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067A -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067A
KR20220092067A KR1020200183451A KR20200183451A KR20220092067A KR 20220092067 A KR20220092067 A KR 20220092067A KR 1020200183451 A KR1020200183451 A KR 1020200183451A KR 20200183451 A KR20200183451 A KR 20200183451A KR 20220092067 A KR20220092067 A KR 2022009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inertia
fixing part
rotor
roto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993B1 (ko
Inventor
박인범
박복안
박치성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993B1/ko
Priority to EP21207465.2A priority patent/EP4020779B1/en
Priority to US17/524,938 priority patent/US11863021B2/en
Priority to CN202111564758.4A priority patent/CN114678985B/zh
Publication of KR2022009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H02K1/276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having a flux concentratio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25B31/023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with compressor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08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2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gaseous cooling medium flowing in closed circuit, a part of which is external to the machin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는, 고정자; 회전자코어에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구비한 회전자;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코어의 축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축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관성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자코어의 축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고정부; 상기 복수 개의 제1고정부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관성코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고정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고정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고정부에서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를 단일체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링크부를 포함함으로써,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을 억제하면서도 회전자의 회전관성을 높여 소형화와 고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ELECTRIC MOTOR AND HERMETIC COMPRESS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밀폐형 압축기는 압축기본체를 이루는 전동부와 압축부가 쉘의 내부공간에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회전자리식, 베인식, 스크롤식 등으로 구분되고, 일부 방식의 압축기는 전동부를 이루는 전동기(또는 구동모터)가 회전식 모터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밀폐형 압축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동기의 단위체적당 출력밀도를 증대시키는 소형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전동기를 소형화시킬 경우 전동기의 관성력이 저하되어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고, 진동이 증가하며, 기계적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 제2005-307845호)과 같이 회전자(제1 철판)의 단부에 코어(제2 철판)를 배치하여 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코어가 회전자에 삽입된 영구자석과 인접하여 영구자석의 자속이 코어를 통해 누설될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회전자와 코어의 사이에 비자성체판을 삽입하여 영구자석의 자속누설을 억제하고 있으나, 비자성체판의 두께가 얇아 회전자와 코어 사이가 가깝게 배치되면서 영구자석의 자속누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비자성체판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경우 비자성체가 자성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여서 전동기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게 될 수 있다.
특허문헌 2(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5960호)에는 회전자의 축방향 단부에 자성체로 된 코어(회전관성체)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코어(회전관성체)는 전체가 자성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속누설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관성력의 보상정도 대비 회전자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모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307845호 (공개일: 2005.11.04.)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5960호 (공개일: 2007.05.31.)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소형화하면서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자의 회전관성을 증가시켜 소형이면서도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자에 삽입된 영구자석의 자속누설을 억제하면서도 회전관성을 증가시켜 소형이면서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제조비용을 낮추면서도 소형화와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재료비용이 상대적으로 고가인 비자성체의 사용량을 줄여 제조비용을 줄이면서도 소형화와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비자성체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회전자에 삽입된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을 억제하여 제조비용을 낮추고 소형화와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구자석이 삽입된 회전자코어에 관성코어를 설치하되, 상기 영구자석에 인접한 연결부는 비자성체로 형성하는 반면 상기 영구자석에서 먼 관성코어는 자성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을 억제하면서도 회전자의 회전관성을 높임으로써 소형화와 고효율화를 구현한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성코어의 일부를 비자성체로 형성하되 비자성체의 단면적이 회전자코어 또는 상기 관성코어 중에서 자성체로 된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자성체의 사용량을 낮춰 제조비용을 낮추면서도 소형화와 고효율을 구현한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자코어, 상기 고정자코어에 권선되는 고정자코일을 구비한 고정자;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자코어, 상기 회전자코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구비한 회전자;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코어의 축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축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관성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자코어의 축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고정부; 상기 복수 개의 제1고정부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관성코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고정부; 상기 복수 개의 제1고정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고정부에서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를 단일체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회전자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관성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축방향 투영시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고정부는, 제1내측원호단부와 제1외측원호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원호단부의 양단과 이를 마주보는 상기 제1외측원호단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직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제2내측원호단부와 제2외측원호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내측원호단부의 양단과 이를 마주보는 상기 제2외측원호단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직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직선단부와 상기 제2직선단부는 상기 링크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영구자석의 적어도 일부를 축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고정부의 원주방향 중심부는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영구자석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의 사이,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의 사이에는 각각 절곡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선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는 쪽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연결부는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연결부의 경사방향은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자코어의 단부면에 대해 기설정된 경사각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은 20도보다는 크거나 같고 90도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연결부의 높이는 상기 관성코어의 두께보다 크거나 또는 4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관성코어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회전자코어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의 단부는 상기 관성코어 또는 상기 회전자코어에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관성코어는 그 외경이 상기 연결부의 외경보다 큰 판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관성코어의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구비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회전자코어는, 상기 영구자석의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체결구멍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제1체결구멍과 각각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회전자코어에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2고정부에는 제3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성코어에는 상기 제3체결구멍과 대응하는 제4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관성코어에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관성코어에는 상기 관통구멍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제4체결구멍과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관성코어는 축방향 양쪽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질량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성코어의 내주측 두께보다 외주측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연결부는,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보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쉘; 상기 쉘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및 상기 쉘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앞서 설명한 전동기;를 포함하는 밀폐형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축부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피스톤; 및
일단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는, 영구자석이 삽입된 회전자코어에 관성코어를 설치하되, 상기 영구자석에 인접한 연결부는 비자성체로 형성하는 반면 상기 영구자석에서 먼 관성코어는 자성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을 억제하면서도 회전자의 회전관성을 높임으로써 소형화와 고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는, 회전자코어와 관성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비자성체로 형성하되 연결부의 단면적이 회전자코어 또는 상기 관성코어 중에서 자성체로 된 관성코어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자성체의 사용량을 낮춰 제조비용을 낮추면서도 소형화와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는, 관성코어가 고정자코일의 상측과 중첩되도록 관성코어의 외경이 회전자코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성코어의 회전관성을 증가시켜 모터효율 및 압축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는, 회전자코어와 관성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가 원주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개의 영구자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개의 연결부를 이용하여 양쪽 영구자석을 함께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가 자성체로 형성되더라도 자성체의 단면적을 줄여 관성코어를 통한 자속누설을 최소화하면서도 영구자석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는, 회전자코어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결합되는 관성코어로 이루어지되 연결부의 축방향 높이는 관성코어의 축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구자석과 관성코어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여 관성코어를 자성체로 형성하더라도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는, 관성코어의 회전관성이 영구자석을 포함한 회전자코어의 회전관성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자의 전체 회전관성을 높여 전동기 및 압축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압축기의 쉘을 투시하여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왕복동 압축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를 회전자에서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가 회전자코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3에서 제1관성코어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도 9는 제1관성코어의 높이별 역기전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10은 관성코어를 포함한 회전자의 회전관성에 대한 압축기 효율을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
도 11은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립정면도,
도 13은 관성코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조립정면도,
도 15은 관성코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조립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Ⅳ-Ⅳ"선단면도,
도 18은 관상코어와 영구자석의 중첩면적비에 따른 역기전력의 감소율을 보인 그래프,
도 19는 제2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회전자코어와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조립정면도,
도 22는 회전자코어와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조립하여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는 전동부를 이루는 전동기가 압축부와 함께 쉘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동기는 가동자의 동작에 따라 회전모터 또는 왕복동모터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회전모터가 적용되는 밀폐형 압축기 중에서 피스톤에 회전축(또는 크랭크축)이 연결되는 연결형 왕복동 압축기를 대표예로 삼아 설명한다. 하지만, 연결형 왕복동 압축기에 국한되지 않고 회전모터로 된 전동기 및 그 전동기를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이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압축기의 쉘을 투시하여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왕복동 압축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압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쉘(110), 쉘(110)의 내부공간(110a)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120), 전동부(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40), 냉매를 압축실로 안내하고 압축된 냉매를 토출시키는 흡토출부(150), 전동부(120)와 압축부(140)를 포함한 압축기본체(C)를 쉘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포함한다.
