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406A - 벨트 어셈블리, 어린이 안전 좌석 및 이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벨트 어셈블리, 어린이 안전 좌석 및 이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406A
KR20220084406A KR1020227017834A KR20227017834A KR20220084406A KR 20220084406 A KR20220084406 A KR 20220084406A KR 1020227017834 A KR1020227017834 A KR 1020227017834A KR 20227017834 A KR20227017834 A KR 20227017834A KR 20220084406 A KR20220084406 A KR 20220084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hild safety
base
safet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웬 구오
종왕 추이
샤오롱 모
루위 리
쿤 장
주지안 리우
잉종 첸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138004.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81051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187523.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425973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187515.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425972A/zh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8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3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 B60N2/2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detecting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the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60N2/2809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with additional tether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hild seat and passing above the top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어린이 안전 좌석(1), 벨트 어셈블리(40) 및 지지구조(100)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1)은 차량좌석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1)은, 상기 차량좌석에 연결되는 체결부(110)를 구비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되는 좌석(20); 상기 베이스(10)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30); 서로 연결되는 상부 벨트(410)와 벨트 고정부(4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410)는 상기 지지 바(30)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450)는 상기 차량좌석에 연결되는 벨트 어셈블리(40); 스위치(5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410)가 인장될 때, 상기 스위치(520)를 트리거할 수 있는 경보장치(50); 를 포함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에 의하면, 벨트 어셈블리(40)와 체결부(110)이 정확하게 고정되었는지를 편리하게 제시할 수 있고, 편리하게 고정하고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안전 좌석(1)의 안전성과 승객 편의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어셈블리, 어린이 안전 좌석 및 이의 지지구조
본 발명은 벨트 어셈블리, 어린이 안전 좌석 및 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안전 좌석은 전문적으로 어린이를 위하여 설계된 좌석이다. 어린이 안전 좌석을 차량내에 조립시켜 어린이를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에 앉도록 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을 이용하여 어린이를 속박하여 어린이의 안전을 보장한다.
기존의 어린이 안전 좌석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및 베이스에 구비되는 좌석을 포함하고, ISOFIX인터페이스는 베이스의 일측에 직접 구비되고, 상부 벨트(Top Tether)는 좌석의 뒤쪽에 직접 고정되고, 어린이 안전 좌석의 상부 벨트 및 ISOFIX인터페이스를 각각 차량내의 대응되는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연결되어, 어린이 안전 좌석을 고정시킬 수 있다. 어린이 안전 좌석이 정방향으로 차량 좌석에 장착될 때, 좌석은 정방향으로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부노끈과 ISOFIX인터페이스는 모두 차량 좌석에 가까운 동일한 일측에 위치되고, 좌석의 상부노끈을 구비한 위치와 차량 좌석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여 서로 맏대지 않으므로, 상부노끈과 차량 좌석상부의 대응되는 장착위치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멀어 상부노끈의 길이를 길게 할 수 밖에 없어 재료의 사용비용이 높다. 어린이 안전 좌석을 반대방향으로 차량 좌석에 장착될 때, 좌석이 반대방향으로 베이스에 장착되고, 베이스의 장착방향이 어린이 안전 좌석이 정방향으로 장착될 때와 동일하고, 상부노끈이 좌석의 뒤쪽에 구비되므로 상부노끈이 차량 좌석과 멀리하는 일측에 위치하게 되고 베이스는 차량 좌석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부노끈이 차량 좌석상부의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상부노끈은 좌석의 뒤쪽에서 좌석의 전방으로 빙 돌아서야 차량 좌석상부의 장착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되고, 상부노끈의 빙 도는 경로는 어린이 안전 좌석의 고객에 영향을 주게 되고, 어린이 안전 좌석의 고객의 승객체험감과 편안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로써 어린이 안전 좌석의 승객이 우는 형상이 발생될 수 있고, 동일하게, 상부노끈과 차량 좌석상부의 대응되는 장착위치 사이의 거리가 멀므로, 상부노끈의 길이가 비교적 길어야 차량 좌석에 장착될 수 있다.
ISOFIX인터페이스가 베이스의 양측에 고정되고, Top Tether인터페이스는 어린이 안전 좌석상부에 고정된다. 3개의 점의 고정에 따라, 어린이 안전 좌석은 차량의 좌석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충격을 받을 때 뒤집어지지 않는다.
어린이 안전 좌석에 고정되어야 할 인터페이스가 비교적 많고, 고정하는 조작이 번거롭기 때문에, 어린이 안전 좌석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터페이스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된다. 이는 어린이 안전 좌석의 장착자에 의해 발견되기 쉽지 않고, 어린이 안전 좌석이 보호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가 제자리에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이 필요한다.
어린이 안전 좌석이 정방향으로 차량 좌석에 장착될 때, 좌석은 베이스에 정방향으로 장착되고, Top Tether와 ISOFIX인터페이스는 모두 차량 좌석에 가까운 동일한 일측에 위치하고, 좌석의 Top Tether를 설치하는 설치위치와 차량 좌석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고 맏대지 않으므로, Top Tether와 차량 좌석상부의 대응되는 장착위치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멀므로 Top Tether의 길이가 길어야 하여 재료의 사용비용이 높게 된다. 어린이 안전 좌석이 반대방향으로 차량 좌석에 장착될 때, 좌석이 반대방향으로 베이스에 장착되고, 베이스의 장착방향이 어린이 안전 좌석이 정방향으로 장착될 때와 동일하고, Top Tether가 좌석의 뒤쪽에 구비되므로, Top Tether가 차량 좌석에서 멀리하는 일측에 위치되고, 베이스는 차량 좌석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되고, Top Tether가 차량 좌석상부의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Top Tether는 좌석의 뒤쪽에서 좌석의 전방으로 빙 돌아서야 차량 좌석상부의 장착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Top Tether의 빙 도는 경로는 어린이 안전 좌석의 승객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승객의 승객체험감 및 편안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Top Tether를 편리하게 연결하고 승객을 간섭하지 않는 어린이의 어린이 안전 좌석이 필요하다.
Top Tether가 제자리에 고정된후 인장되어 어린이 안전 좌석의 기타부분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Top Tether길이를 조절하는 전통적인 방식은 하나의 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유형의 차량에 있어서 공간이 제한되어 충족한 인장력을 가하는데 쉽지 않다. 따라서, Top Tether를 복수의 방식으로 편리하게 인장할 수 있는 벨트 어셈블리 및 이한 벨트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이 필요한다.
어린이 안전 좌석이 충격을 받을 때, 베이스와 좌석 사이에는 커다란 분리 충격력을 받게 되므로, 베이스와 좌석 사이에 충족한 결합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어린이 안전 좌석이 필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함중의 적어도 하나를 경감시키거나 해소할 수 있는 벨트 어셈블리, 어린이 안전 좌석 및 이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부노끈의 사용길이를 감소하고 상부노끈의 장착경로가 승객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를 이용하여 상부노끈의 사용길이를 감소시키고, 상부노끈의 장착경로가 승객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차량좌석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하고,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상기 차량좌석하부에 연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여녈되는 좌석;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 서로 연결되는 상부 벨트와 벨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지지 바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차량좌석에 연결되는 벨트 어셈블리;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스위치를 트리거하는 경보장치;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고; 및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될 때 또는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경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안전 동작 상태, 비 동작 상태 및 결함 동작 상태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동작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비 동작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결함 동작 상태는 상기 비 동작 상태와 상기 동작상태 외의 어느하나의 상태이고;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이 상기 결함 동작 상태일 때 경보하고, 및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이 상기 안전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비 동작 상태일 때 경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경보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본체부가 경보할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경보를 진행하는 경보기;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경보기는 음성 및 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경보를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 고정부는 후크이다.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Top Tether유형의 커넥터이고, 상기 체결부는 ISOFIX유형의 커넥터이다. 상기 좌석은 일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일 각도범위를 회전한다. 상기 축선은 기본적으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된다. 상기 베이스는 차량의 좌석에 구비되고,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경사되는 상면을 구비한다. 상기 좌석은, 어린이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부에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는지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부와 상기 상부 벨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트리거부를 연결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복수의 트리거부와 상기 상부 벨트에 연결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의 또는 복수의 상기 연결부는 모두 하나의 트리거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고,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의 상부에는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고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바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좌우 대칭되게 세위지는 2개의 수직 바;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각각의 상단에는 모두 하나의 상기 개구가 구비되고,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각자의 개구를 통과하여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는 하나의 가로 바;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는 2개의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연결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스틸 와이어를 경유하여 상기 트리거부에 연결되고; 각 상기 트리거부는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고, 상기 트리거부는 탄성 회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회복부재는 각 상기 트리거부가 대응되는 스위치를 접촉하지 않도록 복귀하는 힘을 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는 상기 상부 벨트의 인장됨 또는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됨에 응답하여, 각 상기 트리거부가 대응되는 스위치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2개의 체결암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2개의 상부 벨트 중의 어느 하나의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체결암 중의 어느 하나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2개의 상부 벨트 중의 다른 하나의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을 때 경보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가 모두 인장되고 상기 2개의 체결암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지 않고; 또는 상기 2개의 체결암 중의 어느 하나의 체결암이 제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 중의 어느 하나의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2개의 체결암 중의 다른 하나의 체결암이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경보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가 모두 인장되고 상기 2개의 체결암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지 않고; 또는 상기 2개의 상부 벨트가 모두 인장되고 상기 2개의 체결암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경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좌우 대칭되게 세워지는 2개의 수직 바;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가로 바의 상면의 복판에 상기 개구가 구비되는 하나의 가로 바; 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바의 하면에는 복판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의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하나의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하나의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2개의 트리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2개의 체결암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트리거부는 각각 상기 2개의 체결암이 제자리에 고정됨에 응답하여 이와 관련되는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복수의 트리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는 각각 이와 관련되는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대응되는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 중의 하나의 트리거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바는, 복판에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세워지는 하나의 수직 바; 횡방향으로 상기 수직 바의 상단에 구비되는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면의 복판에는 상기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트리거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된다.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하나의 트리거부는 물리적인 접촉을 통하여 이와 관련되는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대응되는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횡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직 바의 횡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한다.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가 수직방향에서 일정한 거리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상기 하나의 트리거부는 시트체로 형성되고, 스틸 와이어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에 연결되고, 장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2개의 체결암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2개의 체결암 중의 어느 하나의 체결암이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경보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2개의 체결암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지 않고; 또는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고 상기 2개의 체결암 중의 어느 하나의 체결암이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를 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2개의 체결암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2개의 조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조절기 중의 어느 하나는 모두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조절기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2개의 조절시트와 연결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시트는 상기 2개의 조절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조절시트 각각은 상기 2개의 조절기를 관통하여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2개의 자유단을 형성함으로, 상기 2개의 자유단을 당김으로써 2개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2개의 조절시트 중의 하나의 조절시트의 말단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2개의 조절시트 중의 하나의 조절시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양방향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조절기는 2개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은 서로 대응되는 링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은 상기 링형부를 경유하여 연결되어 상기 좌석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의 상기 링형부에는 각각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보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좌석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연결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링형부와 상기 좌석의 링형부에는 각각 4개의 상기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4개의 보강부재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상기 베이스의 링형부의 원주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좌석의 4개의 보강부재 각각은 상기 베이스의 4개의 보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에는 모두 하나의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이는 각각의 링형부의 상기 지지 바에 가까운 일측에 구비되고, 각각의 링형부의 원주에서 연장되는 길이는 기타 3개의 보강부재보다 길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하고,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좌석; 바 부재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 부재의 상부를 감싸는 지지 바; 상부 벨트와 벨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바 부재의 상부에 외삽되는 벨트 어셈블리; 상기 상부 벨트의 인장여부 및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하는 경보장치; 를 포함한다. 경보장치는, 경보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위치; 상기 본체부가 경보할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기;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바 부재의 상부에 외삽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바 부재에서의 이동범위를 한정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트리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의 하나의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하나의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 부재의 상부는 관통홀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트리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의 하나의 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도록 하여 상기 하나의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플렉시블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트리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트리거부에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가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이 안전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경보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장치는, 온/오프 가능한 복수의 스위치;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경보할지를 판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경보할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기;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2개의 체결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 상기 2개의 체결암의 제자리에 고정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 및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인장됨에 따라 오프되는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2개의 체결암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 2개의 상부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 상기 2개의 체결암의 제자리에 고정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 및 각각 상기 2개의 상부 벨트가 인장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의 적어도 하나가 오프되되 상기 복수의 스위치가 전부 오프되지 않을 때, 상기 본체부는 경보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가 전부 온되거나 또는 전부 오프될 때, 상기 본체부는 경보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는 광 경보장치와 음성 경보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경보장치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의 각각의 온/오프 상황을 제시하고, 상기 음성 경보장치는 상기 본체부가 경보할 것으로 판단할 때 음성을 발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 경보장치는 복수의 LED 라이트에서 발출되는 빛에 의해 제시하고, 상기 광 경보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의 상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2개의 체결암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좌석; 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지지 바; 상부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바 부재의 상부의 후측에 고정되고, 상기 바 부재의 하측, 전방측 및 상측을 경유하여 연장하여 상기 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어셈블리; 3개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3개의 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가 트리거되지 않을 때, 경보하는 경보장치; 각각 상기 3개의 스위치를 트리거하는 3개의 트리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트리거부 중의 하나의 트리거부는 상기 바 부재의 상부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벨트를 트리거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하나의 트리거부를 상방으로 밀어, 상기 3개의 스위치 중의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고, 상기 2개의 체결암이 제자리에 고정될 때, 다른 2개의 트리거부는 각각 다른 2개의 스위치를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바 부재의 상부에 외삽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연장되어 나오는 개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양방향 조절기를 제공한다. 