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525B1 -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525B1
KR102126525B1 KR1020190016312A KR20190016312A KR102126525B1 KR 102126525 B1 KR102126525 B1 KR 102126525B1 KR 1020190016312 A KR1020190016312 A KR 1020190016312A KR 20190016312 A KR20190016312 A KR 20190016312A KR 102126525 B1 KR102126525 B1 KR 10212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service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환
이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냅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냅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냅스엠
Priority to KR102019001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4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g. by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을 수 있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을 포함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으면,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에게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송신하며,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은 상기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가 방송될 시간을 정의하는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System for synchronization advertising contents by streaming and additional service}
본 발명은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방송 콘텐츠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또는 IPTV를 이용해서 시청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또는 IPTV의 사용자들은 생방송으로 재생되는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퀴즈와 같은 이벤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기술로는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또는 IPTV에게 퀴즈와 같은 이벤트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동시에 전송하는 기법이 있는데. 이러한 기법은 인터넷 환경이 다양화 됨에 따라서, 푸시 메시지가 해당 기기에 도달하는 시각이 서로 다를 수 있고, 나아가 인터넷으로 스트리밍되는 방송 콘텐츠의 도달 시각도 해당 기기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퀴즈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요구하는 이벤트와 같은 경우는 사용자들에게 퀴즈가 재생되는 시각이 서로 동일해야 하고, 퀴즈에 대한 답 역시 동일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인터넷 환경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또는 IPTV에 전송되는 방송 콘텐츠와 푸쉬 메시지의 도달 시각이 달라지므로, 퀴즈와 같이 상호 작용(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자와 답을 하는 자)이 필요로 하는 부가 서비스에 종래기술을 적용하기에는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 환경에 무관하게 정확한 시각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 환경에 무관하게 정확한 시각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을 수 있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을 포함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으면,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에게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송신하며,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은 상기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가 방송될 시간을 정의하는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을 수 있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을 포함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으면,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에게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송신하며,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은 상기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식별정보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 프레임의 식별정보를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기준 프레임의 식별 정보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에,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서 재생하는 방송콘텐츠 재생단계;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정보와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와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모니터를 통해서 재생하는 부가 서비스 재생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부가 서비스 재생단계는, 상기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가 나타내는 시각에 재생하는 것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 환경에 무관하게 부가 서비스를 정확한 시각에 정확하게 스트리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방송 수신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실시예가 퀴즈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의 정의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또는 ’앱‘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또능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앱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관리'는 데이터의 '수신', '송신', '저장', '수정', 및 '삭제'를 포함하는 의미이고, 용어 '부'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윈도우, 맥,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응용프로그램들, 기억장치(예를 들면, HDD, SDD), 및 모니터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과 같은 것일 수 있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원 발명은 테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모바일 무선통신기기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또는 PDA와 같은 모바일 무선통신기기일 수 있다.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원 발명은 테블릿 PC, 또는 PDA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모바일 무선통신기기의 일부는 동종기기일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이종기기일 수도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라고 함은 집적회로(IC)를 이용한 반도체 기억장치, 자기 기록 방식을 이용한 자기 기억 장치, 및/또는 광디스크를 이용한 광 기억장치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기록매체를 직접 읽는 컴퓨터에 포함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통신망(예를 들면, 광역 통신망(WAN), 도시권 통신망(MAN), 근거리 통신망(LAN), 및/또는 개인 통신망(PAN))을 통해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은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 방송 운영 디바이스(10),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Online video Platform)(이하, 'OVP')(20), 및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 방송 운영 디바이스(10),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Online video Platform)(이하, 'OVP')(20), 부가 서비스 플랫폼(30), 및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며, 여기서 통신망은 인터넷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통신망은 광역 통신망(WAN), 도시권 통신망(MAN), 근거리 통신망(LAN), 및/또는 개인 통신망(PAN)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는 방송 콘텐츠(영상,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OVP(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 방식은 인터넷을 통해서 음성이나 영상이 실시간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는 예를 들면 방송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다가 OVP(20)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라이브(생방송)로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OVP(20)에게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는 상술한 자신(1)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예를 들면,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나 데이터 저장하는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OVP(20)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전송받아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할 수 있는 장치이다.
OVP(20)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OVP(20)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콘텐츠 딜레이(Delay) 정보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OVP(20)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콘텐츠 딜레이(Delay) 정보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식별정보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한다.
