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827A -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827A
KR20220106827A KR1020227022614A KR20227022614A KR20220106827A KR 20220106827 A KR20220106827 A KR 20220106827A KR 1020227022614 A KR1020227022614 A KR 1020227022614A KR 20227022614 A KR20227022614 A KR 20227022614A KR 20220106827 A KR20220106827 A KR 2022010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nveying
upstream
downstream
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나가야마
야스유키 히라노
시게히코 호사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a single conveyor lane consisting of one conveyor or several adjacen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1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by varying the relative speeds of the conveyors forming th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용기 등의 물품의 열수를 감소시켜 단열로 나열하는 것을 안정되게 실현 가능한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 반송 장치는, 물품을 밀집한 상태로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류 반송부와, 상류 반송부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상류 반송부로부터 물품이 이재되는 하류 반송부와,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지고, 상류 반송부 및 하류 반송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경계로 상류 반송부 측으로부터 가까워짐에 따라 반송 방향의 하류를 지향하는 정렬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정렬 가이드부는, 상류 반송부에 있어서의 물품의 궤도의 종단부에,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정형 물품군을 형성한다. 하류 반송부는, 만곡되는 궤도를 물품에 부여하는 원심력 부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본 개시는, 물품을 반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기에 담긴 음료 제품을 제조하는 라인에서는, 컨베이어에 의하여 반송되는 용기의 배열의 상태를 하류의 처리에 따라 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용기를 저류하는 저류 컨베이어로부터 하류의 컨베이어로 불출(拂出)되는 다열(多列)의 용기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가이드와, 속도차를 갖고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주행하는 컨베이어(병렬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열수(列數)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저류 컨베이어로부터, 병렬 컨베이어 및 경사 가이드부를 통하여 커브 컨베이어로 용기를 도입함으로써, 원심력을 이용하여 용기를 단일의 열을 이루는 상태로 나열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50094호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가이드와, 속도차를 가진 병렬 컨베이어를 이용했다고 해도, 외란(外亂) 등에 기인하여, 용기의 열수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컨베이어의 속도가 빠를수록, 경사 가이드부 및 속도차가 있는 병렬 컨베이어에 의한 감렬(減列) 처리가 안정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열수가 충분히 감소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브한 컨베이어에 용기를 도입하여 원심력을 부여했다고 해도, 용기를 단열(單列)로 나열하는 것은 어렵다.
이상으로부터, 본 개시는, 용기 등의 물품의 열수를 감소시켜 단열로 나열하는 것을 안정되게 실현 가능한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반송 장치는, 물품을 밀집한 상태로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류 반송부와, 상류 반송부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상류 반송부로부터 물품이 이재(移載)되는 하류 반송부와,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경사지고, 상류 반송부 및 하류 반송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경계로 상류 반송부 측으로부터 가까워짐에 따라 반송 방향의 하류를 지향하는 정렬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정렬 가이드부는, 상류 반송부에 있어서의 물품의 궤도의 종단부에,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정형 물품군을 형성한다.
하류 반송부는, 만곡되는 궤도를 물품에 부여하는 원심력 부여부를 포함한다.
또, 본 개시는, 밀집한 상태로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물품을 상류 반송부로부터, 상류 반송부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하류 반송부로 이재하며, 하류 반송부에 있어서 물품의 열수를 감소시키면서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방법으로서,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진 정렬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류 반송부에 있어서의 물품의 궤도의 종단부에,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정형 물품군을 형성하면서, 정형 물품군으로부터, 상류 반송부 및 하류 반송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경계를 따른 물품의 열을 하류 반송부로 이재하는 스텝과, 하류 반송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물품에 원심력을 부여하면서 물품의 열수를 감소시키는 스텝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에 의하면, 정렬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류 반송부의 종단부에 있어서 일정 형상을 유지하는 정형 용기군으로부터, 하류 반송부로 균등하게 용기가 이재됨으로써, 하류 반송부에 있어서의 용기의 거동이 외란에 대해서도 안정되는 결과, 하류 반송부에 있어서의 감렬 처리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要部)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직선상의 제1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용기에 담긴 음료 제품을 제조하는 라인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살균이나 충전 등의 설비로부터 저류 컨베이어(1)에 저류되고, 저류 컨베이어(1)로부터 하류로 불출된 용기(2)(도 2)는, 반송 장치(10)를 거쳐, 도시하지 않은 검사 장치 등의 하류의 설비를 향하여 반송된다.
용기(2)는, 원형상 또는 대략 원형상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물품에 상당한다. 용기(2)는, 예를 들면 캔이나 보틀이며, 반송 장치(10)에 의하여 컨베이어 상에 기립한 상태로 반송된다.
〔반송 장치의 개략 구성 및 기능〕
도 1 및 도 2에는, 반송 장치(10)의 구성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반송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집한 상태로 용기(2)를 제1 방향(D1)(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류 반송부(11)와, 상류 반송부(1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상류 반송부(11)로부터 용기(2)가 이재되는 하류 반송부(12)와, 상류 반송부(11)의 종단부(11E)에 있어서 용기(2)를 정렬시키는 정렬 가이드(32)를 구비하고 있다.
상류 반송부(11)의 종단부(11E)는, 상류 반송부(11)의 말단부(11F)와는 달리, 상류 반송부(11)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상에 있어서의 용기(2)의 궤도의 종단부에 상당한다.