쉘(110)은 하부쉘(111) 및 상부쉘(112)을 포함한다. 하부쉘(111)과 상부쉘(112)은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110a)이 형성된다. 쉘(110)의 내부공간(110a)에는 전동부(120)와 압축부(140)가 수용된다. 쉘(110)은 가볍고 열전도계수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이하, 알루미늄으로 약칭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쉘(111)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쉘(111)에는 흡입파이프(115), 토출파이프(116) 및 프로세스파이프(미도시)가 각각 관통되어 결합된다. 이들 흡입파이프(115), 토출파이프(116), 프로세스파이프(미도시)는 각각 하부쉘(111)에 인서트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쉘(112)은 하부쉘(111)과 같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쉘(112)은 하부쉘(111)의 상측에서 그 하부쉘(111)에 결합되어 쉘(110)의 내부공간(110a)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쉘(112)과 하부쉘(111)은 용접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하부쉘(111)과 상부쉘(112)이 용접이 어려운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동부를 이루는 전동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120)는 고정자(121) 및 회전자(122)를 포함한다. 고정자(121)는 쉘(110)의 내부공간(110a), 즉 하부쉘(111)의 바닥면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회전자(122)는 고정자(121)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자(121)는 고정자코어(1211) 및 고정자코일(1212)을 포함한다.
고정자코어(1211)는 전기강판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동기(120)로 전압을 인가하면 후술하는 고정자코일(1212) 및 회전자(122)와 함께 전자기력을 통한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한다.
고정자코어(1211)는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자코어(1211)의 내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코어(1211)는 고정자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해 메인베어링(141)의 하면에 고정된다.
고정자코어(1211)는 쉘(110)의 내면에서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자코어(1211)의 하단이 쉘(110)의 바닥면에 대해 후술할 지지스프링(161)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운전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쉘(1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고정자코일(1212)은 고정자코어(1211) 내측에 권선된다. 고정자코일(1212)은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고정자코어(1211) 및 회전자(122)와 함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전동기(120)는 압축부(140)의 왕복 운동을 위한 구동력이 발생된다.
고정자코어(1211)와 고정자코일(1212)의 사이에는 인슐레이터(1213)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자코어(1211)와 고정자코일(1212)의 직접적인 접촉을 억제하여 전자기적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자(122)는 회전자코어(1221), 영구자석(1222), 연결부(1231) 및 관성코어(1232)를 포함한다.
회전자코어(1221)는 고정자코어(1211)와 마찬가지로 전기강판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회전자코어(1221)의 중심에는 모터축을 이루는 회전축(130)이 압입되어 결합되는 축구멍(1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축구멍(1221a)은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회전자코어(12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연결형 왕복동 압축기에서는 모터축을 크랭크축이라고 정의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가 반드시 연결형 왕복동 압축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하에서는 모터축을 회전축이라고 정의하여 설명한다.
회전축(130)은 플레이트부(132)를 기준으로 축방향 양단에 주축부(131)와 편심축부(133)가 각각 구비된다. 편심축부(133)에는 후술할 압축부(140)의 일부를 이루는 커넥팅로드(14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넥팅로드(143)의 타단에는 후술할 압축부(140)의 일부를 이루는 피스톤(142)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자(122)에 전압 인가시 회전축(130)은 회전자(122)와 함께 회전하면서 전동기(120)의 회전력을 압축부(140)에 전달하게 된다.
회전자코어(1221)의 가장자리에는 영구자석(1222)이 삽입되는 자석장착구멍(1221b)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석장착구멍(1221b)은 복수 개로 분리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축구멍(1221a)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자석장착구멍(1221b)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자석장착구멍(1221b)은 회전자코어(1221)의 형상에 따라 그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양단을 관통할 수도 있고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일부만 관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자코어(1221)가 단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자코어(121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자석장착구멍(1221b)은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양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회전자코어(1221)가 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부의 회전자코어(1221)가 고정자코어(1211)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자석장착구멍(1221b)은 고정자코어(1211)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자코어(1221)에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코어(1221)에 대해서는 연결부(1231) 및 관성코어(1232)와 함께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영구자석(1222)은 회전자코어(12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영구자석(1222)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1222)의 축방향 길이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구자석(1222)은 회전자코어(1221)의 자석장착구멍(122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할 연결부(1231)에 의해 막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영구자석(1222)에 대해서는 연결부(1231) 및 관성코어(1232)와 함께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다음으로 압축부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140)는 메인베어링(141), 피스톤(142)을 포함한다. 메인베어링(141)은 쉘(110)에 탄력 지지되고, 피스톤(142)은 커넥팅로드(143)에 의해 회전축(130)에 결합되어 메인베어링(141)에 대해 상대운동을 한다.
메인베어링(141)은 전동기(120)의 상측에 구비된다. 메인베어링(141)은 프레임부(1411), 전동기(120)의 고정자(121)에 결합되는 고정돌부(1412), 회전축(130)을 지지하는 축수부(1413), 압축실(141a)을 형성하는 실린더부(실린더)(1415)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411)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모서리를 제외한 가장자리 일부가 살빼기 가공되어 방사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부(1412)는 프레임부(14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돌부(1412)는 프레임부(1411)의 가장자리에서 전동기(120)를 향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베어링(141)은 고정자(121)와 고정자체결볼트(미부호)로 체결되어, 전동기(120)의 고정자(121)와 함께 하부쉘(111)에 탄력 지지될 수 있다.
축수부(1413)는 프레임부(1411)의 중심부분에서 축방향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축수부(1413)에는 회전축(130)이 관통되도록 축수구멍(1413a)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축수구멍(1413a)의 내주면에는 부시베어링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축수부(1413)의 상단에는 회전축(130)의 플레이트부(132)가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축수부(1413)의 내주면에는 회전축(130)의 주축부(131)가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30)은 메인베어링(141)에 의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실린더부(이하, 실린더로 약칭한다)(1415)는 프레임부(141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실린더(1415)는 반경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측 개구단에는 커넥팅로드(143)에 연결되는 피스톤(142)이 삽입되고, 외측 개구단에는 후술할 흡토출부(150)를 이루는 밸브조립체(151)가 장착된다.
피스톤(142)은 커넥팅로드(143)를 향하는 쪽(후방측)은 개구되는 반면, 반대쪽인 전방쪽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42)의 후방측에는 커넥팅로드(143)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142)의 전방측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밸브조립체(151)와 함께 실린더(1415)의 내부에 압축실(141a)을 형성한다.
피스톤(142)은 메인베어링(141)과 동일한 소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속이 회전자(122)에서 피스톤(142)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피스톤(142)이 메인베어링(141)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피스톤(142)과 메인베어링(구체적으로는 실린더)(141)의 열팽창 계수가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의 구동시 쉘(110)의 내부공간(110a)이 고온 상태(대략 100℃)가 되더라도 메인베어링(141)과 피스톤(142) 사이의 열팽창으로 인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흡토출부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토출부(150)는 밸브조립체(151), 흡입머플러(152), 토출머플러(153)를 포함한다. 밸브조립체(151)와 흡입머플러(152)는 실린더(1415)의 외측 개구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밸브조립체(151)는 밸브플레이트(1511), 흡입밸브(1512), 토출밸브(1513), 밸브스토퍼(1514), 토출커버(1515)를 포함한다.
밸브플레이트(1511)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베어링(141)의 선단면, 즉 압축실(141a)의 전방측 개구면을 복개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밸브플레이트(1511)의 모서리에는 각각 체결구멍(미부호)이 형성되어 메인베어링(141)의 선단면에 구비된 체결홈(미부호)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밸브플레이트(1511)에는 한 개의 흡입구(1511a)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토출구(1511b)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511b)가 복수 개인 경우, 흡입구(1511a)는 밸브플레이트(1511)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토출구(1511b)는 흡입구(1511a)를 주변에 둘레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흡입밸브(1512)는 밸브플레이트(1511)를 기준으로 피스톤(142)을 향하는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밸브(1512)는 피스톤(142)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개폐될 수 있다.
