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593A -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593A
KR20220081593A KR1020200171253A KR20200171253A KR20220081593A KR 20220081593 A KR20220081593 A KR 20220081593A KR 1020200171253 A KR1020200171253 A KR 1020200171253A KR 20200171253 A KR20200171253 A KR 20200171253A KR 20220081593 A KR20220081593 A KR 2022008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gar
powder
makgeolli
wood vinega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935B1 (ko
Inventor
유해선
유해권
이영희
서순자
유수열
김종임
임관동
Original Assignee
유해선
유해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해선, 유해권 filed Critical 유해선
Priority to KR102020017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9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4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from 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23L19/07Fruit waste products, e.g. from citrus peel or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12G3/07Flavouring with wood extracts, e.g. generated by contact with wood; Wood pretreatment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8Addition of flavour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초액을 함유하는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목초액, 굴껍질, 과채류 껍질과 생약을 이용하여 식초를 제조하여 목초액의 다양한 기능성분, 굴껍질의 칼슘 성분이 이입된 각종 건강기능식품의 제공이 가능하며, 폐기되는 식품 부자재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쓰레기 배출을 줄이는 유용성이 있다.

Description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calcium vinegar comprising pyroligneous liquor}
본 발명은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초는 고대부터 신맛을 내는 조미료로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의 약재로 사용되었기에 1만년의 묘약, 기적의 물이라 불린다. 식초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밝혀낸 세계 석학들의 노벨 생리의학상을 3차례나 수상할 정도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서양뿐 아니라 과거 중국 명나라 황후의 처방전에는 모두 식초가 쓰였다고 하며,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도 산모의 건강이 좋지 않았을 때 식초를 사용했던 기록이 있다.
웰빙 열풍과 함께 식초가 가지고 있는 효능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밝혀지면서 식초 음료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식초 음료가 인기를 끄는 것은 무엇보다도 식초음료=웰빙 음료」라는 인식이 확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식초에는 초산, 구연산 등 몸에 좋은 유기산이 다량 함유돼 있다. 특히 식초는 피로 원인 물질인 젖산을 분해하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피로를 풀어주고 잃어버린 활력을 되찾는 데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또 정신 안정작용을 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는 작용도 한다. 또한 업계에서는 식초 음료가 인기를 끄는 또 다른 이유로 건강기능식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요구르트, 우유 또는 소주 등 다양한 음료, 주류와도 손쉽게 섞어 먹을 수 있어 대중성이 높다는 점을 꼽았다.
국내 식초 음료 시장은 2005년 대상이 일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식초 음료를 국내 소비자 입맛에 맞게 만든「마시는 홍초」를 선보인 이후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마시는 홍초」가 처음 출시됐던 당시만 해도 식초 음료는 여름철 여성용 미용 다이어트 음료라는 이미지가 강했지만 최근에는 남녀노소 모든 계층이 즐기는 음료로 성장했다. 시장이 점점 커지면서 같은 식초 음료라도 석류, 복분자, 오디, 배, 감 등을 이용해 다양해지고 있다.
마시는 식초는 고객들의 입맛을 끌어당기는 맛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몸에 이로운 영양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고객들이 높은 구매 욕구를 보이고 있다. 식품이 가지는 맛도 중요하지만 고객들은 자신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식초에 대한 구매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과거의 소비자들은 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두기 보다는 식품의 맛에 대해서 보다 높은 비중을 두었다. 감각을 자극시키고 새로운 맛을 제공하는 식품에 대해서 높은 선호를 보여 왔는데 현재에는 자신의 건강에 중요성을 두고 있으며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제품에 대해서 높은 구매욕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고객들의 성향이 변하게 된 데에는 경제소득이 증가한 것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 비해서 개인들의 소득이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보다 여유로운 생활이 가능하게 되었다.
소비자들은 여유로워진 생활 가운데 자신의 건강을 돌보기 위해서 다양한 운동을 하고 있으며 금전적인 지출도 하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맛있는 식품만을 선택하여 구매하였다면 이제는 식품이 가지는 영양소에 대해서 살피고 건강에 이로운 식품에 대한 구매활동을 벌이게 된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국내 다수의 식품회사에서 식초음료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식초 음료는 가공 기법상 원재료 내 영양소가 파괴되고 변형이 많아 효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재료들의 특성상 맛과 향 및 효능이 매우 제한적인 단점도 있고, 식초의 신맛이 강하여 섭취시 거부감이 강하여 보급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다.
