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897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897A
KR20220095897A KR1020200187878A KR20200187878A KR20220095897A KR 20220095897 A KR20220095897 A KR 20220095897A KR 1020200187878 A KR1020200187878 A KR 1020200187878A KR 20200187878 A KR20200187878 A KR 20200187878A KR 20220095897 A KR20220095897 A KR 20220095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dent
lens
light
lenses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현
한효진
장주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5897A/ko
Priority to CN202111612646.1A priority patent/CN114688494A/zh
Priority to US17/565,211 priority patent/US11644170B2/en
Publication of KR20220095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F21S41/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pr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producing an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영역에 동시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복수의 입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출사 렌즈를 통해 출사되도록 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제1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1 입사 렌즈;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2 입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영역에 동시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및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각 램프의 설치 기준과 규격은 각 램프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은 단일 또는 복수의 광 조사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조사 영역에 의해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광 조사 영역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램프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있따.
이와 같이, 복수의 광 조사 영역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램프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고 비용이 증가하기 복수의 광 조사 영역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때문에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 소형화가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2522호 (2013.01.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입사 렌즈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출사 렌즈 중 대응되는 출사 렌즈를 통해 출사될 때, 복수의 입사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입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이 대응되는 출사 렌즈를 통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광 조사 영역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복수의 입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출사 렌즈를 통해 출사되도록 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제1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1 입사 렌즈;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2 입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사 렌즈는,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 중 상기 제1 입사 렌즈에 대응되는 제1 출사 렌즈의 후측 초점을 전후 방향으로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 중 상기 제2 입사 렌즈에 대응되는 제2 출사 렌즈의 후측 초점을 전후 방향으로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양측이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양측의 크기, 두께 및 곡률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입사 렌즈 및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동일한 빔 패턴 내의 서로 다른 영역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사 렌즈 및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은, 전후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되며, 상기 제2 입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상기 제1 입사 렌즈에 비하여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사 렌즈가 형성되는 위치가 상기 렌즈부의 상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비중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복수의 입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출사 렌즈를 통해 출사되도록 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빔 패턴 내의 서로 다른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도록 하는 제1 영역; 및 일부의 광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출사되고, 다른 일부의 광은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은,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중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되는 입사 렌즈의 렌즈 특성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중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입사 렌즈는, 전후 방향에 나란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중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되는 입사 렌즈는, 전후 방향에 나란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양측이 비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서로 다른 광 조사 영역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복수의 입사 렌즈 중 적어도 하나로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출사 렌즈 중 대응되는 출사 렌즈를 통해 출사되는 경우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광 조사 영역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도시된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쉴드 및 제2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입사 렌즈 및 제2 입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광로 조정부(200) 및 렌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차량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하측에 광이 조사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형성되는 빔 패턴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차량용 램프(1)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형상, 크기, 밝기 등과 같은 배광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기판(110) 및 기판(110)에 설치되는 광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에는 광원(120)을 포함하여 광원(120)의 제어나 광원(120)으로의 전원 공급 등을 위한 각종 부품이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광원(120)으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함께 발생되는 고온의 열로 인한 발광 성능 저하 방지를 위하여 신속한 열 방출이 가능하도록 기판(11)은 히트 싱크와 같은 방열 수단(2)에 열 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광원(12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12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LD(Laser Diode)나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기판(110)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부(130)는 기판(110)의 양측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후술할 광로 조정부(200)의 조립 시 광로 조정부(200)의 양측에 힘을 가하여 광로 