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698A -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698A
KR20220099698A KR1020210001914A KR20210001914A KR20220099698A KR 20220099698 A KR20220099698 A KR 20220099698A KR 1020210001914 A KR1020210001914 A KR 1020210001914A KR 20210001914 A KR20210001914 A KR 20210001914A KR 20220099698 A KR20220099698 A KR 2022009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istillation column
dmf
fluid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185B1 (ko
Inventor
강성진
Original Assignee
강성진
주식회사 에스지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진, 주식회사 에스지케미칼 filed Critical 강성진
Priority to KR102021000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1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01D3/36Azeotropic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간에 복잡한 공비(Azeotrope) 관계로 형성된 성분들로 이루어진 폐유기용제(폐유)로부터 99.99% 이상의 고 순도 Dimethyl formamide(DMF) 성분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유기용제(폐유)에 함유되어 있는 Dimethylformamide(DMF)와 공비 관계에 있는 Acetic Acid 성분을 Dimethylformamide(DMF)와 우선 분리하기 위하여, 물을 첨가하여 폐유기용제(폐유) 내의 Acetic Acid 성분과 공비 관계를 형성하는 물과 3-Methylpyridine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는 물과 Dimethylformamide(DMF) 성분만으로 구성된 폐유기용제(폐유)로부터 고순도 Dimethyl formamide(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공정)에 관한 것으로, 원료물질과 물을 유입하여, BOTTOM 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DMF를 포함하지 않는 OVHD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1 증류탑(T-01)과; 상기 BOTTOM유체를 유입하여, Heavy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물과 DMF만을 포함하는 Light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2 증류탑(T-02)과; 상기 Light유체를 유입하여, 고순도의 DMF를 하부로 배출하고, Light 1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3 증류탑(T-03)과; 상기 제2 증류탑(T-2)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Heavy유체와 상기 제3 증류탑(T-03)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Light 1유체를 혼합하는 제1 혼합설비(MIX-1)과; 상기 제1 혼합설비(MIX-1)에서는 상기 Heavy유체와 Light 1유체를 혼합하여 제1 폐기물(WASTE)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Device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high purity dimethylformamide (DMF) from waste organic solvent (waste oil) and their methods}
본 발명은 서로 간에 복잡한 공비(Azeotrope) 관계로 형성된 성분들로 이루어진 폐유기용제(폐유)로부터 99.99% 이상의 고 순도 Dimethyl formamide(DMF) 성분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유기용제(폐유)에 함유되어 있는 Dimethylformamide(DMF)와 공비 관계에 있는 Acetic Acid 성분을 Dimethylformamide(DMF)와 우선 분리하기 위하여, 물을 첨가하여 폐유기용제(폐유) 내의 Acetic Acid 성분과 공비 관계를 형성하는 물과 3-Methylpyridine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는 물과 Dimethylformamide(DMF) 성분만으로 구성된 폐유기용제(폐유)로부터 고순도 Dimethyl formamide(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용제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제품의 가공·생산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특히 합성피혁, 합성 섬유 제조 공정에서는 원료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수지의 용제로 DMF 등이 사용되며 원가 절감 및 환경 보전을 위해서도 사용된 유기 용제는 회수하여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 습식 폴리우레탄 합성피혁 제조공정에서 사용된 DMF 용제는 물로 세정되며 세정수 속에 DMF가 녹아 폐수로 배출된다. 이 폐수 중의 DMF는 지금까지 증류법 또는 추출법으로 재생 회수되어 왔다
