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968A -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968A
KR20100088968A KR1020090008134A KR20090008134A KR20100088968A KR 20100088968 A KR20100088968 A KR 20100088968A KR 1020090008134 A KR1020090008134 A KR 1020090008134A KR 20090008134 A KR20090008134 A KR 20090008134A KR 20100088968 A KR20100088968 A KR 20100088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main body
vehicle
emergency warning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691B1 (ko
Inventor
장명호
Original Assignee
장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호 filed Critical 장명호
Priority to KR102009000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6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6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가시성이 좋으며, 자동차의 차체에 간단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는 하면에 복수 개의 자석이 설치된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측면이 재귀반사부재로 형성되고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측면 광원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 메인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이 설치되는 머리부, 및 메인 몸체에 설치되며, 측면 광원과 상부 광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측면 광원, 상부 광원, 절첩식, 재귀반사부재, 가시성

Description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Warning apparatus for a damaged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상태에 있는 자동차의 상부와 후방으로 빛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광원을 구비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다가 사고나 고장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자동차를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뒤에 오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고장 또는 사고난 자동차가 있다는 것을 경고함으로써,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를 사용한다.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로는 안전 삼각대가 널리 사용된다. 안전 삼각대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재귀반사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 삼각대는 통상 고장난 자동차의 뒤에 대략 1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설치한다. 따라서, 후방 자동차가 전조등을 킨 상태로 주행하면, 전조등의 빛이 안전 삼각대에 의해 후방 자동차로 재귀반사되어 후속 자동차의 운전자가 안전 삼각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 안전 삼각대를 발견한 운전자는 전방에 고장이나 사고 등으로 정지된 자 동차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운전을 함으로써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 삼각대는 재귀반사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자동차로부터 비쳐지는 조명이 없으면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안전 삼각대를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자동차의 전조등이 고장난 경우 이러한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 삼각대는 재귀반사부재를 이용한 반사형이기 때문에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가시거리가 매우 짧다. 따라서,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는 안전 삼각대 가까이 접근한 경우에만 안전 삼각대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안전 삼각대를 전방 자동차의 가까이에 설치한 경우에는 후방 자동차의 제동 거리 부족 등으로 2차 사고를 예방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종래의 안전 삼각대는 삼각형상의 재귀반사판을 뒤에서 지지하여 도로면에 세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상으로 세게 부는 자연적인 바람이나, 안전 삼각대의 옆을 지나가는 자동차가 일으키는 바람에 의해 넘어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안전 삼각대가 넘어지면,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전방에 정지된 자동차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가시성이 좋으며, 자동차의 차체에 간단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면에 복수 개의 자석이 설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측면이 재귀반사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측면 광원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이 설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메인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 광원과 상부 광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은 3개의 상부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3개의 상부 광원 중 제1상부 광원은 빛을 원추꼴 형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하며, 제2 및 제3상부 광원은 빛을 직선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상부 광원 중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은 광원 구동부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광원이고, 상기 상부 광원은 레 이저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는, 상기 메인 몸체의 내부에 상기 머리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절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절첩부의 각각의 측면은 재귀반사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절첩부의 각각에는 그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측면 광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건전지 설치부와 자동차의 시거잭 연결부 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는 스스로 빛을 내는 복수 개의 상부 광원과 측면 광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재귀반사형의 안전 삼각대에 비해 먼 거리에서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는 가시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는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이 하늘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가시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고장난 자동차의 트렁크나 지붕 등에 부착되므로, 지나가는 자동차나 바람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는 2단 이상의 절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의 복수 개의 절첩부를 완전히 늘렸을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선 Ⅲ-Ⅲ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는 베이스부(10), 메인 몸체(20), 복수 개의 절첩부(30), 머리부(50), 및 전원공급유닛(7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0)의 형상은 원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베이스부(10)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11)이 설치된다. 복수 개의 자석(11)은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자동차(100, 도 6 참조)의 차체, 즉 자동차(100)의 지붕, 본네트, 트렁크 등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자석(11)은 옆으로 지나가는 자동차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가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하면에 4개의 자석(11)을 설치하였다.
