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130B1 - 소방호스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소방호스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130B1
KR101331130B1 KR1020110137009A KR20110137009A KR101331130B1 KR 101331130 B1 KR101331130 B1 KR 101331130B1 KR 1020110137009 A KR1020110137009 A KR 1020110137009A KR 20110137009 A KR20110137009 A KR 20110137009A KR 101331130 B1 KR101331130 B1 KR 10133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ose
lifting
unit
poin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945A (ko
Inventor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재 filed Critical 이문재
Priority to KR102011013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1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2Apparatus for cleaning or drying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호스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방호스 내 잔존하는 물을 기존에 비해 손쉽고 신속하게 배출 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건조작업에 필요한 공간소비를 최소화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건조작업에 필요한 인원도 최소화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세워져 있는 레일지주, 상기 레일지주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일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소방호스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소방호스의 배출구 형성지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부가 상승하여 상기 소방호스의 일측이 함께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호스 건조장치{DRYING MACHINE FOR FIRE HOSE}
본 발명은 소방호스의 사용 후 소방호스 내부에 남아있는 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소방호스의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차나 건물의 소화전에 비치되어 있는 소방호스는 반복적으로 재사용되기 때문에 사용 후 내부에 잔존하는 물을 외부로 완전히 빼낸 상태로 보관해야지만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소방호스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방법은 소방호스를 바닥에 길게 펼쳐놓은 상태에서 단순히 한쪽 끝을 들어올려 내부의 물이 반대쪽 단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호스의 길이가 길수록 단부를 더 많이 들어올려야 하는데, 소방호수는 길이가 대부분 20m이상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작업을 할 경우 단부를 적정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없어 배수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 외에도 이렇게 소방호수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그만큼 소방호수를 길게 펼친 후 들어올리는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소방호스를 길게 펼치고 다시 감는 과정이 너무 번거로워 작업시간도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방서처럼 소방호스의 사용이 빈번한 곳에서는 최대한 신속하게 소방호스의 건조작업을 진행해야함으로 소방호스 건조작업의 개선이 절실하다.
하지만 소방호스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건조작업 시 여러명의 작업자가 필요할 수밖에 없어 인력소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여러개를 동시에 건조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필요인력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0263호(2003.08.3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소방호스 내 잔존하는 물을 기존에 비해 손쉽고 신속하게 배출 시킬 수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건조작업에 필요한 공간소비를 최소화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건조작업에 필요한 인원도 최소화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지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세워져 있는 레일지주, 상기 레일지주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일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소방호스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소방호스의 배출구 형성지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부가 상승하여 상기 소방호스의 일측이 함께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레일지주에 연결되어 승하강 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방호스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는 거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승강프레임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봉을 포함하고 상기 소방호스는 상기 거치봉에 걸쳐지는 형태로 연결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봉은 상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거치봉의 일단부에 동시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이탈방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호스는 중간지점이 상기 거치봉에 걸쳐지고 상기 소방호스의 양쪽 배출구 형성지점이 아래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봉에 걸쳐진 지점이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방호스 중 상기 승강부와 연결된 부분과 반대되는 쪽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방호스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승될 때 해당 연결부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지면상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개의 고정편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방호스의 배출구 형성지점이 각 고정편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권취되어 있고 일단부가 상기 거치봉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의 최대 허용 상승지점과 최대 허용 하강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부가 해당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롤러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소방호스 중 배출구가 형성된 지점을 고정부로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승강부와 구동부를 통해 한쪽 끝부분을 자동으로 들어올려 내부의 물이 배출구로 유도되도록 함에 따라,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여러개의 소방호스 건조작업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인력낭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소방호스가 절반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진행됨에 따라 공간소비율이 최소화 되며,
승강부의 승강이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됨에 따라 신속한 건조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이탈방지편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소방호스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소방호스의 상승 전 상태의 측단면도
도5는 소방호스가 상승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6은 승강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소방호스 건조장치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레일지주(100)와 승강구동부(300), 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레일지주(100)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뼈대 역할 및 소방호스의 승강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기다란 기둥 형태이고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지주(100)의 레일홈(110)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후술하는 승강부(200)와 안정적인 결합 및 승강을 유도한다.