적절하게 복수의 컨베이어를 조합함으로써, 상류 반송부(11) 및 하류 반송부(12)의 각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류 반송부(11)가,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류 반송부(12)는, 직렬로 접속된 제1 컨베이어(121) 및 제2 컨베이어(1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직렬로 접속되는 컨베이어 사이에 접속판을 개재시키는 것도 허용된다.
또, 상류 반송부(11)와 하류 반송부(12)의 사이에 접속판이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
반송 장치(10)는,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용기(2)로 이루어지는 정형 용기군(20)을 상류 반송부(11)의 종단부(11E)에 정렬 가이드(32)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정형 용기군(20)으로부터 하류 반송부(12)로 균등하게 용기(2)를 공급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하류 반송부(12)에 있어서 용기(2)의 열수를 외란에 대해서도 안정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하류 반송부(12)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는, 용기(2)에 원심력을 부여하면서 열수를 확실히 감소시킨다. 반송 장치(10)에 의하여, 용기(2)의 열수를 단일열까지 감소시켜, 보다 하류의 단열 컨베이어(6)(도 1)로 단열로 나열된 용기(2)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송 장치(10)에는, 단열 컨베이어(6)를 거쳐 용기(2)가 단열의 상태로 공급되는 도시하지 않은 처리 장치(검사 장치나 라벨러 등)의 처리 능력에 상응하는 반송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능력"은, 단위 시간당으로 처리 혹은 반송되는 용기(2)의 수, 예를 들면, BPM(Bottle Per Minute)에 의하여 나타난다.
반송 장치(10)로부터 용기(2)를 수취하여 처리 장치로 반송하는 컨베이어에는, 요구 반송 능력을 단열의 용기(2)에 의하여 실현 가능한 반송 속도가 부여된다. 또, 반송 장치(10)에는, 용기(2)의 열수에 따른 반송 속도가 부여된다.
〔상류 반송부 및 가이드〕
상류 반송부(11)(도 1 및 도 2)는, 저류 컨베이어(1)로부터 복수의 컨베이어(3~5)를 거쳐 공급된 용기(2)를 밀집한 상태로 제1 방향(D1)으로 반송한다.
상류 반송부(11)는, 체인(11A), 도시하지 않은 스프로킷, 및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1B)를 구비한 체인 컨베이어 등의 공지의 컨베이어 장치에 상당한다. 상류 반송부(11)에 있어서의 적어도 종단부(11E)에는, 용기(2)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벨트 컨베이어와 비교하여, 용기(2)에 대한 마찰이 작은 체인 컨베이어가 이용되고 있다.
상류 반송부(11)에는, 상류 반송부(11)의 폭방향인 제2 방향(D2)의 양측에서 용기(2)를 안내하는 가이드(31, 41)와, 정렬 가이드(32)가 구비되어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대하여 직교한다.
상류 반송부(11)는, 자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1 방향(D1)으로 나란히 주행하는 복수의 컨베이어(병렬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병렬 컨베이어 모두 동일한 속도 v0에서 제1 방향(D1)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형상이며 또한 동일 직경의 용기(2)가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 반송부(11) 상의 용기(2)는, 제2 방향(D2)을 따른 가상선(L1)(도 3)에 대하여, 상류 및 하류에 번갈아, n열(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6열)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류 반송부(11)에 있어서 용기(2)는 지그재그상으로 n열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용기(2)가 지그재그상으로 확실히 배치되도록, 용기(2)는 원형상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용기(2)의 횡단면의 형상이, 엄밀하게 원형상일 필요는 없고, 원형상에 근사한 대략 원형상, 예를 들면, 꼭짓점의 수가 충분히 많은 다각형(예를 들면 10~20각형 등)이면 충분하다.
가이드(31, 41) 사이는, n개의 용기(2)의 각각의 직경 d(도 4)의 합계의 길이(nd)에 대응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31, 41) 중, 상류 반송부(11)와 하류 반송부(12)의 경계(B1)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먼 가이드(31)는, 정렬 가이드(32)에 대하여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다.
가이드(31), 정렬 가이드(32), 및 하류 반송부(12)의 후술하는 가이드(33, 34)는, 이 순서로 연속되어 있으며, 모두 용기(2)에 접촉한다. 가이드(31~34)는, 단일의 부재로, 혹은 2 이상의 부재로 적절히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의 부재는, 지지 부재(30)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41)(대향 가이드)는, 상류 반송부(11)와 하류 반송부(12)의 제1 방향(D1)을 따른 경계(B1)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서, 하류 반송부(12)의 후술하는 이간 가이드(43)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가이드(41, 43, 44)도, 단일의 부재로, 혹은 2 이상의 부재로 적절히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정렬 가이드〕
정렬 가이드(32)는, 상류 반송부(11)에 의하여 제1 방향(D1)으로 반송되는 용기(2)의 진로의 연장 상에, 제1 방향(D1)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져 배치되며, 종단부(11E)에 용기(2)를 정렬시킴으로써 정형 용기군(20)을 형성한다. 이 정렬 가이드(32)는, 경계(B1)로 상류 반송부(11) 측으로부터 가까워짐에 따라 제1 방향(D1)의 하류를 지향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정형 용기군(20)에 파선으로 삼각형(T)(정삼각형)을 기재하는 것 같이, 정형 용기군(20)을 구성하는 용기(2)는, 밀집한 상태로 대략 삼각형상의 외형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 삼각형(T)의 3개의 변에 각각, n개의 용기(2)가 나열되어 있다.