상기 양방향 조절기는, 반대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조절기 케이스; 각각 상기 2개의 제1 개구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기 케이스에 진입하고 멀리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버튼;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2개의 제2 개구가 형성되는 고정시트;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각각 상기 2개의 버튼과 함께 평행 이동하여 잠금위치와 풀림위치를 형성하는 2개의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2개의 시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제2 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조절기 케이스에 진입되고,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 사이의 갭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기 케이스에서 노출되어 2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시트를 집고, 상기 풀림위치에서,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는 상기 2개의 시트의 이동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버튼 사이에는 탄성 회복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2개의 버튼 각각에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외부 평행이동하는 힘을 제공하고,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2개의 인장 지시창이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시트 각각이 인장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백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레스트의 상단에는 보강관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관의 양측에는 각각 위치 한정 링이 형성되는 좌석; 상부 벨트와 벨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백레스트의 하단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백레스트에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위치 한정 링을 관통하는 벨트 어셈블리;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백레스트의 플렉시블 부재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은 상기 지지 바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의 상부에는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고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바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좌우 대칭되게 세워지는 2개의 수직 바;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각각의 상단에는 모두 하나의 상기 개구가 구비되고,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수직 바 각각의 개구를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는 하나의 가로 바;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는 2개의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연결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동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트리거부를 연결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고, 탄성 회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회복부재는 각각의 상기 트리거부가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하지 않도록 복귀하는 힘을 가하고;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는 상기 상부 벨트의 인장됨에 응답하여, 상기 트리거부가 대응되는 스위치에 접촉되어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세위지는 수직 바; 상기 수직 바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가로 바의 상면에는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 바의 하면에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가로바;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여 트리거하여, 상기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지지 바와 상기 트리거부를 둘러싸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트리거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지지 바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복수의 트리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는 각각 이와 관련되는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대응되는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 중의 하나의 트리거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바는, 복판에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세워지는 하나의 수직 바; 횡방향으로 상기 수직 바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면의 복판에는 상기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는 수용부;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트리거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된다.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트리거부는 접촉을 통하여 이와 관련되는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횡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직 바의 횡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한다.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이 수직방향방향으로 일정한 거리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나의 트리거부는 시트체로 형성되고, 연동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에 연결되고, 장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에는 탄성 회복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탄성 회복부재는 상기 트리거부에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스위치를 트리거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가하고, 상기 베이스내에는 상기 장홀을 관통하는 위치 한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 한정부재는 상기 트리거부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체결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좌석; 바 부재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 부재에 구비되는 지지 바; 상부 벨트와 벨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바 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바 부재의 상부에 외삽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바 부재에서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트리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 부재의 상부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트리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하나의 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인장은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스위치를 트리거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플렉시블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탄성 회복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회복부재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트리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트리거부에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지 않도록 하는 힘을 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회복부재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트리거부를 연결하여 당기는 힘을 가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트리거부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홈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스위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이 안전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경보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장치는, 온/오프 가능한 복수의 스위치;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경보할지를 판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경보할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기;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2개의 체결암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 벨트 어셈블리,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 상기 2개의 체결암의 제자리에 고정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 및 상기 벨트 어셈블리가 인장됨에 따라 오프되는 스위치;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2개의 체결암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 하나의 또는 2개의 상부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 상기 2개의 체결암의 제자리에 고정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 및 각각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상부 벨트의 인장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트리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지지 바의 상부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트리거부를 권취하여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트리거부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바의 상부에 외삽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연장되어 나오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내에는 상기 트리거부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되고, 탄성 회복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트리거부 사이에 연결되어 당기는 힘을 가하고, 상기 하나의 스위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내에 구비되고,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홈내에서 이동될 때,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한다.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차량좌석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상기 차량좌석하부에 연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좌석; 상기 베이스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 서로 연결되는 상부 벨트와 벨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지지 바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차량좌석상부에 연결되는 벨트 어셈블리; 예정 조건을 만족한다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경보신호를 발출하고 예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경보신호를 발출하지 않는 경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예정 조건은 상기 상부 벨트가 인정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경보상태를 가리킨다.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백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레스트의 상단에는 보강관이 형성되는 좌석; 서로 연결되는 상부 벨트와 벨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백레스트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좌석에는 상기 베이스와 접합하는 보가구조가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은 서로 대응되는 링형부(120, 22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이 연결되어 상기 좌석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의 상기 링형부에는 각각 서로 연결되는 베이스 보강부재와 좌석 보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좌석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연결력을 보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복수의 베이스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은 복수의 좌석 보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베이스 보강부재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상기 베이스의 링형부의 원주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좌석 보강부재는 각각 상기 복수의 베이스 보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보강부재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링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에는 좌석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좌석 보강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링형부가 접합되어, 상기 좌석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연결력을 보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2개의 좌석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좌석 보강부재의 위치는 상기 베이스의 링형부의 상대측에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백레스트의 플렉시블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백레스트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위치 한정 링을 경유하여 상기 백레스트와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의 양측에는 각각 위치 한정 링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백레스트에 따라 상방으로 상기 위치 한정 링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 보강부재는 상기 베이스 보강부재를 접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링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 보강부재는 상기 링형부를 접합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어린이 안전 좌석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 상기 차량의 대으되는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는 벨트 고정부; 적어도 2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과 상기 벨트 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가 상기 조절기를 관통하여 적어도 2개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상부 벨트;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상기 베이스상방의 좌석에 구비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후방부에 세워지는 지지 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단일 방향 조절기이고, 상기 상부 벨트는 3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일단은 각각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타단은 각각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3 시트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를 통하여 2개의 자유단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는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상기 2개의 자유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상기 2개의 자유단이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제1 시트 또는 상기 제2 시트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제3 시트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양방향 조절기 또는 단일 방향 조절기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자유단은 상기 상부 벨트가 양방향 조절기 또는 단일 방향 조절기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3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일단은 각각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타단은 연결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3 시트의 일단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제4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시트와 상기 제4 시트는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 또는 하나의 양방향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4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제4 시트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3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의 양단은 각각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2 시트의 일단은 상기 제1 시트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3 시트의 일단은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 또는 하나의 양방향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시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제3 시트의 타단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2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시트의 일단은 각각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2개의 시트의 타단은 각각 상기 조절기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2개의 시트 중의 하나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절기는 양방향 조절기이고, 상기 양방향 조절기는 2개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2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의 일단은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시트의 타단은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 또는 하나의 양방향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2개의 시트 중의 제2 시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제2 시트의 타단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는 반대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 사이는 연결시트에 의해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잠금위치와 풀림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조절기를 관통하여 상부 벨트가 상기 조절기에 걸리고, 상기 풀림위치에서,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기를 관통하는 상부 벨트가 상기 조절기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본원의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좌석;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 및 상기의 벨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상부 벨트는 상기 지지 바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2개의 수직 바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상부에는 모두 개구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2개의 수직 바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의 복판에는 개구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하나의 수직 바와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면의 복판에는 개구가 구비된다.
본원의 또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벨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양방향 조절기; 상기 차량의 대응되는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는 벨트 고정부; 서로 분리되는 2개 이상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양방향 조절기와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을 연결하고 상기 양방향 조절기와 상기 벨트 고정부를 연결하는 상부 벨트;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조절기는, 반대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조절기 케이스; 각각 상기 2개의 제1 개구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진입하고 멀리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버튼;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2개의 제2 개구를 구비하는 고정시트;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각각 상기 2개의 버튼과 함께 이동되어 잠금위치와 풀림위치를 형성하는 2개의 잠금부재;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시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제2 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조절기 케이스에 진입되고,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 사이의 갭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기 케이스에서 노출되어 2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시트를 집고, 상기 풀림위치에서,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는 상기 2개의 시트의 이동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풀림위치에서, 상기 자유단을 당길 때,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단축되고, 상기 2개의 시트의 상기 자유단외의 부분을 당길 때,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길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버튼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2개의 버튼에 상기 조절기 케이스가 외부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2개의 인장 지시창이 형성되어, 각각 상기 2개의 시트가 인장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본 발명은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는, 베이스, 지지 바 및 상부노끈을 포함하고, 베이스에는 좌석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위치가 구비되고, 지지 바는 베이스에 고정되어 장착위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부노끈의 일단은 지지 바에 고정된다.
기존기술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는, 베이스에 지지 바를 고정하고, 지지 바를 좌석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위치의 일측에 설치시키고, 상부노끈의 일단을 지지 바에 고정시킴으로, 좌석이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지지 바는 좌석의 뒤쪽에 위치하고, 어린이 안전 좌석을 차량 좌석에 장착시킨 후, 지지 바와 차량 좌석 사이의 거리는 좌석과 차량 좌석 사이의 기리보다 짧으므로, 지지 바에 고정된 상부노끈을은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하는데 필요되는 길이는 기존의 좌석에 고정된 상부노끈이 필요하는 길이보다 짧으므로, 상부노끈의 사용길이를 감소시키고, 상부노끈의 재료 사용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좌석이 반대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할 때, 베이스의 장착위치는 변화되지 않고, 좌석방향으로만 장착시키고, 이때, 지지 바 및 상부노끈은 좌석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부노끈은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장착경로와 좌석이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상부노끈의 장착경로와 동일함으로, 기존의 좌석에 고정된 상부노끈과 비교해 볼 때, 상부노끈은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장착경로는 좌석의 승객을 간섭하지 않으므로, 좌석의 승객의 승객편의감을 높일 수 있고, 어린이 안전 좌석의 승객이 우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 바는 지지관부 및 가로 바부를 포함하고, 지지관부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가로 바부는 지지관부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지지관부은 중공구조를 구비하고, 가로 바부에는 천공이 구비되고, 천공과 지지관부의 내부가 연통되고, 상부노끈의 일단이 천공을 관통하여 지지관부의 내벽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제1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지지관부내에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부노끈의 일단에는 시트 링이 구비되고, 시트 링은 제1 연결부재에 외삽된다.
바람직하게,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로 바부에는 제1 연결홀이 구비되고, 지지관부에는 제2 연결홀이 구비되고, 제2 연결부재는 제1 연결홀 및 제2 연결홀을 관통하여, 가로 바부를 지지관부에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지지관부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지지관부는 간격을 두고 베이스에 고정되고, 가로 바부는 2개의 지지관부에 고정되고, 가로 바부에는 2개의 천공이 구비되고, 2개의 천공은 각각 2개의 지지관부의 내부에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상부노끈은 고정부 및 2개의 고정부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2개의 고정부는 각각 2개의 천공을 대응되게 관통하고, 2개의 고정부는 각각 2개의 지지관부내에 고정되고, 장착부는 차량 좌석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부노끈의 타단에는 제1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베이스에는 상부노끈을 저장하는 저장위치가 구비되고, 제1 고정부재는 저장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에는 저장위치에 위치하는 제2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중의 하는 수 걸림구조이고,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중의 다른 하나는 암 걸림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저장위치는 오목한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지지 바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시트를 더 포함한다. 보강시트는 각각 베이스, 지지 바에 고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보강시트의 바닥부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보강시트의 측벽은 지지 바에 고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지지 바의 하부는 지지 바의 상부보다 굴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는 케이싱 및 브라켓을 포함하고, 브라켓은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지지 바는 케이싱을 관통하여 브라켓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제2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린이 안전 좌석을 제공하며, 좌석 및 상기 의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를 포함하고, 좌석은 장착위치에 장착된다.
