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278A - 압축 리미터 - Google Patents

압축 리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278A
KR20220107278A KR1020227022595A KR20227022595A KR20220107278A KR 20220107278 A KR20220107278 A KR 20220107278A KR 1020227022595 A KR1020227022595 A KR 1020227022595A KR 20227022595 A KR20227022595 A KR 20227022595A KR 20220107278 A KR20220107278 A KR 2022010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limiter
weight
polyamide
thermoplastic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 하르딩
아드난 하사노빅
비센 벤자민 반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2010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27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786Fibrous material or fibre containing material, e.g. fibre mats or fibre reinforc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reinforcement
    • B29K2307/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303/00 - B29K2307/00, as reinforcement
    • B29K2309/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6E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제1 열가소성 조성물로 제조된 압축 리미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압축 리미터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압축 리미터 및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제조된 열가소성 본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축 리미터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제조된다.

Description

압축 리미터
본 발명은 압축 리미터(compression limit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압축 리미터의 제조 방법, 및 열가소성 본체(body) 및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조립체(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축 리미터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제조된다.
플라스틱 부품은 스크류(screw)나 볼트를 사용하여 캐리어(carrier)(예를 들어, 차량 엔진)에 고정될 수 있다. 압축 리미터는 높은 하중 지지(bearing) 능력을 위해 설계되어, 볼트를 조임으로써 발생하는 압축 하중으로부터 조립체의 플라스틱 부품을 보호하고 볼트 연결의 지속적인 완전성(integrity)을 보장한다.
압축 리미터는 플라스틱 부품의 허용 하중에 관해 스크류의 수직력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상기 하중은 조임 토크(tightening torque)로 인해 압축을 일으키며, 압축 리미터가 없으면 균열 및 크리프(creep)가 발생하거나 열가소성 본체가 손상될 수 있다. 압축 리미터는 또한 스크류의 수직력이 고정된 조인트(joint)의 수명 동안 적절한 정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압축 리미터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몰딩된(molded) 부품에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플레인 홀(plain hole) 금속 인서트(insert)이다. 상기 플레인 홀은 볼트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제공하고, 압축 리미터의 벽은 짝을 이루는 스크류 또는 볼트의 조립 동안 유도되는 압축력을 견딘다. 실제로 압축 리미터는 플라스틱 호스트(host)의 두께보다 약간 짧아야 한다.
볼트가 조여지면 플라스틱이 압축되고 볼트의 머리, 또는 (워셔(washer)가 사용되는 경우) 워셔가 압축 리미터와 접촉할 때까지 플라스틱의 응력이 증가한다. 그 후, 압축 리미터와 플라스틱은 (비록 크게 줄어들긴 했지만) 같은 속도로 압축된다. 압축 리미터는 플라스틱 물질에 추가적인 상당한 압축이나 증가된 응력 없이 추가적인 클램핑(clamping) 하중을 흡수한다.
열가소성 본체와 하나 이상의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인서트-몰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압축 리미터가 몰드 내 제 위치에 배치된 후 열가소성 본체가 사출 몰딩에 의해 압축 리미터 주위에 몰딩되거나 또는 열가소성 본체가 몰딩된 후 압축 리미터가 삽입될 수 있다. 설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압축 리미터의 일반적인 문제는 압축 리미터와 압축 리미터를 수용하는 본체 사이의 적절한 맞물림(engagement)이다. 많은 압축 리미터 시스템의 또 다른 문제는 압축 리미터와 압축 리미터를 수용하는 홀 사이의 치수 매칭(matching)이다. 개구(aperture)가 너무 작거나 압축 리미터가 너무 크면, 압축 리미터를 압축하여 제 위치에 놓을 때, 열가소성 본체가 손상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개구가 너무 크거나 압축 리미터가 너무 작으면, 둘 사이의 연결이 너무 끊어져 추가적인 취급 및 장착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작동 중에 열가소성 본체가 빠질 수 있다. 후자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추가 작업이 필요하고 고장에 민감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체 부분 및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8261812-A1호에 설명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8261812-A1호의 조립체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체이다. 상기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조립체의 구조적 부재(member)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압축 리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 리미터는 배터리 조립체 내에서 하중을 전달하고 조립체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패스너(fastener)를 가이드한다. 압축 리미터는 본체 및 본체의 제1 말단(end) 근처에 있는 부착 헤드를 포함한다. 배터리 조립체의 구조적 부재에 대한 압축 리미터의 적절한 맞물림은 압축 리미터의 특수 구성을 통해 수행된다.
