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055A -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055A
KR20220087055A KR1020200177391A KR20200177391A KR20220087055A KR 20220087055 A KR20220087055 A KR 20220087055A KR 1020200177391 A KR1020200177391 A KR 1020200177391A KR 20200177391 A KR20200177391 A KR 20200177391A KR 20220087055 A KR20220087055 A KR 20220087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 record
guide
plate
arc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채현
김세례
김나경
Original Assignee
손채현
김세례
김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채현, 김세례, 김나경 filed Critical 손채현
Priority to KR102020017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055A/ko
Publication of KR2022008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6Sheet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방문자 정보를 기록펜을 이용하여 기재란을 따라 순차적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된 방문기록용지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내부수용공간을 갖는 하부 수납부와, 하부 수납부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출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방문기록용지를 역전시켜 하부 수납부의 내부 수용공간에 진입되게 가이드하며 내부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역전가이드로를 형성하는 역전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에 의하면, 방문기록정보를 기록하는 방문기록용지의 기록란에 대해 먼저 기재된 개인정보는 노출을 차단시키면서 후속 방문자에 대한 방문기록의 기입을 지원하면서 수납처리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visit record sheet storage case}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방문기록용지에 기입된 개인정보의 부분적 가림을 지원하면서 수납할 수 있도록 된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자를 통제하기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출입통제시스템은 지문, 카드, 홍채 인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증과정을 거쳐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구축되어 있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021380호 등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대부분의 식당, 교회 등과 같은 시설은 출입에 대한 인증과정 없이 영업시간 또는 예배시간 동안 출입을 허용한다.
한편, 최근 전세계적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대유행중인 상황에서 감염자 확산 방지를 위한 감염자에 대한 밀접 접촉자 추적을 위해 식당, 교회와 같이 출입허가 없이 출입을 허용했던 시설에 대해서도 방문기록용지에 방문일시 및 방문자의 연락처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기록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그런데, 방문기록용지에 기재되는 방문자의 정보는 동일 시트상에 순차적으로 방문순서에 따라 기재되고 있어, 개인정보가 방문기록을 기재하는 새로운 방문자에게 늘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방문기록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란에 대해 먼저 기재된 개인정보는 노출을 차단시키면서 후속 방문자에 대한 방문기록의 기입을 지원하면서 수납처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은 방문자 정보를 기록펜을 이용하여 기재란을 따라 순차적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된 방문기록용지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내부수용공간을 갖는 하부 수납부와; 상기 하부 수납부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출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방문기록용지를 역전시켜 상기 하부 수납부의 내부 수용공간에 진입되게 가이드하며 상기 내부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역전가이드로를 형성하는 역전가이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 수납부는 판형상으로 연장된 바닥부분과, 상기 바닥부분의 선단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수직상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제1측판과, 상기 바닥부분의 선단에서 상기 제1측판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제1사이드 커버판과, 상기 제1측판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분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사이드 커버판의 상단과 결합된 상판; 및 상기 제1측판과 상기 바닥부분 및 상기 상판 사이의 일측 개방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사이드 커버판과 대향되게 결합되는 제2사이드 커버판;을 구비하고, 상기 역전가이드부는 상기 바닥부분의 선단 맞은편의 종단에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판 상부에서 상기 상판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감싸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제1호형부분과; 상기 제1사이드커버판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이드커버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호형부분의 일측을 폐쇄하게 결합되는 제1사이드캡부분과; 상기 제1사이드캡부분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1호형부분 내에서 상기 제1측판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이 진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호형부분과 이격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부 표면을 통해 인입되는 방문기록용지가 상기 제1호형부분과의 사이에서 간섭되어 역전되어 이송될 있게 역전가이드로를 형성하는 환형부분을 갖는 역전 안내부재와; 상기 상판의 선단 맞은편의 종단에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상방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역전안내 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사이드판에는 상기 제1사이드캡부분 맞은편에서 상기 제1호형부분의 타측을 폐쇄하는 제2사이드캡부분이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전안내 부재는 상기 환형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호형부분보다 상기 선단을 향하여 더 인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출입 안내 안착부분과; 상기 출입 안내 안착부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환형부분으로 진행될 수 록 상기 출입안내안착부분에 대해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부상 가이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호형부분으로부터 상기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진입안내편과; 상기 상부 진입안내편과 상기 출입안내 안착부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안내 안착부분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에 의하면, 방문기록정보를 기록하는 방문기록용지의 기록란에 대해 먼저 기재된 개인정보는 노출을 차단시키면서 후속 방문자에 대한 방문기록의 기입을 지원하면서 수납처리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사이드 커버판이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사이드 커버판이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100)은 방문기록용지(10)를 안착시켜 기록할 수 있는 기록안내판으로서의 기능과, 방문기록용지(10)를 역전가이드로(102)를 따라 안내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축되어 방문자 기록정보가 기입된 란에 대해서는 외부에 대해 차폐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납함(100)은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면 하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110)이 선단(110a) 맞은편에 형성된 역전가이드부(130)를 구비한다.
