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258A - 세정 제품 - Google Patents

세정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258A
KR20170095258A KR1020177017796A KR20177017796A KR20170095258A KR 20170095258 A KR20170095258 A KR 20170095258A KR 1020177017796 A KR1020177017796 A KR 1020177017796A KR 20177017796 A KR20177017796 A KR 20177017796A KR 20170095258 A KR20170095258 A KR 2017009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leaning composition
soap anionic
surfactant
anionic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모코 수마
미요코 오기하라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2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10Amino carboxylic acids; Imino carboxylic acids; Fatty acid condensat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8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mino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8Sulfonation products derived from fatty acids or their derivatives, e.g. esters,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비-비누(non-soap)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품질의 거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세정 제품, 및 거품 토출기(foam dispenser)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거품 토출기 및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 제품, 및 거품 토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정 조성물이 제공되고, 세정 조성물은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gum arabic)을 포함하고,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이다.

Description

세정 제품{CLEANING PRODUCT}
본 발명은 거품 토출기(foam dispenser) 및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 제품에 관한 것이고, 또한 거품 토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세정제가 알려져 있고,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세정제로 사용되어 왔다(특허문헌 1).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예로 비-비누(non-soap)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산 비누에 비해 거품이 잘 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편, 거품은, 대상으로부터 오염을 떼어놓고, 오염을 둘러싸고, 그 표면적으로 인해 적은 양의 액체를 사용하여 더 큰 면적을 세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특히, 거품이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이는 피부에 부드러울 수 있고, 피부에 대해 적은 마찰 등을 가져온다. 이러한 이점을 용이하게 수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거품을 만드는 것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는 거품 타입 제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품에서, 세정제는 용기로부터 거품으로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거품이 잘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토출하는 것에 의한 경우, 보다 고품질의 거품을 수득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3-2279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품질의 거품이 형성되게 할 수 있는 세정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품 토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gum arabic)의 조합을 함유하는 조성물(여기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내지 20중량%이고, 아라비아 검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이다)을 거품 토출기로부터 토출함으로써 거품을 형성하는 경우, 고품질의 거품이 수득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완성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한다.
항목 1. 거품 토출기 및 하기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 제품: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을 함유하는 세정 조성물로서,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0.1 내지 10중량%인, 세정 조성물.
항목 2. 항목 1에 따른 세정 제품으로서,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0중량부의 총 계면활성제 양을 기준으로, 40중량부 이상인, 세정 제품.
항목 3. 항목 1 또는 2에 따른 세정 제품으로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이세티온산 염계 계면활성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및 설포숙신산 염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member)인, 세정 제품.
항목 4.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세정 제품으로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코코일 글리신 염, 코코일 글루탐산 염, 라우로일 아스파르트산 염, 코코일 메틸 타우린 염, 라우로일 사르코신 염, 및 코코일 이세티온산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인, 세정 제품.
항목 5.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세정 제품으로서, 거품 토출기가, 다공성 막을 통해서 거품을 토출하는 펌프 타입 거품 토출기인, 세정 제품.
항목 6. 거품 토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정 조성물로서, 세정 조성물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을 포함하고,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0.1 내지 10중량%인, 세정 조성물.
항목 7. 항목 6에 따른 세정 조성물로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0중량부의 총 계면활성제 양을 기준으로, 40중량부 이상인, 세정 조성물.
항목 8. 하기 세정 조성물을 거품 토출기로부터 토출하는 단계, 및 토출된 거품을 대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세정 조성물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을 함유하고,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0.1 내지 10중량%인, 방법.
항목 9. 세정 조성물의 제조에서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의 용도로서,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양이 0.1 내지 10중량%인, 용도.
본 발명의 세정 제품은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품질의 거품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 또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품질의 거품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세정 제품 및 세정 조성물은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세정 조성물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토출될 때 막힘(clog)을 억제하면서, 하기 사항 중 하나 이상에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한다: 토출된 거품의 탄력, 토출된 거품의 안정성, 및 세정 후 끈적임의 억제. 그럼으로써, 고품질의 거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기재된다.