삼각형(T)의 1개의 꼭짓점 T1에는, 대향 가이드(41)의 종점 41B가 대응하고 있다. 삼각형(T)의 나머지의 2개의 꼭짓점 T2, T3에는 각각, 정렬 가이드(32)의 시점(始點) 32A 및 종점 32B가 대응하고 있다. 종점 32B 및 종점 41B 모두, 경계(B1)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종점 32B와 종점 41B의 사이에, 정형 용기군(20)의 용기(2)가 제1 방향(D1)으로 열(A)을 이루어 배치된다. 열(A)은,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경계(B1)보다 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열(A)이 경계(B1) 상에 위치하도록 정형 용기군(20)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정렬 가이드(32)의 시점 32A와, 대향 가이드(41)의 종점 41B(이간 가이드(43)의 시점)의 사이에는, 길이 nd에 상당하는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 정렬 가이드(32)의 종점 32B와, 대향 가이드(41)의 종점 41B의 사이에도, 길이 nd에 상당하는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제1 방향(D1)으로 반송되는 용기(2)는, 정렬 가이드(32)에 의하여 안내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와 비교하여 마찰 계수가 작은 종단부(11E)의 체인 상을 제2 방향(D2)으로 미끄러지면서, 항상, 삼각형(T)으로 나타나는 정렬 영역(종단부(11E))에 있어서 일정한 형상으로 정렬된다. 일례로서, 도 3에 있어서의 좌하 측으로부터 제2, 4열의 용기(2)는 각각, 정렬 가이드(32)를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른 열의 용기(2)도 동일하게 이동한다.
용기(2)의 지그재그 배열의 흐트러짐에 의하여, 정렬 가이드(32)보다 상류에, 예를 들면 용기(2)의 1개분에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한 경우도, 정렬 가이드(32)를 따라 용기(2)가 조밀하게 배치됨으로써, 일정한 형상의 정형 용기군(20)이 종단부(11E)에 형성되게 된다.
도 3에서는, 종단부(11E)보다 상류와, 종단부(11E)보다 하류에 있어서, 용기(2)를 행마다 구별하여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상류의 제1, 3, 5, 7, 9, 11행의 용기(2)에 도트상의 패턴을 붙이고 있다.
경계(B1)를 따라 열(A)을 이루는 용기(2)가 경계(B1)를 넘어 하류 반송부(12)로 이재됨에 따라, 열(A)의 위치로 상류로부터 용기(2)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종단부(11E)에 유지되는 정형 용기군(20)으로부터 용기(2)가 1열씩, 즉 n개의 용기(2)가 동시에 하류 반송부(12)로 이재된다. 항상, 일정한 위치(종단부(11E))에 일정한 형상으로 배치되는 정형 용기군(20)으로부터 1열씩, 동일한 열의 용기(2)가 하류 반송부(12)로 동시에 이재됨으로써, 상류 반송부(11)로부터 하류 반송부(12)로 용기(2)가 시간 및 공간의 쌍방에 있어서 균등하게 공급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균등"은, 단위 시간당 평균한 공급량이 균등한 것과는 달리, 상류 반송부(11)로부터 하류 반송부(12)로, 일정한 위치로부터 용기(2)가 일정 수씩 동시에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류 반송부(11)로부터 하류 반송부(12)로의 용기(2)의 공급량이,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는다. 이 점이, 하류 반송부(12)에 있어서의 용기(2)의 분포의 균일화로 이어진다. 하류 반송부(12)로 이재된 용기열 모두,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므로, 하류 반송부(12)에 있어서 용기(2)의 열수를 안정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렬 가이드(32)가 경계(B1)에 대하여 이루는 예각 θ1은, 60°에 상당한다. 단, 일정한 형상의 정형 용기군(20)이 형성되는 한에 있어서, θ1이 엄밀하게 60°일 필요는 없고, 대략 60°이면 충분하다. θ1은, 예를 들면, 55~65°여도 된다.
〔하류 반송부〕
하류 반송부(12)(도 1, 도 2, 및 도 4)는, 적어도, 만곡되는 궤도를 용기(2)에 부여하고, 또한 원심력이 작용하는 용기(2)를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34)를 가진 원심력 부여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류 반송부(12)는, 상류 반송부(1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제1 방향(D1)을 따라 뻗은 제1 컨베이어(121)와, 제1 컨베이어(121)의 병렬부(121C)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원심력 부여부로서의 제2 컨베이어(12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병렬부(121C)와 제2 컨베이어(122)는, 반드시 직렬 접속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이들이 동일한 반송 벨트를 구비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하류 반송부(12)는, 정렬 가이드(32)로 연결되는 가이드(33, 34)에 의하여 용기(2)를 제2 방향(D2)의 일방 측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컨베이어 사이의 속도차 및 용기(2)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용기(2)가 가이드(33, 34)를 따라 단열의 상태로 나열되도록, 용기(2)의 열수를 점차 감소시킨다.
(제1 컨베이어)
제1 컨베이어(12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향(D1)으로 병행(竝行)한 복수의 병렬부(121A, 121B, 121C)를 구비하고 있다.
병렬부(121A, 121B, 121C) 모두, 체인, 스프로킷, 및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21M)를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에 상당한다.
병렬부(121A), 병렬부(121B), 및 병렬부(121C)에는 속도차가 부여되어 있다. 상류 반송부(11)에 인접한 병렬부(121A)의 구동원에 의하여 체인이 이동하는 속도가 vA, 병렬부(121B)의 구동원에 의하여 체인이 이동하는 속도가 vB, 병렬부(121C)의 구동원에 의하여 체인이 이동하는 속도가 vC라고 하면, vA<vB<vC이다. 속도 vA는, 상류 반송부(11)의 속도 v0보다 빠르다. 또, 속도 vC에 대하여, 제2 컨베이어(122)의 속도 vD는 빠르다.
