡이(3)를 서서히 가압하여 유입구(31)로 소화약재 분말(4)을 연속해서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분사부(20)의 경우에는 이송컨베이어(12)에 의해 폐 분말소화기(1)가 이동할 때 작동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센서와 서보모터(미 도시) 등의 유기적인 동작과정을 통해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와 제2가압부(23)가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유입구(31)로 소화약재 분말(4)을 분사할 때 이송컨베이어(12)에 안착된 폐 분말소화기(1)와 함께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와 제2가압부(23)가 함께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가동된다. 덧붙여 상기한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는 주지의 기술로서 밑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수평으로 길게 이동하는 긴 타원형태의 체인인데, 이러한 어태치 체인(15)의 일 측 부분에 호스(2)가 살짝 걸리게 되면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는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에 의해 약 90도ㅀ까지 곧추 서게 되고(이때의 제1거치부는 형성해도 되고 안 해도 무방), 분사가 끝나면 폐 분말소화기(1)는 이송컨베이어(12)에 의해 파쇄부(40) 방향으로 계속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어태치 체인(15)은 다시 아래로 U턴하는 행위를 반복하게 되며, 더불어 제2가압부(23)의 로봇집게(16) 또한 내부가 점점 좁아지는 가이드홀(22)을 타고 손잡이(3)를 가압한 후 분사가 완료되면, 타원형태로 돌고 도는 가이드홀(22)과 함께 U턴 행위를 반복하면서 새로 진입한 손잡이(3)를 가압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1집진부(30)에는 상기 분사부(20)에서 분출되는 소화약재 분말(4)을 수용하도록 분말수집통(17)의 일 측편에 유입구(31)를 구비하고, 유입구(31)로 흡입되는 소화약재 분말(4)을 분말수집통(17) 안으로 차례차례 포집한다. 그리고 분사부(20)를 통해 폐 분말소화기(1) 내부에 수용된 소화약재 분말(4)을 분사하면서 순차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넓은 유입구(31)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유입구(31)로 분사되는 소화약재 분말(4)을 분말수집통(17)으로 수용함에 따라 소화약재 분말(4)을 포집하고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소화약재 분말(4)을 분말수집통(17)으로 포집할 때 공기 중에 날리는 소화약재 분말(4)은 흡기송풍기(32)를 통해 연속 포집하면서 소화약재 이송배관(9) 및 배출부(35)에 의해 톤백(34)으로 이송하게 되며(주된 포집활동임), 분말수집통(17) 아래로 낙하되는 소화약재 분말(4)은 U자형의 스크류컨베이어(36) 속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스크류컨베이어(36) 및 스파이얼 배관(37)을 통해 톤백(34)으로 이송된다. 좀 더 보충하면, 상기 제1집진부(30)에는 분말수집통(17) 내부의 횡 방향으로 길게 내설되어 있는 U자형 통속에 스크류컨베이어(36)를 장설하고 스파이얼 배관(37)과 연결 구성함과 동시에 스파이얼 배관(37)과 배출부(35)가 서로 연접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소화약재 분말(4)을 이송한다. 그 후, 소화약재 분말(4)이 1개의 톤백(34)에 가득 차게 되면, 그 옆의 톤백(34)이 그 즉시 중간 위치로 이송되어 계속 인입되는 소화약재 분말(4)을 담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 부분의 톤백(34)이 가득차서 ⓓ의 톤백(34) 장소로 이동하는 순간(하부의 이동레일 도시는 생략) ⓕ 자리의 톤백(34)이 ⓔ자리로 위치하게 된다. 또 ⓓ의 톤백(34)은 투입구 부분을 마무리해서 타처로 옮기고 새로운 톤백 보자기를 담아서 기다리면, ⓕ의 톤백(34)이 제자리로 가는 순간 ⓓ의 톤백(34)이 ⓔ 자리로 옮기게 됨에 따라 소화약재 분말(4)을 대량으로 포집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톤백(34)는 그대로 놔두고, 배출부(37)를 좌우로 이동시켜 톤백(34)에 소화약재 분말(4)을 담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쇄부(40)는 상기 이동부(10)에서 이송되는 폐 분말소화기(1)를 아래로 낙하시켜 분쇄하도록 한다. 파쇄부(40)는 상술한 분사부(20)에 의해 내부의 소화약재 분말(4)을 분출시킨 폐 분말소화기(1)를 이동부(1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잘게 분쇄하게 된다. 