1. 세정 제품
본 발명의 세정 제품은 거품 토출기 및 하기의 세정 조성물을 포함한다. 세정 조성물은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을 함유하고,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0.1 내지 10중량%이다. 세정 조성물 및 거품 토출기가 하기에 기재된다.
2. 세정 조성물
세정 조성물은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을 함유하고,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0.1 내지 10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제한되지 않는다.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이세티온산 염계 계면활성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설포숙신산 염계 계면활성제, 알킬 황산 염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염계 계면활성제,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이세티온산 염계 계면활성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및 설포숙신산 염계 계면활성제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이세티온산 염계 계면활성제, 및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및 이세티온산 염계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예는 아실 글리신 염, 아실 알라닌 염, 아실 글루탐산 염, 아실 아스파르트산 염, 사르코신 유도체계 계면활성제, 및 타우린 유도체계 계면활성제와 같은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염은 제한되지 않는다. 염의 예는 소듐 염(Na) 및 포타슘 염(K)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칼슘 염(Ca) 및 마그네슘 염(Mg)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 염; 트리에탄올아민 염(TEA); 암모늄 염; 등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포타슘 염, 소듐 염, 트리에탄올아민 염, 및 암모늄 염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상기 계면활성제 중,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인 아실 글리신 염은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글리신 염, 팔미토일 글리신 염, 카프릴로일 글리신 염, 및 운데실레노일 글리신 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글리신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소듐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및 TEA-코코일 글리시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상기 계면활성제 중,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인 아실 알라닌 염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알라닌 염, 코코일 메틸 알라닌 염, 라우로일 알라닌 염, 라우로일 메틸 알라닌 염, 및 미리스토일 메틸 알라닌 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알라닌 염, 코코일 메틸 알라닌 염, 및 라우로일 메틸 알라닌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알라니네이트, TEA-코코일 알라니네이트, 소듐 코코일 메틸 알라니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메틸 알라니네이트, 및 TEA-라우로일 메틸 알라니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상기 계면활성제 중,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인 아실 글루탐산 염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글루탐산 염, 라우로일 글루탐산 염, 미리스토일 글루탐산 염, 팔모일 글루탐산 염, 스테아로일 글루탐산 염, 수소화 탈로우오일 글루탐산 염, 올리브오일 글루탐산 염, 및 카프릴로일 글루탐산 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글루탐산 염 및 라우로일 글루탐산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포타슘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디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TEA-코코일 글루타메이트, 포타슘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및 TEA-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상기 계면활성제 중,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인 아실 아스파르트산 염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팔미토일 아스파르트산 염, 미리스틸 아스파르트산 염, 라우릴 아스파르트산 염, 및 라우로일 아스파르트산 염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라우릴 아스파르트산 염 및 라우로일 아스파르트산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포타슘 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 소듐 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 TEA-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 및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르테이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상기 계면활성제 중,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인 사르코신 유도체계 계면활성제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아실 사르코신 염 계면활성제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사르코신 염, 라우로일 사르코신 염, 미리스토일 사르코신 염, 팔미토일 사르코신 염, 및 올레오일 사르코신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사르코신 염 및 라우로일 사르코신 염이다. 특히 더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포타슘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TEA-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포타슘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및 TEA-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상기 계면활성제 중,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인 타우린 유도체계 계면활성제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아실 타우린 염 계면활성제이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타우린 염, 코코일 메틸 타우린 염, 코코일 메틸 타우린 타우린 염, 라우르산 타우린 염, 라우로일 타우린 염, 라우로일 메틸 타우린 염, 스테아로일 메틸 타우린 염, 미리스토일 메틸 타우린 염, 팔미토일 메틸 타우린 염, 올레오일 메틸 타우린 염, 카프로일 메틸 타우린 염, 팔미토일 메틸 타우린 염, 및 라우로일 메틸 β-알라닌 타우린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일 타우린 염, 코코일 메틸 타우린 염, 코코일 메틸 타우린 타우린 염, 라우르산 타우린 염, 라우로일 타우린 염, 및 라우로일 메틸 타우린 염이다. 특히 더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타우레이트, 포타슘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마그네슘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타우린 코코일 메틸타우레이트, 포타슘 타우린 라우레이트, 소듐 타우린 라우레이트, 소듐 라우로일 타우레이트, 및 소듐 메틸 라우로일 타우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상기 계면활성제 중, 이세티온산 염계 계면활성제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아실 이세티온산 염 계면활성제이다. 염은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된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암모늄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및 소듐 라우로일 메틸 이세티오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상기 계면활성제 중,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모노알킬 인산 염 계면활성제이다. 염은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된다. 더 더욱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모노알킬 포스페이트 및 소듐 라우릴 포스페이트이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제품이 이러한 계면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아라비아 검은 제한되지 않으며, 아라비아 검은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하다. 아라비아 검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약 200000 내지 250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라비아 검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아라비아 검의 형태도 제한되지 않고, 또한 예를 들어, 분말, 펠렛, 과립(granule), 거친 분쇄물(coarse pulverizate), 비드 또는 블럭과 같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제품이 또한 아라비아 검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종류의 아라비아 검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종류의 아라비아 검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중량% 이다.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은, 예를 들어,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 이다.