제1 컨베이어(121)에는, 제1 방향(D1)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진 방향으로 용기(2)를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33)와, 이간 가이드(43)가 구비되어 있다.
이간 가이드(43)는, 대향 가이드(41)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뻗는 부분 43A와, 경계(B1)에 대하여 제2 방향(D2)으로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 제1 방향(D1)으로 뻗어, 제2 컨베이어(122)의 이간 가이드(44)로 연결되는 부분 43B를 구비하고 있다.
이간 가이드(43, 44)는, 용기(2)가 다른 용기(2)나 반대 측의 가이드(33, 34)에 충돌함으로써 컨베이어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기본적으로, 용기(2)는 이간 가이드(43, 44)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간 가이드(43, 44)는, 필요에 따라 하류 반송부(12)에 마련하면 된다.
경사 가이드(33)는, 정렬 가이드(32)와 동일한 방향으로, 즉, 상류 반송부(11) 측으로부터 경계(B1)로 가까워짐에 따라 반송 방향(D1)의 하류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단, 경사 가이드(33)가 제1 방향(D1)에 대하여 이루는 예각인 각도 θ2(도 2)는, 정렬 가이드(32)의 각도 θ1(도 3)과 비교하여 작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부(121A)에 있어서의 상류 측에서는, 정형 용기군(2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1열씩 제2 방향(D2)으로 이재된 용기(2)가, 그 열의 형상을 대략 유지하면서, 경사 가이드(33)에 의하여 안내된다. 그 때문에, 경사 가이드(33)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용기(2)가 나열되어 있다. 이때 예를 들면, 도 3에 P1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어서 경사 가이드(33)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되어 있는 용기(2)를 세었을 때의 용기(2)의 열수는, 3이다.
도 4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용기(2-1) 등의 거동을 예로 들어, 병렬부(121A, 121B)의 속도차 및 경사 가이드(33)에 의하여 용기(2)의 열수를 감소시키는 원리를 설명한다. 병렬부(121B, 121C)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4에 있어서 용기(2-1)에 도트상의 패턴을 붙이고, 용기(2-1)의 거동을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용기(2-1)는, 경사 가이드(33)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와 비교하여 마찰 계수가 작은 병렬부(121A)의 체인 상을 제2 방향(D2)으로 미끄러져, 병렬부(121A)로부터, 보다 속도가 빠른 병렬부(121B)로 옮겨 탄다. 또한, 경사 가이드(33)로부터 이간된 용기(2-3) 등도, 후속의 용기(2)에 눌려 병렬부(121A)로부터 병렬부(121B)로 옮겨 탄다.
병렬부(121B)로 옮겨 탄 용기(2-1)는, 이어서 경사 가이드(33)에 의하여 지지되고, 병렬부(121B)의 체인 상을 제2 방향(D2)으로 미끄러지면서도, 그 이동 속도가 병렬부(121B)의 속도 vB에 추종하여 증가한다. 그렇게 되면, 용기(2-1)와, 경사 가이드(33)에 지지되어 있는 후속의 용기(2-2)의 사이에 간극(S1)이 생긴다. 그 간극(S1)에, 후속의 용기(2-3) 등에 의하여 눌리거나, 병렬부(121B)에 의하여 단체(單體)로 제1 방향(D1)으로 반송되어 있거나 하는 다른 용기(2-4)가 들어가면(파선 화살표를 참조),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열수가 2에서 1로 감소한다.
병렬부(121A, 121B, 121C)의 체인의 마찰 계수는, 예를 들면, 0.08~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상류 반송부(11)의 종단부(11E)의 체인의 마찰 계수도 동일하다.
병렬부(121A, 121B, 121C)의 각각의 속도 vA, vB, vC의 크기 및 그들의 속도차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용기(2)를 효율적으로 단열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각도 θ2(도 2)가 경사 가이드(33)에 부여되어 있다.
경사 가이드(33)의 각도 θ2를 크게 하면, 제1 방향(D1)으로 반송되는 용기(2)를 용기(2) 사이에 눌러넣는 것에 의한 감렬 작용의 강화를 기대할 수 있지만, 경사 가이드(33)가 용기(2)의 저항이 되어, 용기(2)가 감속하므로, 요구 반송 속도의 실현이 어렵다.
각도 θ2는, 반드시 경사 가이드(33)의 전체에 걸쳐 일정할 필요는 없다. 경사 가이드(33)를 지지 가이드(34)와 매끄럽게 연속시키기 위하여, 지지 가이드(34)의 근방에서 각도 θ2를 감소시키고 있다.
병렬부(121A)로부터 병렬부(121B)로의 이재에 의한 용기(2)의 이동 속도의 변화, 그에 계속되는 병렬부(121B)로부터 병렬부(121C)로의 이재에 의한 용기(2)의 이동 속도의 변화를 따르면서, 경사 가이드(33)를 따라 용기(2)의 열수를 감소시키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컨베이어(121)의 하류단(121E)에 있어서 용기(2)의 열수를 2열 이하로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는, 용기(2)끼리의 접촉이나, 용기(2)와 경사 가이드(33)의 접촉에 의하여, 제1 컨베이어(121) 상에 있어서의 용기(2)의 이동 속도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의 쌍방에 있어서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다. 병렬부(121A)로부터 병렬부(121B)로의 이재 후, 혹은 병렬부(121B)로부터 병렬부(121C)로의 이재 후에 있어서도, 각 용기(2)는 경사 가이드(33)를 따라 안내되면서, 경사 가이드(33)를 따른 방향으로 연속된 범위에 걸쳐, 규정의 열수로까지, 바람직하게는 2열 이하로까지 정렬된다. "2열 이하"는, 예를 들면, 0.8~2.0열에 상당한다.
