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043A - 광파이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043A
KR20220108043A KR1020227015872A KR20227015872A KR20220108043A KR 20220108043 A KR20220108043 A KR 20220108043A KR 1020227015872 A KR1020227015872 A KR 1020227015872A KR 20227015872 A KR20227015872 A KR 20227015872A KR 20220108043 A KR20220108043 A KR 2022010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fiber bundle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토 다카하시
히데키 다카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타코가쿠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타코가쿠가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타코가쿠가라스
Publication of KR2022010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6Coupling light into the fib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eral surface of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제조에 특별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광파이버를 사용하여 측면에서의 발광량을 개선한 광파이버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복수의 광파이버와, 묶인 복수의 광파이버를 덮고 빛을 발하는 수지외장(11)을 가지며,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연마된 광파이버다발(10)과, 복수의 광파이버 개구각보다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을 광파이버다발에 출사하도록 제1단부에 근접해 배치되는 제1광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파이버 조명장치
본 출원은 2019년 12월 3일 일본에 특허 출원된 특허출원 2019-218977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 선행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하기 위해 도입한다.
본 개시는 광파이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파이버의 측면을 빛나게 하여 조명으로서 이용하는 광파이버 조명장치가 알려져 있다. 조명장치에 이용되는 광파이버는, 코어의 긴 방향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클래드를 통해 누광시킨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파이버는, 코어 내부 또는 코어와 클래드 경계에 복수의 나노 사이즈 구조체를 설치하여 비교적 균일하게 빛을 산란한다.
일본특허공개 2019-153590호 공보
그러나 나노 사이즈 구조체와 같이 빛을 산란시키는 입자를 포함한 광파이버는 적절히 입자를 분산시키는 것이 어려워 제조 난이도가 높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파이버는 특별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이루어진 본 개시의 목적은 제조에 특별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광파이버를 사용하여, 측면으로부터의 발광량을 개선한 광파이버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는, 복수의 광파이버와, 묶인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를 덮고 빛을 발하는 수지외장을 구비하고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연마된 광파이버다발과,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 개구각보다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을 상기 광파이버다발에 출사하도록 상기 제1단부에 근접해 배치되는 제1광원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실예에 따르면, 제조에 특별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광파이버를 사용하여, 측면으로부터의 발광량을 개선한 광파이버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관한 광파이버 조명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광파이버 조명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광파이버다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광원과 광파이버다발 단부의 거리 및 입사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광원과 광파이버다발 단부의 거리와 광량 비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빛의 입사각 차이에 따른 측면 발광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광파이버 개구수 차이에 따른 측면 발광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광파이버 개구수와 광량 비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거리d, 거리L 및 거리h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일실시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외관상, 수지외장(101)으로 덮인 광파이버다발(10)과 제1광입사부(20-1)와 제2광입사부(20-2)를 가진다. 수지외장(101)은 광파이버다발(10) 측면에 대응해 빛을 발하는 부분이다. 광파이버다발(10)은 긴 방향에 있어서 제1단부와, 제1단부 반대측의 제2단부를 가진다. 제1단부 및 제2단부는 연마되어 있다. 제1단부 및 제2단부는 예를 들어 광학 연마면으로 형성된 평탄면이다. 제1광입사부(20-1) 및 제2광입사부(20-2)는 각각 광파이버다발(10)의 제1단부 및 제2단부에 빛을 입사한다. 입사된 빛이 광파이버다발(10)의 내부에서 누출되어 수지외장(101)에 의해 확산되므로,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측면이 발광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제1광입사부(20-1) 및 제2광입사부(20-2)를 구비한다. 그러나,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제1광입사부(20-1) 및 제2광입사부(20-2) 중 1개만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광입사부(20-1)는 제2광입사부(20-2)와 같은 구조이다. 그러나 제1광입사부(20-1)는 제2광입사부(20-2)와 다른 구조이어도 좋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부분 단면도이다. 광파이버다발(10)은 수지외장(101)으로 덮인 발광부분과 수지외장(101)으로 덮이지 않고 라이트가이드(201)로서 기능하는 도광부분을 가진다. 광파이버다발(10)은 발광부분을 사이에 두고, 긴 방향의 양단 부근 각각에 도광부분을 가진다. 제1광입사부(20-1)는 광원(200)과 케이스(202)와 스위치(203)를 구비한다. 광원(200)은 광파이버다발(10)에 입사되는 빛의 출처이며, 예를 들어 램프, LED 또는 레이저 등이 될 수 있다. 광원(200)은 배광 분포가 넓은 것, 즉 빛이 넓게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광원(200)은 가시광의 LED이다. 또한 케이스(202)는 광원(200), 라이트가이드(201) 및 스위치(203)의 일부 등을 수납하며 광원(200)과 라이트가이드(201)의 위치 관계를 정하는 부품이다. 케이스(202)는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202)의 재질은 수지이다. 스위치(203)는 광원(200)을 빛나게 하기 위한 전자부품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203)가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사용자에 의해 온 상태가 되면, 광원(200)의 LED가 발광하여 광파이버다발(10)에 빛이 입사된다.