참고로 레일지주(100)의 길이 등은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레일지주(100)에는 승강부(200)가 설치된다.
승강부(200)는 소방호스가 실제 설치됨과 동시에 소방호스의 실질적인 승강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승강프레임(210)과 거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승강프레임(210)은 실제 승강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로 일측에는 결합홈(212)이 형성되고 결합홈(212)이 레일지주(100)의 둘레를 감쌈과 동시에 내부면이 레일홈(110)에 삽입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승강프레임(210)은 레일지주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일지주(10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결합홈(212) 내주면이 레일지주(100)의 레일홈(110)에 끼워짐에 따라 승강프레임(210)이 레일지주(100)로부터 원치않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승강과정에서 승강프레임(210)의 흔들림 등이 방지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홈과 레일지주 사이에 별도의 가이드롤러를 설치하여 승강프레임(210)과 레일지주(100)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승강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승강프레임(210)에는 완충부재(214)가 더 설치된다.
완충부재(214)는 승강프레임(210)이 최대 높이로 상승하여 후술하는 위치감지센서(400)와 접촉될 때 위치감지센서(4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 고무와 같은 연질의 블록구조로 이루어지며 승강프레임(210)의 최 상단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만약 승강프레임(210)의 상승속도가 느려 위치감지센서(400)에 가해지는 충격이 크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면 완충부재(214)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완충부재(214)까지 설치된 승강프레임(210)에는 거치부(220)가 더 설치된다.
거치부(220)는 소방호스(1)와 승강프레임(210) 간의 연결매개 역할 및 소방호스의 이탈방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거치봉(222)과 이탈방지편(2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거치봉(222)은 소방호스(1) 중 위쪽으로 들어올려진 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단순 봉 형태이고 일단부가 승강프레임(210)의 일측 외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거치봉(222)의 외측 단부 둘레에는 후술하는 이탈방지편(224)의 결합을 위한 걸림홈(2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거치봉(222)은 상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각 거치봉(222)마다 별개의 소방호스(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번에 여러개의 소방호스(1) 건조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소방호스(1)가 거치봉(222)으로부터 원치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거치봉(222)의 상하 배치 구간 이상의 길이를 갖는 기다란 판재 형태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224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최 상단에 위치한 거치봉(222)의 걸림홈(222a)부터 아래쪽 각 거치봉(222)의 걸림홈이 슬릿(224a)에 순차적으로 끼워짐으로써, 도면과 같이 각 거치봉(222)의 단부가 하나의 이탈방지편(224)에 동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이탈방지편(224)은 이러한 구조 외에 각 거치봉(222)마다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소방호스의 이탈우려가 크지 않을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된 승강부(200)는 별도의 승강구동부(300)와 연결된다.
승강구동부(300)는 승강부(200)의 승강에 필요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구동모터(310)와 구동롤러(320), 연결와이어(330) 및 보조롤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구동모터(310)는 승강부(200)의 실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DC모터나 AC모터이고 모터축의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며 레일지주(100)의 상단 위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구동모터(310)는 별도의 조작반(미도시)과 연결되어 모터축이 조작반(미도시)의 상승 또는 하강 조작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구동롤러(320)는 승강부(200)의 승강과정에서 후술하는 연결와이어(330)의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순 롤러 형태로 일측이 구동모터(310)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와이어(330)는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을 최종적으로 승강부(200)에 전달하여 승강부(200)의 승강을 실질적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금속와이어 형태로 일단부가 구동롤러(3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아래로 늘어뜨려진 상태에서 하단부가 승강프레임(210) 상단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와이어(330)는 구동롤러(3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롤러(320)에 감기거나 구동롤러(320)로부터 풀어지게되고, 이 과정에서 승강프레임(210)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보조롤러(340)는 연결와이어의 위치조절기능 및 승강프레임이 상승될 때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롤러 형태이고 구동롤러(320) 바로 아래쪽에 위치되되 구동롤러와 동일선상이 아니라 도면처럼 뒤쪽으로 후퇴된 지점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롤러(320)로부터 풀어진 연결와이어(330)는 보조롤러(340)에 걸쳐진 상태에서 승강프레임과 연결된다.
