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350A -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 Google Patents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350A
KR20220084350A KR1020227016391A KR20227016391A KR20220084350A KR 20220084350 A KR20220084350 A KR 20220084350A KR 1020227016391 A KR1020227016391 A KR 1020227016391A KR 20227016391 A KR20227016391 A KR 20227016391A KR 20220084350 A KR20220084350 A KR 20220084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amine
weight
foam
formaldehyd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찬 알렉산더 바이세
베르너 렌즈
베른하르트 바스
토비아스 헤인즈 스타인케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2008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3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3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bstituted triazines
    • C08G12/32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42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20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suspension 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330/00Thermal insulation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350/00Acoustic or vibration damp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2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premixing or pre-blending a part of the components of a foamable composition, e.g. premixing the polyol with the blowing agent, surfactant and catalyst and only adding the isocyanate at the time of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J23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J23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예컨대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및 피페리디놀 유도체 0.1 내지 8 중량% 및 추가로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 예컨대 유기 변성 실록산 및 실란 1 내지 3 중량%을 포함하는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및 이러한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본 발명은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이의 제조 방법 및 소음 차단벽에서의 이의 용도의 관한 것이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에 기초한 연속 기포 탄성 폼과, 고온의 공기, 수증기 또는 마이크로파 조사로 가열함으로써 발포제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분산액 또는 용액을 발포 및 가교한 후 건조 및 어닐링 단계로 상기 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US 2015/0210814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일반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방음성 및 단열성뿐만 아니라 낮은 이연성을 가진다.
일부 목적을 위해 추가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을 기준으로 통상적인 첨가제를 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염료, 난연제, UV-안정제 또는 섬유성 충전제, 연소 가스 독성을 감소시키거나 탄화를 촉진하기 위한 제제(agent)를 첨가할 수 있다.
CN 106 800 667 A에는 수성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유화제, 발포제, 경화제, 착색제, 광 안정제 및 첨가제로부터 제조된 착색된 멜라민 폼이 개시되어 있다. 광 안정제로서 o-히드록시 벤조페논 및 벤조트리아졸 자외선 흡수제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WO 2018/095760에는,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시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물 M은 하나 이상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하나 이상의 경화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발포제 및 500 내지 10,000 g/mol 범위 내의 수 평균 분자량 Mn 및 OH, NH2 또는 COOH로부터 선택된 2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및 또한 상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US 2012/292552는, 중공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으로서, 상기 중공 마이크로스피어가 260 μm 내지 490 μm 범위 내의 중앙 입경(D50, 부피 평균됨, Malvem, 프라운호퍼 회절)을 갖는 것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및 또한 상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연속 기포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폼 매트릭스에 적용된 실리콘, 파라핀, 실리콘 계면활성제, 불소계면활성제, 소수성 탄화수소성 계면활성제, 실리콘 및 플루오로카본 에멀젼으로(US 2008/0280126 및 WO 2019/052825) 또는 스테아릴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US 2010/0234480) 함침시킴으로써 소수화될 수 있다.
발포 단계에서 상이한 첨가제들을 조합하는 것은 열등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폼을 야기하거나 심지어 폼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폼의 함침을 통해 적용된 첨가제는 함침을 위한 균일한 에멀젼 또는 용액을 형성하기에 상용성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배경기술의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을 유지하면서 감소된 수분 흡수와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및 피페리디놀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0.2 내지 8 중량% 및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적합한 UV-안정제는 유기 또는 무기 UV-흡수제, 예컨대 방향족 또는 방향족 헤테로고리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옥사닐리드, 페닐트리아진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또는 산화철 안료이다. 더 나아가, 지방족 헤테로고리 화합물의 염, 예컨대 피페리디놀 유도체 또는 힌더드 아민 광 안정제(HALS), 예컨대 테트라메틸피페리딘이 UV-안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V-안정제는 트리부틸 시트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UV-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및 피페리디놀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UV-안정제는 추가의 첨가제, 예컨대 트리부틸 시트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UV-안정제로서 BASF SE사에서 Tinogard® HS로 시판되는 벤젠술폰산, 3-(2H-벤조트리아졸-2-일)-4-히드록시-5-(1-메틸프로필)-, 일나트륨 염 또는 BASF SE사에서 Tinogard® Q로 시판되는 트리스(테트라메틸히드록시피페리디놀) 시트레이트를 포함한다.
