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105A -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105A
KR20220092105A KR1020200183526A KR20200183526A KR20220092105A KR 20220092105 A KR20220092105 A KR 20220092105A KR 1020200183526 A KR1020200183526 A KR 1020200183526A KR 20200183526 A KR20200183526 A KR 20200183526A KR 20220092105 A KR20220092105 A KR 20220092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application
user
termina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069B1 (ko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김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철 filed Critical 김인철
Priority to KR102020018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069B1/ko
Priority to PCT/KR2021/009016 priority patent/WO2022139098A1/ko
Publication of KR2022009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사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과의 방송 동기화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방송 단말을 통해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의 동기화 신호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현재 출력하고 있는 상기 방송 단말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상기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by Synchronizing Broadcast}
본 발명은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사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과의 방송 동기화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방송 컨텐츠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또는 IPTV를 이용해서 시청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또는 IPTV의 사용자들은 생방송으로 재생되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퀴즈, 홈 트레이닝, 춤 따라하기 등과 같은 이벤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기술로는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또는 TV에게 퀴즈와 같은 이벤트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동시에 전송하는 기법이 있는데. 이러한 기법은 인터넷 환경이 다양화됨에 따라서, 푸시 메시지가 해당 기기에 도달하는 시각이 서로 다를 수 있고, 나아가 인터넷으로 스트리밍되는 방송 콘텐츠의 도달 시각도 해당 기기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퀴즈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요구하는 이벤트와 같은 경우는 사용자들에게 퀴즈가 재생되는 시각이 서로 동일해야 하고, 퀴즈에 대한 답 역시 동일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통신 환경 또는 방송 환경 환경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또는 TV에 전송되는 방송 콘텐츠와 푸쉬 메시지의 도달 시각이 달라지므로, 퀴즈와 같이 상호 작용(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자와 답을 하는 자)이 필요로 하는 부가 서비스에 종래기술을 적용하기에는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과의 방송 동기화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0977437 (2010.08.17.), 방송 동기화를 통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사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과의 방송 동기화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와 함께 출력되는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방송 단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을 동기화하고, 이를 통해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이벤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방송 단말을 통해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의 동기화 신호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현재 출력하고 있는 상기 방송 단말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상기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신 환경 또는 방송 환경과 무관하게 사용자 모두가 공정하게 이벤트를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와 함께 출력되는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방송 단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을 동기화하고, 이를 통해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사용자 참여 이벤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이벤트에 참여하는 사용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사용자의 제스처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복수 사용자의 제스처 분석한 결과의 랭킹을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방송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을 통해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 재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컨텐츠의 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방송 단말(200), 방송사 서버(300), 어플리케이션 서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로, 스마트폰, 노트북, 테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제스처 등의 사용자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송 단말(200)은 상기 방송사 서버(300)에서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로, TV(IPTV, 스마트 TV 포함),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단말(200)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송사 서버(300)는 방송 컨텐츠는 특정 채널을 통해 방송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컨텐츠는 스트리밍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상기 방송 컨텐츠와 연계된 특정 이벤트 참여 등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송사 서버(300)는 사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00)에 방송 편성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00)는 상기 방송 편성표를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송사 서버(300)는 특정 방송 컨텐츠를 특정 채널을 통해 방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송사 서버(300)는 동기화 신호를 함께 방송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신호는 오디오 신호(예: 특정 소리), 화면에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 등일 수 있다.
상기 방송 단말(200)은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특정 채널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단말(200)은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 출력 시, 상기 동기화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S310). 상기 동기화 신호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기화 신호가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 및 동기화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S320). 상기 동기화 신호는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와 연계되어 함께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마이크(미도시)가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동기화 신호를 듣고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인지된 동기화 신호에 근거하여 방송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330). 상기 방송 동기화는 현재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송 단말(200)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동기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기화 이후, 특정 시간(예: 3초)이 지난 시점은 사용자 단말(100)과 방송 단말(200)이 일치한다.
상기 방송 컨텐츠에는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춤 따라하기, 운동 영상 따라하기, OX 퀴즈 참여 등의 이벤트를 통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벤트에 참여하기 위해 특정 제스처나 액션 등을 취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이벤트에 참여하는 사용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단말(200)이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에는 댄스 따라하기와 같은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따라할 댄스 영상(210)이 방송 컨텐츠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방송 단말(200)과 동기화된 사용자 단말(100)은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고 촬영할 수 있다(S340). 그리고 촬영되는 사용자 영상(110)이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방송사 서버(300)는 방송 편성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00)에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벤트와 관련하여 취해야 할 제스처 또는 액션 정보를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알 수도 있다. 즉,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추어야 하는 댄스곡 정보를 미리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S35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사용자의 제스처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댄스 영상에 대해 점수(120)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수(120)가 사용자 제스처의 분석 결과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제스처 분석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360).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00)은 복수 사용자의 제스처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00)은 복수 사용자의 제스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랭킹을 생성할 수 있다(S370). 그리고 생성된 사용자 랭킹은 방송사 서버(300)와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송사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랭킹을 방송 컨텐츠에 포함하여 방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 랭킹이 포함된 방송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37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방송 동기화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복수 사용자의 제스처 분석한 결과의 랭킹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단말(200)은 방송 프로그램(250)과 사용자 랭킹(260)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양방향 통신을 사용자는 이벤트에 적극 참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송 컨텐츠 출력 시 이벤트 관련 QR 코드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QR 코드 스캔을 통해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신 환경 또는 방송 환경과 무관하게 사용자 모두가 공정하게 이벤트를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와 함께 출력되는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방송 단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을 동기화하고, 이를 통해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사용자 참여 이벤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사용자 단말
200: 방송 단말
300: 방송사 서버
400: 어플리케이션 서버

