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679A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1679A KR20220081679A KR1020200171447A KR20200171447A KR20220081679A KR 20220081679 A KR20220081679 A KR 20220081679A KR 1020200171447 A KR1020200171447 A KR 1020200171447A KR 20200171447 A KR20200171447 A KR 20200171447A KR 20220081679 A KR20220081679 A KR 202200816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nch
- groove
- semiconductor package
- base layer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3—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2—Metallic substrates having insulating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50—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e.g. power bus, number of le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8—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더링이 용이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위하여,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면에 위치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 및 상기 상면에 반대 측의 하면에 위치한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갖는, 베이스층;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에 매립된, 수지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위치한, 제1 도금층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솔더링이 용이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에 패키징되어 사용되는바, 이러한 패키징을 위해 사용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은 미세 회로 패턴 및/또는 I/O단자들을 갖는다. 반도체 소자의 고성능화 및/또는 고집적화,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또는 고성능화 등이 진행됨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미세 회로 패턴 등은 그 선폭이 더 좁아지고 복잡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 시에는 동박(Copper Foil)이 적층된 CCL(Copper Clad Laminate)를 이용해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 내면을 도금하여 상면 동박과 하면 동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이후 상면 동박과 하면 동박을 각각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해 패터닝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에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정밀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제조공정의 단순화 등을 위해서 전도성 베이스층에 절연성 물질을 충진하는 것으로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솔더링이 용이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면에 위치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 및 상기 상면에 반대 측의 하면에 위치한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갖는, 베이스층;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에 매립된, 수지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위치한, 제1 도금층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금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하면 상에 위치한 제2 도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 내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금층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금층과 상기 제2 도금층은 서로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 보다 작고,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통해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 내측면으로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 기판; 상기 반도체 패키지 기판 상에 실장된, 반도체칩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전도성 소재의 베이스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트렌치에 수지층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트렌치 외부로 노출되어 과충진된 수지층의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상기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가 드러나도록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가 드러나도록 상기 제1 도금층에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도금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금층 상에 제2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하면에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면 및 하면을 갖는 전도성 소재의 베이스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에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트렌치를 제1 수지로 충진하는 단계;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트렌치 외부로 노출되어 과충진된 제1 수지의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2 면에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반도체 패키지 기판 상에 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더링이 용이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 형성 후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 형성 후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포함한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 형성 후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 형성 후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포함한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또는/및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및/또는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은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의 제조방법에 따라 전도성 소재의 베이스층(100)을 준비한다. 베이스층(100)은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전도성 물질로는 예컨대 Fe나, Fe-Ni, Fe-Ni-Co 등과 같은 Fe합금, Cu나, Cu-Sn, Cu-Zr, Cu-Fe, Cu-Zn 등과 같은 Cu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00)은 판상 형태로 상호 반대 측을 향하는 상면(100a) 및 하면(100b)을 가질 수 있다. 상면(100a)은 후술할 반도체칩이 실장될 면을 의미하고, 하면(100b)은 배면으로서 상면(100a)의 반대 측에 위치한 면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베이스층(100)의 두께(T0)는 약 100㎛ 내지 500㎛일 수 있으며, 예컨대 약 185㎛ 내지 200㎛일 수 있다.
그 후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라 함은, 베이스층(10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단면도이기에 나타나지 않으나,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를 제외한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는 기 설정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는 배선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를 형성하기 위해, 감광성 소재의 DFR(Dry Film Resist)을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상에 라미네이팅하고, 노광 및 현상 등의 과정을 거쳐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가 형성될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중 DFR이 덮이지 않은 부분을 염화동 또는 염화철과 같은 에칭액을 이용해 식각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100)을 관통하지 않도록 상면(100a)에 형성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있어서 제거되지 않고 남은 부분, 즉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 이외의 부분은 추후 배선패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를 형성할 시, 인접한 홈과 홈 사이 또는 트렌치와 트렌치 사이의 부분의 폭은 통상적인 배선패턴의 폭인 대략 20㎛ 내지 3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상에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를 형성할 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깊이는 베이스층(100)의 두께의 대략 80% 내지 9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가 형성된 부분의 베이스층(100)의 잔여 두께(T1)는 약 30 ~80m 이상일 수 있다.
