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271A -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9271A KR20220099271A KR1020210001304A KR20210001304A KR20220099271A KR 20220099271 A KR20220099271 A KR 20220099271A KR 1020210001304 A KR1020210001304 A KR 1020210001304A KR 20210001304 A KR20210001304 A KR 20210001304A KR 20220099271 A KR20220099271 A KR 202200992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cushion
- dive
- seat
- cushion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75—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60N2/02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4—Linear actuator, e.g. screw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21—Combination of Rods and sl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을 갖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 리클라이닝 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이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원하는 릴렉세이션 자세(relaxation position)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폴드 앤 다이브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조절 시 시트쿠션의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승객이 원하는 릴렉세이션 자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시트백 뒤쪽에 물품 적재 공간을 더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시트백을 시트쿠션 위로 접는 폴딩(folding) 작동과, 폴딩되는 시트백의 배면을 수평면으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시트쿠션의 앞쪽 부분을 하강시키는 다이브(dive) 작동이 가능한 시트를 말한다.
이러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는 시트백의 폴딩을 위한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 외에 승객의 휴식 및 취침 등을 위한 피로 저감 자세를 구현하기 위하여 시트백을 후방으로 리클라이닝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닝 메카니즘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자세에서 리클라이닝 메카니즘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10)의 후방 리클라이닝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시트쿠션 프레임(20)은 기본 자세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10)의 폴딩 시 시트백 프레임(10)의 배면을 수평면으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에 의하여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앞쪽 부분이 하강하는 다이브(dive)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경우,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 외에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카니즘이 구비되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시 승객이 상체를 뒤로 더 기댈 수 있는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지만, 시트쿠션은 기본 자세로 유지됨에 따라 승객의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에 대한 체압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하체 부분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경우,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하강하는 동작만이 가능하고, 시트백의 후방 리클라이닝 조절 시 시트쿠션의 전단부를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킬 수 없으므로, 승객의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에 대한 체압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하체 부분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을 갖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 리클라이닝 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이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원하는 릴렉세이션 자세(relaxation position)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상단부에 젖힘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백 프레임; 전단부는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후단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이브 링크;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를 지지하여 상기 다이브 링크와 연결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쿠션 틸팅 지지핀; 및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와 차체 플로어패널에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 젖힘 작동이 완료될 때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를 상승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포함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은,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이브 링크의 후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을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은,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이 원기둥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는: 상기 다이브 링크의 전단부에 장착된 사이드 브라켓에 젖힘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클라이너 레버; 및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와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연결하는 릴리즈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 젖힘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릴리즈 케이블이 당겨짐에 연동하여 락킹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리즈 케이블은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의 조작 해제 시 본래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릴리즈 케이블이 본래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락킹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를 상승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차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스드 케이스; 상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부가 무빙 샤프트에 의하여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무빙 케이스;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상단부 좌측부와 상단부 우측부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아웃터 락킹멤버; 하단부가 상기 무빙 케이스의 하단부를 관통한 상기 무빙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 샤프트와 동시 회전하게 되고, 상단부가 상기 릴리즈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는, 락킹 유닛 레버; 상기 한 쌍의 아웃터 락킹멤버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인너 락킹멤버; 상기 무빙 케이스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인너 락킹멤버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형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인너 투스 플레이트; 상기 무빙 샤프트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무빙 샤프트와 동시 회전하고, 상기 락킹 유닛 레버이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한 쌍의 인너 락킹멤버를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인너 투스 가이드; 및 상기 무빙 샤프트와 인너 투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투스 가이드는 상기 락킹 유닛 레버의 회전 시 상기 인너 락킹멤버의 이동 궤적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인너 락킹멤버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는 안내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는 캠 안착홈과 상기 캠 안착홈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인너 투스 안착홈 및 상기 캠 안착홈과 인너 투스 안착홈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 안착홈에는 그 외주면에 함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빙 샤프트에 동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 락킹멤버는, 상기 인너 투스 안착홈에 선형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서, 상기 락킹 유닛 레버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캠의 함몰홈부가 상기 개구부를 마주하게 될 때,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캠 안착홈에 진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락킹멤버는 상기 개구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상기 안내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 유닛 레버가 락킹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캠은 상기 함몰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 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마주함으로써 상기 인너 락킹멤버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캠 안착홈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는 캠 안착홈에 상기 캠의 회전 궤적을 안내하기 위한 캠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캠은 상기 캠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캠 가이드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에 의해 상기 무빙 샤프트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상단부에 젖힘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백 프레임; 전단부는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후단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다이브 링크;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상기 다이브 링크의 후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다이브 링크의 전단부를 상승한 상태로 지지하는, 한 쌍의 쿠션 틸팅 지지바; 및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와 차체 플로어패널에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가 상기 다이브 링크의 전단부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신장되는,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포함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는: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과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바 몸체; 및 상기 지지바 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접촉지지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촉지지돌기는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차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스드 케이스; 상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부가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무빙 케이스; 상기 무빙 케이스의 하단부에 조립되고, 그 양측 단부가 무빙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장착핀;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조립부; 상기 스프링 장착핀과 스프링 조립부를 연결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은;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조립되어, 상기 무빙 케이스의 슬라이딩 시 상기 픽스드 케이스와 무빙 케이스의 마찰 소음을 저감하는 라이닝 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상단부에 젖힘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백 프레임; 전단부는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후단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다이브 링크;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승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쿠션 틸팅 지지바; 및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와 차체 플로어패널에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신장되는,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포함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는 그 상단부가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의 상단부는 그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는 보조접촉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접촉부재는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이브 링크의 하방에 배치되는 지지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는 상기 지지바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은: 하단부가 차체 플로어패널의 차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 브라켓; 상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쿠션 브라켓; 전단부가 상기 쿠션 브라켓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쿠션 브라켓의 하단부와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회전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는 쿠션 브라켓의 하단부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은 그 후단부의 외측면이 상기 메인 브라켓의 내벽면에 면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라켓의 전단부는 쿠션 샤프트를 통해 상기 쿠션 브라켓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의 후단부는 회전 샤프트를 통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승할 때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회전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회전 브라켓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 브라켓의 하단부는 차체 브라켓에 메인 샤프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쿠션 샤프트와 메인 샤프트는 리턴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주된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을 후방으로 리클라이닝시키는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틸팅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승객의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에 대한 체압 분산 및 피로도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 승객이 원하는 릴렉세이션 자세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승객 하중에 의해 시트쿠션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릴렉세이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폴드 앤 다이브 시트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락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락킹 해제 상태에서 무빙 케이스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무빙 케이스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재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폴드 앤 다이브 작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폴드 앤 다이브 작동 완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의 신장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의 신장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이 신장되기 이전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이 신장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락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락킹 해제 상태에서 무빙 케이스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무빙 케이스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재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폴드 앤 다이브 작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폴드 앤 다이브 작동 완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의 신장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의 신장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이 신장되기 이전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이 신장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하, 좌우, 및 전후 등의 방향은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차량을 기준으로 한다.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과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 및 시트백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은 승객이 시트에 착석할 때 승객의 엉덩이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이고,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좌우 양측 및 시트백 프레임(120)의 하단부에서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과 차체 플로어패널 사이에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을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은, 한 쌍의 다이브 링크(130)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120)의 측부에 장착되며, 제1프레임(101)과 제1프레임(10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1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은 센터프레임(10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은 좌우로 이격 배열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후단부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각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은 시트백 프레임(120)과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다.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의 상단부는 시트백 프레임(120)에 장착되고,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의 하단부는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의 상단부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하단부의 측부에 결합되며, 이때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은 시트백 프레임(120)의 하단부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은 승객이 시트에 착석할 때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에 리클라이너(30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젖힘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의 상단부와 시트백 프레임(120)의 하단부 간의 연결 지점에 리클라이너(300)가 장착되며, 상기 리클라이너(300)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120)의 전방 젖힘 각도 및 후방 젖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은 리클라이너(300)를 통해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의 상단부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은 리클라이너(300)의 락킹 해제 시 승객에 의해 수동으로 후방으로 젖힘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은 리클라이너(30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리클라이닝 작동 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틸팅 작동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링크 멤버로서,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과 시트백 프레임(120)에 다이브 링크(130)가 장착된다.
