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627A - 고양이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고양이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627A
KR20220101627A KR1020227016131A KR20227016131A KR20220101627A KR 20220101627 A KR20220101627 A KR 20220101627A KR 1020227016131 A KR1020227016131 A KR 1020227016131A KR 20227016131 A KR20227016131 A KR 20227016131A KR 20220101627 A KR20220101627 A KR 20220101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ral
absorbent core
cat
region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고마츠바라
유미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12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69060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12729A external-priority patent/JP6906039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0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38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adjustable open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8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with a tissue-wrapped c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 시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양이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고양이용 기저귀는,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W)과,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고양이의 복측(腹側)에서부터 등측(背側)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Z)과, 흡수 코어(30)를 갖는 본체부(2)와, 본체부보다도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복측 영역(S1)과 등측 영역(S2)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90)를 갖는다. 흡수 코어는,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를 갖는다. 잘록부의 가로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복측의 단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고양이용 기저귀
본 발명은, 고양이에게 장착되는 고양이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펫(pet)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펫용 기저귀는, 펫의 복측(腹側)에 맞대어지는 복닿음부(腹當部)와, 펫의 등측(背側)에 맞대어지는 등닿음부(背當部)와, 등닿음부에 있어서 꼬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꼬리 구멍부와, 복닿음부에 설치된 패스너 테이프를 갖는다. 특허문헌 1의 펫 기저귀를 장착할 때에는, 꼬리 구멍부에 꼬리를 통과시키면서, 펫의 복측에 복닿음부를 맞대는 동시에 등측에 등닿음부를 맞대고, 패스너 테이프를 등닿음부에 고정한다(특허문헌 1의 도 4 참조).
일본국 특개2017-131160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펫용 기저귀는, 개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고, 고양이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원인이 예의 조사한 결과, 고양이와 개에서 평상시의 신체를 움직이는 방법이 크게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는, 지면을 달리는 등, 평면 방향의 움직임이 많고, 고양이는, 개와 비교하여, 점프하거나 뛰어내리거나 하는 등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직 방향으로 신체를 움직이려고 하면, 뒷다리를 굽힌 상태에서 단번에 늘리거나, 다리의 굴신(屈伸)과 함께 배를 움푹 들어가게 한 상태 및 등을 둥글게 만 상태에서 늘리거나 하여, 복부, 둔부 및 다리 둘레의 피부의 신축량이 커지기 쉽다. 그 때문에, 고양이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 기저귀가 어긋나거나 벗겨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착용 시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양이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는,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고양이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다.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를 갖는다. 상기 잘록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복측의 단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양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는,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고양이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다.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는, 상기 복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측변과, 상기 등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등측변과, 상기 복측변과 상기 등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측변을 갖고 있다. 상기 복측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a로 하고, 상기 복측변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를 b로 하면, a<b를 만족시킨다.
또 다른 양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는,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고양이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다.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는, 상기 복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측변과, 상기 등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등측변과, 상기 복측변과 상기 등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측변을 갖고 있다.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세로측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c로 하고, 상기 복측변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를 b로 하면, c<b를 만족시킨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고양이용 기저귀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고양이 및 개의 신체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 코어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흡수 코어의 확대 평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일 양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는,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고양이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다.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를 갖는다. 상기 잘록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복측의 단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에 위치하고 있다. 출원인이 고양이의 착용 상태를 관찰한 결과,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의 길이는, 복측의 단 가장자리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는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의 길이에 상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다리를 반복해서 전후로 움직인 경우라도 흡수 코어에 의해 신체를 덮을 수 있다. 또,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복부의 피부의 신축량이 커진 경우라도 흡수 코어를 계속 추종시킬 수 있어,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잘록부는, 복측에 위치하는 복기단(腹基端) 가장자리, 등측에 위치하는 등기단(背基端) 가장자리, 및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 가장자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잘록부의 가로 방향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복기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내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복측 가장자리와 교차하는 제 1 교차점과, 상기 가상선이, 상기 등기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내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등측 가장자리와 교차하는 제 2 교차점과의 거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에 대한 40% 미만이면 좋다. 고양이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면, 착지 등의 충격이나 피부의 세로 방향의 신축에 기인하여 기저귀가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이때, 뒷다리 둘레의 세로 방향의 어긋남량이 흡수 코어의 40% 이하로 억제되기 쉽다. 설령, 충격 등으로 기저귀가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는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기저귀를 신체에 대해 덮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복측에 위치하는 복외단(腹外端)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교차점과의 거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등측에 위치하는 등외단(背外端)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교차점과의 거리보다도 길어도 된다. 제 1 교차점과 제 2 교차점은, 잘록부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고, 뒷다리의 가로 방향의 중심에 닿기 쉽다. 잘록부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잘록부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뒷다리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는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복부의 피부의 신축량이 커진 경우라도 흡수 코어를 계속 추종시킬 수 있어,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복측에 위치하는 복측 영역과,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 영역을 갖고, 상기 복측 영역의 면적은, 상기 등측 영역의 면적보다도 커도 된다. 암컷 개의 배뇨구는, 등측 영역에 닿기 쉽고, 수컷 개의 배뇨구는, 복측 영역에 닿기 쉽다. 한편, 고양이의 배뇨구는, 수컷의 경우도 암컷의 경우도, 등측 영역에 닿기 쉽다. 고양이의 기저귀에 있어서, 복측 영역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등측 영역에서 복측 영역으로 확산되는 체액을 홀딩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음수량이 적기 때문에, 비뇨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비뇨기 질환에 걸리면, 다음다뇨의 증상이 발생하기 쉽다. 다뇨가 된 경우는, 흡수 코어의 복측 영역으로 확산이 넓어지는 경향이 보다 현저해진다. 복측 영역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다뇨가 된 경우에 있어서도 등측 영역에서 복측 영역으로 확산되는 체액을 홀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복측에 위치하는 복측 영역과,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 영역을 갖고, 상기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는, 상기 등측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50% 이하이면 좋다. 흡수 코어의 등측 영역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와,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폭과의 차를 크게 설치할 수 있다. 고양이의 배뇨구는, 수컷의 경우도 암컷의 경우도, 등측 영역에 닿기 쉽다. 고양이의 기저귀에 있어서, 등측 영역의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등측 영역의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는 꼬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꼬리 구멍의 상기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는, 상기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 이상이어도 된다. 착용 시에 꼬리 구멍에 꼬리를 삽입함으로써, 꼬리를 통하여 꼬리 구멍을 가로 방향으로 인장할 수 있고, 흡수 코어에는 가로 방향으로 신장되는 힘이 가해진다. 흡수 코어를 가로 방향으로 넓혀 흡수 코어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어, 착용 시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 길이를 확보하기 쉽다. 꼬리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잘록부의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길이 이상이므로, 꼬리 구멍의 가로 방향 전역에 걸쳐 흡수 코어를 넓히는 힘이 작용했을 때에, 잘록부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 전역을 넓힐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 및 비피부 대향면을 덮는 코어 랩을 갖고, 상기 잘록부와 겹치는 영역에는 상기 코어 랩끼리 겹치는 중첩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첩부에 잘록부 근방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흡수 코어의 잘록부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어, 피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코어보다도 피부측에 위치하는 기립성 방루(防漏) 개더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방루 개더는, 기립 가능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립부의 기립 지점(支點)이 되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방루 개더는, 고정부를 기점으로 하여 기립부가 일어나는 동시에, 흡수 코어의 강성차에 의해서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기립부 및 고정부 전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잘록부가 설치된 영역에 있어서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고정부의 내측 가장자리가 있기 때문에, 잘록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기립부 및 고정부 전체가 일어난다. 잘록부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흡수 코어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체액이 유도될 우려가 있지만, 기립부의 일어나는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잘록부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에 대한 30% 이하이면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에 대해 피트한 상태에서 세로 방향의 어긋남량이 흡수 코어의 30% 이하가 된다. 설령, 충격 등으로 기저귀가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는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기저귀를 신체에 대해 덮을 수 있다.