세정 조성물이 상기 특징을 갖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세정 조성물 중의 100중량부의 총 계면활성제 양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중량부,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5중량부,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임의의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의 예는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계면활성제, 용매, 금속 이온 봉쇄제(sequestering agent), 증점제, pH 조절제, 살균제, 보습제, 항염증제, 미백제, 향료, 착색제, 항산화제, 방부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세포 활성화제, 혈관 확장제, 혈액 순환 촉진제, 냉각제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임의 성분 중,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계면활성제의 예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비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는 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코코암포아세트산 염, 코코암포프로피온산 염,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및 라우라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및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는 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코카미드 DEA(디에탄올아민), 코카미드 MEA(모노에탄올아민), 라우라미드 DEA, 및 PEG-2 카프릴릴아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카미드 DEA 및 PEG-2 카프릴릴아민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는 한, 지방산 비누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라우르산 염, 미리스트산 염, 팔미트산 염, 스테아르산 염, 올레산 염, 이소스테아르산 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라우르산 염, 미리스트산 염, 및 팔미트산 염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에서, 염은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는 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임의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뿐만 아니라,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비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 및 지방산 비누의 함량 중,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가장 높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는 한, 용매의 예는 물;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재된 임의 성분(들)의 함량은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양으로, 의도된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이 물을 포함하는 경우, 물의 함량은,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중량%이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이 수득되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 및 필요에 따라 상기 기재된 임의 성분(들)을 적절히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절차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온도(25℃)에서 액체의 형태이고, 수용액 타입, 에멀젼 타입, 용해된 타입, 또는 분산액 타입의 형태와 같은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의 점도 또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25℃에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Pa·s, 및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mPa·s이다. 점도는, BL 타입 점도계(도쿄 케이키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로, 로터(rotor) No. 1을 25℃ 및 60 rpm에서 사용하여, 회전 개시 1 분 후에 측정된 값이다. 세정 조성물의 점도가 10 mPa·s 미만인 경우, BL 어댑터가 추가로 장착된 BL 타입 점도계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세정 조성물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토출되고, 수득된 거품이 대상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상은 제한되지 않고, 의도된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고품질의 거품이 피부에 부드러울 수 있고, 피부에 대해 적은 마찰 등을 가져오므로, 대상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피부(두피 및 손톱을 포함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피부-세정 조성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형성된 거품이 피부에 접촉되어 피부에 적용되고, 이후에 물로 세척하거나 또는 닦는 것에 의해 세정 조성물이 피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피부-세정 조성물의 예는 페이셜 워시, 클렌저, 바디 솝, 핸드 솝, 샴푸, 컨디셔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피부에 적용되기 때문에, 피부로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세정 조성물의 pH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5,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이다. pH는 25℃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의 양 및 1일 당 사용 횟수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되는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의 양 및 1일 당 사용 횟수는, 세정할 대상의 오염의 정도, 피부 상태 등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고품질의 거품은 거품 토출기로부터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토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세정 제품 및 세정 조성물은 세정제로서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세정 조성물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토출될 때 막힘을 억제하면서, 하기 사항 중 하나 이상에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한다: 토출된 거품의 개선된 탄력, 토출된 거품의 개선된 안정성, 및 세정 후 끈적임의 억제. 