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587A - 회전체, 예초기 및 보빈 - Google Patents

회전체, 예초기 및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587A
KR20220100587A KR1020227015378A KR20227015378A KR20220100587A KR 20220100587 A KR20220100587 A KR 20220100587A KR 1020227015378 A KR1020227015378 A KR 1020227015378A KR 20227015378 A KR20227015378 A KR 20227015378A KR 20220100587 A KR20220100587 A KR 2022010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ircumferential surface
support case
cylindrical portion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0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6Mounting or replacement of th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Abstract

선형 커터(8)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마모한 선형 커터(8)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회전체(1), 예초기(9) 및 보빈(3)을 제공한다. 회전체(1)는, 지지 케이스(2)와 보빈(3)을 구비한다. 지지 케이스(2)는, 통형부(21)와, 통형부(21)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부(23)와, 플랜지부(23)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인출공(230)을 가진다. 보빈(3)의 내주면(3A)은,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착탈 가능하게 맞닿는다. 보빈(3)의 외주면(3B)에는, 가요성의 선형 커터(8)가 감긴다. 외주면(3B)에 감긴 선형 커터(8)의 양 단부(81, 82)는, 복수의 인출공(230) 중 2개의 인출공(230)을 통하여, 직경 방향 외측에 꺼내어진다.

Description

회전체, 예초기 및 보빈
본 개시는 회전체, 예초기(Brush Cutter) 및 보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형 커터를 사용하여 풀베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풀베기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선형 커터가 장착된 회전체를, 예초기 본체의 구동축에 연결시키고, 회전체를 구동축과 함께 회전시킨다. 이로써, 회전체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꺼내어진 선형 커터의 선단부로, 주위의 풀을 절단할 수 있다(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5/037030호를 참조).
상기한 회전체에 있어서는, 선형 커터의 선단부가 서서히 마모해 가므로, 선형 커터가 마모되면 그 선형 커터를 회전체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선형 커터를 회전체에 장착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는, 선형 커터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고, 선형 커터를 교환할 때는 그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회전체, 예초기 및 보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態樣)에 관한 회전체는, 지지 케이스와, 보빈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케이스는, 예초기 본체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보빈은, 상기 지지 케이스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지지 케이스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지지 케이스는, 그 내부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 통과되는 통형부와, 상기 통형부의 하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인출공(引出孔)을 가진다. 상기 보빈은, 상기 통형부의 외주면(外周面)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맞닿는 내주면(內周面)과, 상기 내주면과는 반대 측을 향하고, 가요성의 선형 커터가 감기는 외주면을 가진다. 상기 보빈은, 상기 내주면이 상기 통형부의 상기 외주면과 맞닿도록 상기 통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주면에 감긴 상기 선형 커터의 양 단부(端部)가, 상기 복수의 인출공 중 2개의 인출공을 통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관한 예초기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가 연결되는 상기 구동축을 가지는 상기 예초기 본체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관한 보빈은, 예초기 본체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으로서, 통형의 보빈 본체와,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맞닿도록 설치된 상기 보빈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과는 반대 측을 향하고, 가요성의 선형 커터가 감기도록 설치된 상기 보빈 본체의 외주면을 구비한다.
[도 1]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회전체에 선형 커터가 감긴 상면도이다.
[도 2] 도 2는, 상동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지지 케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4] 도 4는, 상동의 회전체가 구비하는 보빈에 선형 커터가 감긴 상면도이다.
[도 5] 도 5는, 상동의 보빈에 선형 커터가 감긴 하면도이다.
[도 6] 도 6은, 상동의 보빈의 상면도이다.
[도 7]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 도 8은, 도 6의 C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9] 도 9는, 상동의 회전체를 구비한 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상동의 회전체와 회전 날을 구비한 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상동의 회전체의 변형예에 선형 커터가 감긴 상면도이다.
(일 실시형태)
본 개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일 실시형태의 회전체(1)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체(1)에는 선형 커터(8)가 감겨 있다. 회전체(1)는 예초기 본체(90)에 장착된 상태로, 풀베기에 사용된다(도 9 등 참조).
일 실시형태의 회전체(1)는, 예초기 본체(90)의 구동축(905)(도 3 참조)에 연결되는 접지체(接地體)(10)이다. 예초기 본체(90)와 회전체(1)[즉 접지체(10)]와, 예초기(9)가 구성된다.
예초기 본체(90)는, 주축부(902)와, 주축부(902)의 선단부에 설치된 기어 박스(903)와, 기어 박스(903)로부터 돌출하는 구동축(905)(도 3 참조)을 구비한다. 주축부(902)의 도중에는 핸들(907)이 설치되어 있다. 주축부(902)의 후단 부분에는, 구동원인 엔진(908)이 탑재되어 있다. 구동원으로서, 엔진(908) 대신 배터리가 탑재되어도 된다.