일 양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는,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펫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다.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는, 상기 복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측변과, 상기 등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등측변과, 상기 복측변과 상기 등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측변을 갖고 있다. 상기 복측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a로 하고, 상기 복측변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를 b로 하면, a<b를 만족시킨다. 다리 둘레 개구부는, 고양이 뒷다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다리 둘레 개구부의 복측변은, 고양이 뒷다리의 복측의 면에 닿는다. 복측변의 가로 방향의 길이(b)가 복측변의 세로 방향의 길이(a)보다도 길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해 다리 둘레 개구부가 피트할 때에, 세로 방향의 길이가 짧은 범위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세로 방향의 짧은 범위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해 타이트하게 피트시키기 쉽다. 다리 둘레에 타이트하게 피트시킴으로써, 살집이 비교적 많거나 관절이 구부러져 있거나 하여 다리 둘레에 타이트하게 피트시키기 어려운 고양이에 대해, 의식하지 않고 다리 둘레에 대해 타이트하게 피트시키기 쉬워, 착용 과정에서 벗겨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는,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펫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다.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는, 상기 복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측변과, 상기 등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등측변과, 상기 복측변과 상기 등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측변을 갖고 있다.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세로측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c로 하고, 상기 복측변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를 b로 하면, c<b를 만족시킨다. 기저귀를 고양이에게 장착할 때에는, 패스닝 테이프를 가로 방향으로 인장하여, 타겟부 등에 접합한다. 이때, 다리 둘레 개구부의 복측변측이 가로 방향으로 인장되고, 양쪽의 뒷다리 사이에서부터 뒷다리를 지나 등측으로 연장되는 라인은, 세로측변과 패스닝 테이프를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구성된다. 거리(c)가 복측변의 가로 방향의 길이(b)보다도 짧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해 다리 둘레 개구부가 피트할 때에, 세로 방향의 길이가 짧은 범위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세로 방향의 짧은 범위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해 타이트하게 피트시키기 쉽다. 다리 둘레에 타이트하게 피트시킴으로써, 착용 과정에서 벗겨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d로 하면, d에 대한 a의 비율은, 10% 이하이면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기저귀의 본체부 전체에 대한 복측변의 세로 방향의 길이(a)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한 세로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세로 방향의 어긋남량이 많아지는 것에 기인하여 기저귀가 착용 시에 벗겨지거나, 다리의 전후의 움직임을 저해하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복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등측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 부착되는 타겟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측변과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e로 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d로 하면, d에 대한 e의 비율은, 60% 이상이면 좋다. 복측변과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e)는, 패스닝 테이프를 타겟부에 고정 부착한 상태에서, 복측에서부터 등측에 걸쳐 신체를 덮고 있으며, 신체의 움직임이나 피부의 신축에 추종하여 변형하는 영역의 길이이다. 기저귀의 본체부 전체에 대한 복측변과 타겟부의 세로 방향의 거리(e)의 길이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고양이의 움직임 등에 따라 변형하는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는,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를 갖는 꼬리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복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등측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 부착되는 타겟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꼬리 구멍의 상기 등측의 단 가장자리와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f로 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d로 하면, d에 대한 f의 비율은, 20% 이상이면 좋다. 여기에서, 거리(f)는, 슬릿부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슬릿부와 구멍 본체부를 합친 영역과 타겟부의 거리이다. 꼬리 구멍의 등측의 단 가장자리와 타겟부의 세로 방향의 거리(f)는, 패스닝 테이프를 타겟부에 고정 부착한 상태에서, 꼬리 구멍에서부터 등측에 걸친 영역을 덮는 영역의 길이이며, 등측에 있어서의 신체의 움직임이나 피부의 신축에 추종하여 변형하는 영역의 길이이다. 본체부 전체에 대한 f의 길이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고양이의 움직임 등에 따라 변형하는 영역을 등측에 있어서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기저귀를 등측의 움직임에 추종시켜, 기저귀가 의도치 않게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는,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를 갖는 꼬리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복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등측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 부착되는 타겟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측변과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e로 하고, 상기 구멍 본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를 g로 하면, 상기 e에 대한 g의 비율은, 3.50% 이하이면 좋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한 결과, 개는, 비교적 좌우 방향으로 꼬리를 움직이는 경우가 많고, 고양이는, 비교적 상하 방향으로 꼬리를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고양이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구멍 본체부가 세로 방향으로 인장되어, 기저귀가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기 쉽다. 이때, 가동 영역에 대한 구멍 본체부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구멍 본체부를 통하여 기저귀가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는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는,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와, 꼬리 구멍의 치수를 확대하기 위한 슬릿부를 갖는 꼬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복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등측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 부착되는 타겟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측변과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e로 하고, 상기 꼬리 구멍의 상기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를 h로 하면, 상기 e에 대한 h의 비율은, 5.5% 이하이면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슬릿부에 의해 꼬리 구멍의 치수를 크게 한 경우에 있어서도, 가동 영역에 대한 꼬리 구멍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비율을 낮게 하여, 꼬리 구멍을 통하여 기저귀가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는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본체부에는,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를 갖는 꼬리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상기 구멍 본체부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의 비율은, 35% 이상이면 좋다. 착용 시에 꼬리 구멍에 꼬리를 삽입함으로써, 꼬리를 통하여 꼬리 구멍을 가로 방향으로 인장할 수 있고, 흡수 코어를 가로 방향으로 인장할 수 있다. 흡수 코어의 비틀림을 넓힐 수 있어, 착용 시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확보하기 쉽다.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구멍 본체부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구멍 본체부를 통하여 흡수 코어를 넓히는 힘이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 전체 영역으로 보다 전달되기 쉽다. 흡수 코어의 변형에 기인하여 피트성이 저하되기 어려워,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 시에 고양이가 다리를 움직이기 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꼬리 구멍은,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등측에 위치하는 등외단 가장자리보다도 등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꼬리 구멍이 흡수 코어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꼬리를 통하여 꼬리 구멍을 가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이 흡수 코어의 강성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그 때문에, 꼬리를 통하여 흡수 코어의 비틀림을 저감하는 효과를 보다 얻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잘록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잘록부의 가로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복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측에서부터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향해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상기 세로측변은, 상기 복측에서부터 상기 등측을 향해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 고양이의 양다리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짧은 부분에 흡수 코어를 피트시키기 쉽다. 또,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복측을 향해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 있기 때문에,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면서도, 복측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다리 둘레 개구부의 세로측변은, 등측에서부터 복측을 향해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와 반대의 경사가 된다. 그 때문에,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한 부분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부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길게 설치할 수 있어, 기저귀 전체로서 몸통 둘레를 계속 덮어, 누설이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2) 고양이용 기저귀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의 표면측(T1)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고양이용 기저귀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고양이용 기저귀(1)를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신장시킨 신장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단면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부재를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이격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의 제품에서는 두께 방향(T)으로 접하고 있다. 도 3은, 고양이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고양이용 기저귀(1)는,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W)과, 가로 방향(W)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Z)과, 가로 방향(W) 및 세로 방향(Z)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세로 방향(Z)은, 고양이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두께 방향(T)은, 착용 상태에 있어서 고양이에게 맞대어지는 표면측(T1)과, 착용 상태에 있어서 외측으로 향해지는 이면측(T2)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는, 고양이의 복측에서부터 가랑이 아래를 지나 등측까지 덮도록 장착된다.