그럼으로써, 고품질의 거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상의 오염, 특히 피부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감소된 막힘으로 인해, 본 발명은 고품질의 거품이 토출에 의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특히, 거품의 개선된 탄력으로 인해, 본 발명은 대상에 대한 마찰과 같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특히, 거품의 개선된 안정성으로 인해, 본 발명은 거품이 대상에 적용되는 경우, 거품이 장기간 동안 지속되게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특히, 세정 후 감소된 끈적임으로 인해, 본 발명은 세정 후 끈적임 없이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거품 토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또한 우수한 사용자 편의성을 갖고, 매우 개선된 사용감을 제공한다. 물론, 여기에서의 기재는 또한 거품 토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의 기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세정 조성물을 거품 토출기로부터 토출하는 단계 및 토출된 거품을 대상, 특히 피부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정 조성물의 제조에서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의 용도를 제공하며, 여기서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이다. 이 사항은 또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설명되어 있다.
3. 거품 토출기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된 세정 조성물이 거품 토출기에 담겨질 수 있고, 거품 토출기에 담긴 세정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거품이 토출될 수 있는 한, 거품 토출기는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상업적으로 알려진 거품 토출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거품 토출기의 예는 비-에어로졸 타입 및 에어로졸 타입 거품 토출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거품 토출기는 바람직하게는 비-에어로졸 타입 거품 토출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품 토출기에 담긴 세정 조성물과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이 토출되는 타입의 거품 토출기이다. 그러한 거품 토출기의 예는 펌프 타입, 압착 타입(squeeze-type) 등의 거품 토출기; 바람직하게는 펌프 타입 거품 토출기;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품이 다공성 막("그물망(net)"이라고도 불림)을 통해서 토출되는 펌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거품 토출기는 바람직하게는 거품을 토출하기 위한 다공성 막을 포함한다. 거품이 형성될 수 있는 한, 다공성 막의 공극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공성 막의 평균 공극 직경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메쉬(mesh),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400 메쉬이다. 거품이 형성될 수 있는 한, 다공성 막의 재료 또한 제한되지 않고, 예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등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공성 막이 거품 토출기에서 거품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다공성 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품 형성 및 경제성 고려의 관점에서, 2개의 다공성 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품 토출기가 복수 개의 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경우,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다공성 막이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막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고, 의도된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지만, 본 발명의 효과가 악화되지 않는 한, 임의의 거품 토출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는 요시노 코교쇼 주식회사, 다이와 캔 컴퍼니 등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예는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3154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309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309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11835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24357호 등에 기재된 내용을 포함한다. 거품 토출기는 의도된 목적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거품 토출기의 부피 또한 제한되지 않고, 의도된 목적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지만, 거품 토출기의 부피는,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mL, 및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0 mL이다.
거품 토출기 및 세정 조성물의 조합된 사용은 세정 조성물로부터 유래되는 고품질의 거품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세정 제품은 세정제로서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거품 토출기에 담긴 세정 조성물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토출될 때 막힘을 억제하면서, 하기 사항 중 하나 이상에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한다: 토출된 거품의 개선된 탄력, 토출된 거품의 개선된 안정성, 및 세정 후 끈적임의 억제.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 제품은 대상의 오염, 특히 피부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감소된 막힘으로 인해, 본 발명은 고품질의 거품이 토출에 의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특히, 거품의 개선된 탄력으로 인해, 본 발명은 대상에 대한 마찰과 같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특히, 거품의 개선된 안정성으로 인해, 본 발명은 거품이 대상에 적용되는 경우, 거품이 장기간 동안 지속되게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특히, 세정 후 감소된 끈적임으로 인해, 본 발명은 세정 후의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 제품은 우수한 사용자 편의성을 갖고, 매우 개선된 사용감을 제공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에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기재되나,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시험 실시예 1
1-1. 세정 조성물 및 세정 제품의 제조
세정 조성물(실시예 1-1a) 및 비교 조성물(비교예 1-1a 내지 1-6a)이, 표 1에 개시된 성분을, 성분의 총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표 1에서, 단위는 중량%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 조성물은 표 1에 개시된 성분을 실온(25℃)에서 혼합하고, 혼합물을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기로 교반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시트르산을 첨가하여, 수득되는 각 조성물의 pH가 표 1에 개시된 pH가 되었다는 것을 주의한다.