하부수납부(110)는 방문자 정보를 기록펜을 이용하여 기재란을 따라 순차적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된 방문기록용지(10)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내부수용공간(113)을 갖는 사각 함체 형태로 형성된 부분이다.
하부수납부(110)를 구분하면, 바닥부분(114), 제1측판(111), 제1사이드커버판(112), 상판(116) 및 제2사이드 커버판(118)을 구비한다.
바닥부분(114)은 판형상으로 연장된 사각부분이다.
제1측판(111)은 바닥부분(114)의 선단(110a)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수직상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1사이드 커버판(112)은 바닥부분(114)의 선단(110a)에서 제1측판(11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일측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1사이드 커버판(112)에는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후술되는 제1호형부분(132)의 일측을 폐쇄하게 결합되는 제1사이드캡부분(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116)은 제1측판(111)의 상단에서 내부수용공간(113)을 형성하도록 바닥부분(114)에 대향되게 판형으로 연장되어 제1사이드 커버판(112)의 상단과 결합된 부분이다.
제2사이드커버판(118)은 제1측판(111)과 바닥부분(114) 및 상판(116) 사이의 일측 개방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사이드 커버판(112)과 대향되게 결합된 부분이다.
제2사이드 커버판(118)에는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사이드캡부분(121) 맞은편에서 후술되는 제1호형부분(132)의 타측을 폐쇄하게 일체로 결합된 제2사이드캡부분(122)이 형성되어 있다.
역전가이드부(130)는 하부 수납부(11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출입구(131)를 통해 인입되는 방문기록용지(10)를 역전시켜 하부 수납부(110)의 내부 수용공간(113)에 진입되게 가이드하며 내부수용공간(113)과 연통되는 역전가이드로(102)를 형성한다.
역전가이드부(130)는 제1호형부분(132), 상부 진입안내편(134), 결합봉(135), 지지편(137), 역전안내부재(140)를 구비한다.
제1호형부분(132)은 후술되는 역전안내부재(140)와 함께 역전가이드로(102)를 형성한다. 제1호형부분(132)은 바닥부분(114)의 선단 맞은편의 종단에서 일단이 접속되어 선단(11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판(116) 상부에서 상판(116)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판(116) 일부를 감싸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1호형부분(132)은 바닥부분(114)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진입안내편(134)은 상판(116) 상부에 위치하는 제1호형부분(132)의 타단으로부터 선단(11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방문기록용지(10)의 초기 진입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선단(11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상방으로의 이격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출입구(131)의 입구 폭이 벌려진 구조로 되어 있어 방문기록용지(10)의 초기 진입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결합봉(135)은 제1사이드캡부분(121)의 중앙으로부터 제1호형부분(132) 내에서 제1측판(11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결합봉(135)은 후술되는 역전안내부재(140)를 제1호형부분(132)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시켜 역전가이드로(102)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역전안내부재(140)는 결합봉(135)이 진입될 수 있는 삽입공(141a)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봉(1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호형부분(132)과 이격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부 표면을 통해 인입되는 방문기록용지(10)가 제1호형부분(132)과의 사이에서 간섭되어 역전되어 이송될 수 있게 역전가이드로(102)를 형성하는 환형부분(141)과, 환형부분(141)으로부터 제1호형부분(132)보다 선단(110a)을 향하여 더 인출되게 연장되되 상판(116)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출입 안내 안착부분(142)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환형부분(141)의 저면은 후술되는 지지편(137)에 안착된 상태에서 표면 연장선의 돌출이 억제되게 지지편(137)이 인입되게 인입밀착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부상 가이드편(144)은 출입 안내 안착부분(142)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어 환형부분(141)을 향해 진행될수록 출입안내안착부분(142)에 대해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45는 후술되는 스프링(148)을 구속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진입안내편(134)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구속핀이다.
지지편(137)은 상판(116)의 선단(110a) 맞은편의 종단에서 선단(11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상방으로 진행되면서 역전안내 부재(140)의 환형부분(141)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137)의 외측표면은 역전가이드로(102)의 일부를 형성한다.
