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354A -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354A
KR20220092354A KR1020210134925A KR20210134925A KR20220092354A KR 20220092354 A KR20220092354 A KR 20220092354A KR 1020210134925 A KR1020210134925 A KR 1020210134925A KR 20210134925 A KR20210134925 A KR 20210134925A KR 20220092354 A KR20220092354 A KR 2022009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emergency
assembled frame
stand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666B1 (ko
Inventor
김영삼
허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신정개발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정개발,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filed Critical (주)신정개발
Publication of KR2022009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는 탱크의 상면 출입구 상측에 구획된 정차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둘러싸며 일정 높이로 조립되고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에 상기 정차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토록 개방된 개방부가 구비된 조립형 프레임과, 상기 조립형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통해 승하강되며 작업자가 탑승 가능토록 구비된 탑승부와, 상기 탱크 내 유해가스 인지시 상기 탱크 내부에 하강된 탑승부를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정차공간으로 긴급 승강시키는 비상인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를 이용하면, 탱크 내부로 내려간 작업자가 유해가스 발생 등 긴급상황에서 재빠르게 비상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scaping appratus using large-size tank}
본 발명은 탱크 내부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탱크 내부로 들어갔을 때, 탱크 내 유해가스를 인지한 경우 비상탈출이 가능한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탱크는 고층건물 옥상이나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어 수조나 유류조, 저류조, 정화조 등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같은 대형탱크 내부를 청소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탱크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대형탱크는 오랫동안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내부에 사람에게 치명적인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데, 작업자가 대형탱크 내부로 들어갔다가 재빠르게 탈출하지 못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9476호(등록일자:2018년4월10일)에는 '원유탱크자동세척장치를 이용한 자동세척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자동세척장치에 의해 탱크 내부에 세척 혹은 제거가 필요한 오염물질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세척액을 자동 분사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는 작업자 대신 자동세척장치만을 탱크 내부로 들여보내 세척하는 발명으로서, 고가의 장치가 요구되며 작업자의 수작업이 필요한 작업은 대신할 수 없는 바, 본 발명과 구체적인 목적이나 구성 등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9476호(등록일자:2018년4월10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탱크 내부로 내려갔는데 유해가스가 인지된 경우 자동으로 긴급 탈출이 가능한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는, 탱크의 상면 출입구 상측에 구획된 정차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둘러싸며 일정 높이로 조립되고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에 상기 정차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토록 개방된 개방부가 구비된 조립형 프레임과, 상기 조립형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통해 승하강되며 작업자가 탑승 가능토록 구비된 탑승부와, 상기 탱크 내 유해가스 인지시 상기 탱크 내부에 하강된 탑승부를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정차공간으로 긴급 승강시키는 비상인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형 프레임은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둘러싸며 상기 탱크 상면에 탈착 가능토록 고정되는 링형 베이스와, 상기 링형 베이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개방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 상기 링형 베이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링형 베이스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탠드와, 상기 다수개의 스탠드들이 일체로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스탠드들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스탠드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커넥팅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탑승부는 상기 비상인양부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 내부로 출입 가능하며, 내부에 탑승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탑승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 상측으로 승강되어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정차공간에 정차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개방부와 연결되는 출입구가 구비된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상인양부는,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상측에 거치되어 상기 케이지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는 윈치와, 상기 윈치를 동력에 의해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조립형 프레임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윈치와 케이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탱크 내 유해가스 인지시 상기 모터를 긴급 구동시키는 비상신호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탑승부는 상측부가 상기 조립형 프레임이나 상기 탱크 상면에 거치되며, 상기 탱크 내부에 상하로 펼쳐지는 줄사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상인양부는, 상기 조립형 프레임에 상하로 배열되어 줄사다리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들과, 상기 다수의 가이드롤러들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동력으로 