상기와 같이 제2광입사부(20-2)는 제1광입사부(20-1)와 같은 구조이다. 즉, 제2광입사부(20-2)는 제1광입사부(20-1)와 동일하게 광원(200)과 케이스(202)와 스위치(203)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광입사부(20-1)와 제2광입사부(20-2)의 광원(200)을 구별할 경우, 제1광입사부(20-1)의 광원(200)은 제1광원(200-1)으로 표기된다. 또한 제2광입사부(20-2)의 광원(200)은 제2광원(200-2)으로 표기된다.
도 3은, 도 2에서의 제1광입사부(20-1)의 단면영역A의 확대도이다. 제1광입사부(20-1)에 있어서, 제1광원(200-1)은 광파이버다발(10)의 제1단부(102)에 발광면을 향하여,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1광원(200-1)과 광파이버다발(10)의 도광부분은 케이스(202) 내에 수납되어 있으며, 제1광원(200-1)과 제1단부(102)의 위치 관계는 유지된다. 제2광입사부(20-2)에 있어서도, 제2광원(200-2)은 광파이버다발(10)의 제2단부에 발광면을 향하여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2광원(200-2)과 광파이버다발(10)의 제2단부의 위치관계는 제2광입사부(20-2)의 케이스(202)에 의해 유지된다.
도 4는 광파이버다발(10)의 단면도이다. 광파이버다발(10)은, 단면으로 보면, 중간부(100)와 중간부(100)를 덮는 수지외장(101)을 구비한다. 중간부(100)에 있어서, 복수의 광파이버(11)가 묶인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파이버(11)는 적어도 광파이버다발(10)의 발광부분에서 고화제 등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묶인 상태에서 가요성이 있는 수지외장(101)에 의해 덮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발광부분을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각각의 광파이버(11)는 코어(11a)와 그 외주면을 덮는 클래드(11b)로 구성되는 단심 광파이버이다. 본 실시예에서 묶이는 복수의 광파이버(11)는 개구수NA가 같은 1개의 종류이다. 그러나 복수의 광파이버(11)는 개구수NA가 다른 2종류 이상의 광파이버를 포함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광파이버(11)의 개구수NA는 코어(11a)의 굴절률을 n으로 하고, 클래드(11b)의 굴절률을 n로 하고, 광파이버(11)의 외부가 공기(굴절률이 1)라고 하면, 하기 식(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코어(11a)의 굴절률n 및 클래드(11b)의 굴절률n은, 코어(11a) 및 클래드(11b)가 예를 들어 유리로 구성될 경우, 일본광학유리공업회 규격에서의 「광학 굴절률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θ는 광파이버(11)의 수광 각도이다. 2θ를 개구각이라 한다.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광파이버는 코어(11a)의 굴절률n 과 클래드(11b)의 굴절률n2의 차이가 크면 개구수NA는 커지고,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을 수광하여 넓은 각도 범위로 빛을 출사하게 된다. 반대로 광파이버는, 코어(11a)의 굴절률n과 클래드(11b)의 굴절률n2의 차이가 작으면 개구수NA는 작아지고, 좁은 각도 범위의 빛을 수광하여 좁은 각도 범위로 빛을 출사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파이버(11)는 빛을 산란시키는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며 제조에 특별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광파이버(11)의 코어(11a) 및 클래드(11b)가 유리로 구성될 경우, 이하와 같이 광파이버다발(10)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코어 유리 및 클래드 유리가 각각 제조된다. 코어 유리 및 클래드 유리의 재료는 다성분 유리이다. 그 후, 이중도가니법으로 방사하고, 코어 유리와 그것을 덮는 클래드 유리가 동심원 형상으로 된 단심파이버 즉 광파이버(11)를 얻는다. 이중도가니법은 코어용 도가니와 클래드용 도가니가 동심원 형상으로 배설된 이중도가니를 이용하여 각 도가니 내의 코어 유리와 클래드 유리를 가열하여 이중도가니의 노즐에서 단심파이버를 연속적으로 선 뽑기(방사)하는 것이다. 