또한, 병렬부(121A, 121B, 121C)의 각각이, 제1 방향(D1)으로 병행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각 컨베이어 요소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고 있어도 되고, 경계(B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속도가 증가하도록 각 컨베이어 요소의 반송 속도가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는, 상류 반송부(11)에 인접한 컨베이어 요소로 이재된 용기(2)가 경사 가이드(33)에 의하여 안내되어 컨베이어 요소 사이를 옮겨 탈 때마다 단계적으로 반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컨베이어 요소 사이의 속도차를 vA와 vB의 차에 비하여 억제함으로써 용기(2)의 자세의 안정을 도모하면서, 용기(2)를 원활하게 증속시킬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21)의 제1 방향(D1)의 길이와 병렬수는, 감렬 작용과, 제1 컨베이어(121)의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컨베이어(121)의 길이를 제1 방향(D1)으로 연장하면, 긴 구간을 이동하는 동안에, 경사 가이드(33)에 의하여 지지된 용기(2) 사이에 다른 용기(2)가 들어갈 기회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제1 컨베이어(121)의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가 증대된다.
(제2 컨베이어(원심력 부여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류 반송부(11) 상의 정형 용기군(20)으로부터 하류 반송부(12)의 제1 컨베이어(121)로 용기(2)가 균등하게 이재됨으로써, 제1 컨베이어(121)로 이재된 용기(2) 모두 안정된 거동을 나타내고, 그러한 용기(2)의 안정된 거동이, 제1 컨베이어(121)로부터 제2 컨베이어(122)로 인계된다.
제2 컨베이어(122)는, 평면시에 있어서 만곡된 체인(122A), 도시하지 않은 스프로킷 및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체인(122A) 상의 용기(2)에 만곡된 궤도(만곡 궤도)를 부여한다. 본 실시형태의 만곡 궤도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인(122A)에는, 용기(2)를 지지하는 수평인 반송면, 혹은, 내주 측으로부터 외주 측을 향하여 내려가는 구배(勾配)가 부여된다.
제2 컨베이어(122)에는, 용기(2)를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34)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 가이드(34)는, 체인(122A)을 따라 만곡되어 있으며, 체인(122A)의 외주 측으로부터 용기(2)를 지지한다.
제1 컨베이어(121)에 의하여 열수를 감소시킨 용기(2)가 제2 컨베이어(122)로 이재되면, 만곡된 궤도를 이동하는 각 용기(2)에 원심력이 작용한다. 그렇게 되면, 예를 들면, 지지 가이드(34)로부터 세어 제2열의 용기(2-5)가, 제2 컨베이어(122)의 체인(122A) 상을 미끄러져, 지지 가이드(34)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2-6)와 용기(2-7)의 사이에 원심력에 의하여 삽입되므로, 2열로 배치되어 있던 용기(2-5, 2-6, 2-7)가 지지 가이드(34)를 따라 1열로 나열되게 된다.
제2 컨베이어(122)의 만곡 궤도가 반송되는 동안에 걸쳐 용기(2)에 연속하여 원심력이 작용함으로써, 지지 가이드(34)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세어 복수 열로 나열된 상태의 용기(2)가 만곡 궤도에 연속하여 도입되었다고 해도, 제2 컨베이어(122)의 만곡 궤도의 적어도 종점 122E에 이를 때까지는 용기(2)가 단열로 나열되며, 보다 하류의 단열 컨베이어(6)로 이재된다.
만곡 궤도의 시점 122S에 있어서 용기(2)가 2.0열을 상한으로 하여 나열되어 있는 것에 의하면, 2.0열 초과의 용기(2)가 만곡 궤도에 도입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확실히 용기(2)를 단열화할 수 있다.
용기(2)에 원심력을 적절히 작용시켜 열수를 확실히 감소시키기 위하여, 또, 제2 컨베이어(122)의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 등을 고려하여, 제2 컨베이어(122)의 곡률 반경 R 및 둘레 길이 L이 적절히 설정된다.
만곡 궤도를 속도 v로 운동하고 있는 질량 m의 물체에는, 그 만곡 궤도의 곡률 반경을 R로 하면, 당해 물체와 함께 운동하는 비관성계에 있어서, (mv2/R)의 크기의 원심력이 작용한다.
곡률 반경 R이 너무 작으면 원심력이 너무 커 용기(2)가 지지 가이드(34)에 과도하게 눌린다. 이로써 용기(2)가 미끄러져 자전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곡률 반경 R을 적절히 정하면 된다.
또, 제2 컨베이어(122)의 둘레 길이 L이 길수록, 원심력에 의하여 용기(2) 사이에 용기(2)가 눌려 들어가는 기회가 늘어나지만, 필요한 설치 스페이스나 반송 경로 등도 고려하여, 둘레 길이 L이 적절히 선정된다.
제2 컨베이어(122)는 중심각 90°에 대응하는 둘레 길이 L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제2 컨베이어(122)의 둘레 길이가, 중심각 45°에 대응하고 있거나, 180°에 대응하고 있거나 해도 된다.