종래 DMF를 회수하는 방법으로는, 등록특허공보 10-0433826호(2004. 5. 20. 등록)에는, 추출법과 증류법을 병용한 용제회수 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용제 회수 방법은 물보다 비중이 높은 추출용매와 용제가 함유된 폐수를 추출탑에 유입시켜 추출에 의하여 추출액은 하부로 배출하고, 추잔액은 상부로 배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탑을 거친 추출액을 증류탑에 유입시켜 증류시킴으로서 추출용매는 상부로 배출하고, 용제는 하부로 분리하는 증류단계와, 상기 증류탑에서 분리된 용제를 정제탑에 유입시켜 정제하여 회수하는 정제단계와, 상기 추출탑에서 배출되는 추잔액에 함유된 추출용매와 증류탑에서 발생된 추출용매를 회수하여 추출용매탱크에 저장하는 추출용매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1700378호(2017. 1. 20. 등록)에는,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의 회수 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비양자성 용매 및 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스트리퍼 폐액을 정제시 고형분을 제거후 저비점 혼합물과 고비점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아미드 화합물 대비 저가이며 세정력이 향상된 향상된 비양자성 용매를 스트리퍼 폐액으로부터 회수하는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의 회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2142550호(2020. 8. 3. 등록)에는,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는 미반응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용이하게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미반응 단량체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1) 미반응 단량체, 비양자성 극성용매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 및 제1 물 분획을 포함하는 제1 분획과 비양자성 극성용매 및 제2 물 분획을 포함하는 제2 분획으로 분리하는 제1 증류단계; 2) 상기 제1 분획에 공비제를 혼합하여 제1 물 풍부분획과 미반응 단량체 풍부분획으로 분리하는 제2 증류단계; 및 3) 상기 제2 분획으로부터 비양자성 극성용매 풍부분획과 제2 물 풍부분획으로 분리하는 제3 증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반응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1986367호(2019. 5. 30. 등록)에는, 반도체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폴리이미드 합성공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및 수성 그리고 고체입자 혼합물로 이루어진 반응폐용제를 회수하여 함유된 고체입자를 여과하는 반응폐용제 여과 공정(S1); 여과처리한 반응폐용제에 알콜과 산을 가하여 반응폐용제에 함유된 초산을 에스테르화하는 반응성 증류 공정(S2); 상기 반응성 증류 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에스테르화합물과 물 그리고 알콜의 공비물을 냉각응축기로 냉각하며, 냉각후 혼합액을 데칸터에서 층분리후 물을 제외한 에스테르 화합물과 알콜을 반응조로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냉각환류공정(S3); 목적한 수준으로 반응폐용제의 초산함량이 낮아지면 반응조에 산을 중화하는 알카리를 첨가하여 중화하며, 미반응물과 부유물을 흡착 제거하는 중화 흡착공정(S4); 흡착칼럼을 통과시킨 유기용매, 알콜 과 물의 혼합물을 분별증류하여 목적한 유기용매를 고순도로 분리하는 분별증류공정(S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도체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후 발생하는 유기용매의 회수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10-0433826호(2004. 5. 20. 등록) 특허문헌 2 : 등록특허공보 10-1700378호(2017. 1. 20. 등록) 특허문헌 3 : 등록특허공보 10-2142550호(2020. 8. 3. 등록) 특허문헌 4 : 등록특허공보 10-1986367호(2019. 5. 30. 등록)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폐수 중 DMF를 분리회수하기 위하여 MC(Methylene Chloride : CAS NO 75-09-2)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DMF를 MC에 용해시켜 분리한 후, 다시 DMF와 MC를 분리시킴으로서 DMF를 분리 회수하는 공정을 갖는 것으로, 공정이 복잡해지며, 또한 DMF와 분리가 힘든 Acetic Acid(초산)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출용매(MC)를 사용한다고 해도 고순도의 DMF 회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발명은, DMF를 추출용매에 흡수시켜 증류탑 하부로 추출용매와 DMF를 분리 배출 하는 것이고, 공비용매는 DMF를 공비용매에 혼합시켜 증류탑 상부로 기화시킨 후, 액화시켜 DMF를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로 고순도의 DMF 회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발명 역시,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그러한 