상기 다이브 링크(130)는, 그 전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측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그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120)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다이브 링크(130)는, 그 전단부에 대해 그 후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ㄴ 모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전단부는 용접을 통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후단부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측부에 장착된 시트백 힌지핀(12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다이브 링크(130)는, 시트백 프레임(120)이 승객에 의하여 후방으로 젖혀질 때, 그 후단부가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1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질 때,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들리는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에는 쿠션 틸팅 지지핀(140)이 장착된다.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140)은,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의 측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140)은,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110)의 측부에 돌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다이브 링크(130)는, 시트백 프레임(120)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140)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과 함께 젖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140)이 다이브 링크(130)의 하면을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다이브 링크(130)는 쿠션 틸팅 지지핀(140)과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그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즉,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140)은 다이브 링크(130)의 후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이 다이브 링크(130)의 전단부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때 다이브 링크(130)의 전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측부에 고정됨에 의하여,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이 비스듬히 들어올려지게 되며 그에 따라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일반적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경우, 시트백 프레임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다이브 링크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140)은, 다이브 링크(130)의 후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이동될 때, 다이브 링크(130)의 하면을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원활한 젖힘 동작을 위하여, 상기 다이브 링크(130)의 하면에 접촉하는 쿠션 틸팅 지지핀(140)의 외주면은 원기둥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가 상승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즉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틸팅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시키기 위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에는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이 장착된다.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140)과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 사이에 수평방향 거리의 경우 쿠션 틸팅 지지핀(140)과 시트백 힌지핀(121) 사이에 수평방향 거리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승객 하중에 의하여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140)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에 걸리는 하중을 추가로 지지하기 위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이 필요하다.
첨부한 도 7 내지 도 12c는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상태일 때 각 구성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해제 상태일 때 각 구성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해제 상태일 때 무빙 케이스(2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무빙 케이스(2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이 재락킹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픽스드 케이스(210)와 무빙 케이스(220)와 락킹 유닛 레버(240)와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와 인너 투스 가이드(270) 및 리턴 스프링(2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드 케이스(210)는, 그 하단부가 차체 브라켓(105)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상단부에 한 쌍의 아웃터 락킹멤버(230)가 장착된다. 차체 브라켓(105)은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이다.
구체적으로, 픽스드 케이스(210)의 하단부는 차체 브라켓(105)에 힌지로 체결되고, 픽스드 케이스(210)의 상단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아웃터 락킹멤버(230)가 고정되게 장착된다.
상기 아웃터 락킹멤버(230)는 픽스드 케이스(210)에 압입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32)와 복수의 아웃터 투스(231)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돌기(232)는 아웃터 락킹멤버(230)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한쪽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 투스(231)는 결합돌기(232)의 반대편에 구비된다.
픽스드 케이스(210)의 상단부 좌측부와 상단부 우측부에는 각각 결합홀(211)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홀(211)에 아웃터 락킹멤버(230)의 결합돌기(232)가 압입되어 체결된다.
한 쌍의 아웃터 락킹멤버(230)는, 픽스드 케이스(210)에 장착될 때 픽스드 케이스(2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각각의 아웃터 투스(231)가 서로 마주하게 된다.
상기 무빙 케이스(220)는, 그 상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하단부가 무빙 샤프트(213)에 의하여 픽스드 케이스(210)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무빙 케이스(220)의 상단부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에 부착된 마운트 브라켓(104)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무빙 케이스(220)의 하단부는 픽스드 케이스(210)의 전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무빙 샤프트(21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락킹 유닛 레버(240)는, 픽스드 케이스(210)의 상단부와 무빙 케이스(220)의 하단부를 동시 관통한 무빙 샤프트(213)에 의하여 무빙 케이스(22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락킹 유닛 레버(240)는, 무빙 케이스(220)를 관통한 무빙 샤프트(213)의 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리클라이너 레버(310)에 의하여 회전될 때 상기 무빙 샤프트(213)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락킹 유닛 레버(240)의 상단부는 릴리즈 케이블(241)에 의하여 리클라이너 레버(310)와 연결되며, 락킹 유닛 레버(240)의 하단부는 무빙 케이스(220)를 관통하여 돌출된 무빙 샤프트(213)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 유닛 레버(240)는, 리클라이너 레버(310)의 젖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될 때, 무빙 샤프트(213)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는, 한 쌍의 인너 락킹멤버(26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형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무빙 샤프트(213)에 조립된 상태로 픽스드 케이스(210)와 무빙 케이스(22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는, 마운트커버(256)를 통해 무빙 케이스(220)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그 일면에 스프링 결합핀(255)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인너 락킹멤버(260)는, 아웃터 락킹멤버(230)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것으로, 아웃터 락킹멤버(230)의 아웃터 투스(231)들과 치합 가능한 복수의 인너 투스(261)가 구비된다. 상기 인너 투스(261)는, 인너 락킹멤버(260)의 일면에 상하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는, 그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인너 락킹멤버(260)가 좌우로 선형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배치되는 인너 투스 안착홈(252)이 구비되고, 그 중앙부에 캠(28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배치되는 캠 안착홈(251)이 구비된다. 즉, 상기 캠 안착홈(251)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인너 투스 안착홈(252)이 배치된다.