조정부(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고정부(130)는 기판(110)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31)의 일측과 연결되는 일단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고정부(130)는 일단이 기판(11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의 고정부(130) 각각은 양단 사이의 일 지점이 일단에 비하여 광원(120)의 광축(Ax)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광로 조정부(200)의 조립 시 복수의 고정부(130)의 타단이 광원(120)의 광축(A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복수의 고정부(130)로부터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광로 조정부(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광원(120)의 광축(Ax)은 전후 방향으로 광원(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로 조정부(200)는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광로 조정부(200)에 입사되도록 광 투과홀(410)이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4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400)은 광 투과홀(410)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부(420) 각각은 복수의 고정부(130) 각각에 의해 광원(120)의 광축(A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광로 조정부(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 리브(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리브(430)는 일측단부가 지지부(420)에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지부(420)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고정부(130)에 의해 힘을 받는 경우 지지부(420)에 연결되는 지지 리브(430)의 일측단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광로 조정부(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리브(430)는 광로 조정부(200)를 마주보는 면에 광로 조정부(20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4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431)는 광 투과홀(410)의 테두리에 후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하는 광로 조정부(200)의 외측 테두리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 투과홀(410)의 테두리와 더불어 광로 조정부(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광로 조정부(200)는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광원(120)의 광축(Ax)에 대략 나란하게 진행되도록 광의 경로를 조정하여 후술할 렌즈부(30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로 조정부(200)로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10)이 평면 형상이고,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220)이 비구면 형상인 비구면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로 조정부(200)는 비구면 렌즈 뿐만 아니라, 프레넬 렌즈나 TIR(Total Internal Reflector) 렌즈 등과 같이 광원(120)으로부터 광축(Ax)을 기준으로 소정의 광 조사각을 가지며 발생되는 광이 광축(Ax)에 대략 나란하게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렌즈부(300)는 광로 조정부(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용도에 따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렌즈부(300)는 광로 조정부(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개구부(510)가 형성되는 렌즈 홀더(5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렌즈 홀더(500)는 개구부(510)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 리브(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 홀더(500)는 지지 브라켓(400)과 결합되어 렌즈부(3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렌즈부(300)는 복수의 고정 리브(520) 중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고정 리브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 리브(520) 각각은 복수의 지지부(420) 각각에 광원(120)의 광축(A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이 경우 복수의 지지부(420) 각각으로부터 복원력이 발생되어 지지 브라켓(400) 및 렌즈 홀더(500)가 서로 간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지지부(420)는 렌즈부(300)에 가까운 일단부가 광 투과홀(410)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타단부에 비하여 광원(120)의 광축(Ax)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 리브(520)에 의해 복수의 지지부(420)의 일단부가 광원(120)의 광축(Ax)에 가까워지도록 힘을 받는 경우, 복수의 지지부(420)로부터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렌즈부(3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300)는 입사 렌즈부(310), 제1 광학부(320), 출사 렌즈부(330), 제2 광학부(340) 및 쉴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사 렌즈부(31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을 형성하고, 좌우 방향의 열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입사 렌즈(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입사 렌즈(311)는 광로 조정부(200)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사 렌즈(311)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입사 렌즈부(310)는 글래스 등과 같이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광학부(320)에서 광로 조정부(200)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사 렌즈부(310)가 제1 광학부(320)의 표면 가공에 의해 제1 광학부(3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사 렌즈부(310)는 제1 광학부(320)와 별도로 형성되어 제1 광학부(32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입사 렌즈(311)는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6과 같이 좌우 방향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각 입사 렌즈들의 특정 지점,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의 열을 형성하는 각 입사 렌즈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V1)이 수평선(S)과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출사 렌즈부(33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을 형성하고, 좌우 방향의 열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출사 렌즈(3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출사 렌즈(331)는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출사 렌즈(331)는 복수의 입사 렌즈(311)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출사 렌즈부(330)는 글래스 등과 같이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광학부(340)에서 전방으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사 렌즈부(330)가 제2 광학부(340)의 표면 가공에 의해 제2 광학부(3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사 렌즈부(330)는 제2 광학부(340)와 별도로 형성되어 제2 광학부(34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출사 렌즈(331)는 복수의 입사 렌즈(311)와 유사하게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7과 같이 좌우 방향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각 출사 렌즈들의 특정 지점, 예를 들어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V2)이 수평선(S)과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사 렌즈(311)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반원통 형상의 렌즈이고, 복수의 입사 렌즈(311)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복수의 입사 렌즈(311)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여러 개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일 예로 복수의 입사 렌즈(311)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복수의 출사 렌즈(331) 중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2 이상의 출사 렌즈로 입사될 수 있다.