회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탱크 내 유해가스 인지시 상기 모터를 긴급 구동시키는 비상신호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는 상기 줄사다리의 가로봉이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끼움홈들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줄사다리의 가로봉들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인양부는 상기 탑승부를 수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케이지나 줄사다리를 타고 탱크 내부로 내려갔을 때 유해가스가 인지된 경우 비상인양부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동력에 의해 신속하게 케이지나 줄사다리가 승강될 수 있어 작업자가 재빠르게 탱크로부터 탈출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지나 줄사다리를 지지하는 조립형 프레임이 조립형으로 구조로서,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시나 모터 고장시 클러치에 의해 모터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고 수동으로 케이지나 줄사다리를 끌어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가 지상 또는 건물 옥상에 설치된 대형탱크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가 지하에 설치된 대형탱크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의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는, 고층건물의 옥상이나 지상에 설치된 대형탱크(2)에 적용된 예로서, 조립형 프레임(10)과, 탑승부(20)와, 비상인양부(3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은 지하에 매립된 대형탱크(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조립형 프레임(10)은 탑승부(20)를 지지하며 탱크(2)의 상면 출입구(2a) 상측에 탑승부(20)가 정차되는 정차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탱크(2)의 상면 출입구(2a)를 둘러싸며 일정 높이로 조립되되, 탱크(2)의 상면 출입구(2a)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에 정차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토록 개방된 개방부(10a)를 갖는다.
이와같은 조립형 프레임(10)은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용이하도록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조립형 프레임(10)은 링형 베이스(12)와, 다수개의 스탠드(14)와, 다수개의 커넥팅 로드(16)를 포함한다.
링형 베이스(12)는 탱크(2)의 상면 출입구(2a)를 둘러쌀 수 있도록 탱크(2)의 상면 출입구(2a)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링형 베이스(12)는 탑승부(20)인 케이지(20a)가 정착되는 정차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케이지(20a)의 크기 등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링형 베이스(12)는 탱크(2) 상면에 볼트나 앵커 등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고정될 수 있다.
링형 베이스(12)의 상면에는 스탠드(14)의 탈착이 가능토록 각 스탠드(14)의 조립 지점마다 스탠드(14)가 상하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12a)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링형 베이스(12)의 끼움부(12a)에 끼워진 스탠드(14)는 볼트체결방법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고정될 수 있다.
각 스탠드(14)는 상하로 수직한 봉구조로서 최소한 케이지(20a)의 높이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스탠드(14)는 조립형 프레임(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이때 다수개의 스탠드(14)는 상술한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가 구비될 수 있도록 링형 베이스(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를 제외하고 나머지 둘레부분에만 배열될 수 있다. 다수개의 스탠드(14)의 갯수 및 링형 베이스(12)에 배열되는 범위는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는 작업자만 출입할 것인지 케이지(20a)도 출입 가능토록 할 것인지 등에 따라 그 최소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다수개의 스탠드(14)는 모두 상하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탠드(14)는 동일한 길이로 5개로 구성되고, 링형 베이스(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를 제외하고 나머지 범위 영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5개의 스탠드(14)는 대략 5각형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4개의 스탠드(14-14b)는 링형 베이스(12)의 중심이 합치되는 사각 구조로 배열되고, 나머지 1개의 스탠드(14-14a)는 링형 베이스(12)의 중심을 기준으로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 반대쪽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커넥팅 로드(16)는 조립형 프레임(10)으로서 보다 견실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탠드(14)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속한다. 즉 각 커넥팅 로드(16)는 링형 베이스(12)의 둘레방향을 따라 바로 이웃한 스탠드(14)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각 스탠드(14)에 대하여 수직방향, 즉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6)는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를 통한 출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립형 프레임(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 측을 제외하고 설치될 수 있다. 즉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 측 2개의 스탠드(14)들 사이에는 커넥팅 로드(16)가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팅 로드(16)는 각 스탠드(14)마다 상하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각 커넥팅 로드(16)는 각 스탠드(14)와 커넥팅 블록(18)을 통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커넥팅 블록(18)은 일측에 스탠드(14)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수직홈(18a)이 형성되고, 타측에 커넥팅 로드(16)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수평홈(18b)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블록(18)은 스탠드(14)에 용접이나 접합방법 등에 고정될 수 있고, 커넥팅 로드(16)와 나사 체결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넥팅 로드(16)의 양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넥팅 블록(18)의 수평홈(18b)에도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탑승부(20)는 작업자가 탑승 가능토록 구비된 것으로, 조립형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어 탱크(2)의 상면 출입구(2a)를 통해 승하강된다.