통상적 기초 목초액은 숯 굽는 가마에 목재를 쌓아 넣고 불을 피워서 목재를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물방울로써, 1차 불을 피워서 목재가 탄화되면서 이때부터 차차 연기가 발생되는데 황색연기가 나오는 때부터 얻은 물방울을 좋은 목초액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의 목초액이라는 할 수 있는 기원은 유럽에서 17세기경이며 일본에서는 메이지시대이고, 국내에선 민간 전래요법으로 사용되였고 특히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처방전이 나타나 있다. 최근 목초액을 이용한 것으로 많은 제품들이 나오고 있지만 목초액이 함유한 유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또한 각종 성분들의 기준치 함량을 넘은 제품과 검증되지 않은 제품 또한 무허가 제조업에서 만들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칼슘은 뼈와 치아를 구성하며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도와서 신경세포의 정보를 전달하므로 부족하면 신경이 안정되지 않아서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진다. 모자란 양은 뼈의 칼슘을 녹여서 보충하므로 골다공증이 생기고 성장기에는 키가 크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섭취하는 대부분의 칼슘은 뼈 형태나 결합형태, 용해되기 어려운 형태가 많아서 양적으로 많이 섭취하여도 흡수율은 매우 낮으며 인이 있으면 칼슘섭취는 더 저해된다.
성장기에는 하루 0.9~1.0 g의 칼슘이 필요하며 흡수되기 좋은 상태의 칼슘도 청소년과 임산부 외에는 25~40 %이상 흡수되지 않아서 우리나라 남자의 칼슘섭취량은 필요량의 75.85 % 여자는 66.6 %, 평균 71.0 %에 지나지 않는다. 시판 칼슘제제는 고체인 타블렛이나 캡슐로 흡수율이 낮고, 불순물이나 부작용이 있거나 비싸다. 그래서, 흡수율이 높은 용액상의 고칼슘제제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정제된 고급 목초액과 폐기되어 쓰레기로 버려지는 굴껍질, 과채류 껍질과 각종 생약재를 혼합하여 장기보존성이 높으면서도 각종 건강기능성이 있는 목초액을 이용한 칼슘 식초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6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30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09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6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644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제1단계) 굴껍질 분말, 청포도껍질 분말, 병아리콩 분말, 쌀눈 분말, 둥글레 분말, 개다래나무 열매 분말, 부평초 분말 및 활성탄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단계) 목초액으로 증자한 고두밥, 엿기름물 및 누룩을 혼합하여 7~30일 동안 발효한 후 찌꺼기를 제거하고 알코올 함량이 5~6 중량%가 되도록 물을 추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는 단계;
(제3단계) 상기 막걸리에 제1단계에서 제조한 혼합물을 혼합하여 7~30일 동안 재발효하고 찌꺼기를 제거하여 재발효된 막걸리를 얻는 단계; 및,
(제4단계) 상기 재발효된 막걸리에 종초를 첨가하고 발효하여 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하는 굴껍질 분말은 굴껍질을 1200℃ 이상에서 소성 및 분쇄하여 얻은 분말로서, 바람직하게는 1200~1300℃에서 20~24시간 동안 소성된 것을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단계에서 굴껍질 분말 100 중량부 기준으로, 청포도껍질 분말 4~12 중량부, 병아리콩 분말 2~4 중량부, 쌀눈 분말 5~8 중량부, 둥글레 분말 1~3 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 분말 4~7 중량부, 부평초 분말 8~15 중량부 및 활성탄 분말 10~2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목초액에 불린 곡물을 증자한 고두밥은, 곡물을 찌기 전에 불릴 때, 물 대신 목초액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제2단계에서 고두밥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엿기름물 200 내지 500 중량부 및 누룩 0.0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 막걸리에 제1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이 1:0.5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에서 재발효된 막걸리 100 중량부 기준으로 종초를 0.1~2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좋으며, 1차 발효 식초를 제조하기 위한 발효기간은 0.5~2년, 더 바람직하게는 1~2년인 것이 좋다.