토출밸브(1513)는 밸브플레이트(1511)를 기준으로 피스톤(142)의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밸브(1513)는 피스톤(142)을 등지는 방향으로 휘어져 개폐될 수 있다.
밸브스토퍼(1514)는 토출밸브(1513)를 사이에 두고 밸브플레이트(1511)와 토출커버(15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스토퍼(1514)는 그 일단이 토출밸브(1513)의 고정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토출커버(1515)에 눌려 고정된다.
토출커버(1515)는 압축실(141a)을 최종 복개하도록 흡입밸브(1512)와 밸브플레이트(1511)를 사이에 두고 메인베어링(141)의 선단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커버(1515)는 실린더커버라고도 할 수 있다.
흡입머플러(152)는 밸브조립체(151)에 의해 고정되어 밸브플레이트(1511)의 흡입구(1511a)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머플러(152)는 흡입파이프(115)를 통해 흡입된 냉매를 실린더(1415)의 압축실(141a)로 전달한다.
흡입머플러(152)의 내부는 흡입공간부(미부호)가 형성된다. 흡입공간부의 입구는 흡입파이프(115)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통되고, 흡입공간부의 출구는 밸브조립체(151)의 흡입측에 직접 연통된다.
토출머플러(153)는 메인베어링(141)으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토출머플러(153)의 내부는 토출공간부(미부호)가 형성된다. 토출공간부의 입구는 루프파이프(118)에 의해 밸브조립체(151)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토출공간부의 출구는 루프파이프(118)에 의해 토출파이프(116)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부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60)는 전동기(120)의 하면과 이를 마주보는 하부쉘(111)의 바닥면 사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통상 전동기(120)의 네 모서리를 쉘(110)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160)는 지지스프링(161), 지지스프링(161)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캡(162), 제2스프링캡(16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부(160)는 지지스프링(161), 제1스프링캡(162), 제2스프링캡(163)을 한 쌍으로 하여 한 개의 지지단위체를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단위체는 압축기본체의 둘레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지지스프링(161)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제1스프링캡(162)은 하부쉘(11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지지스프링(161)의 하단을 지지하며, 제2스프링캡(163)은 전동기의 하단에 고정되어 지지스프링(161)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지지스프링(161)은 각가의 제1스프링캡(162)과 제2스프링캡(163)에 의해 지지되어 압축기본체(C)를 쉘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10b는 저유공간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전동기(12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122)가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자(122)가 회전을 하면 그 회전자(122)에 결합된 회전축(130)이 회전을 하면서 회전력을 커넥팅로드(143)를 통해 피스톤(142)에 전달하게 된다. 피스톤(142)은 커넥팅로드(143)에 의해 실린더(1415)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142)이 실린더(1415)에서 후진하면 압축실(141a)의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압축실(141a)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면 흡입머플러(152)에 채워진 냉매가 밸브조립체(151)의 흡입밸브(1512)를 통과하여 실린더(1415)의 압축실(141a)로 흡입된다.
반대로, 피스톤(142)이 실린더(1415)에서 전진하면 압축실(141a)의 체적이 감소된다. 압축실(141a)의 체적이 감소하게 되면 그 압축실(141a)에 채워진 냉매가 압축되어 밸브조립체(151)의 토출밸브(1513)를 통과하여 토출커버(1515)의 토출실(1515a)로 토출된다. 이 냉매는 루프파이프(118)를 통해 토출머플러(153)의 토출공간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루프파이프(118)와 토출파이프(116)를 거쳐 냉동사이클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는 전동부를 이루는 전동기가 압축부와 함께 쉘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가 소형화되면 전동기도 소형화되고, 전동기가 소형화되면 그 전동기의 일부를 이루는 회전자도 소형화된다. 회전자가 소형화되면 회전관성이 감소하게 되어 모터효율에 불리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압축기의 소형화와 함께 회전자를 소형화하면서도 회전관성을 보상하기 위한 관성코어가 회전자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를 회전자에서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가 회전자코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1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자코어(1221), 영구자석(12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코어(1221)의 중심에는 회전축(130)이 압입되는 한 개의 축구멍(1221a)이 형성되고, 회전자코어(1221)의 가장자리에는 영구자석(1222)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자석장착구멍(1221b)이 형성될 수 있다.
축구멍(1221a)과 자석장착구멍(1221b)은 각각 회전자코어(122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복수 개의 자석장착구멍(1221b)은 회전자코어(1221)의 가장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축구멍(1221a)은 회전축(130)의 외면과 대응하도록 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석장착구멍(1221b)은 영구자석(1222)의 외면과 대응하도록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코어(1221)는 다수 장의 얇은 전기강판을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자코어(1221)는 축방향을 따라 제1체결구멍(1221c)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제1체결구멍(1221c)에는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제1체결부재(1241)가 삽입되어 다수 장의 전기강판이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체결구멍(1221c)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축구멍(1221a)과 자석장착구멍(1221b)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자코어(1221)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얇은 전기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회전자코어(1221)가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자코어(1221)는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얇은 전기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회전자코어(1221)가 축방향을 따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자코어(1221)는 한 개의 외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외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를 단단형 회전자코어, 후자를 다단형 회전자코어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단단형 회전자코어를 대표예로 삼아 설명하되, 기본적인 구조는 다단형 회전자코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회전자코어는 특별한 구분이 없는 한 단단형 회전자코어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회전자(122)의 축방향 일단, 더 정확하게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일단에는 관성코어(123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성코어(1232)는 전동기(120)가 설치되는 압축기의 형상에 따라 회전자코어(1221)의 상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관성코어(1232)가 회전자코어(1221)의 상단에 설치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1232)는 연결부(1231)를 사이에 두고 회전자코어(122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231)는 회전자코어(1221)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관성코어(1232)는 회전자코어(1221)로부터 이격되는 부분이다. 연결부(1231)의 축방향 중간높이에서의 횡단면적은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중간높이에서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관성코어(1232)의 축방향 중간높이에서의 횡단면적은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중간높이에서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의 사용량은 감소되고, 연결부(1231)와 영구자석(1222)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며, 연결부(1231)에는 그 연결부(1231)의 외측과 내측 사이를 연통시키거나 횡단면적을 줄여 후술할 유체통로(F)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가 단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조립성측면에서 유리하고,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측면 및 자속누설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가 분리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가 단일체로 형성된 예는 나중에 다른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는 자성에 대해 동일 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가 모두 비자성체인 경우에는 자속누설측면에서 유리하고, 모두 자성체인 경우에는 제조비용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231)는 비자성체로, 관성코어(1232)는 자성체로 형성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가 모두 자성체인 예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른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서 연결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단일체로 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원주방향을 따라 파형 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231)는 복수 개의 제1고정부(1231a), 복수 개의 제2고정부(1231b), 복수 개의 링크부(1231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고정부(1231a)와 복수 개의 제2고정부(1231b)는 축방향 투영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링크부(1231c)는 반경방향 투영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개씩의 제1고정부(1231a), 제2고정부(1231b), 링크부(1231c)를 각각 대표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고정부(1231a)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단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반경방향 투영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231a)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단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부(1231a)는 제1내측원호단부(1231a1)와 제1외측원호단부(1231a2) 및 제1내측원호단부(1231a1)의 양단과 이를 마주보는 제1외측원호단부(1231a2)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직선단부(1231a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231a)는 축방향 투영시 외주면의 원호길이가 내주면의 원호길이보다 긴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1231a)는 그 제1고정부(1231a)의 원주방향 중심을 반경방향 중심선이 회전축(130)의 중심, 즉 회전자(122)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231a)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회전자코어(12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1231a)의 축방향 일측면(하면)은 제1고정부(1231a)가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단면(상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부(1231a)의 하면은 회전자코어(1221)의 상면과 같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와 회전자코어(1221) 사이에서의 접촉면적이 확보되어 연결부(1231)가 회전자코어(12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고정부(1231a)는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한 원호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또한 복수 개의 제1고정부(1231a)는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의 원주방향 지지력이 균등하게 분배되어 회전자코어(12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고정부(1231a)는 적어도 일부가 영구자석(1222)의 축방향 일단(상단)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와 같이 제1고정부(1231a)의 개수보다 영구자석(1222)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1고정부(1231a)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 영구자석(1222)의 각 끝단에 함께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영구자석(1222)을 고정하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영구자석(1222)이 6개이고 제1고정부(1231a)가 3개인 경우에는 첫째 제1고정부(1231a)는 제1영구자석(1222a)의 제2단(도면의 우측단)과 이를 