압축 리미터의 다른 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57483-A1호에 설명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57483-A1호는 압축 리미터에 관한 것이고, 더욱 특히 플라스틱 부품의 하중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압축 리미터에 관한 것이다. 압축 리미터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57483-A1호에 언급된 바와 같이, 금속 압축 리미터는 플라스틱 부품에 압축 하중이 가해지는 응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압축 리미터는 플라스틱을 강화하고 가해지는 하중에 저항한다. 따라서, 플라스틱의 완전성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압축 리미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패스너 조임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물질 크리프를 방지/감소시킨다. 그러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57483-A1호에 따르면, 아직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 압축 리미터는 플라스틱 부품의 보어(bore) 상으로 압착되고 패스너를 수용한다. 압축 리미터가 플라스틱 부품의 최종 설치 전에 종종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플라스틱 부품에 대한 압착된 압축 리미터의 유지가 문제가 된다. 또한, 압착된 압축 리미터는 플라스틱 부품이 고정되는 제2 구성 성분의 물질을 압착하고 변형시켜, 패스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자동차 및 기타 응용 분야에서, 플라스틱 부품에는 일반적으로 패스너를 수용하는 3개 이상의 부착 홀이 있다. 상기 홀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부품을 위치시키는 직경이 더 작은 기준(datum) 홀이고, 상기 홀 중 하나는 플라스틱 부품의 방향을 지정하는 홈이 있는(slotted) 홀이며, 상기 홀 중 하나 이상은 다른 부품에 플라스틱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클리어런스 홀이다. 이를 위해서는 단일 플라스틱 부품에 대해 3개 이상의 상이한 압축 리미터가 필요하므로 압축 리미터가 잘못된 홀에 삽입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57483-A1호의 압축 리미터는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이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관형(tubular-shaped) 벽 및 상기 벽을 통해 외부 표면에서 내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천공(perforation)을 조합하여 포함한다.
압축 리미터의 추가 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07659-A1호에 설명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07659-A1호는 배터리 팩(pack)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특히, 내부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각기둥형(prismatic) 반복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에 배치되어 압축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hollow)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07659-A1호에 따르면, 금속 압축 리미터는 반드시 반복 프레임 조립체와 별도로 기계가공되어야 한다. 배터리 팩에는 높은 정도의 청결도(cleanliness)가 바람직하며, 기계 가공된 금속 압축 리미터는 삽입 공정에서 금속 조각과 같은 파편(debris)을 배터리 팩에 바람직하지 않게 도입할 수 있다. 금속 압축 리미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어, 배터리 팩을 더욱 오염시킬 수 있다. 금속 압축 리미터 설치를 위해 열 삽입 장비를 사용하는 것도 배터리 팩 조립체를 복잡하게 만든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07659-A1호의 각기둥형 반복 프레임 조립체는 나일론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된 제1 중합체로 형성된 본체,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및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으로부터 선택된 제2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고, 공-사출(co-injection) 몰딩에 의해 제조된다.
사출 몰딩된 부분은 일반적으로 사출 몰딩 공정에서 생성된 웰드라인(weldline)에서의 취약한 부분이 문제가 된다. 일반적으로 압축 리미터에 대한 상기 문제를 제외하고, 금속으로 제조된 압축 리미터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압축 리미터보다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높은 하중 지지 특성 및 특히 고온 및 동적 조건 하에서 더 좋은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하중 지지 특성 및 볼트 조임에 의해 생성된 압축 하중으로 인한 조립체의 플라스틱 부품의 손상 방지 측면에서 압축 리미터에 대한 요건이 이미 높지만, 이러한 요건은 (조립체가 엔진 가까이 또는 엔진 위에 장착될 수 있는) 후드(hood) 하에서의 차량 분야의 경우 훨씬 더 가혹하다. 여기서, 견고한 장착은, 일반적으로 장착된 조립체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립된 배터리 팩에서 냉각수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 방지 실링(sealing)을 확보하는 것이다. 여기서, 장착된 조립체는 실온에서 작동 중인 차량의 진동으로 인한 동적 기계적 하중 하에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열 조건, 예를 들어, -30℃ 및 심지어 그 이하의 저온 및 120℃ 정도 또는 심지어 150℃ 및 그 이상의 고온(최고 온도 180℃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의 온도), 및 건조 조건 및 습윤 조건, 및 이들의 모든 조합, 예를 들어 80℃ 에서의 80 내지 100%까지의 상대 습도 하에서 작동해야 한다. 또한,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본체 내의 개구 치수와 함께 압축 리미터를 치수 제어하는 것은 조립 중에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온도 및 습도 변화 중에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높은 하중-지지 특성, 예를 들어 높은 정적 압축 파괴력(static compression failure) 및 높은 압축력 유지를 나타내고, 이를 통해 광범위한 열 및/또는 습도 변화 하에서 우수한 실링(sealing) 성능을 나타내는, 압축 리미터, 및 열가소성 본체 및 상기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 및 조립체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는 청구항 1에 언급된 바와 같은 제1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압축 리미터는
(A) 35 내지 65 중량%의 폴리아미드 성분(A); 및
(B) 35 내지 65 중량%의 섬유상 강화제
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성분(A)의 90 중량% 이상이
o 45 내지 50 몰%의 디아민,
o 40 내지 50 몰%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o 0 내지 10 몰%의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
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반-결정질(semi-crystalline) 반-방향족(semi-aromatic) 폴리아미드(A-1)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아미드(A-1)가 11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Tg) 및 28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가지고, 이때