상기 4단계 이후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찌꺼기 제거 과정은 부직포나 천, 종이 여과지 등을 사용하거나 진공 필터링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엿기름물은 엿기름과 물을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에서 엿기름 건더기를 제거한 여액을 말한다. 이 때, 상기 혼합물은 4~40℃에서 10분~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에 건더기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엿기름과 혼합되는 물의 양은 임의로 조절가능하나, 엿기름과 물을, 바람직하게는 1:1~10, 더 바람직하게는 1:1~5,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3의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초액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제A단계) 참나무, 소나무, 뽕나무 및 대나무 중에서 선택되는 목재를 숯 제조용 가마에 넣고 가마 내부온도를 350~450℃로 유지하여 황백색 연기를 발생시킨 후 상기 연기를 포집하는 단계;
(제B단계) 포집된 연기를 응축하여 생성되는 미립자 물방울을 수집하여 1차 목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C단계) 1차 목초액을 6~7개월 동안 20~30℃의 보관실에 그대로 두어 5개의 층으로 분리된 1차 목초액 중에서, 상부로부터 세 번째 층의 노란색 액상만을 수거하는 단계; 및
(제D단계) 1차 목초액으로부터 수거한 세 번째 층의 액상을 증류하여 증기만을 냉각시킨 후 수집하여 정제된 2차 목초액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상기 2차 목초액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상기 5개의 층은 상등부, 경질유, 중등부, 하등부 및 타르층의 5개 층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종초는 막걸리를 초산발효한 것으로서 제조된 지 7~10일된 생막걸리를 밀봉한 상태에서 20~30℃의 실온에 7~10일 동안 두어 pH 2.0~3.0이 될 때까지 자가 초산발효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종초 접종 시, 효모를 종초 첨가량의 1/10 중량으로 추가하여 접종할 수도 있다.
종초는 씨앗 식초라고도 한다. 종초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 시판되는 막걸리 종초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섬진강 자연 발효초(한국) 등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산균 또는 초산균의 발효액을 종초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초산균으로는 아세토박터 트로피칼리스(Acetobacter tropicalis),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bacter aceti), 아세토박터 옥시단스(Acetobater oxydans), 아세토박터 비니아세티(Acetobater viniaceti), 아세토박터 슈첸바치이(Acetobater schutzenbachii), 아세토박터 자일리노이데스(Acetobater xylinoides), 아세토박터 올레아넨스(Acetobater orleanense), 아세토박터 파스테우리아누스(Acetobacter pasteurianus)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외 다양한 글루콘아세토박토 속 균주들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종초는 막걸리를 자가발효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막걸리가 용기 내에서 자연적으로 초산발효를 통해 산도가 높아지면서 식초가 된 것이다. 즉, 종초에 사용된 생막걸리는 시판 막걸리 또는 수제 막걸리 어떤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며, 종초와 막걸리를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계속 혼합한 후 자가 초산발효를 하게 되면 종초는 어느 때든지 제조가능하다.
종초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막걸리는 시판되는 생막걸리를 이용할 수도 있고 직접 누룩을 이용하여 제조된 생막걸리라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막걸리 제조용 고두밥으로는 주로 증자한 백미를 이용하나, 밀가루 등을 증자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 보리, 콩 등의 다양한 곡물을 증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굴껍질 분말 등이 포함된 막걸리나 종초용 막걸리는 통상적으로 증자한 곡물인 고두밥에 엿기름물과 누룩을 첨가하여 7~30일 이내에서 발효(입국)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곡물 찌꺼기를 제거한 후 알코올 함량을 5~6 중량%가 되도록 물을 추가하여 제조한다. 엿기름물은 보리나 밀, 겉보리 등의 발아새싹을 건조한 것을 물에 침지하여 발아 새싹 내의 효소를 활성화한 것으로서, 건더기를 제거한 액상만을 사용한다. 침지시간은 20~30℃의 온도에서라면 1분 이상 1시간 이내가 적당하다.