UV-안정제에 추가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0.2 내지 8 중량% 및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 0.1 내지 2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1 내지 5 중량% 및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 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한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소수화제로서 플루오로카본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는 유기 변성 실록산 및 실란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밀도는 8 내지 12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 kg/m3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로 상기 기재된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US 2015/0210814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UV-안정제는 발포 전에 다른 성분들에 첨가함으로써 또는 UV-안정제를 포함하는 용액 또는 에멀젼으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함침시킴으로써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내에 혼입될 수 있다. 임의의 소수화제가 바람직하게는 소수화제를 포함하는 용액 또는 에멀젼으로의 함침에 의해 첨가된다.
제1 실시양태에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단계 a)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물 M은 하나 이상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하나 이상의 경화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발포제 및 하나 이상의 UV-안정제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UV-안정제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BASF SE사로부터 Tinogard® HS로 시판되는 벤젠술폰산, 3-(2H-벤조트리아졸-2-일)-4-히드록시-5-(1-메틸프로필)-, 일나트륨 염이 사용된다.
단계 a)에서 UV-안정제를 함유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제조 이후에, 생성된 폼을 단계 b)에서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로 함침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양태에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단계 a)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물 M은 하나 이상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하나 이상의 경화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단계 b)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및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로 단계 a)에서 제조된 폼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UV-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피페리디놀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BASF SE사에서 Tinogard® Q로 시판되는 트리스(테트라메틸히드록시피페리디놀) 시트레이트가 사용된다.
제3 실시양태에서 임의의 시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예컨대 Basotect®가 단계 a)에서 제공되며 단계 b)에서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및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로 함침될 수 있다.
모든 실시양태에서 UV-안정제 및 소수화제는 상기 기재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에 대해 상술된 양으로 사용된다.
모든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로카본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가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수화제는 수중 에멀젼의 형태로 또는 휘발성 유기 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펜탄 중의 용액으로 사용된다. 불연성 및 작업 안정 측면의 이유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가 수중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된다.
모든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변성 실록산 및 실란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수화제로서 적합한, 반응성 유기 변성 실록산 및 실란에 기초한 무용매 에멀젼은 Evonik사에서 Tegosivin® HE 328로 시판된다.
단계 a)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은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두 성분, 멜라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시판 예비축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대 포름알데히드의 몰비가 5:1 내지 1.3:1, 보다 바람직하게는 3.5:1 내지 1.5 내지 1 범위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수 평균 분자량 Mn이 200 g/mol 내지 1000 g/mol 범위이다. 비변성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또한 이들의 혼합물이 분산제/유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디페닐렌 옥사이드 술포네이트, 알칸 및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 올레핀술포네이트, 알킬 에테르 술포네이트, 지방 알코올 술페이트, 에테르 술페이트, α-술포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아미노알칸술포네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N-아실사르코시네이트, 알킬 및 알킬에테르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유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아민 옥사이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소비탄 에스테르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포함한다. 유용한 양이온성 유화제는 예를 들어 알킬트리암모늄 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염 및 알킬피니디늄 염을 포함한다.
분산제/유화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을 기준으로 0.2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M은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0 내지 90 중량% 및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 내지 50 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중량백분율은 각각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경화제로서 멜라민 수지의 추가 축합을 촉매하는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화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모두 예비축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 내이다. 유용한 산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질산, 포름산, 아세트산, 옥살산, 톨루엔술폰산, 아미도술폰산, 산 무수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및 무기 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포름산이 경화제로서 사용된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의 선택에 따라, 혼합물은 발포제를 포함한다. 혼합물 중 발포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폼에 대해 원하는 밀도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에 관한 양은 폼의 밀도가 8 내지 12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 kg/m3인 양으로 선택된다.
