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849A - 원터치 삼각대 - Google Patents

원터치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849A
KR20220091849A KR1020200182988A KR20200182988A KR20220091849A KR 20220091849 A KR20220091849 A KR 20220091849A KR 1020200182988 A KR1020200182988 A KR 1020200182988A KR 20200182988 A KR20200182988 A KR 20200182988A KR 20220091849 A KR20220091849 A KR 20220091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touch
sign
present
clam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528B1 (ko
Inventor
양미주
Original Assignee
양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미주 filed Critical 양미주
Priority to KR1020200182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5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삼각대에 대한 것으로, 양측에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 베이스, 베이스의 외곽면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하고, 나선형의 와이어를 구비한 몸체부, 일측이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표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를 차량 상부에 부착시키고, 클램핑 수단을 개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삼각대 {One touch warning sign}
본 발명은 원터치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타고 도로를 주행하는 중 차량 이상으로 자동차가 도로에서 멈추거나, 다른 차량과 추돌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도로 위에 차량이 멈춰 있는 경우, 주행하는 차량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도로 주행 중 사고가 나거나 차량이 고장나면, 2차 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삼각대를 설치한다. 후행하는 차량에 사고를 알리기 위하여 삼각대는 사고 지점에서부터 100~200m 후방에 설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도로에서, 특히 고속 도로의 경우 삼각대를 100~200m 후방에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삼각대 설치 중 2차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삼각대의 시인성이 떨어져 후행하는 차량이 삼각대를 늦게 발견하거나 미처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으로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는 삼각대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멀리서도 눈에 잘 띄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삼각대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제10-1344470호 (명칭: 차량용 사고 알림 경보등을 갖는 조립식 삼각대)
본 발명은 안전하고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원터치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는 베이스, 몸체부, 표지판을 포함한다. 베이스는 양측에 클램핑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는 베이스의 외곽면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하고, 나선형의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표지판은 일측이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에서 베이스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는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는 표지판의 일측에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터치 삼각대는 클램핑 수단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어 삼각대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표지판과 몸체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표지판과 몸체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표지판과 몸체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에서 클램핑 수단이 집게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의 몸체부에 개구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삼각대(1000)는 베이스(1100), 몸체부(1200), 표지판(1300)을 포함한다. 베이스(1100)는 링 또는 원판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1100)는 원터치 삼각대(1000)의 설치 상태에서도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무거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1100)는 자석으로 형성된다. 베이스(1100)는 차량 상부 등 금속체 위에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1100)의 양측으로 클램핑 수단(1110)이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 수단(1110)은 원터치 삼각대(10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원터치 삼각대(1000)를 측면에서 고정하여, 원터치 삼각대(100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클램핑 수단(1110)이 해제되면 원터치 삼각대(1000)가 펼쳐지면서 설치된다.
몸체부(1200)는 베이스(1100)의 외곽면과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하는 원통 형태이다. 몸체부(1200)는 패브릭, 비닐, 그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200)는 방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200)는 멀리서도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형광색이나 야광색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200) 내측으로 나선형의 와이어(1210)가 구비될 수 있다. 나선형의 와이어(1210)는 일단이 베이스(1100)에 접하며, 몸체부(12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나선형으로 전개되며, 몸체부(1200) 내측에 부착된다. 나선형의 와이어(1210)는 전체가 몸체부(1200) 내측에 부착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에서 연결 고리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와이어(1210)는 몸체부(1200)의 상측 둘레까지 전개된다.