몰%는 디아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의 총 몰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며, (A) 및 (B)의 중량%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인,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제조된 열가소성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언급된 압축 리미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조립체는, 적합하게는, 먼저 제1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사출 몰딩에 의해 압축 리미터를 제조한 후,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사출 몰딩에 의해 열가소성 본체를 제조하고, 그를 통해 압축 리미터를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오버몰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생산은 2단계 사출 몰딩 공정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압축 리미터가 별도의 공정에서 생산되고 오버몰딩 공정 전에 몰드에 삽입되는 인서트 몰딩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압축 리미터가 제1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제조되고, 열가소성 본체가 상기 압축 리미터를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오버몰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 및 조립체의 효과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장기간에 걸친 하중 지지 특성, 압축 리미터와 열가소성 본체 사이의 우수한 접착력, 및 다양한 온도 및/또는 습도 조건 및/또는 동적 기계적 하중 하에서 장기간 작동 동안의 누출-방지 실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는 열가소성 물질(본 명세서에서 제1 열가소성 물질로도 언급됨)로 제조되며, 상기 열가소성 물질은 35 내지 65 중량%의 폴리아미드 성분(A); 및 35 내지 65 중량%의 섬유상 강화제(B)를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아미드(A)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2018/060271A1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성분(A)의 90 중량% 이상은
o 45 내지 50 몰%의 디아민,
o 40 내지 50 몰%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o 0 내지 10몰%의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
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A-1)로 이루어지고, 이때
몰%는 디아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의 총 몰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고, 상기 폴리아미드(A-1)는 11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Tg) 및 28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A-1)는
o 45 내지 50 몰%의 디아민,
o 45 내지 50 몰%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o 0 내지 5 몰%의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
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고, 이때
몰%는 디아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의 총 몰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다.
반-결정질 중합체는 선행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고, 전형적으로, 용융 온도 및 용융 엔탈피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도메인(domain) 및 유리 전이 온도를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amorphous) 도메인을 포함하는 형태(morphology)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 전이 온도라는 용어는, N2 (질소) 분위기에서 20℃/분의 가열 및 냉각 속도로 예비-건조된 샘플에 대해(“예비-건조”는 샘플의 질량이 연속 3일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를 의미할 수 있음), ISO-11357-1/2, 2011에 따른 시차 주사 열량계(DSC) 방법으로 측정한 온도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Tg는 모(parent) 열 곡선의 변곡점에 해당하는 모 열 곡선의 (시간에 대한) 1차 미분 피크의 온도로부터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융 온도라는 용어는, N2 (질소) 분위기에서 20℃/분의 가열 및 냉각 속도로 예비-건조된 샘플에 대해(“예비-건조”는 샘플의 질량이 연속 3일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를 의미할 수 있음), ISO-11357-1/3, 2011에 따른 시차 주사 열량계(DSC) 방법으로 측정한 온도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Tm은 2차 가열 사이클에서 가장 높은 용융 피크의 피크 값으로부터 계산된다.
본 명세서에서 반-결정질 폴리아미드에서의 반-결정질이라는 용어는 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Tm) 및 용융 엔탈피(△Hm) 뿐만 아니라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합하게는, 반-결정질 폴리아미드는 5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J/g 이상,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J/g 이상의 용융 엔탈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융 엔탈피(△Hm)라는 용어는, N2 (질소) 분위기에서 20℃/분의 가열 및 냉각 속도로 예비-건조된 샘플에 대해(“예비-건조”는 샘플의 질량이 연속 3일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를 의미할 수 있음), ISO-11357-1/3, 2011에 따라 DSC 방법으로 측정된 용융 엔탈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Hm)은 제2 가열 사이클의 용융 피크 아래의 면적으로부터 계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A-1)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고 용융 온도는 29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340℃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Tg는 140 내지 170℃의 범위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Tm은 310 내지 340℃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에서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A-1)는 적합하게는 디아민의 총 몰량에 대해 70 몰% 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C4 내지 C10 디아민, 또는 지환족 디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아민의 7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이 선형 지방족 C4 내지 C10 디아민, 또는 지환족 디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C4 내지 C10 선형 지방족 디아민의 예는 1,4-디아미노부탄, 1,6-헥산디아민, 1,8-옥타메틸렌디아민 및 1,10-데카메틸렌디아민이다. 지환족 디아민은 1,4-시클로헥산디아민 및 이소포론 디아민을 포함한다. 분지형 지방족 디아민의 예는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에서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A-1)는 적합하게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총 몰량에 대해 70 몰% 이상의 테레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또는 비페닐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7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진다.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A-1)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기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양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총 몰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몰% 범위로 제한된다. 그 장점은 고온에서 하중 지지 특성이 더 잘 유지된다는 것이다.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A-1)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지만, 그 양은 디아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기타 단량체의 총 몰량에 대해 최대 5 몰%, 및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 몰%이다.