메인 몸체(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몸체(20)의 측면은 재귀반사부재(46)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몸체(20)를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고,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메인 몸체(20)의 측면에 재귀반사부재(46)를 부착할 수 있다. 재귀반사부재(46)로는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그 빛을 투사한 광원 쪽으로 재귀반사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된다. 따라서, 재귀반자부재(46)로는 글래스 비드(glass bead)나 큐브 코너(cube corn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귀반사부재(46)는 교통표지, 델리네이터, 삼각대 등과 같은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이나 안전복, 자전거, 모자 등 야간에 가시성 확보가 중요한 물품에 설치되며,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그 빛을 투사한 광원 쪽으로 재귀반사함으로써 이들 물품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메인 몸체(20)에는 메인 몸체(20)의 측면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측면 광원(4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측면 광원(40)은 메인 몸체(20)의 측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측면 광원(40)은 다양 한 방법으로 메인 몸체(2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20)의 측면에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한 창(40a)을 형성하고, 메인 몸체(20)의 내부에는 측면 광원(4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측면 광원(40)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창(40a)의 형상과 크기는 메인 몸체(2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투명창(40a)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크기는 메인 몸체(20)의 높이(H)의 대략 1/3 정도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측면 광원(40)은 메인 몸체(20)의 측면에 직접 광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몸체(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절첩부(30)를 설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절첩식 안테나나 망원경과 같이 메인 몸체(20)에 대해 메인 몸체(20)의 길이방향(또는 높이방향)으로 끼워넣을 수 있는 절첩식(접이식, 끼워넣기식, telescoped)으로 설치된다. 즉,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완전히 접었을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20)의 내부에 전부 끼워지고, 완전히 늘렸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20)의 상부로 차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절첩부(31,32,33,34)를 갖도록 형성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메인 몸체(20)와 접하는 절첩부는 제1절첩부(31)라 하고, 그 위에 위치한 절첩부들은 차례로 제2절첩부(32), 제3절첩부(33), 제4절첩부(34)로 칭한다.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메인 몸체(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 몸체(2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 개의 절첩부(30)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메인 몸체(2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접혀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 몸체(2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즉, 메인 몸체(20)에 삽입되는 제1절첩부(31)는 메인 몸체(2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며, 제1절첩부(31)에 삽입되는 제2절첩부(32)는 제1절첩부(3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제2절첩부(32)에 삽입되는 제3절첩부(33)는 제2절첩부(32)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3절첩부(33)에 삽입되는 제4절첩부(34)는 제3절첩부(33)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메인 몸체(2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 몸체(20)의 높이(또는 길이, 이하 높이라 한다)(H)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 몸체(20)의 높이(H)가 약 20cm인 경우,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각각 20cm 이하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몸체(20)와 복수 개의 절첩부(30)가 각각 20cm의 높이를 갖는다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장경고장치(1)를 완전히 핀 경우 대략 1m의 높이를 갖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절첩부(30)를 메인 몸체(20)에 대해 순차적으로 빼서 길이를 늘이는 경우,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절첩부(30)를 늘일 때, 복수 개의 절첩부(30)가 완전히 빠져 분리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몸체(20)의 상단과 제1,제2 및 제3절첩부(31,32,33)의 상단에는 걸림턱(20a,31a,32a,33a)을 형성하고, 제1 내지 제4절첩부(31,32,33,34)의 각각의 하단 은 메인 몸체(20)와 제1, 제2 및 제3절첩부(31,32,33)의 걸림턱(20a,31a,32a,33a)에 걸리는 걸림돌기(31b,32b,33b,34b)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내지 제4절첩부(31,32,33,34)를 늘려 빼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절첩부(31,32,33,34)의 걸림돌기(31b,32b,33b,34b)가 메인 몸체(20)와 제1, 제2, 및 제3절첩부(31,32,33)의 걸림턱(20a,31a,32a,33a)에 걸리게 되므로, 제1 내지 제4절첩부(31,32,33,34)가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외에 복수 개의 절첩부(31,32,33,34)를 메인 몸체(20)에 대해 절첩식으로 길이를 늘였다 줄여다 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는 접이식 안테나나 망원경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 개의 절칩부(31,32,33,34) 