탑승부(20)는 케이지(cage)(20a)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지(20a)는 작업자는 물론, 필요에 따라 용구를 싣고 나를 수 있도록 내부에 탑승공간이 구비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케이지(20a)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패널(22)과, 바닥패널(22)의 가장자리에 상하로 수직하게 세워지며 바닥패널(22)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수직봉(24)들과, 다수의 수직봉(24)들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하나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봉(26)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지(20a)는 조립형 프레임(10)과 같이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 철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지(20a)의 탑승공간의 일측에는 탱크(2)의 상면 출입구(2a) 상측으로 승강되어 조립형 프레임(10)의 정차공간에 정차시 조립형 프레임(10)의 개방부(10a)와 연결되는 출입구가 구비된다. 즉 다수의 수직봉(24)들이 바닥패널(22)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분에는 설치되지 않고 개방됨으로써 케이지(20a)의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지(20a)의 상단 중앙에는 다수의 수직봉(24)들이 결합되는 상부 패널(28)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지(20a)의 상부 패널(28)에는 케이지(20a)가 비상인양부(30)와 결합된 상태로 탱크(2)의 상면 출입구(2a)를 통해 탱크(2) 내부로 출입 가능토록 비상인양부(30)의 와이어(32a)가 결합되는 고리(28a)가 구성될 수 있다.
비상인양부(30)는 탱크(2) 내 유해가스 인지시 탱크(2) 내부에 하강된 탑승부(20), 즉 케이지(20a)를 조립형 프레임(10)의 정차공간으로 긴급 승강시킨다. 비상인양부(30)는 윈치(32)와, 모터(34)와, 가이드롤러(36)와, 비상신호발생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32)는 케이지(20a)와 연결된 와이어(32a)가 권취된다. 윈치(32)는 조립형 프레임(10)의 정차공간 바깥쪽에 위치되는데, 예컨대 조립형 프레임(10)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즉 상술한 5개의 스탠드(14)들 중 사각구조로 배열되는 스탠드(14)들 상측에 탑 플레이트(11)가 수평하게 거치되고, 그 탑 플레이트(11) 위에 윈치(32)가 거치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1)는 상술한 사각구조로 배열되는 스탠드(14)들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16)와 끼움 결합되어 조립형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1)는 윈치(32)의 와이어(32a)가 상하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구된 홈(11a)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탑 플레이트(11)가 커넥팅 로드(16)를 통해 조립형 프레임(10)에 탈착 가능토록 거치됨으로써 조립형 프레임(10)의 구조 및 조립형 프레임(10)의 조립,철거가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윈치(32)에는 모터(34)의 동력이 차단된 경우, 수동 조작이 가능토록 핸들(32b)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34)는 윈치(32)와 함께 탑 플레이트(11 위에 거치되어 윈치(32)를 동력으로 구동시킨다.
가이드롤러(36)는 조립형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윈치(32)와 케이지(20a)를 연결하는 와이어(32a)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구성된다. 가이드롤러(36)는 탑 플레이트(11의 홈(11a) 아래 위치될 수 있고, 탑 플레이트(11)에 거치될 수 있다.