기존 기술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은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를 구비하고, 베이스에 지지 바가 고정되고, 지지 바가 좌석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위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노끈의 일단이 지지 바에 고정되고, 좌석이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지지 바가 좌석의 뒤쪽에 위치하고, 어린이 안전 좌석이 차량 좌석에 장착된 후, 지지 바와 차량 좌석 사이의 거리가 좌석과 차량 좌석 사이의 거리보다 짧으므로, 지지 바에 고정된 상부노끈이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데 필요되는 길이는 기존의 좌석에 고정되는 상부노끈이 필요되는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상부노끈의 사용길이를 감소시키고, 상부노끈의 재료 사용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좌석이 반대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베이스의 장착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좌석방향으로만 장착된다. 이때, 지지 바 및 상부노끈은 좌석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부노끈이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장착경로와 좌석이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상부노끈의 장착경로는 동일하고, 기존의 좌석에 고정되는 상부노끈과 비교해 볼 때, 상부노끈이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장착경로는 좌석의 승객을 간섭하지 않고, 좌석의 승객의 승객편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어린이 안전 좌석의 승객이 우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좌석이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지지 바가 좌석의 후방에 위치하고, 좌석이 반대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지지 바는 좌석의 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적어도 하나의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은 정확하지 않게 고정되었다는 것을 편리하게 제시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은 구체적인 커넥터를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지지 바를 구비함으로써, 좌석이 상이한 위치에 자유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어린이의 앉음이 벨트 어셈블리에 간섭되지 않는다. 벨트 어셈블리는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장착이 더 편리해지고, 동시에 당기는 힘을 가하는데 더 편리해지고, 벨트 어셈블리가 인정되는 것을 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와 좌석 사이의 보강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어린이 안전 좌석이 충격을 저항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어셈블리는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으므로, 벨트 어셈블리의 장착이 더 편리해진다. 동시에 당기는 힘을 가하는데 더 편리하고, 벨트 어셈블리가 인장되는 것을 더 확보할 수 있으므로, 벨트 어셈블리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어셈블리는 길이를 더 크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어셈블리는 어린이 안전 좌석의 상이한 측에서 인장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안전 좌석이 어느 일측의 차량좌석에 거치하든지 모두 편리하게 인장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하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고려해 보면 본 발명의 각종 목적, 특징 및 우점이 더 자명해진다. 도면은 본 발명의 모범적인 해석일 뿐 반드시 비례대로 그린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언제까지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를 표시한다.
도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가 생략되어 그 내부구조를 편리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도3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경보장치의 예시도이다.
도4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원의 제2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6는 본원의 제2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가 생략되어 그 내부구조를 편리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도7은 본원의 제3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8는 본원의 제3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가 생략되어 그 내부구조를 편리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도9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서, 트리거부가 트리거되지 않았다.
도11은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서, 트리거부가 트리거되었다.
도12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13A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예시적인 부분사시도이다.
도13B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부분단면도이다.
도14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예시적인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서, 트리거부가 트리거되지 않았다.
도15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예시적인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서, 트리거부가 트리거되었다.
도16은 본원의 제5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일부부재를 생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의 내부를 표시한다.
도17은 본원의 제5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다른 사시도이고, 여기서, 일부부재를 생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의 내부를 표시한다.
도18은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19는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20은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일부부재를 생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의 내부를 표시한다;
도21은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22는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상부 벨트가 인장되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23은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24는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평면도이고, 여기서, 벨트 고정부와 상부 벨트가 분리된다.
도25는 본원의 제7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26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베이스와 지지 바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7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좌석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8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베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9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베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여기서, 일부부재를 제거하였다.
도30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좌석의 다른 일 실시예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31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32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 실시예의 전면도이다.
도33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4는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조절기의 평면도이다.
도35는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36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7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8은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39는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40은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41은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일 예시도이다.
도42는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조절기의 단면도이다.
도43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벨트 어셈블리의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44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벨트 어셈블리의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45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벨트 어셈블리의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46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벨트 어셈블리의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47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48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다른 일 사시도이다.
도49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단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지 않았다.
도50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단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었다.
도51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52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평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지 않았다.
도53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저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지 않았다.
도54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평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었다.
도55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56은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57은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입체구조 예이도이다.
도58은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의 입체구조의 예시도이다.
도59는 도58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60은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단면도이다.
도61은 도60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62는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 중 베이스의 케이싱을 제거한 후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원리와 구조를 더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는 본 설명과 해석하는데 사용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위함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일 형식읜 "에 있어서", "상기" 및 "해당"은 복수의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문에서 다른 의미를 표시하는 것 외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또는 복수의 관련되는 항목의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린이 안전 좌석에 관한 각족 개념과 실시방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어린이 안전 좌석의 좌석은 후방위치, 측방위치 및 전방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에서 소개한 내용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각종 개념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방안과 응용의 실예는 설명의 목적으로써, 해당분야의 기술자가 본 실시방안과 교체방안을 자명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가 생략되어 그 내부구조를 편리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어린이 안전 좌석(1)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10)를 구비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연결되는 좌석(20); 베이스(10)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30); 상부 벨트(410) 및 벨트 고정부(450)를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40); 상부 벨트(410) 및 체결부(110)에 의하여 제자리에 고정되었는지를 경보하는 경보장치(50)를 포함하고, 상부 벨트(410)는 상기 지지 바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보는 어린이 안전 좌석(1)의 장착자에게 알리거나 통지하는 임의의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보장치(50)는 음성 및 빛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경보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경보장치(50)는 기타 임의의 방식으로 경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벨트(410)가 인장된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부 벨트(410)가 제자리에 고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경보장치(50)는 상부 벨트(410)가 차량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에 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바(30)의 상부에는 개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벨트(410)는 개구(330)를 관통하고 일부가 지지 바(30)의 내부에 구비된다.
체결부(110)는 ISOFIX유형의 커넥터(ISOFIX인터페이스에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일 수 있고, 2개의 체결암(111)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 어셈블리(40)는 Top Tether유형의 커넥터(Top Tether인터페이스에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일 수 있다.
벨트 고정부(450)는 후크(또는 후크 형상의 체결부재)일 수 있고, 이는 상부 벨트(410)의 원격단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벨트 고정부(450)의 일단은 상부 벨트(410)에 연결될 수 있고, 벨트 고정부(450)의 타단은 차량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좌석(20)은 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베이스(10)의 상면에 대략 수직되는 일 축선에 따라 베이스(1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범위 회전될 수있다. 예를 들면, 0° 내지 180°, 90° 내지 270°, 0° 내지 360° 등 각도범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각도범위는 기타상황일 수 있다. 상기 회전 기준은 도1에 도시된 위치를 0°로 한다.
베이스(10)의 하면과 상면 사이에는 일 각도로 형성되어 좌석(20)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한다.
지지 바(30)는, 베이스(10)의 후방부에 좌우 대칭되게 세워지는(기본적으로 수직되게 구비됨) 수직 바(310); 수직 바(310)의 상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가로 바(320a)를 포함하고, 수직 바(310)의 상단에 모두 하나의 개구(330)가 구비되고, 상부 벨트(하나의 상부 벨트의 양단일 수 있음)는 수직 바(310)의 개구를 통하여 일부가 지지 바(30)의 내부에 구비된다. 수직 바(310)와 가로 바(320a)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바(310)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가로 바(320a)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개구(330)는 수직 바(310)의 최고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가로 바(320a)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수직 바(310)의 상부에서 최고위치가 아닌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부 벨트(410)의 위치에 대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1)은 구동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60)는 트리거부(620)와 연결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동부재(60)는 트리거부(620)와 연결부(610)를 연결하는 연동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부재(630)는 예를 들면 스틸 와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리거부(620)는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바(310)가 하방으로 연장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0)의 양측에 각각 트리거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610)는 수직 바(310)에서 상부 벨트(410)의 수직 바(310)에 인입된 말단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610)는 수직 바(310)내에서 수직으로 유한한 거리만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 한정된다. 연결부(610)는 이동가능하게 수직 바(310)내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610)는 고정부재(예를 들면, 바 부재)와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이동부재는 상부 벨트(410)의 말단에 고정되고, 장홀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장홀을 관통하고, 기본적으로 수평되게 수직 바(310)에 고정된다. 장홀의 수직방향의 길이가 고정부재보다 길기 때문에 이동부재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를 수직되게 이동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기타방식으로 연결부(610)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한편, 트리거부(620a)는 체결암(111)(도4를 참조)에 구비되어, 체결암(111)이 차량좌석의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ISOFIX인터페이스)에 고정될 때 작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체결암(111)에는 모두 트리거부(620a)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2개의 체결암(111) 중 단지 하나의 체결암에 트리거부(620a)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지 하나의 트리거부(620a)가 베이스(10)의 양측 중 일측에 구비되어 상부 벨트(410)의 하나의 말단을 연결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경보장치(530)는, 본체부(510); 본체부(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부(510)에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위치(520); 본체부(510)가 경보한다는 것이 판단되었을 때 상기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10)는 상기 신호에 의해 경보할지 판단할 수 있다. 본체부(510)는 베이스(10)에 구비될 수 있다.
체결암(111)은 트리거부(620a)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트리거부(620a)는 베이스(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체결암(111)이 차량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에 결합될 때, 트리거부(620a)를 이동시켜 대응되는 스위치(520)를 트리거한다. 즉, 체결암(111)(ISOFIX인터페이스)이 작동되어 차량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ISOFIX체결부재)에 걸림결합될 때 트리거부(620a)를 이동시키고, 트리거부(620a)는 대응되는 스위치(520)이 폐쇄되도록 민다. 또한, 베이스(20)에는 트리거부(620a)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장홈이 구비된다. 트리거부(620a)의 타단이 상기 장홈에서 인출되어 스위치(520)에 작용한다. 장홈의 작용하에서, 트리거부(620a)가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또한, 스위치(520)는 본체와 탄성 시트를 포함하며, 트리거부(620a)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시트가 본체와 폐쇄되어 트리거를 실현한다. 여기서, 스위치(520)와 경보장치(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트리거부(620, 620a)는 일정한 거리(예를 들면, 1cm, 2cm, 3cm, 4cm, 5cm, 8cm, 10cm)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된다. 상기 이동은 스위치(520)를 트리거할 수 있다. 트리거부(620)는 탄성 회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회복부재는 트리거부(620)가 대응되는 스위치(520)를 트리거하지 않도록 복귀되도록 힘을 가하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 벨트(410)에 인장되는 힘을 가하지 않았을 때, 대응되는 트리거부(620)의 탄성 회복부재는 트리거부(620)가 초기상태에 복귀하도록 한다.
트리거부(620, 620a)는 상부 벨트(410) 또는 체결부(110)(구체적으로, 체결암(111))의 제자리 고정에 응답하고, 대응되는 스위치(520)와 물리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대응되는 스위치(520)를 트리거한다. 본체부(510)는 예를 들면 배터리 등 전력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계산능력 또는 로직판단능력을 갖는다. 상이한 스위치(520)가 모두 본체부(510)에 신호를 제공할 때, 본체부(510)는 이러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경보기(530)에 경보할지에 관한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경보기(530)는 하나의 음성경보장치(531)와 하나의 LED 라이트 경보 장치(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경보장치(531)는 본체부(510)의 명령에 의해 알림음성을 발출할 수 있다. LED 라이트 경보 장치(532)는 스위치(520)의 수량에 대응되는 LED 라이트를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발광에 의해 어느 하나의 스위치(520)가 트리거되지 않았는지(이는 상부 벨트(410)와 체결암(111) 중의 어는 것이 인장되지 않는지 또는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지시할 수 있다. LED 라이트 경보 장치(532)는 베이스(10)의 전방(도26을 참조)에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LED 라이트 경보 장치(532)는 나란하게 구비된 3개의 LED 라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LED 라이트는 상부 벨트(410)의 스위치(520)에 관련하고, 2개의 LED 라이트는 각각 체결부(110)의 2개의 체결암(111)에서의 스위치(520)에 관련된다. 선택적으로, LED 등은 기타 발광가능한 부재로 교체될 수 있다. LED 라이트의 수량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 또는 더 많은 LED 라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LED 라이트의 주요 목적은 벨트 어셈블리(40)가 잘 장착되었는지 또는 체결부(110)가 잘 장착되었는지를 알릴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것은, LED 라이트 경보 장치(532)는 본원의 각 실시예에 응용될 수 있다.
경보장치는,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고 체결부(110)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았을 때 또는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지 않고 체결부(110)가 제자리에 고정되었을 때, 경보를 진행하고,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고 체결부(110)가 제자리에 고정될 때 또는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지 않고 체결부(110)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았을 때, 경보를 진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스위치는 각각 상부 벨트(410)의 2개의 말단 및 체결부(110)의 2개의 체결암(111)에 관련된다. 이때, 4개의 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가 트리거 되면, 경보장치(50)는 경보하기 시작하고, 모든 스위치가 트리거 되었을 때, 경보장치(50)는 경보하지 않는다.
