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600A -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600A
KR20220103600A KR1020210060780A KR20210060780A KR20220103600A KR 20220103600 A KR20220103600 A KR 20220103600A KR 1020210060780 A KR1020210060780 A KR 1020210060780A KR 20210060780 A KR20210060780 A KR 20210060780A KR 20220103600 A KR20220103600 A KR 20220103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proteolytic enzyme
sugar alcohol
se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예
김윤선
안병준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JP202352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07612A/ja
Priority to PCT/KR2021/017502 priority patent/WO2022154247A1/ko
Priority to CN202180068300.1A priority patent/CN116322612A/zh
Publication of KR2022010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 박리 소재를 당알코올 및/또는 세린과 함께 포함하여 단백질 분해 효소의 조성물 내 안정성 감소와 이에 따른 각질 박리 효과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향상된 각질 박리 및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갖는 안전하고, 안정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EXFOLIATION OF SKIN OR IMPROVEMENT OF SKIN CONDITION}
본 발명은 각질 박리를 위한 유효성분의 안정성 향상을 통해 우수한 각질 케어 및 피부 결 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 관리 측면에서 필링, 즉 각질 박리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필링은 피부과 또는 피부 관리샵의 필링 시술로 대표되는 스페셜 케어부터 화장품 및 생활용품을 이용한 홈케어까지 그 종류 및 방법이 다양하다. 그러나 피부과 필링 시술 대비 화장품을 이용한 홈 케어에 의한 필링의 체감 효과는 낮은 편이다.
필링에 사용되는 소재로는 크게 락틱산, 글리콜산과 같은 AHA(alpha hydroxyl acid), 살리실산과 같은 BHA(beta hydroxy acid) 그리고 글루코노락톤과 같은 PHA(poly hydroxyl acid) 계열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적 박리 소재, 파파인, 브로멜라인, 단백질 분해 효소와 같은 단백질 분해 효소 소재, 그리고 스크럽 성분과 같은 물리적 박리 소재가 있다. 화학적 박리 소재는 피부과 시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만큼, 효과가 입증되었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나, 자극 및 안전성의 문제로 효능을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농도를 홈케어 제품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주로 파파인, 브로멜라인 등과 식물 유래 효소와 섭틸리신과 같이 바실러스 속(Bacillus sp.) 미생물 배양을 통해 생산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들을 포함한다. 효소의 특성상 하나의 분자가 여러 번 작용하여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농도에서도 각질 박리 효능이 우수하고, 화학적 박리 소재와 비교해서 분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피부 내로 흡수 또는 침투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자극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백질로 이루어진 소재의 특성상 시간 및 환경에 따른 성분 자체의 활성 감소 등의 이유로, 제품 적용 시,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제품화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각질 박리 효능을 갖는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 박리 소재의 화장료 조성물 내 안정성이 향상되고, 각질 박리 효능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을 연구,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KR 10-2165564 2: KR 10-1673381
상기한 바와 같이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 박리 소재의 조성물 내에서 안정성 감소와 이에 따른 각질 박리 효과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 박리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세린 및 당알코올을 함께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내 유효성분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각질 박리능 유지 시간이 증가되었으며, 각질 박리 효능 증진 및 이에 따른 피부 결 개선 효과와 함께, 모공 개선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의 안정성 및 각질 박리 활성의 유지력이 증진되어, 자극이 적고,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 피부 결 개선 효과, 모공 개선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 효소와 당알코올 및/또는 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와 당알코올을 함께 포함하여, 단백질 분해 효소의 안정성 및 각질 박리 유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증진 또는 개선된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분해 효소와 세린을 함께 포함하여 조합에 따른 향상된 각질 박리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각질 박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외용제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질 박리"는 피부의 각질층에 쌓여있는 각질이 피부의 각질층에서 탈락 또는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제거되는 경우뿐 아니라,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고 간단한 조성물의 처리만으로도 피부의 각질층에서 떨어져 나가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각질 박리 성분으로서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는 단백질의 펩티드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라고도 한다. 