복잡한 공정을 거친 후에 회수되는 DMF가 99.99% 이상의 고순도를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서로 간의 복잡한 공비관계로 형성된 DMF가 함유되어 있는 폐유기용제(폐유)로부터 DMF를 분리 회수하기 위한 기존의 기술로는, DMF와 강한 공비 관계를 형성하는 Acetic Acid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NaOH)을 폐유기용제(폐유)에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서, 폐유기용제(폐유) 중 Acetic Acid의 함유량을 크게 낮추는 대신에, DMF와 비교적 분리하기가 용이한 Dimethylamine(DMA), Formic acid(FA), N,N-Dimethylactamide (DMAC) 성분들을 형성하여, 이러한 물질들로부터 DMF를 분리 회수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공정(방법)은 DMF가 함유된 폐유기용제(폐유) 1000kg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양이 350kg(35%) 정도이고, 최종 방류되는 폐수의 양이 650kg(65%) 정도이며, 폐유기용제(폐유)에 함유되어 있는 DMF의 회수 비율도 최대 92%로서, 나머지 8%는 최종폐수와 함께 방류되어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회수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유기용제(폐유)에 수산화나트륨(NaOH)를 첨가하지도 않고, 폐유기용제(폐유) 1000kg 처리 시 최종 방류되는 폐수의 양도 약 400kg(40%)까지만 발생시키며, 폐유기용제(폐유) 내에 존재하는 성분 간의 공비관계만을 이용하여 성분 간의 분리를 유도한 후, 최종적으로 폐유기용제(폐유)로부터 99.99% 이상의 고 순도 Dimethylformamide(DMF)를 버려지는 양 없이 분리 회수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물질에 포함되는 DMF를 전량 회수하여 사용하며, DMF와 AA를 분리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NaOH를 사용하지 않고, 폐수 발생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류탑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순도 99.99% 이상의 물을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1] 원료물질과 물을 유입하여, BOTTOM 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DMF를 포함하지 않는 OVHD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1 증류탑(T-01)과; 상기 BOTTOM유체를 유입하여, Heavy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물과 DMF만을 포함하는 Light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2 증류탑(T-02)과; 상기 Light유체를 유입하여, 고순도의 DMF를 하부로 배출하고, Light 1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3 증류탑(T-03)과; 상기 제2 증류탑(T-2)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Heavy유체와 상기 제3 증류탑(T-03)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Light 1유체를 혼합하는 제1 혼합설비(MIX-1)과; 상기 제1 혼합설비(MIX-1)에서는 상기 Heavy유체와 Light 1유체를 혼합하여 제1 폐기물(WASTE)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류탑(T-01)에서 배출되는 OVHD유체를 유입하여, 물(Water)을 하부로 배출하고, 제2 폐기물(WASTE)을 상부로 배출하는 제4 증류탑(T-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폐기물과, 원료물질을 혼합하는 제2 혼합설비(MiX-2)를 가지며, 상기 제2 혼합설비(MiX-2)에서 혼합된 물질은, 상기 제1 증류탑(T-1)의 하부에서 원료물질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제1 증류탑(T-01)에서, 원료물질과 물을 유입하여, BOTTOM 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DMF를 포함하지 않는 OVHD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1 단계(S1)와; 제2 증류탑(T-02)에서 상기 BOTTOM유체를 유입하여, Heavy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물과 DMF만을 포함하는 Light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2 단계(S2)와; 제3 증류탑(T-02)에서 상기 Light유체를 유입하여, 고순도의 DMF를 하부로 배출하고, Light 1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3 단계(S3)와; 제1 혼합설비(MIX-1)에서 상기 제2 증류탑(T-2)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Heavy유체와 상기 제3 증류탑(T-03)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Light 1유체를 혼합하는 제4 단계(S4)와; 상기 제1 혼합설비(MIX-1)에서는 상기 Heavy유체와 Light 1유체를 혼합하여 제1 폐기물(WASTE)로 배출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4]에 있어서, 제4 증류탑에서, 상기 제1 증류탑(T-01)에서 배출되는 OVHD유체를 유입하여, 물(Water)을 하부로 배출하고, 제2 폐기물(WASTE)을 상부로 배출하는 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상기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S 5) 단계에서 배출되는 폐기물과, 새로운 원료물질을 혼합(MIX)하여 혼합폐기물(WASTE)를 배출하는 단계(S 7)와;