구동원[즉 엔진(908)]의 출력이 구동축(905)까지 전달됨으로써, 회전체(1)가 구동축(905)과 일체로 회전 구동된다. 회전체(1)는, 지표면에 접촉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체(1)의 외측면으로부터 인출된 합성 수지제의 선형 커터(8)의 양 단부(81, 82)에 의해, 풀베기가 행해진다. 선형 커터(8)는 예를 들면 나일론 코드다. 선형 커터(8)의 표면에는, 나선형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1)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지지 케이스(2)(도 2, 도 3 등 참조)와, 평면에서 볼 때 환형의 외형을 가지는 보빈(3)(도 4부터 도 8 등 참조)를 구비한다. 보빈(3)에는, 가요성의 선형 커터(8)가 감겨 있다. 보빈(3)은, 위쪽으로 개구된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지지 케이스(2)의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꿔 말하면, 보빈(3)은 선형 커터(8)가 감긴 카트리지다.
상기의 평면에서 볼 때란, 회전체(1)를 위쪽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상하 등의 각 방향은, 실제의 사용 시에 있어서 회전체(1)의 중심축(C1)(도 3, 도 9 참조)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된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먼저,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 케이스(2)는, 예초기 본체(90)의 구동축(905)에 연결되고, 구동축(90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케이스(2)는, 통형으로 형성된 통형부(21)와, 통형부(21)의 하부(21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보울 형상의 플랜지부(23)와, 통형부(21)의 상부(211)에 연결된 금구(金具)(28)를 가진다. 통형부(21)의 하부(212)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형부(21)의 하단부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회전체(1)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 방향 외측과 이것과는 반대인 직경 방향 내측을 정의한다. 회전체(1)의 중심축(C1)은, 즉 지지 케이스(2) 및 보빈(3)의 중심축이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는, 회전체(1)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하여,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을 정의한다.
통형부(21), 플랜지부(23) 및 금구(28)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통형부(21)는 합성 수지 재료로 성형된 원통형의 부분이며, 내주면(21A)과 외주면(21B)을 가진다. 내주면(21A)과 외주면(21B)은, 서로 반대 측을 향하는 면이다. 통형부(21)의 내부 공간은, 아래쪽으로 해방되어 있다. 통형부(21)의 상부(211)에는, 평면에서 볼 때 환형의 금구(28)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통형부(21)의 상부(211)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형부(21)의 상단부다.
외주면(21B)에는, 보빈(3)을 태울 수 있는 환형의 계단부(段部)(214)와, 보빈(3)의 장착 및 분리를 가이드할 수 있는 복수의 세로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부(21)는, 계단부(214)를 경계로 하여, 상측 통부(213)와 이것보다 외경(外徑)이 큰 하측 통부(215)로 구분된다. 상측 통부(213)의 외주면이 통형부(21)의 외주면(21B)의 상부를 구성하고, 하측 통부(215)의 외주면이 통형부(21)의 외주면(21B)의 하부를 구성한다. 복수의 세로홈(218)은, 상측 통부(213)의 외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형성된 4개의 세로홈(218)이다. 각 세로홈(218)은, 반원형의 개구 단면을 가진다.
플랜지부(23)는, 통형부(21)의 하부(212)의 전체 주위에 걸친 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합성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플랜지부(23)는 통형부(21)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플랜지부(23)는, 직경 방향 외측의 부분만큼 위쪽에 위치하도록, 전체로서 보울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플랜지부(23)의 하면이, 지표면에 닿는 접지면(231)이다. 접지면(231)은 매끄럽게 만곡된 볼록 곡면이다. 플랜지부(23)의 접지면(231)과는 반대 측을 향하는(232)은, 매끄럽게 만곡된 오목 곡면이다. 면(232)에는, 교환 시기에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233)는 비관통이지만, 플랜지부(23)가 어느 정도 마모된 단계에서는, 플랜지부(23)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3)의 면(232) 중 상하의 중간 부분에는, 평면에서 볼 때 환형의 계단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부(234)의 상면은, 통형부(21)의 계단부(214)의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플랜지부(23)의 상부[구체적으로는, 계단부(214)보다 위쪽의 부분]에는, 복수의 인출공(23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인출공(230)은,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형성된 4개의 인출공(230)이다. 각 인출공(230)은, 선형 커터(8)를 삽입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플랜지부(23)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플랜지부(23)의 면(232) 중, 계단부(234)보다 위쪽의 부분에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236)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 부재(236)는, 4개의 인출공(230)의 각각의 직경 방향 내측에 설치된 4개의 가이드 부재(236)이다. 각 가이드 부재(236)는, 대응하는 인출공(230)과 연통(連通)하는 가이드홈(237)을 가진다. 가이드홈(237)은, 주위 방향의 양측에, 볼록 곡면형으로 만곡된 가이드면(238)을 가진다. 각 가이드 부재(236)의 일부는, 계단부(234)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23)의 외주면의 상부에는, 그 전체 주위에 걸쳐 홈(239)이 형성되어 있다. 홈(239)의 바닥면에는, 4개의 인출공(230)의 각각의 개구가 위치하고 있다. 홈(239)은, 회전체(1)가 고속회전했을 때 선형 커터(8)가 플랜지부(23)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감기도록, 선형 커터(8)를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금구(28)는, 예초기 본체(90)의 구동축(905)이 삽입 통과되고, 또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구동축(90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금구이다. 금구(28)는, 구동축(905)이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揷通孔)(285)을 그 중앙 부분에 가지고, 삽통공(285)을 둘러싸는 복수의 개소에, 단차가 있는 관통공(286)을 가진다. 관통공(286)은, 금구(28)의 상면의,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둔 복수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통형부(21)의 합성 수지 부분이, 각 관통공(286)에 충전됨으로써, 통형부(21)에 대하여 금구(28)가 견고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통형부(21)와 금구(28)를 연결시키는 수단은, 인서트 성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형부(21)와 금구(28)는, 양자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면 되고, 압입, 나사 고정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금구(28)의 상면 중,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관통공(286) 사이의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높은 접촉 리브(2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 리브(282)는, 구동축(905)에 장착된 받이(receiving) 금구(906)(도 3 참조)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맞닿는다.