다시말해, 경보장치(50)는, 2개의 상부 벨트(410)와 2개의 체결암(111)이 모두 고정되지 않았을 때(또는 인장되지 않았을 때), 경보장치(50)는 경보하지 않고, 2개의 상부 벨트(410)와 2개의 체결암(111) 중의 적어도 하나가 고정되지 않았을 때(또는 인장되지 않았을 때)(그러나 모두 고정되지 않거나 인장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경보장치(50)는 경보하고, 2개의 상부 벨트(410)와 2개의 체결암(111)이 모두 고정될 때(또는 인장될 때), 경보장치(50)는 경보하지 않는다.
이때, 경보는 경보장치(50)에서 음성을 발출하거나 및/또는 LED 라이트 경보 장치가 발광하는 것일 수 있고, 경보하지 않는다는 것은 경보장치(50)가 음성을 발출하지 않거나 및/또는 LED 라이트 경보 장치가 발광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경보장치(50)는 3개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 상부 벨트(410)의 2개의 말단 및 체결부(110)의 2개의 체결암(111) 중 하나를 관련하거나, 또는 각각 상부 벨트(410)의 2개의 말단 중 하나 및 체결부(110)의 2개의 체결암(111)을 관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경보장치(50)는 2개의 스위치만 구비할 수 있고, 각각 상부 벨트(410)의 2개의 말단 중의 하나 및 체결부(110)의 2개의 체결암(111) 중의 하나를 관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어린이 안전 좌석(1)는 안전 동작 상태, 비 동작 상태 및 결함 동작 상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동작 상태에서 상부 벨트(410)는 인장되고 체결부(110)는 제자리에 고정된다. 상기 비 동작 상태애서 상부 벨트(410)는 인장되지 않고 체결부(110)는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결함 동작 상태는 상기 비 동작 상태와 상기 동작상태 외의 임의의 상황이다. 이때, 경보장치(50)는 어린이 안전 좌석(1)이 상기 결함 동작 상태일 때 경보하고, 어린이 안전 좌석(1)이 안전 동작 상태 또는 비 동작 상태일 때 경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5는 본원의 제2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6는 본원의 제2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가 생략되어 그 내부구조를 편리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바(30)는, 베이스(10)의 후방부에 좌우대칭되게 세워지는 2개의 수직 바(310); 상기 2개의 수직 바(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하나의 가로 바(320a); 를 포함한다. 가로 바(320a)의 상면복판에는 개구(330)가 구비되고, 가로 바(320a)의 하면복판에 수용부(340)가 구비된다.
경보장치(50)는 2개 또는 3개의 스위치(5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스위치(520)는 수용부(340)에 구비되고, 상부 벨트(410)의 일단(하나의 말단)는 수용부(340)에 고정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위치(520)는 상부 벨트(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부 벨트(410)가 상기 스위치(520)를 회피하여 연장되도록 한다. 상부 벨트(410)가 인장될 때(예를 들면, 벨트 어셈블리(40)의 벨트 고정부(450)를 대응되는 구조에 고정하기 위할 때), 하나의 스위치(52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스위치(520)를 트리거시키며, 이로써 상기 스위치가 본체부(510)에 신호를 제공하며, 상부 벨트(410)가 현재 인장된다고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520)와 경보장치(50)의 본체부(510) 사이에는 신호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선은 지지 바(30)의 내부 공간을 지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위치(520)와 경보장치(50)의 본체부(510) 사이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어린이 안전 좌석(1)은 2개의 트리거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0)는 2개의 체결암(111)을 포함하고, 2개의 트리거부(620)는 각각 2개의 체결암(111)의 제자리 고정됨에 응답하여 이와 관련되는 대응되는 스위치(520)(즉, 각각 2개의 체결암(111)의 스위치를 관련한다)를 트리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부(110) 및 이와 관련되는 스위치(520)와 트리거부(111)의 부분은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경보장치(50)는,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지 않고 2개의 체결암(111)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경보하지 않고,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고 2개의 체결암(111) 중의 어느 하나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경보하고,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고 2개의 체결암(111)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지 않고; 또는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지 않고 상기 2개의 체결암(111) 중의 어느 하나가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고,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고 2개의 체결암(111)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7은 본원의 제3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8는 본원의 제3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가 생략되어 그 내부구조를 편리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주로 상부 벨트(410)의 수량과 위치이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어린이 안전 좌석(1)은 3개의 트리거부(620)를 구비하고, 3개의 트리거부(620)는 각각 이와 관련되는 3개의 스위치(520)를 트리거하여, 대응되는 스위치(520)가 본체부(510)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벨트(410)의 일단은 하나의 트리거부(620)에 연결되고, 2개의 체결암(111)은 각각 2개의 트리거부(620)에 연결된다.
지지 바(30)는, 베이스(10)의 후방부에 복판에 세위지는 하나의 수직 바(310); 수직 바(310)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용부(340); 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40)의 상면 복판에는 개구(330)가 구비된다. 상부 벨트(410)의 상기 일단은 수용부(340)에 위치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트리거부(620)는 베이스(10)에 구비되고,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돌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리거부(620)에는 위치 한정부(예를 들면, 관통홀)가 구비되고, 베이스(10)에 고정된 위치 한정부재(예를 들면, 핀 또는 돌기)가 상기 위치 한정부를 관통한다. 위치 한정부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위치 한정부재보다 크므로, 위치 한정부를 구비하는 트리거부(620)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 이동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위치 한정부재가 위치 한정부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스토퍼시킴으로써 위치한정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상부 벨트(410)가 인장될 때, 상기 트리거부(620)는 물리적인 접촉을 통하여 하나의 스위치(520)를 트리거하여, 상기 스위치(520)가 본체부(510)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수용부(340)의 횡방향의 길이가 수직 바(310)의 횡방향의 길이보 크다. 선택적으로, 수용부(340)의 횡방향의 길이는 수직 바(310)의 횡방향의 길이의 3배, 4배 또는 5배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수용부(340)는 차량좌석백레스트에 효과적으로 밀접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안전 좌석(1)이 더 안정적이다. 수용부(340)는 횡방향(도8의 좌우방향)에서 일정한 호도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벨트(410)의 수용부(340)내에 구비되는 일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의 사이즈는 개구(33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340)의 내부 공간은 상부 벨트(410)의 일단이 수직방향에서 일정한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수용부(340)는 수직방향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이로써, 상부 벨트(410)가 인장될 때, 상부 벨트(410)의 일단이 수직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연동부재(630)(예를 들면, 스틸 와이어 또는 밧줄)를 거쳐 트리거부(620)를 작동시키며, 트리거부(620)가 대응되는 스위치(520)를 트리거시키도록 한다. 상부 벨트(410)에 연결되는 트리거부(620)는 시트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경보장치(50)는,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지 않고 2개의 체결암(111)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경보를 하지 않고,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고 2개의 체결암(111) 중의 어느 하나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경보하고,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고 2개의 체결암(111)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지 않고, 또는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지 않고 상기 2개의 체결암(111) 중의 어느 하나가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고, 상부 벨트(410)가 인장되고 2개의 체결암(111)이 모두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9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서, 트리거부가 트리거되지 않았다. 도11은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서, 트리거부가 트리거되었다. 도12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13A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예시적인 부분사시도이다. 도13B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부분단면도이다. 도14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예시적인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서, 트리거부가 트리거되지 않았다. 도15는 본원의 제4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예시적인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서, 트리거부가 트리거되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린이 안전 좌석(1)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체결암(111)을 구비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연결되는 좌석(20);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바 부재(350)를 포함하는 지지 바(30); 일단이 바 부재(350)의 상부의 후측(도9중의 좌측)에 고정되고, 그리고 연장되어 상기 바 부재(350)의 하측, 전방측 및 상측(다시말해, 대략 3/4바퀴 권취됨)을 경유하여, 상기 상부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상부 벨트(410)를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40); 3개의 스위치(520)구비하고, 3개의 스위치(520) 중의 어느 하나가 트리거되지 않을 때 경보하는 경보장치(50);각각 3개의 스위치(520)를 트리거하고, 지지 바(30)내에 구비되는 3개의 트리거부(620); 를 포함한다. 상기 트리거부(620)는 바 부재(350)의 상부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부 벨트(41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벨트(410)가 인장될 때, 상부 벨트(410)는 상방으로 하나의 트리거부(620)를 밀며 하나의 스위치(520)를 트리거한다. 2개의 체결암(111)이 제자리에 고정될 때, 다른 2개의 트리거부(620) 각각은 다른 2개의 스위치(520)를 트리거한다. 바 부재(350)는 U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체결암(111)에서의 스위치(520)와 트리거부(620)의 설치는 상기 실시예와 일치한다. 바 부재(350)에는 개구(33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330)는 바 부재(350)의 상부에서 폼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330)는 하방을 향하도록 형설될 수 있다. 트리거부(620)는 상기 개구(330)로부터 노출되고, 트리거부(620)와 바 부재(350)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회복부재가 구비되어, 트리거부(620)를 개구(330)에서 노출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개구(330)내에는 장착홈(352)이 형성된다. 장착홈(352)은 체결부재에 의해 양측이 바 부재(350)에 체결된다. 복귀부재의 상단은 장착홈(352)의 내면에 밀접되고, 복귀부재의 상단은 트리거부(620)에 밀접된다. 트리거부(620)에는 수직방향의 홈 또는 관통홀을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트리거부(620)의 양측에는 2개의 수직방향의 홈 또는 관통홀이 대칭되게 구비된다. 위치 한정부재는 상기 홈 또는 관통홀내에 인입되어, 수직방향으로 트리거부(620)의 이동범위를 한정한다. 트리거부(620)가 개구(330)에서 노출될 때, 스위치(520)의 탄성 시트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스위치(520)가 트리거되지 않는다. 트리거부(620)가 작동되어 기본적으로 개구(330)내에 수용될 때, 스위치(520)의 탄성 시트는 구동되고, 스위치(520)는 트리거된다.
상부 벨트(410)는 권취하는 방식으로 트리거부(620)와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부 벨트(410)가 인장될 때 트리거부(620)에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상부 벨트(410)의 권취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부 벨트(410)는 먼저 바 부재(350)의 상부에 권취되고, 그다음 바 부재(350)의 전방부, 하부에 권취되고 마지막으로 바 부재(350)의 상부에 권취될 수 있다.
지지 바(30)는 커버 플레이트(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60)는 바 부재(350)의 상부에 외삽되고, 상부 벨트(410)가 연정되어 노출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한다. 커버 플레이트(360)는 2개의 하프 바디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 바(3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60)는 지지 바(30)의 상부가 더 아름답게 할 수 있고, 상부 벨트(410)를 트리거부(620)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60)와 바 부재(350) 사이의 갭은 상부 벨트(410)가 커버 플레이트(360)의 개구를 따라 노출하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 벨트(410)가 커버 플레이트(360)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은 방지한다.
도13A과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벨트(410)는 조절시트(411)와 연결시트(412)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시트(412)는 바 부재(350)와 조절기(430)를 연결하고, 조절시트(411)는 벨트 고정부(450)와 조절기(430)를 연결한다. 조절시트(411)의 일단이 조절기(430)에 인입될 수 있고, 조절기(430)에서 노출되어 하나의 자유단(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조절기(430)는 조절기를 관통하는 조절시트(411)를 잠그거나 풀릴 수 있다(예를 들면, 하나의 버튼을 눌음으로 통하여). 조절기(430)가 조절시트(411)를 풀을 때, 조절시트(411)를 당겨서 조절시트(411)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자유단을 당겨서 조절시트(411)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16은 본원의 제5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일부부재를 생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의 내부를 표시한다. 도17은 본원의 제5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다른 사시도이고, 여기서, 일부부재를 생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의 내부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은, 베이스(10); 베이스(10)에 연결되고, 백레스트(230)를 포함하는 좌석(20); 상부 벨트(410)와 벨트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벨트 어셈블리(40); 를 포함할 수 있다. 백레스트(230)의 상단에는 보강관(231)이 형성되고, 보강관(231)의 양측에는 각각 위치 한정 링(231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벨트(410)는 백레스트(230)의 하단의 양측에 연결되어 백레스트(230)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위치 한정 링(2311)을 통과한다.