복수의 입사 렌즈(311)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출사 렌즈의 개수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입사 렌즈(311) 및 복수의 출사 렌즈(331)의 형상에 따라 서로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등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입사 렌즈(311)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복수의 출사 렌즈(311) 중 2 이상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술한 도 6은 렌즈부(300)의 후방에서 입사 렌즈부(310)를 바라볼 때 복수의 입사 렌즈(311)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나타내고, 전술한 도 7은 렌즈부(330)의 전방에서 출사 렌즈부(330)를 바라볼 때 복수의 출사 렌즈(331)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입사 렌즈(311) 및 복수의 출사 렌즈(331)가 좌우 방향의 열이 수평선(S)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2 광학부(340)는 제1 광학부(3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이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광학부(320) 및 제2 광학부(340)는 광의 확산 등을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쉴드부(350)는 입사 렌즈부(310) 및 출사 렌즈부(330)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출사 렌즈(331) 각각으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시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형상이나 크기를 가지는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에 의해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쉴드부(350)에 의해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쉴드부(350)는 제1 광학부(320) 및 제2 광학부(340) 중 어느 하나의 입사면 및 출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쉴드(351) 및 복수의 제2 쉴드(3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쉴드(351)는 제2 광학부(340)의 입사면, 즉 제1 광학부(32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쉴드(352)는 제2 광학부(340)의 출사면, 즉 전방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제1 쉴드(351) 각각은 복수의 입사 렌즈(311) 및 복수의 출사 렌즈(331) 중 서로 대응되는 입사 렌즈 및 출사 렌즈의 초점에 상단 중심부가 위치하여 복수의 출사 렌즈(331)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쉴드(351) 각각의 상단에는 경사 에지부(361), 경사 에지부(36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에지부(362), 및 경사 에지부(36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에지부(363) 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쉴드(351) 각각의 상단이 경사 에지부(361)를 기준으로 양측이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단차를 가지기 때문으로서, 복수의 제1 쉴드(351)의 상단 형상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 형상에 따라 수평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쉴드(35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도 8와 같이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8은 제2 광학부(340)의 후방에서 복수의 제1 쉴드(351)를 바라보는 경우의 일 예로서, 복수의 제1 쉴드(351)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복수의 제1 쉴드(351) 각각의 특정 지점, 예를 들어 경사 에지부(361)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V3)이 수평선(S)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쉴드(351)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은 복수의 제1 쉴드(351) 중 어느 하나의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와 양측으로 각각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쉴드의 제2 에지부 및 제1 에지부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복수의 제1 쉴드(351)가 좌우 방향의 열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쉴드(351) 중 어느 하나의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와 양측으로 각각 인접한 제1 쉴드의 제2 에지부 및 제1 에지부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단차는 컷 오프 라인의 양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나 하측으로 함몰되는 부분이 형성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자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거나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쉴드(351)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로록 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제1 쉴드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복수의 제1 