기타 단량체는 예를 들어 사슬 정지제(stopper)로 사용될 수 있는 일작용성(monofunctional) 아민(모노-아민) 및 일작용성 카르복실산(모노-산), 및 분지제(branching agent)로 사용될 수 있는 삼작용성 아민(즉, 트리-아민) 및 삼작용성 아민 카르복시산(즉, 트리-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의 조성물은 섬유상 강화제를 포함한다. 적합하게는, 섬유상 강화제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섬유상 강화제의 함량은 35 내지 65 중량% 범위 이내여야 한다. 함량이 너무 낮으면(35 중량% 미만), 고온에서 하중 지지 특성이 저하되는 반면, 너무 높으면(65 중량% 초과), 압축 리미터 자체의 하중 지지 특성이 너무 낮아질 것이다. 이 범위 내에서, 섬유상 강화제는 필요한 하중 지지 특성 및 적용된 섬유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 긴 중간 섬유 길이 및 더 낮은 하중 지지 특성이 필요한 경우, 그 양은 적절하게 약 30 중량% 또는 그 이상이다. 더 짧은 중간 섬유 길이 및 더 높은 하중 지지 특성이 필요한 경우, 그 양은 적절하게 약 70 중량% 또는 그보다 약간 낮다. 조성물 내 섬유상 강화제는 적절하게는 중간 섬유 길이가 0.05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mm, 더욱 특히 0.15 내지 0.35 mm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서 “중간 섬유 길이”는 섬유의 50 중량%가 더 짧은 길이를 갖고 50 중량%가 더 긴 길이를 가질 때의 그 길이 값이다. 중간 섬유 길이는, 조성물 내 섬유의 대표적인 샘플을 취하여, 해당 샘플의 현미경 사진을 얻고 샘플에 있는 모든 개별 유리 섬유의 길이를 측정하여 결정된다. 섬유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를 기초로 섬유의 길이는 또한 섬유의 무게를 직접적으로 나타내게 된다.
압축 리미터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기타 성분, 예컨대 무기 충전제(성분 C) 및 기타 중합체(성분 D) 및 추가 첨가제를 제한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성분(C) 하의 기타 중합체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성분(A) 이외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성분 (D) 하의 추가 첨가제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성분 (A) 내지 (D)와 상이한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성분 (C), (D) 및 (E)의 양은 조성물의 하중 지지 특성을 제공하지 않는 정도로 제한되어야 한다. 적합하게는, 상기 성분들은
(C) 0 내지 10 중량%의 무기 충전제;
(D) 0 내지 5 중량%의 다른 중합체; 및
(E) 0 내지 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첨가제;
양으로 존재하고, 이때
성분 (C) 내지 (E)의 중량%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고 성분 (A) 내지 (E)의 조합된 양은 100 중량%이다.
최적의 조성으로,
- 폴리아미드 성분(A)은 40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 섬유상 강화제(B)는 40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 성분 (C), (D) 및 (E)는, 존재하는 경우, 0 내지 10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존재하고; 이때
중량%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비된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C), (D) 및 (E)는, 존재하는 경우, 0 내지 10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존재한다.
압축 리미터의 열가소성 물질의 조성물은 실온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적합하게는, 열가소성 물질은 15,0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7,000 MPa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00 MPa 이상의 23℃에서의 인장 계수(tensile modulus)를 갖고, 10,0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00 MPa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0 MPa 이상의 120℃에서의 인장 계수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인장 계수는 건조 시험 샘플을 사용하여 10 Hz에서 ISO 6721-4:2008에 따른 방법으로 측정된다(예를 들어, 샘플의 질량이 연속 3일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 실온 및 고온에서 인장 계수가 높을수록, 동적 하중 지지 조건 하에서 압축 리미터의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는 리미터가 사용되는 적용 분야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가변 치수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압축 리미터는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중공 경로(hollow passway)를 갖는 본체를 갖는다. 적합하게는, 중공 경로는 원통형 경로이다. 원통형 경로는 홀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갖는 홀이다. 이러한 원통형 경로는 이상적으로는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를 수용하는 데 적합하다.
일 실시양태에서, 압축 리미터는 적합하게는 균일한 원통 모양을 갖는 본체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균일한 원통 모양은
- 원통형 중공 경로를 정의하고 상기 중공 경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갖는 내벽; 및
- 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갖는 외벽
으로 정의되는 중공 형상으로 이해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압축 리미터는 테이퍼링된(tapered) 원통 모양을 갖는 본체를 적합하게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테이퍼링된 원통 모양은
- 원통형 중공 경로를 정의하고 상기 중공 경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갖는 내벽; 및
- 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외벽
으로 정의되는 중공 형상으로 이해된다.
이들 실시양태 각각은 적절하게는 중공 경로를 갖는 본체 및 오목부(recession) 또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압축 리미터는 적절하게는 중공 경로가 있는 본체와 플랜지형 말단(flanged end)이 구비된 본체를 포함한다.