상부 벨트(410)는 백레스트(230)의 플렉시블 부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벨트(410)는 백레스트(230)의 내측(어린이 안전 좌석에 앉아 있는 어린이를 향하는 일측)에 구비되고, 위치 한정 링(2311)을 경유하여 백레스트(230)와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 벨트(410)의 단부가 플렉시블 부재에 연결되므로, 힘을 받을 때 소성변형되며, 완충하는 작용을 하며, 벨트 고정부가 받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동시에 상부 벨트(410)는 백레스터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부 벨트(410)의 길이가 더 길며, 힘을 받을 때 시트 차제도 일정한 연장량을 가지므로 일정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도18은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19는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20은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일부부재를 생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의 내부를 표시한다. 도21은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22는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상부 벨트가 인장되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23은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린이 안전 좌석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10)를 구비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연결되는 좌석(20); 바 부재(350)와 수용부(340)를 포함하고, 바 부재(350)는 베이스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수용부(340)는 바 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 바(30); 상부 벨트(410)와 벨트 고정부(450)를 포함하고, 상부 벨트는 바 부재의 상부에 외삽하는벨트 어셈블리(40); 상부 벨트의 인장여부 및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하는 경보장치(50); 를 포함할 수 있다. 바 부재(350)는 U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보장치(50)는, 경보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본체부(510); 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스위치(520); 본체부에서 경보를 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기(530); 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벨트(410)는 바 부재(350)의 상부에 외삽될 수 있고, 수용부(340)는 상부 벨트(410)가 바 부재(350)에서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벨트(410)는 바 부재(350)의 상부에서 2개의 시트로 나눠 링형을 형성하므로, 바 부재(350)를 회피하여 바 부재(350)의 하부에서 다시 하나의 시트로 합병한다. 상부 벨트(410)의 일단은 수용부(340)의 내부 공간(장착홈(352))에 구비될 수 있고 트리거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트리거부(620)는 장착홈(352)내에서 수직되게 일정한 거리 이동할 수 있다. 트리거부(620)의 중간에는 장홀이 형성된다. 상부 벨트(410)의 일단은 상기 장홀에 고정되어, 트리거부(620)가 상부 벨트(410)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될 수 있다. 탄성 회복부재(640)(예를 들면스프링)는 수용부(340)에 구비될 수 있고, 양단은 각각 수용부(340)와 트리거부(620)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트리거부(620)의 좌우양측에는 모두 탄성 회복부재(6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기타 수량의 탄성 회복부재(64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340)의 내부 공간에는 하나의 스위치(520)가 더 구비된다. 스위치(520)는 트리거부(620)의 수직 운동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고, 스위치(520)의 시트체는 일부가 상기 운동 경로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벨트(410)가 인장될 때(즉, 상부 벨트(410)가 외부로 당기게 될 때), 트리거부(620)는 스위치(520)의 시트체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스위치(520)를 트리거하여(도21과 도22를 참조), 상기 스위치(520)가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신호는 벨트 어셈블리(40)가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에 존재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복수의 스위치(520) 중의 기타 스위치의 설치는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도24는 본원의 제7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측면도이고, 여기서, 벨트 고정부와 상부 벨트가 분리된다. 도25는 본원의 제7 실시예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부부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 부재(350)의 상부는 관통홀(351)을 형성할 수 있다(즉, 바 부재(350)의 상면과 하면에는 모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벨트(410)(미도시)의 일단은 관통홀(351)을 관통하여 수용부(340)의 내부 공간(장착홈(352))에 구비될 수 있고, 트리거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340)의 내부 공간에는 스위치(520)가 더 구비된다. 상부 벨트(410)의 일단은 트리거부(620)에 연결될 수 있다(연결방식은 제6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상부 벨트(410)의 인장은(즉, 장착홈(352)내에서 당겨나와 관통홀(351)을 경유하여 상부 벨트(410)에서 당겨나가는 것) 트리거부(620)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스위치(520)는 장착홈(352)내의 후측(도25 중의 좌측)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다. 스위치(520)의 시트체는 적어도 일부가 트리거부(62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로에 위치될 수 있다. 트리거부(620)가 상방으로 이동될 때 스위치(520)의 시트체에 대하여 가압함으로 상기 스위치(520)를 트리거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위치(520)는 본체부(510)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벨트 어셈블리(40)가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에 존재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수용부(340)내에는 플렉시블 부재(341)가 구비될 수 있다. 플렉시블 부재(341)는 관통홀의 내측에 구비되어, 플렉시블 부재(341)의 상단이 접합하여, 상부 벨트가 관통홀의 내측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상부 벨트(410)가 관통홀(351)에서 이동될 때, 상부 벨트(410)는 플렉시블 부재(341)와 접촉되고 바 부재(350)(일반적으로, 금속으로 형성)와는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복수의 스위치(520) 중의 기타 스위치의 설치는 상기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수용부에는 탄성 회복부재(예를 들면스프링)(640)가 구비된다. 탄성 회복부재(640)는 수용부(340)와 트리거부(620) 사이에 구비되어 트리거부(620)가 스위치(520)를 트리거하지 않도록 하는(즉, 트리거부(620)가 하방에 위치하는 초기상태로 복귀되도록) 힘을 트리거부에 가한다.
본 실시예의 기타내용은 제6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도26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베이스와 지지 바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7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좌석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베이스(10)는 링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20)은 링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형부(120, 220)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베이스(10)와 좌석(20)은 링형부(120,220)의 중심위치의 연결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좌석(20)은 베이스(10)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베이스(10)와 좌석(20)의 링형부(120,220)에는 각각 서로 잠글 수 있는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가 구비되어, 베이스(10)와 좌석(120) 사이의 연결력을 보강시킨다. 좌석(20)이 베이스(10)에 대하여 특정된 사용각도(예를 들면, 0° 또는 180°(좌석(20)의 정방향 사용위치과 후방향 사용위치에 대응됨))로 회전되었을 때,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는 마침 서로 접합할 수 있어 보강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링형부(120)와 좌석(20)의 링형부(220)에는 각각 4개의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4개의 좌석 보강부재(221)가 구비된다. 4개의 베이스 보강부재(121)는 베이스(10)의 링형부(120)의 원주에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구비된다. 4개의 좌석 보강부재(221) 각각은 4개의 베이스 보강부재(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4개의 좌석 보강부재(221)는 동일하게 좌석(20)의 링형부(220)의 원주에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하나의 좌석 보강부재(221) 각각은 링형부(120,220)의 지지 바(30)에 가까운 일측(후측)에 구비될 수 있고, 링형부(120,220)의 원주에서 연장되는 길이는 나머지 3개의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보다 길다. 다른 하나의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다른 하나의 좌석 보강부재(221)는 링형부(120,220)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링형부(120,220)의 원주에서 연장되는 길이는 각각 후측의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보다 작지만, 좌우양측의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보다 크다.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는 예를 들면 철 시트로 제조될 수 있지만, 본원으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는 상이한 수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개, 6개, 8개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본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는 링형부(120,220)에 따라 균일하게 또는 균일하지 않게 분포될 수 있다.
어린이 안전 좌석(1)이 충격을 받을 때, 어린이 안전 좌석(1)의 전후방향으로 뒤집어지는 힘이 가장 크다. 따라서, 후측에 가장 긴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를 설치함으로써 전방으로 뒤집어지는 힘을 감당하는 것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방측에 비교적 긴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를 설치함으로써 후방으로 뒤집어지는 힘을 감당하는 것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8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베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9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베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여기서, 일부부재를 제거하였다. 도30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좌석의 다른 일 실시예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베이스(10)는 링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20)은 링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와 좌석(20)은 링형부(120,220)의 중심위치의 연결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좌석(20)은 베이스(10)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좌석(20)의 링형부(220) 각각은 베이스(10)의 링형부(120)와 잠금될 수 있는 보강부재(22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석(20)과 베이스(10)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보강부재(221)는 모두 베이스(10)의 링형부(120)에 접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좌석(20)이 베이스(10)에 대하여 회전될 때, 보강부재(221)는 링형부(120)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로써, 좌석(20)의 사용각도를 조절할 때도 좌석(20)과 베이스(10) 사이의 접합이 향상될 수 있다.
임의의 수량의 보강부재(22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2개, 3개, 4개, 5개, 6개, 8개 등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강부재(221)는 링형부(220)의 상이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보강부재(221)는 각각 링형부(22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어린이 안전 좌석이 충격을 받았을 때의 받는 힘을 고려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보강부재(221)는 동일한 길이와 두께를 가질 수 있음로, 상이 방향에서 동일한 정도의 보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이한 길이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이한 방향에서 상이한 정도의 보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31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32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어린이 안전 좌석(1)은 베이스(10), 베이스(10)의 상방에 구비되는 좌석(20) 및 베이스(10)의 후방부에 세워지는 지지 바(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110)는 ISOFIX유형의 커넥터(ISOFIX인터페이스와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일 수 있고, 2개의 체결암(111)를 포함한다.
어린이 안전 좌석(1)은 벨트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벨트 어셈블리(40)도 어린이 안전 좌석(1)외의 별도의 어셈블리일 수 있다. 벨트 어셈블리(40)는 Top Tether유형의 커넥터(Top Tether인터페이스와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일 수 있다.
지지 바(30)는 베이스(10)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바(3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10)의 후방부에 세워질 수 있다. 지지 바(30)의 상부에는 개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바(30)에는 하나 또는 2개의 개구(330)가 구비될 수 있다. 벨트 어셈블리(40)의 상부 벨트(410)(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함)는 개구(330)를 경유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1)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부 벨트(410)는 개구(330)를 통하여 지지 바(30) 내부에 인입되고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바(30)는 2개의 수직 바(310)와 하나의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수직 바(310)의 상부에는 모두 개구(330)가 구비된다.
상부 벨트(410) 중의 2개의 시트(예를 들면, 연결시트(412)와 조절시트(411))의 일단은 2개의 수직 바(310)를 통하여 각각 지지 바(30)에 구비된다. 상부 벨트(410)의 하나의 연결시트(412)와 2개의 조절시트(411)는 2개의 조절기(430)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된다. 벨트 고정부(450)는 하나의 조절시트(411)에 고정되거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벨트 어셈블리(40) 전체가 Y형 또는 V형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시트의 일단은 지지 바(30)내에서 유한한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상부 벨트(410) 중의 2개의 시트(예를 들면, 2개의 연결시트(412))의 일단은 2개의 수직 바(310)를 통하여 각각 지지 바(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시트의 타단에는 2개의 조절기(430)가 고정된다. 하나의 조절시트(411)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조절기(430)를 관통하여 2개의 자유단(4111)을 형성하고, 벨트 고정부(450)는 조절시트(411)에 고정되거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벨트 어셈블리(40) 전체가 Y형 또는 V형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부 벨트(410) 중의 2개의 시트(예를 들면, 2개의 연결시트(412))의 일단은 2개의 수직 바(310)를 통하여 각각 지지 바(30)에 고정된다. 상기 2개의 시트의 타단에는 연결부재(460)가 고정된다. 하나의 조절시트(411)의 일단은 연결부재(460)에 고정된다. 조절시트(411)의 타단은 하나의 조절기(430)를 관통하고, 다른 하나의 조절시트(411)는 다른 하나의 조절기(430)를 관통하여 2개의 자유단(4111)을 형성함으로써, 벨트 어셈블리(40) 전체가 Y형 도는 V형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2개의 조절기(43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면, 연결시트(412)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 중의 하나의 시트(예를 들면, 연결시트(412))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수직 바(310)를 통하여 지지 바(30)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시트(411)는 상기 시트에 고정되거나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므로(선택적으로, 기타 조절시트(411), 연결시트(412) 및 조절기(430)를 더 연결할 수 있다), 벨트 어셈블리(40) 전체가 T형을 형성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30)는 2개의 수직 바(310)와 하나의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바(30)는,베이스(10)의 후방부에 좌우 대칭되게 세워지는 2개의 수직 바(310); 상기 2개의 수직 바(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고정부(320); 를 포함한다. 고정부(320)의 하면 복판에는 수용부(340)가 구비된다.
상부 벨트(410) 중의 하나의 시트(예를 들면, 연결시트(412))의 일단은 지지 바(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일단은 지지 바(30)내에서 유한한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30)는 하나의 수직 바(310)와 하나의 수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벨트(410) 중의 하나의 시트(예를 들면, 연결시트(412))의 일단은 지지 바(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일단은 수용부(340)내에서 유한한 거리 이동될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 2개의 조절기(430)를 하나의 양방향 조절기(440)로 교체할 수 있다(뒤에서 설명함). 하나의 조절기(430)는 하나의 양방향 조절기(440)로 교체할 수 있다.