고양이용 기저귀(1)는, 본체부(2)와, 패스닝 테이프(90)를 가져도 된다. 가로 방향(W)의 일단부(一端部)인 본체 제 1 단부(61)와, 가로 방향(W)의 타단부(他端部)인 본체 제 2 단부(62)와, 세로 방향(Z)의 일단부인 본체 제 3 단부(63)와, 세로 방향(Z)의 타단부인 본체 제 4 단부(64)를 가져도 된다. 본체 제 1 단부(61) 및 본체 제 2 단부(62)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접합되어 있다. 본체 제 3 단부(63)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고양이의 복측에 배치된다. 본체 제 4 단부(64)는, 본체 제 3 단부(63)와 대향하고 있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 고양이의 등측에 배치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부는, 단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일정의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다. 본체 제 1 단부(61)는, 본체부(2)의 가로 방향(W)의 일단 가장자리인 제 1 단 가장자리(61E)에서부터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본체 제 2 단부(62)는, 본체부(2)의 가로 방향(W)의 타단 가장자리인 제 2 단 가장자리(62E)에서부터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본체 제 1 단부 및 본체 제 2 단부(62)는, 본체부(2)의 가로 방향(W)의 단 가장자리와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영역이어도 된다. 또, 본체 제 3 단부(63)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일단 가장자리인 제 3 단 가장자리(63E)에서부터 세로 방향(Z)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본체 제 4 단부(64)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타단 가장자리인 제 4 단 가장자리(64E)에서부터 세로 방향(Z)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본체 제 3 단부(63) 및 본체 제 4 단부(64)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단 가장자리와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영역이어도 된다. 또, 본체 제 4 단부(64)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단 가장자리와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영역이어도 되고,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단 가장자리와 후술하는 꼬리 구멍(70)과의 사이의 영역이어도 된다.
본체부(2)는, 고양이의 복측에 맞대어지는 복측 영역(S1)과, 고양이의 등측에 맞대어지는 등측 영역(S2)과, 고양이의 가랑이 아래에 맞대어지는 가랑이 아래 영역(S3)에 걸쳐 있다. 복측 영역(S1)은, 본체 제 3 단부(63)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복측 영역(S1)에 배치되어 있다. 등측 영역(S2)은, 본체 제 4 단부(64)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S3)은, 복측 영역(S1)과 등측 영역(S2)의 사이의 영역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S3)은, 다리 둘레 개구부(5)가 형성된 영역이어도 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5)는,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영역이며, 본체부(2)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본체부(2)의 외측 가장자리는, 제 1 단 가장자리(61E) 및 제 2 단 가장자리(62E)에 의해 구성된다.
본체부(2)는,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흡수 코어(30)를 적어도 갖는다. 표면 시트(10)는, 본체부(2)에 있어서 고양이에게 맞대어지는 내면(2P)에 배치되어 있다. 표면 시트(10)는, 체액을 흡수 코어(30)측으로 투과시키는 액체 투과성을 갖는다. 표면 시트(10)는, 세로 방향(Z)의 중앙에 위치하고, 흡수 코어(30)를 덮는 센터 시트(11)와, 센터 시트(11)의 가로 방향(W)의 양측부를 덮는 사이드 시트(12)를 가져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12)는, 개켜져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시트(12)의 가로 방향(W)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이면측(T2)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되접어 꺽인 사이드 시트(12) 사이에, 세로 방향(Z)으로 신장된 상태의 사이드 신축성 부재(13)가 배치되어도 된다. 사이드 신축성 부재(13)는, 고양이측으로 기립하는 방루 개더(15)를 구성해도 된다. 방루 개더(15)는, 흡수 코어(30)보다도 피부측에 위치하는 기립성의 개더이고, 기립부(16)와 고정부(17)를 갖는다. 기립부(16)는, 사이드 시트(12)가 센터 시트(11)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고, 사이드 신축성 부재(13)의 수축에 의해 기립 가능한 부분이다. 고정부(17)는, 사이드 시트(12)가 센터 시트(11)에 대해서 고정된 부분 중 기립부(16)보다도 가로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또한, 방루 개더(15)는, 사이드 시트(12)가 센터 시트(11)에 대해서 고정된 부분이고, 기립부(16)보다도 세로 방향(Z)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18)를 가져도 된다. 기립부(16)는, 고정부(17) 및 제 2 고정부(18)를 기점으로 하여 고양이측으로 기립 가능하다.
흡수 코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 코어(30)는, 펄프 등의 흡수 재료가 적층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 코어(30)를 덮는 코어 랩(32)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 코어(30)는, 가로 방향(W)에 있어서 본체부(2)의 양단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는, 본체부(2)의 가로 방향(W)의 길이보다도 짧다. 흡수 코어(30)는, 본체부(2)의 가로 방향(W)의 중앙에 배치되고, 본체부(2)의 가로 방향(W)의 외측부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흡수 코어(30)는, 세로 방향(Z)에 있어서 본체부(2)의 양단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즉,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길이보다도 짧아도 된다. 흡수 코어(30)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중앙에 배치되고,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외측부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흡수 코어(30)는,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S3)과 복측 영역(S1)에 걸쳐 배치되고, 등측 영역(S2)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의 중심(CZ30)은, 기저귀의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복측에 위치해도 된다. 흡수 코어(30)는, 후술하는 꼬리 구멍(70)과 세로 방향(Z)으로 이격하여, 꼬리 구멍(70)보다도 복측에 위치해도 된다. 흡수 코어(30)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면 시트(20)는, 본체부(2)에 있어서 착용 시에 외측에 위치하는 외면(2Q)에 배치되어 있다. 이면 시트(20)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필름(21)과, 이면 필름(21)보다도 이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부직포(22)를 가져도 된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 이면 시트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필름과, 이면 필름(21)보다도 내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부직포를 가져도 된다. 이면 필름(21)의 가로 방향(W)의 길이는, 이면 부직포(22)의 가로 방향(W)의 길이보다도 짧아도 된다. 즉, 이면 부직포(22)는, 이면 필름(21)보다도 가로 방향(W)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와도 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일단부인 본체 제 3 단부(63)에 있어서, 본체부(2)보다도 가로 방향(W)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패스닝 테이프(90)는, 본체 제 3 단부(63)에 있어서, 본체부(2)의 제 1 단 가장자리(61E) 및 제 2 단 가장자리(62E)보다도 가로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복측 영역(S1)과 등측 영역(S2)을 접합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본체부(2)에 접합된 기재 시트(91)와, 기재 시트(91) 상에 설치되고, 본체부(2)의 외면(2Q)에 접합 가능한 접합부(92)를 가져도 된다. 접합부(92)는, 패스닝 테이프(90)의 표면측(T1)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접합부(92)는, 메커니컬 패스너여도 되고, 본체부(2)의 외면(2Q)에 설치된 타겟부(45)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타겟부(45)의 적어도 일부는, 등측 영역(S2)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타겟부(45)는, 등측 영역(S2)과 가랑이 아래 영역(S3)에 걸쳐 있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 본체부(2)는, 타겟부(45)를 구비하지 않고, 접합부(92)는, 본체부(2)의 외면(2Q)측의 이면 시트(20)에 접합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접합부는, 본체 제 4 단부(64)에 있어서, 본체부(2)보다도 가로 방향(W)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도 된다.
고양이용 기저귀(1)의 본체부(2)에는, 꼬리 구멍(70)이 설치되어도 된다. 꼬리 구멍(70)은,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71)를 가져도 된다. 꼬리 구멍(70)을 갖는 기저귀에 있어서는, 본체 제 4 단부(64)에 의해 고양이의 둔부 및 등을 덮을 때에, 꼬리 구멍(70)의 구멍 본체부(71)에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시켜도 된다. 구멍 본체부(71)는, 반원형의 슬릿이어도 된다. 구멍 본체부(71)는, 연속한 슬릿이어도 되고, 미싱눈 등,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가 인열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꼬리 구멍(70)은, 구멍 본체부(71)의 치수를 확대하기 위한 슬릿부(72)를 가져도 된다. 슬릿부(72)는, 미싱눈 등,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가 인열 가능한 구성이어도 되고, 고양이의 종류 및 성장 과정에 따라 구멍 본체부(71)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슬릿부는, 꼬리 구멍(70)의 가로 방향(W)의 중심에 대한 좌우 각각에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슬릿부(72)는, 꼬리 구멍(70)의 가로 방향(W)의 중심에 대한 좌우 각각에 1개씩 설치되어 있어도 되며, 2개 이상씩 설치되어 있어 복수 단계에서 꼬리 구멍(70)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구멍 본체부(71) 및 슬릿부(72)는,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가 절단된 부분이어도 된다.