이들 형상 중 하나, 또는 이들의 변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압축 리미터는 1단계 사출 몰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출 몰딩 공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테이퍼링된 원통 모양,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외부 표면, 또는 플랜지형 말단, 및 이들의 조합을 갖는 변형물은 압축 리미터가 열가소성 본체에서 마찰에 대해 더 우수한 유지성을 갖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압축 리미터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제조는 용융 혼합 공정에 의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이중 스크류 압출기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제조를 위해, 적절하게 절단된 유리 섬유, 또는 절단된 탄소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된다. 적합하게는, 이러한 절단된 섬유는 0.5 내지 5 cm 범위, 더욱 구체적으로 1.0 내지 2.5 cm 범위의 길이를 갖는다. 제조 동안, 공정 장비 및 적용되는 조건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조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성물 내의 섬유의 길이를 감소 및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상기 기재되고 제1 열가소성 조성물로도 언급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용융 압출 또는 사출 몰딩하여 중공 경로를 갖는 몰딩된 부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열가소성 조성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몰드(몰드는 적절한 모양을 갖는 캐비티(cavity)을 포함) 내로 사출 몰딩하는 단계, 및 몰드를 개방 또는 제거하고 생성된 몰딩된 부품을 몰드로부터 방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캐비티는 하나 이상의 좁은 게이트(gate)를 가질 수 있다. 웰드 라인이 존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얻어진 압축 리미터는 매우 우수한 하중 지지 특성을 가지고,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유리하게는, 사출 몰딩에 의해 제조된 압축 리미터는 테이퍼링된 원통 모양, 또는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외부 표면, 또는 플렌지형 말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갖는다. 이의 장점은, 압축 리미터가 열가소성 본체를 갖는 조립체에서 마찰에 대해 더 우수한 유지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열가소성 조성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용융 압출하여 중공 튜브(tube)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튜브를 원통 부분으로 분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의 일 실시양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제조 방법의 장점은 생성된 압축 리미터가 웰드 라인을 갖지 않고(즉, 섬유 방향이 니트 라인의 시각적 흔적을 나타내지 않음) 더 개선된 하중 지지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열가소성 본체 및 하나 이상의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서, 상기 압축 리미터는 제1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되고 상기 열가소성 본체는 제2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압축 리미터는 상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제1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열가소성 본체는 압축 리미터를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오버몰딩 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장점은 조립체가 넓은 온도 범위에 걸친 높은 하중 지지 특성, 압축 리미터와 열가소성 본체 사이의 우수한 접착력, 및 다양한 온도 및 습도 조건 및 동적 기계적 하중 하에서 장기간 작동하는 동안의 누출-방지 실링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본체에 사용되는 상기 제2 열가소성 물질은 제2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이다. 이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제1 중합체 조성물과 상이하고 제1 열가소성 조성물의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와 상이한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제1 열가소성 조성물보다 섬유상 강화제를 덜 포함하거나, 또는 심지어 섬유상 강화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적합하게는,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물질은, 용융 온도(Tm)가 270℃ 미만인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50 중량% 이상의 중합체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물질은 PA-6, PA-66, PA-46 및 PA-410, 및 이들의 임의의 코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제2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은, 예를 들어,
- 30 내지 100 중량%의 용융 온도(Tm)가 270℃ 미만인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
- 0 내지 30 중량%의 상기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이외의 다른 폴리아미드 또는 상기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이외의 다른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 및
- 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중량%의 섬유상 강화제;
- 0 내지 30 중량%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2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
을 포함하고, 이때 %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고 모든 상기 성분을 합한 양은 100 중량% 이하이다.
제2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 제조된 열가소성 본체의 하중 지지 특성이 제1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 제조된 압축 리미터보다 훨씬 낮지만, 하중 지지 장착 조건 하에서 조립체의 성능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 및 그의 다양한 실시양태의 존재에 의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일 실시양태에서, 제1 열가소성 물질은 적합하게는 제2 중합체 조성물의 120℃에서의 인장 계수보다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큰 120℃에서의 인장 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 캐비티를 가진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캐비티 내에 하나 이상의 압축 리미터를 제공하는 단계,
-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상기 캐비티 내로 사출 몰딩하여, 상기 압축 리미터를 상기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오버몰딩하고 사출 몰딩된 열가소성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 오버몰딩하여 내부에 통합된 상기 압축 리미터를 갖는 상기 사출 몰딩된 열가소성 본체를 상기 캐비티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압축 리미터는 상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제1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된 것인, 사출 몰딩 공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자동차 및 E&E 적용 분야, 더욱 특히 엔진, 자동차 파워 트레인 시스템, 산업 기계 또는 전자 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적용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체는 엔진 전면 커버(cover),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액추에이터 하우징(actuator housing) 또는 충전 커넥터(connector)의 일부 또는 고전압 스위치 조립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캐리어 상에 장착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조물(construction)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체는, 조립체 내의 압축 리미터를 통과하는 플랜지(flange)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볼드(bold) 또는 워셔, 및 상기 압축 리미터를 통과하는 볼드로 장착되고, 상기 압축 리미터는 말단 섹션(end section)을 갖고, 상기 워셔 또는 볼드 플랜지의 표면은 상기 압축 리미터의 말단 섹션 표면과 적어도 중첩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넘어 연장된다. 이는, 조립체가 캐리어 상에 훨씬 더 잘 고정되고 동적 하중, 온도 및 습기 조건에서 구조물의 유용한 수명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 실험을 통해 추가로 설명된다.
