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239A - 클렌저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렌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239A
KR20220092239A KR1020200183828A KR20200183828A KR20220092239A KR 20220092239 A KR20220092239 A KR 20220092239A KR 1020200183828 A KR1020200183828 A KR 1020200183828A KR 20200183828 A KR20200183828 A KR 20200183828A KR 20220092239 A KR20220092239 A KR 2022009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odium
glutamate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053B1 (ko
Inventor
주은경
이원희
임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0018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항염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클렌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은 기포 형성능뿐만 아니라 기포 유지력이 우수하며, 피부에 자극이 적다.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자극으로 꼼꼼한 세안이 가능하므로 모공 안의 피지, 노폐물 등을 잘 제거할 수 있고, 우수한 여드름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클렌저 조성물{Cleanser Composition}
본 발명은 클렌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안면, 흉부, 등 및 팔에 폐쇄성 또는 개방성 면포, 구진, 낭종, 결절 등 다양한 피부병변을 나타내는 모낭 피지선의 염증성 질환으로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으나,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리라 추정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호르몬과 유전적 배경이 원인으로 생각되는 성선 기능의 항진과 모피지선에서 번식하며 피지를 분해, 유리지방산을 생성하는 여드름균이 작용하여 생기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특히 모낭 내에 정체된 피지는 모낭을 막아 공기의 순환을 차단하므로 모낭 내부는 여기에 상주하는 혐기성 세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된다. 이렇게 생성된 면포는 미생물의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 등이 생장하게 된다. 이들은 지방 친화성 미생물이며,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는 호기성이고 외모낭 또는 모낭의 중간에서 생장하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는 혐기성이어서 모낭의 안쪽에서 생장한다.
이와 같은 여드름과 같은 염증성 피부 질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여드름균을 비롯한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모공 안의 피지와 노폐물을 잘 제거하면서, 피부 자극이 적은 클렌저를 이용하여 꼼꼼히 세안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피부 자극이 적은 원료를 함유하는 항여드름 클렌저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저자극성 원료로서 지실 추출물 등의 천연물질을 이용한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클렌저 조성물에 천연물질을 비롯한 저자극성 원료만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기포 형성능이 좋지 않거나 기포가 형성되더라도 기포가 유지되는 시간이 짧아 꼼꼼한 세안이 어렵고 사용자의 기호도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을 함유한 클렌저 조성물에 대해 연구를 계속하던 중에,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올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기포 형성능과 기포 유지력이 우수하여 저자극으로 꼼꼼한 세안이 가능하고,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1038호 (2010.09.01.)
본 발명은 항염제로 지실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을 포함하면서 기포 형성능 및 기포 유지력이 좋고,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클렌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항염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클렌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m은 1~10의 정수이고, n은 1~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은 기포 형성능뿐만 아니라 기포 유지력이 우수하며,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클렌저로 피부에 자극이 적다.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자극으로 꼼꼼한 세안이 가능하므로 모공 안의 피지, 노폐물 등을 잘 제거할 수 있고, 우수한 여드름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클렌저 조성물의 기포 형성능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클렌저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기포 유지력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의 클렌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정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여드름"은 통상적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및 피티로스포룸 오발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여드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미생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발된 화농성 여드름, 결절성 여드름 또는 낭종성 여드름을 포함하는 모든 피부 상태와, 폐쇄 면포 또는 개방 면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여드름 개선"은 여드름의 치료 또는 예방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상기 "치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여드름 부위에 적용한 결과로서 여드름 증세의 완치는 물론 여드름 증세의 부분적 완치, 호전 및 경감을 포함하고, 상기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신체부위에 적용함으로써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등의 여드름균 감염 또는 성장을 억제 또는 차단하여 여드름 증세가 사전에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항염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클렌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m은 1~10의 정수이고, n은 1~10의 정수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Sodium Lauroyl Aspartate), 코코일 글루타믹 액시드(cocoyl glutamic acid), 포타슘 코코일 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포타슘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potassium lauroyl glutamate),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sodium cocoyl glutamate), 디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disodium cocoyl glutamate), 소듐 스티로일 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티이에이 코코일 글루타메이트(TEA cocoyl glutamate), 소듐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탤로우일 글루타메이트(sodium hydrogenated tallowoyl glutamate),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sodium lauroyl glutamate), 소듐 미리스토일 글루타메이트(sodium myristoyl glutamate), 및 소듐 팔모일 글루타메이트(sodium palmoyl gluta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또는 알킬 황산 나트륨일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는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라우릴 디글루코사이드(Lauryl diglucoside),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코코 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 소듐 세틸 설페이트(sodium cetyl sulfate), 및 소듐 세테아릴 설페이트(sodium cetearyl sulf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알킬 글루카마이드 또는 알킬 글루코사이드일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는 라우릴 디글루카마이드(lauryl diglucamide), 라우로일 메틸 글루카마이드(lauroyl methyl glucam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및 코코 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연물질 유래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이 경우 기포 형성능이 좋고 자극이 적기 때문에 염증으로 예민해진 피부를 세안하는 데 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및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포타슘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티이에이-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미리스토일 글루타메이트, 및 소듐 팔모일 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는 코코넛 열매에서 추출하는 식물성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는 천연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의 일종인 아스파틱산으로부터 만들어진 안전성이 높은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및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및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를 3:1 내지 1:3의 중량비, 또는 2:1 내지 1:2의 중량비, 또는 5:3 내지 3: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클렌저 조성물의 기포 형성능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기포 유지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 또는 8 내지 40 중량%, 또는 10 내지 40 중량%, 또는 8 내지 35 중량%, 또는 13 내지 35 중량%, 또는 8 내지 20 중량%, 또는 13 내지 2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기포 형성능뿐만 아니라 기포 유지력이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m 및 n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 또는 1~7의 정수, 또는 1~5의 정수, 또는 1~3의 정수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디글리세린이다. 