고양이용 기저귀(1)를 고양이에게 장착할 때에는, 본체 제 3 단부(63)(접합부(92)가 설치된 측의 단부)를 고양이의 배에 맞댄다. 이때, 본체 제 4 단부(64)를 고양이의 양다리 사이를 통과시키고, 또한 고양이 후측으로 꺼내 놓는다. 그리고,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중앙을 고양이의 배뇨구에 맞대면서, 고양이의 꼬리를, 꼬리 구멍(70)을 통과시켜 기저귀의 이면측(T2)으로 꺼내 놓는다. 본체 제 4 단부(64)에 의해 고양이의 둔부 및 등을 덮는다. 이어서, 접합부(92)를 고양이의 등측으로 인장하여, 등측에 위치하는 본체 제 4 단부(64)의 타겟부(45)의 외면에 접합부(92)를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양이의 배, 등, 및 가랑이 아래를 덮도록 고양이용 기저귀(1)를 장착할 수 있다. 즉, 고양이용 기저귀(1)는, 고양이의 복측에서부터 가랑이 아래를 지나 등측까지 덮도록 장착된다.
또, 종래 기술의 펫용 기저귀(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7-131160호 공보)는, 개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고, 고양이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출원인이 예의 조사한 결과, 고양이에 있어서의 다리 둘레의 형상과, 개에 있어서의 다리 둘레의 형상은, 크게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의 다리의 사타구니 근방에서는, 뼈 둘레의 살집이 비교적 적다. 또, 납죽 엎드린 상태에 있어서의 개의 다리는, 관절에서 약간 구부러져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곧게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고양이의 다리의 사타구니 근방에서는, 뼈 둘레의 살집이 개와 비교하면 많다. 또, 납죽 업드린 상태에 있어서의 고양이의 다리는, 관절에서 크게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이, 고양이는, 다리의 사타구니의 살집이 많고, 또 사타구니의 관절이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개와 비교하여 다리의 사타구니에 기저귀를 피트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다리의 사타구니에 기저귀가 피트하지 않으면, 착용 과정에서 어긋나거나 벗겨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는,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대해 피트함으로써, 착용 시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대해 피트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고양이 및 개의 신체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고양이의 신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b)는 개의 신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둘레 개구부(5)는, 복측에 있어서 본체부(2)의 외측 가장자리(2E)에서부터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측변(51)과, 등측에 있어서 본체부(2)의 외측 가장자리(2E)에서부터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등측변(52)과, 복측변(51)과 등측변(52)을 연결하고, 세로 방향(Z)으로 연장되는 세로측변(53)을 가져도 된다. 세로측변(53)이 직선상이고, 또한 복측변(51) 및 등측변(52)이 곡선상인 형태에 있어서는, 복측변(51)과 세로측변(53)의 경계는, 직선과 곡선의 경계여도 된다. 또, 복측변(51), 등측변(52), 및 세로측변(53)이 모두 곡선상인 형태에 있어서는, 곡률이 변화하는 개소를 경계로 해도 된다. 또, 곡률이 변화하는 경계가 복수 존재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가로 방향(W)에 대해 45 이하의 각도로 연장되는 부분을 복측변(51) 및 등측변(52)으로 하고, 세로 방향(Z)에 대해 45 미만의 각도로 연장되는 부분을 세로측변(53)으로 하여 경계를 설정해도 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가 일정한 곡률 반경의 원호 형상인 경우에는, 원호의 곡률 반경의 중심을 지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과 다리 둘레 개구부(5)의 교점이, 복측변(51)과 세로측변(53)의 경계 또는 등측변(52)과 세로측변(53)의 경계여도 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5)가 곡률 반경이 변화하는 타원의 원호 형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곡률 반경의 중심을 지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과 다리 둘레 개구부(5)의 교점이, 복측변(51)과 세로측변(53)의 경계 또는 등측변(52)과 세로측변(53)의 경계여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변(51)의 세로 방향(Z)의 길이를 a로 하고, 복측변(51)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b로 하면, a<b를 만족시키면 좋다. 복측변(51)의 세로 방향(Z)의 길이(a)는, 바꿔 말하면, 다리 둘레 개구부(5)의 복측의 단 가장자리와, 세로측변(53)과의 세로 방향(Z)의 거리이다. 복측변(51)의 가로 방향(W)의 길이(b)는, 바꿔 말하면, 제 1 단 가장자리(61E)와, 세로측변(53)의 복측의 단 가장자리와의 가로 방향(W)의 거리이다. 고양이에게 기저귀를 장착할 때에는, 복측 영역(S1)을 고양이의 복측에 맞대고, 가랑이 아래 영역(S3)을 고양이의 가랑이 아래에 맞대는 동시에, 등측 영역(S2)을 고양이의 등측에 맞댄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복측 영역(S1) 및 등측 영역(S2)을 고정 부착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 상태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부(5)가 고양이 뒷다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다리 둘레 개구부(5)의 복측변(51)은, 고양이 뒷다리의 복측의 면에 닿는다. 복측변(51)의 가로 방향(W)의 길이(b)가 복측변(51)의 세로 방향(Z)의 길이(a)보다도 길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해 다리 둘레 개구부(5)가 피트할 때에, 세로 방향(Z)의 길이가 짧은 범위 내에서 가로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b인 경우에는, 복측변(51)의 세로 방향(Z)의 길이와 가로 방향(W)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세로 방향(Z)의 긴 범위 내에서 서서히 가로 방향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느슨하게 피트하기 쉽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원인이 예의 조사한 결과, 고양이에 있어서의 다리 둘레의 형상과, 개에 있어서의 다리 둘레의 형상은, 크게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의 다리의 사타구니 근방에서는, 뼈 둘레의 살집이 비교적 적다. 또, 납죽 엎드린 상태에 있어서의 개의 다리는, 관절에서 약간 구부러져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곧게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고양이의 다리의 사타구니 근방에서는, 뼈 둘레의 살집이 개와 비교하면 많다. 또, 납죽 엎드린 상태에 있어서의 고양이의 다리는, 관절에서 크게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이, 고양이는, 다리의 사타구니에 살집이 많고, 또 사타구니의 관절이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개와 비교하여 다리의 사타구니에 기저귀를 피트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다리의 사타구니에 기저귀가 피트하지 않으면, 착용 과정에서 어긋나거나 벗겨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a<b를 만족시킴으로써, 세로 방향(Z)의 짧은 범위 내에서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국소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해 타이트하게 피트시키기 쉽다. 다리 둘레에 타이트하게 피트시킴으로써, 살집이 비교적 많거나 관절이 구부러져 있거나 하여 다리 둘레에 타이트하게 피트시키기 어려운 고양이에 대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 다리 둘레에 대해 타이트하게 피트시키기 쉬워, 착용 과정에서 벗겨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패스닝 테이프(90)와 세로측변(53)의 세로 방향(Z)의 거리를 c로 하고, 복측변(51)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b로 하면, c<b를 만족시키면 좋다. 패스닝 테이프(90)와 세로측변(53)의 세로 방향(Z)의 거리(c)는, 바꿔 말하면, 복측변(51)과 세로측변(53)의 경계와, 패스닝 테이프(90)의 등측의 단 가장자리와의 세로 방향(Z)의 거리이다. 기저귀를 고양이에게 장착할 때에는, 패스닝 테이프(90)를 가로 방향으로 인장하여, 타겟부(45) 등에 접합한다. 이때, 다리 둘레 개구부(5)의 복측변(51)측이 가로 방향(W)으로 인장되어, 양쪽의 뒷다리 사이로부터 뒷다리를 통과하여 등측으로 연장되는 라인은, 세로측변(53)과 패스닝 테이프(90)를 연결하는 세로 방향(Z)으로 연장되는 라인에 의해 구성된다. 거리(c)가 복측변(51)의 가로 방향(W)의 길이(b)보다도 짧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해 다리 둘레 개구부(5)가 피트할 때에, 세로 방향(Z)의 길이가 짧은 범위 내에서 가로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세로 방향(Z)의 짧은 범위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해 타이트하게 피트시키기 쉽다. 