재료
PPA-1: 50 중량%의 절단된 유리 섬유, 0.3 중량%의 보조 첨가제 및 49.7 중량%의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사출 몰딩 가능한 중합체 조성물로서, 이때 상기 폴리아미드(PA)는, 각각 1,6-헥산디아민 및 테레프탈산(6T로 약칭), 1,4-부탄디아민 및 테레프탈산(4T로 약칭), 및 2-메틸-펜타메틸렌 디아민 및 테레프탈산(DT로 약칭)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DSM으로부터 입수가능한) PA-6T/4T/DT 공중합체 (58/32/10 몰비) 조성물이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160℃의 Tg 및 335℃의 Tm을 갖는다. 상기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리 충전된 화합물은 약 18000 MPa의 23℃에서의 탄성 계수(elastic modulus) 및 약 5500 MPa의 200℃에서의 탄성 계수를 가지며, 상기 특성은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APA-1: 50 중량%의 절단된 유리 섬유, 0.6 중량%의 보조 첨가제 및 49.4 중량%의 폴리아미드 PA-66를 포함하는 사출 몰딩 가능한 중합체 조성물로서, 이때 상기 PA-66은 260℃의 Tm을 가지고 용융 중합에 이어 고체 상태 후축합(post condensation)을 포함하는 종래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DSM으로부터 입수가능).
시험 방법
압축 하중 하에서의 정적 강도를 표준 인장(tensile) 시험기에서 각각 23℃ 및 120℃의 시험 바(bar)에서 측정하였다. 표준 시험 바용 단일 게이트 몰드 또는 웰드 라인이 있는 시험 바 생산용 이중 게이트 몰드(각 게이트는 샘플의 반대쪽 말단에 위치됨)를 사용하고 웰드 라인 형성을 야기하여 시험 바를 제조하였으며, 표준 시험 바와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였다. 시험 바(치수: 외경 14.4 mm, 내경 7.2 mm, 및 길이 약 28 mm)를 먼저 120℃에서 1주 동안 어닐링(annealing)하여 시험 중 후-결정화(post-crystallization) 효과를 제거한 후, 두 금속 표면 사이에 배치하였다. 하면은 움직이지 않은 반면, 상면은 압축 리미터가 파손될 때까지 압축되었다. (로드셀(loadcell)을 통해) 가해진 힘과 압축 리미터 상면의 이동 거리를 측정했다. 120℃에서의 측정을 위해, 시험 전에 샘플을 120℃까지 30분 동안 먼저 오븐 내에서 가열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힘 유지 측정을 위해, 표준 시험 바용 단일 게이트 몰드 또는 웰드 라인이 있는 시험 바 생산용 이중 게이트 몰드(각 게이트는 샘플의 반대쪽 말단에 위치됨)를 사용하고 웰드 라인 형성을 야기하여 시험 바(치수: 외경 14.4 mm, 내경 7.2 mm, 및 길이 약 28 mm)를 제조하였으며, 표준 시험 바와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였다. 시험 중 후-결정화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시험 바를 먼저 120℃에서 1주일 동안 어닐링한 후 실온(23℃ 및 50% RH 습도 조건)에서 워셔와 강철 플레이트(steel plate) 사이에 배치하고 M6 볼트로 조였다. 도넛(donut) 로드셀을 상기 플레이트와 압축 리미터 사이에 배치하여, 볼트가 압축 리미터 쪽으로 가하는 힘을 측정했다. 이 경우, 볼트를 10 kN의 예비-인장력(pre-tension force)에 도달할 때까지 조였다. 1시간 후, 이 셋업(setup)을 먼저 실온의 오븐에 넣은 후 오븐을 120℃로 설정했다. 8시간 후, 오븐을 끄고 온도를 23℃까지 냉각했다.
사출 몰딩에 의한 압축 리미터 생산
실시예 1
원통형 캐비티를 갖는 외경 14.4 mm, 내경 7.2 mm, 및 길이 약 28 mm의 몰드를 제공하였다. PPA-1을 표준 압출기 (단일 스크류 압출기) 및 사출 몰딩 기계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하고 몰드 캐비티 내로 사출하였다. 사출 몰딩 기계에서 용융 온도의 설정 온도는 약 350℃였고, 몰드의 온도는 약 140℃였다. 몰딩된 부품을 몰드에서 제거하여, 사출 몰딩된 압축 리미터를 얻었다. 실시예 1의 사출 몰딩된 압축 리미터의 3개의 시편(specimen)을 상기 본 명세서의 시험 방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로 시험하였다.
비교 실험 A
PPA-1 대신 APA-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사출 몰딩 기계에서 용융 온도의 설정 온도는 약 295℃였고, 몰드의 온도는 약 70℃였다.