피부의 각질을 박리하는 효능을 가진 단백질 분해 효소라면 제한 없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는 구체적인 예로, 파파인, 브로멜라인, 케라티나아제(Keratinase) 및 서브틸리신(subtilisin)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 중 어느 성분을 포함하여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물질 또한, 본 발명 단백질 분해 효소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파파인 성분을 포함하는 성분으로 X-pressin(바스프), 파파인, 그리고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성분으로 원더자임(Wonderzyme) 등이 단백질 분해 효소 또는 각 효소 물질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케라티나아제(Keratinase)의 성분으로 케라티나아제 H(Keratinase H) 또는 케라티나아제 S(Keratinase S) 등이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단백질 분해 효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단백질 분해 효소의 함량이 상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로서 케라티나아제 (keratinase, 엘씨에스바이오텍)의 피부 각질 박리 효과를 실험한 결과, 단백질 분해 효소인 케라티나아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질 박리 효능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각질 박리 성분으로서 세린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세린"은 아미노산의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S)-세린, L-세린 등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세린은 아미노산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각질 박리 효능이 포화되어 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세린을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당알코올과 함께 조합하여 포함하는 경우, 단일 성분만 사용하는 경우 대비 향상된 각질 박리능을 가질 수 있어, 상기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 조성물은 세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세린의 함량이 상기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다.
본 명세서에서 "당알코올"은 단당류의 카보닐기 중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가 수소의 첨가로 환원되어 만들어지는 하이드록시기(-OH)를 두 개 이상 갖는 알코올이나, 그와 같은 계열에 속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당알코올은 단백질 분해 효소가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소의 단백질 분해 활성 향상과 분해능 유지 시간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각질 박리 제품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이 낮아져 제품의 품질과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단백질 분해 효소와 당알코올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의 각질 박리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동일한 농도, 단백질 분해 효소 만을 포함하는 시료 대비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당알코올은 구체적인 예로, 글리세롤, 에리스리톨(erythritol), 솔비톨, 스레이톨(threitol), 아라비톨(ara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에틸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및 부틸렌 글리콜(예, 1,3-Butylene Glycol: 1,3-BG) 등과 상기 각 성분의 이성질체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고, 구체적으로 당 알코올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의 당알코올의 혼합물 일 수 있다.
단백질 분해 효소와 단일의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한 예로 상기 당 알코올은 글리세롤, 솔비톨, 에리스리톨,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당 알코올은 글리세롤, 솔비톨,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당 알코올 혼합물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 알코올 혼합물은 바람직한 예로, 글리세롤, 솔비톨,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및 에리스리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당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당알코올의 함량이 상기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유효성분인 단백질 분해 효소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미미하고, 30.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다.
상기 당알코올이 당알코올 혼합물로서 포함되는 경우에도, 당알코올 혼합물의 최대 함량은 30 중량%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함량 내에서 혼합되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당알코올 혼합물로서 조성물에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글리세롤 0.001 내지 20 w/w%, 솔비톨 0.001 내지 20 w/w%, DPG 0.001 내지 20 w/w%, 1,3-부틸렌글리콜 0.001 내지 20 w/w%, 및 에리스리톨 0.001 내지 10 w/w%의 함량범위 내에서 당알코올 혼합물 전체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30 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와 글리세롤, 솔비톨,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및 에리스리톨을 포함한 당알코올을 혼합하여 각질 박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 당알코올에 각질 박리 활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백질 분해 효소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비교해서, 각질 박리 효과가 현저히 증진되고, 단백질 분해 활성이 장기간 유지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및 3).