상기 인너 투스 가이드(270)는, 무빙 샤프트(213)에 결합되어 무빙 샤프트(213)와 일체로 동시 회전하는 것으로, 인너 락킹멤버(260)와 무빙 케이스(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인너 투스 가이드(270)는, 락킹 유닛 레버(240)의 회전 시 한 쌍의 인너 락킹멤버(260)를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서로 반대편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인너 락킹멤버(260)는, 무빙 샤프트(213) 및 캠(280)을 향하여 모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투스 가이드(270)는, 그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인너 락킹멤버(260)의 이동 궤적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271)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271)에는, 인너 락킹멤버(260)의 안내핀(263)이 삽입된다. 상기 안내핀(263)은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271)은, 락킹 유닛 레버(240)에 의하여 인너 투스 가이드(270)가 회전될 때 무빙 샤프트(213)를 기준으로 선회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인너 락킹멤버(260)를 무빙 샤프트(213)를 향하여 끌어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인너 락킹멤버(260)는 인너 투스 안착홈(252)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는, 캠 안착홈(251)과 한 쌍의 인너 투스 안착홈(252)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부(253)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부(253)는 인너 투스 안착홈(252)과 캠 안착홈(251)을 연통하기 위한 것이며,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개구부(253)를 통해 캠 안착홈(251)에 진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개구부(253)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캠(280)은, 무빙 샤프트(213)에 동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무빙 샤프트(213)의 회전 시 캠 안착홈(251)에서 무빙 샤프트(213)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캠(280)은 그 외주면에 한 쌍의 함몰홈부(282)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함몰홈부(282)는 무빙 샤프트(213)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280)은,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이 락킹 상태일 때, 함몰홈부(282)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 부분이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의 개구부(253)를 마주함으로써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가 상기 개구부(253)를 통해 캠 안착홈(251)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280)은,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이 락킹 해제 상태가 될 때, 그 회전 궤적 및 회전 각도에 따라 함몰홈부(282)가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의 개구부(253)를 마주함으로써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가 상기 개구부(253)를 통해 캠 안착홈(251)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러한 캠(280)의 작동을 위하여,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의 캠 안착홈(251)에는 상기 캠(280)의 회전 궤적을 안내하기 위한 캠 가이드핀(254)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캠(280)에는 상기 캠 가이드핀(254)이 삽입되는 캠 가이드 슬롯(28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290)은, 무빙 샤프트(213)와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에 연결되어 무빙 샤프트(213)의 외측면상에 배치된다. 리턴 스프링(290)은, 그 일단부가 무빙 샤프트(213)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그 타단부가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리턴 스프링(290)의 일단부는 무빙 샤프트(213)의 외측면에 장착된 공회전방지멤버(214)에 장착되고, 리턴 스프링(290)의 타단부는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 스프링 결합핀(255)에 결합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290)은, 리클라이너 레버(310)에 의하여 무빙 샤프트(213)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무빙 샤프트(213)의 회전각도에 따라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리턴 스프링(290)은, 리클라이너 레버(310)의 젖힘 조작이 해제될 때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무빙 샤프트(213)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상기 리턴 스프링(290)은, 리클라이너 레버(310)의 젖힘 조작에 의하여 락킹 해제된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재락킹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회전방지멤버(214)는, 무빙 샤프트(213)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무빙 샤프트(213)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공회전방지멤버(214)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무빙 샤프트(213)와 캠(280) 사이 및 무빙 샤프트(213)와 인너 투스 가이드(27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무빙 샤프트(213)가 회전할 때 캠(280) 및 인너 투스 가이드(270)가 미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공회전방지멤버(214)는 무빙 샤프트(213)의 회전 시 상기 캠(280) 및 인너 투스 가이드(270)가 무빙 샤프트(213)와 일체로 동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캠(280)과 인너 투스 가이드(270)는, 공회전방지멤버(214)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케이싱(215) 및 라이닝멤버(2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15)은, 무빙 샤프트(213)에 의하여 조립된 픽스드 케이스(210)와 무빙 케이스(220)를 둘러싸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픽스드 케이스(210)와 무빙 케이스(220)는, 상기 케이싱(215)에 의하여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빙 케이스(220)의 상하 이동 시에도 조립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픽스드 케이스(210)의 상단부에는 그 후측부에 샤프트 가이드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 샤프트(213)는 상기 샤프트 가이드홀(212)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 가이드홀(212)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가이드홀(212)에는 라이닝멤버(21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닝멤버(216)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무빙 샤프트(213)와 픽스드 케이스(210) 간에 마찰 소음 및 충돌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에 한 쌍이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200')을 적용하는 경우, 리클라이너 레버(310)와 연결된 락킹 유닛 레버(240)와 리클라이너 레버(310)와 미연결된 락킹 유닛 레버(240')를 커넥팅바(292)에 의하여 함께 작동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310)와 미연결된 락킹 유닛 레버(240')는, 리클라이너 레버(310)와 연결된 락킹 유닛 레버(240)가 리클라이너 레버(310)에 의하여 작동될 때, 커넥팅바(292)에 의해 작동력을 전달받아 락킹 작동 또는 락킹 해제 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를 상승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먼저 락킹이 해제되어야 한다.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그 락킹 해제를 위하여 리클라이너(300)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위한 리클라이너 레버(310)와 연결되며,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310)가 승객에 의해 젖힘 조작되어 리클라이너(300)의 락킹을 해제할 때 함께 락킹 해제된다.
이러한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해제를 위하여,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유닛 레버(240)는 릴리즈 케이블(241)에 의하여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310)와 연결된다.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310)는 다이브 링크(130)의 전단부에 장착된 사이드 브라켓(132)에 젖힘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릴리즈 케이블(241)은 리클라이너 레버(310)와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유닛 레버(240)를 연결한다.
즉, 상기 릴리즈 케이블(241)은 리클라이너 레버(310)의 젖힘 조작력을 상기 락킹 유닛 레버(2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시트백 프레임(120)의 후방 젖힘을 위해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310)가 조작될 때 상기 릴리즈 케이블(241)이 당겨짐에 따라 락킹 해제된다.
또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시트백 프레임(120)의 후방 젖힘 동작이 완료되고 리클라이너 레버(3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릴리즈 케이블(241)이 원래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락킹 해제된다.
좀더 말하면,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리클라이너 레버(310)에 의해 리클라이너(300)가 재락킹될 때 락킹 유닛 레버(240)가 원래 위치(즉, 락킹 위치)로 복귀하게 됨에 따라 재락킹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리클라이너 레버(310)가 승객에 의하여 젖혀질 때 릴리즈 케이블(241)이 당겨지면서 락킹 유닛 레버(240)이 리클라이너 레버(310)의 젖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때 상기 락킹 유닛 레버(240)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락킹 유닛 레버(240)이 회전됨에 따라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해제 작동이 실행된다.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해제 작동은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락킹 유닛 레버(240)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무빙 샤프트(213)와 인너 투스 가이드(270) 및 캠(280)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리턴 스프링(290)은 무빙 샤프트(213)가 회전됨에 따라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인너 투스 가이드(270)가 회전될 때, 인너 투스 가이드(270)의 가이드 슬롯(271)이 인너 락킹멤버(260)의 안내핀(263)을 끌어당겨서 인너 락킹멤버(260)를 무빙 샤프트(213)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인너 락킹멤버(260)는 인너 투스 가이드(270)의 인너 투스 안착홈(252)에서 무빙 샤프트(213)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는 인너 투스 가이드(270)의 개구부(253)를 통해 캠 안착홈(251)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280)이 무빙 샤프트(213)와 동시 회전되어 캠(280)의 함몰홈부(282)가 상기 개구부(253)를 마주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가 캠 안착홈(251)에 진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인너 락킹멤버(260)가 무빙 샤프트(213)를 향하여 이동될 때, 인너 락킹멤버(260)의 인너 투스(261)와 아웃터 락킹멤버(230)의 아웃터 투스(231) 간에 치합이 해제된다.