그 후, 단심파이버는 클린룸 내에서 소정의 길이로 재단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재단된 50~100000개 정도의 단심파이버를 묶고, 수지외장(101)으로 덮음으로써 광파이버다발(10)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지는 광파이버다발(10)은 양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광파이버다발(10)의 측면에서 발하는 광량은 낮아 조명의 용도로는 불충분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열심히 규명한 결과, 광원(200)과 광파이버다발(10) 단부와의 위치 관계를, 광파이버(11)의 개구수NA와 관련한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에 의하여 측면 발광량이 향상하는 것을 찾아내기에 이르렀다. 즉, 본 실시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광원(200)과 광파이버다발(10) 단부가 아래에 설명하는 위치 관계에 있음으로써 충분히 측면 발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광원(200)과 광파이버다발(10)의 제1단부(102)와의 거리d 및 빛의 입사각θi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광원(200)과 제1단부(102)와의 거리d가 가까워짐에 따라 빛의 입사각θi은 커진다. 여기서 도 5에서는 광파이버다발(10)의 제1단부(102)를 예로 설명했으나, 제2단부에 대해서도 입사각θi과 거리d의 관계는 같다.
상기와 같이 광파이버다발(10)을 구성하는 광파이버(11)는 소정의 개구수NA를 가지고 있으며, 개구각2θ가 정해져 있다. 개구각2θ보다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이 입사되어도, 광파이버(11)에 의하여 전송되지 않는 빛이 발생한다. 기존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집광렌즈를 이용해 입사각θi를 θ 이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집광렌즈를 이용하는 것은 광량을 줄이지 않고, 거리d를 어느 정도 크게 취하는 것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에서는, 제1광원(200-1)은 복수의 광파이버(11)의 개구각2θ보다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을 광파이버다발(10)에 출사하도록 집광렌즈를 이용하지 않고, 제1단부(102)에 근접해 배치된다. 도 6은 후술하는 실시예 1의 광파이버(11)를 이용해, 제1광원(200-1)과 제1단부(102)와의 거리d를 변화시켰을 경우의 측면 발광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가로축은 제1광원(200-1)과 제1단부(102)와의 거리d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세로축은 측면 발광량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광량 비율이다. 세로축은 제1광원(200-1)과 제1단부(102)가 접하고 있는 경우, 즉 거리d가 제로인 경우의 측면 발광량을 1로 하는 비율로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거리d가 커지면 측면 발광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광원(200)은 제1단부(102)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d가 제로인 경우와 비교해서 측면 발광량은 1/4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근접이란 거리d가 2mm 미만인 것을 말한다. 근접이란,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리d가 1mm 미만인 것을 말한다. 근접이란,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리d가 0.5mm 미만인 것을 말한다. 측면 발광량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광원(200)과 광파이버다발(10)의 단부는 접하고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시예 1의 거리d는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광원(200)의 발광면(LED 발광면)과 광파이버다발(10)의 제1단부(102)와의 거리이다. 만일 집광렌즈를 통해 광파이버다발(10)에 광원(200)의 빛이 입사할 경우, 거리d는 집광렌즈의 초점과 광파이버다발(10)의 제1단부(102)와의 거리이다. 또한 거리L은 제1단부(102)로부터 광파이버다발(10)의 길이방향(광파이버다발(10)이 뻗어있는 방향)을 따른 거리이다. 또한 거리h는 광파이버다발(10)의 표면이 있는 위치로부터 광파이버다발(1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떨어진 거리이다. 상기 도 6의 측면 발광량 측정에서, 측면 발광량을 측정하는 측정기(디텍터)는 광파이버다발(10)로부터 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측정위치까지의 거리h는 1.0mm로 했다. 제2단부에 대해서도 거리L 및 거리h의 정의는 같다.