누룩은 증자한 쌀이나 밀 등의 증자 곡물인 고두밥에 국균(황국균, 홍국균, 흑국균) 등을 접종하여 이들 균주를 띄우거나(발효/입국하거나), 증자 곡물이 이와 같은 국균의 영향으로 자가 발효되어 제조된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가능하며,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누룩의 제조에는 국균 외에도 이스트 등의 주류 제조용 균주들이 다양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목초액을 함유하는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목초액, 굴껍질, 과채류 껍질과 생약을 이용하여 식초를 제조하여 목초액의 다양한 기능성분, 굴껍질의 칼슘 성분이 이입된 각종 건강기능식품의 제공이 가능하며, 폐기되는 식품 부자재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쓰레기 배출을 줄이는 유용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제조예 1. 목초액의 정제>
참나무를 숯 제조용 가마에 넣고 가마 내부온도를 400℃로 유지하여 황백색 연기를 발생시킨 후 상기 연기를 포집하였다. 포집된 연기를 응축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미립자 물방울을 수집하여 1차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이 후 상기 1차 목초액을 6개월 동안 25℃의 보관실에 그대로 두어 5개의 층으로 분리되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목초액의 정제시 1차 목초액을 3개월 정도 둔 후 3개의 층으로 분리되게 하는데, 1차 목초액을 6개월 이상 보관 시 5개 층으로 분리되며, 5개 층 중에서 선별된 액상으로부터 최종적으로 불순물이 현저하게 적은 목초액의 제조가 가능하다.
5개 층으로 분리된 1차 목초액 중에서, 상부로부터 세 번째 층의 노란색 액상만을 수거하여 상기 노란색 액상을 증류하여 증기만을 냉각시켜 2차 목초액을 얻었다. 상기 2차 목초액을 본 발명에서 이후 식초 제조용 목초액으로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목초액 칼슘 식초의 제조>
굴껍질 분말 100 중량부 기준으로, 청포도껍질 분말 4~12 중량부, 병아리콩 분말 2~4 중량부, 쌀눈 분말 5~8 중량부, 둥글레 분말 1~3 중량부, 개다래나무 열매 분말 4~7 중량부, 부평초 분말 8~15 중량부 및 활성탄 분말 10~20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이 때 각 원료는 굴, 청포도, 병아리콩, 쌀눈, 둥글레, 개다래나무 열매, 부평초의 가공공장 또는 약재상에서 구입한 뒤 세척하고 끓는 물에 30분간 가열하여 살균한 뒤 건조하여 식품용 건식품용 분쇄기로 분말화하여 제조하였고(쌀눈, 병아리콩 제외), 활성탄만 입자크기 0.5mm 이하인 것을 분말 상태인 상태로 구입하였다. 굴껍질 분말은 굴껍질을 1200℃에서 20시간 동안 소성한 후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이 후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이들을 각각 혼합하여 혼합물로 제조하였다.
혼합물 조건 굴껍질
분말
(g)
청포도
껍질
분말
(g)
병아리콩
분말
(g)
쌀눈
분말
(g)
둥글레 분말
(g)
개다래나무
열매
분말
(g)
부평초 분말
(g)
활성탄 분말
(g)
총합
(g)
실시예 1에
이용되는 혼합물
100 7 3 8 2 4 11 15 150
실시예 2에
이용되는 혼합물
100 8 2 7 3 5 15 10 150
실시예 3에
이용되는 혼합물
100 4 4 6 1 6 9 20 150
실시예 4에
이용되는 혼합물
100 12 3 5 2 7 8 13 150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들을 각각 다음의 과정에 첨가하여 4개 군의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목초액으로 백미를 불린 후, 찜솥에 상기 백미를 증자하여 고두밥을 제조하였다. 상기 목초액에 불린 백미를 증자한 고두밥 100g 당 엿기름물 400g 및 누룩(시판 제품) 1g이 되도록 혼합하여 20일간 25℃를 유지하는 상온 보관실에 두었다. 이 후 찌꺼기를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 5 중량%의 막걸리로 제조하였다.
막걸리 제조 후, 상기 막걸리와 동일 중량으로 표 1의 혼합물들을 혼합하여 20일간 25℃를 유지하는 상온 보관실에 두어 재발효하고 찌꺼기를 제거하여 재발효된 막걸리를 얻었다.
상기 재발효된 막걸리 100g당 시판 종초(섬진강 자연 발효초) 1g 및 시판 양조용 효모 0.1g(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을 첨가한 뒤, 25℃를 유지하는 상온 보관실에 1년간 보관하였다. 이 후 찌꺼기를 걸러내고 각각 실시예 1 내지 4의 목초액 칼슘 식초라 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비교조건 식초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식초를 제조하되 막걸리 제조 중의 혼합물은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하였다.