표 1에 개시된 성분은 다음과 같다: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AMILITE GCK-12K(상품명, 아지노모토 헬씨 서플라이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이 제품은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의 30% 수용액이다. 표 1의 값 "6"은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만의 함량으로서 계산된 값이다. 구체적으로, 표 1에 개시된 각 조성물은 20중량% AMILITE GCK-12K을 함유한다.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SOFTAZOLINE CH-R(상품명, 카와켄 파인 케미칼스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상기 기재된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와 유사하게, 표 1의 값 "4.2"는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만의 함량으로서 계산된 값이다.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라비아 검: Purified Gum Arabic Spray Powder(상품명, DSP 고쿄 푸드 & 케미칼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폴리쿼터늄-7(중량 평균 분자량: 1600000): Merquat 550(상품명, 루브리졸 재팬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PEG-65M: ALKOX E-100(상품명, 메이세이 케미칼 워크스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중량 평균 분자량: 300000): METOLOSE 60SH-4000(상품명, 신-에츠 케미칼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잔탄 검: ECHO GUM(상품명, DSP 고쿄 푸드 & 케미칼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트레멜라 푸시포르미스(Tremella fuciformis) 다당류: Tremoist-TP(상품명, 닛폰 파인 케미칼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각각의 수득된 조성물의 점도는, BL 타입 점도계(도쿄 케이키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로, 로터 No. 1을 25℃ 및 60 rpm에서 사용하여, 회전 개시 1 분 후에 측정되었다.
세정 제품(실시예 1-1b) 및 비교 제품(비교예 1-1b 내지 1-6b)이, 각각의 수득된 조성물 100 mL를 150-mL 부피의 거품 토출기(요시노 코교쇼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펌프 타입, 비-에어로졸 타입 거품 토출기; 거품 토출기는 다공성 막을 포함하고, 또한 거품은 거품 토출기의 상단을 누름으로써 토출된다)에 개별적으로 넣음으로써 제조되었다.
1-2. 토출 평가
수득된 세정 제품(실시예 1-1b) 및 비교 제품(비교예 1-1b 내지 1-6b)을 이용하여, 거품이 토출되었을 때의 막힘이 평가되었다. 구체적으로, 거품이 각각의 거품 토출기로부터 거품 토출기의 상단을 누름으로써 토출되었을 때의 막힘이 평가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6b의 제품을 사용하여 거품이 토출된 경우를 기준으로서 사용하여, 평가가 수행되었다. 거품이 비교예 1-6b에서와 같이 부드럽게 방출된 경우, 토출이 "A"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1-6b의 경우에 비해, 거품을 토출하는 데 더 많은 양의 힘(상단을 누르는 힘)이 요구된 경우, 토출이 "B"로 평가되었다. 거품이 형성될 수 없었던 경우, 토출이 "C"로 평가되었다. 표 1이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1a에 개시된 것처럼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아라비아 검과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 거품이 비교예 1-6b에서와 같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부드럽게 토출되었다.
반면에, 거품 생성을 개선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쿼터늄-7(아크릴산 아미드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로부터 수득된 4차 암모늄 염의 폴리머; 중량 평균 분자량: 1600000)이 아라비아 검을 대신해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 거품이 충분히 토출되지 않았고, 거품 토출기 내의 막힘을 초래하였다. 추가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잔탄 검, 또는 트레멜라 푸시포르미스 다당류가 아라비아 검을 대신해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 거품이 충분히 토출되지 않았고, 거품 토출기 내의 막힘을 초래하였다.