실시예 2
3차원 형상을 갖는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1의 사출 몰딩된 압축 리미터를 몰드에 배치했다. 중합체 조성물 APA-1을 용융 압출하고 몰드 캐비티 내로 사출함으로써 압축 리미터를 오버몰딩하였다. 몰딩된 부품을 몰드로부터 제거하여, 실시예 2의 사출 몰딩된 조립체를 얻었다. 실시예 2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실시예 2의 조립체에 대한 2개의 시편을 추가로 시험하였다.
비교 실험 B
실시예 1의 사출 몰딩된 압축 리미터 대신에 금속 압축 리미터를 몰드에 배치하고 상기 금속 압축 리미터를 APA-1로 오버몰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조립체의 생산을 반복하였다.
비교 실험 C
실시예 1의 사출 몰딩된 압축 리미터 대신에 비교예 A의 압축 리미터를 몰드에 배치하고 APA-1로 오버몰딩되도록 조립체의 생산 공정을 변경하였다.
압축 리미터 시험
각각의 압축 리미터의 하나의 시편에 대해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기계적 시험 장치에서 압축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의 압축 리미터는 비교예 A의 압축 리미터보다 훨씬 더 큰 정적 압축 파괴력을 견디었다(결과는 표 1 참조).
다른 시편에 대해 압축력 유지가 시험되는 압축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C의 조립체의 경우, 압축력 유지는 실시예 1에 비해 훨씬 더 나빴다.
표 1 및 2에 제시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리미터가 넓은 온도 범위에 걸친 높은 하중 지지 특성, 즉 23℃ 및 120℃에서의 높은 정적 압축 파괴력 및 압축력 유지를 나타냄을 입증하고, 이는 또한 우수한 실링 성능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Claims (14)

  1.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 압축 리미터(compression limiter)로서,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A) 35 내지 65 중량%의 폴리아미드 성분(A); 및
    (B) 35 내지 65 중량%의 섬유상 강화제
    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성분(A)의 90 중량% 이상이
    o 45 내지 50 몰%의 디아민,
    o 40 내지 50 몰%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o 0 내지 10 몰%의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
    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반-결정질(semi-crystalline) 반-방향족(semi-aromatic) 폴리아미드(A-1)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아미드(A-1)가 11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Tg) 및 28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가지고, 이때
    몰%는 디아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의 총 몰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며, (A) 및 (B)의 중량%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인, 압축 리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반-방향족 폴리아미드(A-1)가 120 내지 170℃ 범위의 유리 전이 온도(Tg) 및 290 내지 340℃ 범위의 용융 온도를 갖는, 압축 리미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디아민의 70 몰% 이상이 선형 또는 분지형(branched) 지방족 C4-C10 디아민, 또는 지환족 디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70 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또는 바이페닐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양은 0 내지 5 몰%이고,
    이때 몰%는 디아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의 총 몰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인,
    압축 리미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폴리아미드 성분(A)이 40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 상기 섬유상 강화제(B)가 40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조성물이
    - 0 내지 10 중량%의 무기 충전제(C);
    - 0 내지 5 중량%의 다른 중합체(D); 및
    - 0 내지 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첨가제(E)
    를 더 포함하고, 이때
    (A) 내지 (E)의 중량%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고 (A) 내지 (E)를 합한 양은 100 중량%인, 압축 리미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제가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압축 리미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10,0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00 MPa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 MPa 이상의 23℃에서의 탄성 계수(elastic modulus)를 갖고, 4,0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MPa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 MPa 이상의 200℃에서의 탄성 계수를 갖는, 압축 리미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원통 모양, 임의적으로 테이퍼링된(tapered) 원통 모양, 또는
    - 오목부(recession) 또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는 외부 표면, 또는
    - 플렌지형 말단(flanged end), 또는
    - 이들의 임의의 조합
    을 갖는 주 본체(main body)를 포함하는 압축 리미터.
  8. 열가소성 본체 및 하나 이상의 압축 리미터를 포함하는 조립체(assembly)로서,
    상기 압축 리미터는 제1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되고, 상기 열가소성 본체는 제2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되며, 상기 제1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물질이, 상기 제2 중합체 조성물의 23℃에서의 탄성 계수보다 50% 이상 더 큰 23℃에서의 탄성 계수를 갖는, 조립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2 열가소성 물질이, 바람직하게는 PA-6, PA-66, PA-46 및 PA-410, 및 이들의 임의의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50 중량% 이상의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조립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가 엔진 전면 커버(cover),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액추에이터 하우징(actuator housing) 또는 충전 커넥터(connector)의 일부 또는 고전압 스위치 조립체인, 조립체.
  12. 제8항에 따른 조립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 캐비티(cavity)를 가진 몰드(mold)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캐비티 내에 하나 이상의 압축 리미터를 제공하는 단계,
    -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상기 캐비티 내로 사출 몰딩(injection molding)하여, 상기 압축 리미터를 상기 제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오버몰딩하고 사출 몰딩된 열가소성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 오버몰딩하여 내부에 통합된 상기 압축 리미터를 갖는 상기 사출 몰딩된 열가소성 본체를 상기 캐비티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리미터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1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되는, 제조 방법.