상기 인너 투스(261)와 아웃터 투스(231)의 치합이 해제됨에 따라 인너 락킹멤버(260)와 아웃터 락킹멤버(230)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인너 락킹멤버(260)가 삽입되어 있는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의 상하 이동에 대한 락킹이 해제됨으로써 무빙 샤프트(213) 및 무빙 케이스(22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락킹 해제 상태가 된다.
승객이 리클라이너 레버(310)를 통해 리클라이너(300)의 락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시트백 프레임(120)을 후방으로 눕히면, 다이브 링크(130)의 후단부도 시트백 프레임(1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다이브 링크(130)의 전단부는, 다이브 링크(130)의 하면과 쿠션 틸팅 지지핀(140)의 접촉 지점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케이스(220)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젖힘량에 따라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승객이 시트백 프레임(120)의 각도 조절을 완료하고 리클라이너 레버(310)의 젖힘 조작을 해제하면, 릴리즈 케이블(241)이 리클라이너 레버(310)에 의해 당겨지기 이전의 본래 위치로 이동하면서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작동이 실행되고, 그에 따라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다시 락킹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작동은, 앞서 설명한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해제 작동이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너 레버(310)의 젖힘 조작이 해제되고 릴리즈 케이블(241)이 본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무빙 샤프트(213)가 락킹 해제 방향의 역방향인 락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무빙 샤프트(213)가 락킹 방향으로 회전할 때, 무빙 샤프트(213)와 인너 투스 가이드(270) 및 캠(28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인너 투스 가이드(270)가 회전될 때, 인너 투스 가이드(270)의 가이드 슬롯(271)이 본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인너 락킹멤버(260)의 안내핀(263)을 아웃터 락킹멤버(230)를 향하여 밀어내게 되고, 캠(280)도 본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를 아웃터 락킹멤버(230)를 향하여 밀어내게 된다.
상기 안내핀(263) 및 가이드 돌기(262)가 인너 투스 가이드(270) 및 캠(280)에 의하여 이동됨과 동시에 인너 락킹멤버(260)가 아웃터 락킹멤버(230)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인너 락킹멤버(260)의 가이드 돌기(262)는 인너 투스 플레이트(250)의 개구부(253)를 통해 캠 안착홈(251)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인너 락킹멤버(260)는 인너 투스(261)와 아웃터 투스(231)가 치합될 때까지 아웃터 락킹멤버(23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인너 투스(261)와 아웃터 투스(231)가 치합됨에 의하여 인너 락킹멤버(260)와 아웃터 락킹멤버(230)가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다시 무빙 케이스(220)의 상하 이동이 불가능한 락킹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리턴 스프링(29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락킹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또한 인너 락킹멤버(260)와 아웃터 락킹멤버(230)가 결합된 이후 상기 리턴 스프링(290) 등에 의하여 인너 락킹멤버(260)와 아웃터 락킹멤버(23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리클라이너 레버(310)의 젖힘 조작 해제 시 상기와 같이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의 락킹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를 상승한 상태로 지지하여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20)의 리클라이닝 작동과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틸팅 작동이 동시 완료됨에 따라 승객이 원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릴렉세이션 자세(relaxation position)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시트백 프레임(120)의 후방 각도 조절량에 따라 시트쿠션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가 상승되는 각도에 따른 틸팅량도 조절된다.
한편, 첨부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작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작동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시트백 프레임(120)을 전방으로 폴딩하는 폴드 앤 다이브 작동 시 쿠션 틸팅 지지핀(140)과 다이브 링크(130)의 작동 영역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폴드 앤 다이브 작동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경우, 기존의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 쿠션 틸팅 락킹 유닛(200) 및 쿠션 틸팅 지지핀(140)을 교체하거나 추가하는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며, 그에 따라 부품을 공용화함으로써 추가 개발비용 및 원가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 15 내지 도 2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 중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로서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상기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이 신장되기 전 기본 상태와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과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 및 시트백 프레임(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은 승객이 시트에 착석할 때 승객의 엉덩이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이고,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후단부 좌측과 우측에서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은 시트백 프레임(420)의 하단부 좌측과 우측에서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은, 다이브 링크(430)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420)의 측부에 장착되며, 제1프레임(401)과 제1프레임(40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4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401)과 제2프레임(402)은 센터프레임(40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은 좌우로 이격 배열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후단부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각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은 시트백 프레임(420)과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다.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상단부는 시트백 프레임(420)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하단부는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다.
상기 각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상단부는 시트백 프레임(420)의 하단부 양측에 결합되며, 이때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상단부는 시트백 프레임(420)의 하단부 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420)은, 승객이 시트에 착석할 때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며, 리클라이너(600)에 의하여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에 전후방향으로 젖힘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상단부와 시트백 프레임(420)의 하단부 간의 연결 지점에 리클라이너(600)가 장착되며, 상기 리클라이너(600)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420)의 전방 젖힘 각도 및 후방 젖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백 프레임(420)은 리클라이너(60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에 연결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420)의 리클라이닝 작동 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틸팅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링크 멤버로서,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과 시트백 프레임(420)에 한 쌍의 다이브 링크(430)가 장착된다.
상기 다이브 링크(430)는, 그 전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되고, 그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42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다이브 링크(430)는, 그 전단부에 대해 그 후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ㄴ 모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브 링크(430)의 전단부는 용접을 통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다이브 링크(430)의 후단부는 시트백 프레임(420)의 측부에 장착된 시트백 힌지핀(42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다이브 링크(430)는, 시트백 프레임(420)이 승객에 의하여 후방으로 젖혀질 때, 그 후단부가 상기 시트백 프레임(4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상기 다이브 링크(430)의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4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질 때,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들리는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에는 쿠션 틸팅 지지바(440)가 장착된다.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는 지지바 몸체(441)와 접촉지지돌기(4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 몸체(441)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하단부 중에서도 전방부에 장착되어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과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지지바 몸체(441)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하단부에서부터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 몸체(441)의 하면은 용접에 의하여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접촉지지돌기(442)는, 상기 지지바 몸체(441)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접촉지지돌기(442)는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로 다이브 링크(43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브 링크(430)는, 시트백 프레임(420)이 후방으로 승객이 원하는 각도만큼 젖혀질 때,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의 접촉지지돌기(442)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시트백 프레임(420)과 함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지지돌기(442)가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을 접촉 상태로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다이브 링크(430)는 접촉지지돌기(442)와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그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즉,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는 다이브 링크(430)의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4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430)의 전단부가 상승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다이브 링크(430)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이 다이브 링크(430)의 전단부와 함께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브 링크(430)의 전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이 비스듬히 들리게 되며, 그에 따라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가 상승되는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는, 다이브 링크(430)의 후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틸팅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에 접촉하는 접촉지지돌기(442)의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지지돌기(442)의 외주면은 원형 곡면 또는 반원형 곡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틸팅 지지바(440)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 몸체(441)가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410)의 하단부에서부터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을 향하여 상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동시에, 시트백 프레임(420)의 후방 젖힘 시 상기 접촉지지돌기(442)에 의하여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420)의 후방 젖힘 동작이 완료된 후에도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가 상승 이동된 상태를 지지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는, 시트백 프레임(420)의 젖힘 동작이 완료된 후에도 계속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평상시에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를 차체 플로어패널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로 지지하고, 시트백 프레임(420)의 후방 젖힘 시에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를 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에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500)이 장착된다.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500)은, 시트백 프레임(420)의 리클라이닝 작동에 연동하여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가 다이브 링크(430)의 전단부와 함께 상승 이동할 때,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의 이동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500)은, 픽스드 케이스(510)와 무빙 케이스(520) 및 리턴 스프링(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드 케이스(510)는, 대략 ㄷ 모양의 굴곡된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하단부가 차체 브라켓(405)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상단부에 무빙 케이스(520)가 조립된다. 차체 브라켓(405)은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무빙 케이스(520)는, 픽스드 케이스(510)와 마찬가지로, 대략 ㄷ 모양의 굴곡된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상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픽스드 케이스(510)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지지된다. 이때 무빙 케이스(520)는, 픽스드 케이스(510)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스드 케이스(510)의 하단부는 차체 브라켓(405)을 통해 차체 플로어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무빙 케이스(520)의 상단부는 마운트 브라켓(404)을 통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무빙 케이스(520)의 하단부에는 스프링 장착핀(521)이 조립된다.