상기 각 성분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화합물을 구입하여 사용될 수 있고, 상업적 판매되는 형태까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 박리 작용을 통해 피부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의 외형적 상태가 개선되어 피부 결이 고와지거나 피부의 요철이 완화되거나, 피부의 톤이 개선되어 건강한 혈색을 띠는 것뿐 아니라 피부 내부의 세포 등의 균형이 무너진 것이 회복, 개선된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 생긴 각질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박리시키는 작용을 통해서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구체적으로, 피부 결 개선, 피부 톤 개선, 피부 모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요철 완화, 또는 피부 톤 개선효과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결 개선용 조성물, 피부 톤 개선용 조성물, 모공 개선, 수축 또는 감소용 조성물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결 개선"은 각질 박리(peeling)를 통해 피부의 요철 등을 완화 또는 제거시켜 피부의 표면이 매끄럽고 건강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톤 개선"은 각질 박리(peeling)를 통해 피부의 어두운 부분이 제거되어, 피부의 색이 밝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공 개선" 또는 "모공 수축 또는 감소"란 피부에 존재하는 모공의 크기(직경, 부피)가 작아지거나, 모공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주름 개선"은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예방,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외용제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각 조성물은 사용 목적, 유효 성분의 함량 등에 따라 카테고리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의 제조를 목적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의미하며, 넓게는 외용제를 위한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스프레이 타입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 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스틱,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중화제, 점증제,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또는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한 성분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각 국 정부에서 정하는 화장품의 안전에 대한 법령 또는 규정에 기재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일 수 있고,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의약품의 제조를 목적으로 구성된 조성물로서,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넓게는 상기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조성물 중, 의사의 허가없이 구매 가능하나, 화장품 또는 일반 외용제와 구분되는 의약외품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안정하면서도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갖는 각질 박리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각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각화증"이란 유전,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피부의 표면에 과도한 각질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모공 각화증 또는 손발 각화증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투여 전보다 증세가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 또는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이의 발생 또는 발현을 늦추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 또는 질병을 호전시키거나 사라지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함량(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유효량'은 피부의 각질을 박리하여 피부 각화증 또는 수장족저각화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조성물의 치료 수준에서 각질 박리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다양한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각 유효성분이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질 박리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한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자체의 물성, 색 또는 특유의 향미가 제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점막, 피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피부 투여는 피부 외부에 조성물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기 조성물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경로 또는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의 예로 연고, 크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및 유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일 수 있다.
상기 제형을 위하여 부형제, 일 예로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TABLETS),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CAPSULES), 환제(PILLS), 산제(POWDERS) 및 과립제(GRANULES)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에는 현탁제(SUSTESIONS), 내용액제, 유제(EMULSIONS) 및 시럽제(SYRUPS)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피부 투여를 위해 언급할 수 있는 예로는 더스팅 파우더, 에멀젼, 현탁액, 오일, 스프레이, 연고, 그리지 연고, 크림 페이스트, 겔, 폼, 또는 용액을 생성시키는데 적합하고, 경피 약물 전달체(TTS: Transdermal therapeuticsystem)에 적합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가 있다. 본 발명의 국소용 약학제제는 반고체상 제형일 수 있으며 특히 연고(용액 연고, 현탁액 연고), 크림, 겔 또는 페이스트가 있다. 유상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지방 알콜,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지방산, 예를 들면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 액상 또는 고체상 파라핀 또는 오조케라이트, 액상 내지 고체상 왁스,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천연 지방 또는 일부 합성 지방, 예를 들면 코코넛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유, 예를 들면 수소화된 피넛 또는 캐스터 오일, 또는 글리세롤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가 있다. 