상기 결과는, 세정제의 거품 생성을 개선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쿼터늄-7, 또는 아라비아 검과 같이 증점제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잔탄 검과 같은 성분이 사용된 경우, 막힘으로 인해 거품이 충분히 토출되지 않은 반면; 놀랍게도,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의 조합이 거품 토출기 내에서 막힘을 야기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의 조합된 사용이 고품질의 거품이 토출에 의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시험 실시예 2
2-1. 세정 조성물 및 세정 제품의 제조
세정 조성물(실시예 2-1a 내지 2-6a) 및 비교 조성물(비교예 2-1a 내지 2-6a)이, 표 2에 개시된 성분을, 상기 기재된 시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성분의 총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세정 제품(실시예 2-1b 내지 2-6b) 및 비교 제품(비교예 2-1b 내지 2-6b)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득된 조성물 100 mL를 거품 토출기에 개별적으로 넣음으로써 제조되었다.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거품 토출기가 사용되었다.
표 2에 개시된 성분은 다음과 같다: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시험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
·TEA-코코일 글루타메이트: Aminosurfact ACMT-L(상품명, 아사히 카세이 케미칼스 코포레이션 제. 이 제품은 TEA-코코일 글루타메이트의 30% 수용액이다. 표 2의 값 "6"은 TEA-코코일 글루타메이트만의 함량으로서 계산된 값이다.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르테이트: AminoFoamer FLDS-L(상품명, 아사히 카세이 케미칼스 코포레이션 제. 이 제품은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르테이트의 25% 수용액이다. 표 2의 값 "6"은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르테이트만의 함량으로서 계산된 값이다.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NIKKOL CMT-30N(상품명, 닛코 케미칼스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이 제품은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의 30% 수용액이다. 표 2의 값 "6"은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만의 함량으로서 계산된 값이다.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NIKKOL Sarcosinate LN(상품명, 닛코 케미칼스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Jordapon CI P(상품명, BASF JAPAN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시험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
·아라비아 검: 시험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
2-2. 거품 탄력성 평가
수득된 세정 제품(실시예 2-1b 내지 2-6b) 및 비교 제품(비교예 2-1b 내지 2-6b)을 이용하여 토출된 거품의 탄력성이 평가되었다. 구체적으로, 3 회 펌프한 각각의 세정 조성물 및 비교 조성물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손바닥 상에 개별적으로 토출되고, 이를 문지르면서 손이 세척되었을 때의 거품의 탄력성이 5 명의 전문 평가자에 의해 5-점 범위에서 평가되었다. 기준으로서, 아라비아 검이 사용되지 않은 각 비교 조성물(표 2의 각 비교예)로부터 형성된 거품의 탄력성이 0 점으로서 평가되었고, 하기 기준이 설정되었다. 표 3은 5 명의 평가자의 평균 점수를 나타낸다.
2 점: 기준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탄력성
1 점: 기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탄력성
0 점: 기준과 유사한 탄력성
-1 점: 기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등한 탄력성
-2 점: 기준에 비해 현저히 열등한 탄력성
계산된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거품 탄력성 개선 효과가 하기와 같이 평가되었다:
A(평균 점수가 1 점 초과 2 점 이하): 우수한 거품 탄력성 개선 효과가 존재하였다.
B(평균 점수가 0 점 초과 1 점 이하): 약간의 거품 탄력성 개선 효과가 존재하였다.
C(평균 점수가 -2 점 이상 0 점 이하): 거품 탄력성 개선 효과가 없었다.
표 2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 2-1a 내지 2-6a(2-1b 내지 2-6b)에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아라비아 검과 조합해서 사용하여, 거품의 탄력성이 개선되었다.