폴리올로서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은 우수한 기포 유지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은 폴리올을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5 중량%, 또는 3 내지 25 중량%, 또는 5 내지 20 중량%, 또는 5 내지 17 중량%, 또는 5 내지 1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기포 형성능뿐만 아니라 기포 유지력이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항염제는 지실 추출물, 백출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천궁 추출물, 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편백 추출물, 인진 추출물, 감초 추출물, 작약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우방자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어성초 추출출, 시호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은 항염제를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또는 0.1 내지 5 중량%, 또는 0.3 내지 3 중량%, 또는 0.5 내지 2 중량%, 또는 1.0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항염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수치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는 것 대비 효과가 증대되는 정도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계면활성제; 항염제;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클렌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및 미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및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클렌저(cleanser) 및 세정제(detergent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항염제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부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또는 그 유도체,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는 통상의 기술에 의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팩, 또는 클렌징 스프레이 또는 클렌징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클렌저인 경우에, 담체로서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소듐폴리포스페이트, 소듐시트레이트, 소듐메타포스페이트, 무수트리소듐포스페이트, 무수테트라소듐파이로포스페이트, 무수시트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비타민 또는 그 유도체는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 B2, B6,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D, H, K,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1,2-알칸디올, 예컨대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카프릴릴글라이콜, 데실렌글라이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오일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클렌징 팩, 버블 클렌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계면활성제; 항염제;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클렌저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항염제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여드름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부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또는 그 유도체,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는 통상의 기술에 의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여드름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인간이 아닌 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에 사용가능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항염제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 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200 ㎎/㎏ 범위 내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기준으로 1.0 내지 3.0㎖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으나,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클렌저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클렌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표 1의 원료 1~5를 혼합하여 교반하며 잘 풀어주었다. 여기에, 미리 혼합해 둔 원료 6~7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잘 풀어주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 원료 8~10을 넣고 45℃로 가온하였다. 가온된 원료 8~10을 상기 혼합물에 투입하여 가용화시킨다. 상기 용액을 30℃로 냉각시켜, 투명한 액상 클렌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제조사, 제품명) 함량(중량%)
1 정제수 잔량
2 디소듐이디티에이
(MITWSUBISHI, EDTA-2Na)
0.20
3 판테놀
(BASF, D-PANTHENOL)
1.00
4 디글리세린
(SAKAMOTO, Diglycerin 801)
5.00
5 지실추출물
(바이오랜드, 지실추출물)
1.00
6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30%)
(AJINOMOTO, AMILITE GCK-12H)
5.00
7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30%)
(ASAHI KASEI, Aminoformer FLDS-L)
3.00
8 방부제 적량
9 적량
10 가용화제 적량
합계 100.00
비교예 1~5. 상이한 폴리올에 따른 클렌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디글리세린 대신 글리세린(Emery, glycerin 99.5% USP), 부틸렌글라이콜(OXEA, 1.3.B.G), 디프로필렌글라이콜(SKC, DPG), 글리세레스-26(LIPO, GELANT G10) 및 프로판다이올(DUPON, ZEAMEA SELECT PROPANDI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예 1 내지 5의 클렌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포 형성능 비교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클렌저 조성물에 대해 기포 형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각 조성물을 3회 펌핑한 후 물을 묻혀 5회 문지른 다음, 거품이 형성된 정도를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5의 클렌저 조성물은 거품이 잘 형성되지 않았고, 특히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거품이 거의 형성되지 않아 이를 이용해서 충분한 세안을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펌핑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반면, 실시예 1의 클렌저 조성물은 매우 풍성하고 조밀한 거품이 생성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충분한 세안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기포 유지력 비교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클렌저 조성물에 대해 기포 유지력을 비교하기 위해 거품 디스펜서에 넣고 각각 3회씩 펌핑하여 평평한 바닥에 호일을 깔고 도포한 후, 초기, 10분, 30분, 및 60분 후에 기포가 유지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5의 클렌저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포가 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4의 경우 10분이 경과한 시점에 이미 기포가 거의 사라져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의 클렌저 조성물은 초기 기포력이 풍성하고 조밀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여도 기포가 잘 꺼지지 않고 60분이 지난 후까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세정 효과
실시예 1의 세정력을 확인하기 위해 파운데이션 및 립스틱을 손등에 각각 도포 후 5분 후에, 실시예 1의 클렌저 조성물을 도포하고 5~10회 거품을 잘 문지른 후 미지근한 물로 씻어내었다. 그 결과, 파운데이션 및 립스틱의 메이크업 제품이 깨끗이 세정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도 3에 나타냈다.