  13. 엔진, 자동차 파워 트레인 시스템, 산업 기계 또는 전자 제품에서의 제8항에 따른 조립체의 용도.
  14. 캐리어(carrier) 상에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조립체 내의 압축 리미터를 통과하는 플랜지(flange)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볼드(bold) 또는 워셔(washer) 및 상기 압축 리미터를 통과하는 볼드로 장착되는, 제8항에 따른 조립체
    를 포함하는 구조물(construction)으로서,
    상기 압축 리미터는 말단 섹션(end section)을 갖고,
    상기 워셔 또는 볼드 플랜지의 표면이 상기 압축 리미터의 말단 섹션의 표면과 적어도 중첩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넘어 연장되는, 구조물.
KR1020227022595A 2019-12-05 2020-12-03 압축 리미터 KR20220107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3769 2019-12-05
EP19213769.3 2019-12-05
US201962950300P 2019-12-19 2019-12-19
US62/950,300 2019-12-19
PCT/EP2020/084561 WO2021110882A1 (en) 2019-12-05 2020-12-03 Compression limi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278A true KR20220107278A (ko) 2022-08-02

Family

ID=7364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595A KR20220107278A (ko) 2019-12-05 2020-12-03 압축 리미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02570A1 (ko)
EP (1) EP4069983A1 (ko)
JP (1) JP2023504365A (ko)
KR (1) KR20220107278A (ko)
CN (1) CN114729657A (ko)
WO (1) WO20211108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840A (en) * 1998-01-06 2000-12-19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Elastomeric sealing assembly
US6584950B1 (en) * 2002-05-29 2003-07-01 Bayer Corporation Oil pan
US7699571B2 (en) 2006-12-28 2010-04-20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Over-molded compression limiter
WO2009012936A1 (en) * 2007-07-23 2009-01-29 Dsm Ip Assets B.V. E/e connector and polymer composition used therein
FR2953846B1 (fr) * 2009-12-11 2012-03-02 Rhodia Operations Article polyester composite
US8679667B2 (en) 2010-10-29 2014-03-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ne piece compression resistant prismatic cell
WO2012058345A1 (en) * 2010-10-29 2012-05-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vermolded polyamide composite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CN111393843A (zh) * 2013-07-17 2020-07-10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阻燃热塑性模塑组合物
EP3142865B1 (en) * 2014-05-16 2020-10-28 Basf Se Thermoplastic wheel hub
KR20170027789A (ko) * 2014-06-30 2017-03-10 바스프 에스이 복합 열가소성 구조체 및 이를 위한 복합 압축 리미터
US10003052B2 (en) 2015-03-10 2018-06-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ression limiters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y assemblies
CN108367470B (zh) * 2015-12-17 2021-02-05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在金属表面上塑料包覆成型的方法和塑料-金属混杂部件
FR3053695B1 (fr) * 2016-07-11 2018-07-06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amide semi-cristallin de haute temperature de transition vitreuse pour materiau thermoplastiqu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utilisations
US10920026B2 (en) * 2016-09-28 2021-02-16 Dsm Ip Assets B.V. Polymer composition, molded part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thereof
CN111918901B (zh) * 2018-03-23 2024-04-12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聚酰胺和由其制成的模制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2570A1 (en) 2023-01-05
CN114729657A (zh) 2022-07-08
WO2021110882A1 (en) 2021-06-10
JP2023504365A (ja) 2023-02-03
EP4069983A1 (en)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9375A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BRPI0816533B1 (pt) composição, processo de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processo de moldagem por injeção de um artigo e artigo
US9884953B2 (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CN110791086B (zh) 一种高熔接痕强度玻纤增强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5750639A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thereof
KR20220107278A (ko) 압축 리미터
EP0741762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thereof
JP2022058370A (ja) 熱可塑性組成物、それから製造される成形品、ならびに自動車およびe&e用途におけるその使用
JP5216187B2 (ja) 耐熱性が向上された帯電防止性ポリアミド樹脂成形体
CN114672161B (zh) 一种阻燃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767496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2076382B1 (ko) 플라스틱 엔진 커버
EP0735098A2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for use as injection welding material
JP2014148636A (ja) 樹脂組成物及びインサート成形品
JP3736486B2 (ja) 電食防止転がり軸受
JPH0325450B2 (ko)
JP2011094519A (ja) ピストン冷却用オイルジェ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30064321A1 (en) Magnetic component with elastic magnetic compound
JPH06294417A (ja) 電食防止転がり軸受
JP2019202546A (ja) プラスチック製エンジンカバー
EP3656818A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00115055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09149143A1 (en) Adhesion of polyamides to epoxy resins
US20080193770A1 (en) Apparatus comprising ploy(cyclohexanedimethanol terephthalate) and process therefor
JPS5846228B2 (ja) ポリアミド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