스프링(148)은 출입구(131)를 형성하는 상부 진입안내편(134)과 출입안내 안착부분(142) 사이에 설치되어 구속핀(145)에 구속되게 설치되어 출입안내 안착부분(142)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출입안내 안착부분(142)과 상판(116) 사이의 이격공간은 미사용 방문기록용지(10)를 노출상태로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으로 이용되며, 출입안내 안착부분(142)과 상부 진입안내편(134) 사이의 출입구(131) 사이 영역은 방문자 기록을 진행하고 있는 낱장의 방문기록용지(10a)가 진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출입안내 안착부분(142)과 상부 진입안내편(134) 사이의 출입구(131) 사이 영역에 진입된 낱장의 방문기록용지(10a)에 자신에 해당하는 방문자 정보를 기록한 다음 자신의 방문자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길이만큼 역전가이드로(102)를 따라 진입시켜 놓으면 개인 정보가 보호된다. 이러한 개인정보 기입 및 보호처리를 위한 인입조작 과정을 통해 마지막 기입란까지 기재된 이후 인입조작을 수행하면 내부수용공간(113)내부로 수납처리된다. 이후 출입안내 안착부분(142)과 상판(116) 사이의 이격공간에 적재된 미사용 방문기록용지(10) 중 한 장을 분리한 후 출입안내 안착부분(142)과 상부 진입안내편(134) 사이의 출입구(131) 사이 영역에 일부가 진입되게 장착하여 사용하면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출입안내 안착부분(142)과 상판(116) 사이의 이격공간에 적재된 미사용 방문기록용지(10)가 사용경과에 의해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스프링(148)의 가압력에 의해 홀딩상태는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에 의하면, 방문기록정보를 기록하는 방문기록용지의 기록란에 대해 먼저 기재된 개인정보는 노출을 차단시키면서 후속 방문자에 대한 방문기록의 기입을 지원하면서 수납처리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하부 수납부
130: 역전가이드부

Claims (3)

  1. 방문자 정보를 기록펜을 이용하여 기재란을 따라 순차적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된 방문기록용지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내부수용공간을 갖는 하부 수납부와;
    상기 하부 수납부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출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방문기록용지를 역전시켜 상기 하부 수납부의 내부 수용공간에 진입되게 가이드하며 상기 내부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역전가이드로를 형성하는 역전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부는
    판형상으로 연장된 바닥부분과, 상기 바닥부분의 선단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수직상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제1측판과, 상기 바닥부분의 선단에서 상기 제1측판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제1사이드 커버판과, 상기 제1측판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분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사이드 커버판의 상단과 결합된 상판; 및
    상기 제1측판과 상기 바닥부분 및 상기 상판 사이의 일측 개방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사이드 커버판과 대향되게 결합되는 제2사이드 커버판;을 구비하고,
    상기 역전가이드부는
    상기 바닥부분의 선단 맞은편의 종단에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판 상부에서 상기 상판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감싸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제1호형부분과;
    상기 제1사이드커버판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이드커버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호형부분의 일측을 폐쇄하게 결합되는 제1사이드캡부분과;
    상기 제1사이드캡부분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1호형부분 내에서 상기 제1측판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이 진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호형부분과 이격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부 표면을 통해 인입되는 방문기록용지가 상기 제1호형부분과의 사이에서 간섭되어 역전되어 이송될 있게 역전가이드로를 형성하는 환형부분을 갖는 역전 안내부재와;
    상기 상판의 선단 맞은편의 종단에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록 상방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역전안내 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사이드판에는 상기 제1사이드캡부분 맞은편에서 상기 제1호형부분의 타측을 폐쇄하는 제2사이드캡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안내 부재는 상기 환형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호형부분보다 상기 선단을 향하여 더 인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출입 안내 안착부분과;
    상기 출입 안내 안착부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환형부분으로 진행될 수 록 상기 출입안내안착부분에 대해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부상 가이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호형부분으로부터 상기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진입안내편과;
    상기 상부 진입안내편과 상기 출입안내 안착부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안내 안착부분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KR1020200177391A 2020-12-17 2020-12-17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KR20220087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91A KR20220087055A (ko) 2020-12-17 2020-12-17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91A KR20220087055A (ko) 2020-12-17 2020-12-17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55A true KR20220087055A (ko) 2022-06-24

Family

ID=8221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391A KR20220087055A (ko) 2020-12-17 2020-12-17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0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2937B (zh) 读卡器
US20220079316A1 (en) Mechanical wallet
KR20220087055A (ko) 개인정보 보호형 방문기록용지 수납함
US4919058A (en) Door operating mechanism for business machines
US20160125703A1 (en) Payment Terminal
JP2016122376A (ja) カードリーダ
KR200493185Y1 (ko)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
JP3809612B2 (ja) カードリーダライタユニット
KR100633175B1 (ko) 외장형 메모리 카드 삽입구 도어의 구조
US6457648B1 (en) Dual-interface card reading device
JPS6180492A (ja) 入出金口構造
KR200164160Y1 (ko) 휴대용 명함 케이스
KR100396200B1 (ko) 카드리더의 마그네틱 헤드 마운트장치
JP2005141618A (ja) シャッタ構造
JPH0585063B2 (ko)
JPH11103180A (ja) スライドレール及び電子機器装置
JP2006099636A (ja) カード接続装置およびカード接続装置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KR20090008741A (ko) 금융자동화기기
JPS6033484Y2 (ja) カ−ドリ−ダ
KR0180186B1 (ko) 스마트 카드 취출장치
JPH075578Y2 (ja) 磁気カードリーダ
JP2020091599A (ja) カードリーダ
JP5522069B2 (ja) カードリーダおよびそれを用いた現金処理装置
JPS61296545A (ja) 光カ−ド構造
JPH0724927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