혼합물 조건 굴껍질 분말
(g)
청포도
껍질
분말
(g)
병아리

분말
(g)
쌀눈
분말
(g)
둥글레 분말
(g)
개다래나무
열매
분말
(g)
부평초 분말
(g)
활성탄 분말
(g)
총합
(g)
비교예 1에
이용되는 혼합물
135 0 0 0 0 0 0 15 150
비교예 2에
이용되는 혼합물
100 0 20 0 0 25 0 5 150
비교예 3에
이용되는 혼합물
100 3 10 2 6 10 4 15 150
비교예 4에
이용되는 혼합물
100 0 0 10 10 0 5 25 150
비교예 5에
이용되는 혼합물
100 50 0 0 0 0 0 0 150
<비교예 6. 일반 식초의 제조>
굴껍질 분말 등의 어떠한 분말도 첨가하지 않고 일반 막걸리를 제조하여 식초를 제조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찜솥에 백미를 증자하여 제조한 고두밥 100g 당 엿기름물 400g 및 누룩(시판 제품) 1g이 되도록 혼합하여 20일간 25℃를 유지하는 상온 보관실에 두었다. 이 후 찌꺼기를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 5 중량%의 막걸리로 제조하였다. 막걸리 제조 후, 막걸리 100g당 시판 종초(섬진강 자연 발효초) 1g을 첨가한 뒤, 25℃를 유지하는 상온 보관실에 1년간 보관하여 일반 막걸리를 이용한 식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식초의 맛 확인>
음료로서의 식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각 식초 10㎖을 20㎖의 물에 희석하여 20대에서 70대까지의 남녀노소 50명에서 맛보게 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점수 평가는 매우 좋음 5점, 약간 좋음 4점, 보통 3점, 약간 나쁨 2점, 나쁨 1점으로 표기하게 하였다.
조건 감칠맛 신맛에 대한 기호도
실시예 1 4.2 4.1 4.1
실시예 2 4.1 3.9 3.9
실시예 3 4.2 4.0 4.0
실시예 4 4.2 4.1 4.2
비교예 1 3.1 3.2 3.1
비교예 2 3.3 3.2 3.2
비교예 3 3.1 3.1 3.2
비교예 4 2.9 3.1 3.1
비교예 5 3.1 3.2 3.0
비교예 6 3.1 3.1 3.2
시판 사과식초 2.9 2.7 3.1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4의 식초가 음료로서의 기호도 역시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골형성 정도 확인>
각 식초가 골다공증이 유도된 쥐의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난소가 절제되어 골다공증이 유도된 2개월의 암컷 쥐(SD Rat)를 준비하였다. 정상군(SHAM), 골다공증을 유도한 난소 절제군(OVX), 여성호르몬(17-beta-estradiol)을 주입한 난소 절제군(OVX+Es), OVX에 각 식초 희석액(실험예 1에서 사용한 것)을 하루에 0.5㎖씩 10주간 경구투여하였다. 10주 후 난소 절제된 각 쥐에서의 정강이뼈(tibia)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를 microCT 촬영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식초를 투여한 실험동물 군에서 골밀도가 증가되어 칼슘 흡수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건 BMD (g/cm3)
SHAM 0.252
OVX 0.086
OVX+Es 0.231
OVX+실시예 1 0.151
OVX+실시예 2 0.143
OVX+실시예 3 0.152
OVX+실시예 4 0.158
OVX+비교예 1 0.122
OVX+비교예 2 0.131
OVX+비교예 3 0.122
OVX+비교예 4 0.128
OVX+비교예 5 0.122
OVX+비교예 6 0.113

Claims (3)

  1. (제1단계) 굴껍질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단계) 목초액에 불린 곡물을 증자한 고두밥, 엿기름물 및 누룩을 혼합하여 7~30일 동안 발효한 후 찌꺼기를 제거하고 알코올 함량이 5~6 중량%가 되도록 물을 추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는 단계;
    (제3단계) 상기 막걸리에 제1단계에서 제조한 혼합물을 혼합하여 7~30일 동안 재발효하고 찌꺼기를 제거하여 재발효된 막걸리를 얻는 단계; 및,
    (제4단계) 상기 재발효된 막걸리에 종초를 첨가하고 발효하여 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혼합물에 청포도껍질 분말, 병아리콩 분말, 쌀눈 분말, 둥글레 분말, 개다래나무 열매 분말, 부평초 분말 및 활성탄 분말이 더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엿기름물은 엿기름과 물을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에서 엿기름 건더기를 제거한 여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KR1020200171253A 2020-12-09 2020-12-09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KR10252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53A KR102527935B1 (ko) 2020-12-09 2020-12-09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53A KR102527935B1 (ko) 2020-12-09 2020-12-09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593A true KR20220081593A (ko) 2022-06-16
KR102527935B1 KR102527935B1 (ko) 2023-05-02