시험 실시예 3: 거품 안정성 평가
세정 제품(실시예 2-1b 내지 2-6b) 및 비교 제품(비교예 2-1b 내지 2-6b)를 이용하여, 토출된 거품의 안정성이 평가되었다. 구체적으로, 15 회 펌프한 각각의 세정 조성물 및 비교 조성물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200-mL 메스실린더 내에 개별적으로 토출되었고, 25℃에서 토출 5 분 후 메스실린더의 하단에서 축적된 액체의 양(방출 액체의 양)이 측정되었다. 10 ml의 방출 액체가 메스실린더의 하단에서 축적되는 데 요구되는 시간 또한 측정되었다. 표 3이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가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고, 아라비아 검이 그와 조합되어 사용되지 않은 경우, 5 분 후의 방출 액체의 양이 5 mL였고, 10 ml의 방출 액체가 축적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이 12.8 분이었다. 반면에,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가 아라비아 검과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 5 분 후의 방출 액체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었고(즉, 2 mL), 10 ml의 방출 액체가 축적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이 매우 느렸다(즉, 21.5 분).
추가적으로, TEA-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르테이트,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또는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가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를 대신하여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아라비아 검과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 5 분 후의 방출 액체의 양이, 아라비아 검이 조합되어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저히 적었고, 10 ml의 방출 액체가 축적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이 현저히 느렸다.
상기 결과는,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의 조합된 사용이 거품의 안정성을 개선하였다는 것, 즉 현저히 개선된 거품 유지력을 나타내었다.
시험 실시예 4: 끈적임 억제 평가
4-1. 세정 조성물 및 세정 제품의 제조
세정 조성물(실시예 3-1a 및 3-2a) 및 비교 조성물(비교예 3-1a 및 3-2a)이, 표 4에 개시된 성분을, 상기 기재된 시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성분의 총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세정 제품(실시예 3-1b 및 3-2b) 및 비교 제품(비교예 3-1b 및 3-2b)이, 각각의 수득된 조성물을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거품 토출기에 개별적으로 넣음으로써 제조되었다. 표 4에 개시된 성분은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폴리쿼터늄-7(중량 평균 분자량: 120000)은 Merquat 740(상품명, 루브리졸 재팬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됨)이다.
4-2. 거품의 끈적임 평가
수득된 세정 제품(실시예 3-1b 및 3-2b) 및 비교 제품(비교예 3-1b 및 3-2b)을 이용하여 토출된 거품의 끈적임이 평가되었다. 구체적으로, 2 회 펌프한 각각의 세정 조성물 및 비교 조성물이, 거품 토출기로부터 젖은 손바닥 상에 개별적으로 토출되었고, 손을 15 회 문질렀고, 그 후 손을 15 회 문지르면서 흐르는 물에 헹구었다. 물을 종이 타월로 닦았고, 건조 후 손바닥의 끈적임에 대한 감각 평가가 수행되었다. 하기 기준을 기초로, 5 명의 전문 평가자에 의해 0.5-점 증가량으로 5-점 범위에서 끈적임이 평가되었다. 가장 양호한 결과는 3 점으로 주어지고, 가장 좋지 않은 결과는 1 점으로 주어졌다. 표 4는 5 명의 평가자의 평균 점수를 나타낸다.
3 점: 끈적이지 않음.
2 점: 약간 끈적임.
1 점: 매우 끈적임.
또한, 아라비아 검을 조합하여 사용한 것의 끈적임 개선 효과가 하기와 같이 평가되었다.
A(아라비아 검이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 점수가 높았다): 끈적임 개선 효과가 존재하였다.
B(아라비아 검이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의 점수가, 아라비아 검이 조합되어 사용되지 않은 경우의 점수와 동일하였거나, 또는 아라비아 검이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의 점수가 낮았다): 끈적임 개선 효과가 없었다.
표 4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3-1a 및 3-2a의 세정 조성물 둘 모두에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아라비아 검과 조합해서 사용하여, 끈적임이 개선되었다.

