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272B1 -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272B1
KR102330272B1 KR1020200031778A KR20200031778A KR102330272B1 KR 102330272 B1 KR102330272 B1 KR 102330272B1 KR 1020200031778 A KR1020200031778 A KR 1020200031778A KR 20200031778 A KR20200031778 A KR 20200031778A KR 102330272 B1 KR102330272 B1 KR 10233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vehicle
light
emergency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674A (ko
Inventor
장동익
Original Assignee
장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익 filed Critical 장동익
Priority to KR102020003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2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여 사용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외부로의 정보전달품질을 극대화하며, 특히,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도록;
전면에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여 비상광을 방출하도록 된 비상조명수단이 구비되는 경광본체와; 상기 경광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차량에 부착 지지하도록 된 부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비상경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광본체는, 수평상 길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되, 중앙을 중심으로 수평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중앙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경광본체의 양측하단에서 하부로 길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부착몸체와; 상기 부착몸체의 표면에 구비되며 차량에 대하여 부착력을 가지어 고정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광본체와 상기 부착몸체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부착몸체와 상기 경광본체의 사이에는, 수직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하부절곡부가 구비되는 차량의 비상경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비상경광장치{Emergency operation war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상황을 외부로 전파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여 사용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외부로의 정보전달품질을 극대화하며, 특히,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도록 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다가 사고나 고장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자동차를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주변을 주행하는 차량들에게 비상상황의 차량이 정차되어 있음을 인지하는 정보를 전달하여 경고함으로써, 2차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바닥에 직립되게 설치하는 '안전 삼각대' 등과 같은 차량용 비상경광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안전 삼각대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반사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장난 자동차의 뒤에 대략 1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비상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즉, 후방 자동차가 전조등을 킨 상태로 주행하면, 전조등의 빛이 안전 삼각대에 의해 후방 자동차로 재귀반사되어 후속 자동차의 운전자가 안전 삼각대를 인지하여 비상정보를 체득함으로써, 후방의 운전자가 전방에 고장이나 사고 등으로 정지된 자동차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운전을 함으로써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 삼각대는, 정보의 전달매체가 반사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자동차로부터 비쳐지는 조명이 없으면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안전 삼각대를 발견하지 못하고,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가시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는 안전 삼각대 가까이 접근한 경우에만 안전 삼각대를 인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안전 삼각대를 전방 자동차의 가까이에 설치한 경우에는 후방 자동차의 제동 거리 부족 등으로 2차 사고를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 삼각대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복수 개의 상부 광원과 측면 광원을 구비하여, 반사형의 안전 삼각대에 비해 먼 거리에서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비상경광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적으로 발광하여 정보전달품질을 극대화하도록 된 차량용 비상경광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08134호(명칭: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2009.02.02.)에서 공지된 차량용 비상경광장치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지면이나 물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측면이 재귀반사부재로 형성되는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한 개의 상부 광원이 설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메인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 광원과 상부 광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08134호(2009.02.02.)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차량의 비상경광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효율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부피와 면적이 크게 이루어짐에 따라, 공간적점유면적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비상경광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여 사용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외부로의 정보전달품질을 극대화하며, 특히,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도록 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는, 전면에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여 비상광을 방출하도록 된 비상조명수단이 구비되는 경광본체와; 상기 경광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차량에 부착 지지하도록 된 부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비상경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광본체는, 수평상 길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되, 중앙을 중심으로 수평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중앙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경광본체의 양측하단에서 하부로 길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부착몸체와; 상기 부착몸체의 표면에 구비되며 차량에 대하여 부착력을 가지어 고정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광본체와 상기 부착몸체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부착몸체와 상기 경광본체의 사이에는, 수직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하부절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는, 경광본체와 부착수단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됨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경광본체와 부착수단이 절첨됨은 물론, 경광본체가 중앙을 중심으로 절첨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되어, 휴대 및 보관시 공간점유면적이 극소화되어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게 됨에 따라,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사용시 경광본체를 펼쳐 정보전달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외부로의 정보전달품질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의 접힌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의 일부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는, 전면에 전원공급부(미도시됨)의 전원을 제어수단(미도시됨)의 제어를 통해 공급받아 발광하여 '비상광'을 방출하도록 된 비상조명수단(10)이 구비되는 경광본체(2)와; 상기 경광본체(2)의 하부에 구비되어 차량(100)의 표면에 부착 지지하도록 된 부착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차량(100)의 비상상황시 차량(100)의 표면에 상기 부착수단(3)을 통해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광본체(2)에 구비된 상기 비상조명수단(1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비상광'을 발광하여 주변에 주행중인 차량들이 비상상황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원공급부는, 차량(100)의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된 '전원연결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경광본체(2)에 구비되는 '축전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비상조명수단(10)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발광하도록 된 '발광램프' 및 상기 발광램프들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발광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비상조명수단(10)을 통해 방출되는 상기 비상광은, '점멸형태'로 이루어져 '비상상황정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비상상황정보'에 대한 '도안 및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에서, 상기 경광본체(2)는, 수평상 길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수단(3)은, 상기 경광본체(2)의 양측하단에서 하부로 길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부착몸체(31)와; 상기 부착몸체(31)의 표면에 구비되며 차량(100)에 대하여 부착력을 가지어 고정되는 부착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경광본체(2)와 상기 부착몸체(31)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일체로 제조된다.