원주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영구자석(1222b)의 제1단(도면의 좌측단)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둘째 제1고정부(1231a)는 제3영구자석(1222c)의 제2단과 이를 원주방향으로 마주보는 제4영구자석(1222d)의 제1단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셋째 제1고정부(1231a)는 제5영구자석(1222e)의 제2단과 이를 원주방향으로 마주보는 제6영구자석(1222f)의 제1단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제1고정부(1231a)의 원주방향 중심은 서로 인접한 2개씩의 영구자석(1222)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쪽 영구자석(1222)을 각각 축방향으로 커버하여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3개의 제1고정부(1231a)를 이용하여 6개의 영구자석(1222)의 축방향 일단(상단)을 축방향으로 커버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1231a)의 중심부에는 제2체결구멍(1231a4)이 형성되고, 제2체결구멍(1231a4)은 영구자석(1222)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회전자코어(1221)의 제1체결구멍(1221c)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는 제2체결구멍(1231a4)과 제1체결구멍(1221c)을 통과하는 제1체결부재(1241)에 의해 체결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고정부(1231b)는 관성코어(1232)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반경방향 투영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1231b)는 관성코어(123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고정부(1231b)의 축방향 일측면(상면)은 제2고정부(1231b)가 마주보는 관성코어(1232)의 축방향 일측면(하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부(1231b)의 상면은 관성코어(1232)의 하면과 같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관성코어(1232)의 하면에는 제2고정부(1231b)가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회전방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고정부(1231b)는 제2내측원호단부(1231b1)와 제2외측원호단부(1231b2) 및 제2내측원호단부(1231b1)의 양단과 이를 마주보는 제2외측원호단부(1231b2)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직선단부(1231b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1231b)는 축방향 투영시 외주면의 원호길이가 내주면의 원호길이보다 긴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1231b)는 그 제2고정부(1231b)의 면적은 제1고정부(1231a)의 면적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1231b)에 지지되는 관성코어(1232)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고정부(1231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방향 투영시 원주방향을 따라 제1고정부(1231a)의 사이에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원호각을 가지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의 원주방향 지지력이 균등하게 분배되어 관성코어(12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1231b)에는 제3체결구멍(1231b4)이 형성되고, 제3체결구멍(1231b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술할 관성코어(1232)의 제4체결구멍(1232d)과 동일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링크부(1231c)는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반경방향 투영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링크부(1231c)는 축방향 하측에 위치한 첫 번째 제1고정부(1231a)의 제2단(도면의 좌측단)에서 축방향 상측에 위치한 첫 번째 제2고정부(1231b)의 제1단(도면의 우측단)을 향해 상향 절곡되고, 두 번째 링크부(1231c)는 첫 번째 제2고정부(1231b)의 제2단에서 두 번째 제1고정부(1231a)의 제1단을 향해 하향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부(1231c)는 원주방향을 따라 파형 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1231c)는 각각 직각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링크부(1231c)는 제1고정부(1231a)의 제2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2고정부(1231b)의 제1단에 연결되고, 제2고정부(1231b)의 제2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1고정부(1231a)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축방향 투영시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가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회전자코어(1221)에 관성코어를 축방향으로 체결하는 경우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의 지지면적이 확대되고 링크부(1231c)의 축방향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1231c)는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부(1231a)의 제2단에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제2고정부(1231b)의 제1단에 연결되고, 제2고정부(1231b)의 제2단에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제1고정부(1231a)의 제1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축방향 투영시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가 원주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됨에 따라, 그만큼 연결부(1231)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연결부(1231)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비자성체인 점을 고려하면 제조비용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실시예는 각각의 링크부(1231c)가 경사지게 절곡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링크부(1231c)는 축방향 투영시 원주방향 양쪽 측면이 서로 평행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를 연결하는 외주측 길이와 내주측 길이가 동일하게 되면서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의 외측측 높이와 내주측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링크부(1231c)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 사이의 간격(Δh)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링크부(1231c)의 기울기(α)는 링크부(1231c)의 축방향 높이(h)를 결정하고, 링크부(1231c)의 축방향 높이(h)는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 사이의 간격(Δh)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부(1231c)의 기울기(α)는 가능한 한 크게 형성되는 것이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 사이의 간격(Δh)을 최대한으로 확장할 수 있다.
그러면, 자성체인 관성코어(1232)가 회전자코어(1221)에 삽입된 영구자석(1222)으로부터 그만큼 멀어지게 되어 관성코어(1232)를 통한 자속누설을 억제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 사이의 간격(Δh)은 절연간격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부(1231c)의 기울기(α)는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 사이의 절연간격(링크부의 높이, 연결부의 높이, 비자성체 높이)(Δh)이 후술할 관성코어(1232)의 축방향 길이(두께)(t)보다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고정자코일(1212)의 내주면보다 반경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는 관성코어(1232)가 고정자코어(1211)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코일(1212)과 간섭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후술할 관성코어(1232)가 고정자코일(1212)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절연간격(Δh)이 관성코어(1232)의 두께(t)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관성코어(1232)는 영구자석(1222)으로부터 적정한 절연간격(Δh)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자속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아래는 비자성체인 연결부(1231)의 높이별 무부하 역기전력(BEMF, Back Electromotive Force)의 변화를 보인 실험표이다. 도 9는 이를 보인 그래프이다.
비자성체 높이(mm) 역기전력 감소율(%)
0 34.44 74.3
1 44.05 95.0
2 44.95 97.0
3 45.76 98.7
4 46.01 99.3
5 46.04 99.3
6 46.17 99.6
위의 [표 1]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의 높이가 4mm인 경우 역기전력의 감소율이 대략 0.7% 정도가 되지만, 비자성체의 높이가 5mm가 되면 역기전력의 감소율이 대략 1.3%로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비자성체인 연결부(1231)의 높이(절연간격)(h)는 자성체인 관성코어(1232)의 두께(t)보다 작거나 같되 대략 4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자속누설을 억제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부(1231c)의 기울기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단면에 대해 대략 20°보다 크거나 같고 90°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가 얇은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됨에 따라, 연결부(1231)에서의 횡단면적이 회전자코어(1221)의 횡단면적보다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부(1231)의 외측과 내측 사이가 연통되어 회전자코어(1221)와 관성코어(1232)의 사이에는 유체통로(F)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자(122)가 회전을 할 때 연결부(1231)의 주변유체가 유체통로(F)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회전자(122)의 회전시 연결부(1231) 및 관성코어(1232)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유체저항을 줄여 모터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1231c)는 축방향 투영시 원주방향 양쪽 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됨에 따라, 도 8과 같이 링크부(1231c)는 축방향 투영시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가 회전자(122)와 함께 회전을 할 때 링크부(1231c)에서의 유체저항을 낮춰 모터효율의 저하를 더욱 효과적으로 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부(1231a)와 링크부(1231c) 사이, 링크부(1231c)와 제2고정부(1231b)의 사이에는 각각 절곡선부(1231d)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선부(1231d)는 앞서 설명한 제1고정부(1231a) 또는 제2고정부(1231b)의 각 양단을 이루는 제1직선단부(1231a3) 또는 제2직선단부(1231b3)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링크부(1231c)는 제1직선단부(1231a3) 또는 제2직선단부(1231b3)를 이루는 절곡선부(1231d)를 중심으로 제1고정부(1231a) 또는 제2고정부(1231b)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곡선부(1231d)에는 그 절곡선부(1231d)에서의 응력집중에 대한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1231d1)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1231d)는 절곡선부(1231d)의 중앙에서 링크부(1231c)가 절곡되는 방향, 즉 절곡선부(1231d)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자코어(1221)에 관성코어(1232)를 체결할 때 발생되는 체결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얇은 링크부(1231c)가 좌굴되거나 또는 회전자(122)의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링크부(1231c)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곡선부(1231d)에서의 강성을 높여 연결부(123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보강리브(1231d1)는 절곡선부(1231d)를 원주방향으로 통과하여 일단은 제1고정부(1231a) 또는 제2고정부(1231b)에 연결되고 타단은 링크부(1231c)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231)는 얇은 판재를 프레싱 가공하여 파형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강리브(1231d1)는 연결부(1231)를 프레싱 가공하면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리브(1231d1)는 절곡선부(1231d)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쪽으로 눌려져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연결부(1231)가 스테인레스와 같이 소성(Plasticity)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가능한 것으로, 보강리브(1231d1)는 연결부의 소재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231)가 플라스틱과 같이 탄성(Elasticity)을 가지는 경우에는 절곡선부(1231d)의 외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되 절곡선부(1231d)의 내측면으로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리브(1231d1)는 절곡선부(1231d)의 중앙에 형성되고, 보강리브(1231d1)의 폭방향 길이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절곡선부(1231d)의 폭방향 길이보다 대략 절반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강도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1232)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부(1231)의 제2고정부(1231b) 상면에 지지되어 결합될 수 있다.