쉴드(351)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쉴드(351)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초점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복수의 입사 렌즈(311) 및 복수의 출사 렌즈(331)도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쉴드(351)가 좌우 방향의 열이 경사지되도록 배치될 때 제1 에지부(362)에서 제2 에지부(36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제1 에지부(362)가 컷 오프 라인 중 주행 차선에 대응되는 라인을 형성하고, 제2 에지부(363)가 컷 오프 라인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라인을 형성한다는 것으로부터 복수의 제1 쉴드(351)는 좌우 방향의 열이 대향 차선으로부터 주행 차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쉴드(352)는 컷 오프 라인이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컷 오프 라인은 주로 복수의 출사 렌즈(331)의 하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제2 쉴드(352)가 생략되는 경우에 비하여 컷 오프 라인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쉴드(352) 각각의 상단은 도 9와 같이 복수의 제1 쉴드(351) 중 대응되는 제1 쉴드의 상단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출사 렌즈(331) 각각의 후측 초점(F) 또는 후측 초점(F) 부근에 상단 중심부가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쉴드(351)의 상단과 비교하여 복수의 제2 쉴드(352) 각각의 상단이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 차단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광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의 제2 쉴드(352)는 전술한 복수의 입사 렌즈(311), 복수의 출사 렌즈(331) 및 복수의 제1 쉴드(351)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의 열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2 쉴드(352) 각각의 상단 중 일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5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352a)는 글레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복수의 입사 렌즈(311) 각각의 렌즈 특성에 따라 단일 또는 둘 이상의 방향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입사 렌즈(311) 중 적어도 하나로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출사 렌즈(331) 중 대응되는 출사 렌즈로 출사될 때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사 렌즈(311) 중 적어도 하나로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출사 렌즈(331) 중 대응되는 출사 렌즈를 통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를 통해 둘 이상의 광 조사 영역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여 각 광 조사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램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게 되어 상대적으로 필요한 램프의 개수가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300)는 복수의 입사 렌즈(311) 중 제1 입사 렌즈(311a)가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제2 입사 렌즈(311b)가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양측이 비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입사 렌즈(311a)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입사 렌즈를 통칭하고, 제2 입사 렌즈(311b)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양측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입사 렌즈를 통칭한다.
이때, 기준선(C)은 복수의 출사 렌즈(331) 중 제1 입사 렌즈(311a) 및 제2 입사 렌즈(311b)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출사 렌즈(331a) 및 제2 출사 렌즈(331b)의 후측 초점(F1, F2)을 전후 방향으로 지나는 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입사 렌즈(311a)로 입사되는 광은 제1 출사 렌즈(331a)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으며, 제2 입사 렌즈(311b)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제2 출사 렌즈(331b)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출사되고, 다른 일부는 제2 출사 렌즈(331b)를 통해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입사 렌즈(311a)로 입사되는 광은 제1 방향으로서 기준선(C)에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되고, 제2 입사 렌즈(311b)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기준선(C)에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되고, 다른 일부는 제2 방향으로서 하측으로 굴절되어 출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 입사 렌즈(311a)로 기준선(C)에 대략 나란하게 입사되는 광은 제1 입사 렌즈(311a) 및 제1 출사 렌즈(331a) 사이의 초점(F1)을 지나 제1 출사 렌즈(331a)를 통해 기준선(C)에 대략 나란하게 출사될 수 있다.