적합한 유화제로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폴리알코올 또는 이것의 산화에틸렌 부가물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올레에이트 또는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등,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롤,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콜 에테르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지방 알코올 설포네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세틸 설페이트 또는 나트륨 스테아릴 설페이트가 있으며 이들은 상기 지방 알코올, 예를 들면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크림 건조를 방지하는 제제, 예를 들면 폴리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수상에 첨가하거나 또는 보존제, 향료 등을 수상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학제제는 무수상태의 연고일 수 있고, 국소용도에 적합하고 체온상태에서 액체인 파라핀, 특히 저점도 파라핀을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천연지방 또는 부분합성 지방, 예를 들면, 코코넛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유, 예를 들면 수소화된 피넛 도는 캐스터 오일, 글리세롤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디스테아레이트, 실리콘, 예를 들면 폴리메틸실록산, 예컨대 헥사메틸디실록산 또는 옥타메틸트리실록산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성크림과 관련되어 있고 수분 흡수 용량을 증가시키는 지방알코올, 그리고 스테롤, 울 왁스, 다른 유화제 및/또는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의약외품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약외품"은 질병에 대한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의 효과를 나타내나 의약품 보다 인체에 미치는 작용이 경미한 물품을 의미한다.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하며, 보건복지부가 따로 정한 분류 기준에 의한 물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 또는 개인위생용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 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또 다른 예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또는 연고제가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 값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균등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의 조성물 내 안정성 감소와 이에 따른 각질 박리 효과 저하를 개선하여, 향상된 각질 박리 및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갖는 안전하면서도 안정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화학적 박리 소재인 글루코노락톤(PHA)보다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의 혼합 조성물이 화학적 박리 소재인 글루코노락톤(PHA), 당알코올 단독, 세린 단독, 단백질 분해 효소 단독, 당알코올 및 세린 혼합물,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당알코올 혼합물,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세린 혼합물보다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당알코올 및 세린에 의해 단백질 분해 효소의 각질 박리능 유지 시간이 연장된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한 피부 결 및 모공 개선 효과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형에 의한 모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험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단백질 분해 효소의 각질 박리 효과
돼지 피부(메디키네틱스, 2.5cm x 2.5cm x 1000um)를 페이퍼타월로 눌러 물기를 제거한 후, 에탄올로 소독한 6 mm 펀치를 이용하여 천공하였다. 돼지 피부 절편의 표피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96 well 플레이트에 넣고, 각 실험군에 대해 설정된 농도의 원료 125 ul에 완전히 담근 후 37℃에서 20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습도 50%). 이후 용액에 떨어져 나온 각질 세포의 개수를 세포 카운팅 칩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각질 박리 효능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정제수, PHA로는 글루코노락톤, 단백질 분해 효소는 케라티나아제 (Keratinase, 엘씨에스바이오텍)를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의 처리군은 단백질 분해 효소인 케라티나아제를 0.005 w/w%, 0.0075 w/w%, 0.01 w/w%, 0.05 w/w%, 0.1 w/w% 또는 1 w/w%로 포함하고, 2 w/w%의 핵산디올 그리고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학적 박리 소재 처리군은 PHA 10 w/w% 조성물에서, 글루코노락톤의 각질 박리 효능이 가장 높은 pH 4 조건과, 일반 리브온 화장품 제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인 pH 6 조건에서 나누어 각질 박리 정도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정제수에 의해 떨어진 각질 박리량을 0으로 하고, PHA 10 w/w%(pH 4) 실험군에서 떨어진 각질 박리량을 100으로 환산했을 때,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각질 박리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5 w/w% 단백질 분해 효소의 각질 박리 효능(51.1%)이 일반적으로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PHA 10 w/w%(pH 6)의 각질 박리 효능(30.9%)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질 박리 효능도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0.05 w/w% 이상의 농도에서 효능의 포화가 나타나, 각질 박리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각질 박리 증진 효과 확인
각질 박리 효과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대조군은 정제수로만 처리하였고, PHA 처리군은 글루코노락톤 10 w/w% 용액(pH 4)과 글루코노락톤 10 w/w% 용액(pH 6)을 이용하였다(도 2에서, PHA pH 4 및 PHA pH 6). 당알코올은 혼합물 형태로 이용하였고,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글리세롤 5 w/w%, 솔비톨 5 w/w%, DPG 5 w/w%, 1,3-BG 5 w/w%, 및 에리스리톨 2 w/w%을 포함하였다. 세린은 0.5 w/w% L-세린 아미노산 용액(pH 6)을 이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케라티나아제(Keratinase, 엘씨에스바이오텍)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분해 효소는 0.01 w/w% 농도로 포함하여 실험하였다 (도 2에서 프로테아제).