상기 스프링 장착핀(521)은, 무빙 케이스(520)에 조립될 때 무빙 케이스(52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그 양측 단부가 무빙 케이스(52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장착핀(521)은 무빙 케이스(5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빙 케이스(5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프링 장착핀(521)의 단부에 이탈방지멤버(522)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드 케이스(5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스프링 조립부(511)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조립부(511)는 픽스드 케이스(5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픽스드 케이스(5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구비된다.
리턴 스프링(530)은, 상기 픽스드 케이스(510)와 무빙 케이스(520)를 신장 및 복원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 장착핀(521)과 스프링 조립부(511)에 연결되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턴 스프링(530)은, 일단이 스프링 장착핀(521)에 결합되고 타단이 스프링 조립부(51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장착핀(521)과 스프링 조립부(511)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턴 스프링(530)은 무빙 케이스(520)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과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신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생성한다.
또한, 픽스드 케이스(5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라이닝멤버(54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픽스드 케이스(5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라이닝 장착홀(512)이 형성되며, 상기 라이닝멤버(540)는 라이닝 장착홀(512)에 강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닝멤버(540)는, 무빙 케이스(520)가 픽스드 케이스(510)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시 상기 픽스드 케이스(510)와 무빙 케이스(520)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이닝멤버(540)는, 마찰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500)은, 시트백 프레임(420)의 리클라이닝 작동 시 상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틸팅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트백 프레임(420)의 폴딩 작동 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을 전방 이동 및 하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서 정상적인 폴드 앤 다이브 작동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는, 시트백 프레임(420)을 전방으로 폴딩시킬 때 다이브 링크(430)의 작동 영역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작동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420)의 리클라이닝 작동 시 시트백 프레임(42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쿠션 틸팅 지지바(440)에 의하여 다이브 링크(430)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420)의 리클라이닝 작동은 리클라이너(600)의 락킹을 해제한 후 실행 가능하며, 승객이 리클라이너 레버(610)를 락킹 해제 방향으로 작동시킴에 의하여 리클라이너(600)의 락킹 해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610)는 다이브 링크(430)의 전단부에 장착된 사이드 브라켓(431)에 젖힘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가 틸팅됨에 따라,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500)의 무빙 케이스(520)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530)을 신장시키면서 픽스드 케이스(510)에 대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승객이 시트백 프레임(420)의 각도 조절을 완료하고 리클라이너 레버(610)의 젖힘 조작을 해제하면, 리클라이너(600)가 다시 락킹되면서 시트백 프레임(420)은 승객이 원하는 각도로 고정되고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은 상방향으로 들린 틸팅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440)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후단부 하방 위치에서 다이브 링크(430)의 하면을 지지함에 따라,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후단부는 상방향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고,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전단부만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따라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틸팅 작동 시 승객의 엉덩이 부위는 거의 상승하지 않고 허벅지 부위가 들리게 됨으로써, 승객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400)의 틸팅 완료 시, 리턴 스프링(530)은 신장되면서 생성한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무빙 케이스(520)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500)은, 무빙 케이스(520)의 원복성 및 복귀 시의 소음 저감에 유리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 23 내지 도 30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 중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15 내지 도 22에 도시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 중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로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7 및 도 28은 상기 시트쿠션 틸팅 장치의 구성 중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29 및 도 30은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이 신장되기 이전의 기본 상태와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이 신장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과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 및 시트백 프레임(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과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은 시트쿠션 프레임이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은 승객이 시트에 착석할 때 승객의 엉덩이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이고,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후단부 좌측과 후단부 우측에서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은 시트백 프레임(720)의 하단부 좌측과 하단부 우측에서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다.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은, 한 쌍의 다이브 링크(730)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720)의 측부에 연결 장착되며, 제1프레임(701)과 제1프레임(70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7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701)과 제2프레임(702)은 센터프레임(70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은 좌우로 이격 배열되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후단부 양측에 배치된다. 각각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은 시트백 프레임(720)과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다. 이때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상단부는 시트백 프레임(720)에 장착되고,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는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720)은 승객이 시트에 착석할 때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시트백 프레임(720)은,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에 리클라이너(90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젖힘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상단부와 시트백 프레임(720)의 하단부의 연결 지점에 리클라이너(900)가 장착되며, 상기 리클라이너(900)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720)의 전방 젖힘 각도 및 후방 젖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720)은 리클라이너(900)를 통해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상단부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장착되며, 시트백 프레임(720)은 리클라이너(900)의 락킹 해제 시 승객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다.
즉, 상기 시트백 프레임(720)은 리클라이너(90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에 결합된다.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시트백 프레임(720)의 리클라이닝 작동 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틸팅 작동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링크 멤버로서 한 쌍의 다이브 링크(73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다이브 링크(730)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과 시트백 프레임(720)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과 시트백 프레임(720)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다이브 링크(730)는, 그 전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측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그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720)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다이브 링크(730)는, 그 전단부에 대해 그 후단부가 상방향으로 굴곡된 형태의 ㄴ 모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이브 링크(730)의 전단부는 용접을 통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고, 다이브 링크(730)의 후단부는 시트백 프레임(720)의 측부에 장착된 시트백 힌지핀(72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브 링크(730)는, 시트백 프레임(720)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그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7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다이브 링크(730)의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7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질 때,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들리는 틸팅 작동이 이루어도록 하기 위하여, 각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에는 쿠션 틸팅 지지바(740)가 장착된다.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즉,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그 상단부가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접촉하고 그 하단부가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 중에서도 전방부에 장착되어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과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이브 링크(730)의 하방에 배치되는 지지바 장착부(7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 장착부(711)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시트백 프레임(720)의 전방 및 다이브 링크(730)의 하방에 배치된다. 지지바 장착부(711)는 그 하단부에 대해 그 상단부가 상방으로 굴곡된 형태의 ㄴ 모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하단부는 용접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 장착부(711)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지지바 장착부(711)의 하단부 위에 적층된 상태로 지지바 장착부(711)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또한 이때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상기 지지바 장착부(711)에서부터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바 장착부(711)에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단부는,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을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브 링크(730)는, 시트백 프레임(720)이 승객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질 때,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단부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다이브 링크(730)의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720)과 함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단부가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을 접촉 상태로 지지함에 의하여, 다이브 링크(730)는 쿠션 틸팅 지지바(740)와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그 전단부가 상승 이동하게 된다.