OVP(20)는 상술한 자신(20)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예를 들면, 방송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제2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콘텐츠 딜레이(Delay)정보는 콘텐츠 딜레이 시간을 포함하며, 콘텐츠 딜레이 시간은 방송 콘텐츠가 OVP(20)에서 출발하여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되거나, 또는 방송 콘텐츠가 OVP(20)에서 출발하여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서 재생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는, 그 영상 프레임이 재생될 시각을 알려주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어떤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는 기준 시각으로부터의 시간을 의미하고, 여기서, 기준 시각은 예를 들면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최초의 영상 프레임이 재생되기 시작하는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영상 프레임의 식별정보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방송 콘텐츠에서 어떤 영상 프레임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영상 프레임의 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숫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숫자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유일하게 할당된 것일 수 있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방송 운영 디바이스(10)로부터 받으면,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현재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OVP(20)에게 송신한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OVP(20)로부터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OVP(20)로부터 전송된 스트리밍 정보는 콘텐츠 딜레이(Delay) 정보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OVP(20)로부터 전송된 스트리밍 정보는 콘텐츠 딜레이(Delay) 정보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와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술한 자신(3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 의해 전송되는 부가 서비스는 예를 들면 퀴즈, 설문조사, 또는 자막 제공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부가 서비스가 방송될 시간을 정의하는 타임 스탬프(이하,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OVP(20)로부터 전송된 스트리밍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타임 스탬프으로부터 계산된 것이다.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한편, 대안적으로(alternatively),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OVP(20)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 정보에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OVP(20)에 의해 계산된 것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부가 서비스 프레임의 식별정보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프레임은 부가 서비스가 재생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한편, 부가 서비스는 OVP(2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시에 재생되거나 또는 그러한 영상 프레임들과는 별도의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
OVP(2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부가 서비스가 동시에 재생되도록 구현되는 실시 예(이하, '동시(同時) 구현 실시예')를 설명하면, 부가 서비스 프레임의 식별정보는 부가 서비스와 같이 재생되는 영상 프레임의 식별정보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1부터 100번까지 식별정보가 부여된 영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40)가 수신한다고 가정하고, 부가 서비스 프레임의 식별정보가 '47' 로 정의 되었다고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1번부터 100번까지의 영상 프레임을 순시적으로 재생하다가 47번 영상 프레임을 재생할 때 부가 서비스도 같이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서비스는 팝업의 형태로 47번 영상 프레임과 같이 재생될 수 있다.
OVP(2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들과 별도의 영상 프레임으로 재생되도록 구현되는 실시 예(이하, '이시(異時) 구현 실시예')를 설명하면, 부가 서비스 프레임의 식별정보는 기존의 영상 프레임의 식별정보와 다르게 정의된다.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1부터 100번까지 식별정보가 부여된 영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40)가 수신한다고 가정하고, 부가 서비스 프레임의 식별정보는 '47-1'로 정의되었다고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1번부터 100번까지의 영상 프레임을 순시적으로 재생하다가 47번 영상 프레임을 재생한 후, 부가 서비스를 재생하고, 부가 서비스의 재생이 완료되면 48번 영상 프레임 부터 나머지 영상 프레임들을 순시적으로 재생한다.