관성코어(123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성코어(1232)는 강(steel)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성코어(1232)는 전체가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저렴하면서도 밀도가 높아 관성코어(1232)의 단면적 대비 회전관성(관성모멘트)을 높일 수 있다.
관성코어(1232)는 본체부(1232a)의 중앙에 축수부관통구멍(1232b)이 형성될 수 있다. 축수부관통구멍(1232b)은 메인베어링(141)의 축수부(1413)가 축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구멍으로, 축수부관통구멍(1232b)의 중심은 회전축(130)의 회전중심(회전자의 회전중심)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성코어(1232)의 본체부(1232a)는 회전자(122)의 회전시 반경방향을 따라 동일한 원심력을 발생할 수 있다.
축수부관통구멍(1232b)은 한 개의 내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를 선조립한 후 연결부(1231)를 회전자코어(1221)에 후조립하는 경우에는 축수부관통구멍(1232b)의 주변부에 의해 연결부(1231)의 제2체결구멍(1231a4)과 회전자코어(1221)의 제1체결구멍(1221c)이 가려지게 되고, 그러면 제1체결부재(1241)를 관성코어(1232)쪽에서 회전자코어(1221)쪽으로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축수부관통구멍(1232b)의 내주면에 체결부재삽입홈(1232c)이 반경방향으로 함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삽입홈(1232c)은 축방향 투영시 연결부(1231)의 제2체결구멍(1231a4) 및 회전자코어(1221)의 제1체결구멍(1221c)과 동일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를 선조립한 후 연결부(1231)를 회전자코어(1221)에 후조립할 때 제1체결부재(1241)가 체결부재삽입홈(1232c)을 통해 관성코어(1232)쪽에서 회전자코어(1221)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관성코어(1232)의 본체부(1232a)에는 제4체결구멍(1232d)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체결구멍(1232d)은 축수부관통구멍(1232b)의 주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체결구멍(1232d)은 체결부재삽입홈(1232c)과 동일원주상에 형성되되, 체결부재삽입홈(1232c)과 중첩되지 않도록 그 체결부재삽입홈(1232c)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체결구멍(1232d)은 제3체결구멍(1231b4)과 동일축선상에 형성되어 그 제4체결구멍(1232d)과 제3체결구멍(1231b4)을 통과하는 제2체결부재(1242)에 의해 연결부(1231)와 관성코어(1232)가 체결될 수 있다.
제4체결구멍(1232d)은 제1체결구멍(1221c)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관성코어(1232)의 제4체결구멍(1232d)은 연결부(1231)의 제3체결구멍(1231b4)과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관성코어(1232)는 가능한 한 넓게 형성되는 것이 원심력을 높일 수 있어 회전관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관성코어(1232)의 외경은 고정자(121)와 회전자(122) 사이의 공극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관성코어(1232)의 외경(D2)은 고정자코일(정확하게는 고정자코어(1211)의 상단에 환형으로 감기는 코일뭉치)(1212)의 내경(D3)보다 크게 형성되어 관성코어(1232)의 일부가 고정자코일(1212)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성코어(1232)의 외경(D2)은 회전자코어(1221)의 외경(D4)보다 현저하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연결부(1231)의 외경(D1)은 관성코어(1232)의 외경(D2)보다 작고, 회전자코어(1221)의 외경(D4)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성코어(1232)의 두께(t)를 최대한 얇게 형성하여 그 관성코어(1232)가 영구자석(1222)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지게 함으로써 영구자석(1222)의 자속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관성코어(1232)의 외경(D2)을 가능한 한 확대하여 관성코어(1232)의 원심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성코어(1232)의 회전관성을 높임으로써 전동기를 소형화하면서도 모터효율 및 압축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1232)의 부피는 연결부(1231) 및 관성코어(1232)를 제외한 회전자(122)의 회전관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자(122)와 연결부(1231) 및 관성코어(123)를 포함한 회전체의 회전관성은 압축기의 효율과 관련이 있다. 회전체의 회전관성이 너무 낮거나 반대로 너무 높으면 압축기의 효율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관성은 적정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압축기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 경우, 회전자(122)의 회전관성은 전동기(120)의 크기(용량)에 의해 미리 결정되므로, 관성코어(또는 연결부를 포함한)(1232)의 회전관성은 적정회전관성에서 회전자(122)의 회전관성을 뺀 값이 될 수 있다.
도 10은 관성코어를 포함한 회전자의 회전관성에 대한 압축기 효율을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x축은 관성코어(또는 연결부를 포함한)(1232)의 회전관성을 회전자의 회전관성으로 나눈 비율을, y축은 압축기 효율을 각각 보이고 있다. 이 경우 관성코어(1232)의 회전관성은 회전자(122)의 회전관성보다 크게 형성되되, 관성코어(1232)의 회전관성을 회전자(122)의 회전관성으로 나눈 비율은 대략 110~300%의 범위에 해당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되어 관성코어를 지지하는 부위가 회전자코어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부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되면서도 관성코어를 지지하는 부위가 회전자코어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조립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관성코어(1232)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231)는 파형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성코어(1232)는 환형으로 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231)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수개씩의 제1고정부(1231a), 제2고정부(1231b), 링크부(1231c)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는 각각의 링크부(1231c)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1231a)는 회전자코어(1221)에, 제2고정부(1231b)는 관성코어(1232)에 각각 지지되고, 링크부(1231c)는 경사지게 절곡되어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 그리고 링크부(1231c)의 기본적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1고정부(1231a) 또는/및 제2고정부(1231b)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부(1231e)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스부(1231e)는 연결부(1231)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관성코어(1232)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다만 관성코어(1232)는 자성체이므로 보스부(1231e)가 관성코어(1232)에서 연장되면 자성체를 이루는 보스부가 영구자석(1222)에 인접하게 되어 자속누설이 촉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보스부(1231e)는 비자성체인 연결부(1231)에서 연장되는 것이 자속누설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보스부(1231e)는 제1고정부(1231a)에서 관성코어(1232)를 향해 연장되거나 또는 제2고정부(1231b)에서 회전자코어(122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부(1231e)가 제1고정부(1231a)와 제2고정부(1231b)에서 각각 연장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스부(1231e)는 연결부(1231)의 제1고정부(1231a) 및 제2고정부(1231b)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스부(1231e)의 내부에는 제5체결구멍(1231e1)이 각각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5체결구멍(1231e1)은 회전자코어(1221)의 제1체결구멍(1221c), 제1고정부(1231a)의 제2체결구멍(또는 제2고정부의 제3체결구멍)(1231a1), 관성코어(1232)의 제4체결구멍(1232d)과 동일축선상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1231e)의 길이는 링크부(1231c)의 높이, 즉 연결부(1231)의 높이에서 제1고정부(또는 제2고정부)(1231a)의 두께를 뺀 값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231a)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보스부(1231e)의 상단은 제2고정부(1231b)의 상면과, 제2고정부(1231b)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보스부(1231e)의 하단은 제1고정부(1231a)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이룰 수 있다.