비상신호발생기는 탱크(2) 내 유해가스 인지시 모터(34)를 긴급 구동시킨다. 비상신호발생기는 케이지(20a)에 설치되거나 작업자가 직접 휴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상신호발생기는 모터(34)와 무선통신으로 가능한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비상신호발생기는 탱크(2) 내 유해가스를 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조작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비상인양부(30)는 클러치(35)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35)는 정전시나 모터(34) 고장시 등에 윈치(32)의 수동조작이 가능토록 모터(34)와 윈치(32)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34)와 윈치(32) 간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즉 모터(34) 고장시 윈치(32)를 수동 조작하여 케이지(20a)를 인력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를 탱크(2) 내부로 내려 보낼 때에도 본 발명의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지(20a)가 조립형 프레임(10)의 정차공간에 정차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케이지에 탑승하면 모터(34)를 구동한다. 그러면 윈치(32)로부터 와이어(32a)가 풀어지면서 케이지(20a)가 탱크(2) 내부로 내려간다.
작업자가 케이지(20a)를 타고 탱크(2) 내부로 내려갔을 때, 비상신호발생기를 통해 치명적 유해가스가 인지되어 비상신호가 발생되면, 윈치(32)에 와이어(32a)가 다시 감기도록 모터(34)가 구동되며, 이에 따라 케이지(20a)가 다시 탱크(2) 밖으로 승강되어 조립형 프레임(10)의 정차공간에 정차됨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히 탱크(2)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이때 모터(34)는 위급상황인 바, 위급상황이 아닐 때와 비교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윈치(32)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탱크(2) 내부 작업환경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면, 케이지(20)는 탱크(2) 내부 바닥에 설치된 텐션로프(tention rope)에 결속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충건물의 옥상이나 지상에 설치된 대형탱크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4 이하는 지하에 매립된 대형탱크에 적용된 예로써, 조립형 프레임(110)과, 탑승부와, 비상인양부(130)를 포함하며, 탑승부는 줄사다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줄사다리(120)는 일렬의 다수의 가로봉(122)들을 로프(124)로 일체로 결속한 것이다. 줄사다리(120)는 상단이 조립형 프레임(110)이나 탱크(100)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탱크(100) 내부에 상하로 펼쳐질 수 있다. 즉 줄사다리(120)의 상단은 클립 등을 통해 조립형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거치될 수도 있고, 탱크(100) 상면에 거치된 스탠드(미도시)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는 조립형 프레임(110)의 정차공간 바깥쪽에 위치되어 볼트체결방법 등에 의해 탱크(100) 상면에 탈착 가능토록 거치될 수 있다.
비상인양부(130)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32)들과, 모터(134)와, 비상신호발생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윈치없는 구조이다.
다수의 가이드롤러(132)들은 조립형 프레임(110)에 상하로 배열되며, 각각 조립형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줄사다리(120)의 이송을 안내한다. 각 가이드롤러(132)의 외측면에는 줄사다리(120)의 가로봉(122)이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홈(132a)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가이드롤러(132)의 다수의 끼움홈(132a)들은 가이드롤러(132)의 둘레방향을 따라 줄사다리(120)의 가로봉(122)들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줄사다리(120)가 가이드롤러(132)에 물린 상태로 가이드롤러(132)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모터(134)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32)들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132)를 동력으로 회동시킨다. 모터(134)는 조립형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된 탑 플레이트(111) 위에 거치될 수 있다. 모터(134)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32)들과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모터(134)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32)들 중 모터(134)와 인접한 가이드롤러(132)에 동력 전달할 수 있다. 즉 모터(134)의 회전축에는 일체로 회동되는 구동롤러(133a)가 설치되고, 모터(134)와 인접한 가이드롤러(132)의 일측 끝단에는 종동롤러(133b)가 가이드롤러(132)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며, 구동롤러(133a)와 종동롤러(133b)에 벨트(133c)나 체인이 걸쳐짐으로써 일체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조립형 프레임(110)의 스탠드(114)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5개로 구성되어, 사각구조로 배열되는 4개의 스탠드(114-114a)들 상측에 탑 플레이트(111)가 거치되되, 그 나머지 1개의 스탠드(114-114b)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1개의 스탠드(114-114b)는 조립형 프레임(110)의 상측에 배열된 가이드롤러(132)보다 더 낮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에 배열된 가이드롤러(132)를 통과한 줄사다리(120)가 탱크(100) 상면을 향해 보다 용이하게 아래쪽으로 내려질 수 있고, 또는 탱크(100) 상면에 쌓여있던 줄사다리(120)가 보다 용이하게 가이드롤러(132)를 향해 상측으로 끌어 올려질 수 있다.