상기 (S-7) 단계에서 제2 혼합설비(MiX-2)에서 혼합된 물질과, 상기 (S-6) 단계에서 배출되는 폐기물(WASTE)을 혼합하여 상기 제1 증류탑(T-1)의 하부에서 원료물질로 유입시키는 단계(S 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유기용제(폐유)에 수산화나트륨(NaOH)를 첨가하지도 않고, 폐유기용제(폐유) 1000kg 처리 시 최종 방류되는 폐수의 양도 약 400kg(40%)까지만 발생시키며, 폐유기용제(폐유) 내에 존재하는 성분 간의 공비관계만을 이용하여 성분 간의 분리를 유도한 후, 최종적으로 폐유기용제(폐유)로부터 99.99% 이상의 고 순도 Dimethylformamide(DMF)를 버려지는 양 없이 분리 회수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물질에 포함되는 DMF를 전량 회수하여 사용하며, DMF와 AA를 분리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NaOH를 사용하지 않고, 폐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류탑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순도 99.99% 이상의 물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NaOH 첨가에 의한 DMF 회수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NaOH 첨가에 의한 DMF 회수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NaOH 첨가에 의한 DMF 회수 공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PI필름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정화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제1 증류탑(T-01) 내지 제4 증류탑(T-04)과,제1 혼합설비(MIX-1)와 제2 혼합설비(MIX-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도 2를 살펴보면서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증류탑(T-01)]
본 발명의 제1 증류탑(T-01)은, 원료물질과 물을 유입하여, BOTTOM 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DMF를 포함하지 않는 OVHD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원료물질에는 NaOH를 사용하지 않고, DMF를 비롯하여 BP(3-Methylpyridine : 3-메틸피리딘)와 AA(Acetic Acid :초산)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증류탑(T-01)을 거쳐 배출되는 BOTTOM 유체에는 상기 원료 물질 중에서 BP가 제거된 DMF, AA 및 물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료물질에 있어서의 DMF에 대한 BP 및 AA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DMF 100중량부에 대해서 BP는 6 내지 10중량부로 하고, AA는 25 내지 35중량부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 물질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 증류탑(T-02)을 거쳐 발생하는 HEAVY물질, 제3 증류탑(T-03)을 거쳐 발생하는 LIGHT-1 물질 및 제4 증류탑(T-04)을 거쳐 발생하는 폐기물(WASTE)을 다른 원료물질들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제2 증류탑(T-02)]
본 발명의 제2 증류탑(T-02)은, 상기 제1 증류탑(T-01)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BOTTOM유체를 유입하여, Heavy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물과 DMF만을 포함하는 Light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제3 증류탑(T-03)]
본 발명의 제3 증류탑(T-03)은, 상기 제2 증류탑(T-01) 상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물과 DMF만을 포함하는 Light유체를 유입하여, 고순도의 DMF를 하부로 배출하고, Light-1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배출되는 DMF는 99.99% 이상의 고순도를 갖게 된다.
[제4 증류탑(T-04)]
본 발명의 제4 증류탑(T-04)은, 상기 제1 증류탑(T-01)에서 배출되는 OVHD유체를 유입하여, 물(Water)을 하부로 배출하고, 폐기물(WASTE)을 상부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폐기물(WASTE)은, 다른 원료물질과 혼합하여 다시 제1 증류탑(T-01)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발생되는 물(Water)은 99.99% 이상의 고순도이므로, 상기 제1 증류탑(T-01)에 유입시키는 물로 재사용할 수도 있다.