한편, 제2 입사 렌즈(311b)로 입사되는 광은 제1 입사 렌즈(311a)와 유사하게 제2 출사 렌즈(331b)를 통해 출사될 수 있으며, 제2 입사 렌즈(311b)는 제1 입사 렌즈(311a)와 달리 입사되는 광 중 일부의 광은 기준선(C)에 대략 나란하게 출사되는 반면, 다른 일부의 광은 제2 입사 렌즈(311b) 및 제2 출사 렌즈(331b) 사이의 초점(F2)과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지점을 지나 제2 출사 렌즈(331b)로 입사되기 때문에 기준선(C)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입사 렌즈(311b)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입사되는 광이 기준선(C)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출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입사 렌즈(311b)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의 크기, 두께, 곡률 등과 같은 형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출사 렌즈(331b)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방향도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 입사 렌즈(311a)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출사 렌즈(331a)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기준선(C)에 나란하게 출사되는 반면, 제2 입사 렌즈(311b)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비대칭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출사 렌즈(331b)로부터 기준선(C)을 기준으로 나란한 광 뿐만 아니라 기준선(C)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굴절되는 광이 함께 출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출사 렌즈(331b)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동시에 광이 출사되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과 스프레드 영역이 함께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차량 전방의 충분한 시야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고조도 영역과 차량 전방의 넓은 시야 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로우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 및 스프레드 영역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램프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구성이 복잡해지고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램프에서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광과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함께 출사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램프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소형화가 유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사 렌즈(311) 각각의 렌즈 특성을 다르게 하여 서로 다른 광 조사 영역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복수의 출사 렌즈(331)의 렌즈 특성을 다르게 하여 서로 다른 광 조사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출사 렌즈(331)에 의한 색수차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어 광을 제어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 입사 렌즈(311b)가 제1 입사 렌즈(311a)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것은 제2 출사 렌즈(331b)를 통해 하측으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차체나 베젤 등과 같은 구조물 등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입사 렌즈(311b)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양측의 크기, 두께, 곡률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비중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사 렌즈(311b) 중 렌즈부(300)의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입사 렌즈일수록 기준선(C)에 나란하게 출사되는 광의 비중이 높아지도록 하여 구조물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렌즈부(300)의 상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입사 렌즈일수록 기준선(C)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출사되는 광의 비중이 높아지도록 하여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300)는 상하 방향으로 제1 영역(A1) 및 제1 영역(A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A2)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은 각각 도 12의 로우 빔 패턴에서 고조도 영역(P1) 및 스프레드 영역(P2)을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A1)에는 제1 입사 렌즈(311a)가 형성되어 전후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어 로우 빔 패턴(LP)의 고조도 영역(P1)이 형성되고, 제2 영역(A1)에는 제2 입사 렌즈(311b)가 형성되어 전후 방향에 나란한 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어 로우 빔 패턴(LP)의 스프레드 영역(P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영역(A2)에 형성되는 제2 입사 렌즈(311c)는 렌즈부(300)의 상단부로 갈수록 기준선(C)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출사되는 광의 비중이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렌즈부(300)가 두개의 영역(A1, A2)으로 나뉘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입사 렌즈(311)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방향에 따라 둘 이상의 영역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각 영역의 크기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입사 렌즈(311b)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는 기준선(C)에 나란하게 출사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굴절되어 출사되도록 하여 동일한 빔 패턴 내의 서로 다른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따라 제2 입사 렌즈(311b)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사 렌즈(311b)로 입사되는 광의 서로 다른 일부가 서로 다른 용도의 빔 패턴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제2 입사 렌즈(311b)의 형상에 따라 로우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의 상측에 형성되어 운전자가 도로 표지판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그널 빔 패턴과 같이 서로 다른 빔 패턴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하나의 램프에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도록 하여 동일한 빔 패턴의 서로 다른 영역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거나 서로 다른 복수의 빔 패턴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램프의 개수가 감소되어 전체적인 크기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 기판
120: 광원 130: 고정부
200: 광로 조정부 300: 렌즈부
310: 입사 렌즈부 311: 입사 렌즈
320: 제1 광학부 330: 출사 렌즈부
331: 출사 렌즈 340: 제2 광학부
350: 쉴드부 351: 제1 쉴드
352: 제2 쉴드 400: 지지 브라켓
410: 광 투과홀 420: 지지부
430: 지지 리브 431: 돌출부
500: 렌즈 홀더 510: 개구부
520: 고정 리브

Claims (13)

  1.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복수의 입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출사 렌즈를 통해 출사되도록 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제1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1 입사 렌즈;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2 입사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 렌즈는,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 중 상기 제1 입사 렌즈에 대응되는 제1 출사 렌즈의 후측 초점을 전후 방향으로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 중 상기 제2 입사 렌즈에 대응되는 제2 출사 렌즈의 후측 초점을 전후 방향으로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양측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양측의 크기, 두께 및 곡률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 렌즈 및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동일한 빔 패턴 내의 서로 다른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 렌즈 및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은, 전후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되며,
    상기 제2 입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굴절되어 출사되는 차량용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 렌즈는,
    상기 제1 입사 렌즈에 비하여 상측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 렌즈가 형성되는 위치가 상기 렌즈부의 상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비중이 증가되는 차량용 램프.