한편 모터(134)의 회전축과 구동롤러(133a) 사이에는 클러치(1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형탱크용 비상탈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탱크(100) 내부로 내려갈 때에는 먼저 줄사다리(120)가 가이드롤러(132)에 걸쳐진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탱크(100) 내부에 펼쳐진 다음, 작업자가 펼쳐진 줄사다리(120)를 타고 탱크(100) 내부로 내려갈 수 있다. 또는 줄사다리(120)가 모터(134)의 동력에 의해 가이드롤러(132)들의 안내를 받으며 탱크(100) 내부로 내려가면서 펼쳐질 수 있고, 이때 작업자가 줄사다리(120)를 타고 탱크(100) 내부로 내려갈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줄사다리(120)를 타고 탱크(100) 내부로 내려갈 때 비상신호발생기에 의해 비상신호가 발생되면 모터(134)가 구동되어 가이드롤러(132)가 회전되고, 가이드롤러(132)의 끼움홈(132a)에 줄사다리(120)의 가로봉(122)이 물려 있기 때문에 가이드롤러(132)의 회전과 함께 줄사다리(120)가 탱크(100) 상측으로 끌어올려짐으로써 탱크(100) 내부로 내려간 작업자가 재빠르게 탱크(100)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132)를 통과한 줄사다리(120)는 탱크(100) 상면에 차곡차곡 쌓아놓으면 되므로, 줄사다리(120)를 권취할 윈치가 없어도 된다.
이때 모터(134)가 고장난 경우, 클러치(135)에 의해 모터(134)의 회전축과 구동롤러(133a)의 결합을 해제하고, 인력에 의해 줄사다리(120)를 잡아당기면 줄사다리(120)가 탱크(100) 상측으로 끌어 올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100: 탱크 10,110; 조립형 프레임
12; 링형 베이스 14; 스탠드
16; 커넥팅 로드 18; 커넥팅 블록
20; 탑승부 20a; 케이지
30,130; 비상인양부 32; 윈치
34,134; 모터 35,135; 클러치

Claims (8)

  1. 탱크의 상면 출입구 상측에 구획된 정차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둘러싸며 일정 높이로 조립되고,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에 상기 정차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토록 개방된 개방부가 구비된 조립형 프레임과;
    상기 조립형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통해 승하강되며, 작업자가 탑승 가능토록 구비된 탑승부와;
    상기 탱크 내 유해가스 인지시 상기 탱크 내부에 하강된 탑승부를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정차공간으로 긴급 승강시키는 비상인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은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둘러싸며, 상기 탱크 상면에 탈착 가능토록 고정되는 링형 베이스와;
    상기 링형 베이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개방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 상기 링형 베이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링형 베이스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탠드와;
    상기 다수개의 스탠드들이 일체로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스탠드들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스탠드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상기 비상인양부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 내부로 출입 가능하며, 내부에 탑승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탑승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탱크의 상면 출입구 상측으로 승강되어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정차공간에 정차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개방부와 연결되는 출입구가 구비된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상인양부는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상측에 거치되며, 상기 케이지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는 윈치와;
    상기 윈치를 동력에 의해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조립형 프레임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윈치와 케이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탱크 내 유해가스 인지시 상기 모터를 긴급 구동시키는 비상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상측부가 상기 조립형 프레임이나 상기 탱크 상면에 거치되며, 상기 탱크 내부에 상하로 펼쳐지는 줄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상인양부는
    상기 조립형 프레임에 상하로 배열되어 줄사다리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들과;
    상기 다수의 가이드롤러들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동력으로 회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탱크 내 유해가스 인지시 상기 모터를 긴급 구동시키는 비상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는 상기 줄사다리의 가로봉이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끼움홈들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줄사다리의 가로봉들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상인양부는 상기 탑승부를 수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KR1020210134925A 2020-12-24 2021-10-12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KR102454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855 2020-12-24