와이어(1210)는 나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나선형 와이어(1210)의 압축에 의해 몸체부(1200)는 납작하게 접힐 수 있으며, 와이어(1210)가 복원되면서 몸체부(1200)는 원래의 높이로 돌아간다. 와이어(12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200)의 상부 일측에서 표지판(1300)이 연결된다. 표지판(1300)은 후방 차량에 교통 사고나 차량 고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지판(1300)은 주간 또는 야간에 멀리서도 잘 보이도록 반사판으로 형성되거나, LED가 장착될 수도 있다.
표지판(1300)은 몸체부(1200) 일측에 힌지 연결되며, 보관시에는 몸체부(1200) 상부에서 몸체부(1200)와 일체로 접혀 있다가, 클램핑 수단(1210)을 해제하면 몸체부(1200)가 펴짐과 동시에 몸체부(1200)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으로 놓이게 된다. 표지판(1300)이 수직으로 놓이면서 후방에 주의 표시를 하게 된다.
표지판(1300)의 일측에는 고리(1320)가 구비될 수 있다. 원터치 삼각대(1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원터치 삼각대(1000)의 고리(132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삼각대(1000)는 클램핑 수단(1110)에 의해 접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와이어(1210)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위에서 누르면 스프링처럼 압축된다. 원터치 삼각대(1000)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원터치 삼각대(1000)를 상부에서 눌러 부피를 최소화하고, 클램핑 수단(1320)을 안쪽으로 접어 몸체부(1200)와 표지판(1300)을 일체로 고정시킨다. 클램핑 수단(1110)은 내구성을 위해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수단(1110)을 외측으로 개방하여 해제하면, 나선형 와이어(1210)에 의해 몸체부(1200)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펼쳐지게 된다. 표지판(1300)은 몸체부(120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며, 몸체부(1200)가 펴질 때 반동으로 상측으로 회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표지판과 몸체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표지판과 몸체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지판(1300)은 몸체부(1200)가 펼쳐질 때 상측으로 회동하여 몸체부(1200) 상부를 개방시킨다. 하지만, 표지판(1300) 자체의 무게 때문에 표지판(1300)이 다시 몸체부(1200) 측으로 회동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부(1200)와 표지판(1300)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거나, 스프링 또는 스트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1300)의 고리(1320)는 몸체부(1200)의 연결부(1220)에 끼워질 수 있다. 연결부(1220)는 몸체부(1200)에 형성된 작은 고리이거나, 몸체부(1200) 일부가 절개되어 표지판(1300)의 고리(1320)가 끼워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표지판(1300)이 몸체부(1200)와 일체로 접혀 있으면, 표지판(1300)과 연결부(1220)의 거리가 가까워 표지판(1300)이 자연스럽게 몸체부(1200)의 상부를 덮는다.
클램핑 수단(1110)이 해제되고 몸체부(1200)가 펼쳐지면, 표지판(1300)과 몸체부(1200)의 연결부(122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다. 몸체부(1200)가 펼쳐지면서 연결부(1220)와 고리(1320)의 접점은 고리(1320)의 하방으로 이동하고, 연결부(1220)와 고리(1320)의 접점이 작용점으로 작용하여 표지판(1300)이 상측으로 회동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1300)의 연결부(1310)와 몸체부(1200)의 연결부(1220)는 스프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지판(1300)이 몸체부(1200) 상부를 덮은 상태로 클램핑 수단(111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면, 몸체부(1200)가 접힌 상태이므로 표지판(1300)의 연결부(1310)와 몸체부(1200)의 연결부(1220) 사이의 길이가 짧아, 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있게 된다. 클램핑 수단(1110)이 해제되면, 표지판(1300)의 연결부(1310)와 몸체부(1200)의 연결부(122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표지판(1300)의 연결부(1310)가 몸체부(1200) 쪽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표지판(1300)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지판(1300)의 연결부(1310)와 몸체부(1200)의 연결부(1220)가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수단(1110)이 해제되면, 표지판(1300)은 몸체부(1200)가 펴질 때의 반동으로 상측으로 회동한다. 표지판(1300)의 연결부(1310) 및 몸체부(1200)의 연결부(1220)가 자석으로 형성되어, 연결부(1310)(1220)끼리 자력에 의해 부착되고, 이에 따라 표지판(1300)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표지판(1300)을 몸체부(1200)와 일체로 접어 고정시킬 때, 표지판(1300)의 연결부(1310)와 몸체부(1200)의 연결부(1220)는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에서 클램핑 수단이 집게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원터치 삼각대(1000)에서 클램핑 수단(1110)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2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동하며 몸체부(1200), 표지판(1300)을 고정시킬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수단(1110)이 집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수단(1110)이 집게로 형성되어, 손잡이 부분을 누름으로써 원터치 삼각대(1000)가 해제되고, 간단하게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다. 원터치 삼각대(1000)를 접을 때에도 표지판(1300)과 몸체부(1200)를 누른 후 집게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삼각대의 몸체부에 개구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몸체부(1200)에는 양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1230)가 형성될 수 있다. 원터치 삼각대(1000)가 설치되는 위치에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바람에 의해 원터치 삼각대(1000)가 밀려나거나 날아갈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터치 삼각대(1000)의 몸체부(1200)에 개구(1230)를 형성하여 바람에도 쉽게 날아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몸체부(1200)를 그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 원터치 삼각대 1100 : 베이스
1110 : 클램핑 수단 1200 : 몸체부
1210 : 와이어 1220 : 연결부
1230 : 개구 1300 : 표지판
1310 : 연결부 1320 : 고리