대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물리적 및 화학적 발포제 둘 다를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물리적 발포제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 예컨대 펜탄, 헥산, 할로겐화, 보다 구체적으로 염소화 및/또는 불소화, 탄화수소, 예를 들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탄, 염화불화탄소,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에테르, 케톤 및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포름산메틸, 포름산에틸, 아세트산메틸 또는 아세트산에틸을 액체 형태로, 또는 공기, 이산화 탄소 또는 질소를 기체로서 포함한다.
유용한 화학적 발포제는 예를 들어, 활성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물과 혼합된 이소시안산염을 포함한다. 산과 혼합된 탄산염 및 중탄산염을 이용하는 것이 추가로 가능하며, 이 경우 다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또한 아조 화합물, 예를 들어 아조디카본아미드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발포제는 혼합물 중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끓는점이 0℃ 내지 80℃인 물리적 발포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펜탄이 발포제로서 사용된다.
예비축합물은 일반적으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의 현탁액을 가열함으로써 발포되어 발포된 물질을 얻는다.
에너지의 도입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0 GHz,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된 혼합물 1 kg당 5 내지 400 kW,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kW,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0 kW에서의 고주파 조사와 같은 전자기 조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은 유전체 조사의 유용한 공급원이며, 하나의 마그네트론을 사용하거나 2 이상의 마그네트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된 발포된 물질을 마지막으로 건조시켜, 폼으로부터 잔여 물 및 발포제를 제거한다.
기재된 방법은 발포된 물질의 블록/슬랩(slab)을 제공하며, 이는 임의의 바람직한 형태로 치수에 맞춰 절단될 수 있다.
제1 실시양태에서 단계 a)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단계로 이루어진다:
a1) 하나 이상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100 중량부,
하나 이상의 경화제 2 내지 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3.3 중량부,
계면활성제 혼합물 0.2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3 중량부,
무기 산 및/또는 유기 카르복시산의 하나 이상의 염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3.6 중량부,
하나 이상의 발포제 1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1 중량부,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0.2 내지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물 25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44 중량부
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 M을 제조하는 단계,
a2) 상기 혼합물 M을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
a3) 150℃ 내지 290℃ 온도 범위 내의 고온의 공기 및/또는 질소를 사용하여 폼을 어닐링하는 단계.
단계 b)
폼의 함침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 즉, WO 2019/052825 또는 US 2008/0280126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실시양태에서 단계 b)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단계로 이루어진다:
b1)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 임의로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추가의 첨가제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
b2) 단계 (b1)의 혼합물을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에 적용하는 단계,
b3) 임의로, 혼합물을 폼의 공극 내로 도입시키기 위해 폼을 후압축(post-pressing)하는 단계, 및
b4) 폼을 건조하는 단계.
단계 b2)에서 발포시키기 위한 혼합물은, 혼합물로 폼을 담금으로써 또는 바늘 주입(needle injection)에 의해 폼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b3)에서 혼합물을 지닌 폼의 후압축에 의해, 혼합물은 균일한 분포로 폼의 공극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폼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롤러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여기서 롤러의 거리는 폼이 함께 압축되도록 선택된다. 적용된 함침 혼합물은 나란히 위치한 수평 롤러에 적용되어, 그 자리에서, 폼이 롤러를 통해 액체 풀이 형성된 곳으로 이동하게 한다. 롤러의 회전 동작 및 폼의 압축에 의해 혼합물은 액체 풀로부터 폼 내로 압축된다. 혼합물은 폼의 그물 주위에 산재하며 이로써 경화 후에 폐쇄된 표면을 형성한다.
단계 b4)에서 건조는 는 일정 중량이기까지 40℃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범위 내의 온도로 건조 오븐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항공기, 선박, 철도 및 자동차의 건설, 기계공학 또는 건물의 건설에서의 방음 및/또는 단열을 위해, 특히 내벽 및 외벽, 지붕, 파사드, 문 및 바닥의 단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바람직한 용도는 도로, 하이웨이 및 철로를 따른 소음 차단벽에서의 용도이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가 아니다. 
