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390A -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390A
KR20220082390A KR1020200172264A KR20200172264A KR20220082390A KR 20220082390 A KR20220082390 A KR 20220082390A KR 1020200172264 A KR1020200172264 A KR 1020200172264A KR 20200172264 A KR20200172264 A KR 20200172264A KR 20220082390 A KR20220082390 A KR 20220082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sorghum
weight
parts
sweet pump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590B1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20017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5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78Calc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 수수 분말, 단호박, 소금 및 겔화제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천연감미료를 첨가하는 감미료첨가단계, 상기 감미료첨가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젤리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젤리성형단계 및 상기 젤리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젤리는 맛과 식감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 위장염예방, 변비개선,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방광기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JELLY USING SORGHUM AND SWEET PUMPKIN}
본 발명은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맛과 식감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 위장염예방, 변비개선,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방광기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젤리(jelly)는 겔화제와 당류, 산미료, 과즙 등을 혼합하여 말랑말랑하며 모양을 유지할 정도의 굳기를 지니도록 응고시킨 식품으로써 먹기 좋게 잘라서 주로 간식이나 후식 등으로 섭취하거나 또는 케이크, 쿠키 등과 같은 식품의 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젤리는 수분과 결합할 수 있는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조직감을 부여하며 제조 공정에 따라서도 다양한 제품을 기대할 수 있는데, 젤리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은 당류와 겔화제를 혼합하고 농축, 성형하여 굳힌 후 건조하여 제조하는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젤리는 사용되는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펙틴 젤리, 한천 젤리, 젤라틴 젤리 및 전분 젤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직상으로 펙틴 젤리는 잘 끊어지고 약간의 씹힘성이 있으며 젤라틴 젤리는 질기고 씹힘성이 뛰어나고 전분 젤리는 단단한 조직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특히 당류에 의한 단맛이 주로 나며, 부드러운 감촉과 씹기 쉽고 삼키기 쉬운 특성 때문에 유아나 노약자용 식품으로의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젤리는 영양성분이나 약리학적 효능보다는 당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 다량을 섭취하는 경우 취식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수(sorghum)의 학명은 Sorghum bicolor 로 고량(高梁), 촉서, 고랑, 로속(蘆粟)이라고도 하며, 배젖의 녹말 성질의 차이에 따라서 메수수와 찰수수가 있고, 척박한 땅이나 건조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조생종은 화곡류(禾穀類) 중에서 생육기간이 가장 짧아 파종 후 약 80일이면 수확할 수 있으므로 고랭지·개간지 등의 작물로 이용된다.
또한, 단호박은 중남미 일대에서 파생된 것으로, 국내에 단호박이 들어온 것은 임진왜란 이후이며, 1980년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일본에 수출목적의 계약재배를 시작하면서 전국적 규모로 확대되었다. 겉은 짙은 녹색, 속은 노란색으로 당질이 15~20%를 차지해 당도가 매우 높은 식재이며, 수확 후 후숙 기간을 2주 정도 거쳐야 당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바로 사용하지 않고 후숙을 거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발자는 수수의 식품소비량을 늘려 국내의 수수재배 농가들의 소득증가와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특히 수수의 떫은 맛을 단호박으로 보완하여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암, 위장염예방, 변비개선, 콜레스테롤 합성억제 및 방광기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젤리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23949호(2012.02.28) 한국특허등록 제10-2071140호(2020.01.21)
본 발명의 목적은 맛과 식감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 위장염예방, 변비개선,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방광기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수, 수수 분말, 단호박, 소금 및 겔화제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천연감미료를 첨가하는 감미료첨가단계, 상기 감미료첨가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젤리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젤리성형단계 및 상기 젤리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단계 이후에는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젤리의 표면에 코팅제혼합물을 도포하여 막을 형성하는 코팅제도포단계가 더 진행되며, 상기 코팅제혼합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식품용 코팅제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품용 코팅제는 아교, 카세인,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 수수 분말 20 내지 50 중량부, 단호박 20 내지 50 중량부, 소금 0.5 내지 2 중량부 및 겔화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칼슘성분 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바이오틱스 0.01 내지 0.1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칼슘성분은 해조칼슘, 난각칼슘, 유청칼슘, 우골칼슘, 패각칼슘 및 진주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 또는 효모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미료첨가단계는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천연감미료 1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감미료는 흑설탕, 올리고당, 자일로스, 결정과당, 스테비아,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알루로스 및 코코넛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은 맛과 식감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 위장염예방, 변비개선,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방광기능 개선 등의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은 정제수, 수수 분말, 단호박, 소금 및 겔화제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원료혼합단계(S101),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천연감미료를 첨가하는 감미료첨가단계(S103), 상기 감미료첨가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젤리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젤리성형단계(S105) 