다리 둘레에 타이트하게 피트시킴으로써, 착용 과정에서 벗겨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길이를 d로 하면, d에 대한 복측변(51)의 세로 방향(Z)의 길이(a)의 비율은, 10% 이하이면 좋다.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길이(d)는, 바꿔 말하면, 제 3 단 가장자리(63E)와 제 4 단 가장자리(64E)의 세로 방향(Z)의 거리이다. 또한,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길이는, 고양이용 기저귀(1)의 세로 방향(Z)의 전체 길이이어도 된다. 본체부(2) 전체에 대한 복측변(51)의 세로 방향의 길이(a)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대한 세로 방향(Z)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세로 방향(Z)의 어긋남량이 많아지는 것에 기인하여 기저귀가 착용 시에 벗겨지거나, 다리의 전후의 움직임을 저해하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복측변(51)과 타겟부(45)의 세로 방향의 거리를 e로 하면,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길이(d)에 대한 e의 비율은, 60% 이상이면 좋다. 복측변(51)과 타겟부(45)의 세로 방향의 거리는, 바꿔 말하면, 복측변(51)과 세로측변(53)의 경계와 타겟부(45)의 세로 방향의 거리이다. 세로 방향(Z)에 있어서 복측변(51)과 타겟부(45) 사이의 영역은, 패스닝 테이프(90)를 타겟부(45) 등에 고정 부착한 상태에서, 복측에서부터 등측에 걸쳐 신체를 덮고 있으며, 신체의 움직임이나 피부의 신축에 추종하여 변형하는 영역이다. 본체부(2) 전체에 대한 e의 길이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고양이의 움직임 등에 따라 변형하는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출원인이 예의 조사한 결과, 고양이와 개에서 평상시의 신체의 움직이는 방법이 크게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는, 지면을 달리는 등, 평면 방향의 움직임이 많고, 고양이는, 개와 비교하여, 점프하거나 뛰어내리거나 하는 등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직 방향으로 신체를 움직이려고 하면, 뒷다리를 굽힌 상태에서 단번에 늘리거나, 다리의 굴신과 함께 배를 움푹 들어가게 한 상태 및 등을 둥글게 만 상태에서 늘리거나 하여, 복부, 둔부 및 다리 둘레의 피부의 신축량이 커지기 쉽다. e의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신체를 움직였을 때에 기저귀를 추종시킬 수 있어, 기저귀가 의도치 않게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꼬리 구멍(70)의 등측의 단 가장자리와 타겟부(45)의 세로 방향(Z)의 거리를 f로 하면,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길이(d)에 대한 f의 비율은, 20% 이상이면 좋다. 꼬리 구멍(70)의 등측의 단 가장자리와 타겟부(45)의 세로 방향(Z)의 거리(f)는, 패스닝 테이프(90)를 타겟부(45)에 고정 부착한 상태에서, 꼬리 구멍(70)에서부터 등측에 걸친 영역을 덮는 영역의 길이이며, 등측에 있어서의 신체의 움직임이나 피부의 신축에 추종하여 변형하는 영역의 길이이다. 고양이는, 개와 비교하여, 등을 둥굴게 하여 늘림을 하거나, 등을 둥굴게 하여 앉거나, 등을 둥글게 하는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등을 둥굴게 한 자세를 취하거나, 등을 늘린 자세를 취하거나 하면, 등의 움직임이나 피부의 신축량이 크다. 본체부(2) 전체에 대한 f의 길이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고양이의 움직임 등에 따라 변형하는 영역을 등측에 있어서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기저귀를 등측의 움직임에 추종시켜, 기저귀가 의도치 않게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적합하게는, 꼬리 구멍(구멍 본체부(71)+슬릿부(72))(70)과 타겟부(45)의 세로 방향(Z)의 거리(f)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Z)의 길이(d)에 대한 20% 이상이면 좋다. 꼬리 구멍(구멍 본체부(71)+슬릿부(72))(70)과 타겟부(45)의 세로 방향(Z)의 거리(f)는, 슬릿부(72)에 의해 꼬리 구멍의 개구를 확대한 상태에 있어서 등측에서의 신체의 움직임이나 피부의 신축에 추종하여 변형하는 영역의 길이이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슬릿부(72)에 의해 꼬리 구멍(70)의 치수를 크게 한 경우라도, 고양이의 움직임 등에 따라 변형하는 영역을 등측에 있어서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기저귀를 등측의 움직임에 추종시켜, 기저귀가 의도치 않게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멍 본체부(71)의 세로 방향(Z)의 최대 길이를 g로 하면, 복측변(51)과 타겟부(45)의 세로 방향(Z)의 거리(e)에 대한 g의 비율은, 3.50% 이하이면 좋다. 개는, 비교적 좌우 방향으로 꼬리를 움직이는 경우가 많고, 고양이는, 비교적 상하 방향으로 꼬리를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고양이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구멍 본체부(71)가 세로 방향으로 인장되어, 기저귀가 세로 방향(Z)으로 어긋나기 쉽다. 이때, 가동 영역에 대한 구멍 본체부(71)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구멍 본체부(71)를 통하여 기저귀가 세로 방향(Z)으로 어긋나는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꼬리 구멍의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를 h로 하면, 복측변(51)과 타겟부(45)의 세로 방향(Z)의 거리(e)에 대한 h의 비율은, 5.5% 이하이면 좋다. 꼬리 구멍(70)의 세로 방향(Z)의 최대 길이(h)는, 꼬리 구멍(구멍 본체부(71)+슬릿부(72))(70)의 세로 방향(Z)의 최대 길이이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슬릿부(72)에 의해 꼬리 구멍(70)의 치수를 크게 한 경우에 있어서, 가동 영역에 대한 꼬리 구멍(70)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비율을 낮게 하여, 꼬리 구멍(70)을 통하여 기저귀가 세로 방향(Z)으로 어긋나는 양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에 대한 구멍 본체부(71)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의 비율은, 35% 이상이면 좋다. 착용 시에 꼬리 구멍(70)에 꼬리를 삽입함으로써, 꼬리를 통하여 꼬리 구멍(70)의 구멍 본체부(71)를 가로 방향(W)으로 인장할 수 있고, 흡수 코어(30)에는, 가로 방향(W)으로 신장되는 힘이 가해진다.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으로 넓혀 흡수 코어(30)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고, 착용 시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확보하기 쉽다. 특히 고양이는, 개와 비교하여, 몸통 둘레 치수에 대한 꼬리의 지름의 비율이 높다. 따라서, 꼬리를 통하여 흡수 코어(30)의 비틀림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기 쉽다. 흡수 코어(30)의 비틀림을 넓힐 수 있고, 착용 시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확보하기 쉽다. 또,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에 대한 구멍 본체부(71)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구멍 본체부(71)를 통하여 흡수 코어(30)를 넓히는 힘이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 전역으로 전달되기 쉽다. 흡수 코어(30)의 변형에 기인하여 피트성이 저하되기 어려워,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 시에 고양이가 다리를 움직이기 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적합하게는,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에 대한 꼬리 구멍(구멍 본체부(71)+슬릿부(72))(7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의 비율은, 40% 초과이면 좋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슬릿부(72)에 의해 꼬리 구멍(70)의 치수를 크게 한 경우에 있어서,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구멍 본체부(71)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꼬리 구멍(70)을 통하여 흡수 코어(30)를 넓히는 힘이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 전역으로 보다 전달되기 쉽다. 또, 꼬리 구멍(70)은, 흡수 코어(30)의 등측에 위치하는 등외단 가장자리(R30)보다도 등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꼬리 구멍(70)이 흡수 코어(30)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꼬리를 통하여 꼬리 구멍(70)을 가로 방향(W)으로 인장하는 힘이 흡수 코어(30)의 강성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그 때문에, 꼬리를 통하여 흡수 코어(30)의 비틀림을 저감하는 효과를 보다 얻기 쉽다.