도 7은 빛의 입사각 차이에 따른 측면 발광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일례이며, 도 1부터 도 4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실시예 1은 광원(200)인 LED와 광파이버다발(10)의 제1단부(102)와의 거리d가 0.5mm 미만이다. 광파이버(11)의 개구각2θ는 120°이며, 개구수NA가 0.87이다. 실시예 1의 제2광입사부(20-2)는 제1광입사부(20-1)과 같다. 본 실험에서 제1광입사부(20-1)의 스위치(203)를 온 상태로 하고, 1개의 광원(200)으로 광파이버다발(10)의 측면이 발광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광파이버다발(10)의 제1단부(102)로부터 거리L이 1700mm의 위치까지, 50mm마다 발광 강도가 측정되었다. 이때 측정위치까지의 거리h는 1.0mm로 했다. 여기서, 광파이버다발(10)의 발광부분이 제1단부(102)로부터 200mm의 위치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최초 측정은 해당 위치로부터 개시되었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광원(200)이 다르다. 비교예 1은 케이스(202)에서 고정되는 LED를 대신해 LED 광원장치(LS-L150, 주식회사 스미다광학유리 제품)를 광원(200)으로 이용했다. 비교예 1에서 사용한 LED광원장치는 발광한 LED의 빛을 렌즈로 집광하여 광파이버다발(10)에 입사한다. 따라서 광파이버다발(10)로의 입사각θi가 θ 이하가 된다. 즉, 입사각의 2배인 각도2θi가 개구각2θ 이하가 된다. 비교예 1에서의 거리d(이 경우는 상기와 같이 렌즈의 초점과 제1단부(102)의 거리)는 0.5mm이하이다. 여기서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의 광파이버다발(10)로의 입사 광량이 동등해지도록 각 광원의 광량을 조정하였다. 그 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다.
도 7의 가로축은 측정위치를 제1단부(102)로부터의 거리L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의 세로축은 측정된 발광 강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모든 거리L에서 실시예 1의 발광 강도가 비교예 1을 상회한다. 즉, 개구각2θ보다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을 광파이버다발(10)에 출사하는 구성인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측면 발광량이 향상되어 조명 용도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개구각2θ보다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이 광파이버다발(10)의 내부에서 새어나옴으로써 발광 강도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8은 광파이버(11)의 개구수NA 차이에 따른 측면 발광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명으로서의 실용성의 관점에서 도 7과는 별도로, 광파이버다발(10)이 보유하는 복수의 광파이버(11)의 종류를 변경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도 8의 가로축 및 세로축은 도 7과 같다.