이러한 파쇄부(40)의 상부에서 폐 분말소화기(1)를 낙하시키는 것은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될 때 수직 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면 분쇄가 보다 원활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파쇄부(40)의 상부에서 폐 분말소화기(1)를 바로 낙하시켜 분쇄할 수도 있지만(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도 설치 가능), 도 7에서 보듯이 파쇄부(40)의 상부 아래 위치에 다수 개의 압착로울러(45)를 추가 형성함으로써(상하 또는 좌우 등의 압축로울러), 파쇄부(40)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둥근 폐 분말소화기(1)를 단차별로 좀 더 납작하게 압착시키면서 잘게 분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폐 분말소화기(1)가 둥근 원 형태로 되어 있어 파쇄부(40)에 의해 제대로 분쇄되지 않고 빙글빙글 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수 개의 압착로울러(45)를 추가 형성할 때 최상부의 압착로울러(45) 사이를 넓게 하고 중단과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마주보는 압착로울러(45)의 양측 간격을 점점 더 좁게 형성하도록 한다.(이 경우, 폐 분말소화기가 처음에는 덜 압착되다가 내려올수록 더 납작하게 됨) 또한 파쇄부(40)에서 폐 분말소화기(1)를 분쇄할 때 잔존분말이 다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파쇄부(40) 전체를 부스 형태로 감싼 뒤 파쇄 되는 상부 일 측에 흡기송풍기(42) 및 집진기(43)가 구비된 제2집진부(41)를 구성한 뒤 소화약재 이송배관(9)을 통해 톤백(34)으로 잔존의 소화약재 분말(4)을 이송토록 한다.(이때의 톤백은 별도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류부(50)는 상기 파쇄부(40)를 통해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1)의 구성 재질에 따라 세밀히 분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폐 분말소화기(1)의 외형 체는 금속재(6)로 형성되고, 호스(2)는 고무재로, 고정부(2a)는 비철금속재(7) 및 수지재(8) 등과 같은 여러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세밀하게 분류하기가 쉽지 않아 자동화 작업시스템과 함께 적절한 수작업이 혼재되도록 구성하게 될 경우에 높은 작업효율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강도 높은 노동행위를 통해 폐 분말소화기(1)의 재처리 자원을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분류부(50)의 시스템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일부의 자원들을 수작업 형태로 수집하여 재활용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분류부(50)의 처리시스템에 의한 전(全) 자동화도 가능하지만 완전 자동화의 경우에는 재처리 자원의 효율적인 분류가 쉽지 않은 문제도 일부 존재한다.
이를 좀 더 보충 설명하면, 도 1과 도 8에서 보듯이 파쇄부(40)를 통과한 각종의 폐자원들이 이송컨베이어(12)를 통해 터미널(70)로 모이게 되고, 터미널(70)을 통과한 폐자원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하도록 하되 금속재(6)를 자력(磁力)으로 끌어당겨서 분류하는 마그넷 기구(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금속재(6)는 철재수용부(52)로 이송되고, 그 외의 폐자원들은 이송컨베이어(12)를 통해 작업대(80) 방향으로 연속 이동하게 되면서 2차적인 재분류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마그넷 기구(51)를 통과한 금속재(6) 외의 폐자원들을 작업대(80)를 이용해서 분류하지 않아도 무방하나(비철금속재 · 수지재 · 고무재 등을 한꺼번에 모아서 타처로 넘기는 방법 등도 가능) 수익창출에는 다소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3집진부(60)는 상기 분류부(50)를 통해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1)의 잔존 소화약재 분말(4)을 터미널(70) 부분에서 재차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굳이 구성하지 않아도 무방) 즉, 제3집진부(60)은 파쇄부(40)에 의해 폐 분말소화기(1)를 분쇄한 다음 분사부(20)를 통해 폐 분말소화기(1) 내부의 소화약재 분말(4)을 최대한 분사시켰다 하더라도, 잔존하는 소화약재 분말(4)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금속재 및 수지재 등의 분쇄물과 함께 파쇄부(40) 외부로 배출된 소화약재 분말(4)을 재차 포집할 수 있도록 터미널(70) 상부에 흡기송풍기(62) 및 집진기(63)가 구비된 제3집진부(60)를 구성한 뒤 소화약재 이송배관(9)을 통해 톤백(34)으로 잔존의 소화약재 분말(4)을 이송토록 한다.