및 상기 젤리성형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는 정제수, 수수 분말, 단호박, 소금 및 겔화제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로, 정제수 100 중량부, 수수 분말 20 내지 50 중량부, 단호박 20 내지 50 중량부, 소금 0.5 내지 2 중량부 및 겔화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15 내지 25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수분말은 20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며, 따뜻한 성질로 인해 위장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고 소화도 촉진시켜 주기 때문에 장기능을 개선하며, 체온을 유지해 주는 효과로 장염이나 설사 증상 등을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또한, 수수에는 인이나 철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어서 단백질 생성을 촉진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잔주름을 없애줄 수 있으며 윤기 있는 피부는 물론 생기 있는 피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혈액 순활을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동맥경화나 뇌졸중 및 심근경색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수수분말은 혈액의 노폐물들을 제거해주는 효과와 혈액을 생성하는 효과로 인해 꾸준히 섭취하게 되면 빈혈 증상을 개선하며, 폴리페놀 추출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수수에 함유된 폴리페놀은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연구에서는 세포독성을 일정비율로 억제하였으며(Kwak_2004),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활성화 연구에서도 발암촉진 억제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Choi et al., 1998). 뿐만 아니라, 위암세포, 결장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Awika et al., 2009)와 비장세포 증식과 대식세포의 활성에 관여하여 항체 생성기능을 향상시키며 면역기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는 내용의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06; Ryu et al., 2006).
또한, 수수는 다른 잡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페놀계 물질 함량을 나타내는데, 수수에 함유된 페놀계 물질의 종류로는 벤조산, 신남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페놀산군과 프로안토시아니딘, 농축타닌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군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수수의 종류 중 총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황금찰수수가 167.5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페놀의 함량은 찰수수가 682.2㎍/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활성은 황금찰수수나 찰수수 모두 88.5 내지 90.1%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단호박은 20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단호박은 당도가 높고 밤 맛이 난다 하여 밤호박이라고도 하며, 풍부한 당질과 영양분에 비해 열량은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를 돕고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또한, 단호박의 당도는 14 내지 16Brix로 늙은 호박에 비해 당도가 월등하며, 단백질, 지방 및 아미노산의 함량도 단호박이 늙은호박에 비해 높고, 유리당의 함량도 단호박이 늙은호박에 비해 2.1배 높게 나타내었으며, 당조성에 있어서도 단호박의 경우 sucrose가 83%를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단호박은 비타민과 철분이 다량함유되어 있으며, 호박의 대표적인 기능성 성분 카로틴의 경우 단호박은 카로틴이 285.91mg%로 늙은호박의 24.62mg%에 비해 월등하며, 전자공여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이 높고, SOD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식품과학회지 2005 p171-177).
상기와 같이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수수분말과 단호박의 각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수수분말와 단호박의 각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젤리의 기호도나 성형성 및 식감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호박은 보존성과 영양성분의 파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동결건조되어 알갱이의 형상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제는 10 내지 30 중량부가 함유되며, 상기와 같이 정제수, 수수 분말, 단호박, 소금으로 이루어진 성분을 겔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겔화제의 성분은 젤리제조에 사용되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타피오카 전분, 펙틴, 한천, 젤라틴 및 알긴산 나트륨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에서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칼슘성분 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바이오틱스 0.01 내지 0.1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칼슘성분이 더 함유되면 단순히 맛, 식감 및 기호도가 우수한 것에서 벗어나, 취식자의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젤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칼슘성분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칼슘성분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젤리의 맛, 식감 및 기호도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칼슘성분은 해조칼슘, 난각칼슘, 유청칼슘, 우골칼슘, 패각칼슘 및 진주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인체에 유용한 유산균과 효모 등 유익균이 생존해 있는 환 또는 과립 또는 분말을 통칭하는 것으로,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과정의 일 예로 곡류를 볶아 분쇄한 곡류분말에 종균이 다량 함유된 액상을 첨가하여 반죽하고 반죽된 조성물을 환 또는 과립으로 제형한 후에 발효 및 건조하여 1g당 수천에서 수억 마리가 생존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제조에 사용되는 종균은 위산 pH 2 내지 3 그리고 체온 36.5℃에서 증식되는 유산균이나 효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이나 효모가 증식되어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품화되어 있는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유산균 또는 효모로 이루어지는 프로바이오틱스가 함유되면,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의 면역을 증진시키고, 발육촉진 및 식욕증진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감미료첨가단계(S103)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천연감미료를 첨가하는 단계로,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천연감미료 1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천연감미료는 흑설탕, 올리고당, 자일로스, 결정과당, 스테비아,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알루로스 및 코코넛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천연감미료가 함유되면, 종래에 일반적인 젤리의 제조과정에서 백설탕과 같은 성분이 함유되는 것과 비교했을 때, 단맛은 우수하면서도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젤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흑설탕은 백설탕에 원당이나 흑당을 추가한 