수직 바(310)와 고정부(320)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바(310)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고정부(32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좌석(20)은 회전가능하게 베이스(10)에 구비될 수 있고, 베이스(10)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되는 일 축선에 따라 베이스(10)에 대하여 일 각도범위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하면과 상면은 일 각도 형성함으로써, 좌석(20)이 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38은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벨트 어셈블리(40)는, 적어도 2개의 조절기(430); 어린이 안전 좌석(1)에 고정되고, 적어도 2개의 조절기(430)를 관통하여 적어도 2개의 조절기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자유단(4111)을 형성하는 상부 벨트(410); 상부 벨트(410)에 연결되고 차량에 고정되는 벨트 고정부(450); 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조절기(430)는 이를 관통하는 상부 벨트(410)를 잠그거나 풀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 어셈블리(40)는 2개의 조절기(430)를 구비한다. 그러나, 벨트 어셈블리(40)는 2개보다 많은 조절기(4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시트(412)는 일측에서 조절기(430)에 인입되고, 조절기(430)의 일 고정부를 회피하여 다시 하측에서 조절기(430)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시트(412)는 조절기(430)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시트(411)(예를 들면, 벨트 고정부(450)에 연결)는 조절기(430)의 하측의 개구에서 조절기(430)에 진입되어 버튼(432)의 일부분을 회피하여, 버튼(432)과 조절기 케이스(431) 사이에 형성된 갭을 하방으로 관통하여, 마지막에 조절기(430)의 좌측에서 노출되어 자유단(4111)을 형성한다. 오른쪽으로 버튼(432)을 누를 때, 버튼(432)과 조절기 케이스(431) 사이에 형성된 갭은 크게 되므로, 조절시트(411)가 조절기(430)에 대하여 자유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버튼(432)을 놓으면, 버튼(432)과 조절기 케이스(431) 사이에 형성된 갭이 작게 되며(예를 들면, 복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시트(411)가 버튼(432)과 조절기 케이스(431)에 의해 끼워져(집혀) 조절기(430)에 대하여 자유적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도34는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조절기의 평면도이다. 도35는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기(430)의 일단은 조절단으로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조절단은 예를 들면 버튼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기(430)는 조절기 케이스(431)와 버튼(43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432)의 일측에는 개구가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개구는 버튼(432)의 상방 또는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시트(예를 들면, 뒤에서 설명할 조절시트(411))는 상기 개구에서 버튼(432)의 내부에 진입되고, 버튼(432)과 케이스(431)에 의해 한정되고 폭이 가변하는 슬릿을 관통하여 다시 상기 개구에서 노출된다.
조절기(430)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스프링 등 복귀 기구가 구비될 수 있어, 버튼(432)이 가압되지 않을 때, 상기 슬릿은 축소되어, 조절기(430)를 관통하는 시트가 집히게 되어 조절기(430)에 대하여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버튼(432)이 가압될 때, 상기 슬릿은 크게 되어, 조절기(430)를 관통하는 시트가 조절기(430)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조절기(430)는 기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는 조절기(430)의 일측에서 진입되고 다른 일측에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기(430)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조절기가 이를 관통하는 시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조절하지 않을 때 상기 시트를 잠글 수 있으면 된다.
조절기(430)의 다른 일측에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기타 시트가 상기 조절기(430)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절기(430)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조절기(430)의 잠금 또는 풀림을 표시하는 마크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마크는 예를 들면 색갈이 상이한 표기일 수 있다.
벨트 고정부(450)는 후크(또는 후크 형상의 체결부재라고 함)일 수 있고, 이는 상부 벨트(410)의 원격단에 고정되게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벨트 어셈블리(40)의 2개의 조절기(430)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 벨트(410)가 2개의 조절기(430)를 관통하여 형성된 2개의 자유단(4111)이 반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것은, 상부 벨트(410)는 유연한 것이기 때문에 상부 벨트(410)에 구비된 조절기(430)의 방향을 개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 2개의 조절기(430)가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는 것은, 벨트 어셈블리(40)가 어린이 안전 좌석(1)을 차량에 고정시킨 후, 벨트 어셈블리(40)가 인장된 상태에서 2개의 조절기(430)가 기본적으로 반대방향의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자유단(4111)이 반대반향으로 노출된다는 것은, 벨트 어셈블리(40)가 어린이 안전 좌석(1)을 차량에 고정시킨 후, 2개의 자유단(4111)이 2개의 조절기(430)에서 노출될 때의 초기방향이 기본적으로 반대방향인 것을 의미한다. 이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2개의 자유단(4111) 예를 들면 처지는 자세로 되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벨트 어셈블리(40)는 하나의 조절기(430)만 구비한다.
벨트 어셈블리(40)의 2개의 조절기(430)는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부 벨트(410)가 2개의 조절기(430)를 관통하여 형성된 2개의 자유단(4111)이 도일한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는 제1 조절시트(411a), 제2 조절시트(411b), 제1 조절기(430a), 제2 조절기(430b) 및 연결시트(또는 제1 연결시트라고 함)(4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조절시트(411a), 제2 조절시트(411b) 및 연결시트(412)는 서로 관련되어(예를 들면,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제1 조절기(430a)와 제2 조절기(430b)에 의해 서로 연결) 상부 벨트(410)를 조성될 수 있다.
연결시트(412)의 일단은 지지 바(30)의 일측(예를 들면, 하나의 수직 바(3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연결시트(412)의 타단은 제1 조절기(430a)에 고정된다.
제1 조절시트(411a)의 일단은 지지 바(30)의 타측(예를 들면, 다른 하나의 수직 바(3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조절시트(411a)의 타단은 제2 조절기(430b)를 관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1)을 향해 노출된 하나의 자유단(41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조절시트(411b)의 일단은 제2 조절기(430b)에 고정되고, 제2 조절시트(411b)의 타단은 제1 조절기(430a)를 관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1)을 멀리하는 방향으로 노출되는 하나의 자유단(4111)을 형성할 수 있다.
벨트 고정부(450)의 일단은 제2 조절시트(411b)에 슬라이딩 또는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고, 벨트 고정부의 타단은 후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벨트 어셈블리(40)는 2개의 반대방향으로 인장되어 벨트 어셈블리(40)의 장착이 편리하게 되고, 인장의 힘을 가하는데 더 편리함으로, 벨트 어셈블리(40)가 인장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어, 벨트 어셈블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 어셈블리(40)의 길이를 더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에는 하나의 조절기(430)만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에는 3개의 조절기(430)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조절기(430)는 양방향 조절기(뒤에서 설명함)일 수 있다.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는 제1 조절시트(411a), 제2 조절시트(411b), 제1 조절기(430a), 제2 조절기(430b), 제1 연결시트(412a) 및 제2 연결시트(41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시트(412a)의 양단은 각각 지지 바(30)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수직 바(310)상에 고정되거나 또는 수직 바(3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조절시트(411a)의 일단은 제1 연결시트(412a)에 슬라이딩 또는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고, 제1 조절시트(411a)의 타단은 제1 조절기(430a)를 관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1)을 향해 노출되는 하나의 자유단(41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시트(412b)의 양단은 각각 제1 조절기(430a)와 제2 조절기(430b)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조절시트(411b)의 일단은 제2 조절기(430b)를 관통하여 어린이 안전 좌석(1)에서 멀리하는 방향으로 노출되는 하나의 자유단(4111)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연결시트(412b)의 타단에는 벨트 고정부(45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벨트 어셈블리(40)가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작으므로, 좁은 차량공간에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에는 하나의 조절기(430)만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에는 3개의 조절기(430)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조절기(430)는 양방향 조절기(뒤에서 설명함)일 수 있다.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연결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연결부재(460)는 동시에 2개의 연결시트(412)와 하나의 조절시트(411)를 함께 연결할 수 있다. 2개의 연결시트(412)는 연결부재(46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하나의 조절시트(411)는 연결부재(460)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460)는 상면에 3개의 장홀이 형성되는 철 시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에는 하나의 조절기(430)만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에는 3개의 조절기(430)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조절기(430)는 양방향 조절기(뒤에서 설명함)일 수 있다.
도41은 본원의 벨트 어셈블리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벨트 어셈블리(40)는 제1 조절기(430a), 제2 조절기(430b) 및 하나의 조절시트(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기(430a)와 제2 조절기(430b)는 동일한 방향을 설치된다. 조절시트(411)의 양단은 각각 제1 조절기(430a)와 제2 조절기(430b)를 관통하여 동일한 방향(어린이 안전 좌석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노출되는 2개의 자유단(4111)을 형성한다. 제1 조절기(430a)와 제2 조절기(430b)는 각각 연결시트(412)를 경유하여 지지 바(30)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벨트 고정부(450)는 조절시트(41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어린이 안전 좌석(1)이 차량의 우측좌석과 좌측좌석에 장착될 때, 더 가까운 일측의 조절기를 이용하여 벨트 어셈블리(40)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힘을 가하는데 더 편리하다. 2개의 조절기로 조절함으로써 유사한 효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조절기는 벨트 어셈블리(40)의 길이를 더 큰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에는 하나의 조절기(430)만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벨트(410)에는 3개의 조절기(430)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조절기(430)는 양방향 조절기(뒤에서 설명함)일 수 있다.
도43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벨트 어셈블리(40)의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벨트 어셈블리(40)는 상부 벨트(410), 조절기(430), 벨트 고정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벨트(410)는 조절시트(411)와 연결시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시트(411)는 조절기(430)를 관통하여 자유단(411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조절기(430)에는 버튼이 구비도리 수 있다. 버튼이 가압되지 않을 때, 조절기(430)는 조절시트(411)를 잠그고, 버튼이 가압될 때, 조절기(430)는 조절시트(411)를 풀린다. 이때, 자유단(4111)을 당겨서 조절시트(411)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고, 조절시트(411)를 당겨서 조절시트(411)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44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벨트 어셈블리(40)의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벨트 어셈블리(40)에는 2개의 조절기(430)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조절기(430)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벨트(410)는 2개의 조절시트(411)와 하나의 연결시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시트(412)는 2개의 조절기(43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조절시트(411)는 각각 2개의 조절기(430)를 관통하여 서로 반대방향의 2개의 자유단(4111)을 형성함으로써, 2개의 자유단(4111)을 당겨서 2개의 반대방향으로 벨트 어셈블리(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 고정부(450)는 2개의 조절시트(411) 중의 하나의 말단에 고정된다. 2개의 조절시트(411) 중의 다른 하나는 지지 바(30)에 고정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 고정부(450)는 2개의 조절시트(411) 중의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조절시트(411) 중의 다른 하나는 지지 바(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 어셈블리(40)는 양방향 조절기(441)를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조절기(441)는 2개의 반대방향으로 벨트 어셈블리(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조절시트(411)는 각각 양단에서 양방향 조절기(441)를 관통하여 반대방향을 향하는 2개의 자유단(4111)을 형성함으로써, 2개의 자유단(4111)을 당겨 2개의 반대방향으로 벨트 어셈블리(40)의 길이을 조절할 수 있다.
도45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벨트 어셈블리의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46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벨트 어셈블리의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45와 도46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도43과 도44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고, 그 차이점은 양방향 조절기(440)를 사용하여 2개의 조절기(430) 및 연결시트(412)를 교체하였다.
도47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48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다른 일 사시도이다. 도49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단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지 않았다. 도50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단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었다. 도51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52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평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지 않았다. 도53은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저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지 않았다. 도54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평면도이고, 여기서, 버튼이 가압되었다. 도55는 본원의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방향 조절기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양방향 조절기(440)는, 반대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조절기 케이스(441); 각각 2개의 제1 개구에 구비되고, 조절기 케이스(441)에 진입하고 멀리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는2개의 버튼(442); 조절기 케이스(441)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2개의 제2 개구가 형성되는 고정시트(443); 조절기 케이스(441)의 내부에 구비되고, 각각 2개의 버튼(442)과 함께 이동되어 잠금위치와 풀림위치를 형성하는 2개의 잠금부재(444); 를 포함할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시트(예를 들면, 상부 벨트(410))는 각각 2개의 제2 개구를 경유하여 조절기 케이스(441)에 진입되고, 2개의 잠금부재(444)와 고정시트(443) 사이의 갭을 관통하고 조절기 케이스(441)에서 노출되어 2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형성한다. 여기서, 잠금위치에서 2개의 잠금부재(444)와 고정시트(443)는 각각 2개의 시트를 집고, 풀림위치에서 2개의 잠금부재(444)와 고정시트(443)는 2개의 시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2개의 버튼(442)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각각 2개의 버튼(442)에 조절기 케이스(441)를 향하는 회복력을 제공한다.