관성코어(1232)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관성코어(1232)는 연결부(1231)의 보스부(1231e)마다 제5체결구멍(1231e1)이 형성됨에 따라, 관성코어(1232)의 중심에는 원형으로 된 축수부관통구멍(123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231)에 보스부(1231e)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보스부(1231e)가 연결부(1231)를 회전자코어(1221)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부(1231)가 좌굴되는 것을 억제하여 연결부(1231) 및 관성코어(1232)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연결부(1231)가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연결부(1231)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성코어(1232)의 상단에서 회전자코어(1221)의 하단까지 관통하는 제3체결부재(1243)에 의해 관성코어(1232)를 회전자코어(1221)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제3체결부재(1243)의 체결시 발생되는 체결력으로 인해 연결부(1231)가 좌굴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1231)가 비금속인 경우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1231)에 보스부(1231e)가 형성되면 제3체결부재(1243)가 회전자코어(1221)와 관성코어(1232)의 축방향 전체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경우에도 그 체결부재(1243)의 체결시 연결부(1231)가 좌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에는 관성코어(1232)의 내주면을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관성코어(1232)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외경 대비 관성코어(1232)의 무게가 증가하여 회전관성을 높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제3체결부재(1243)가 관성코어(1232)와 연결부(1231)를 모두 통과하여 회전자코어(1221)에 체결됨으로써 회전자코어(1221)와 관성코어(1232)를 동일한 제3체결부재((1243)로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자코어(1221)와 관성코어(1232)의 체결작업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보스부(1231e)가 연결부(1231)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도 주변의 링크부(1231c)와 이격됨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1231)의 링크부(1231c) 사이에는 유체통로(F)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자(122)에 관성코어(1232)를 설치하면서도 연결부(1231) 및 관성코어(1232)로 인해 회전자(122)가 회전할 때 발생되는 유체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스부는 연결부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앞서 설명한 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관성코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가 환형으로 형성되되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부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관성코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조립정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관성코어(123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복수 개의 지지보스(1231f)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보스(1231f)는 연결리브(1231g)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보스(1231f)는 도 8과 같이 제1고정부(1231a)와 동일한 단면적 또는 이와 유사한 정도의 단면적을 가지며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개의 지지보스(1231f)가 회전자코어(1221)에서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자석장착구멍(1221b)에 삽입된 두 개의 영구자석(1222)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보스(1231f)는 그 내부에 제5체결구멍(1231f1)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5체결구멍(1231f1)은 회전자코어(1221)의 제1체결구멍(1221c) 및 관성코어(1232)의 제4체결구멍(1232d)과 동일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자코어(1221)의 제1체결구멍(1221c), 지지보스(1231f)의 제5체결구멍(1231f1) 및 관성코어(1232)의 제4체결구멍(1232d)을 통과하는 긴 제3체결부재(1243)에 의해 관성코어(1232)가 회전자코어(1221)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보스(1231f)의 축방향 길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성코어(1232)가 회전자코어(1221)로부터 적정한 절연간격(h)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자성체로 된 연결부(1231)에 의해 회전자코어(정확하게는 영구자석)(1221)에서 관성코어(1232)로의 자속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연결리브(1231g)는 각각의 지지보스(1231f)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각 지지보스(1231f)의 하단 또는 상단 외주면에서 다른 지지보스(1231f)의 하단 또는 상단 외주면을 향해 연장되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지지보스(1231f)가 서로 연결되어 연결부(1231)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관성코어(1232)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관성코어(1232)는 연결부(1231)의 보스부(1231e)마다 제5체결구멍(1231e1)이 형성됨에 따라, 관성코어(1232)의 중심에는 원형으로 된 축수부관통구멍(123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지지보스(1231f)로 형성됨에 따라, 관성코어(1232)를 회전자코어(1221)에 체결할 때 그 체결력에 의해 연결부(1231)가 좌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1231)가 복수 개의 지지보스(1231f)로 형성됨에 따라, 연결부(1231)의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부(1231)를 이루는 지지보스(1231f)의 사이에는 유체통로(F)가 형성됨에 따라 회전자(122)에 연결부(1231)를 설치하면서도 그 회전자(122)가 회전할 때 발생되는 유체저항을 줄여 모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 개의 지지보스는 연결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비자성체의 사용량을 더 낮추고 유체통로의 면적을 더 넓힐 수 있다.
한편, 관성코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연결부는 비자성체로, 관성코어는 자성체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부와 관성코어가 모두 자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은 관성코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조립정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Ⅳ-Ⅳ"선단면도이고, 도 18은 관상코어와 영구자석의 중첩면적비에 따른 역기전력의 감소율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1232)는 보스부로 된 연결부(123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231)는 본체부를 이루는 관성코어(1232)의 하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는 관성코어(1232)와 동일한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31)는 한 개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연결부(1231)와 영구자석(1222)이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증가하면서 자속누설도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관성코어(1232)에서 연장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부(1231)는 도 8과 같이 제1고정부(1231a)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가능한 한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제1고정부(1231a)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연결부(1231)는 회전자코어(1221)의 자석장착구멍(1221b)에 삽입된 영구자석(1222)의 축방향 단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개의 연결부(1231)의 중심은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영구자석(1222)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쪽 영구자석(1222)을 동시에 커버하면서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부(1231)에는 제6체결구멍(123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연결부(1231)에는 제6체결구멍(1231h)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6체결구멍(1231h)은 연결부(1231)의 하단에서 관성코어(1232)의 상면까지 동일축선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31)를 포함한 관성코어(1232)는 상단에서 회전자코어(1221)의 하단까지 관통되는 긴 제3체결부재(1243)에 의해 회전자코어(12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회전자코어(1221)는 제3체결부재(1243) 및 그 제3체결부재(1243)의 원주방향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길이의 제1체결부재(1241)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부(1231)는 서로 동일한 축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231)의 축방향 길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관성코어(1232)가 회전자코어(1221)로부터 적정한 절연간격(h)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자속누설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체로 형성됨에 따라, 자속의 회전자코어(1221)에 삽입된 영구자석(1222)으로부터 연결부(1231)를 통해 누설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31)는 도 17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영구자석(1222)의 끝단을 한 개의 연결부(1231)가 걸쳐 두 개의 영구자석(1222)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성체인 연결부(1231)가 영구자석(1222)과 중첩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자속누설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영구자석(1222)의 단면적을 A1이라고 하고, 영구자석(1222)과 중첩되는 연결부(1231)의 단면적을 A2라고 할 때, A2/A1은 대략 60%이하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A2/A1이 대략 60%이상이 되면 역기전력의 감소율이 1%이상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A2/A1은 대략 60%이하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역기전력의 감소율을 1%이하로 관리하여 모터효율 및 압축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관성코어(1232)는 앞서 설명한 앞서 설명한 도 3 또는 도 13의 실시예들과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관성코어(1232)는 연결부(1231)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관성코어(1232)는 자성체이면서 연결부(123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스부로 된 한 개의 연결부(1231)를 이용하여 두 개의 영구자석(1222)을 동시에 축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연결부(1231)를 자성체로 형성하면서도 그 연결부(1231)와 영구자석(1222)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 자속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역기전력의 감소율을 낮춰 모터효율 및 압축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스부로 된 연결부(1231)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복수 개의 영구자석(12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자코어(1221)와 관성코어(1232)의 사이에 넓은 유체통로(F)를 확보하여 유체저항을 낮춤으로써 모터효율 및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관성코어가 중심부와 가장자리부의 두께가 동일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중심부와 가장자리부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는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성코어(1232)는 환형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에 질량부(1232e)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성코어(1232)는 환형으로 된 본체부(1232a)의 상면 가장자리에 질량부(1232e)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질량부(1232e)는 도 19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질량부(1232e)의 외경은 본체부(1232a)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질량부(1232e)의 내경은 본체부(1232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질량부(1232e)는 평면상에서 본체부(1232a)의 가장자리쪽에 집중되어 질량부(1232e)로 인한 원심력이 향상될 수 있다.