즉, 상기 경광본체(2)와 상기 부착수단(3)의 상기 부착몸체(31)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됨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된다.
상기에서 부착부재(32)는, 차량(100)의 표면에 '자력결합'하도록 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공흡착력'을 형성하는 '진공흡착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에서, 상기 경광본체(2)는, 수평상 길이에 대한 중앙을 중심으로 수평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중앙절곡부(21)가 구비된다.
즉, 상기 경광본체(2)가 상기 중앙절곡부(21)를 통해 절첩됨에 따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전체 공간점유면적을 작게하여 휴대 및 보관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한편, 사용시 상기 경광본체(2)를 펼쳐 '정보전달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외부로의 정보전달품질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중앙절곡부(21)는, 상기 경광본체(2)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절곡요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압착성형장치(미도시됨)'를 통해 압착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에서, 상기 부착몸체(31)와 상기 경광본체(2)의 사이에는, 수직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하부절곡부(4)가 구비된다.
즉, 상기 부착몸체(31)가 상기 경광본체(2)에 대하여 상기 하부절곡부(4)를 통해 절첩됨에 따라, 상기 부착몸체(31)와 상기 경광본체(2)를 접어서 전체 공간점유면적을 작게하여 휴대 및 보관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하부절곡부(4)는, 상기 부착몸체(3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절곡요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압착성형장치'를 통해 압착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의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는, 상기 경광본체(2)에 대하여 상기 중앙절곡부(21)를 통해 접어서 상기 경광본체(2)의 공간점유면적을 줄이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광본체(2)에 대하여 상기 부착몸체(31)를 상기 하부절곡부(4)를 통해 접어서 전체 공간점유면적을 줄이어, 차량(100)의 보관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한다.
그리고 비상상황발생시에, 상기 차량(100)의 보관공간에서 꺼낸 후, 상기 중앙절곡부(21)와 상기 하부절곡부(4)를 펼치어, 점유공간면적을 크게함은 물론, 상기 부착몸체(31)의 상부로 상기 경광본체(2)가 직립되게 유지되도록 한 후, 상기 부착몸체(31)에 구비된 상기 부착부재(32)를 통해 차량(100)의 표면에 부착하여 고정지지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차량(100)에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가 직립되게 설치되면, 상기 제어수단의 선택적 제어를 통해 상기 비상조명수단(10)에 전원을 공급하면 '비상광'이 발광되면서 주변을 주행하는 차량들에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게 되어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비상상황이 해제되면, 상기 비상조명수단(10)으로의 전원공급을 해제하고, 차량(100)에서 상기 부착몸체(31)를 분리한 후, 상기 중앙절곡부(21)와 상기 하부절곡부(4)를 통해 상기 경광본체(2) 및 상기 부착몸체(31)의 각부위를 절첩하여 접어 점유공간면적을 최소화 한 후, 차량(100)의 보관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에서, 상기 부착수단(3)의 상기 부착몸체(31)는, 상기 경광본체(2)와 연결된 지지부(311)와; 상기 지지부(311)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량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재(32)가 구비되는 부착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11)와 상기 부착부(312)의 사이에는, 수직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부착절곡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부(312)가 상기 지지부(311)에 대하여 상기 부착절곡부(313)를 통해 절첩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311)에 대하여 상기 부착부(312)가 수평방향성을 가지도록 되어, 차량(100)의 표면에 상기 부착부(312)가 상기 부착부재(32)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311)가 수직상으로 직립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경광본체(2)의 직립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게 될 수 있어, 사용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착절곡부(313)는, 상기 부착몸체(3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절곡요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압착성형장치'를 통해 압착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에서, 상기 부착몸체(31)에는,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중앙부위에 하단에서 상부로 절개되는 한 쌍의 절개선(314)을 통해 절곡되어 차량에 대하여 수평상 3지점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부착편(315)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편(315)들을 통해 상기 부착몸체(31)가 평면상 3지점으로 분할고정되어 '입체적 좌표'를 가지면서 고정지지되어, 더욱 안정적인 지지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부착편(315)들은, 상기 부착부(312)와 상기 지지부(31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비상경광장치 10 : 비상조명장치