조절기 케이스(441)의 상면에는 2개의 인장 지시창(445)가 구비되어 각각 2개의 시트가 인장되어 있는지 지시한다. 2개의 버튼(442)의 상면에서 상이한 위치는 상이한 색갈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버튼(442)이 잠금위치이 있을 때, 인장 지시창(445)은 버튼(442)의 상면의 하나의 색갈(예를 들면, 녹색)을 나타내고, 버튼(442)이 풀림위치에 있을 때, 인장 지시창(445)은 버튼(442)의 상면의 다른 하나의 색갈(예를 들면, 빨간색)을 나타낸다. 교체적으로, 인장 지시창(445)은 조절기 케이스(441)의 기타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바닥면, 양단에 구비될 수 있고, 본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장 지시창(445)내에도 기타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 도형표기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장 지시창(445)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조절기 케이스(441)의 내부를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방향 조절기(440)는 상이한 방향에서 상부 벨트(4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벨트(410)가 양방향 조절기(440)를 관통할 때, 먼저 잠금부재(444)의 개구에서 상방으로 조절기 케이스(441)에 진입되고, 그 다음 상방으로 고정시트(443)와 버튼(442)의 내측(도55 중의 중간)을 관통하여, 그 다음 고정시트(443)를 회피하여 고정시트(443)의 외측(도55 중의 좌우 2개의 변)에서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어 고정시트(443)와 잠금부재(444)의 갭을 관통하고, 마지막으로 잠금부재(444)의 하방에서 외측으로 조절기 케이스(441)에서 노출된다.
이로써, 상부 벨트(410)가 인장될 때, 상부 벨트(410)는 잠금부재(444)와 고정시트(443) 사이에 집히게 되므로(왜냐하면 조절시트(111)가 인장될 때, 상부 벨트(410)는 외측으로 고정시트(443)를 당기므로, 고정시트(443)와 잠금부재(444)가 더 가까워진다), 상부 벨트(410)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고, 상부 벨트(410)의 길이를 조절하려고 할 때는 버튼(442)을 눌러, 고정시트(443)를 잠금부재(444)에서 멀리하도록 하고, 상부 벨트(410)가 풀려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양방향 조절기(440)를 사용할 때, 양방향 조절기(440)를 관통하는 2개의 상부 벨트(410) 각각은 지지 바(30)에 진입되고 벨트 고정부(450)와 연결되어, 길이를 상이한 방향으로 조절되는 벨트 어셈블리(40)를 실현할 수 있다.
도56 내지 도5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200)은 좌석(201) 및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100)를 포함한다.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100)는 베이스(1a), 지지 바(2) 및 상부노끈(3)을 포함하고, 베이스(1a)에는 좌석(201)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위치가 구비되고, 지지 바(2)는 베이스(1a)에 고정되어 장착위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부노끈(3)의 일단은 지지 바(2)에 고정되고, 좌석(201)은 장착위치에 장착된다. 좌석(201)이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지지 바(2)는 좌석(201)의 후방에 위치하고, 어린이 안전 좌석(200)을 차량 좌석에 장착시킨 후, 베이스(1a) 및 상부노끈(3)을 각각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하고, 그다음 지지 바(2)를 차량 좌석에 기대며, 지지 바(2)와 차량 좌석 사이의 거리가 좌석(201)과 차량 좌석 사이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지지 바(2)에 고정된 상부노끈(3)이 차량 좌석의 대응위치에 연결되는데 필요되는 길이가 기존의 좌석(201)에 고정된 상부노끈(3)이 필요하는 길이보다 작으므로, 상부노끈(3)의 사용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좌석(201)이 역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베이스(1a)의 장착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좌석(201)의 방향으로만 장착된다. 이때, 지지 바(2) 및 상부노끈(3)은 좌석(201)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부노끈(3)이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장착경로는 좌석(201)은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상부노끈(3)의 장착경로와 동일하다. 기존의 좌석(201)에 고정되는 상부노끈(3)과 비교해 볼때, 상부노끈(3)이 차량 좌석의 대응위치에 연결되는 장착경로는 좌석(201)상의 고객에 간섭하지 않는다.
도58 및 도5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바(2)는 지지관부(21) 및 가로 바부(22)를 포함하고, 지지관부(21)에는 중공구조를 구비한다. 지지관부(21)는 베이스(1a)에 고정되고, 가로 바부(22)는 지지관부(21)에 장착되고, 가로 바부(22)에는 하나의 천공(221a)이 구비되고, 천공(221a)과 지지관부(21)의 내부는 연통되고, 상부노끈(3)의 일단은 천공(221a)을 관통하여 지지관부(21)의 내벽에 고정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부노끈(3)은 가로 바부(22)의 표면에 직접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부노끈(3)은 지지관부(21)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관부(21)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지지관부(21)는 간격을 두고 베이스(1a)에 고정되고, 가로 바부(22)는 2개의 지지관부(21)에 고정되고, 가로 바부(22)에는 2개의 천공(221a)이 구비되고, 2개의 천공(221a) 각각은 2개의 지지관부(21)의 내부에 대응되게 연통된다. 상부노끈(3)은 고정부(31) 및 2개의 고정부(31)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장착부(32)를 포함하고, 2개의 고정부(31)는 각각 2개의 천공(221a)을 대응되게 관통하고, 2개의 고정부(31)는 각각 2개의 지지관부(21)내에 고정되고, 장착부(32)는 차량 좌석과 연결되는데 사용된다. 지지 바(2)의 지지관부(21) 및 상부노끈(3)의 고정부(31)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관부(21)에는 하나 또는 3개 등 구비될 수 있고, 상부노끈(3)의 고정부(31)의 수량도 하나 또는 3개 등 구비될 수 있다.
도59를 참조하면, 어린이 안전 좌석(200)은 제1 연결부재(4)를 더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4)는 지지관부(21)내에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부노끈(3)의 일단에는 시트 링(311)이 구비되고, 시트 링(311)은 제1 연결부재(4)에 외삽되고, 여기서, 제1 연결부재(4)는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부노끈(3)이 지지관부(21)에 고정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부노끈(3)은 리벳을 통하여 지지관부(21)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부노끈(3)의 일단은 지지관부(21)에 걸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린이 안전 좌석(200)은 제2 연결부재(5)를 도 포함할 수 있고, 가로 바부(22)에는 제1 연결홀(222)이 구비되고, 지지관부(21)에는 제2 연결홀(211)이 구비되고, 제2 연결부재(5)는 제1 연결홀(222) 및 제2 연결홀(211)을 관통하여, 가로 바부(22)를 지지관부(21)에 고정시키고, 제2 연결부재(5)를 설치함으로써, 지지 바(2)를 생산하거나 장착하는데 편리하고, 또한 지지관부(21) 및 가로 바부(22)에 대하여 탈착하는기에 편리하다. 여기서, 제2 연결부재(5)는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도57을 참조하면, 상부노끈(3)을 편리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상부노끈(3)의 타단에는 제1 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베이스(1a)에는 상부노끈(3)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위치(11)가 구비되고, 제1 고정부재는 탈착가능하게 저장위치(11)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저장위치(11)는 오목한 구조이고, 상부노끈(3)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형성한다. 베이스(1a)에는 저장위치(11)에 위치하는 제2 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중의 하나는 수 걸림구조이고,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중의 다른 하나는 암 검림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고정부재는 수 걸림구조이고, 제2 고정부재는 암 검림구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방식은 기존의 벨크로시트 또는 단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60 및 도6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1a)는 케이싱(12) 및 브라켓(13)을 포함하고, 브라켓(13)은 케이싱(12)의 내부에 구비되고, 지지 바(2)는 케이싱(12)을 관통하여 브라켓(13)에 고정연결된다. 어린이 안전 좌석(200)은 지지 바(2)의 강도를 향상하기 위한 보강시트(6)를 더 포함하고, 보강시트(6)는 베이스(1a), 지지 바(2) 각각에 고정연결된다. 여기서, 보강시트(6)는 베이스(1a)의 브라켓(13)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 보강시트(6)일 수 있고, 상기 보강시트(6)는 케이싱(12)에서 돌출되어 노출되고 지지 바(2)의 지지관부(21)에 연결된다. 보강시트(6)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강시트(6)는 하나의 독립적인 부재일 수 있고, 보강시트(6)는 베이스(1a), 지지 바(2) 각각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보강시트(6)를 설치함으로써 지지 바(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 바(2)가 큰 힘을 받아 끊어지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시트(6)는 지지 바(2)의 지지관부(21)의 길이방향을 구비될 수 있고, 보강시트(6)의 바닥부는 베이스(1a)에 고정될 수 있고, 보강시트(6)의 측벽은 지지 바(2)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바(2)의 하부가 지지 바(2)의 상부보다 굴게 할 수 있고, 즉 지지 바(2)의 지지관부(21)를 상부가 약하고 하부가 강하게 설치시켜, 지지 바(2)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또는 지지 바(2)의 지지관부(21)를 힘을 받는 방향으로 일정한 호도를 형성시켜, 지지 바(2)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 좌석(200)은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100)를 구비하고, 베이스(1a)에 일 지지 바(2)를 고정시키고, 지지 바(2)가 좌석(201)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위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노끈(3)의 일단이 지지 바(2)에 고정되어 좌석(201)이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지지 바(2)가 좌석(201)의 뒤쪽에 위치하고, 어린이 안전 좌석(200)을 차량 좌석에 장착시킨 후, 지지 바(2)와 차량 좌석 사이의 거리가 좌석(201)과 차량 좌석 사이의 거리보다 짧으므로, 지지 바(2)에 고정되는 상부노끈(3)이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데 필요되는 길이가 기존의 좌석(201)에 고정된 상부노끈(3)이 필요하는 길이보다 작으므로, 상부노끈(3)의 사용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부노끈(3)의 재료사용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좌석(201)이 역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베이스(1a)의 장착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좌석(201)방향으로 장착시킨다. 이때, 지지 바(2) 및 상부노끈(3)은 좌석(201)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부노끈(3)이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장착경로는 좌석(201)이 정방향으로 장착위치에 장착될 때 상부노끈(3)의 장착경로와 동일하다. 기존의 좌석(201)에 고정되는 상부노끈(3)과 비교해 볼 때, 상부노끈(3)이 차량 좌석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장착경로는 좌석(201)의 고객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좌석(201)의 고객의 쾌적감을 향상시키고, 어린이 안전 좌석(200)의 승객의 우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 및 이에 공개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안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어떠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커버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공개의 일반적인 원리를 준수하며, 본 발명에 공개되지 않은 해당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지적된다.