측정 방법:
램(ram) 압력 값[N]: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기계적/탄성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든 램 압력 값 측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직경 8 mm 높이 10 cm의 원통형 강철 램을 직경 11 cm 높이 5 cm의 원통형 폼 샘플 내로 폼 샘플의 파단시까지 수직으로 압축시켰다. 폼 샘플의 파단시까지 램에 의해 가해진 최대 힘(단위: N)은 이하 내용에서 또한 램 압력 값으로 지칭되며 폼의 기계적/탄성 품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램 압력 값이 클수록,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기계적/탄성 특성이 더 우수하다.
수분 흡수:
소수성을 DIN EN 1609에 따른 단기간의 부분적인 침지 중의 수분 흡수 Wp로 측정하였다. 이후 시편(150 x 150 x 25 mm)을 빈 수조 내에 위치시키고 물을 첨가하는 동안 부분적으로 잠겨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로딩하였다. 이후, 시편의 밑면이 수위보다 10 mm 아래가 되기까지 조심스럽게 물을 수조에 첨가하였다. 24 h 후에 시편을 꺼냈다. 10 분의 적하 시간(dripping time) 후 다시 칭량하고 시편의 질량 m24을 측정하였다. 1제곱미터당 키로그램 단위의 물의 흡수는 m24와 m0의 차를 제곱미터 단위의 시편의 아래쪽 경계 표면 Ap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DIN EN 13162에 따라 시험 결과는 1.0 kg/m2의 수분 흡수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내후성
폼의 시험 샘플을, ISO 4892-2, 방법 A에 따라 Heraeus X 450 조사 장치에서 조사와 습기로 처리하였다. 내후성 측정을 위해 샘플을 1000h, 2000h 및 3000h에 꺼냈다. 후속하여 파단시 연신율을 ISO 1798에 따라 측정하였다. 조사 전의 샘플에 비해 조사 후에 파단시 연신율이 감소하지 않은 경우 내후성이 우수하다고 측정하였다.
연소 시험
연소 시험을 EN ISO 11925-2 (2010)에 따라 수행하였다. 결과를 DIN EN 13501-1 (2010)에 따라 예비 등급화하였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은 바람직하게는 EN ISO 11925-2 (2010)에 따른 연소 시험에서 ≤150 mm의 화염 높이를 가졌다.
사용된 물질:
MF 평균 분자량(수평균) M이 350 g/mol이고 멜라민:포름알데히드의 몰비가 1:3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이는 멜라민 외에는 추가 열경화성 수지-형성제(thermoset-former)를 포함하지 않고 포름알데히드 외에는 추가 알데히드를 포함하지 않으며 술파이트 기가 없다.
T1 C12/C14-알킬 술페이트, 나트륨 염.
T2 선형 포화 C16/C18 지방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알킬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UV1 Tinogard® HS (벤젠술폰산, 3-(2H-벤조트리아졸-2-일)-4-히드록시-5-(1-메틸프로필)-, 일나트륨 염, BASF SE사제).
UV2 Tinogard® Q 트리스(테트라메틸히드록시피페리디놀) 시트레이트, BASF SE사제
UV3 Cibafast H (나트륨 3-(2H-벤조트리아졸-2-일)-5-sec-부틸-4-히드록시벤젠술포네이트 및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HA Tegosivin® HE 328 (반응성 유기 변성 실록산 및 실란 기초 무용매 에멀젼)
비교실시예 C3:
제1 단계에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MF 100 중량부, 물 38 중량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T1 1.2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T2 0.3 중량부, 포름산나트륨 2.5 부, 포름산 3.0 부, UV-안정제 UV 1(Tingogard® HS) 2.5 중량부 및 펜탄 18 중량부를 20 내지 35℃의 온도에서 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폴리프로필렌의 발포 몰드 내로 도입하고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마이크로파로 조사하였다. 마이크로파 조사 후에 얻어진 폼 바디를 20분 동안 200℃로 순환 공기 오븐에서 어닐링시켰다. 램 압력 값은 30 N였다.