Claims (12)

  1. 계면활성제;
    항염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클렌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3의 정수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디글리세린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Sodium Lauroyl Aspartate), 코코일 글루타믹 액시드(cocoyl glutamic acid), 포타슘 코코일 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포타슘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potassium lauroyl glutamate),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sodium cocoyl glutamate), 디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disodium cocoyl glutamate), 소듐 스티로일 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티이에이 코코일 글루타메이트(TEA cocoyl glutamate), 소듐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탤로우일 글루타메이트(sodium hydrogenated tallowoyl glutamate),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sodium lauroyl glutamate), 소듐 미리스토일 글루타메이트(sodium myristoyl glutamate), 소듐 팔모일 글루타메이트(sodium palmoyl glutamat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라우릴 디글루코사이드(Lauryl diglucoside),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코코 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 소듐 세틸 설페이트(sodium cetyl sulfate), 소듐 세테아릴 설페이트(sodium cetearyl sulfate), 라우릴 디글루카마이드(lauryl diglucamide), 라우로일 메틸 글루카마이드(lauroyl methyl glucam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및 코코 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및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 내지 35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은 폴리올을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염제는 지실 추출물, 백출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천궁 추출물, 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편백 추출물, 인진 추출물, 감초 추출물, 작약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우방자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어성초 추출출, 시호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여드름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인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오일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클렌징 팩, 버블 클렌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00183828A 2020-12-24 2020-12-24 클렌저 조성물 KR10250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828A KR102506053B1 (ko) 2020-12-24 2020-12-24 클렌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828A KR102506053B1 (ko) 2020-12-24 2020-12-24 클렌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239A true KR20220092239A (ko) 2022-07-01
KR102506053B1 KR102506053B1 (ko) 2023-03-06

Family

ID=8239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828A KR102506053B1 (ko) 2020-12-24 2020-12-24 클렌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0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038B1 (ko) 2008-06-09 2010-09-10 최양원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JP2014088360A (ja) * 2012-10-02 2014-05-15 Ito:Kk 外用組成物
KR20170095258A (ko) * 2014-12-15 2017-08-22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세정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038B1 (ko) 2008-06-09 2010-09-10 최양원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JP2014088360A (ja) * 2012-10-02 2014-05-15 Ito:Kk 外用組成物
KR20170095258A (ko) * 2014-12-15 2017-08-22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세정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053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226B2 (ja) 細胞賦活剤、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JP2000128730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1568930A (zh) 花椒活性成分应用在日化产品中的方法
JP4627107B2 (ja) 毛髪外用剤組成物
JP2018532812A (ja) ペットケア組成物
JP2000154113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H10203955A (ja) 抗菌性低刺激化粧料
JP2005047910A (ja) 皮脂分泌抑制用組成物
HU196553B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regeneration containing extract of green beans
KR20150072797A (ko) 고농도 카페인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102506053B1 (ko) 클렌저 조성물
KR20030036536A (ko)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5164454B2 (ja) 孟宗竹の熱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行促進剤、関節痛緩和剤、腱鞘炎緩和剤、及び肩凝り緩和剤
JP2016530328A (ja) 禿頭症予防活性及び発毛刺激活性を示すアカントパナックスコレアヌムナカイ(acanthopanax koreanum nakai)及びハマオモト(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からなる混合ハーブ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JPH09323915A (ja) N−アセチルチロシ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JPH09301884A (ja) ヒオウギ抽出物及びα−ヒドロキシ酸を含有する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とその応用
JP2003335621A (ja) 抗菌性低刺激化粧料
JP2016193851A (ja) 尋常性ざ瘡改善用外用組成物
JP5175437B2 (ja) 育毛養毛剤、および育毛養毛用組成物
JPH0672858A (ja) 身体・頭髪用洗浄剤
JP3667601B2 (ja) 毛穴ケア用の洗浄料
JP2002020245A (ja) 毛穴ケア用の洗浄料
JP2002020245A5 (ko)
JP2001131025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