이어서, 도 5에 의거하여 흡수 코어(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흡수 코어(30)의 확대 평면도이다. 흡수 코어(30)는,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31)를 가져도 된다. 잘록부(31)는,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30E)에서부터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는 부분이다.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는, 잘록부(31)에 있어서 가장 가로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잘록부(31)의 외측 가장자리(31E)는, 잘록부(31)에 있어서 가장 가로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30E)에 일치해도 된다. 잘록부(31)의 가로 방향(W)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복측의 단 가장자리(P311)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중심(CZ30)보다도 등측에 위치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가 세로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는, 복측의 단 가장자리(P311)는, 점이며,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등측의 단 가장자리(P312)와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의 세로 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복측의 단 가장자리(P311)는, 세로 방향(Z)으로 연장되는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 가장 복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이고, 등측의 단 가장자리(P312)와 세로 방향(Z)으로 이격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 상태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부(5)가 고양이 뒷다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흡수 코어(30)의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는, 뒷다리에서부터 둔부에 걸쳐 다리 폭(양다리끼리의 간격)이 가장 좁아지는 부분(105)(도 4 참조)을 중심으로 하여 피트한다. 이때, 종래의 개와 고양이의 겸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복측의 단 가장자리(P311)가,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중심(CZ30) 또는 복측에 편의(偏倚)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고양이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복부의 피부의 신축량이 커진 경우에, 흡수 코어(30)를 계속 추종시킬 수 없어, 기저귀가 어긋나거나 벗겨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고양이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뒷다리를 굽히거나 늘리거나 하면,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105)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30)가 반복하여 변형되어, 신체를 계속 덮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출원인이 고양이의 착용 상태를 관찰한 결과,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105)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는, 복측의 단 가장자리(P311)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의 길이에 상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잘록부(31)의 가로 방향(W)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복측의 단 가장자리(P311)가 흡수 코어의 세로 방향(Z)의 중심(CZ30)보다도 등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105)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직 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다리를 반복하여 전후로 움직인 경우라도 흡수 코어(30)에 의해 신체를 덮을 수 있다. 또,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105)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복부의 피부의 신축량이 커진 경우라도 흡수 코어를 계속 추종시킬 수 있어,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의 세로 방향(Z)의 길이(Z31D)(도 7 참조)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Z30)에 대한 30% 이하이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는, 점상이며, 내측 가장자리(31D)의 세로 방향(Z)의 길이는, 한없이 0에 가까운 값이다. 고양이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면, 착지 등의 충격이나 피부의 세로 방향의 신축에 기인하여, 기저귀가 세로 방향(Z)으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이때,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의 길이가 30% 이하이기 때문에,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105)에 대해 피트한 상태에서 세로 방향(Z)의 어긋남량이 흡수 코어의 30% 이하가 된다. 설령, 충격 등으로 기저귀가 어긋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기저귀를 신체에 대해 덮을 수 있다. 또, 내측 가장자리(31D)의 세로 방향(Z)의 길이(Z31D)는, 잘록부(31)의 세로 방향(Z)의 길이(Z31)에 대한 40% 이하이면 좋다. 잘록부(31) 내에 있어서 내측 가장자리(31D)가 차지하는 세로 방향(Z)의 길이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기저귀의 세로 방향(Z)의 어긋남량을 억제할 수 있다.
잘록부(31)는, 복측에 위치하는 복기단 가장자리(311), 등측에 위치하는 등기단 가장자리(312), 및 내측 가장자리(31D)를 연결하는 측 가장자리(33)를 갖고 있다. 복기단 가장자리(311)는, 잘록부(31)에 있어서 가장 복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이고, 등기단 가장자리(312)는, 잘록부(31)에 있어서 가장 등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이다. 측 가장자리(33)는, 복기단 가장자리(311)에서부터 내측 가장자리(31D)로 연장되는 복측 가장자리(F33)와, 등기단 가장자리(312)에서부터 내측 가장자리(31D)로 연장되는 등측 가장자리(R33)를 갖는다. 복측 가장자리(F33)와 등측 가장자리(R33)는, 가로 방향(W)으로 연장되는 가로 가상선에 대해 대칭이 아니라, 비대칭이어도 된다. 복측 가장자리(F33)는, 복기단 가장자리(311)에서부터 등측을 향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SF33)과,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SF33)과 내측 가장자리(31D)를 곡선상으로 연결하는 부분(CF33)을 갖는다.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SF33)은, 세로 방향(Z)에 대해 각도 α 경사져 있다. 각도 α는, 곡선상으로 연결하는 부분(CF33)의 세로 방향(Z)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도 작다. 또, 복측 가장자리(F33)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SF33)의 세로 방향(Z)의 길이는, 곡선상으로 연결하는 부분(CF33)의 세로 방향(Z)의 길이보다도 짧다. 따라서, 복측 가장자리(F33)는, 잘록부(31) 중 세로 방향(Z)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서 완만하게 가로 방향(W)으로 움푹 들어가고, 잘록부(31)의 세로 방향(Z)의 짧은 범위에서 가로 방향(W)으로 국소적으로 움푹 들어가는 형상이다. 그 때문에,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Z)의 어긋남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등측 가장자리(R33)는, 등기단 가장자리(312)에서부터 내측 가장자리(31D)를 향해 곡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잘록부(31)의 가로 방향(W)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WL31)이, 복측 가장자리(F33)와 교차하는 제 1 교차점(P1)과, 가상선(WL31)이, 등측 가장자리(R33)와 교차하는 제 2 교차점(P2)과의 거리(G12)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Z30)에 대한 40% 미만이면 좋다. 제 1 교차점(P1)과 제 2 교차점(P2)의 거리(G12)는, 잘록부(31)의 가로 방향(W)의 중심에 있어서의 잘록부(31)의 세로 방향(Z)의 길이이며, 흡수 코어(30)가 뒷다리에 밀착되지 않고 세로 방향(Z)으로 흡수 코어가 어긋나기 쉬운 범위의 길이가 된다. 제 1 교차점(P1)과 제 2 교차점(P2)의 거리(G12)가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Z30)에 대한 40% 미만인 것에 의해, 뒷다리의 주위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Z)의 어긋남량이 흡수 코어(30)의 40% 이하로 억제되기 쉽다. 설령, 충격 등으로 기저귀가 세로 방향(Z)으로 어긋나는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기저귀를 신체에 대해 덮을 수 있다.
흡수 코어(30)의 잘록부(31)에 있어서 복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측 가장자리(F33)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 가장자리(31D)에서부터 복측을 향해 가로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측 가장자리(F33) 중, 복기단 가장자리(311)에서부터 등측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SF33) 및 곡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CF33)은, 각각 내측 가장자리(31D)에서부터 복측을 향해 가로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짧게 하여, 고양이의 양다리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짧은 부분에 흡수 코어(30)를 피트시키기 쉽다. 특히, 고양이는, 개보다도 다리 폭이 좁고,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고양이의 체형에 보다 적합하게 피트시킬 수 있다. 또,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서부터 복측을 향해 가로 방향(W)의 길이가 길어져 있기 때문에,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짧게 하면서도, 복측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다리 둘레 개구부(5)의 세로측변(53)은,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향해 가로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향해 가로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내측 가장자리(31D)보다도 복측의 영역에서부터 내측 가장자리보다도 등측의 영역을 걸치고 있다. 다리 둘레 개구부(5)의 세로측변(53)은, 등측에서부터 복측을 향해 가로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와 반대의 경사가 된다. 그 때문에,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짧게 한 부분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부(5)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길게 설치할 수 있어, 기저귀 전체로서 몸통 둘레를 계속 덮어, 누설이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 코어(30)는, 복측에 위치하는 복외단 가장자리(F30)와, 등측에 위치하는 등외단 가장자리(R30)를 갖는다. 복외단 가장자리(F30)는, 흡수 코어(30)에 있어서 가장 복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이고, 등외단 가장자리(R30)는, 흡수 코어(30)에 있어서 가장 복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이다. 복외단 가장자리(F30)와 제 1 교차점(P1)의 거리(GF30)는, 등외단 가장자리(R30)와 제 2 교차점(P2)과의 거리(GR30)보다도 길어도 된다. 제 1 교차점(P1)과 제 2 교차점(P2)은, 잘록부(3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W)의 중심에 위치하고, 고양이의 뒷다리의 가로 방향(W)의 중심에 닿기 쉽다. 잘록부(3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W)의 중심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가, 잘록부(3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W)의 중심보다도 등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보다도 길다. 뒷다리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복부의 피부의 신축량이 커진 경우라도 흡수 코어(30)를 계속 추종시킬 수 있어,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 뒷다리보다도 복측으로 연장되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중심(CZ30)보다도 복측에 위치해도 된다.