비교실시예 C1:
비교실시예 C3을 UV-안정제 UV1의 첨가 없이 반복하였다. 램 압력 값은 29 N였다.
비교실시예 C2:
비교실시예 C3을 UV1 대신 UV-안정제 UV2 2.5 중량부의 첨가와 함께 반복하였다. 램 압력 값은 22 N였다.
램 압력 값에서 알 수 있듯이, UV-안정제 UV1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기계적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발포 전에 UV1을 혼합물에 첨가함으로써 폼 매트릭스 내로 혼입될 수 있다.
실시예 2:
비교실시예 C3 유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50 mm 두께의 시트형 블랭크(blank)를 발수제 Tegosivin® HE 328 5 중량부, 및 물 995 중량부로 이루어진 분산액에 침지하였다. 함침된 시트를 후속하여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두 롤러 사이의 간극으로 통과시키고(Foulard, Mathis HVF 5) 이로부터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까지 130℃에서 후속 건조시켰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비교실시예 C1 유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50 mm 두께의 시트형 블랭크를 발수제 Tegosivin® HE 328 5 중량부, UV-안정제 UV2(Tinogard® Q) 25 중량부 및 물 970 중량부로 이루어진 분산액에 침지하였다. 함침된 시트를 후속하여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두 롤러 사이의 간극으로 통과시키고(Foulard, Mathis HVF 5) 이로부터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까지 130℃에서 후속 건조시켰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C4:
비교실시예 C1 유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두께 50mm인 시트형 블랭크를 발수제 Tegosivin® HE 328 5 중량부 및 물 995 중량부로 이루어진 분산액에 침지하였다. 함침된 시트를 후속하여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두 롤러 사이의 간극으로 통과시키고(Foulard, Mathis HVF 5) 이로부터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까지 130℃에서 후속 건조시켰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C5
비교실시예 C1 유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두께 50mm인 시트형 블랭크를 발수제 Tegosivin® HE 328 5 중량부, UV-안정제 UV3(Cibafast® H) 25 중량부 및 물 970 중량부로 이루어진 분산액에 침지하였다. 함침된 시트를 후속하여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두 롤러 사이의 간극으로 통과시키고(Foulard, Mathis HVF 5) 이로부터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까지 130℃에서 후속 건조시켰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UV-안정제 및 소수화제(HA)의 첨가 및 실시예 2 및 3 및 비교실시예 CE1 - CE5의 시험 결과
실시예 C3 C1 C2 2 C4 3 C5
단계 a) UV1 UV2 UV1
단계 b) HA HA HA
UV2
HA
UV3
램 압력 값 30 29 22 26 30 28
밀도 [kg/m3] 8.5 8.2 8.8 8.3 8.7 7.5 10.1
수분 흡수 [kg/m2] 17.7 20.6 19.6 0.24 0.28 0.1 6.74
내후성 우수 미흡 우수 우수 미흡 우수
연소 시험 B등급 B등급 B등급

Claims (12)

  1.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및 피페리디놀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0.2 내지 8 중량% 및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는 유기 변성 실록산 및 실란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3. 단계 a)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물 M이 하나 이상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하나 이상의 경화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발포제 및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UV-안정제를 포함하는 단계, 및
    단계 b) 단계 a)에서 제조된 폼을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로 함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조하는 방법.
  4. 단계 a)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물 M이 하나 이상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하나 이상의 경화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단계, 및
    단계 b) 단계 a)에서 제조된 폼을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및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로 함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조하는 방법.
  5. 단계 a)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공하는 단계 및
    단계 b) 단계 a)에서 제공된 폼을 하나 이상의 UV-안정제 및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로 함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UV-안정제는 피페리디놀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수화제는 유기 변성 실록산 및 실란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M은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50 내지 90 중량% 및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 내지 50 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량백분율은 각각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방법.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포름산이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인 방법.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펜탄이 발포제로서 사용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용도로서, 항공기, 선박, 철도 및 자동차의 건설, 기계 공학 또는 건물의 건설에서의 방음 및/또는 단열을 위한 용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용도로서, 도로, 하이웨이 및 철로를 따른 소음 차단벽에서의 용도.