(이때의 톤백 또한 별도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덧붙여, 상기한 제1집진부(30) 및 제2집진부(41)와 제3집진부(60)는 소화약재 분말(4)을 최대한 유입할 수 있게끔 하는 흡기송풍기(32)(42)(62)와, 유입된 소화약재 분말(4)을 포집하는 집진기(33)(43)(63)와, 다수의 톤백(34)에 순차적인 수용이 가능하면서도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는 배출부(35)를 더 구비하도혹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제1집진부(30) 및 제2집진부(41)와 제3집진부(60)는 폐 분말소화기(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소화약재 분말(4)을 1 · 2차 또는 1 · 2 · 3차에 걸쳐 포집시킴으로써 재활용 자원의 소모와 환경오염 등을 가져올 수 있는 소화약재 분말(4)을 최대한 집진시켜 재활용하도록 한다. 즉, 제1집진부(30) 및 제2집진부(41)와 제3집진부(60)에는 소화약재 분말(4)을 유입할 수 있도록 흡기송풍기(32)(42)(62)가 각각 형성되고, 흡기송풍기(32)(42)(62)에 의해 흡입된 소화약재 분말(4)은 집진기(33)(43)(63) 및 소화약재 이송배관(9)을 통해 곧바로 이송 및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집진기(33)(43)(63)에 수용된 소화약재 분말(4)은 다수개의 톤백(34) 속으로 수용함으로써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제1집진부(30)에는 다수의 톤백(34)에 순차적인 수용이 가능하면서도 배출부(35)로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류컨베이어(36)와, 배출부(35)에 맞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파이얼 배관(37)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집진부(30)는 다수의 톤백(34)에 포집된 소화약재 분말(4)을 순차적으로 수용하여 연속적인 작업들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이때 배출부(35)를 통해 톤백(34)으로 분사될 경우에 U자형 통속에 장설된 스크류컨베이어(36)에 의해서도 배출부(35)로의 이송이 가능토록 구성하되, 스크류컨베이어(36)와 이어진 스파이얼 배관(37)을 배출부((35)와 연접시켜 소화약재 분말(4)을 톤백(34)에 투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류부(50)는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1)의 금속재(6), 비철금속재(7), 수지재(8) 및 고무재 등의 재 자원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하도록 하는데, 이때 금속재(6)를 자력(磁力)으로 끌어당겨서 분류하는 마그넷 기구(51)와, 금속재(6)를 수용하는 철재수용부(52)를 구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분류부(50)에는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1)로부터 발생되는 금속재(6) · 비철금속재(7) · 수지재(8) 및 고무재 등의 여러 자원 중에서 금속재(6) 만을 자력(磁力)을 통해 끌어당겨 분류할 수 있도록 마그넷 기구(51)를 형성한다. 이렇게 마그넷 기구(51)를 통해 별도의 공간인 철재수용부(52)에 금속재(6)을 수용함에 따라 보다 편리한 분류가 이루어지는데, 이때의 분류 작업과정에서는 추가적인 수작업 등을 통해 자원의 효과적인 수집 내지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터미널(70)과 이송컨베이어(12) 및 마그넷 기구(41)를 통과한 금속재(6) 외의 나머지 폐자원들은 이송컨베이어(12)를 타고 작업대(80) 쪽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대(80) 위에서 작업자가 이송되어져 오는 비철금속재(7)와 수지재(8) 및 고무재 등의 여러 자원들을 일일이 수작업 등의 방법으로 분류한 뒤, 비철금속재(7)는 비철수용부(72)에 넣고 수지재(8) 및 고무재 등의 재활용자원들은 수지재수용부(74)로 담되, 전술한 톤백(34)의 이송방법처럼 하나의 비철수용부(72) 또는 수지재수용부(74)가 포대에 꽉 차게 되면 하부에 설치된 레일 등을 통해 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들 수용부(72)(74)의 외부 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내용들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를 중심으로 설명한 일자형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렇게 일자형으로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연속으로 이어진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면적이 좁은 공간에서는 설치하기가 어려운 면이 일부 있게 된다. 