제1 컨베이어(121)에 의한 열수 감소의 처리는, 반송 속도가 클수록, 외란 등에 기인하여 불안정해지는 경향인 것과는 달리, 제2 컨베이어(122)에 의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외란에 대해서도 안정되게, 제1 컨베이어(121)에 의한 감렬 처리와 비교하여 보다 확실히 용기(2)의 열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송 장치에 의한 작용 효과〕
반송 장치(10)에 의하면, 정렬 가이드(32)에 의하여, 상류 반송부(11)의 종단부(11E)에 항상, 일정 형상을 유지하는 정형 용기군(20)으로부터, 하류 반송부(12)로 1열씩 균등하게 용기(2)를 이재하는 스텝과, 하류 반송부(12)에 의하여 용기(2)의 열수를 감소시키는 스텝을 행하여, 용기(2)를 단열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형 용기군(20)으로부터 하류 반송부(12)로 균등하게 용기(2)가 이재됨으로써, 하류 반송부(12)에 있어서의 용기(2)의 거동이 외란에 대해서도 안정되는 결과, 하류 반송부(12)에 있어서의 감렬 처리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반송 장치(10)는, 제1 컨베이어(121)에 의한 열수 감소의 처리만으로는, 특히 고능력의 경우에 외란에 약하고, 경사 가이드(33)의 각도 θ2를 크게 하면 요구 반송 능력을 실현할 수 없다는 딜레마를 정렬 가이드(32)의 설치 및 원심력의 이용에 의하여 극복하여, 감렬 처리를 안정되게 확실히 행하는 것을 실현한다.
〔변형예〕
도 5에 나타내는 반송 장치(7)는, 상류 반송부(11)와, 하류 반송부(22)와, 정렬 가이드(32)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7)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반송 장치(10)의 하류 반송부(12)를 하류 반송부(22)로 치환한 것이다. 이하,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류 반송부(22)는, 병렬로 접속되며,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내는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컨베이어(221)는, 상류 반송부(1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제2 컨베이어(222)는, 제1 컨베이어(221)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컨베이어(221)와 제2 컨베이어(222)는, 반드시 직렬 접속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이들이 동일한 반송 벨트를 구비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류 반송부(11)와 제1 컨베이어(221)의 사이의 간극에 접속판을 개재시키는 것도 허용된다.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에 의하여, 연속된 만곡 궤도가 용기(2)에 부여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류 반송부(12)의 제2 컨베이어(122)만이 원심력 부여부에 상당하는 데 대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 모두 원심력 부여부에 상당한다.
제1 컨베이어(221)의 시점 221A로부터 제2 컨베이어(222)의 종점 222B까지에 걸쳐, 원심력이 작용하는 용기(2)를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35)와, 이간 가이드(45)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 가이드(35)는,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의 원호상의 형상을 따라 만곡되어 있으며, 외주 측으로부터 용기(2)를 지지한다. 이간 가이드(45)도,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의 원호상의 형상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제1 컨베이어(221)의 속도 v1에 대하여, 제2 컨베이어(222)의 속도 v2는 빠르다.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의 각각에 있어서 용기(2)에 적절한 원심력이 작용하도록, 또, 컨베이어의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나 반송 경로 등도 고려하여, 속도 v1, v2와,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의 각각의 곡률 반경 및 둘레 길이가 적절히 설정된다. 제1 컨베이어(221)의 곡률 반경 및 제2 컨베이어(222)의 곡률 반경이 상이하거나, 제1 컨베이어(221)의 둘레 길이 및 제2 컨베이어(222)의 둘레 길이가 상이하거나 해도 된다.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만곡 궤도를 이동하는 용기(2)가, 지지 가이드(35)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2) 사이에 원심력에 의하여 눌려 들어가는 작용에 의하여, 용기(2)의 열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대적으로 저속의 제1 컨베이어(221)가, 상기 실시형태의 제1 컨베이어(121) 대신에 전단(前段)의 감렬 처리를 담당하고, 상대적으로 고속의 제2 컨베이어(222)가, 후단의 감렬 처리를 담당함으로써, 용기(2)가 최종적으로 단열화된다.
상대적으로 저속의 제1 컨베이어(221)에 있어서는, 상류 반송부(11)로부터 이재되어 다열로 나열되는 용기(2)에, 열수에 상응하는 안정 거동을 확보하면서, 도 5에 나타내는 예로 말하면, 제1 컨베이어(221)의 상류단(221A)에 있어서 지그재그상으로 대략 4열로 배치된 상태의 용기(2)의 열수를 예를 들면 2열 이하로까지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고속의 제2 컨베이어(222)에 있어서는, 보다 큰 원심력을 용기(2)에 작용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2열 이하의 상태로부터 용기(2)를 단열로 나열하는 나머지의 감렬 처리를 행한다.
그렇게 하면,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가 반송되는 동안에 걸쳐 용기(2)의 안정 거동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열수를 감소시켜, 용기를 단열화하는 처리를 확실히 완료시킬 수 있다.
제1 컨베이어(221)가, 상기 실시형태의 제1 컨베이어(121)와 동일하게 속도차가 부여된 2 이상의 병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면, 병렬부 사이의 이재에 따르는 용기(2)의 이동 속도의 증속에 의하여, 용기(2) 사이에 생긴 간극에 다른 용기(2)가 들어가는 작용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제2 컨베이어(222)나, 상기 실시형태의 제2 컨베이어(12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말할 수 있다.