Family

ID=8221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53A KR102527935B1 (ko) 2020-12-09 2020-12-09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9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241A (ja) * 2000-10-13 2002-04-23 Riken Vitamin Co Ltd 食酢組成物
KR20020064478A (ko) 2001-02-01 2002-08-09 김교석 목초액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0149A (ko) * 2003-03-11 2004-09-18 김정선 목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0968B1 (ko) 2005-02-23 2006-09-14 김도영 목초액의 정제방법
KR100673323B1 (ko) * 2006-01-06 2007-01-29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현미식초의 제조방법
KR101093007B1 (ko) 2009-05-29 2011-12-13 최재홍 수용성칼슘의 제조방법
JP2013066444A (ja) * 2011-09-26 2013-04-18 New Business Kenkyusho:Kk 魚介酢とその製造方法
KR101321611B1 (ko) 2012-02-29 2013-10-23 (주)그린팜테크 구절초 및 진주조개껍질을 함유한 기능성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241A (ja) * 2000-10-13 2002-04-23 Riken Vitamin Co Ltd 食酢組成物
KR20020064478A (ko) 2001-02-01 2002-08-09 김교석 목초액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0149A (ko) * 2003-03-11 2004-09-18 김정선 목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0968B1 (ko) 2005-02-23 2006-09-14 김도영 목초액의 정제방법
KR100673323B1 (ko) * 2006-01-06 2007-01-29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현미식초의 제조방법
KR101093007B1 (ko) 2009-05-29 2011-12-13 최재홍 수용성칼슘의 제조방법
JP2013066444A (ja) * 2011-09-26 2013-04-18 New Business Kenkyusho:Kk 魚介酢とその製造方法
KR101321611B1 (ko) 2012-02-29 2013-10-23 (주)그린팜테크 구절초 및 진주조개껍질을 함유한 기능성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935B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9343B2 (ja) 枇杷酒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6505B1 (ko) 대추와 과즙을 이용한 식초 음료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와 과즙을 이용한 식초 음료
CN103385449B (zh) 一种紫云英酱油
JP4616413B1 (ja) 発酵食材の製造方法および発酵食品
CN102816668A (zh) 内含有益健康风味成分的清香型白酒制备方法
KR20200040205A (ko) 발효숙성 노니와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발효 노니 식초, 이를 포함하는 식초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673608A (zh) 一种辣木保健酒的制备方法
CN102408977B (zh) 啤特果醋、果醋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998329B1 (ko) 냄새를 없앤 마늘과 솔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 및 그제조방법
KR100847901B1 (ko) 산삼배양근추출원액을 함유한 일반증류주의 제조방법
KR101120286B1 (ko) 산겨릅나무가 함유된 증류주의 제조방법
CN106811371A (zh) 一种黑莓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9370869A (zh) 一种富含黄酮的苦荞醋酸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527935B1 (ko) 목초액을 함유한 칼슘 식초의 제조방법
KR20130054882A (ko) 잣 함유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527921B1 (ko) 목초액을 함유한 키토산 식초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1103035B1 (ko) 흑마늘과 천년초를 이용한 식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527938B1 (ko) 키토산 식초의 제조방법
KR102527920B1 (ko) 목초액의 정제방법
KR100596144B1 (ko) 감초추출액이 함유된 진귤차 및 진귤식초차
KR102648858B1 (ko) 잣 크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잣 크림
KR20140037699A (ko) 개똥쑥이 함유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1331668B1 (ko) 발효 초약 효소의 제조 방법
KR102199529B1 (ko) 대추감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