구동축(905)의 선단부는, 금구(28)의 삽통공(285)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통형부(21)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동축(905) 중 통형부(21)의 내부에 수용된 부분에 대하여, 통형부(21)의 아래쪽으로부터 너트(909)가 체결된다. 이로써, 구동축(905)에 대하여, 지지 케이스(2) 나아가서는 회전체(1) 전체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보빈(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빈(3)은, 지지 케이스(2)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축(905) 및 지지 케이스(2)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보빈(3)은 원통형의 부재이며, 서로 반대 측을 향하는 내주면(3A)과 외주면(3B)을 가진다. 내주면(3A)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오목 곡면이며, 외주면(3B)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볼록 곡면이다.
보빈(3)은, 원통형인 보빈 본체(30)와, 보빈 본체(30)의 윗부분(30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31)와, 보빈 본체(30)의 아래부분(303)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32)를 가진다. 이하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31)를 상측 돌출부(31)로 칭하고, 복수의 돌출부(32)를 하측 돌출부(32)로 칭한다.
보빈 본체(30)의 내주면이,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맞닿도록 구성된 내주면(3A)이다.
보빈 본체(30)에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가이드 부분(36)과, 주위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부분(36)과는 상이한 개소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체(33)와, 이들 복수의 탄성체(33)의 각각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체(33)는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합성 수지제의 돌기체다. 복수의 탄성체(33)는, 보빈 본체(30) 중 복수의 탄성체(33)를 제외한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은, 보빈(3)의 통형부(21)로의 장착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기(361)이다. 복수의 돌기(361)는,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4개의 돌기(361)이다. 4개의 돌기(361)의 각각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면이, 내주면(3A)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4개의 돌기(361)는, 각각이 축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다. 각 돌기(361)는, 통형부(21)가 가지는 4개의 세로홈(218)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세로홈(218)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어 넣어지도록,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체(33)는,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4개의 탄성체(33)이다. 보빈(3)에 있어서, 4개의 탄성체(33)와 4개의 돌기(361)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위치한다. 각 탄성체(33)는, 보빈(3)이 통형부(2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리는 압압면(押壓面)(332)을 가진다. 각 탄성체(33)의 압압면(332)은, 내주면(3A)의 일부를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내주면(3A)의 일부가,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탄성체(33)는, 위쪽으로 기립하도록 형성된 돌출편 형상의 돌기체다(도 7 참조). 보빈(3)이 통형부(2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각 탄성체(33)의 일부(구체적으로는 상측의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이 일부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면이, 외주면(21B)에 탄성적으로 눌리는 압압면(332)이다. 압압면(332)은, 상측의 부분만큼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복수의 홈(34)은,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4개의 홈(34)이다. 4개의 홈(34)은 각각, 4개의 탄성체(33) 중 대응하는 탄성체(3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대응하는 탄성체(33)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휘는 것을 허용한다. 각 탄성체(33)는, 자신의 직경 방향 외측에 홈(3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휠 수 있다.
보빈 본체(30)의 외주면은, 가요성의 선형 커터(8)가 감기도록 구성된 외주면(3B)이다. 평면에서 볼 때[바꿔 말하면, 중심축(C1)을 따라 보았을 때], 복수의 상측 돌출부(31)와, 복수의 하측 돌출부(3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위치한다.