상기 이외에도, 상기 실시형태에서 든 구성을 취사 선택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적절히 변경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류 반송부(11)에 의하여 반송되는 용기(2)의 열수는, 정렬 가이드(32)보다 상류에서 n열에 대하여 증감해도 된다. 그 경우는, 1변에 m개의 용기(2)가 나열된 정형 용기군(20)이 형성된다.
본 개시의 반송 장치(10) 및 반송 방법은, 음료나 식품, 의약품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용기 이외의 물품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당해 물품은, 원반, 원통, 원기둥, 또는 이들에 근사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제2 컨베이어(122), 혹은 상기 변형예의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를, 축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턴테이블로 치환할 수도 있다.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턴테이블 상의 물품에 원심력이 부여되므로, 커브한 컨베이어(122, 221, 222)를 이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턴테이블에 구비되는 지지 가이드에 의하여 지지된 용기(2)의 사이에 다른 용기(2)를 원심력에 의하여 눌러넣어, 단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부기(付記)〕
이상에서 설명한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은,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반송 장치(10)는, 물품(2)을 밀집한 상태로 소정의 반송 방향(D1)으로 반송하는 상류 반송부(11)와, 상류 반송부(1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상류 반송부(11)로부터 물품(2)이 이재되는 하류 반송부(12(또는 22))와, 반송 방향(D1)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지고, 상류 반송부(11) 및 하류 반송부(12)의 반송 방향(D1)을 따른 경계(B1)로 상류 반송부(11) 측으로부터 가까워짐에 따라 반송 방향(D1)의 하류를 지향하는 정렬 가이드부(32)를 구비한다.
정렬 가이드부(32)는, 상류 반송부(11)에 있어서의 물품(2)의 궤도의 종단부(11E)에,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물품(2)으로 이루어지는 정형 용기군(20)을 형성한다.
하류 반송부(12(또는 22))는, 만곡되는 궤도를 물품(2)에 부여하는 원심력 부여부(122)를 포함한다.
(2) 하류 반송부(12)는, 상류 반송부(1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반송 방향(D1)을 따른 방향으로 뻗은 제1 컨베이어(121)와, 제1 컨베이어(121)에 연결되는 원심력 부여부로서의 제2 컨베이어(122)를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121)는, 반송 방향(D1)으로 병행하며, 속도차가 부여된 복수의 병렬부(121A, 121B, 121C)와, 반송 방향(D1)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진 방향으로 물품(2)을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부(33)를 구비한다.
(3) 하류 반송부(22)는, 상류 반송부(1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제1 컨베이어(221)와, 제1 컨베이어(221)에 연결되는 제2 컨베이어(222)를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221) 및 제2 컨베이어(222) 모두 원심력 부여부에 상당한다.
제1 컨베이어(221)의 속도에 대하여, 제2 컨베이어(222)의 속도가 빠르다.
(4) 정형 물품군(20)의 물품(2)은, 대략 삼각형상(T)의 외형을 이루어 배열된다. 삼각형상(T)의 1개의 꼭짓점(T3)에는, 정렬 가이드부(32)에 대향하는 가이드부(41)의 종점 41B가 대응하고, 삼각형상의 나머지의 2개의 꼭짓점(T1, T2)에는 각각, 정렬 가이드부(32)의 시점 32A 및 종점 32B가 대응하고 있다.
(5) 제1 컨베이어(121(또는 221))로부터 제2 컨베이어(122(또는 222))로, 2열 이하의 상태로 나열된 물품(2)이 이재된다.
(6) 경계(B1)에 대하여 정렬 가이드부(32)가 이루는 예각 θ1은, 60° 또는 대략 60°에 상당한다.
(7) 밀집한 상태로 소정의 반송 방향(D1)으로 반송되는 물품(2)을 상류 반송부(11)로부터, 상류 반송부(1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하류 반송부(12(또는 22))로 이재하며, 하류 반송부(12(또는 22))에 있어서 물품(2)의 열수를 감소시키면서 물품(2)을 반송하는 반송 방법은, 반송 방향(D1)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진 정렬 가이드부(32)에 의하여, 상류 반송부(11)에 있어서의 물품(2)의 궤도의 종단부(11E)에,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물품(2)으로 이루어지는 정형 물품군(20)을 형성하면서, 정형 물품군(20)으로부터, 상류 반송부(11) 및 하류 반송부(12(또는 22))의 경계(B1)를 따른 물품(2)의 열을 하류 반송부(12(또는 22))로 이재하는 스텝과, 하류 반송부(12(또는 22))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물품(2)에 원심력을 부여하면서 물품(2)의 열수를 감소시키는 스텝을 구비한다.