실시예 1은 도 7의 실험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비교예 2는 광파이버(11)의 개구각2θ가 70°이며, 개구수NA가 0.57이다. 비교예 3은 광파이버(11)의 개구각2θ가 15°이며, 개구수NA가 0.13이다.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광파이버(11)의 종류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다.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모든 측정 위치에서 발광 강도는 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순으로 크다. 즉, 개구수NA가 클수록 측면 발광량이 향상하고 조명 용도로서 적합함이 나타나 있다. 이는 개구수NA가 작으면 개구각2θ이 작기 때문에 많은 빛이 제1단부(102)의 근처에서 새어나와 버려, 발광 부분에 빛이 닿지 않아 측면 발광량이 저하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9는 광파이버의 개구수NA와 광량 비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가로축은 개구수NA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의 세로축은 측면 발광량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광량 비율이다. 세로축은 실시예 1의 광파이버(11)의 개구수NA를 1로 하는 비율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개구수NA가 0.75인 경우에, 광량 비율은 약 0.5가 된다. 또한 개구수NA가 0.60인 경우에, 광량 비율은 약 0.25가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측면 발광 길이가 5m 이하인 광파이버 조명장치(1)에서는 실용성의 관점에서 제1단부(102)로부터 1m의 거리L에서 최소한 5μW 정도의 발광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위치까지의 거리h는 1.0mm이다. 실시예 1은 제1단부(102)로부터 1m의 거리L에서 5μW의 2배 이상의 발광 강도를 가진다. 한편,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제1단부(102)로부터 1m의 거리에서의 발광 강도가 5μW에 못 미친다. 또한 개구수NA가 0.75일 경우, 도 9와 같이 실시예 1에 대한 광량 비율은 약 0.5이기 때문에 제1단부(102)로부터 1m의 거리L에서 5μW 정도의 발광 강도를 가진다. 그러면, 복수의 광파이버(11)의 개구수NA는 0.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광파이버(11)의 개구수NA는 0.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수의 광파이버(11)의 개구수NA는 0.8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의 광파이버(11)가 다른 종류의 광파이버(11)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파이버(11)의 평균 개구수NA가 0.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광파이버(11)의 모든 개구수NA가 0.7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 실시예를 여러 도면 및 실시예에 근거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업자라면 본 개시에 근거해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에 주의하기 바란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각 부재,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도록 재배치할 수 있으며, 여러 부재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광입사부(20-1)는 1개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제2광입사부(20-2)는 1개인 것으로 설명했다. 다만, 본 공개의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제1광입사부(20-1) 및 제2광입사부(20-2) 중 적어도 1개가 복수이어도 좋다.
도 10은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적색용 제1광입사부(20-1r)와 녹색용 제1광입사부(20-1g)와 청색용 제1광입사부(20-1b)를 갖춘다. 각각의 제1광입사부(20-1)는 각각 적색용, 황색용, 청색용의 제1광원(200-1)을 가진다. 즉, 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에서 제1광원(200-1)은 복수이다. 광파이버다발(10)은 분기점에서 복수의 광파이버(11)가 적색용, 황색용, 청색용으로 나누어져 각각 제1단부(102)를 가진다. 그리고 복수의 제1광원(200-1)의 각각은, 복수로 나누어진 제1단부(102)의 각각에 근접해 배치된다. 사용자가 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에서, 예를 들어 적색용 제1광입사부(20-1r)의 스위치(203)를 온 상태로 하면, 광파이버다발(10)의 분기하지 않은 부분, 즉 수지외장(101)으로 덮인 발광부분이 적색으로 빛난다.
도 11은 다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의 제1광입사부(20)는 도 10의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와 동일하다. 또한 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주백색용 제2광입사부(20-2w)와 전구색용 제2광입사부(20-2l)를 갖춘다. 각각의 제2광입사부(20-2)는 색온도가 다른 주백색용, 전구색용 제2광원(200-2)을 가진다. 즉, 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에서 제2광원(200-2)은 복수이다. 광파이버다발(10)은 분기점에서 복수의 광파이버(11)가 주백색용, 전구색용으로 나누어져 각각 제2단부를 가진다. 그리고 복수의 제2광원(200-2)의 각각은, 복수로 나누어진 제2단부 각각에 근접해 배치된다. 사용자가 본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에서, 예를 들어 전구색용 제2광입사부(20-2l)의 스위치(203)를 온 상태로 하면, 광파이버다발(10)의 분기하지 않은 부분, 즉 수지외장(101)으로 덮인 발광부분이 전구색으로 빛난다. 도 10 및 도 11의 변형예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사용자가 발광색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장식 용도에 적합하다.