각각의 측면은 재귀반사부재(46)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절첩부(31,32,33,34)를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고,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절첩부(31,32,33,34)의 측면에 재귀반사부재(46)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절첩부(31,32,33,34) 각각에는 절첩부(31,32,33,34)의 측면으로 빛을 방출하는 측면 광원(41,42,43,44)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측면 광원(41,42,43,44)은 각각의 절첩부(31,32,33,34)의 측면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제2, 제3 및 제4절첩부(31,32,33,34)의 측면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측면 광원을 메인 몸체(20)에 설치된 측면 광원(40)과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 제1, 제2, 제3, 제4측면 광원(41,42,43,44)이라 칭한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4 측면 광원(41,42,43,44)은 메인 몸체(20)의 측면 광원(40)과 동일하게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 개의 절첩부(30) 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절첩부(31,32,33,34)의 각각의 측면에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한 창(41a,42a,43a,44a)을 형성하고, 제1 내지 제4절첩부(31,32,33,34)의 내부의 대략 중앙으로 투명창(41a,42a,43a,44a)의 뒤에 측면 광원(41,42,43,44)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측면 광원(41,42,43,44)은 전선(45)으로 연결하여 제1 내지 제4절첩부(31,32,33,34)를 최대로 뺄 경우 각 측면 광원(41,42,43,44)이 메인 몸체(20)와 제1 내지 제4절첩부(31,32,33,34)의 투명창(41a,42a,43a,44a) 뒤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 광원(41,42,43,44)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몸체(20)와 복수 개의 절첩부(31,32,33,34)에 설치된 복수 개의 측면 광원(41,42,43,44)은 전원이 공급되면 복수 개의 측면 광원(41,42,43,44)이 모두 온(ON)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 개의 측면 광원(41,42,43,44)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개의 측면 광원(40,41,42,43,44)이 메인 몸체(20)의 측면 광원(40)으로부터 제1, 제2, 제3, 제4측면 광원(41,42,43,44) 순으로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5개의 측면 광원(40,41,42,43,44)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메인 몸체(20)와 복수 개의 절첩부(3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메인 몸체(20)와 복수 개의 절첩부(30)의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첩식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한, 메인 몸 체(20)와 복수 개의 절첩부(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머리부(50)는 메인 몸체(20)의 상측에 설치된다. 메인 몸체(20)의 내부에 절첩부(3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머리부(50)는 메인 몸체(20)의 상단에 설치된다. 그러나, 메인 몸체(2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절첩부(30)가 설치된 경우에는 머리부(50)는 복수 개의 절첩부(30) 중 가장 안 쪽에 있는 절첩부(34)의 상단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메인 몸체(20)의 내부에 4개의 절첩부(31,32,33,34)가 설치된 경우에는 머리부(50)는 제4절첩부(34)의 상단에 설치된다.
머리부(50)에는 상부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광원(60)은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의 상부로 빛을 쏘아 후방차(200, 도 6 참조)의 운전자가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더 잘 발견할 수 있도록 가시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는 머리부(50)에 설치된 3개의 상부 광원(61,62,63)을 구비한다. 이때,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3개의 상부 광원(61,62,63) 중 제1상부 광원(61)은 빛(L1)을 원추 형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하고, 제2 및 제3 상부 광원(62,63)은 빛(L2,L3)을 직선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상부 광원(61)에서 방출되는 빛을 원추 형상의 빛(L1)으로 형성하기위해, 제1상부 광원(61)의 전방에는 제1상부 광원(61)에서 나오는 빛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추 형상으로 퍼지도록 하는 원추 모양 렌즈(61a)가 설치된다. 이때, 원 추 형상의 꼭지각(θ1)은 대략 30-120도 정도에서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상부 광원(61)으로 레이저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은 빛의 직진성이 좋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 범위(θ2,θ3) 내에서 요동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은 광원 구동부(64)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다. 광원 구동부(64)는 머리부(50)의 하면에 설치된 구동 모터(66)와 요동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요동부(65)는 머리부(50)에 형성된 장홈(51)에 설치되며, 구동 모터(66)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요동 또는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요동부(65)의 상부에는 제2 또는 제3상부 광원(62,63)이 설치된다. 따라서, 요동부(65)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요동하면, 제2 또는 제3상부 광원(62,63)에서 나오는 빛(L2,L3)이 일정 각도 범위(θ2,θ3) 내에서 요동하게 된다. 