  10.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복수의 입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출사 렌즈를 통해 출사되도록 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빔 패턴 내의 서로 다른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도록 하는 제1 영역; 및
    일부의 광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출사되고, 다른 일부의 광은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은,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중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되는 입사 렌즈의 렌즈 특성에 따라 정의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중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입사 렌즈는,
    전후 방향에 나란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사 렌즈 중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되는 입사 렌즈는,
    전후 방향에 나란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양측이 비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200187878A 2020-12-30 2020-12-30 차량용 램프 KR20220095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78A KR20220095897A (ko) 2020-12-30 2020-12-30 차량용 램프
CN202111612646.1A CN114688494A (zh) 2020-12-30 2021-12-27 车辆用灯具
US17/565,211 US11644170B2 (en) 2020-12-30 2021-12-29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78A KR20220095897A (ko) 2020-12-30 2020-12-30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897A true KR20220095897A (ko) 2022-07-07

Family

ID=8211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878A KR20220095897A (ko) 2020-12-30 2020-12-30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44170B2 (ko)
KR (1) KR20220095897A (ko)
CN (1) CN1146884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897A (ko) * 2020-12-30 2022-07-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522A (ko) 2011-06-29 2013-01-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0423A (ja) * 2014-03-05 2015-09-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AT517885B1 (de) * 2015-10-23 2018-08-15 Zkw Group Gmbh Mikroprojektions-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zur Erzeugung von abbildungsfehlerfreien Lichtverteilungen
DE102017122956A1 (de) * 2017-08-02 2019-02-07 Erco Gmbh Leuchte
KR102036749B1 (ko) * 2017-12-14 2019-10-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US10634307B2 (en) * 2018-09-06 2020-04-28 Sl Corporation Lamp for vehicle
WO2020071413A1 (ja) * 2018-10-05 2020-04-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102617541B1 (ko) * 2018-11-02 2023-12-2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00080838A (ko) * 2018-12-27 2020-07-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DE102019104722A1 (de) * 2019-02-25 2020-08-27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 mit einer Mehrzahl von Halbleiterlichtquellen und einem einstückigen Primäroptikfeld
KR102390805B1 (ko) * 2020-06-09 202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20089942A (ko) * 2020-12-22 2022-06-2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20095897A (ko) * 2020-12-30 2022-07-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522A (ko) 2011-06-29 2013-01-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88494A (zh) 2022-07-01
US20220205608A1 (en) 2022-06-30
US11644170B2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81004B (zh) 车辆用灯具
EP3647653B1 (en) Lamp for vehicle
US10894506B2 (en) Vehicle lamp
KR102470446B1 (ko) 차량용 램프
KR102348900B1 (ko) 차량용 램프
US11125408B2 (en) Lamp for vehicle
US11644170B2 (en) Lamp for vehicle
WO2021103755A1 (zh) 车灯模组、车辆前照灯及车辆
US11572992B2 (en) Lamp for vehicle
KR20220011393A (ko) 차량용 램프
KR20220089942A (ko) 차량용 램프
KR20220089401A (ko) 차량용 램프
US11946609B2 (en) Vehicle lamp
KR20210053023A (ko) 차량용 램프
KR20240030336A (ko) 차량용 램프
CN211822202U (zh) 用于车辆前照灯的光模块、前照灯及车辆
KR20240030340A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05B1 (ko) 차량용 램프
KR20240006331A (ko) 차량용 램프
KR20240038401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230036354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
KR20220014690A (ko) 차량용 램프
KR20240002044A (ko) 차량용 램프
JP2022093309A (ja) 車両用ランプ
KR20200002499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