100 : 차량
2 : 경광본체 21 : 중앙절곡부
3 : 부착수단 31 : 부착몸체
311 : 지지부 312 : 부착부
313 : 부착절곡부 314 : 절개선
315 : 부착편 32 : 부착부재
4 : 하부절곡부

Claims (1)

  1. 전면에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여 비상광을 방출하도록 된 비상조명수단(10)이 구비되며 수평상 길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되, 중앙을 중심으로 수평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중앙절곡부(21)가 구비되는 경광본체(2)와; 상기 경광본체(2)의 하부에 구비되어 차량(100)에 부착 지지하도록 상기 경광본체(2)의 양측하단에서 하부로 길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부착몸체(31)와, 상기 부착몸체(31)의 표면에 구비되며 차량(100)에 대하여 부착력을 가지어 고정되는 부착부재(32)를 구비하는 부착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광본체(2)와 상기 부착몸체(31)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부착몸체(31)와 상기 경광본체(2)의 사이에는, 수직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하부절곡부(4)가 구비되는 차량의 비상경광장치(1)에 있어서;
    상기 부착몸체(31)는,
    상기 경광본체(2)와 연결된 지지부(311)와; 상기 지지부(311)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량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재(32)가 구비되는 부착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311)와 상기 부착부(312)의 사이에는,
    수직상 절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부착절곡부(3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KR1020200031778A 2020-03-16 2020-03-16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KR10233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78A KR102330272B1 (ko) 2020-03-16 2020-03-16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78A KR102330272B1 (ko) 2020-03-16 2020-03-16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674A KR20210115674A (ko) 2021-09-27
KR102330272B1 true KR102330272B1 (ko) 2021-11-22

Family

ID=7792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778A KR102330272B1 (ko) 2020-03-16 2020-03-16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2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811B1 (ko) * 2015-06-01 2016-10-25 라원택 안전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134A (ko) 2007-07-16 2009-01-21 박제철 수력발전장치의 구조
KR20170085669A (ko) * 2016-01-15 2017-07-25 김지명 다양한 설치구조와 표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위험 알림장치
KR20180011999A (ko) * 2016-07-26 2018-02-05 이종호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811B1 (ko) * 2015-06-01 2016-10-25 라원택 안전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674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1350A1 (en) Rearview mirror and signal light arrangement
US20110058364A1 (en) Reflective surface road flare
JP3213575U (ja) 照明構造
WO2001098708A1 (en) Flexible substrate mounted solid-state light sources for exterior vehicular lighting
KR101314937B1 (ko) 면발광 led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101829390B1 (ko) 차량용 led 안전삼각대
CN111332191B (zh) 带顺序闪光信号灯的车辆小翼
ES2805504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controlar la emisión de luz de un piloto trasero de un vehículo
KR101216544B1 (ko) 원격 설치가 가능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1348694B1 (ko) 안전 삼각대
KR102330272B1 (ko)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KR101295829B1 (ko) 판형 광원 패널을 이용한 광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3173307U (ja) 2つの機能を持った車両用led灯具の構造
KR101605197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101249926B1 (ko) 키트형 접이식 비상 삼각대
KR20100088968A (ko) 차량용 비상 경고장치
KR200390328Y1 (ko)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KR101070616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CN214009118U (zh) 一种具有警示引导效果的汽车倒车灯
CN205137284U (zh) 智能切换远近光的前照灯
JP3189170U (ja) サイドミラーの導光構造
JP2016056666A (ja) 路面標示ブロック及び路面標示ブロックを覆うカバー部材
KR102297986B1 (ko) Led부가 구비된 차선분리대
KR20110011399U (ko) 차량용 삼각대
JP2021072198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