복수의 상측 돌출부(31)는,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형성된 4개의 상측 돌출부(31)이다. 4개의 상측 돌출부(31)는 모두 직사각형 평판형의 돌출편이지만,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4개의 상측 돌출부(31)의 각각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인괘(引掛) 홈(315)이 형성되어 있다. 인괘 홈(315)은, 상측 돌출부(31)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L자형으로 절결된 형상을 가진다. 인괘 홈(315)은, 선형 커터(8)가 가지는 양측의 단부(81, 82) 중 한쪽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괘 홈(315)은, 4개의 상측 돌출부(31) 중 적어도 2개의 상측 돌출부(31)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상측 돌출부(31)의 각각의 직경 방향 내측에, 탄성체(33)와 홈(34)이 위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탄성체(33)와 이것을 휘게 하기 위한 홈(34)이, 4개의 상측 돌출부(31) 중 대응하는 상측 돌출부(3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의 회전체(1)에서는, 4개의 상측 돌출부(31)의 모든 직경 방향 내측에, 탄성체(33)와 홈(34)이 위치하고 있지만, 4개의 상측 돌출부(31)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 돌출부(31)의 직경 방향 내측에, 탄성체(33)와 홈(34)이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복수의 하측 돌출부(32)는,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형성된 4개의 하측 돌출부(32)이다. 4개의 하측 돌출부(32)는 모두 직사각형 평판형의 돌출편이지만,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4개의 하측 돌출부(32) 중 2개의 하측 돌출부(32)에는, 각각 한 쌍의 인괘 구멍(325)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인괘 구멍(325)은, 하측 돌출부(32)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둥근 구멍이다. 한쌍의 인괘 구멍(325)은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인괘 구멍(325)은, 선형 커터(8)를 삽입 통과시켜 그 중앙 부분(85)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인괘 구멍(325)은, 4개의 하측 돌출부(32)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 돌출부(32)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한 일 실시형태의 회전체(1)에 있어서, 지지 케이스(2)에 장착하기 전단계의 보빈(3)은, 도 4, 도 5에 나타낸 상태로 제공된다. 즉, 장착 전의 보빈(3)에서는, 선형 커터(8)의 중앙 부분(85)이, 한쌍의 인괘 구멍(325)에 걸리고, 선형 커터(8)의 중앙 부분(8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보빈(3)의 외주면(3B)에 여러 겹으로 감겨 있다. 선형 커터(8)가 감기는 방향은, 4개의 상측 돌출부(31)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일 실시형태의 보빈(3)에서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측 돌출부(31)의 상면]에, 예를 들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선형 커터(8)의 양 단부(81, 82)가, 중심축(C1)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측 돌출부(31)의 인괘 홈(315)에 각각 걸려 있다.
보빈(3)이, 지지 케이스(2)의 통형부(21)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삽입되면, 보빈(3)이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가지는 복수의 탄성체(33)의 각각이,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닿으면서, 직경 방향 외측에 탄성적으로 억지로 눌린다. 그러므로, 지지 케이스(2)에 보빈(3)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보빈(3)은, 복수의 탄성체(33)와 통형부(21)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의 작용으로, 지지 케이스(2)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바꿔 말하면,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리는 각 탄성체(33)가, 보빈(3)을 지지 케이스(2)에 유지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생기게 한다.
지지 케이스(2)에 보빈(3)이 장착된 상태에서, 선형 커터(8)의 양 단부(81, 82)는, 각각 인괘 홈(315)으로부터 빠진다. 그 후에, 선형 커터(8)의 양 단부(81, 82)는, 각각 대응하는 인출공(230)을 통하여, 적당한 길이만큼 외측으로 꺼내어진다. 이로써, 보빈(3)의 외주면(3B)에 여러 겹으로 감긴 선형 커터(8)의 양 단부(81, 82)는, 4개의 인출공(230) 중 2개의 인출공(230)을 통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꺼내어진다.