참고로 승강구동부(300)의 구성은 위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승강구동부를 실린더 구조로 구현하여 승강프레임이 실린더로드에 의해 승강되는 구도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승강구동부는 별도의 구동력을 통해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취사 선택적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승강구동부(300)까지 구비된 상태에서 위치감지센서(400)가 더 설치된다.
위치감지센서(400)는 승강프레임(210)이 최대 상승높이를 초과하여 상승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리미트센서 구조로 이루어지며 레일지주(100) 중 승강프레임(210)의 최대 상승 허용 지점에 위치되어 승강프레임(210)이 해당높이까지 상승됨과 동시에 위치감지센서와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400)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동모터(310)와 연결되어 위치감지센서(400)가 작동되면 구동모터가 정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위치감지센서는 레일지주(100)의 하단에도 설치하여 승강프레임(210)이 적정지점까지 하강하였을 때 추가적인 하강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위치감지센서(40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지면에는 고정부(500)가 설치된다.
고정부(500)는 소방호스(1)의 승강과정에서 소방호스(1)의 배출구(1a) 위치를 지면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판재 형태이고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501)이 형성되며 고정판 상부 일측에는 복수개의 고정편(510)들이 세워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고정편(510)들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열됨에 따라 각 고정편(510) 사이에는슬릿 형태의 끼움간극(5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고정부(500)는 고정판(501)을 통해 지면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소방호스(1)의 단부, 즉 배출구(1a)가 형성된 단부가 끼움간극(52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편(510)의 개수는 끼움간극(520)의 개수가 승강부(200)의 거치봉(222)개수와 동일하도록 하여 고정부(500)에 여러개의 소방호스가 동시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고정부(500)가 지면 상에 설치된 것으로만 도시되었는데, 고정부의 설치지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벽면 등 소방호스의 한쪽 단부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배출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설치위치는 크게 한정되지 않는다.
더불어 만약 승강프레임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소방호스의 배출구를 직접 손으로 잡고 있는다면 고정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조시키고자 하는 소방호스는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절반으로 접으면 양단부의 배출구(1a)가 함께 포개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각 배출구(1a)를 고정부(500)의 끼움간극(520)에 끼워넣는다.
이 상태에서는 배출구(1a)의 테두리가 양 고정편(510)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배출구를 위로 들어올리지 않는 이상 배출구(1a)가 끼움간극(520)으로 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소방호스(1)의 반대쪽 단부, 즉 소방호스의 접힘부위를 거치봉(222)에 끼워 거치시키는데, 도면과 같이 거치봉(222)이 소방호스의 접힘부위 사이에 끼워진 구조가 된다.
그 후 이탈방지편(224)을 거치봉(222)에 결합시키면 소방호스 중 거치봉(222)에 걸쳐진 지점이 이탈방지편(224)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구조에 의해 소방호스는 절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양단의 배출구가 포개진 상태에서 고정부(500)를 통해 지면 상에 고정되고 타단부, 즉 접혀진 지점은 거치봉(222)에 걸쳐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반을 통해 구동모터(310)를 작동시키면 구동롤러(32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와이어(330)가 구동롤러(320)에 감겨지지면서 위쪽으로 당겨되고, 이로 인해 승강프레임(210)이 상승된다.
이렇게 승강프레임(210)이 상승됨에 따라 소방호스(1) 중 거치봉(222)에 권취된 지점이 승강프레임(210)을 따라 상승되는데, 이때 양 배출구(1a)는 고정부(500)에 의해 상승되지 못하고 반대쪽 단부인 접힘부위만 상승된다.
승강프레임(210)이 상승하다가 위치감지센서(400)와 접촉되면 구동모터의 작동이 정지됨에 따라 승강프레임(210)이 더 이상 상승되지 않고 정지된다.
이렇게 소방호스(1)의 한쪽이 들어올려져 전체적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소방호스(1) 내부에 들어있던 물은 배출구 쪽으로 이동한 후 양 배출구(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 상태를 어느정도 유지시키면 내부의 수분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어 건조가 완료된다.