Claims (5)

  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방송 단말을 통해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의 동기화 신호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현재 출력하고 있는 상기 방송 단말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상기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와 연계되어 상기 방송 단말을 통해 상기 방송 컨텐츠와 함께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이고,
    상기 동기화 신호의 인지는 상기 사용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됨과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액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컨텐츠 중 사용자 액션 요구 방송 전에 미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의 액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분석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수신한 복수 사용자의 제스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사용자의 랭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 사용자의 랭킹을 방송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83526A 2020-12-24 2020-12-24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2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26A KR102452069B1 (ko) 2020-12-24 2020-12-24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21/009016 WO2022139098A1 (ko) 2020-12-24 2021-07-14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26A KR102452069B1 (ko) 2020-12-24 2020-12-24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105A true KR20220092105A (ko) 2022-07-01
KR102452069B1 KR102452069B1 (ko) 2022-10-11

Family

ID=8215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526A KR102452069B1 (ko) 2020-12-24 2020-12-24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2069B1 (ko)
WO (1) WO202213909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437B1 (ko) 2008-08-26 2010-08-2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방송 동기화를 통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34570A1 (en) * 2013-09-20 2016-08-11 Koninklijke Kpn N.V. Correlating timeline information between media streams
KR20160127940A (ko) * 2015-04-28 2016-11-07 (주)삼족오 양방향경기서비스시스템 및 양방향경기서비스방법
KR20190101914A (ko) * 2018-02-23 2019-09-02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스트리밍 장치 및 스트리밍 방법
KR20200010926A (ko) * 2018-07-23 2020-01-31 스노우 주식회사 실시간 라이브 영상과 이벤트의 동기화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26525B1 (ko) * 2019-02-12 2020-07-08 주식회사 시냅스엠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437B1 (ko) 2008-08-26 2010-08-2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방송 동기화를 통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34570A1 (en) * 2013-09-20 2016-08-11 Koninklijke Kpn N.V. Correlating timeline information between media streams
KR20160127940A (ko) * 2015-04-28 2016-11-07 (주)삼족오 양방향경기서비스시스템 및 양방향경기서비스방법
KR20190101914A (ko) * 2018-02-23 2019-09-02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스트리밍 장치 및 스트리밍 방법
KR20200010926A (ko) * 2018-07-23 2020-01-31 스노우 주식회사 실시간 라이브 영상과 이벤트의 동기화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26525B1 (ko) * 2019-02-12 2020-07-08 주식회사 시냅스엠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098A1 (ko) 2022-06-30
KR102452069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3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roadcast audience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US112276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653902B (zh) 说话人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203106B (zh) 直播教学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343476A (zh) 视频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ink et al. Social-and interactive-television applications based on real-time ambient-audio identification
CN110856009B (zh) 网络k歌系统、网络k歌的音视频播放方法及相关设备
Chen Conveying conversational cues through video
JP6246498B2 (ja) 視聴者参加型テレビ番組放送方法及びシステム
CN111479124A (zh) 一种实时播放方法和装置
KR20110015905A (ko) 시청자 참여의 iptv 원격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11968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ed viewing of media content
KR101939130B1 (ko) 영상 중계 방법,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080059999A1 (en) Multi-function display controller
KR102452069B1 (ko)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119853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3150086A (ja) 行動情報認識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行動情報認識方法
KR101737897B1 (ko) 실시간정보 제공 시스템
CN113596489A (zh) 直播教学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545096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系统
KR20140065121A (ko) 이동 로봇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ink et al. Mass personalization: social and interactive applications using sound-track identification
CN114793289B (zh) 直播间的视频信息的显示处理方法、终端、服务器及介质
WO2024004593A1 (ja) 配信システム
TW201817245A (zh) 適應多元觀眾的多媒體呈現方法與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