한편, 상술한 '동시(同時) 구현 실시예'와 '이시(異時) 구현 실시예'는 혼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서비스가 3개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 부가 서비스의 영상 프레임들의 식별정보는 47, 47-1, 47-2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47번으로 정의된 부가 서비스 프레임을 47번 영상 프레임(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것임)과 동시에 재생하고, 다음에 47-1으로 정의된 부가 서비스 프레임과 47-2로 정의된 부가 서비스 프레임을 순시적으로 재생하고, 이후 48번 영상 프레임부터 나머지 영상 프레임들을 순시적으로 재생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문구 '부가 서비스 프레임 식별번호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를 재생'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문구는, 상술한 '동시(同時) 구현 실시예, '이시(異時) 구현 실시예' 또는 '동시(同時) 구현 실시예'와 '이시(異時) 구현 실시예'의 혼합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기준 프레임'은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이되, 부가 서비스와 같이 재생되는 영상 프레임을 의미하거나, 또는 부가 서비스가 재생되기 직전의 영상 프레임을 의미한다.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는 OVP(20)로부터 전송된 스트리밍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영상 식별정보로부터 계산된 것이다.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한편, 대안적으로(alternatively),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는 OVP(20)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 정보에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는 OVP(20)에 의해 계산된 것일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OVP(2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자신(40)이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와 함께 재생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현재 자신(40)이 재생중인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를 모니터링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가 나타내는 시각에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방송 콘텐츠들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에 부여된 타임 스탬프들과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 중에서 시간적으로 앞선 순서대로 재생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현재 자신(40)이 재생중인 영상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식별정보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부가 서비스를 재생하고, 부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부가 서비스를 재생하고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사용자의 응답(즉,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로부터,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방송 운영 디바이스(10)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부가 서비스의 형태로 다시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2를 같이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되,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공통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도 1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과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의 제1실시예('제1실시예')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 방송 운영 디바이스(10),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Online video Platform)(이하, 'OVP')(20), 부가 서비스 플랫폼(30), 및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가 방송 콘텐츠(예를 들면, 영상)를 OVP(20)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출(즉, 송신)하고, OVP(20)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로부터 송신 받은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의 요청이 있으면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한다.
한편, 방송 운영 디바이스(10)가 부가 서비스(예를 들면, 퀴즈, 설문조사, 또는 방송자막과 같은 이벤트)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하면,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OVP(20)에게 전송한다. OVP(20)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콘텐츠 딜레이 정보(예를 들면, 영상 딜레이 정보)와 현재 영상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스트리밍 정보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한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OVP(2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딜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재생할 시간을 나타내는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계산하여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부가 서비스 정보와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 = OVP(20)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현재 전송중인 영상의 타임 스탬프가 나타내는 시각 + 콘텐츠 딜레이 시간 + ΔT
여기서, ΔT는 부가 서비스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서 재생되는 시간과 현재 전송중인 영상이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서 재생되는 시간의 차이임
한편, 상기 계산예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원 발명은 상기 계산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OVP(20)로부터 전송된 스트리밍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타임 스탬프으로부터 계산된 것이다.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한편, 대안적으로(alternatively),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OVP(20)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 정보에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는 OVP(20)에 의해 계산된 것일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자신(40)이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들의 타임 스탬프를 감시, 즉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결과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가 나타내는 시각이 도래하면 부가 서비스를 재생하고, 사용자들로부터 답변을 수신(입력)받는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사용자들의 부가 서비스에 대한 답변(예를 들면, 이벤트 결과)을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한다.
도 3은 도 1의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방송 수신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부, 표시부, 기억장치, 앱, 기타 SW/HW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W/HW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더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부, 표시부, 기억장치, 앱, 운영체제, 및 기타 SW/HW는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앱은 기억장치에 의해 저장되어 있다가,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표시부는 모니터와 같이 콘텐츠나 부가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며, 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소자이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OVP(2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서비스를 자신(140)이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와 함께 재생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현재 자신(140)이 재생중인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를 모니터링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가 나타내는 시각에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방송 콘텐츠들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에 부여된 타임 스탬프들과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 중에서 시간적으로 앞선 순서대로 재생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현재 자신(40)이 재생중인 영상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영상 프레임 식별정보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부가 서비스를 재생하고, 부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사용자의 응답(즉,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로부터,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방송 운영 디바이스(10)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부가 서비스의 형태로 다시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기 바람).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는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부, 표시부, 기억장치, 앱, 운영체제, 및 기타 SW/HW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컴퓨터로서,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앱')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앱은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동작하거나 또는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앱은 메모리에 로딩되어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프로세서는 메모리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메모리에 로딩되는 앱을 실행시켜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방법을 수행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방법은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서 재생하는 방송콘텐츠 재생단계,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정보 및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및 부가 서비스 정보를 모니터를 통해서 재생하는 부가 서비스 재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재생단계는, 부가 서비스 정보는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가 나타내는 시각에 재생하는 단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방법은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140)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서 재생하는 방송콘텐츠 재생단계,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정보 및 부가 서비스 프레임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모니터를 통해서 재생하는 부가 서비스 재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재생단계는, 부가 서비스 정보는 부가 서비스 프레임 식별번호에 따라서 재생하는 단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가 퀴즈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4를 같이 참조하여 도 4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는 실시간(또는 라이브)으로 콘텐츠를 생성하여, OVP(20)를 통해서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에 전송한다.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에 의해 전송되는 콘텐츠(이하, '문제 보시죠 콘텐츠')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즉, 콘텐츠 딜레이 시간이 경과)되면 앱에 도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0~12초 딜레이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에서 '문제 보시죠 콘텐츠'가 OVP(20)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될 때, 방송 운영 디바이스(10)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여기서는, 퀴즈이므로, '퀴즈 리퀘스트'라고 하기로 함)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퀴즈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OVP(20)에게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현재 영상(OVWP(20)가 방송 수신 디바스에게 현재 전송하는 영상)의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퀴즈가 포함된 부가 서비스 정보와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앱에게 제공한다. 앱은 OVP(20)로부터 수신되는 '문제 보시죠 콘텐츠'를 재생할때 까지 대기하다가 '문제 보시죠 콘텐츠'를 재생한 후 퀴즈를 재생한다. 여기서, 퀴즈는 부가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것이다.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앱은 퀴즈에 대한 답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결과(즉, 퀴즈 결과)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퀴즈 결과를 집계한다.