본 개시에서 '제1' 및 '제2' 등의 기재는 해당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본 개시에서의 '제1' 및 '제2' 등의 기재로 구별된 구성은 해당 구성에서의 번호를 교환할 수 있다. 식별자 교환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식별자의 교환 후에도 해당 구성은 구별된다. 식별자는 삭제해도 된다. 식별자를 삭제한 구성은 부호로 구별된다. 본 개시에서의 '제1' 및 '제2' 등의 식별자 기재만을 바탕으로 해당 구성 순서의 해석, 작은 번호의 식별자가 존재하는 것의 근거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개시에 관한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예를 들어 야간 조명, 장식 조명 또는 장착 대상물의 위치 확인 또는 상태 확인을 위한 조명 등으로서 공업 분야 및 장식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된 광파이버 조명장치(1)는 특히 안내표시, 차량 실내등 또는 실외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광파이버조명장치
10    광파이버다발
11    광파이버
11a   코아
11b   클래드
20-1  제1광입사부
20-2  제2광입사부
100   중간부
101   수지외장
102   제1단부
200   광원
200-1 제1광원
200-2 제2광원
201   라이트가이드
202   케이스
203   스위치

Claims (7)

  1. 복수의 광파이버와, 묶인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를 덮고 빛을 발하는 수지외장을 구비하고,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연마된 광파이버다발과,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의 개구각보다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을 상기 광파이버다발에 출사하도록 상기 제1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광원을 구비하는 광파이버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복수이고,
    복수의 상기 제1광원의 각각은, 복수로 나누어진 상기 제1단부의 각각에 근접해 배치되는 광파이버 조명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 개구각보다 넓은 각도 범위의 빛을 상기 광파이버다발에 출사하도록 상기 제2단부에 근접해 배치되는 제2광원을 구비하는 광파이버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은 복수이며,
    복수의 상기 제2광원의 각각은, 복수로 나누어진 상기 제2단부의 각각에 근접해 배치되는 광파이버 조명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의 개구수가 0.75 이상인 광파이버 조명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의 개구수가 0.80 이상인 광파이버 조명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의 개구수가 0.85 이상인 광파이버 조명장치.
KR1020227015872A 2019-12-03 2020-12-01 광파이버 조명장치 KR20220108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18977 2019-12-03
JP2019218977A JP7348641B2 (ja) 2019-12-03 2019-12-03 光ファイバ照明装置
PCT/JP2020/044753 WO2021112103A1 (ja) 2019-12-03 2020-12-01 光ファイバ照明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043A true KR20220108043A (ko) 2022-08-02

Family

ID=7622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872A KR20220108043A (ko) 2019-12-03 2020-12-01 광파이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13202A1 (ko)
EP (1) EP4071403A4 (ko)
JP (1) JP7348641B2 (ko)
KR (1) KR20220108043A (ko)
CN (1) CN114651152A (ko)
WO (1) WO202111210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3590A (ja) 2009-11-20 2019-09-1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拡散光ファイバー、ファイバーバンドル及び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116A (ja) * 1994-01-14 1995-08-11 Mitsubishi Rayon Co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6921920B2 (en) * 2001-08-31 2005-07-26 Smith & Nephew, Inc. Solid-state light source
JP2005024617A (ja) * 2003-06-30 2005-01-27 Sharp Corp 光送信器
CN2929748Y (zh) * 2005-10-28 2007-08-01 北京光电技术研究所 侧出光激光光纤结构
US8655128B2 (en) * 2007-03-22 2014-02-18 Fujikura Ltd. Optical fiber bundle and optical irradiator