이 상태에서, 예초기 본체(90)의 구동축(905)이, 금구(28)의 삽통공(285)을 통하여, 통형부(21)의 내부까지 삽입된다. 통형부(21)의 내부에 있어서, 구동축(905)에 대하여 너트(909)가 체결됨으로써, 구동축(905)과 지지 케이스(2)가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초기 본체(90)의 기어 박스(903)는, 보빈(3)의 직경 방향 내측의 일부[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보빈 본체(30)의 일부]의 위쪽을 덮도록 위치한다. 이로써, 작업 중에 보빈(3)이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일 실시형태의 회전체(1)에 의하면, 선형 커터(8) 중 인출공(230)으로부터 꺼내어져 있었던 부분이 마모에 의해 짧아지면, 그 부분을, 다른 인출공(230)으로부터 꺼내면 된다. 이로써, 보빈(3) 자체는 교환하지 않고, 보빈(3)에 감긴 1개의 선형 커터(8)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일 실시형태의 회전체(1)에 의하면, 선형 커터(8)를 보빈(3)마다 교환할 때는, 그 교환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너트(909)를 구동축(905)으로부터 빼내고, 구동축(905)을 지지 케이스(2)로부터 뽑아 낸 후에, 보빈(3)을 손으로 잡고 간단히 지지 케이스(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31) 사이의 공간에 자체의 손가락을 삽입하고, 감긴 선형 커터(8)마다 보빈 본체(30)를 잡을 수 있다. 이어서, 다른 선형 커터(8)가 감긴 다른 보빈(3)을, 지지 케이스(2)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교환 작업 중에 있어서는, 지지 케이스(2)의 자세에 관계없이[예를 들면, 지지 케이스(2)가 상하 반대의 자세로 되어 있어도], 복수의 탄성체(33)이 미치는 탄성적인 유지력에 의해, 보빈(3)은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보빈(3)이 갑자기 지지 케이스(2)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억제되고, 게다가 지지 케이스(2)로부터 보빈(3)을 분리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체(1)를 구동축(905)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연결시키고 있지만, 회전체(1)와 구동축(905) 사이에 회전날(5)을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도 10 참조). 이 경우에는, 구동축(905)에 장착된 받이 금구(906)과, 지지 케이스(2)가 가지는 금구(28) 사이에, 회전날(5)이 협지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905)을 회전시키고, 회전체(1)와 회전날(5)을 일체로 회전시킴으로써, 선형 커터(8)에 의한 풀베기 작업과, 회전날(5)에 의한 풀베기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이상, 본 개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라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보빈(3)이 가지는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을, 각각 볼록형이 아니라 오목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은, 보빈(3)의 통형부(21)로의 장착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세로홈(365)이다. 복수의 세로홈(365)은,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4개의 세로홈(365)이며, 각각이 내주면(3A)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4개의 세로홈(365)은, 각각이 축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는, 보빈(3)의 착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기(219)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219)는, 상측 통부(213)의 외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형성된 4개의 돌기(219)이다. 각 돌기(219)가, 4개의 세로홈(365)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세로홈(365)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짐으로써, 보빈(3)의 통형부(21)로의 장착이 가이드된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도, 본 개시의 의도하는 범위 내이면, 적절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구성의 재질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보빈(3)을, 종이 등의 수지 이외의 재질로 형성해도 되고, 지지 케이스(2)를, 금속 등의 수지 이외의 재질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지지 케이스(2)에 금구(28)를 설치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며, 지지 케이스(2)를 지면에 접촉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태양)
이상, 실시형태에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태양의 회전체(1)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1 태양의 회전체(1)는, 예초기 본체(90)의 구동축(905)에 연결되고, 구동축(905)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케이스(2)와, 지지 케이스(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축(905) 및 지지 케이스(2)와 일체로 회전하는 보빈(3)을 구비한다. 지지 케이스(2)는, 그 내부에 구동축(905)이 삽입 통과되는 통형부(21)와, 통형부(21)의 하부(21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3)와, 플랜지부(23)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인출공(230)을 가진다. 보빈(3)은,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맞닿는 내주면(3A)과, 내주면(3A)과는 반대 측을 향하고, 가요성의 선형 커터(8)가 감기는 외주면(3B)을 가진다. 보빈(3)은, 내주면(3A)이 통형부(21)의 외주면(21B)과 맞닿도록 통형부(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주면(3B)에 감긴 선형 커터(8)의 양 단부(81, 82)가, 복수의 인출공(230) 중 2개의 인출공(230)을 통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꺼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복수의 인출공(230) 중 어느 2개의 인출공(230)으로부터 선형 커터(8)의 단부(81, 82)를 꺼낼지를 적절하게 선택 및 변경하면서, 보빈(3)에 감긴 선형 커터(8)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선형 커터(8)를 교환할 때는, 보빈(3)마다 간단히 지지 케이스(2)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선형 커터(8)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2 태양의 회전체(1)는, 제1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2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은, 통형부(21)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리는 탄성체(33)를 더 가진다.
제2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지지 케이스(2)의 자세에 관계없이, 복수의 탄성체(33)가 미치는 탄성적인 유지력에 의해, 보빈(3)은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보빈(3)이 갑자기 지지 케이스(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 케이스(2)로부터 보빈(3)을 분리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태양의 회전체(1)는, 제2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3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은, 탄성체(33)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는 홈(34)을 더 가진다.
제3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탄성체(33)가,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닿은 상태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휠 수 있으므로, 탄성체(33)에 의해, 통형부(21)에 대하여 적당한 탄성력을 줄 수 있다.
제4 태양의 회전체(1)는, 제2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4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은, 탄성체(33)를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복수 가진다.
제4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복수의 탄성체(33)가, 통형부(21)의 외주면(21B) 중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둔 복수 개소에 닿으므로, 보빈(3)은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5 태양의 회전체(1)는, 제4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5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은, 복수의 탄성체(33)의 각각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는 복수의 홈(34)을 더 가진다.