질량부(1232e)는 본체부(1232a)에서 단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질량부(1232e)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부(1232e)는 본체부(1232a)의 상면에 조립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접거나 말아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질량부는 편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질량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질량부는 일종의 밸런스웨이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질량부가 편심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회전축에 구비되어 밸런스웨이트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부 등 전동기의 불평형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성코어(1232)의 본체부(1232a)에 질량부(1232e)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관성코어(1232)의 외경이 동일한 조건에서 그 관성코어(1232)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성코어(1232)의 회전관성을 높여 전동기의 모터효율 및 압축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관성코어가 회전자코어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관성코어가 회전자코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0은 회전자코어와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조립정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122)를 이루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일단에는 관성코어(125)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자코어(1221)는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관성코어(125)는 제1관성코어(1251), 제2관성코어(1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성코어(1251)와 제2관성코어(1252) 중에서 어느 한쪽은 회전자코어(1221)와 동일한 소재 및 동일한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회전자코어(1221)에 결합되는 제1관성코어(1251)가 회전자코어(1221)와 동일한 소재 및 동일한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관성코어(1251)의 중앙에는 회전자코어(1222)의 축구멍(미도시)에서 연장되는 관통구멍(1251a)이 형성되고, 관통구멍(1251a)의 둘레를 따라 체결구멍(125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관성코어(1251)의 체결구멍(1251b)은 회전자코어(1221)의 체결구멍(미도시)과 동일축선상에 형성되며, 후술할 제2관성코어(1252)의 체결구멍(1252d)과도 동일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관성코어(1251)는 제2관성코어(1252)의 상단에서 회전자코어(1221)의 하단까지 관통되는 긴 제3체결부재(1243)에 의해 제2관성코어(1252)와 함께 회전자코어(1221)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제1관성코어(1251)는 회전자코어(1221)와 같이 다수 장의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관성코어(1251)는 회전자코어(1221)와 같은 자성체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관성코어(1251)는 회전자코어(1221)에 삽입된 영구자석(1222)과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길이는 고정자코어(1121)의 축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고정자코어(1121)의 범위내에 위치하고, 제1관성코어(1251)는 고정자코어(1121)의 축방향 범위밖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관성코어(1251)는 영구자석(1222)의 단부에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영구자석(1222)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관성코어(1251)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상측에 위치하되, 반경방향으로는 영구자석(1222)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1관성코어(1251)의 외측면, 구체적으로는 회전자코어(1221)에 접하는 제1관성코어(1251)의 가장 최외곽 전기강판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영구자석(1222)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자석지지돌기(1252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관성코어(1251)는 영구자석(1222)보다 내측에 위치하면서도 자석지지돌기(1252c)를 이용하여 영구자석(1222)의 축방향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관성코어(1251)는 영구자석(1222)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 예를 들어 후술할 제2관성코어(1252)의 두께보다 크(길)거나 또는 적어도 4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구자석(1222)로부터 후술할 제2관성코어(1252)로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관성코어(1252)는 회전자코어(1221)의 상면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관성코어(1252)는 회전자코어(1221)를 관통하는 제3체결부재(1243)에 의해 제1관성코어(1251)에 체결되거나 또는 용접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관성코어(1251)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 외 제1관성코어(1251)와 형합되어 결합되는 등 제2관성코어(1252)가 회전자코어(1221)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면 족하다. 본 실시예는 제2관성코어(1252)가 회전자코어(1221)에 체결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관성코어(1252)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의 관성코어와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2관성코어(1252)의 본체부(1252a)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심에는 축구멍(1252b)이, 축구멍(1252b)의 주변에는 복수 개의 체결구멍(1252d)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관성코어(1252)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역시 자성체인 제1관성코어(1251)에 결합됨에 따라, 영구자석(1222)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이 촉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관성코어(1251)는 영구자석(1222)과 중첩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1관성코어(1251)의 축방향 높이를 가능한 한 크게, 예를 들어 역기전력의 감소율이 1%미만인 4mm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관성코어(1251)와 제2관성코어(1252)가 각각 자성체로 형성되면서도 영구자석(1222)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관성코어(1252)의 외경은 회전자코어(12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자코일(1212)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관성코어(1252)의 원심력이 증가되어 회전자(122)의 회전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코어(1221)와 제1관성코어(1251)의 사이, 제1관성코어(1251)와 제2관성코어(1252)의 사이에는 비자성체로 된 절연패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제1관성코어(1251)의 축방향 길이가 영구자석(1222)으로부터의 자속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예를 들어, 4mm 이상)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관성코어(1252)는 영구자석(1222)으로부터 적정한 절연간격을 확보할 수 있어 절연패드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패드의 두께는 제2관성코어(1252)의 두께보다 현저하게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비자성체의 과사용으로 인한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관성코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관성코어가 제1관성코어와 제2관성코어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3관성코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2는 회전자코어와 관성코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조립하여 보인 정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코어(1221)는 앞서 설명한 도 20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시예에 따른 관성코어(125)는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일단(예를 들어 하단)에 구비되는 제1관성코어(1251)와 제2관성코어(1252) 및 회전자코어(1221)의 축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제3관성코어(1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성코어(1251)와 제2관성코어(1252)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도 20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특히 제1관성코어(1251)는 회전자코어(1221)와 같이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도 20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관성코어(1252)는 도 20의 실시예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관성코어(1252)의 외경은 회전자코어(122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질량부(1252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질량부(1252a)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3관성코어(1253)의 질량부(1253a)와 반대방향으로 편심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관성코어(1253)는 회전자코어(1221)의 상단에 결합되되, 회전자코어(1221)에 삽입된 영구자석(미도시)의 축방향 일단을 커버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관성코어(1253)는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자력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3관성코어(1253)는 제2관성코어(1252)와 대략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관성코어(1253)는 그 외경이 회전자코어(122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관성코어(1253)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비자성체를 사용량을 낮춰 전동기에서 관성코어(125)에 대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관성코어(1253)는 원호형상으로 편심진 질량부(125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관성코어(1253)의 질량부(1253a)는 제2관성코어(1252)의 질량부(1252a)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편심질량이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30)을 통해 전달되는 불평형력이 제2관성코어(1252)와 제3관성코어(1253)에 의해 효과적으로 상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자코어(1221)의 일단에는 제1관성코어(1251) 및 제2관성코어(1252)가, 타단에는 제3관성코어(1253)가 각각 장착됨에 따라, 전동기가 소형화되더라도 회전자의 회전관성이 증가되어 모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10: 쉘 110a: 내부공간
110b: 저유공간 111: 하부쉘
112: 상부쉘` 115: 흡입파이프
116: 토출파이프 120: 전동부
121: 고정자 1211: 고정자코어
1212: 고정자코일 1213: 인슐레이터
122: 회전자 1221: 회전자코어
1221a: 축구멍 1221b: 자석장착구멍
1221c: 제1체결구멍 1222: 영구자석
1231: 제1관성코어 1231a: 제1고정부
1231a1: 제1내측원호단부 1231a2: 제1외측원호단부
1231a3: 제1직선단부 1231a4: 제2체결구멍
1231b: 제2고정부 1231b1: 제2내측원호단부
1231b2: 제2외측원호단부 1231b3: 제2직선단부
1231b4: 제3체결구멍 1231c: 링크부
1231d: 절곡선부 1231d1: 보강리브
1231e: 보스부 1231e1: 제5체결구멍
1231f: 지지보스 1231f1: 제5체결구멍
1231g: 연결리브 1231h: 제6체결구멍
1232: 관성코어 1232a: 본체부
1232b: 축수부관통구멍 1232c: 체결부재삽입홈
1232d: 제2관통구멍 1232e: 질량부
1232f: 축구멍 1241: 제1체결부재
1242: 제2체결부재 1243: 제3체결부재
125: 관성코어 1251: 제1관성코어
1251a: 자석지지돌기 1252: 제2관성코어
1252a: 본체부 1252b: 축수부관통구멍
1252d: 제2관통구멍 1253: 제3관성코어
1253a: 질량부 130: 회전축
131: 주축부 132: 플레이트부
133: 편심축부 140: 압축부
141: 메인베어링 141a: 압축실
1411: 프레임부 1412: 고정돌부
1413: 축수부 1413a: 축수구멍
1415: 실린더부(실린더) 142: 피스톤
143: 커넥팅로드 150: 흡토출부
151: 밸브조립체 1511: 밸브플레이트
1511a: 흡입구 1511b: 토출구
1512: 흡입밸브 1513: 토출밸브
1514: 밸브스토퍼 1515: 토출커버
152: 흡입머플러 153: 토출머플러
160: 지지부 161: 지지스프링
162: 제1스프링캡 163: 제2스프링캡
C: 압축기본체 F: 유체통로
h: 연결부 높이 t: 제2관성코어의 두께
Δh: 절연간격(제1관성코어 높이,비자성체 높이)
α: 연결부의 기울기

Claims (22)