한편,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는 퀴즈 결과를 보기 위해서 콘텐츠(이하, '결과 보시죠 콘텐츠')를 OVP(20)를 통해서 앱에게 전송하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즉, 콘텐츠 딜레이 시간이 경과)되면 앱에 도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0~12초 딜레이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에서 '결과 보시죠 콘텐츠'가 OVP(20)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될 때, 방송 운영 디바이스(10)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퀴즈 결과 보기 리퀘스트'라고 하기로 함)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퀴즈 결과 보기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OVP(20)에게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현재 영상(OVWP(20)가 방송 수신 디바스에게 현재 전송하는 영상)의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퀴즈 결과가 포함된 부가 서비스 정보와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앱에게 제공한다. 앱은 OVP(20)로부터 수신되는 '결과 보시죠 콘텐츠'를 재생할때 까지 대기하다가 '결과 보시죠 콘텐츠'를 재생한후 퀴즈 결과를 재생한다.
이상과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퀴즈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또는 방법은 그러한 퀴즈에만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5를 같이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되,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공통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과 도 5를 같이 참조하면,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의 제1실시예('제1실시예')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 방송 운영 디바이스(10),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Online video Platform)(이하, 'OVP')(20), 부가 서비스 플랫폼(30), 및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가 방송 콘텐츠(예를 들면, 영상)를 OVP(20)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출(즉, 송신)하고, OVP(20)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송신 받은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의 요청이 있으면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한다.
한편, 방송 운영 디바이스(10)가 부가 서비스(예를 들면, 퀴즈, 설문조사, 또는 방송자막과 같은 이벤트)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하면,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OVP(20)에게 전송한다. OVP(20)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콘텐츠 딜레이 정보(예를 들면, 영상 딜레이 정보)와 현재 영상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스트리밍 정보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한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OVP(2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현재 영상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를 계산하여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부가 서비스 정보와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현재 자신(40)이 재생중인 영상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영상 프레임 식별정보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부가 서비스를 재생하고, 부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사용자의 응답(즉,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을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로부터,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방송 운영 디바이스(10)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부가 서비스의 형태로 다시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제, 제2실시예의 변형예(이하, '변형예')를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방송 수신 디바이스(40, 140)는 종종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에서 제공되는 화질보다 낮은 사양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가 제공하는 영상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 레이트는 초당 60fbs인데, 방송 수신 디바이스(40, 140)는 초당 30fbs 로 영상을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변형예는 상술한 경우를 위해 고안된 것으로,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변형예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 방송 운영 디바이스(10),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Online video Platform)(이하, 'OVP')(20), 부가 서비스 플랫폼(30), 및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서 지원하는 영상의 스펙(spec)에 대한 정보를 방송 수신 다비이스(40)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는 영상 프레임 레이트가 초당 60fbs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예를 들면, 영상)를 OVP(20)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출(즉, 송신)하고, OVP(20)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송신 받은 영상이 초당 60fbs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한다.