제5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복수의 탄성체(33)의 각각이,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닿은 상태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탄성체(33)에 의해, 통형부(21)에 대하여 적당한 탄성력을 줄 수 있다.
제6 태양의 회전체(1)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6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의 내주면(3A)에는, 보빈(3)의 통형부(21)로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볼록형 또는 오목형의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이 설치되어 있다.
제6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보빈(3)을 통형부(21)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보빈(3)을 통형부(21)에 장착했을 때는,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이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걸리는 것에 의해, 통형부(21)에 대한 보빈(3)의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제7 태양의 회전체(1)는, 제4 또는 제5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7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의 내주면(3A)에는, 보빈(3)의 통형부(21)로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볼록형 또는 오목형의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체(33)와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위치한다.
제7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보빈(3)을 통형부(21)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보빈(3)을 통형부(21)에 장착했을 때는,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이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걸리는 것에 의해, 통형부(21)에 대한 보빈(3)의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덧붙여, 보빈(3)에는, 복수의 탄성체(33)와 복수의 가이드 부분(36)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8 태양의 회전체(1)는,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8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은, 내주면(3A) 및 외주면(3B)이 형성된 통형의 보빈 본체(30)와, 보빈 본체(30)의 윗부분(30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상측 돌출부(31)와, 보빈 본체(30)의 아래부분(303)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하측 돌출부(32)를 더 가진다.
제8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보빈 본체(30)의 외주면(3A)에 감긴 선형 커터(8)가, 보빈 본체(30)로부터 갑자기 빠지는 것이, 복수의 상측 돌출부(31)와 복수의 하측 돌출부(32)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덧붙여, 보빈(3)을 잡을 때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31) 사이의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감긴 선형 커터(8)마다 보빈 본체(30)를 잡을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하측 돌출부(32) 사이의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감긴 선형 커터(8)마다 보빈 본체(30)를 잡을 수 있다.
제9 태양의 회전체(1)는, 제8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9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는, 보빈(3)의 중심축(C1)을 따라 보았을 때, 복수의 상측 돌출부(31)와 복수의 하측 돌출부(3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위치한다.
제9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보빈 본체(30)의 외주면(3A)에 감긴 선형 커터(8)가, 보빈 본체(30)로부터 갑자기 빠지는 것이, 주위 방향으로 교호적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31)와 복수의 하측 돌출부(32)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덧붙여, 상측 돌출부(31)의 수와 하측 돌출부(32)의 수를 억제할 수 있다.
제10 태양의 회전체(1)는,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10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은, 내주면(3A) 및 외주면(3B)이 형성된 통형의 보빈 본체(30)와, 보빈 본체(30)의 윗부분(30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상측 돌출부(31)를 더 가진다. 복수의 상측 돌출부(31) 중 적어도 2개의 상측 돌출부(31)에는, 선형 커터(8)의 단부(81, 82)를 걸기 위한 인괘 홈(315)이 형성되어 있다.
제10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보빈 본체(30)의 외주면(3A)에 감긴 선형 커터(8)가, 보빈 본체(30)로부터 갑자기 빠져 버리는 것이, 복수의 상측 돌출부(31)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덧붙여, 보빈(3)을 잡을 때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31) 사이의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감긴 선형 커터(8)마다 보빈 본체(30)를 잡을 수 있다. 또한, 제10 태양의 회전체(1)에서는, 보빈(3)이 지지 케이스(2)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선형 커터(8)의 양 단부(81, 82)를 각각 인괘 홈(315)에 걸고, 선형 커터(8)가 지지 케이스(2)로부터 빠지기 어려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11 태양의 회전체(1)는,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11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은, 내주면(3A) 및 외주면(3B)이 형성된 통형의 보빈 본체(30)와, 보빈 본체(30)의 아래부분(303)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하측 돌출부(32)를 더 가진다. 복수의 하측 돌출부(32)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 돌출부(32)에, 선형 커터(8)를 삽입 통과시켜 그 중앙 부분(85)을 걸기 위한 인괘 구멍(3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1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1개의 선형 커터(8)의 중앙 부분(85)을 인괘 구멍(325)에 걸고, 선형 커터(8)의 나머지 부분을 보빈 본체(30)에 감음으로써, 선형 커터(8)를 보빈 본체(30)에 대하여 간단히 감을 수 있다.
제12 태양의 회전체(1)는,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12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지지 케이스(2)는, 합성 수지제의 통형부(21)와, 합성 수지제의 플랜지부(23)와, 통형부(21)의 상부(211)에 연결되는 금구(28)를 가진다. 금구(28)는, 구동축(905)이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285)을 가진다.