KR1020227016391A 2019-10-17 2020-10-13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KR202200843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3868 2019-10-17
EP19203868.5 2019-10-17
PCT/EP2020/078673 WO2021074092A1 (en) 2019-10-17 2020-10-13 Melamine-formaldehyde foam with improved weather res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350A true KR20220084350A (ko) 2022-06-21

Family

ID=6829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391A KR20220084350A (ko) 2019-10-17 2020-10-13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01745A1 (ko)
EP (1) EP4045579B1 (ko)
JP (1) JP2022552851A (ko)
KR (1) KR20220084350A (ko)
CN (1) CN114514272B (ko)
ES (1) ES2963125T3 (ko)
WO (1) WO20210740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9625A1 (de) * 2005-08-22 2007-03-01 Basf Ag Offenzelliger Schaumstoff mit brandhemmenden und oleophoben/hydrophob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BRPI0708926A2 (pt) * 2006-03-28 2011-06-14 Basf Se espuma de cÉlula aberta, processo para produzir uma espuma de cÉlula aberta, e, uso da espuma de cÉlula aberta
US20100129303A1 (en) * 2008-10-17 2010-05-27 Dueva-Koganov Olga V Sunscreen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random terpolymer
US9353232B2 (en) * 2011-05-16 2016-05-31 Basf Se Melamine-formaldehyde foams comprising hollow microspheres
CN102337001A (zh) * 2011-10-13 2012-02-01 珠海市远康企业有限公司 一种具有热稳定和耐候性的聚甲醛及其制备方法
EP2703074A1 (de) * 2012-09-04 2014-03-0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lamin/Formaldehyd-Schaumstoffen
WO2018095760A1 (en) * 2016-11-23 2018-05-31 Basf Se Production of melamine-formaldehyde foams
CN106800667A (zh) * 2017-01-16 2017-06-06 四川众业长科技有限公司 一种有色蜜胺泡沫发泡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1745A1 (en) 2024-03-28
EP4045579C0 (en) 2023-08-09
EP4045579A1 (en) 2022-08-24
EP4045579B1 (en) 2023-08-09
ES2963125T3 (es) 2024-03-25
WO2021074092A1 (en) 2021-04-22
CN114514272A (zh) 2022-05-17
CN114514272B (zh) 2023-12-01
JP2022552851A (ja)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217B1 (ko)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의 제조
CA1151350A (en) Preparation of resilient foams based on a 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e
DE1569493B2 (ko)
KR20130073907A (ko)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기재로 하는 탄성 압축 발포체의 제조 방법
JP2014520920A (ja) 発泡系遮断材における吸音の改善
JPS6142549A (ja) フエノ−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KR20220084350A (ko)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EP3750952B1 (en) Process for producing melamine-formaldehyde foams using fluorinated blowing agents
KR20130143562A (ko)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발포체의 제조 방법
Wang et al. Study of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fire-retardant melamine formaldehyde resin foam
EP4053197A1 (en) Melamine-formaldehyde foam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31779B1 (ko)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3414526A (en) Flame-retardant, nonshrinking ureaformaldehyde foams
KR102220943B1 (ko) 열경화성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KR102369678B1 (ko)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94552A1 (en) Melamine resin foams by oxidation reaction
JPS59164343A (ja) フエノ−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2023538737A (ja) フェノールフォーム
WO2024074400A1 (en) Foam based on polylysine
DE1569491C3 (ko)
JPS60260630A (ja) フエノ−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WO2024074399A1 (en) In-situ foam based on polylysine
JP5718719B2 (ja) メラミ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したメラミンフォーム
EP1572790A2 (en) A closed cell phenolic foam
JPS61209236A (ja) 発泡性フエノ−ル樹脂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