즉,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다이브 링크(730)의 후단부가 시트백 프레임(72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질 때, 다이브 링크(730)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이브 링크(730)의 전단부가 상승될 때, 다이브 링크(730)와 결합되어 있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다이브 링크(730)의 전단부와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다이브 링크(730)와 결합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를 상승시키게 된다.
즉, 쿠션 틸팅 지지바(740)가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하단부에서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720)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하여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승되는 작동(즉,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틸팅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접촉하는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단부 외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단부 외주면은 반원형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배치된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의 지지바 장착부(711)에서부터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까지 연장 배치되는 동시에, 시트백 프레임(720)의 후방 젖힘 시에도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승객에 의한 시트백 프레임(720)의 젖힘 작동이 완료된 후에도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승 이동된 상태를 지지하여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시트백 프레임(720)이 후방으로 젖혀지기 이전의 본래 위치로 복귀하기 전까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틸팅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는 보조접촉부재(73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촉부재(732)는,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장착되어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보조접촉부재(732)는,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과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접촉부재(732)는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단부와 접촉하게 되며,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상기 보조접촉부재(732)를 통해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보조접촉부재(732)는 지지바 장착부(7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 장착부(711) 위에 고정된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보조접촉부재(732)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상기 보조접촉부재(732)를 구비함으로써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하방향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에는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이 장착된다.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은, 시트백 프레임(720)이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고 본래 위치를 유지하는 기본 상태인 경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를 차체 플로어패널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은, 시트백 프레임(720)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승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신장가능하게 구성된다.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은, 시트백 프레임(720)의 리클라이닝 작동에 연동하여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다이브 링크(730)의 전단부와 함께 상승 이동할 때,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 이동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은, 메인 브라켓(810)과 쿠션 브라켓(820) 및 회전 브라켓(8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브라켓(810)은,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차체 브라켓(705)에 결합되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하방에 배치된다.
메인 브라켓(810)은, 그 하단부가 차체 브라켓(70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 샤프트(840)를 통해 차체 브라켓(705)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메인 샤프트(840)는, 메인 브라켓(810)의 하단부와 차체 브라켓(705)의 상단부를 동시 관통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메인 브라켓(810)은,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그 좌측부와 그 우측부가 전방으로 굴곡된 형태의 ㄷ 모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브라켓(810)은, 그 전단부가 개방되고 그 후단부가 폐쇄된 형태의 ㄷ 모양 판넬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 브라켓(820)은 메인 브라켓(810)의 상단부 전방에 배치되며, 쿠션 브라켓(820)의 상단부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이때 쿠션 브라켓(820)의 상단부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접으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쿠션 브라켓(820)은, 그 상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 외주면에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 하면과 전면을 감싸는 형태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쿠션 브라켓(820)은,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그 좌측부와 그 우측부가 후방으로 굴곡된 형태의 ㄷ 모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브라켓(820)은 그 전단부가 폐쇄되고 그 후단부가 개방된 형태의 ㄷ 모양 판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쿠션 브라켓(820)의 하단부는 메인 브라켓(810)의 상단부 전방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메인 브라켓(810)의 상단부는 쿠션 브라켓(820)의 하단부 후방에 배치된다.
회전 브라켓(830)은, 그 전단부가 쿠션 브라켓(82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후단부가 메인 브라켓(81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회전 브라켓(830)은, 그 전단부가 쿠션 샤프트(850)를 통해 쿠션 브라켓(820)의 하단부에 체결되고, 그 후단부가 회전 샤프트(860)를 통해 메인 브라켓(810)의 상단부에 체결된다.
상기 쿠션 샤프트(850)는, 쿠션 브라켓(820)의 하단부와 회전 브라켓(830)의 전단부를 동시 관통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회전 샤프트(860)는, 회전 브라켓(830)의 후단부와 메인프레임(700)의 상단부를 동시 관통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회전 브라켓(830)은,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그 좌측부와 그 우측부가 상방으로 굴곡된 형태의 ㄷ 모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브라켓(830)은, 그 상단부가 개방되고 그 하단부가 폐쇄된 형태의 ㄷ 모양 판넬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830)은, 쿠션 브라켓(820)의 하단부와 메인 브라켓(810)의 상단부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 브라켓(830)은, 쿠션 브라켓(820)의 개방된 후단부를 관통한 상태로 쿠션 브라켓(82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메인 브라켓(810)의 개방된 전단부를 관통한 상태로 메인 브라켓(81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회전 브라켓(830)은, 메인 브라켓(810)의 내측에 배치된 회전 브라켓(830)의 후단부가 메인 브라켓(810)의 내벽면에 면접촉하면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브라켓(830)은, 시트백 프레임(720)이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고 기본 상태를 유지할 때, 그 후단부 외측면이 메인 브라켓(810)의 내벽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지지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때, 회전 브라켓(830)의 후단부 외측면은 메인 브라켓(810)의 중앙부 내벽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시트백 프레임(720)이 상기 기본 상태를 유지할 때, 회전 브라켓(830)의 후단부 외측면이 메인 브라켓(810)의 중앙부 내벽면에 면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810)의 중앙부 내벽면에 면접촉하는 회전 브라켓(830)의 후단부 외측면은, 도 29에 보듯이 회전 브라켓(830)의 후단부 외측면 중에서도 후면(831) 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브라켓(830)의 후단부 외측면 중에서 상기 후면(831)과 이어지는 회전 브라켓(830)의 상면 부위는, 회전 브라켓()의 정상적인 회전 작동을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 브라켓()의 후단부 외측면 중 상면 구간은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720)이 후방으로 젖혀짐에 연동하여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경우, 회전 브라켓(830)은 회전 샤프트(860)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회전 브라켓(830)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선회하여 이동하게 된다.
즉,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승할 때, 쿠션 브라켓(820)과 체결된 회전 브라켓(830)의 전단부가 회전 샤프트(860)를 기점으로 선회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승할 때, 회전 브라켓(830)의 전단부가 회전 샤프트(860)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선회하게 됨으로써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의 상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신장됨으로써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틸팅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쿠션 샤프트(850)와 메인 샤프트(840)는 한 쌍의 리턴 스프링(870)을 통해 탄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리턴 스프링(870)은, 그 상단부가 쿠션 샤프트(850)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메인 샤프트(84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리턴 스프링(870)은, 그 상단부가 쿠션 브라켓(820) 및 회전 브라켓(8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쿠션 샤프트(850)의 단부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메인 브라켓(810) 및 차체 브라켓(70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메인 샤프트(840)의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쿠션 브라켓(820)이 결합되어 있는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승할 때, 상기 리턴 스프링(870)이 신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생성하게 된다.