따라서 공장 면적이 좁은 공간에서는 도 9의 예시처럼 ㄴ자 형태나 ㄷ자 형태 등의 재처리 가공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즉, ㄴ자 형태나 ㄷ자 형태의 재처리 가공장치 역시 도 2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재처리 가공장치의 모든 구성 요소를 그대로 활용토록 하고, 단지 이송되는 구성부분을 공장 면적에 맞게끔 ㄴ자 형태나 ㄷ자 형태 등으로 꺾어서 형성한다는 차이 밖에 없다는 점을 부연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되는 분말소화기를 회수하여 재생 자원으로 리사이클링(recycling)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자동화 처리시스템에 의한 작업 용이성 및 최종 결과물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생력화(省力化) 공정을 기반으로 폐 소화기 약제의 회수율을 높이면서도 폐 소화기 자원의 재활용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폐 분말소화기 내부의 잔류 분말과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재 및 수지재 등을 개별적으로 세세히 분류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률을 드높임과 동시에 자동화 처리과정 및 최소한의 보조 작업행위들을 통해 작업능률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폐 분말소화기 2: 호스
2a: 고정부 3: 손잡이
4: 소화약재 분말 5: 안전핀
6: 금속재 7: 비철금속재
8: 수지재 9: 소화약재 이송배관
10: 이동부 11: 분류대
12: 이송컨베이 13: 정렬판
14: 수직형 이송로울러 15: 어태치 체인(Attach chain)
16: 로봇집게 20: 분사부
21: 제1거치부 22: 가이드홀
23: 제2가압부 30: 제1집진부
31: 유입구 32, 42, 62: 흡기송풍기
33, 43, 63: 집진기 34: 톤백
35: 배출부 36: 스크류컨베이어
37: 스파이얼 배관 40: 파쇄부
41: 제2집진부 45: 압착로울러
50: 분류부 51: 마그넷 기구
52: 철재수용부 60: 제3집진부
70: 터미널 72: 비철수용부
74: 수지재수용부

Claims (6)

  1. 폐 분말소화기(1)를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폐 분말소화기(1)를 무수히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일렬로 정렬되도록 하는 분류대(11)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 폐 분말소화기(1)의 순차적인 이동이 가능하게끔 이송컨베이어(12)를 구비하는 이동부(10);
    상기 이동부(10)에 근접하여 이송되는 폐 분말소화기(1)의 호스(2)를 어태치 체인(15)과 제1거치부(21)를 통해 서서히 직각으로 곧추 세우도록 하면서 폐 분말소화기(1)의 손잡이(3)를 제2가압부(23)의 로봇집게(16)가 천천히 가압(加壓)하여 내장되어 있는 소화약재 분말(4)을 일정한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부(20);
    상기 분사부(20)에서 분출되는 소화약재 분말(4)을 수용하도록 분말수집통(17)의 일 측편에 유입구(31)를 구비하고, 유입구(31)로 흡입되는 소화약재 분말(4)을 차례대로 포집하는 제1집진부(30);
    상기 이동부(10)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폐 분말소화기(1)를 낙하시켜 잘게 분쇄하도록 하는 파쇄부(40);
    상기 파쇄부(40)를 통해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1)의 구성 재질에 따라 낱낱이 분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류부(50); 및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1)의 잔존 소화약재 분말(4)을 상기 파쇄부(40) 및 분류부(50)에서 재차 포집하도록 하는 제2집진부(41) 및 제3집진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20)는 폐 분말소화기(1)의 호스(2)를 직각으로 곧추 세우도록 하는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와, 폐 분말소화기(1)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로봇집게(16)로 손잡이(3)를 지긋이 가압하도록 하는 제2가압부(23)을 각각 구비하되, 어태치 체인(15) 및 제1거치부(21)는 이송과정에서 호스(2)를 서서히 곧추 세우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유입구(31)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제2가압부(23)의 로봇집게(16)은 내부가 점점 좁아지는 가이드홀(22)을 타고 폐 분말소화기(1)의 손잡이(3)를 이송과정에 따라 점진적으로 점점 더 가압하여 내장되어 있는 소화약재 분말(4)을 압축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30) 및 제2집진부(41)와 제3집진부(60)은 소화약재 분말(4)을 손쉽게 유입하게끔 흡기송풍기(32)(42)(62)와, 유입된 소화약재 분말(4)을 포집하는 집진기(33)(43)(63) 및 다수의 톤백(34) 상으로 순차적인 수용이 가능하면서도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는 배출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4.