만일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깊이가 이보다 더 깊어진다면,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과정이나 추후 패키징 과정에서 베이스층(100)이나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핸들링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를 형성함에 있어서 공차 등에 의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과 하면(100b)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깊이가 이보다 얕게 된다면, 이는 추후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후속공정이 용이하지 않거나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alloy)을 주 성분으로 하는 베이스층(100)에 염화동 또는 염화철 기반의 에칭액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분사법을 통해 에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면(100a)을 하프(half) 에칭하여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alloy) 소재에 목표 형상을 구현한다. 또한, 소재의 변형 방지 및 에칭에 의한 베이스층(100)의 관통 예방을 위해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에 대응한 베이스층(100)의 잔여 두께(T1)는 예컨대, 최소 30㎛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를 수지층(110)으로 충진한다. 수지층(110)은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면 충분하다. 예컨대 수지층(110)은 열처리에 의해 고분자화되어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지층(110)은 추후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배선패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수지층(110)의 충전은 액상의 물질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수지층(110) 성분을 포함하는 고상의 테이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수지 성분을 포함한 파우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수지층(110)와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내측면(H1-IS) 사이 접착력 증진을 위하여, 수지층(110) 충진 전 표면전체에 화학적 방법(예컨대, 도금, 에칭 등) 또는 물리적 방법(예컨대, 연마 등)으로 표면 거칠기 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면(100a)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 내에 충진된 수지층(110)은 높은 균일성(less void)과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에 수지층(110)을 충진하기에 앞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내측면을 거칠게 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지층(110)와 베이스층(100) 사이의 접합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내측면을 거칠게 하기 위해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또는 과수황산계 용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내면의 거칠기는 150nm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수지층(110) 충진 후 온도를 상승시켜 큐어링(Curing)를 통한 경화 과정을 거친다. 특히 액상 수지의 경우, 큐어링 과정 중 수지 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수평구간에 머무르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그 후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층(100) 상에 수지층(110)이 과도포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는 수지층(110)을 충진할 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지층(110)이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만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 이때, 상면(100a) 상에 과도포된 수지층(110)을 제거함으로써, 수지층(110)이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 내에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과도포된 수지층(110)은 예컨대 레이저, 브러싱, 연삭 또는 연마와 같은 기계적인 가공에 의해 제거하거나, 또는 화학적인 수지층(110) 에칭(Resin Etching)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던 수지층(110)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은 다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과도포된 수지층(110)을 제거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수지층(110)을 충진할 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과충진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만을 충진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베이스층(100)의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가 수지층(110)으로 제대로 충진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의 공정 이후 도 5a를 참조하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상에 제1 도금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금층(120)은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및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에 충진된 수지층(110)의 상면을 모두 커버하도록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도금층(120)은 전기 도금 방식 및/또는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의 전면(全面) 상에 스퍼터링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도금층(120)의 제1 부분(120a)을 형성하고, 그 후 전기 도금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부분(120a) 상에 제2 부분(120b)을 성장시킬 수 있다. 도 5a에서는 제1 도금층(120)의 형성 방법에 따라 하부의 제1 부분(120a)과 상부의 제2 부분(120b)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실질적으로 제1 부분(120a)과 제2 부분(120b)은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도금층(120)은 구리(Cu)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도금층(120)의 일부를 제거하여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를 통해 수지층(11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을 식각하여 수지층(110)이 노출되도록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b에서는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반대측에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일부에서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와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는 서로 엇갈려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도금층(120)에 형성된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의 폭(w3)은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형성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폭(w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있어서 도전부분을 형성하는 너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에 형성된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의 폭(w2)은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형성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폭(w1) 보다 작고, 제1 도금층(120)에 형성된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의 폭(w3) 보다 클을 수 있다.