쿠션 브라켓(820)은, 시트백 프레임(720)이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리턴 스프링(870)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원래 위치(즉, 상승 이동하기 전의 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귀하게 된다. 회전 브라켓(830)은, 쿠션 브라켓(820)이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하방으로 선회하면서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841은 메인 샤프트(840)가 차체 브라켓(705)에서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미설명 도면부호 851은 쿠션 샤프트(850)가 쿠션 브라켓(820)에서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고, 미설명 도면부호 861은 회전 샤프트(860)를 메인 브라켓(810)의 상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과 차체 브라켓(705) 사이에 좌우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은, 시트백 프레임(720)의 리클라이닝 작동 시 상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틸팅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트백 프레임(720)의 폴딩 작동 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을 전방 이동 및 하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정상적인 폴드 앤 다이브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시트백 프레임(720)을 전방으로 폴딩시킬 때 다이브 링크(730)의 작동 영역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작동이 정상적으로 실행 가능하도록 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쿠션 틸팅 지지바(740)는, 다이브 링크(730)의 하면에 장착된 보조접촉부재(732)의 후단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720)의 전방 폴딩 시 다이브 링크(73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720)의 리클라이닝 작동 시 시트백 프레임(720)이 후방으로 좀더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쿠션 틸팅 지지바(740)에 의하여 다이브 링크(730)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이브 링크(730)의 전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은 쿠션 틸팅 지지바(740)의 상단부와 보조접촉부재(732)의 접촉지점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들리게 된다.
시트백 프레임(720)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시트백 프레임(720)은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710)과의 연결 지점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선회하게 되며, 시트백 프레임(720)의 상단부는 후방으로 선회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720)의 리클라이닝 작동은 리클라이너(900)의 락킹을 해제한 후 실행 가능하며, 승객이 리클라이너 레버(910)를 락킹 해제 방향으로 조작함에 의하여 리클라이너(900)의 락킹이 해제된다. 리클라이너 레버(910)는 다이브 링크(730)의 전단부에 장착된 사이드 브라켓(731)에 젖힘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가 틸팅됨에 따라,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800)의 쿠션 브라켓(820)은,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870)을 신장시키면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와 함께 상승 이동하게 된다.
승객이 시트백 프레임(720)의 각도 조절을 완료하고 리클라이너 레버(910)의 젖힘 조작을 해제하면, 리클라이너(900)가 다시 락킹되면서 시트백 프레임(720)은 승객이 원하는 각도로 고정되고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은 쿠션 틸팅 지지바(740)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쿠션 틸팅 지지바(740)가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측부에 결합된 다이브 링크(730)의 중앙부 하면을 지지함에 따라,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후단부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전단부만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700)의 틸팅 작동 시 승객의 엉덩이 부위는 상승하지 않고 허벅지 부위만 들리게 됨으로써, 승객은 보다 편안한 자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일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101 : 제1프레임
102 : 제2프레임 103 : 센터프레임
104 : 마운트 브라켓 105 : 차체 브라켓
110 :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120 : 시트백 프레임
121 : 시트백 힌지핀 130 : 다이브 링크
132 : 사이드 브라켓 140 : 쿠션 틸팅 지지핀
200,200' : 쿠션 틸팅 락킹 유닛 210 : 픽스드 케이스
211 : 결합홀 212 : 샤프트 가이드홀
213 : 무빙 샤프트 214 : 공회전방지멤버
215 : 케이싱 216 : 라이닝멤버
220 : 무빙 케이스 230 : 아웃터 락킹멤버
231 : 아웃터 투스 232 : 결합돌기
240,240' : 락킹 유닛 레버 241 : 릴리즈 케이블
250 : 인너 투스 플레이트 251 : 캠 안착홈
252 : 인너 투스 안착홈 253 : 개구부
254 : 캠 가이드핀 255 : 스프링 결합핀
256 : 마운트커버 260 : 인너 락킹멤버
261 : 인너 투스 262 : 가이드 돌기
263 : 안내핀 270 : 인너 투스 가이드
271 : 가이드 슬롯 280 : 캠
281 : 캠 가이드 슬롯 282 : 함몰홈부
290 : 리턴 스프링 292 : 커넥팅바
300 : 리클라이너 310 : 리클라이너 레버
400 :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401 : 제1프레임
402 : 제2프레임 403 : 센터프레임
404 : 마운트 브라켓 405 : 차체 브라켓
410 :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420 : 시트백 프레임
421 : 시트백 힌지핀 430 : 다이브 링크
431 : 사이드 브라켓 440 : 쿠션 틸팅 지지바
441 : 지지바 몸체 442 : 접촉지지돌기
500,500' :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
510 : 픽스드 케이스 511 : 스프링 조립부
512 : 라이닝 장착홀 520 : 무빙 케이스
521 : 스프링 장착핀 522 : 이탈방지멤버
530 : 리턴 스프링 540 : 라이닝멤버
600 : 리클라이너 610 : 리클라이너 레버
700 :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701 : 제1프레임
702 : 제2프레임 703 : 센터프레임
705 : 차체 브라켓 710 :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711 : 지지바 장착부 720 : 시트백 프레임
721 : 시트백 힌지핀 730 : 다이브 링크
731 : 사이드 브라켓
732 : 보조접촉부재 740 : 쿠션 틸팅 지지바
800 :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 810 : 메인 브라켓
820 : 쿠션 브라켓 830 : 회전 브라켓
831 : 회전 브라켓의 후면 840 : 메인 샤프트
850 : 쿠션 샤프트 860 : 회전 샤프트
870 : 리턴 스프링 900 : 리클라이너
910 : 리클라이너 레버
102 : 제2프레임 103 : 센터프레임
104 : 마운트 브라켓 105 : 차체 브라켓
110 :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120 : 시트백 프레임
121 : 시트백 힌지핀 130 : 다이브 링크
132 : 사이드 브라켓 140 : 쿠션 틸팅 지지핀
200,200' : 쿠션 틸팅 락킹 유닛 210 : 픽스드 케이스
211 : 결합홀 212 : 샤프트 가이드홀
213 : 무빙 샤프트 214 : 공회전방지멤버
215 : 케이싱 216 : 라이닝멤버
220 : 무빙 케이스 230 : 아웃터 락킹멤버
231 : 아웃터 투스 232 : 결합돌기
240,240' : 락킹 유닛 레버 241 : 릴리즈 케이블
250 : 인너 투스 플레이트 251 : 캠 안착홈
252 : 인너 투스 안착홈 253 : 개구부
254 : 캠 가이드핀 255 : 스프링 결합핀
256 : 마운트커버 260 : 인너 락킹멤버
261 : 인너 투스 262 : 가이드 돌기
263 : 안내핀 270 : 인너 투스 가이드
271 : 가이드 슬롯 280 : 캠
281 : 캠 가이드 슬롯 282 : 함몰홈부
290 : 리턴 스프링 292 : 커넥팅바
300 : 리클라이너 310 : 리클라이너 레버
400 :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401 : 제1프레임
402 : 제2프레임 403 : 센터프레임
404 : 마운트 브라켓 405 : 차체 브라켓
410 :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420 : 시트백 프레임
421 : 시트백 힌지핀 430 : 다이브 링크
431 : 사이드 브라켓 440 : 쿠션 틸팅 지지바
441 : 지지바 몸체 442 : 접촉지지돌기
500,500' :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
510 : 픽스드 케이스 511 : 스프링 조립부
512 : 라이닝 장착홀 520 : 무빙 케이스
521 : 스프링 장착핀 522 : 이탈방지멤버
530 : 리턴 스프링 540 : 라이닝멤버
600 : 리클라이너 610 : 리클라이너 레버
700 :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701 : 제1프레임
702 : 제2프레임 703 : 센터프레임
705 : 차체 브라켓 710 :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711 : 지지바 장착부 720 : 시트백 프레임
721 : 시트백 힌지핀 730 : 다이브 링크
731 : 사이드 브라켓
732 : 보조접촉부재 740 : 쿠션 틸팅 지지바
800 :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 810 : 메인 브라켓
820 : 쿠션 브라켓 830 : 회전 브라켓
831 : 회전 브라켓의 후면 840 : 메인 샤프트
850 : 쿠션 샤프트 860 : 회전 샤프트
870 : 리턴 스프링 900 : 리클라이너
910 : 리클라이너 레버
Claims (20)
-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상단부에 젖힘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백 프레임;
전단부는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후단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이브 링크;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를 지지하여 상기 다이브 링크와 연결된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쿠션 틸팅 지지핀; 및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와 차체 플로어패널에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 젖힘 작동이 완료될 때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를 상승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쿠션 틸팅 락킹 유닛;
을 포함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은,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이브 링크의 후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을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쿠션 틸팅 지지핀은,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이 원기둥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브 링크의 전단부에 장착된 사이드 브라켓에 젖힘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클라이너 레버;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와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을 연결하는 릴리즈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 젖힘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가 조작될 때 상기 릴리즈 케이블이 당겨짐에 연동하여 락킹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케이블은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의 조작 해제 시 본래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릴리즈 케이블이 본래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의 락킹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를 상승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쿠션 틸팅 락킹 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차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스드 케이스;