전형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사용된 용어는 한정적이 아니고 설명 및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과 실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방식으로 구체적을 시시될 수 있고,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는 전술의 어떠한 세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내에서 광범하게 해석되어야 하므로 청구범위 또는 이와 동등한 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변화는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어린이 안전 좌석 1, 200
베이스 10, 1a
체결부 110
체결암 111
링형부 120
베이스 보강부재 121
저장위치 11
케이싱 12
브라켓 13
좌석 20, 201
링형부 220
좌석 보강부재 221
백레스트 230
보강관 231
위치 한정 링 2311
지지 바 30, 2
수직 바 310
가로 바 320
고정부 320a
개구 330
수용부 340
플렉시블 부재 341
바 부재 350
관통홀 351
장착홈 352
커버 플레이트 360
지지관부 21
제2 연결홀211
가로 바부 22
천공 221
제1 연결홀222
벨트 어셈블리 40
상부 벨트 410
조절시트 411
제1 조절시트 411a
제2 조절시트 411b
자유단 4111
연결시트 412
제1 연결시트 412a
제2 연결시트 412b
조절기 430
제1 조절기 430a
제2 조절기 430b
벨트 고정부 450
케이스 431
버튼(조절단) 432
양방향 조절기 440
조절기 케이스 441
버튼 442
고정시트 443
잠금부재 444
인장 지시창 445
벨트 고정부 450
연결부재 460
경보장치 50
본체부 510
스위치 520
경보기 530
구동부재 60
연결부 610
트리거부 620, 620a
연동부재 630
탄성 복귀부재 640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 100
상부노끈 3
고정부31
시트 링311
장착부32
제1 연결부재4
제2 연결부재5
보강시트6

Claims (48)

  1. 차량좌석에 장착되는 어린이 안전 좌석에 있어서,
    상기 차량좌석에 연결되는 체결부(110)를 구비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좌석(20);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30);
    서로 연결되는 상부 벨트(410)와 벨트 고정부(4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지지 바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450)는 상기 차량좌석에 연결되는 벨트 어셈블리(40);
    스위치(5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스위치를 트리거하는 경보장치(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될 때, 경보하고; 및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제자리에 고정될 때, 또는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되지 않고 상기 체결부가 인장되지 않을 때, 경보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스위치가 트리거되는 상황에 따라 경보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본체부(510) 및 상기 본체부가 경보할 것을 결정할 때 상기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기(53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520)는 상기 본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경보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부(620)와 상기 상부 벨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610)를 포함하는 구동부재(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트리거부를 연결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은 상기 지지 바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의 상부에는 개구(33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고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바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좌우 대칭되게 세워지는 2개의 수직 바(310)와;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상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가로 바(320a)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수직 바의 각 수직 바의 상단에는 모두 하나의 상기 개구가 구비되고,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수직 바 각각의 개구를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2개의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동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트리거부에 연결되고,
    상기 트리거부는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고, 탄성 회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회복부재는 상기 각 트리거부가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하지 않도록 복귀되는 힘을 가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상부 벨트의 인장에 응답하여, 상기 트리거부가 대응되는 스위치에 접촉하여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세워지는 수직 바(310)와; 상기 수직 바의 상단에 연결되는 가로 바(320a)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바의 상면에는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 바의 하면에는 수용부(340)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여 트리거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지지 바와 상기 트리거부를 둘러싸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트리거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지지 바 내부에 이동하여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복수의 트리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는 각각 이에 관련되는 대응되는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대응되는 스위치가 상기 본체부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복수의 트리거부 중의 하나의 트리거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바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복판에 세워지는 하나의 수직 바(310)와, 횡방향으로 상기 수직 바의 상단에 구비되는 수용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면의 복판에는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은 상기 수용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횡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직 바의 횡방향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에는 스토퍼(460)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는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 이동하도록 허용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트리거부는 시트체로 형성되고, 연동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벨트의 상기 일단에 연결되고, 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3. 어린이 안전 좌석에 있어서,
    체결부(110)를 구비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좌석(20);
    바 부재(350)와 수용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바 부재가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바 부재에 구비되는 지지 바(30);
    상부 벨트(410)와 벨트 고정부(4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바 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바 부재의 상부에 외삽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바 부재에서의 이동범위를 한정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트리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 부재의 상부는 관통홀(351)을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트리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하나의 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인장은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스위치를 트리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플렉시블 부재(341)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7. 어린이 안전 좌석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이 안전히 설치되었는지에 대하여 경보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경보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장치는,
    온/오프 가능한 복수의 스위치(520);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경보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본체부(510);
    상기 본체부가 경보한다고 결정되었을 때, 상기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기(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2개의 체결암(111)을 포함하고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110)를 구비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30);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4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각각 상기 2개의 체결암이 제자리에 고정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와 상기 벨트 어셈블리가 인장됨에 따라 오프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2개의 체결암(111)을 포함하고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110)를 구비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30);
    하나 또는 2개의 상부 벨트(410)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상부 벨트는 각각 일부가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40);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2개의 체결암이 제자리에 고정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와 각각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상부 벨트가 인잠됨에 따라 오프되는 2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트리거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지지 바의 상부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트리거부를 권취하여, 상기 상부 벨트가 인장될 때,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트리거부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고, 상기 트리거부가 상방으로 더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의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커버 플레이트(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바의 상부에 외삽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내에는 상기 트리거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고, 일 탄성 회복부재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트리거부 사이에 연결되어 당기는 힘을 가하고, 상기 하나의 스위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내에 구비되고,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홈내에서 이동될 때 상기 하나의 스위치를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의 일단은 상기 지지 바의 상부의 후측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바의 하측, 전방측 및 상측을 경유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3. 어린이 안전 좌석에 있어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보강관(231)이 형성되는 백레스트(230)를 포함하는 좌석(20);
    서로 연결되는 상부 벨트(410)와 벨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가 상기 백레스트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좌석에는 상기 베이스에 접합되는 보강구조가 구비되는 벨트 어셈블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은 서로 대응되는 링형부(120, 22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이 연결되어 상기 좌석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석의 상기 링형부에는 각각 서로 연결되는 베이스 보강부재(121)와 좌석 보강부재(221)가 구비되어 상기 좌석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연결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복수의 베이스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은 복수의 좌석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보강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링형부의 원주에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좌석 보강부재는 각각 상기 복수의 베이스 보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보강부재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의 양측에는 각각 위치 한정 링(23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백레스트에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위치 한정 링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27. 어린이 안전 좌석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벨트 어셈블리(40)에 있어서,
    상기 벨트 어셈블리는,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기(430);
    상기 차량의 대응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벨트 고정부(450);
    적어도 2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과 상기 벨트 고정부를 연결하는 상부 벨트(410);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벨트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는 상기 조절기를 관통하여 적어도 2개의 자유단(41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은, 베이스(10), 상기 베이스 상방에 구비되는 좌석(20) 및 상기 베이스 후방부에 세워지는 지지 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단일 방향 조절기이고, 상기 상부 벨트는 3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일단은 각각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타단은 각각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3 시트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벨트는 상기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를 통하여 2개의 자유단(41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양방향 조절기 또는 단일 방향 조절기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자유단은 상기 상부 벨트가 양방향 조절기 또는 단일 방향 조절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3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일단은 각각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타단은 일 연결부재(460)를 경유하여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3 시트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제4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시트와 상기 제4 시트는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 또는 하나의 양방향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4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제4 시트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3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의 양단은 각각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2 시트의 일단은 상기 제1 시트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3개의 시트 중의 제3 시트의 일단은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 또는 하나의 양방향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시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제3 시트의 타단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2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시트의 일단은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2개의 시트의 타단은 상기 조절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2개의 시트 중의 하나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절기는 양방향 조절기이고, 상기 양방향 조절기는 2개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는 2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시트 중의 제1 시트의 일단는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시트의 타단은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 또는 하나의 양방향 조절기를 경유하여 상기 2개의 시트 중의 제2 시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제2 시트의 타단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주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는 반대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2개의 단일 방향 조절기 사이는 연결시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7. 어린이 안전 좌석에 있어서,
    후방으로 노출되는 체결부(110)를 구비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좌석(20);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지지 바(30); 및
    제27항의 벨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상부 벨트는 상기 지지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38. 어린이 안전 좌석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벨트 어셈블리(40)에 있어서,
    2개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벨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양방향 조절기;
    상기 차량의 대응되는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는 벨트 고정부(450);
    서로 분리되는 2개 이상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조절기와 상기 어린이 안전 좌석을 연결하고, 상기 양방향 조절기와 상기 벨트 고정부를 연결하는 상부 벨트(4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조절기는,
    반대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조절기 케이스;
    상기 2개의 제1 개구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조절기 케이스에 진입하거나 멀리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버튼;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2개의 제2 개구가 형성되는 고정시트;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각각 상기 2개의 버튼과 함께 이동하여 잠금위치와 풀림위치를 형성하는 2개의 잠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40. 제39항에 있어서,
    2개의 시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제2 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조절기 케이스에 진입되고,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 사이의 갭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기 케이스에 노출되어, 2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는 각각 상기 2개의 시트를 집고, 상기 풀림위치에서 상기 2개의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시트는 상기 2개의 시트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2개의 인장 지시창이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시트가 인장되는지 여부를 지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어셈블리.
  42.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에 있어서,
    베이스, 지지 바 및 상부노끈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좌석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바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위치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노끈의 일단은 상기 지지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지지관부 및 가로 바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 바부는 상기 지지관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부는 중공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 바부에는 천공이 구비되고, 상기 천공은 상기 지지관부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상부노끈의 일단은 상기 천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관부의 내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부내에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노끈의 일단에는 시트 링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 링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외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끈의 타단에는 제1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부노끈을 저장하는 저장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저장위치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저장위치에 위치하는 제2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위치는 오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 좌석 지지구조.
KR1020227017834A 2019-11-18 2020-11-18 벨트 어셈블리, 어린이 안전 좌석 및 이의 지지구조 KR20220084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138004.5A CN112810510B (zh) 2019-11-18 2019-11-18 儿童安全座椅及其支撑结构
CN201911138004.5 2019-11-18
CN202011187523.3 2020-10-29
CN202011187515.9 2020-10-29
CN202011187523.3A CN114425973A (zh) 2020-10-29 2020-10-29 系带组件和儿童安全座椅
CN202011187515.9A CN114425972A (zh) 2020-10-29 2020-10-29 儿童安全座椅
PCT/CN2020/129670 WO2021098710A1 (zh) 2019-11-18 2020-11-18 系带组件、儿童安全座椅及其支撑结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406A true KR20220084406A (ko) 2022-06-21

Family

ID=7598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834A KR20220084406A (ko) 2019-11-18 2020-11-18 벨트 어셈블리, 어린이 안전 좌석 및 이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96184A1 (ko)
EP (1) EP4063189A4 (ko)
JP (2) JP7419526B2 (ko)
KR (1) KR20220084406A (ko)
AU (1) AU2020388822B2 (ko)
CA (1) CA3158577A1 (ko)
TW (2) TWI797502B (ko)
WO (1) WO2021098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2964A (zh) * 2020-03-03 2021-09-07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前向误用报警装置
CN115303142B (zh) * 2021-05-06 2024-03-26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用于其的支撑组件
CN116729216A (zh) * 2022-03-04 2023-09-12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4304B1 (en) * 1999-10-22 2002-09-2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sensing and restraining an occupant of a vehicle seat
US6868745B2 (en) * 2002-05-07 2005-03-22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restraint buckle and tension sensing assembly
EP1755915B1 (en) * 2004-06-07 2015-08-12 Delphi Technologies, Inc. Child seat and monitoring system
US7422283B2 (en) * 2004-06-07 2008-09-09 Delphi Technologies, Inc. Child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stallation of the child restraint system
DE102006034557A1 (de) 2005-11-30 2007-08-02 Cybex Industrial Ltd. Drehbarer Kindersitz für Kraftfahrzeuge
US20080012401A1 (en) * 2006-05-09 2008-01-17 Britax Child Safety, Inc. Energy absorbing tether for child safety seat
WO2007134907A2 (en) * 2006-05-18 2007-11-29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Gm-csf gene therapy for treatment of crohn's disease using an improved regulated expression system
US7784874B2 (en) * 2006-12-08 2010-08-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seat anchor restraint system for child safety seats
US8235463B2 (en) * 2010-02-05 2012-08-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ild seat tethering system
FR2988352A1 (fr) * 2012-03-22 2013-09-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Limiteur de force de traction sur une ceinture
CN104540709A (zh) * 2012-06-29 2015-04-22 茵发-安全股份有限公司 用于约束儿童的基础单元
WO2016183156A1 (en) * 2015-05-12 2016-11-17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and connection system
US9688166B2 (en) * 2015-09-17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tatable anchors providing enhanced child restraint system interface accessibility
CN106671836B (zh) * 2015-11-06 2020-04-03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调整机构及具有该调整机构的儿童安全座椅
US9663032B1 (en) * 2015-11-09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ild sea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9688195B1 (en) * 2015-12-09 2017-06-27 Mark Hammond Vehicle occupancy indication safety system
JP6611634B2 (ja) * 2016-02-26 2019-11-27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CN205573678U (zh) * 2016-03-28 2016-09-14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储存装置
AU2018219223A1 (en) * 2017-02-07 2019-08-29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Web adjuster
US10115282B1 (en) * 2017-10-17 2018-10-30 Joseph Merrill Baby car seat and dock alarm system
CN208248021U (zh) * 2018-05-30 2018-12-18 浙江感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电子报警系统
CN110103786A (zh) * 2018-07-17 2019-08-09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安装提示功能的儿童安全座椅及其安装提示方法
CN109177830A (zh) * 2018-09-29 2019-01-1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具有报警系统的儿童安全座椅
DE102020115441A1 (de) * 2019-06-12 2020-12-17 Wonderland Switzerland Ag Kindersitz und entsprechende Halteseilanordnung
CN110370993A (zh) * 2019-07-02 2019-10-25 宁波惠尔顿婴童安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3189A1 (en) 2022-09-28
JP2023501822A (ja) 2023-01-19
TWI797502B (zh) 2023-04-01
US20220396184A1 (en) 2022-12-15
EP4063189A4 (en) 2024-04-03
AU2020388822A1 (en) 2022-06-09
TW202128459A (zh) 2021-08-01
CA3158577A1 (en) 2021-05-27
JP7419526B2 (ja) 2024-01-22
WO2021098710A1 (zh) 2021-05-27
AU2020388822B2 (en) 2024-05-02
TW202327910A (zh) 2023-07-16
JP2024029214A (ja)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4406A (ko) 벨트 어셈블리, 어린이 안전 좌석 및 이의 지지구조
US5829831A (en) Rear sea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5388516B2 (ja) 子供のカーシート用ラッチ機構
US6601923B2 (en) Emergency vehicle seat with integrated seat belt
US8113567B2 (en) Structure for storing vehicular seat
US11634049B2 (en) Lower and upper latch anchor use detection sensing device
US6561543B1 (en) Vehicular child seat detection system
CN114929512A (zh) 具有安装导引和锁定抗反弹机构的汽车座椅底座
JP2009113789A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JP2604685Y2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CN112810510B (zh) 儿童安全座椅及其支撑结构
JP2004210030A (ja) 車両用シート
JP2000177451A (ja) 子供用シート
US20240075855A1 (en) Child safety seat for safety warning system and child safety seat
CN114425972A (zh) 儿童安全座椅
JP4401350B2 (ja) シート装置
KR20230081611A (ko)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30081597A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06088943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10069924A (ja) 車両用座席
JP2000255298A (ja) リヤシート
JPH075759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