상술한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에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를 식각하는 단계는 제1 도금층(120)에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를 형성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층(100)과 제1 도금층(120)이 모두 구리(Cu)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되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베이스층(100)과 제1 도금층(120)은 동일 에칭액으로 식각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은 양면 에칭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와,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를 형성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도 2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을 식각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감광성 소재의 DFR을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 상에 라미네이팅하고, 노광 및 현상 등의 과정을 거쳐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의 식각될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 중 DFR이 덮이지 않은 부분을 염화동 또는 염화철과 같은 에칭액을 이용해 식각함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에서 수지층(11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상에 제1 도전패턴(CP1)이 나타나며,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 상에 제2 도전패턴(CP2)이 나타난다.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경우 하면(100b) 상의 제2 도전패턴(CP2)과 상면(100a)의 제1 도전패턴(CP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하면(100b)의 도전층 패터닝과 상면(100a)의 도전층 패터닝이 사전설정된 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에는 수지가 매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은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에 의해 제2 도전패턴(CP2)에 대응하는 부분이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 즉 제2 도전패턴(CP2)으로 이해되는 부분은 후에 인쇄회로기판(PCB, 도 9)에 접합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이 돌출된 구조(stand-off 구조)를 가짐으로써 인쇄회로기판(PCB)과의 접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도 5c를 참조하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및 하면(100b) 상에 제2 도금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상에는 제1 도금층(120)이 형성된 바, 제2 도금층(130)은 이러한 제1 도금층(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도금층(120)에 형성된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H3)의 폭(w3)은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형성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폭(w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대응하는 도전패턴의 폭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의 상면에서 도전패턴으로 형성된 부분의 너비(d2, d2')는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의 너비(d1, d1')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의 상면에서 도전부분의 너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제2 도금층(130)은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의 내측면(H2-IS)에도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의 내측면(H2-IS)에 형성된 제2 도금층(130)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의 솔더 접합성(solder wett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도금층(130)은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에 대응하여, 예컨대, Au, Pd, NiPd Au-Alloy 등을 이용하여 도금할 수 있다. 물론,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즉 제1 도금층(120) 상에도 가능하다. 한편 경우에 따라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의 적어도 일부에는 OSP(organic solderbility preservative)와 같은 유기막 코팅 또는 Anti-Tarnish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의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패키지의 접합성 및 솔더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에서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10), 즉 리드 프레임 제조 시 별개의 공정 추가 없이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의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를 형성함에 따라 반도체칩 패키징 이후 별개의 공정 추가 없이 효율적으로 후속 공정에서의 접합성을 매우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10) 형성 후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을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1)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의 공정들은 전술한 공정들과 별개로 수행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c에 이어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 1 내지 도 5c의 제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10) 상에 반도체칩(200)을 실장한다. 반도체칩(200)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상면(100a)의 평평한 부분에 실장될 수 있으며, 반도체칩(200)은 와이어(210)에 의해 베이스층(100)의 리드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210)는 와이어 본딩에 의해 반도체칩(200)과 리드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210)의 일측은 리드에 부착되며, 와이어(210)의 타측은 반도체칩(200)과 연결된다.
반도체 패키지 기판(10) 상에 실장된 반도체칩(200) 상에는 몰딩층(220)을 형성할 수 있다. 몰딩층(220)은 반도체칩(200)을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일몰딩구조, 이중몰딩구조 또는 삼중 이상의 몰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몰딩층(220)은 예컨대, 수지를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형광체 및 광확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형광체 및 광확산재를 포함하지 않는 투광성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반도체칩(200)을 반도체 패키지 기판(10) 상에 실장한 후, 베이스층(100)을 커팅한다. 베이스층(100)을 커팅한다는 함은 수지층(110)이 충진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을 커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고, 도 8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10') 형성 후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을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1')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공정이며, 전술한 도 4 이후에 연결되는 공정일 수 있다.
전술한 도 4와 같이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에 수지층(110)을 형성한 후, 도 7과 같이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에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를 형성한다.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에 형성된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의 폭(w2)은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에 형성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H1)의 폭(w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에는 수지가 충진되지 않는다. 따라서,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은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에 의해 제2 도전패턴(CP2)에 대응하는 부분이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 즉 제2 도전패턴(CP2)으로 이해되는 부분은 후에 인쇄회로기판(PCB, 도 9)에 접합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이 돌출된 구조(stand-off 구조)를 가짐으로써 인쇄회로기판(PCB)과의 접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도 7b와 같이,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 및 하면(100b) 상에 제2 도금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금층(130')은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의 내측면(H2-IS)에도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의 내측면(H2-IS)에 형성된 제2 도금층(130')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의 솔더 접합성(solder wett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도금층(130')은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에 대응하여, 예컨대, Au, Pd, NiPd Au-Alloy 등을 이용하여 도금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베이스층(100)의 상면(100a)의 적어도 일부에는 OSP(organic solderbility preservative)와 같은 유기막 코팅 또는 Anti-Tarnish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반도체 패키지 기판(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베이스층(100)의 하면(100b)의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패키지의 접합성 및 솔더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도 8과 같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와, 도 7a 및 도 7b의 제조 과정을 거쳐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10') 상에 반도체칩(200)을 실장하여 반도체 패키지(1')를 형성한다.
반도체칩(200)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상면(100a)의 평평한 부분에 실장될 수 있으며, 반도체칩(200)은 와이어(210)에 의해 베이스층(100)의 리드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210)는 와이어 본딩에 의해 반도체칩(200)과 리드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210)의 일측은 리드에 부착되며, 와이어(210)의 타측은 반도체칩(200)과 연결된다.