그리고 만약에 여러개의 소방호스를 동시에 건조시키고자 할 경우, 각 소방호스를 반으로 접은 후 접힘부위는 각 거치봉에 거치시키고 배출구는 각 고정부에 연결시키기만 하면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소방호스의 한쪽 들어올림 작업이 자동화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는 단지 조작반의 조작만을 할 뿐 별도의 인력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소방호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승강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된다.
한번에 여러개의 소방호스를 건조시킬 수 있어, 그만큼 작업속도 및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소방호스의 배출구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반대쪽을 자동으로 들어올려 소방호스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최소의 인원으로 손쉽게 건조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레일지주 110 : 레일홈
200 : 승강부 210 : 승강프레임
212 : 결합홈 214 : 완충부재
220 : 거치부 222 : 거치봉
222a : 걸림홈 224 : 이탈방지편
224a : 슬릿 300 : 승강구동부
310 : 구동모터 320 : 구동롤러
330 : 연결와이어 340 : 보조롤러
400 : 위치감지센서 500 : 고정부
510 : 고정편 520 : 끼움간극
501 : 고정판 1 : 소방호스

Claims (9)

  1. 지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세워져 있는 레일지주,
    상기 레일지주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일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소방호스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고,
    소방호스의 배출구 형성지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부가 상승하여 상기 소방호스의 일측이 함께 상승되며,
    상기 소방호스 중 상기 승강부와 연결된 부분과 반대되는 쪽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방호스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승될 때 해당 연결부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지면상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개의 고정편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방호스의 배출구 형성지점이 각 고정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레일지주에 연결되어 승하강 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방호스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는 거치부
    를 포함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승강프레임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봉을 포함하고,
    상기 소방호스는 상기 거치봉에 걸쳐지는 형태로 연결 가능한
    소방호스 건조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거치봉은 상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거치봉의 일단부에 동시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이탈방지편
    을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소방호스는 중간지점이 상기 거치봉에 걸쳐지고
    상기 소방호스의 양쪽 배출구 형성지점이 아래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봉에 걸쳐진 지점이 승강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권취되어 있고 일단부가 상기 거치봉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구동롤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의 최대 허용 상승지점과 최대 허용 하강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부가 해당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롤러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위치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KR1020110137009A 2011-12-19 2011-12-19 소방호스 건조장치 KR101331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009A KR101331130B1 (ko) 2011-12-19 2011-12-19 소방호스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009A KR101331130B1 (ko) 2011-12-19 2011-12-19 소방호스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945A KR20130069945A (ko) 2013-06-27
KR101331130B1 true KR101331130B1 (ko) 2013-11-19

Family

ID=4886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009A KR101331130B1 (ko) 2011-12-19 2011-12-19 소방호스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685B1 (ko) * 2021-12-07 2022-07-29 서울특별시 소방용 수관 건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998Y2 (ja) * 1991-02-07 1997-07-02 三菱化学株式会社 消防ホース洗浄・吊り下げ装置
JP3168390U (ja) * 2011-03-30 2011-06-09 株式会社ハラダ鉄工 消防ホース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998Y2 (ja) * 1991-02-07 1997-07-02 三菱化学株式会社 消防ホース洗浄・吊り下げ装置
JP3168390U (ja) * 2011-03-30 2011-06-09 株式会社ハラダ鉄工 消防ホース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945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5298A1 (en) Semi-automatic apparatus for washing a building
KR101447737B1 (ko) 공동주택 옥상의 거치식 크레인
KR101213713B1 (ko) 고소작업차의 붐대 제어장치
WO2000006868A1 (en) Device by reel for coiled tubing
KR101325716B1 (ko)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KR101808289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KR101331130B1 (ko) 소방호스 건조장치
JP2009155926A (ja) ゴンドラ装置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JP5973216B2 (ja) 昇降台車
US102330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interior of a vertical structure
KR100739290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2007023702A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JP2019027438A (ja) 気体貯蔵設備の昇降装置および気体貯蔵設備
KR200413596Y1 (ko) 빌딩보수ssp장치
JP2009197558A (ja) クレーン式ゴンドラ構造
KR100583785B1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JP2011153479A (ja) 外壁改修方法
CN210561720U (zh) 一种墩柱养护修补操作平台
JPH0461948B2 (ko)
KR20190037847A (ko) 유로폼 리프팅 장치
JP4108076B2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