CN102171511B (zh) * 2008-10-02 2013-05-22 夏普株式会社 线状光源以及电子设备
HU227875B1 (en) * 2008-10-13 2012-05-29 Diatron Medicinai Instr Laboratoriumi Diagnosztikai Fejlesztoe Gyarto Zartkoerueen Muekoedoe Reszven Optical circulation cytometer furthermore testing method
JP2011076965A (ja) * 2009-10-01 2011-04-14 Sumita Optical Glass Inc Led光源装置
US20110085348A1 (en) * 2009-10-13 2011-04-14 Dobson Paul J LED light source for fiber optic cable
JP5097798B2 (ja) * 2010-06-03 2012-12-12 株式会社ユーテクノロジー 光ファイバ照明装置
CN103293656A (zh) * 2012-03-01 2013-09-11 北京威斯顿亚太光电仪器有限公司 一种提高硬管内窥镜边缘光效的技术
US9932632B2 (en) * 2012-08-10 2018-04-03 Streck, Inc. Real-time optical system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US9158080B2 (en) * 2013-08-23 2015-10-13 Corning Incorporated Light-coupl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light-diffusing optical fibers
US10441157B2 (en) * 2015-12-02 2019-10-15 Novartis Ag Optical fiber having proximal taper for ophthalmic surgical illumination
JP6006894B1 (ja) * 2016-02-02 2016-10-12 株式会社住田光学ガラス イメージガイドファイバ
JPWO2017199367A1 (ja) * 2016-05-18 2019-03-2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光ファイバレーザモジュール、照明装置及び治療装置
JP6686836B2 (ja) * 2016-10-14 2020-04-2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
JP6721496B2 (ja) * 2016-12-08 2020-07-15 株式会社住田光学ガラス 内視鏡
CN206988872U (zh) * 2017-03-21 2018-02-09 深圳大学 柔性照明装置及灯具
DE102018107523A1 (de) * 2018-03-29 2019-10-02 Schott Ag Licht- oder Bildleitkomponenten für Einweg-Endosko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3590A (ja) 2009-11-20 2019-09-1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拡散光ファイバー、ファイバーバンドル及び照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48641B2 (ja) 2023-09-21
WO2021112103A1 (ja) 2021-06-10
CN114651152A (zh) 2022-06-21
EP4071403A1 (en) 2022-10-12
US20220413202A1 (en) 2022-12-29
EP4071403A4 (en) 2023-12-27
JP2021089831A (ja)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0050B1 (en) Fiber optic light panel with homogeneous light output
US8998471B2 (en) Lighting units having light-diffusing optical fiber
JP6450686B2 (ja) 光拡散性光ファイバ束、光拡散性光ファイバ束を含む照明システム及び光拡散性光ファイバ束をポリマー光ファイバに取り付ける方法
JP2008243816A5 (ko)
CN101558352A (zh) 照明系统和包括照明系统的显示器
US10393957B1 (en) Glued optical fiber bundle
US6546174B2 (en) Long length, side-emitting fiber optic cables
CN103858033A (zh) 自动立体显示照明设备及包含其的自动立体显示装置
KR20220108043A (ko) 광파이버 조명장치
CN115419847B (zh) 光导发光照明系统
JPH0381903A (ja) 表示装置
FI104992B (fi) Valaiseva kaapeli tms. nauha
JP4053661B2 (ja) 光伝送装置
JP2004504692A (ja) 信号レンズシステム
US20230296242A1 (en) Construction
JP2004287067A (ja) 照明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照明用光ケーブル
CN220399670U (zh) 导光结构、发光装置和电子设备
JP7321010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597094B2 (ja) 線状照明具
JPH04143705A (ja) 照光パネル
KR20080004169U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완구
JP2001332101A (ja) 光ファイバ照明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による照明方法
JPH05257015A (ja) 漏洩型光ファイバ避難誘導装置
EP0987488A1 (en) Optical lighting apparatus
KR20220072310A (ko) 다기능 광케이블, 이를 이용한 조명 겸용 통신 장치 및 그 수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