1 저류 컨베이어
2 용기(물품)
3~5 컨베이어
6 단열 컨베이어
10, 7 반송 장치
11 상류 반송부
11A 체인
11B 모터
11E 종단부
11F 말단부
12, 22 하류 반송부
20 정형 용기군(정형 물품군)
30 지지 부재
31 가이드
32 정렬 가이드(정렬 가이드부)
32A 시점
32B 종점
33 경사 가이드(경사 가이드부)
34, 35 지지 가이드
41 대향 가이드(대향하는 가이드부)
41B 종점
43, 44, 45 이간 가이드
43A, 43B 부분
121 제1 컨베이어
121A, 121B, 121C 병렬부
121E 하류단
121M 모터
122 제2 컨베이어(원심력 부여부)
122A 체인
122S 시점
122E 종점
221 제1 컨베이어(원심력 부여부)
221A 시점
222 제2 컨베이어(원심력 부여부)
222B 종점
A 열
B1 경계
D1 제1 방향(반송 방향)
D2 제2 방향
L 둘레 길이
L1 가상선
R 곡률 반경
S1 간극
T 삼각형
T1~T3 꼭짓점

Claims (7)

  1. 물품을 밀집한 상태로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류 반송부와,
    상기 상류 반송부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상류 반송부로부터 상기 물품이 이재되는 하류 반송부와,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지고, 상기 상류 반송부 및 상기 하류 반송부의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른 경계로 상기 상류 반송부 측으로부터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를 지향하는 정렬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렬 가이드부는, 상기 상류 반송부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의 궤도의 종단부에,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정형 물품군을 형성하고,
    상기 하류 반송부는, 만곡되는 궤도를 상기 물품에 부여하는 원심력 부여부를 포함하는, 반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류 반송부는,
    상기 상류 반송부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뻗은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상기 원심력 부여부로서의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병행하며, 속도차가 부여된 복수의 병렬부와,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물품을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반송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류 반송부는,
    상기 상류 반송부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모두 상기 원심력 부여부에 상당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속도에 대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속도가 빠른, 반송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제2 컨베이어로, 2열 이하의 상태로 나열된 상기 물품이 이재되는, 반송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 물품군의 상기 물품은, 대략 삼각형상의 외형을 이루어 배열되고,
    상기 삼각형상의 1개의 꼭짓점에는, 상기 정렬 가이드부에 대향하는 가이드부의 종점이 대응하며,
    상기 삼각형상의 나머지의 2개의 꼭짓점에는 각각, 상기 정렬 가이드부의 시점 및 종점이 대응하고 있는, 반송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에 대하여 상기 정렬 가이드부가 이루는 예각은, 60° 또는 대략 60°에 상당하는, 반송 장치.
  7. 밀집한 상태로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물품을 상류 반송부로부터, 상기 상류 반송부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하류 반송부로 이재하고, 상기 하류 반송부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열수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시에 있어서 경사진 정렬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상류 반송부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의 궤도의 종단부에,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정형 물품군을 형성하면서, 상기 정형 물품군으로부터, 상기 상류 반송부 및 상기 하류 반송부의 경계를 따른 상기 물품의 열을 상기 하류 반송부로 이재하는 스텝과,
    상기 하류 반송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원심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물품의 열수를 감소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반송 방법.
KR1020227022614A 2020-02-20 2021-02-05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KR20220106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7125A JP7368267B2 (ja) 2020-02-20 2020-02-20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JP-P-2020-027125 2020-02-20
PCT/JP2021/004235 WO2021166675A1 (ja) 2020-02-20 2021-02-05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27A true KR20220106827A (ko) 2022-07-29

Family

ID=7739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614A KR20220106827A (ko) 2020-02-20 2021-02-05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68267B2 (ko)
KR (1) KR20220106827A (ko)
TW (1) TWI784416B (ko)
WO (1) WO20211666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0094A (ja) 2014-09-01 2016-04-11 三菱マテリアルテクノ株式会社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403060A (nl) * 1984-10-08 1986-05-01 Speciaalmachinefabriek Van Uit Inlijninrichting van flessen of dergelijke.
JPH03143823A (ja) * 1989-10-31 1991-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容器のコンベヤ装置
JPH10258927A (ja) * 1997-03-17 1998-09-29 Fuji Seal Co Ltd 容器の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4006285B2 (ja) * 2002-07-25 2007-11-14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容器搬送装置
JP4006288B2 (ja) * 2002-07-26 2007-11-14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容器搬送装置
JP5713802B2 (ja) * 2011-06-02 2015-05-07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容器集合装置
JP6256826B2 (ja) * 2013-09-02 2018-01-10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容器単列化装置
JP6282975B2 (ja) 2014-12-26 2018-02-21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容器集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0094A (ja) 2014-09-01 2016-04-11 三菱マテリアルテクノ株式会社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30551A (ja) 2021-09-09
TW202132186A (zh) 2021-09-01
TWI784416B (zh) 2022-11-21
JP7368267B2 (ja) 2023-10-24
WO2021166675A1 (ja)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2998B1 (en) Conveying apparatus
US8092144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assembling palletizable products
EP0242017B1 (en) Article grouping technique and apparatus
US20100230239A1 (en) Movement and distribution assembly, particularly for products to be packaged
NL2006649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verzetten van longitudinaal aangevoerde langwerpige voedselproducten.
CN108698769A (zh) 用于超大物品移除的阶梯式壁单行排列器输送机
EP3074331B1 (en) Unit for the conveyance and sorted alignment of products
JP4886451B2 (ja) スターホイール型ガラス検査機用アウトフィード機構
EP25608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eggs to a packaging unit
KR20220106827A (ko)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GB2204550A (en) Apparatus for transport of articles
EP0294070B1 (en) Apparatus for handling bodies of generally cylindrical configuration
JP6282975B2 (ja) 容器集合装置
JP5072487B2 (ja) 鶏卵配向装置
TWI787738B (zh) 搬送裝置及搬送方法
CN112978656A (zh) 用于导入或导出容器的装置和容器处理装置
JP3527287B2 (ja) 菓子などの移乗配列装置
JP5725938B2 (ja) 搬送装置
JP5193387B1 (ja) 整列搬送装置
JP5886328B2 (ja) アキュームコンベヤの搬送制御方法
US20240034570A1 (en) Transfer device and installation for conveying products
JPH10258927A (ja) 容器の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6362961B2 (ja) 容器の搬送装置
JP2006076723A (ja) 容器の間隔形成装置
JPH0534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