제12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합성 수지제의 통형부(21)와 플랜지부(23)를, 금구(28)를 통하여, 구동축(905)에 대하여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13 태양의 회전체(1)는, 제1 태양의 회전체(1)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13 태양의 회전체(1)에 있어서, 보빈(3)은, 내주면(3A) 및 외주면(3B)이 형성된 통형의 보빈 본체(30)와, 보빈 본체(30)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31)와, 보빈 본체(30)가 통형부(21)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리는 탄성체(33)와, 탄성체(33)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는 홈(34)을 더 가진다. 탄성체(33) 및 홈(34)은, 복수의 돌출부(31) 중 대응하는 돌출부(3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제13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보빈 본체(30)의 외주면(3A)에 감긴 선형 커터(8)가, 보빈 본체(30)로부터 갑자기 빠져 버리는 것이, 복수의 돌출부(31)에 의해 억제된다. 덧붙여, 탄성체(33)가, 통형부(21)의 외주면(21B)에 닿은 상태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휠 수 있으므로, 탄성체(33)에 의해, 통형부(21)에 대하여 적당한 탄성력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3 태양의 회전체(1)에 의하면, 탄성체(33) 및 홈(34)이, 대응하는 돌출부(3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보빈(3)의 전체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태양의 예초기(9)는, 제1 내지 제13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회전체(1)와, 회전체(1)가 연결되는 구동축(905)을 가지는 예초기 본체(90)를 구비한다.
제1 태양의 예초기(9)에 의하면, 회전체(1)가 구비하는 지지 케이스(2)의 통형부(21)에 감긴 선형 커터(8)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선형 커터(8)를 교환할 때는, 구동축(905)으로부터 회전체(1)를 분리한 상태에서, 보빈(3)마다 간단히 지지 케이스(2)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선형 커터(8)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1 태양의 보빈(3)은, 예초기 본체(90)의 구동축(905)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3)으로서, 통형의 보빈 본체(30)와, 보빈 본체(30)의 내주면(3A)과, 보빈 본체(30)의 외주면(3B)을 구비한다. 내주면(3A)은,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외주면(3B)은 내주면(3A)과는 반대 측을 향하고, 가요성의 선형 커터(8)가 감기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태양의 보빈(3)에 의하면, 보빈(3)에 감긴 선형 커터(8)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고, 선형 커터(8)를 교환할 때는, 보빈(3)마다 간단히 지지 케이스(2)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선형 커터(8)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2 태양의 보빈(3)은, 제1 태양의 보빈(3)의 구성에 더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제2 태양의 보빈(3)에 있어서, 보빈 본체(30)는, 지지 케이스(2)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누르는 복수의 탄성체(33)를 더 가진다.
제2 태양의 보빈(3)에 의하면, 복수의 탄성체(33)가 미치는 탄성적인 유지력에 의해, 보빈(3)은 지지 케이스(2)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보빈(3)이 갑자기 지지 케이스(2)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게다가, 지지 케이스(2)로부터 보빈(3)을 분리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6)

  1. 예초기(Brush Cutter) 본체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케이스; 및
    상기 지지 케이스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지지 케이스와 일체로 회전하는 보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케이스는, 그 내부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 통과되는 통형부와, 상기 통형부의 하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인출공(引出孔)을 가지고,
    상기 보빈은, 상기 통형부의 외주면(外周面)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맞닿는 내주면(內周面)과, 상기 내주면과는 반대 측을 향하고, 가요성의 선형 커터가 감기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보빈은, 상기 내주면이 상기 통형부의 상기 외주면과 맞닿도록 상기 통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주면에 감긴 상기 선형 커터의 양 단부(端部)가, 상기 복수의 인출공 중 2개의 인출공을 통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꺼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통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형부의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리는 탄성체를 더 가지는, 회전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탄성체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는 홈을 더 가지는, 회전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탄성체를 주위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복수 개 가지는, 회전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복수의 탄성체의 각각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는 복수의 홈을 더 가지는, 회전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내주면에는, 상기 보빈의 상기 통형부로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볼록형 또는 오목형의 복수의 가이드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체.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내주면에는, 상기 보빈의 상기 통형부로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볼록형 또는 오목형의 복수의 가이드 부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탄성체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분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위치하는, 회전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내주면 및 상기 외주면이 형성된 통형의 보빈 본체와, 상기 보빈 본체의 윗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상측 돌출부와, 상기 보빈 본체의 아래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하측 돌출부를 더 가지는, 회전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중심축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복수의 상측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하측 돌출부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위치하는, 회전체.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내주면 및 상기 외주면이 형성된 통형의 보빈 본체와, 상기 보빈 본체의 윗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상측 돌출부를 더 가지고,
    상기 복수의 상측 돌출부 중 적어도 2개의 상측 돌출부에는, 상기 선형 커터의 단부를 걸기 위한 인괘(引掛) 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내주면 및 상기 외주면이 형성된 통형의 보빈 본체와, 상기 보빈 본체의 아래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하측 돌출부를 더 가지고,
    상기 복수의 하측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 돌출부에, 상기 선형 커터를 삽입 통과시켜 그 중앙 부분을 걸기 위한 인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합성 수지제의 상기 통형부와, 합성 수지제의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통형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금구(金具)를 가지고,
    상기 금구는, 상기 구동축이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揷通孔)을 가지는, 회전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내주면 및 상기 외주면이 형성된 통형의 보빈 본체와, 상기 보빈 본체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보빈 본체가 상기 통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형부의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리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는 홈을 더 가지고,
    상기 탄성체 및 상기 홈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대응하는 돌출부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가 연결되는 상기 구동축을 가지는 상기 예초기 본체;
    를 구비하는, 예초기.