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30)에는 분말수집통(17) 내부의 횡 방향으로 길게 내설되어 있는 U자형 통속에 스크류컨베이어(36)를 장설하고 스파이얼 배관(37)과 연결 구성함과 동시에 스파이얼 배관(37)과 배출부(35)가 서로 연접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40)의 상부 아래에 다수 개의 압착로울러(45)를 추가 형성한 뒤 파쇄부(40)로부터 낙하되는 둥근 폐 분말소화기(1)를 단차별로 좀 더 납작하게 압착시키면서 잘게 분쇄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50)는 분쇄된 폐 분말소화기(1)의 금속재(6) · 비철금속재(7) · 수지재(8) 및 고무재 등의 파쇄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게끔 금속재(6)를 자력으로 끌어당겨서 분류하는 마그넷 기구(51)와, 금속재(6)을 수용하는 철재수용부(52) 및 비철수용부(72)와 수지재수용부(74)를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KR1020210010412A 2021-01-25 2021-01-25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KR102526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12A KR102526203B1 (ko) 2021-01-25 2021-01-25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12A KR102526203B1 (ko) 2021-01-25 2021-01-25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59A true KR20220108259A (ko) 2022-08-03
KR102526203B1 KR102526203B1 (ko) 2023-04-27

Family

ID=8284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12A KR102526203B1 (ko) 2021-01-25 2021-01-25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2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63B1 (ko) 2015-09-22 2017-06-08 김영선 소화기용 분말소화제 회수 및 재생 장치
KR101954578B1 (ko) 2018-05-23 2019-03-05 손주달 소화기 재가공 자동화 장치
KR102041782B1 (ko) * 2019-05-21 2019-11-27 이준호 폐소화기 자동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63B1 (ko) 2015-09-22 2017-06-08 김영선 소화기용 분말소화제 회수 및 재생 장치
KR101954578B1 (ko) 2018-05-23 2019-03-05 손주달 소화기 재가공 자동화 장치
KR102041782B1 (ko) * 2019-05-21 2019-11-27 이준호 폐소화기 자동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203B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92080U (zh) 报废汽车车身整体破碎及综合回收处理线
JP2007527781A (ja) 袋ゴミの袋破壊とゴミ選別装置
CN210527448U (zh) 居住区中垃圾自动分类的垃圾箱
KR101556406B1 (ko)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JPH08500056A (ja) 再生可能物質の分別装置および分別方法
CN110961431A (zh) 废钢在线破碎综合回收系统
CN104607386A (zh) 一种垃圾风选处理装置
KR900000617B1 (ko) 건축공사 혼합쓰레기로부터 유용물질의 회수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설비
CN209020458U (zh) 一种电子商务物料回收装置
KR101954578B1 (ko) 소화기 재가공 자동화 장치
KR20220108259A (ko) 폐 분말소화기의 재처리 가공장치
CN107876212A (zh) 一种废旧金属细碎处理后分类装置及其分类方法
CN110899309A (zh) 一种建筑垃圾的分类处理系统及工艺
US65818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ushing fluorescent lamps and separating components thereof
US3844491A (en) Material reclaiming and classifying apparatus
CN210907360U (zh) 大件垃圾处理系统
CN206454764U (zh) 一种机械和气流一体式粉碎机
KR20170106875A (ko) 폐전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3362945B2 (ja) 廃棄物処理装置
CN208944806U (zh) 一种垃圾智能化分选装置
CN110711759A (zh) 大件垃圾处理工艺及系统
CN211755987U (zh) 垃圾处理环保装置
CN212821698U (zh) 垃圾分离装置及系统
CN110721988A (zh) 垃圾分离装置及系统
CN207140314U (zh) 一种吹塑粉碎一体化组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