요동부(65)가 구동 모터(66)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요동하는 구조는 종래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이 요동할 수 있는 범위(θ2,θ3)는,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과 같은 빛이 후방차(200)의 운전자에게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약 90-160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의 요동 방법은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이 동일하게 요동하도록 하거나, 대칭되는 형태로 요동하도록 하거나, 서로 다른 각도와 주기로 요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 중 하나는 정지된 상태로 유지하고, 나머지 하나의 상부 광원은 일정 각도로 요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제1 내지 제3상부 광원(61,62,63)의 색상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상부 광원(61,62,63)이 각각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전원공급유닛(70)은 복수 개의 측면 광원(40,41,42,43,44),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61,62,63), 구동 모터(66)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몸체(20)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측면 광원(40,41,42,43,44)),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61,62,63), 구동 모터(66)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으로는 건전지(71a) 또는 자동차(100)의 시거잭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가지 전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유닛(70)은 건전지 설치부(71)와 시거잭 연결부(72,72')를 포함한다. 건전지 설치부(71)는 복수 개의 측면 광원(40.41,42,43,44)과 상부 광원(61,62,63) 및 구동 모터(66)의 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된 건전지(71a)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건전지 설치부(71)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가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방수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거잭 연결부(72,72')는 연결의 편의를 위해 2곳에 형성할 수 있다. 즉, 한 개의 시거잭 연결부(72)는 건전지 설치부(71)의 측면에 설치하고, 다른 한 개의 시거잭 연결부(72')는 베이스부(10)의 하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유닛(70)은 상술한 측면 광원(40,41,42,43,44)과 상부 광원(61,62,6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45)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원공급유닛(70)에는 측면 광 원(40,41,42,43,44)과 상부 광원(61,62,63)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스위치(7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는 복수 개의 측면 광원(41,42,43,44,44)과 3개의 상부 광원(61,62,63)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면 광원(40,41,42,43,44)과 3개의 상부 광원(61,62,63)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은 종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 중에 고장이나 사고 등과 같은 비상 상태가 발생하여 자동차(100)를 도로 상에 정차한 경우에, 운전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00)의 지붕 위에 설치한다.
그 후, 자동차(100)의 시거잭과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전원 공급선(101)으로 연결한다. 만일, 전원공급유닛(70)에 건전지(71)가 있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선(101)을 연결할 필요는 없다. 전원 공급선(101)을 연결하고 스위치(73)를 온시키면 복수 개의 측면 광원(40,41,42,43,44)에서 빛이 자동차(100)의 후방으로 방출되고, 3개의 상부 광원(61,62,63)에서 빛이 하늘을 향해 방출된다. 이때, 3개의 상부 광원(61,62,63) 중 제1상부 광원(61)은 원추 형상으로 빛(L1)을 방출하고, 제2 및 제3상부 광원(62,63)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요동하는 직선 광(L2,L3)을 방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는 재귀반사부재(46)뿐만 아니라 스스로 빛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측면 광원(40,41,42,43,44)과 상부 광원(31,32,33)을 갖고 있기 때문에, 후방 자동차(200)의 운전자는 정지된 자동차(100)에 설치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광원(61,62,63)은 하늘을 향해 빛을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 자동차(200)의 운전자가 측면 광원(40,41,42,43,44)만 있는 경우에 비해 더 먼 거리에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발견할 수 있으므로 후방 자동차(200)의 운전자의 시야폭(A)을 넓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를 자동차(100)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B), 즉, 약 100m되는 지점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정지한 자동차(100)의 후방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설치판(11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판(110)은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1)의 베이스부(10)의 자석(11)이 부착될 수 있는 철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의 복수 개의 절첩부를 완전히 늘렸을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를 선Ⅲ-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의 3개의 상부 광원에서 빛이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의 저면도;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를 고장난 자동차의 지붕과 후방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10; 베이스부
11; 자석 20; 메인 몸체
30,31,32,33,34; 절첩부 20a,31a,32a,33a; 걸림턱
31b,32b,33b,34b; 걸림돌기 40,41,42,43,44; 측면 광원
46; 재귀반사부재 50; 머리부
51; 장홈 60,61,62,63; 상부 광원
64; 광원 구동부 65; 요동부
66; 구동 모터 70; 전원공급유닛
71; 건전지 설치부 72; 시거잭 연결부
73; 스위치 100,200; 자동차
101; 전원 공급선 110; 설치판

Claims (9)