  15. 예초기 본체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으로서,
    통형의 보빈 본체;
    상기 지지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맞닿도록 설치된 상기 보빈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내주면과는 반대 측을 향하고, 가요성의 선형 커터가 감기도록 설치된 상기 보빈 본체의 외주면;
    을 구비하는, 보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본체는, 상기 지지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케이스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리는 복수의 탄성체를 더 가지는, 보빈.
KR1020227015378A 2019-10-08 2019-10-08 회전체, 예초기 및 보빈 KR20220100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39674 WO2021070251A1 (ja) 2019-10-08 2019-10-08 回転体、刈払機及びボビ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587A true KR20220100587A (ko) 2022-07-15

Family

ID=7251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378A KR20220100587A (ko) 2019-10-08 2019-10-08 회전체, 예초기 및 보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61400A1 (ko)
EP (1) EP4042856A4 (ko)
JP (1) JP6758701B1 (ko)
KR (1) KR20220100587A (ko)
AU (1) AU2019469864B2 (ko)
CA (1) CA3157363A1 (ko)
TW (1) TW202126165A (ko)
WO (1) WO2021070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2307S1 (en) * 2022-02-11 2023-10-24 Aero-Flex Technologies, Inc. Trimmer conversion component
USD1015094S1 (en) * 2022-02-11 2024-02-20 Aero-Flex Technologies, Inc. Trimmer conversion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923U (ja) * 1983-11-10 1985-06-03 株式会社共立 草刈り用ナイロンコ−ド
JPH0444031Y2 (ko) * 1988-10-12 1992-10-16
JP2955096B2 (ja) * 1991-12-17 1999-10-04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カッタ
JP2002291315A (ja) * 2001-04-02 2002-10-08 Diatop Kk 刈払機に用いる刈払いヘッド
WO2005110685A2 (en) * 2004-05-11 2005-11-24 Alliss George E Vegetation trimmer apparatus
JP2014236688A (ja) * 2013-06-07 2014-12-18 有限会社小林産業 草刈り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り機
KR102209461B1 (ko) 2013-09-10 2021-01-28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무라 세이사쿠쇼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
EP3071010A4 (en) * 2013-11-22 2017-06-07 George E. Alliss Straight through line feed vegetation trimm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26165A (zh) 2021-07-16
US20220361400A1 (en) 2022-11-17
WO2021070251A1 (ja) 2021-04-15
JP6758701B1 (ja) 2020-09-23
AU2019469864A1 (en) 2022-04-21
AU2019469864B2 (en) 2023-11-16
EP4042856A4 (en) 2022-10-26
JPWO2021070251A1 (ja) 2021-10-21
CA3157363A1 (en) 2021-04-15
EP4042856A1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7788B1 (en) Head for a trimmer and attachment therefor
US20070084061A1 (en) Mechanism for attaching trimmer line strips to a head of a trimming apparatus
US8745880B2 (en) Rotary cutter for mower
KR102209461B1 (ko) 회전체, 예불기 및 풀베기 방법
KR20220100587A (ko) 회전체, 예초기 및 보빈
US7665215B2 (en) Fixed line trimmer head with ease of loading
US20080271424A1 (en) Top unloading fixed line trimmer head
US20090100686A1 (en) Fixed-line rotary head for string trimmer machine
JP5959290B2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US10470367B2 (en) Cutting web
AU2013234414B2 (en) A rotary cutting head system
JP4949296B2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JP2021058181A (ja) 回転体、刈払機及びボビン
JP6737742B2 (ja) 草刈機用の線状カッター式ヘッド
KR101291447B1 (ko) 블레이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깍기
JP4999190B2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JP6143328B2 (ja) 線状カッター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刈払機の接地体
WO2023101024A1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KR20100012988U (ko) 예초기의 절단장치
JP2018078868A (ja) 交換式のコードリールカセットを備える刈払機及びそれに用いる交換式コードリールカセット
JPH0560229U (ja) 刈払機の刈刃回転体
KR20100011861U (ko) 예초기의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