방송 운영 디바이스(10)가 부가 서비스(예를 들면, 퀴즈, 설문조사, 또는 방송자막과 같은 이벤트)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전송하면,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OVP(20)에게 전송한다. OVP(20)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콘텐츠 딜레이 정보(예를 들면, 영상 딜레이 정보)와 현재 영상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스트리밍 정보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OVP(20)가 제공하는 현재 영상의 식별 정보는 초당 60fbs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기준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OVP(2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딜레이 정보, 현재 영상의 식별 정보, 및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의 스펙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를 계산하여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부가 서비스 정보와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만약,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의 스펙이 초당 30fbs 로 영상을 재생하도록 구성된 경우라면,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초당 30fbs 로 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기준으로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를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와 부가 서비스 정보는 방송 수신 디바이스(40)에게 전송된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초당 60fbs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받아서 초당 30fbs으로 변환(즉, 영상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디바이스(40)는 초당 30fbs으로 재생 중인 영상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영상 프레임 식별정보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
10: 방송 운영 디바이스
20: OVP
30: 부가 서비스 플랫폼
40, 140: 방송 수신 디바이스

Claims (9)

  1.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을 수 있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을 포함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으면,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에게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송신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한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으로부터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를 제공받으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가 방송될 시간을 정의하는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를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퀴즈, 설문조사, 또는 자막 제공과 같은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는 현재 자신이 재생중인 영상 프레임의 타임 스탬프를 모니터링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타임 스탬프가 나타내는 시각에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재생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5.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을 수 있는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을 포함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리퀘스트를 받으면,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에게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요청하는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송신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스트리밍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한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20)으로부터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현재 전송중인 방송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식별정보를 제공받으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콘텐츠 딜레이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 프레임의 식별정보를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부가 서비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은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서비스의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퀴즈, 설문조사, 또는 자막 제공과 같은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송 수신 디바이스는 현재 자신이 재생중인 영상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부가 서비스 플랫폼(30)으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정보를 부가 서비스 플랫폼(3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부가 서비스 식별 정보에 따라서 재생하는 것인,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9. 삭제
KR1020190016312A 2019-02-12 2019-02-12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KR10212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12A KR102126525B1 (ko) 2019-02-12 2019-02-12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12A KR102126525B1 (ko) 2019-02-12 2019-02-12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525B1 true KR102126525B1 (ko) 2020-07-08

Family

ID=7159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312A KR102126525B1 (ko) 2019-02-12 2019-02-12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098A1 (ko) * 2020-12-24 2022-06-30 김인철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278A (ja) * 2004-11-26 2006-06-15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278A (ja) * 2004-11-26 2006-06-15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098A1 (ko) * 2020-12-24 2022-06-30 김인철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92105A (ko) * 2020-12-24 2022-07-01 김인철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2069B1 (ko) 2020-12-24 2022-10-11 김인철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5887B1 (en) Shared multimedia annotations for group-distributed video content
TWI523535B (zh) 耗用內容及元資料之技術
US20100250348A1 (en) Platform or user sensitive advertising
CN102918835A (zh) 可控制的设备伴侣数据
US11825148B2 (en) Expiring synchronized supplemental content in time-shifted media
US119302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US20110202946A1 (en) Interactive Broadcast System
US20170311050A1 (en) Queue to Display Information For Entities During Video Playback
CN104035953A (zh) 用于跨不同装置的无缝内容导航的方法和系统
US10462531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n advertisement while buffering a video
JP2021530929A (ja) 制御メッセージに基づく置換コンテンツ再生の変更
US9270779B2 (en) Display service method, network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102126525B1 (ko)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JP2021524717A (ja) 再生装置にビデオを提供する装置を制御する遠隔制御信号の検出に応答した置換コンテンツ再生の変更
KR102250135B1 (ko) 추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948082B (zh) 直播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2008014813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Display Information to an End-User Display Device
CN109547830B (zh) 一种用于多个虚拟现实设备的同步播放的方法与装置
CN108668140B (zh) 音视频交互状态同步方法及装置
CN112565807A (zh) 用于局域网内的直播的方法、设备、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N107852523B (zh) 用于在终端之间同步媒体渲染的方法、终端和设备
KR20220056360A (ko) 인플루엔서의 의류 리뷰 방송 콘텐츠의 스트리밍 제공 서비스와 부가 서비스 동기화 시스템
KR101375791B1 (ko) 단말, 그의 컨텐츠 재생 방법,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컨텐츠 관련 메시지 제공 방법
KR20180094367A (ko) 대체 광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72023B1 (ko) 미디어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