  1. 지면이나 물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측면이 재귀반사부재로 형성되는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이 설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메인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 광원과 상부 광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복수 개의 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측면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은 3개의 상부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3개의 상부 광원 중 제1상부 광원은 빛을 원추꼴 형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되며,
    제2 및 제3상부 광원은 빛을 직선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상부 광원 중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은 광원 구동부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광원이고,
    상기 상부 광원은 레이저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의 내부에 상기 머리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절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첩부의 각각의 측면은 재귀반사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절첩부의 각각에는 그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측면 광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건전지 설치부와 자동차의 시거잭 연결부 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KR1020090008134A 2009-02-02 2009-02-02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KR10158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34A KR101589691B1 (ko) 2009-02-02 2009-02-02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34A KR101589691B1 (ko) 2009-02-02 2009-02-02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968A true KR20100088968A (ko) 2010-08-11
KR101589691B1 KR101589691B1 (ko) 2016-02-12

Family

ID=4275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134A KR101589691B1 (ko) 2009-02-02 2009-02-02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6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926B1 (ko) * 2010-09-28 2013-04-04 황문선 키트형 접이식 비상 삼각대
KR101673214B1 (ko) * 2015-11-30 2016-11-11 이현우 다용도 발광장치
KR20220091849A (ko) * 2020-12-24 2022-07-01 양미주 원터치 삼각대
KR20230052751A (ko) * 2021-10-13 2023-04-2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삼각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3Y1 (ko) * 2000-02-17 2000-10-16 헝-밍 시 자동차용 경고 장치
KR200390328Y1 (ko) * 2005-04-25 2005-07-21 주식회사 한텍하이브리드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KR20110077206A (ko) * 2009-12-30 2011-07-07 최리나 차량 안전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3Y1 (ko) * 2000-02-17 2000-10-16 헝-밍 시 자동차용 경고 장치
KR200390328Y1 (ko) * 2005-04-25 2005-07-21 주식회사 한텍하이브리드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KR20110077206A (ko) * 2009-12-30 2011-07-07 최리나 차량 안전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926B1 (ko) * 2010-09-28 2013-04-04 황문선 키트형 접이식 비상 삼각대
KR101673214B1 (ko) * 2015-11-30 2016-11-11 이현우 다용도 발광장치
KR20220091849A (ko) * 2020-12-24 2022-07-01 양미주 원터치 삼각대
KR20230052751A (ko) * 2021-10-13 2023-04-2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삼각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691B1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937B1 (ko) 면발광 led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US20180281671A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216544B1 (ko) 원격 설치가 가능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20100088968A (ko)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GB2458933A (en) Highway warning lamp with solar rechargeable battery source
KR101656441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와 그를 포함한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 세트
KR20200044449A (ko) 차량용 안전표지 케이스
KR101605197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101337588B1 (ko) 안전 삼각대
KR101418559B1 (ko)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KR200390328Y1 (ko)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KR101304728B1 (ko) 다용도 교통안전 표지판
KR100647534B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KR200489337Y1 (ko) 높이 조절형 차량용 안전삼각대
KR102330272B1 (ko)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US11645956B2 (en) Safety light assembly
KR200353642Y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JP2005121917A (ja) 表示装置
KR100755215B1 (ko) 공구함과 일체로 형성된 삼각대
CN203849952U (zh) 全天候自动发光警示牌
KR200414196Y1 (ko) 공구함과 일체로 형성된 삼각대
JP4261214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CN203246379U (zh) 光束转向灯汽车
JP3256092B2 (ja) 自発光式道路鋲
JPH11158824A6 (ja) 発光標識体、発光標識体保持装置、携帯用信号表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