Claims (4)

  1. 양측에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곽면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하고, 나선형의 와이어를 구비한 몸체부; 및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표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삼각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삼각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삼각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의 일측에 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삼각대.
KR1020200182988A 2020-12-24 2020-12-24 원터치 삼각대 KR10252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988A KR102527528B1 (ko) 2020-12-24 2020-12-24 원터치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988A KR102527528B1 (ko) 2020-12-24 2020-12-24 원터치 삼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49A true KR20220091849A (ko) 2022-07-01
KR102527528B1 KR102527528B1 (ko) 2023-05-03

Family

ID=8239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988A KR102527528B1 (ko) 2020-12-24 2020-12-24 원터치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5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735Y1 (ko) * 1990-12-31 1993-07-2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예비타이어 권양기
KR20100088968A (ko) * 2009-02-02 2010-08-11 장명호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KR101344470B1 (ko) 2013-09-04 2013-12-24 허진 차량용 사고 알림 경보등을 갖는 조립식 삼각대
KR20150113431A (ko) * 2014-03-28 2015-10-08 우언택 차량용 경광등조립체
KR20150116145A (ko) * 2014-04-07 2015-10-15 이서영 차량용 안전 삼각대장치
KR20190138479A (ko) * 2018-06-05 2019-12-13 박영식 차량용 안전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735Y1 (ko) * 1990-12-31 1993-07-2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예비타이어 권양기
KR20100088968A (ko) * 2009-02-02 2010-08-11 장명호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KR101344470B1 (ko) 2013-09-04 2013-12-24 허진 차량용 사고 알림 경보등을 갖는 조립식 삼각대
KR20150113431A (ko) * 2014-03-28 2015-10-08 우언택 차량용 경광등조립체
KR20150116145A (ko) * 2014-04-07 2015-10-15 이서영 차량용 안전 삼각대장치
KR20190138479A (ko) * 2018-06-05 2019-12-13 박영식 차량용 안전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528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8952B2 (en) Compact safety cone
KR102018275B1 (ko) 차량 비치용 led 자동 안전삼각대
US2949531A (en) Illuminated highway marker
KR101660939B1 (ko) 경광등 겸용 우산형 안전삼각대
KR101078390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1348694B1 (ko) 안전 삼각대
US20150117948A1 (en) Expandable roadside safety apparatus
KR20220091849A (ko) 원터치 삼각대
US6579035B1 (en) Traffic war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2063359B1 (ko) 차량용 안전 표시장치
KR20170075340A (ko) 위험 표지판 세트
KR200493127Y1 (ko)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원터치 안전표지판
KR20210011888A (ko) 경고 장치
KR102110959B1 (ko)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KR101531285B1 (ko) 지면 설치 가능한 램프 점등용 안전 표시구
KR200330045Y1 (ko) 차선표지장치
KR200323110Y1 (ko) 안전 펜스
KR100567740B1 (ko) 안전 표지대
KR101982496B1 (ko) 우산형 안전표시기구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JP2006524296A (ja) 可撓性マーカー装置
KR102331510B1 (ko) 빛 반사 및 빛 방출을 통한 위치표시장치
KR0134603Y1 (ko) 도로교통 안전 표시구
KR102113864B1 (ko) 휴대용 비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