프로테아제, 세린 및 당알코올(당알코올 혼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전체 조성물 100% 중 케라티나아제 0.01 w/w%, 세린 0.5 w/w%, 글리세롤 5 w/w%, 솔비톨 5 w/w%, DPG 5 w/w%, 1,3-BG 5 w/w%, 에리스리톨 2 w/w%, 헥산디올 0.02 w/w% 및 잔량의 정제수 77.47 w/w%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처리군에서 각질 박리 효과를 확인 하였고, 특히, 단백질 분해효소, 세린, 및 당알코올을 각각 조합하는 경우 단백질 분해 효소의 각질 박리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알코올 혼합물은 각질 박리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였고(2.3%), 세린 단독 처리 시 약 37%의 각질 박리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세린과 당알코올을 혼합한 실험군에서는 각질 박리능에서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놀라운 것은, 세린(0.5 w/w%)과 단백질 분해 효소(0.01 w/w%)를 조합하여 처리한 경우, 그리고 단백질 분해 효소와 당알코올을 함께 처리한 경우(176%), 단백질 분해 효소의 각질 박리능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단백질 분해 효소, 세린 및 당알코올 성분을 모두 조합한 경우, 각질 박리능이 더욱 현저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223.1%). 따라서, 단백질 분해 효소는 세린 및/또는 당알코올과 조합하는 경우 각질 박리에서 조합에 따른 상승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세린과 단백질 분해 효소의 농도를 달리하며 각질 박리 효과를 확인하였다. 0.5 w/w% 세린과 0.005 w/w% 케라티나아제를 각각 단독 처리하거나, 세린과 케라티나아제를 복합 처리하여 각질 박리능을 확인한 결과, 0.5 w/w% 세린과 0.005 w/w% 케라티나아제를 각각 단독 처리한 경우, 각각 23%와 53%의 각질 박리 효과를 보였으나, 두 성분을 함께 사용한 경우 각질 박리 효과가 86%로 향상됨을 확인하여, 두 성분의 조합에 따른 상승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당알코올 및 세린에 의한 단백질 분해 효소의 단백질 분해 활성 유지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lear zone assay를 수행하였다. 아가로오스 1 w/w%, 탈지분유 0.5 w/w% 함유 배지 위에 6 mm 페이퍼 디스크를 올리고, 페이퍼 디스크 위에 단백질 분해 효소 함유 용액 40 uL를 분주하였다. 용액이 다 마르면 뒤집어서 항온항습기 (37℃ 습도 50%)에 24시간 보관하였다. 이후 투명해진 부분의 직경을 측정하여 단백질 분해능을 측정하였다. 단백질 분해 활성의 유지는, 0일차의 단백질 분해능 (직경, mm) 대비 가혹화 조건인 50℃에서 2주 보관 후 단백질 분해능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0일차의 단백질 분해능 대비 25% 이상 유지되면 활성이 남아있다고 평가하였다.