반도체 패키지 기판(10) 상에 실장된 반도체칩(200) 상에는 몰딩층(220)을 형성할 수 있다. 몰딩층(220)은 반도체칩(200)을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일몰딩구조, 이중몰딩구조 또는 삼중 이상의 몰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몰딩층(220)은 예컨대, 수지를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형광체 및 광확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형광체 및 광확산재를 포함하지 않는 투광성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포함한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도 6 또는 도 8의 반도체 패키지(1, 1')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반도체 패키지(1)가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것을 도시한다. 반도체 패키지(20')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솔더물질(20)을 이용해 솔더링할 수 있다. 솔더물질(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 내에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 1')는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H2)에 수지가 충진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PCB)가 부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므로,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솔더링 시 솔더물질(20)이 부착되는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솔더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0: 베이스층
100a: 상면
100b: 하면
CP1: 제1 도전패턴
CP2: 제2 도전패턴
110: 수지층
120: 제1 도전층
130, 130': 제2 도전층
200: 반도체칩
210: 와이어
220: 몰딩층
H1: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
H2: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
H3: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
100a: 상면
100b: 하면
CP1: 제1 도전패턴
CP2: 제2 도전패턴
110: 수지층
120: 제1 도전층
130, 130': 제2 도전층
200: 반도체칩
210: 와이어
220: 몰딩층
H1: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
H2: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
H3: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
Claims (18)
-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면에 위치한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 및 상기 상면에 반대 측의 하면에 위치한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갖는, 베이스층;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에 매립된, 수지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위치한, 제1 도금층;
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하면 상에 위치한 제2 도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 내측면으로 연장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구리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보다 작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과 상기 제2 도금층은 서로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 보다 작고,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보다 큰,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통해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노출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 내측면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과 동일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반도체 패키지 기판;
상기 반도체 패키지 기판 상에 실장된, 반도체칩;
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 전도성 소재의 베이스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트렌치에 수지층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트렌치 외부로 노출되어 과충진된 수지층의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상기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가 드러나도록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가 드러나도록 상기 제1 도금층에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도금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금층 상에 제2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하면에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보다 작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또는 제3 트렌치의 폭은 상기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의 폭보다 작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구리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 상면 및 하면을 갖는 전도성 소재의 베이스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에 제1 홈 또는 제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트렌치를 제1 수지로 충진하는 단계;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트렌치 외부로 노출되어 과충진된 제1 수지의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상면 상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2 면에 제2 홈 또는 제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반도체 패키지 기판 상에 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1447A KR102535353B1 (ko) | 2020-12-09 | 2020-12-09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1447A KR102535353B1 (ko) | 2020-12-09 | 2020-12-09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1679A true KR20220081679A (ko) | 2022-06-16 |
KR102535353B1 KR102535353B1 (ko) | 2023-05-23 |
Family
ID=8221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1447A KR102535353B1 (ko) | 2020-12-09 | 2020-12-09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535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4537B1 (ko) * | 2010-07-23 | 2016-11-09 |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 리드프레임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
KR101999594B1 (ko) * | 2018-02-23 | 2019-10-01 |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
KR102069659B1 (ko) * | 2017-08-31 | 2020-01-23 |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
-
2020
- 2020-12-09 KR KR1020200171447A patent/KR1025353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4537B1 (ko) * | 2010-07-23 | 2016-11-09 |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 리드프레임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
KR102069659B1 (ko) * | 2017-08-31 | 2020-01-23 |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
KR101999594B1 (ko) * | 2018-02-23 | 2019-10-01 |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5353B1 (ko) | 2023-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83840B2 (ja) | 半導体パッケージ基板製造方法、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製造方法 | |
US9345143B2 (en) | Method of fabricating a wiring board | |
KR100499003B1 (ko) | 도금 인입선을 사용하지 않는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00029352A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69659B1 (ko)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 |
US10840170B2 (en) | Semiconductor packag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TWI642145B (zh) | 半導體封裝基板及其製造方法 | |
KR20080045017A (ko) | 금속 범프를 갖는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
JP2005243850A (ja) | 多層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671541B1 (ko) | 함침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 |
KR102535353B1 (ko)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19142B1 (ko) | 웨이퍼 레벨 패키지의 캐리어를 리드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방법 | |
KR102583276B1 (ko)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41102B1 (ko)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 |
KR102531703B1 (ko) |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 |
KR20240124084A (ko) | 리드 프레임 스트립,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반도체 패키지 | |
KR102605701B1 (ko) |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H06177275A (ja) | 放熱性プラスチックicチップキャリア | |
KR20150081147A (ko)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 |
KR101617023B1 (ko) | 금속 포스트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50083402A (ko) |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 |
JP2005129768A (ja) | 半導体チップ搭載用基板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