KR20200182855 2020-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354A true KR20220092354A (ko) 2022-07-01
KR102454666B1 KR102454666B1 (ko) 2022-10-14

Family

ID=8239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925A KR102454666B1 (ko) 2020-12-24 2021-10-12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66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8776A (ja) * 1983-02-25 1984-09-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システム
JPH1136763A (ja) * 1997-07-22 1999-02-09 Hajime Watabe 自動梯子装置
KR20090089943A (ko) * 2008-02-20 2009-08-25 곽송학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JP3178130U (ja) * 2012-06-21 2012-08-30 株式会社綿貫製作所 防災用地下シェルター
JP2013238033A (ja) * 2012-05-15 2013-11-28 Yokogawa Sumikin Bridge Corp 大型鋼管を用いた緊急避難施設
KR20150032423A (ko) * 2013-09-17 2015-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블록 인서트 작업용 윈치 장치
KR101849476B1 (ko) 2016-11-30 2018-04-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원유 탱크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한 자동 세척 방법
KR101979236B1 (ko) * 2019-01-08 2019-05-1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조 승하강용 곤돌라
KR20200027825A (ko) * 2018-09-05 2020-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관 내 협소공간 작업용 곤돌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130B2 (ja) * 1992-05-08 2001-06-18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低級α−オレフィンの二量化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8776A (ja) * 1983-02-25 1984-09-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システム
JPH1136763A (ja) * 1997-07-22 1999-02-09 Hajime Watabe 自動梯子装置
KR20090089943A (ko) * 2008-02-20 2009-08-25 곽송학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JP2013238033A (ja) * 2012-05-15 2013-11-28 Yokogawa Sumikin Bridge Corp 大型鋼管を用いた緊急避難施設
JP3178130U (ja) * 2012-06-21 2012-08-30 株式会社綿貫製作所 防災用地下シェルター
KR20150032423A (ko) * 2013-09-17 2015-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블록 인서트 작업용 윈치 장치
KR101849476B1 (ko) 2016-11-30 2018-04-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원유 탱크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한 자동 세척 방법
KR20200027825A (ko) * 2018-09-05 2020-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관 내 협소공간 작업용 곤돌라 장치
KR101979236B1 (ko) * 2019-01-08 2019-05-1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조 승하강용 곤돌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666B1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870B1 (ko) 승강식 지주대
JPH07100582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プラットホーム及び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US4598506A (en) Swimming pool cover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102454666B1 (ko)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KR102432152B1 (ko) 가변 슬라이딩 맨홀 안전 가드
KR100967174B1 (ko) 케이지 리프트
RU801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KR20080024802A (ko) 더블 상하작동 스크린도어
KR20090006206U (ko) 케이지의 승강 자동감지수단이 부설된 건설용 리프트의통신케이블 권설장치
JP3531504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929753B1 (ko) 비계에 설치되는 조립용 케이블 레스 상하이송장치
KR101331130B1 (ko) 소방호스 건조장치
KR101743095B1 (ko) 곤돌라용 승강장치
KR102063603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KR20010111537A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CN217782783U (zh) 一种建筑工程用安全升降平台
KR102457959B1 (ko)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KR101796131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JP3920527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CN217732381U (zh) 带升降台的加装电梯井
JP2006144402A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KR102634537B1 (ko) 플레어타워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방법
CN213060100U (zh) 一种吊塔的工作吊篮
CN220953009U (en) Capping beam constru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