각질 박리 효능을 증진시켜 주는 당알코올에 의해 활성 유지 또한 증진되는지 측정하였다. 여기서 단백질 분해 효소는 파파인(0.5 w/w%)를 사용하였다. 파파인은 수용액 상태에서 50℃에 2주 보관하게 되면 0일차 기준으로 단백질 분해 활성이 0%까지 떨어진다. 상기 파파인(0.5 w/w%)에 조성물 전체 농도를 기준으로 글리세롤 5 w/w%, 글리세롤 20 w/w%, 솔비톨 5 w/w%, 솔비톨 20 w/w%, 자일리톨 20 w/w%, 에리스리톨 2 w/w%, 1,3-부틸렌글리콜(1,3-BG) 5 w/w%, 또는 DPG 5 w/w%를 각각 혼합하고, 50℃ 조건에서 2주 동안 보관한 후에도 활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당알코올 혼합물을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2 w/w%로 포함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글리세롤 5 w/w%, 솔비톨 5 w/w%, DPG 5 w/w%, 1,3-BG 5 w/w%, 및 에리스리톨 2 w/w%로 포함하고, 세린 0.5 w/w%를 첨가한 조건에서도 파파인의 활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플록사머 1 w/w%, 또는 항산화제인 트록세루틴(troxerutin) 3 w/w%를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파파인의 활성 유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당알코올 및 세린이 각질 박리 효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 유지에도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표 1).
분류 물질명 50℃, 2주 보관 후 활성 유지(%)
당알코올 글리세롤 5 w/w% 66
글리세롤 20 w/w% 74
자일리톨 20 w/w% 32
솔비톨 5 w/w% 67
솔비톨 20 w/w% 72
에리스리톨 2 w/w% 44
DPG 5 w/w% 74
1,3-BG 5 w/w% 56
당알코올 혼합물 22 w/w% 및 세린 0.5 w/w% 82
폴리머 플록사머 1 w/w% 0
항산화제 트록세루틴 3 w/w% 26
실시예 4. 당알코올 및 세린에 의한 단백질 분해 효소의 각질 박리 효과 증진의 유지
각질 박리 효능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대조군으로 정제수, PHA pH 4는 글루코노락톤 10 w/w% 및 pH 4, PHA pH 6은 글루코노락톤 10 w/w% 및 pH 6 조건이다. 당알코올은 당알코올 혼합물 형태로 포함하였고, 구체적으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글리세롤 5 w/w%, 솔비톨 5 w/w%, DPG 5 w/w%, 1,3-BG 5 w/w%, 및 에리스리톨 2 w/w%를 포함하였다. 세린은 L-세린 아미노산 0.5 w/w%, pH 6 조건을 이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케라티나아제(Keratinase, 엘씨에스바이오텍)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분해 효소의 농도는 전체에 대하여 0.01 w/w% 농도로 실험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를 50℃에서 2주 보관하면 각질 박리 효과가 초기값 대비 70% 이상 감소하여, 0주차 대비 잔여 활성이 약 28% 정도인 것을 확인하였다(130.3% -> 36.2%). 단백질 분해 효소에 세린 및 당알코올 혼합물을 첨가한 후 50℃에서 2주 보관한 경우에는, 0주차 대비 잔여 활성이 약 71% 정도 유지되어, 각질 박리 효능의 감소 정도가 30% 이내로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세린 및 당알코올 혼합물에 의해 단백질 분해 효소의 각질 박리 효과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증진된 각질 박리 효능이 더 오래 유지됨을 알 수 있다(도 3).
실시예 5.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의 혼합 조성물에 의한 즉각적 피부 결 및 모공 개선 효과 확인
하기 표 2의 제형을 아침, 저녁 2회 도포 후 턱 부위의 피부 결 및 모공이 개선되는지 측정하였다(n=1). 측정은 Antera 3D®(Miravex Limited)를 사용하였고, 피부 결의 경우 피부 평균 표면보다 튀어나와있는 요철 중에서 직경 0.1-1 mm 사이즈를 가지는 요철의 부피 및 높이로 측정하였다. 모공의 경우 피부 모공 중에서 직경이 0.5 mm 이하인 모공의 부피 및 단위면적당 모공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2회 사용으로 요철의 부피 및 모공의 부피, 개수가 감소, 피부 요철의 부피와 높이가 완화되어, 시각적으로 피부 결 개선 및 모공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의 혼합 조성물 함유 제형에 의한 모공 및 주름 개선 효과 확인
하기 표 3의 제형을 아침, 저녁 하루 두 번씩 4주간 도포 후 주름 및 모공이 개선되는지 측정하였다(n=7). 측정은 야누스 피부 진단 기기(PIE Co., Ltd.)를 사용하였고, 주름 및 모공 측정 부위는 안면 전체이다.