Claims (7)

  1. 거품 토출기(foam dispenser) 및 하기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 제품에 있어서,
    상기 세정 조성물은 비-비누(non-soap)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gum arabic)을 함유하고,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0.1 내지 10중량%인, 세정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0중량부의 총 계면활성제 양을 기준으로, 40중량부 이상인, 세정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이세티온산 염계 계면활성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및 설포숙신산 염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member)인, 세정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코코일 글리신 염, 코코일 글루탐산 염, 라우로일 아스파르트산 염, 코코일 메틸 타우린 염, 라우로일 사르코신 염, 및 코코일 이세티온산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인, 세정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품 토출기가, 거품이 다공성 막을 통해서 토출되는 펌프 타입 거품 토출기인, 세정 제품.
  6.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라비아 검을 포함하는, 거품 토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정 조성물에 있어서,
    세정 조성물 중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내지 20중량%이고, 세정 조성물 중의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0.1 내지 10중량%인, 세정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0중량부의 총 계면활성제 양을 기준으로, 40중량부 이상인, 세정 조성물.
KR1020177017796A 2014-12-15 2015-12-09 세정 제품 KR201700952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3419 2014-12-15
JPJP-P-2014-253419 2014-12-15
PCT/JP2015/084466 WO2016098649A1 (ja) 2014-12-15 2015-12-09 洗浄製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258A true KR20170095258A (ko) 2017-08-22

Family

ID=5612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796A KR20170095258A (ko) 2014-12-15 2015-12-09 세정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40737B2 (ko)
KR (1) KR20170095258A (ko)
CN (1) CN106999391A (ko)
TW (1) TWI680771B (ko)
WO (1) WO20160986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239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클렌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903471QA (en) * 2016-10-19 2019-05-30 Shiseido Co Ltd Cleansing composition
JP6833481B2 (ja) * 2016-12-01 2021-02-24 株式会社ノエビア 泡吐出型皮膚洗浄料
JP2020179870A (ja) * 2019-04-24 2020-11-05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器
BR112022008424A2 (pt) * 2019-10-30 2022-07-1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Limpador sólido espumável sem sulfato
CN115463057A (zh) * 2021-06-11 2022-12-13 广州辰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油橄榄氨基酸卸妆洁面泡沫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6839A1 (fr) * 1987-04-10 1988-12-1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tergente et moussante,retardant le regraissage des cheveux
JP2005306752A (ja) * 2004-04-19 2005-11-04 Asahi Kasei Chemicals Corp 泡吐出容器用身体洗浄剤組成物
JP2006096754A (ja) * 2004-09-03 2006-04-13 Kao Corp シェービング剤
JP2011213682A (ja) * 2010-03-31 2011-10-27 Naris Cosmetics Co Ltd 泡沫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CN102846503B (zh) * 2012-08-23 2014-01-29 皖南医学院 一种清凉去屑滋养保健型洗头膏及其制备方法
CN102973486B (zh) * 2012-11-12 2014-04-30 皖南医学院 一种滋养驻颜洗面奶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239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클렌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098649A1 (ja) 2017-09-21
JP6640737B2 (ja) 2020-02-05
WO2016098649A1 (ja) 2016-06-23
TWI680771B (zh) 2020-01-01
TW201626984A (zh) 2016-08-01
CN106999391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5258A (ko) 세정 제품
JP4527655B2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洗浄剤組成物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H0920618A (ja) 皮膚洗浄用品
JP6645814B2 (ja) フォーム状皮膚洗浄料
JP2018177780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1444502B1 (ko) 피부 세정료 및 그것을 이용한 피부 세정 방법
JP4271185B2 (ja) 泡沫洗浄剤用組成物及び泡沫洗浄剤
JP2009234965A (ja) 液状洗浄剤組成物
JPH08165235A (ja) 皮膚洗浄用品
JP7217925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6860982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7247710B2 (ja) 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7323396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7475845B2 (ja) 洗浄料
JP7267773B2 (ja) ノンガス型の泡吐出容器入り洗浄剤組成物
JP4381270B2 (ja) ペースト状洗顔料組成物
JP7199202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7329368B2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皮膚洗浄剤
JP2011168553A (ja) 皮膚洗浄料
JP2021147568A (ja) 洗浄剤組成物
JP2023108514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CN112739316A (zh) 皮肤清洁剂组合物
KR20170058146A (ko)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2021147327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