것으로, 백설탕에 비해 당의 함량이 낮아 인체에 유익하며, 상기 올리고당은 이소말토올리고당이나 프락토올리고당 등을 일컷는 것으로 백설탕에 비해 칼로리가 낮고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으며 강한 단맛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자일로스는 자작나무나 옥수숫대 등에서 추출하는 성분으로 백설탕에 비해 당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낮은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결정과당은 과일에 다량 분포하는 성분으로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단맛을 나타내면서도 낮은 당지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스테비아는 잎에서 추출한 글리코시드로 단맛을 낸 것으로, 백설탕의 약 3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낼 수 있으며, 칼로리가 거의 없어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능을 나타내고, 상기 자일리톨은 자작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우수한 단맛을 나타내면서도 치아건강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에리스리톨은 옥수수에서 추출한 포도당을 발효하여 제조되는데, 백설탕에 비해 단맛은 덜하지만 당지수가 낮아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나타내며, 상기 알루로스는 무화과나 포도에 존재하는 당으로, 우수한 단맛을 내면서도 체중감량에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코코넛분말은 단맛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분인 라우르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치가 향상되는 것을 억제하며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젤리성형단계(S105)는 상기 감미료첨가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젤리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감미료첨가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성형장치에 투입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데, 용도에 따라 상기 감미료첨가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성형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성형틀에 주입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젤리성형단계(S105)는 경우에 따라 3 내지 5℃의 온도를 나타내는 냉각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젤리의 성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단계(S107)는 상기 젤리성형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젤리성형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열풍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단계(S107)를 통해 상기 젤리성형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어 형태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감이 향상된 젤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건조단계(S107)를 통해 건조된 성형물은 상온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안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S107) 이후에는 상기 건조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젤리의 표면에 코팅제혼합물을 도포하여 막을 형성하는 코팅제도포단계(S109)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제도포단계(S109)를 통해 코팅제혼합물이 도포되어 막이 형성된 젤리는 표면광택이 향상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산소접촉이 줄어들기 때문에 변질이 억제되어 맛이나 식감이 오랜기간 보존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코팅제혼합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식품용 코팅제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식품용 코팅제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코팅제혼합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막의 형성이 어렵고, 상기 코팅제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코팅제혼합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젤리의 표면에 균일한 막을 형성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때, 상기 식품용 코팅제는 아교, 카세인,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젤리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정제수 100 중량부, 수수 분말 35 중량부, 동결건조된 단호박 35 중량부, 소금 1 중량부 및 겔화제(타피오카 전분)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85℃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천연감미료(코코넛분말)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천연감미료가 혼합된 혼합물 10g을 성형틀에 주입하여 성형물을 제조한 후에, 상기 성형물을 성형틀에서 꺼내고 45℃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수수분말 20 중량부, 동결건조된 단호박 20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수수분말 50 중량부, 동결건조된 단호박 50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젤리의 표면에 정제수 100 중량부 식품용 코팅제(아교)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코팅제 혼합물을 도포하여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젤리의 표면에 정제수 100 중량부 식품용 코팅제(아교)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코팅제 혼합물을 도포하여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젤리의 표면에 정제수 100 중량부 식품용 코팅제(아교)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코팅제 혼합물을 도포하여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수수분말 10 중량부, 동결건조된 단호박 10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수수분말 80 중량부, 동결건조된 단호박 80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맛, 식감, 외관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젤리의 맛,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며,
5점:매우 우수, 4점:우수,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이다.
또한, 젤리의 외관은 육안으로 젤리의 외관을 관찰하여 균열이 없는 외형을 나타내면 ○, 젤리에 일부 균열이 있거나 젤리의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로 표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젤리는 맛, 식감, 외관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4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젤리는 코팅제 혼합물이 도포되어 보존성이 더욱 향상된다.
반면, 비교예 1은 수수 분말, 단호박의 함량이 낮아 맛과 식감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비교예 2는 수수 분말과 단호박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 식감이 저하되며, 젤리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은 맛과 식감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 위장염예방, 변비개선,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방광기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젤리를 제공한다.