[표 3] 주름 및 모공 개선 인체 시험 평가에 사용한 제형
Figure pat0000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3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 모공의 개수가 감소하였고, 주름의 깊이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3)

  1. 단백질 분해 효소와 당알코올 및/또는 세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 당알코올 및 세린을 포함하는 것인, 각질 박리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파파인, 브로멜라인, 케라티나아제(Keratinase) 및 서브틸리신(subtili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은 글리세롤, 에리스리톨(erythritol), 솔비톨, 스레이톨(threitol), 아라비톨(ara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에틸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및 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5.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린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파파인, 브로멜라인, 케라티나아제(Keratinase) 및 서브틸리신(subtili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은 글리세롤, 에리스리톨(erythritol), 솔비톨, 스레이톨(threitol), 아라비톨(ara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에틸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및 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결 개선, 피부 톤 개선, 피부 모공 개선, 수축 도는 감소, 또는 피부 주름 개선인, 조성물.
  10.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 각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린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파파인, 브로멜라인, 케라티나아제(Keratinase) 및 서브틸리신(subtili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은 글리세롤, 에리스리톨(erythritol), 솔비톨, 스레이톨(threitol), 아라비톨(ara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에틸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및 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KR1020210060780A 2021-01-15 2021-05-11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20103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23639A JP2024507612A (ja) 2021-01-15 2021-11-25 角質剥離または皮膚状態改善用組成物
PCT/KR2021/017502 WO2022154247A1 (ko) 2021-01-15 2021-11-25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202180068300.1A CN116322612A (zh) 2021-01-15 2021-11-25 用于剥离角质或改善皮肤状态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97 2021-01-15
KR20210005797 2021-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600A true KR20220103600A (ko) 2022-07-22

Family

ID=8260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80A KR20220103600A (ko) 2021-01-15 2021-05-11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6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381B1 (ko) 2015-04-07 2016-11-08 (주)코떼랑 필링 패드와 고상의 화학적 필링제를 포함하는 필링 키트
KR102165564B1 (ko)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모공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381B1 (ko) 2015-04-07 2016-11-08 (주)코떼랑 필링 패드와 고상의 화학적 필링제를 포함하는 필링 키트
KR102165564B1 (ko)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모공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24703A1 (zh) 一种水溶性富勒烯外用组合物
EA023290B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и топ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моложения, регенерации и упрочнения кожи во время сна
CN114272150A (zh) 一种针对角质层组织的角质剥离组合物及角质剥离产品
KR102281086B1 (ko) 점액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KR101986513B1 (ko)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1186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KR101815340B1 (ko) 불로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71250A (ko)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5285203B2 (ja) 血流促進剤並びに該血流促進剤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CN114729015A (zh) 具有抗衰老效果的多肽及其用途
KR20180010765A (ko) 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3600A (ko)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2154247A1 (ko) 각질 박리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6474227B2 (ja) 植物エキスを含有するトイレタリー製品用組成物
JP2002154951A (ja) 脳波抑制剤
KR20210093174A (ko) 콜히친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014102B1 (ko) 메스키트 꿀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303948B1 (ko)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169196A (ja) 皮膚外用剤
KR102326939B1 (ko)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28033B1 (ko) 4-하이드록시-5-메톡시-4-[2-메틸-3-(3-메틸-2-부테닐)-2-옥시란닐]-1-옥사스피로[2,5]옥탄-6-온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2007031316A (ja) 抗変異原性を利用した抗紫外線刺激剤
KR102643628B1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비립종 개선용 조성물
KR102211761B1 (ko) 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