상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부가 무빙 샤프트에 의하여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무빙 케이스;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상단부 좌측부와 상단부 우측부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아웃터 락킹멤버;
하단부가 상기 무빙 케이스의 하단부를 관통한 상기 무빙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 샤프트와 동시 회전하게 되고, 상단부가 상기 릴리즈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는, 락킹 유닛 레버;
상기 한 쌍의 아웃터 락킹멤버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인너 락킹멤버;
상기 무빙 케이스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인너 락킹멤버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형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인너 투스 플레이트;
상기 무빙 샤프트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무빙 샤프트와 동시 회전하고, 상기 락킹 유닛 레버이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한 쌍의 인너 락킹멤버를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인너 투스 가이드; 및
상기 무빙 샤프트와 인너 투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너 투스 가이드는 상기 락킹 유닛 레버의 회전 시 상기 인너 락킹멤버의 이동 궤적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인너 락킹멤버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는 안내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는 캠 안착홈과 상기 캠 안착홈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인너 투스 안착홈 및 상기 캠 안착홈과 인너 투스 안착홈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 안착홈에는 그 외주면에 함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빙 샤프트에 동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인너 락킹멤버는, 상기 인너 투스 안착홈에 선형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서, 상기 락킹 유닛 레버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캠의 함몰홈부가 상기 개구부를 마주하게 될 때,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캠 안착홈에 진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너 락킹멤버는 상기 개구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상기 안내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 레버가 락킹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캠은 상기 함몰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 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마주함으로써 상기 인너 락킹멤버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캠 안착홈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너 투스 플레이트는 캠 안착홈에 상기 캠의 회전 궤적을 안내하기 위한 캠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캠은 상기 캠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캠 가이드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상단부에 젖힘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백 프레임;
전단부는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후단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다이브 링크;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상기 다이브 링크의 후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다이브 링크의 전단부를 상승한 상태로 지지하는, 한 쌍의 쿠션 틸팅 지지바; 및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와 차체 플로어패널에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가 상기 다이브 링크의 전단부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신장되는,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
을 포함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는: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과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바 몸체; 및
상기 지지바 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접촉지지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지지돌기는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쿠션 틸팅 슬라이딩 힌지 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차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차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스드 케이스;
상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단부가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무빙 케이스;
상기 무빙 케이스의 하단부에 조립되고, 그 양측 단부가 무빙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장착핀;
상기 픽스드 케이스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조립부;
상기 스프링 장착핀과 스프링 조립부를 연결하는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시트쿠션 메인프레임;
차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상단부에 젖힘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백 프레임;
전단부는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후단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다이브 링크;
상기 시트쿠션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승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쿠션 틸팅 지지바; 및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와 차체 플로어패널에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신장되는,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
을 포함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는 그 상단부가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의 상단부는 그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는 보조접촉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접촉부재는 다이브 링크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쿠션 틸팅 지지바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쿠션 틸팅 링크 힌지 유닛은:
하단부가 차체 플로어패널의 차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 브라켓;
상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쿠션 브라켓;
전단부가 상기 쿠션 브라켓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쿠션 브라켓의 하단부와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회전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는 쿠션 브라켓의 하단부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은 그 후단부의 외측면이 상기 메인 브라켓의 내벽면에 면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의 전단부는 쿠션 샤프트를 통해 상기 쿠션 브라켓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의 후단부는 회전 샤프트를 통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시트쿠션 메인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승할 때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회전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회전 브라켓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의 하단부는 차체 브라켓에 메인 샤프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쿠션 샤프트와 메인 샤프트는 리턴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304A KR20220099271A (ko) | 2021-01-06 | 2021-01-06 |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DE102021215126.4A DE102021215126A1 (de) | 2021-01-06 | 2021-12-30 | Vorrichtung zum Verkippen eines Sitzpolsters für Klapp- und Absenksitz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304A KR20220099271A (ko) | 2021-01-06 | 2021-01-06 |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271A true KR20220099271A (ko) | 2022-07-13 |
Family
ID=8202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1304A KR20220099271A (ko) | 2021-01-06 | 2021-01-06 |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9271A (ko) |
DE (1) | DE102021215126A1 (ko) |
-
2021
- 2021-01-06 KR KR1020210001304A patent/KR20220099271A/ko unknown
- 2021-12-30 DE DE102021215126.4A patent/DE102021215126A1/de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21215126A1 (de) | 2022-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62368A (en) | Automobile seat | |
US6827394B2 (en) | Vehicle seat system | |
US7478882B2 (en) | Motor vehicle seat | |
KR20210031037A (ko) | 차량용 후석 시트 | |
US6974174B2 (en) | Retractable seats | |
KR20220099271A (ko) |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 |
JP2003341392A (ja) | 自動車のシート装置 | |
JP2020175710A (ja) | 車両用シート | |
JP3771115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20230166436A (ko) | 2열 수동 릴렉션시트 | |
JP2014091446A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11131662A (ja) | 車両の後部荷室構造 | |
JP2020082793A (ja) | 乗物用シート | |
JP7423698B2 (ja) |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 |
JP3343414B2 (ja) | シートの前後チルト装置 | |
JP7508192B2 (ja)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7239803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2011225004A (ja) | 車両用シートの格納装置 | |
JP7216272B2 (ja) | シート収納構造 | |
JP3919209B2 (ja) | シート装置 | |
JP2024117006A (ja) |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 |
KR20240106329A (ko) | 차량용 팁 업 시트 | |
JPH0233528B2 (ja) | Jidoshanoshiitosochi | |
JP2022182979A (ja) | 乗物用シート | |
JPH0218741Y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