[제1 혼합설비(MIX-01)]
본 발명의 제1 혼합설비(MIX-01)는, 상기 제2 증류탑(T-2)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Heavy유체와, 상기 제3 증류탑(T-03)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Light-1 유체를 혼합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혼합설비(MIX-01)에서 혼합된 폐기물(waste)은 곧바로 폐기할 수도 있으나, 다른 원료물질과 혼합하여 다시 제1 증류탑(T-01)으로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4 증류탑(T-04)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폐기물(WASTE)과 혼합하고, 다른 원료물질을 혼합하여 다시 제1 증류탑(T-01)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혼합설비(MIX-02)]
본 발명의 제2 혼합설비(MIX-02)는, 상기 제1 혼합설비(MIX-02)에서 혼합된 폐기물(WASTE)을 다른 원료 물질(RAW MATER)과 혼합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제2 혼합설비(MIX-2)에서 혼합된 혼합체는 상기 제1 증류탑(T-01)로 원료물질과 혼합하여 유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혼합설비(MIX-2)에서 혼합된 다른 원료 물질(RAW MATER)과 폐기물(WASTE)을 포함하여 제4 증류탑(T-04)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폐기물(WASTE)까자를 모두 혼합하여, 상기 제1 증류탑(T-01)로 원료물질과 혼합하여 유입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방법은,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T-01 : 제1 증류탑
T-02 : 제2 증류탑
T-03 : 제3 증류탑
T-04 : 제4 증류탑
MIX-1 : 제1 혼합설비
MIX-2 : 제2 혼합설비

Claims (6)

  1. 원료물질과 물을 유입하여, BOTTOM 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DMF를 포함하지 않는 OVHD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1 증류탑(T-01)과;
    상기 BOTTOM유체를 유입하여, Heavy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물과 DMF만을 포함하는 Light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2 증류탑(T-02)과;
    상기 Light유체를 유입하여, 고순도의 DMF를 하부로 배출하고, Light-1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3 증류탑(T-03)과;
    상기 제2 증류탑(T-2)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Heavy유체와 상기 제3 증류탑(T-03)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Light-1유체를 혼합하는 제1 혼합설비(MIX-1)과;
    상기 제1 혼합설비(MIX-1)에서는 상기 Heavy유체와 Light-1유체를 혼합하여 폐기물(WASTE)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류탑(T-01)에서 배출되는 OVHD유체를 유입하여, 물(Water)을 하부로 배출하고, 폐기물(WASTE)을 상부로 배출하는 제4 증류탑(T-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기물과, 원료물질을 혼합하는 제2 혼합설비(MiX-2)를 가지며,
    상기 제2 혼합설비(MiX-2)에서 혼합된 물질은, 상기 제1 증류탑(T-1)의 하부에서 원료물질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4. 제1 증류탑(T-01)에서, 원료물질과 물을 유입하여, BOTTOM 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DMF를 포함하지 않는 OVHD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1 단계(S 1)와;
    제2 증류탑(T-02)에서 상기 BOTTOM유체를 유입하여, Heavy유체를 하부로 배출하고, 물과 DMF만을 포함하는 Light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2 단계(S 2)와;
    제3 증류탑(T-02)에서 상기 Light유체를 유입하여, 고순도의 DMF를 하부로 배출하고, Light-1유체를 상부로 배출하는 제3 단계(S 3)와;
    제1 혼합설비(MIX-1)에서 상기 제2 증류탑(T-2)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Heavy유체와 상기 제3 증류탑(T-03)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Light-1유체를 혼합하는 제4 단계(S 4)와;
    상기 제1 혼합설비(MIX-1)에서는 상기 Heavy유체와 Light-1유체를 혼합하여 폐기물(WASTE)로 배출하는 제5 단계(S 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4 증류탑에서, 상기 제1 증류탑(T-01)에서 배출되는 OVHD유체를 유입하여, 물(Water)을 하부로 배출하고, 폐기물(WASTE)을 상부로 배출하는 단계(S 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 5) 단계에서 배출되는 폐기물과, 새로운 원료물질을 혼합(MIX)하여 혼합폐기물(WASTE)를 배출하는 단계(S 7)와;
    상기 (S-7) 단계에서 제2 혼합설비(MiX-2)에서 혼합된 물질과, 상기 (S-6) 단계에서 배출되는 폐기물(WASTE)을 혼합하여 상기 제1 증류탑(T-1)의 하부에서 원료물질로 유입시키는 단계(S 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
KR1020210001914A 2021-01-07 2021-01-07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4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14A KR102454185B1 (ko) 2021-01-07 2021-01-07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14A KR102454185B1 (ko) 2021-01-07 2021-01-07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698A true KR20220099698A (ko) 2022-07-14