흡수 코어(30)는,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중심(CZ30)보다도 복측에 위치하는 복측 영역(RF30)과, 흡수 코어(30)의 세로 방향(Z)의 중심(CZ30)보다도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 영역(RR30)을 갖는다. 복측 영역(RF30)의 면적은, 등측 영역(RR30)의 면적보다도 커도 된다. 암컷 개의 배뇨구(201F)는, 등측 영역(RR30)에 맞닿기 쉽고, 수컷 개의 배뇨구(201M)는, 복측 영역(RF30)에 닿기 쉽다. 한편, 고양이의 배뇨구(101)는, 수컷의 경우도 암컷의 경우도, 등측 영역(RR30)에 닿기 쉽다. 고양이의 기저귀에 있어서, 복측 영역(RF30)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등측 영역(RR30)에서 복측 영역(RF30)으로 확산되는 체액을 홀딩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음수량이 적기 때문에, 비뇨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비뇨기 질환에 걸리면, 다음다뇨의 증상이 발생하기 쉽다. 다뇨가 된 경우는, 흡수 코어(30)의 복측 영역(RF30)으로 확산이 넓어지는 경향이 보다 현저해진다. 복측 영역(RF30)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다뇨가 된 경우에 있어서도 등측 영역(RR30)에서 복측 영역(RF30)으로 확산되는 체액을 홀딩할 수 있다.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WD30)는, 등측 영역(RR30)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80% 이하이면 좋다.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WD30)는, 좌우의 내측 가장자리(31D) 사이의 거리이다. 등측 영역(RR30)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30E) 사이의 거리이다. 흡수 코어(30)의 등측 영역(RR30)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와,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와의 차이를 크게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양이의 배뇨구(101)는, 수컷의 경우도 암컷의 경우도, 등측 영역(RR30)에 닿기 쉽다. 고양이의 기저귀에 있어서, 등측 영역(RR30)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등측 영역(RR30)의 흡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고양이는, 개와 비교하여, 배뇨구(101)와 꼬리(102)의 거리가 짧아, 꼬리 구멍(70)에서부터 체액이 누설되기 쉽다. 등측 영역(RR30)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등측 영역(RR30)의 흡수 용량을 확보하여, 꼬리 구멍(70)으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고양이는, 일반적으로, 개와 비교하여 체형의 개체차가 적고, 또 다리 폭이 가장 좁아지는 부분(105)의 다리 폭이 짧다.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WD30)를 짧게 함으로써, 다리 폭이 가장 짧아지는 부분(105)에 적절하게 기저귀 피트시킬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꼬리 구멍(7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M70)는,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WD30)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꼬리 구멍(7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M30)는, 슬릿부(72)를 갖는 꼬리 구멍(70)에 있어서는, 구멍 본체부(71)와 슬릿부(72)를 합친 영역의 가로 방향(W)의 길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장 가로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슬릿부(72)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이다. 착용 시에 꼬리 구멍(70)에 꼬리(102)를 삽입함으로써, 꼬리를 통하여 꼬리 구멍(70)을 가로 방향(W)으로 인장할 수 있고, 흡수 코어(30)에는, 가로 방향(W)으로 신장되는 힘이 가해진다.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으로 넓혀 흡수 코어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고, 착용 시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를 확보하기 쉽다. 특히 고양이는, 개와 비교하여, 몸통 둘레 치수에 대한 꼬리의 지름의 비율이 높다. 따라서, 꼬리를 통하여 흡수 코어(30)의 비틀림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기 쉽다. 꼬리 구멍(70)의 가로 방향(W)의 최대 길이(M70)가 잘록부(31)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WD30) 이상이기 때문에, 꼬리 구멍(70)의 가로 방향(W) 전역에 걸쳐 흡수 코어(30)를 넓히는 힘이 작용했을 때에, 잘록부(31)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전역을 넓힐 수 있다. 또, 꼬리 구멍(70)이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는 것에 의해, 가로 방향(W)의 외측에서부터 흡수 코어(30)를 인장할 수 있어, 흡수 코어(30)의 비틀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꼬리 구멍(70)은, 흡수 코어(30)의 등측에 위치하는 등외단 가장자리(R30)보다도 등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즉, 꼬리 구멍(70)과 흡수 코어(30)는, 세로 방향(Z)에 있어서 이격해도 된다. 꼬리 구멍(70)이 흡수 코어(30)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꼬리를 통하여 꼬리 구멍(70)을 가로 방향(W)으로 인장하는 힘이 흡수 코어(30)의 강성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그 때문에, 꼬리를 통하여 흡수 코어(30)의 비틀림을 저감하는 효과를 보다 얻기 쉽다.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잘록부(31)와 겹치는 영역에는, 코어 랩(32)끼리가 겹쳐지는 중첩부(R32)(도 1 참조)가 설치되어도 된다. 중첩부(R32)는, 흡수 코어(30)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코어 랩(32)끼리가 맞닿는 영역이다. 잘록부(31)는, 흡수 코어(30)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 흡수 코어(30)가 배치된 영역과 비교하여, 그 강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러나, 중첩부(R32)에 코어 랩(32)을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잘록부(31) 근방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흡수 코어(30)의 잘록부(31)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어, 피트성을 유지할 수 있다.
기저귀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방루 개더(15)의 고정부(17)의 가로 방향(W)의 내측 가장자리(17D)는,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보다도 가로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방루 개더(15)는, 고정부(17)를 기점으로 하여 기립부(16)가 일어나는 동시에, 흡수 코어(30)의 강성차에 의해 흡수 코어(30)를 기점으로 기립부(16) 및 고정부(17) 전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잘록부(31)가 설치된 영역에 있어서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보다도 가로 방향(W)의 외측에 고정부(17)의 내측 가장자리(17D)가 있기 때문에,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기립부(16) 및 고정부(17) 전체가 일어난다. 잘록부(31)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흡수 코어(30)의 가로 방향(W)의 길이가 비교적 짧아, 흡수 코어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체액이 유도될 우려가 있지만, 기립부(16)가 일어나는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변형예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1X)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변형예에 관한 고양이용 기저귀(1X)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흡수 코어(30X)의 평면도이다. 변형예에 관한 흡수 코어(30X)의 잘록부(31)의 내측 가장자리(31D)는, 세로 방향(Z)으로 연장되는 일정의 범위로 설치되어 있다. 변형예에 관한 잘록부(31)는, 복측에 위치하는 복기단 가장자리(311), 등측에 위치하는 등기단 가장자리(312), 및 내측 가장자리(31D)를 연결하는 측 가장자리(33)를 갖고 있다. 측 가장자리(33)는, 복기단 가장자리(311)에서부터 내측 가장자리(31D)로 연장되는 복측 가장자리(F33)와, 등기단 가장자리(312)에서부터 내측 가장자리(31D)로 연장되는 등측 가장자리(R33)를 갖는다. 복측 가장자리(F33)와 등측 가장자리(R33)는, 가로 방향(W)으로 연장되는 가로 가상선에 대해 대칭이 아니다. 복측 가장자리(F33)는, 복기단 가장자리(311)에서부터 등측으로 곡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CF33)과, 곡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CF33)과 내측 가장자리(31D)를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부분(SF33)을 갖는다.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SF33)은, 세로 방향(Z)에 대해 각도 α 경사져 있다. 각도 α는, 곡선상으로 연결하는 부분(CF33)의 세로 방향(Z)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도 작고, 대략 0도에 가까운(5도 이하) 각도이다. 또, 복측 가장자리(F33)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SF33)의 세로 방향(Z)의 길이는, 곡선상으로 연결하는 부분(CF33)의 세로 방향(Z)의 길이보다도 길다. 또, 등측 가장자리(R33)는, 등기단 가장자리(312)에서부터 내측 가장자리(31D)를 향해 곡선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이상, 상술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아무런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2019년 11월 2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9-212723호의 전체 내용 및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9-212729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착용 시에 어긋나기 어려운 고양이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1, 1X: 고양이용 기저귀 2: 본체부
5: 다리 둘레 개구부 51: 복측변
52: 등측변 53: 세로측변
10: 표면 시트 15: 방루 개더
16: 기립부 17: 고정부
20: 이면 시트 30, 30X: 흡수 코어
F30: 복외단 가장자리 R30: 등외단 가장자리
31: 잘록부 311: 복기단 가장자리
312: 등기단 가장자리 70: 꼬리 구멍
71: 구멍 본체부 72: 슬릿부
90: 패스닝 테이프 RF30: 복측 영역
RR30: 등측 영역 S1: 복측 영역
S2: 등측 영역 S3: 가랑이 아래 영역
T: 두께 방향 W: 가로 방향
Z: 세로 방향

Claims (19)

  1.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고양이의 복측(腹側)에서부터 등측(背側)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고양이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잘록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복측의 단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에 위치하고 있는, 고양이용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잘록부는, 복측에 위치하는 복기단(腹基端) 가장자리, 등측에 위치하는 등기단(背基端) 가장자리, 및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 가장자리를 갖고 있고,
    상기 잘록부의 가로 방향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복기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내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복측 가장자리와 교차하는 제 1 교차점과, 상기 가상선이, 상기 등기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내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등측 가장자리와 교차하는 제 2 교차점과의 거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에 대한 40% 미만인, 고양이용 기저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복측에 위치하는 복외단(腹外端)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교차점과의 거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등측에 위치하는 등외단(背外端)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교차점과의 거리보다도 긴, 고양이용 기저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복측에 위치하는 복측 영역과,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 영역을 갖고,