  1. 고정자코어, 상기 고정자코어에 권선되는 고정자코일을 구비한 고정자;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자코어, 상기 회전자코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구비한 회전자;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코어의 축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축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관성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자코어의 축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고정부;
    상기 복수 개의 제1고정부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관성코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고정부;
    상기 복수 개의 제1고정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고정부에서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를 단일체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링크부를 포함하는 전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회전자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관성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축방향 투영시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되는 전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제1내측원호단부와 제1외측원호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원호단부의 양단과 이를 마주보는 상기 제1외측원호단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직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는,
    제2내측원호단부와 제2외측원호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내측원호단부의 양단과 이를 마주보는 상기 제2외측원호단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직선단부를 포함하는 전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단부와 상기 제2직선단부는 상기 링크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전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영구자석의 적어도 일부를 축방향으로 커버하는 전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원주방향 중심부는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영구자석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의 사이,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의 사이에는 각각 절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선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는 쪽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전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경사방향은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서로 반대방향인 전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자코어의 단부면에 대해 기설정된 경사각만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각은 20도보다는 크거나 같고 90도보다는 작은 전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높이는 상기 관성코어의 두께보다 크거나 또는 4mm 이상인 전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관성코어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2고정부에서 상기 회전자코어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의 단부는 상기 관성코어 또는 상기 회전자코어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전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코어는 그 외경이 상기 연결부의 외경보다 큰 판체로 형성되는 전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코어의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구비된 환형으로 형성되는 전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코어는,
    상기 영구자석의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체결구멍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제1체결구멍과 각각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회전자코어에 체결되는 전동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에는 제3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성코어에는 상기 제3체결구멍과 대응하는 제4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관성코어에 체결되는 전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코어에는 상기 관통구멍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4체결구멍과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형성되는 전동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코어는 축방향 양쪽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질량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성코어의 내주측 두께보다 외주측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전동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보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동기.
  21. 쉘;
    상기 쉘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및
    상기 쉘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동기;를 포함하는 밀폐형 압축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피스톤; 및
    일단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를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
KR1020200183451A 2020-12-24 2020-12-24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KR102522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51A KR102522993B1 (ko) 2020-12-24 2020-12-24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EP21207465.2A EP4020779B1 (en) 2020-12-24 2021-11-10 Electric motor and hermetic compressor having the same
US17/524,938 US11863021B2 (en) 2020-12-24 2021-11-12 Electric motor and hermetic compressor having the same
CN202111564758.4A CN114678985B (zh) 2020-12-24 2021-12-20 电动机以及包括该电动机的密闭型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51A KR102522993B1 (ko) 2020-12-24 2020-12-24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067A true KR20220092067A (ko) 2022-07-01
KR102522993B1 KR102522993B1 (ko) 2023-04-18

Family

ID=7859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451A KR102522993B1 (ko) 2020-12-24 2020-12-24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63021B2 (ko)
EP (1) EP4020779B1 (ko)
KR (1) KR102522993B1 (ko)
CN (1) CN114678985B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7845A (ja) 2004-04-21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KR20070055960A (ko) 2005-11-28 2007-05-3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로터리 압축기
KR20070071407A (ko) * 2005-12-30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KR20100081815A (ko) * 2009-01-07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기기
KR20130094658A (ko) * 2012-02-16 2013-08-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JP2017082684A (ja) * 2015-10-28 2017-05-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動圧縮機
JP6680779B2 (ja) * 2015-06-17 2020-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20148109A (ja) * 2019-03-12 2020-09-1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圧縮機及び圧縮機を有する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505A (ja) * 1998-10-09 2000-04-28 Sankyo Seiki Mfg Co Ltd モータ
JP2001304121A (ja) * 2000-04-25 2001-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圧縮機
JP4655653B2 (ja) 2005-02-03 2011-03-23 国産電機株式会社 フライホイール磁石発電機
JP5623147B2 (ja) 2010-06-14 2014-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外転型回転電機
JP2012095401A (ja) 2010-10-25 2012-05-17 Yaskawa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回転子及び回転電機
CN102655363B (zh) 2011-03-02 2014-11-26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旋转电机
JP2017212867A (ja) * 2016-05-19 2017-11-3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埋込磁石型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圧縮機
CN110326190B (zh) 2017-03-03 2022-08-19 三菱电机株式会社 转子、电动机、压缩机及送风机
WO2019164303A1 (ko) 2018-02-23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구비한 리니어 압축기
CN207910610U (zh) * 2018-03-20 2018-09-25 安徽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转子组件、电机及压缩机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7845A (ja) 2004-04-21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KR20070055960A (ko) 2005-11-28 2007-05-3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로터리 압축기
KR20070071407A (ko) * 2005-12-30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KR20100081815A (ko) * 2009-01-07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기기
KR20130094658A (ko) * 2012-02-16 2013-08-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JP6680779B2 (ja) * 2015-06-17 2020-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7082684A (ja) * 2015-10-28 2017-05-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動圧縮機
JP2020148109A (ja) * 2019-03-12 2020-09-1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圧縮機及び圧縮機を有する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63021B2 (en) 2024-01-02
EP4020779B1 (en) 2023-03-08
KR102522993B1 (ko) 2023-04-18
US20220209597A1 (en) 2022-06-30
CN114678985B (zh) 2023-05-23
CN114678985A (zh) 2022-06-28
EP4020779A1 (en)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4250B2 (en) Oil discharge preventing apparatus of scroll compressor
US8899947B2 (en) Compressor
US9429156B2 (en) Compressor
EP2659142B1 (en) Compressor
US8905734B2 (en) Compressor
JP4195389B2 (ja) 往復動式圧縮機
US11781546B1 (en) Scroll compressor
KR102522993B1 (ko)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EP4015820B1 (en) Elastic body and linear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KR100615798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이너스테이터 고정구조
KR101139086B1 (ko) 압축기
KR101932049B1 (ko)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압축기
KR20210090493A (ko) 전동식 압축기
CN216077504U (zh) 密闭式压缩机
KR101105967B1 (ko) 컴팩트형 압축기
KR102424318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2172260B1 (ko) 구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CN112628117B (zh) 线性压缩机
US20230304496A1 (en) Scroll compressor
KR20090041652A (ko) 리니어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JP2024033812A (ja) 電動機および圧縮機
KR20230147336A (ko) 구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JPWO2020208777A1 (ja) 圧縮機、及び、圧縮機用電動機
KR20090012860A (ko) 로터리식 2단 압축기
KR20090041733A (ko) 리니어 압축기의 스테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