KR102454185B1 KR102454185B1 (ko) 2022-10-14

Family

ID=8240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914A KR102454185B1 (ko) 2021-01-07 2021-01-07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18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270A (ja) * 2001-05-28 2002-12-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カルボン酸とジメチルアミドの蒸留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2363150A (ja) * 2001-06-01 2002-12-1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酢酸とジメチルホルムアミドの蒸留分離方法および装置
KR100433826B1 (ko) 2001-08-29 2004-05-31 한모기술주식회사 추출법과 증류법을 병용한 용제회수 방법
JP2006528134A (ja) * 2003-06-19 2006-12-1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廃棄物流の回収方法及び装置
JP4271423B2 (ja) * 2002-10-29 2009-06-03 株式会社カネカ ジメチルアミド化合物とカルボン酸を蒸留分離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00378B1 (ko) 2014-04-04 2017-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의 회수 방법
KR101986367B1 (ko) 2017-11-30 2019-06-05 주식회사 지티씨엔에스 반도체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후 발생하는 유기용매의 회수방법 및 이에 적합한 회수 장치
KR102142550B1 (ko) 2016-12-16 2020-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반응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의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270A (ja) * 2001-05-28 2002-12-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カルボン酸とジメチルアミドの蒸留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2363150A (ja) * 2001-06-01 2002-12-1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酢酸とジメチルホルムアミドの蒸留分離方法および装置
KR100433826B1 (ko) 2001-08-29 2004-05-31 한모기술주식회사 추출법과 증류법을 병용한 용제회수 방법
JP4271423B2 (ja) * 2002-10-29 2009-06-03 株式会社カネカ ジメチルアミド化合物とカルボン酸を蒸留分離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528134A (ja) * 2003-06-19 2006-12-1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廃棄物流の回収方法及び装置
KR101700378B1 (ko) 2014-04-04 2017-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의 회수 방법
KR102142550B1 (ko) 2016-12-16 2020-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반응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의 분리방법
KR101986367B1 (ko) 2017-11-30 2019-06-05 주식회사 지티씨엔에스 반도체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후 발생하는 유기용매의 회수방법 및 이에 적합한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185B1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14699A (ja) 酢酸の回収方法
KR102454185B1 (ko) 폐유기용제로부터 고순도 dmf를 분리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4760677B2 (ja) アントラキノン法による過酸化水素の製造方法
JP5973438B2 (ja) フィルターフィードスラリーにおける水のパーセントを制御することによるテレフタル酸パージろ過速度の向上
WO2017098900A1 (ja) ジメチルスルホキシドの精製方法
KR101946657B1 (ko) 필터 공급 슬러리중 물의 백분율을 제어함으로써 테레프탈산 퍼지 여과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
CN1246234C (zh) 间苯二甲酸二甲酯-5-磺酸钠生产废水的治理及其资源化方法
TWI551585B (zh) 藉由控制過濾器進料漿中水的百分比來改善對苯二甲酸之沖洗過濾速率
US4468257A (en) Washing and removal method of high molecular substances
JPH11347536A (ja) フェノール類含有廃水の処理方法
KR100433826B1 (ko) 추출법과 증류법을 병용한 용제회수 방법
JP5242999B2 (ja) 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の精製方法
JP2007063153A (ja) 芳香族カルボン酸の製造工程における酢酸回収方法
JP2019131526A (ja) 酢酸含有水溶液からの酢酸の回収方法
JP2004043434A (ja) 高純度ジメチルスルホキシドと、ジメチルスルホキシドとアミン類の混合物の精製方法
JPH0517160A (ja) 塩化第一鉄廃液からの塩酸及び硫酸鉄の回収方法
CN107344929B (zh) 从苯酐轻组份分离回收苯酐的方法
CN114989047A (zh) 一种从废有机溶剂中回收二甲基亚砜的方法
JPH0461859B2 (ko)
CN105481156A (zh) 化学废水处理方法
JP4405829B2 (ja) 塩化メチレンの回収方法
JP6455318B2 (ja) 液体の処理方法及びアクリロニトリル又はメタアクリロニトリルの製造方法
KR100431688B1 (ko) 트리멜리트산 및 촉매의 회수방법 및 장치
JPH07285897A (ja) 使用済みのグリコール含有工業用液体からグリコールを回収する方法、及び該グリコールを含有する不凍液
CN116332736A (zh) 一种电子行业废溶剂的回收再利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