    상기 복측 영역의 면적은, 상기 등측 영역의 면적보다도 큰, 고양이용 기저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복측에 위치하는 복측 영역과,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중심보다도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 영역을 갖고,
    상기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는, 상기 등측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50% 이하인, 고양이용 기저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꼬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꼬리 구멍의 상기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는, 상기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 이상인, 고양이용 기저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 및 비피부 대향면을 덮는 코어 랩을 갖고,
    상기 잘록부와 겹치는 영역에는, 상기 코어 랩끼리가 겹치는 중첩부가 설치되어 있는, 고양이용 기저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보다도 피부측에 위치하는 기립성의 방루(防漏) 개더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방루 개더는, 기립 가능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립부의 기립 지점(支點)이 되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잘록부의 내측 가장자리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양이용 기저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잘록부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에 대한 30% 이하인, 고양이용 기저귀.
  10.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펫(pet)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고양이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는, 상기 복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측변과, 상기 등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등측변과, 상기 복측변과 상기 등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측변을 갖고 있으며,
    상기 복측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a로 하고, 상기 복측변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를 b로 하면, a<b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기저귀.
  11. 고양이의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고, 펫의 복측에서부터 등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흡수 코어를 가지며, 복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및 등측 영역에 걸치는 본체부와,
    상기 고양이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복측 영역과 상기 등측 영역을 접합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고양이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는, 상기 복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측변과, 상기 등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등측변과, 상기 복측변과 상기 등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측변을 갖고 있으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세로측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c로 하고, 상기 복측변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를 b로 하면, c<b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기저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d로 하면,
    d에 대한 상기 a의 비율은, 10% 이하인, 고양이용 기저귀.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복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등측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 부착되는 타겟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측변과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e로 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d로 하면,
    d에 대한 상기 e의 비율은, 60% 이상인, 고양이용 기저귀.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를 갖는 꼬리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복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등측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 부착되는 타겟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꼬리 구멍의 등측의 단 가장자리와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f로 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를 d로 하면,
    d에 대한 f의 비율은, 20% 이상인, 고양이용 기저귀.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를 갖는 꼬리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복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등측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 부착되는 타겟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측변과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e로 하고, 상기 구멍 본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를 g로 하면,
    상기 e에 대한 g의 비율은, 3.50% 이하인, 고양이용 기저귀.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와, 꼬리 구멍의 치수를 확대하기 위한 슬릿부를 갖는 꼬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복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등측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 부착되는 타겟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측변과 상기 타겟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거리를 e로 하고, 상기 꼬리 구멍의 상기 세로 방향의 최대 길이를 h로 하면,
    상기 e에 대한 h의 비율은, 5.5% 이하인, 고양이용 기저귀.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고양이의 꼬리를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 본체부를 갖는 꼬리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 코어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상기 구멍 본체부의 가로 방향의 최대 길이의 비율은, 35% 이상인, 고양이용 기저귀.
  18. 제 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 구멍은,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등측에 위치하는 등외단 가장자리보다도 등측에 배치되어 있는, 고양이용 기저귀.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잘록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잘록부의 가로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복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측에서부터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향해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상기 세로측변은, 상기 복측에서부터 상기 등측을 향해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고양이용 기저귀.
KR1020227016131A 2019-11-25 2020-10-14 고양이용 기저귀 KR202201016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12723 2019-11-25
JP2019212723A JP6906038B2 (ja) 2019-11-25 2019-11-25 猫用おむつ
JPJP-P-2019-212729 2019-11-25
JP2019212729A JP6906039B2 (ja) 2019-11-25 2019-11-25 猫用おむつ
PCT/JP2020/038734 WO2021106404A1 (ja) 2019-11-25 2020-10-14 猫用おむ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627A true KR20220101627A (ko) 2022-07-19

Family

ID=7612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131A KR20220101627A (ko) 2019-11-25 2020-10-14 고양이용 기저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0355A1 (ko)
KR (1) KR20220101627A (ko)
CN (1) CN114727588B (ko)
TW (1) TW202135653A (ko)
WO (1) WO2021106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3680B2 (ja) * 2020-03-06 2022-10-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おむつ
JP7210692B1 (ja) 2021-12-20 202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おむ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1160A (ja) 2016-01-28 2017-08-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愛玩動物用の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3976B2 (ja) * 2011-03-29 2015-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おむつ
JP2013135638A (ja) * 2011-12-28 2013-07-11 Daiichi Eizai Kk ペット用おむつ
JP3180238U (ja) * 2012-06-14 2012-12-13 真優子 武田 ペット用おむつ
JP6084450B2 (ja) * 2012-12-13 2017-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使い捨ておむつ
JP5576002B1 (ja) * 2014-06-06 2014-08-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95793B1 (ja) * 2014-11-14 2015-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愛玩動物用の吸収性物品
US10744043B2 (en) * 2017-08-28 2020-08-18 Bad Little Monster LLC Moisture detecting art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1160A (ja) 2016-01-28 2017-08-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愛玩動物用の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27588B (zh) 2023-08-22
TW202135653A (zh) 2021-10-01
CN114727588A (zh) 2022-07-08
WO2021106404A1 (ja) 2021-06-03
US20220280355A1 (en)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3018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946517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220101627A (ko) 고양이용 기저귀
WO2020189279A1 (ja) 吸収性物品
WO2019031124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275534B2 (ja) 使い捨ておむつ
US10799397B2 (en) Absorbent article
JP7153680B2 (ja) ペット用おむつ
JP412735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906038B2 (ja) 猫用おむつ
JP6751625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465749B2 (ja) 愛玩動物用の吸収性物品
WO2021106393A1 (ja) 猫用おむつ
JP6906039B2 (ja) 猫用おむつ
WO2017199300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装着方法
JP2019118567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11298271B2 (en) Absorbent article
JP6726705B2 (ja) 吸収性物品
WO2020189278A1 (ja) 吸収性物品
JP6757396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吸収パッド取り付け方法
CN112118817B (zh) 短裤型吸收性物品
JP7212514B2 (ja) 吸収性物品
WO2023119822A1 (ja) ペット用おむつ
JP708005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130075B2 (ja) 吸収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