S101 ; 원료혼합단계
S103 ; 감미료첨가단계
S105 ; 젤리성형단계
S107 ; 건조단계
S109 ; 코팅제도포단계

Claims (9)

  1. 정제수, 수수 분말, 단호박, 소금 및 겔화제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천연감미료를 첨가하는 감미료첨가단계;
    상기 감미료첨가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젤리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젤리성형단계; 및
    상기 젤리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후에는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젤리의 표면에 코팅제혼합물을 도포하여 막을 형성하는 코팅제도포단계가 더 진행되며,
    상기 코팅제혼합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식품용 코팅제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 코팅제는 아교, 카세인,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 수수 분말 20 내지 50 중량부, 단호박 20 내지 50 중량부, 소금 0.5 내지 2 중량부 및 겔화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칼슘성분 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바이오틱스 0.01 내지 0.1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칼슘성분은 해조칼슘, 난각칼슘, 유청칼슘, 우골칼슘, 패각칼슘 및 진주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 또는 효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첨가단계는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천연감미료 1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천연감미료는 흑설탕, 올리고당, 자일로스, 결정과당, 스테비아,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알루로스 및 코코넛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KR1020200172264A 2020-12-10 2020-12-10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KR10260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64A KR102602590B1 (ko) 2020-12-10 2020-12-10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64A KR102602590B1 (ko) 2020-12-10 2020-12-10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390A true KR20220082390A (ko) 2022-06-17
KR102602590B1 KR102602590B1 (ko) 2023-11-14

Family

ID=8226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64A KR102602590B1 (ko) 2020-12-10 2020-12-10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77A1 (ko) 2022-07-05 2024-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49B1 (ko) 2004-03-24 2012-03-26 (주)한미식품 곤약비드가 함유된 젤리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78317A (ko) * 2012-12-17 2014-06-25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한 기능성 젤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3637A (ko) * 2013-04-12 2014-10-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화과 퓨레를 포함하는 무화과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7998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가온물산 애완동물용 영양젤리의 제조방법 및 애완동물용 영양젤리
KR102071140B1 (ko) 2018-06-28 2020-03-02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곤약젤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49B1 (ko) 2004-03-24 2012-03-26 (주)한미식품 곤약비드가 함유된 젤리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78317A (ko) * 2012-12-17 2014-06-25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한 기능성 젤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3637A (ko) * 2013-04-12 2014-10-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화과 퓨레를 포함하는 무화과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7998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가온물산 애완동물용 영양젤리의 제조방법 및 애완동물용 영양젤리
KR102071140B1 (ko) 2018-06-28 2020-03-02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곤약젤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77A1 (ko) 2022-07-05 2024-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590B1 (ko)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5412B2 (ja) 飲食用組成物、飲食用組成物の呈味を改善する方法及び色を改善する方法、乳酸菌増殖用組成物、大麦の茎葉の栽培方法、阿蘇産又は黒ボク土を用いて栽培した大麦の茎葉
CN103704557A (zh) 一种枸杞发酵浓缩汁的制备方法及应用
KR101428862B1 (ko) 현미유자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9297A (ko) 한방 초콜렛의 제조방법
CN102578482A (zh) 苦荞米通及其制备方法
KR102094001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602590B1 (ko) 수수와 단호박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KR101922941B1 (ko) 해조 쌈피 및 그 제조방법
KR100217884B1 (ko) 메밀나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616329A (zh) 一种竹荪面制作方法
CN106562334A (zh) 果冻及其制备方法
KR100894537B1 (ko) 복분자를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KR101395221B1 (ko) 복분자를 포함하는 쿠키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649511A (zh) 凝胶食品
KR101473342B1 (ko) 반건조묵의 제조방법
KR101741701B1 (ko) 변비개선용 백미 및 아마란스 혼합 발효분말의 제조방법
KR102340426B1 (ko) 노루궁뎅이 버섯 균사체 배양미를 활용한 쌀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6988A (ko) 올리고당 고함유 오미자청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올리고당 고함유 오미자청 및 이의 용도
KR101448544B1 (ko) 과일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JP2021528058A (ja) ゼラチン非含有ゲル化菓子及びこのような菓子を調製する方法
KR10093844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푸딩의 제조방법
KR100840725B1 (ko) 신규한 청국된장의 제조방법
KR102596424B1 (ko) 귤 디저트의 제조방법
CN109077213A (zh) 一种壮家红米饼的生产方法
WO2023195538A1 (ja) サツマイモ由来のイモ蜜、その上清、又はこれら双方の粉末又は顆粒からなるイモ蜜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