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515A -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515A
KR20220079515A KR1020227004507A KR20227004507A KR20220079515A KR 20220079515 A KR20220079515 A KR 20220079515A KR 1020227004507 A KR1020227004507 A KR 1020227004507A KR 20227004507 A KR20227004507 A KR 20227004507A KR 20220079515 A KR20220079515 A KR 2022007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late glass
scribe line
plate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키시다
타쿠야 시오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7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02Precutting and tensioning or bre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판유리(G)의 제 1 영역(G1)과 제 2 영역(G2)의 경계부의 표면측에 스크라이브선(S)을 형성하고,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할 때에, 이면 지지 부재(3)가 제 1 영역(G1)의 이면(Gy)을 지지한 상태에 있을 때, 압입 부재(5)의 평면부(5a)가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제 2 영역(G2)을 이면(Gy)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한다.

Description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본 발명은 판유리를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기술을 포함하는 판유리의 제조 기술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판유리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이나, 유기 EL 조명용의 커버 유리 등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각종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판유리를 제조할 때에는, 대형의 판유리로부터 소형의 판유리를 잘라내는 공정이나, 판유리의 변을 따르는 단부를 트리밍하는 공정 등이 실행된다. 이들 공정에서는, 통례, 판유리에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한 후, 그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판유리를 할단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 종류의 판유리를 할단하는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동 문헌에 개시의 방법에서는, 판유리의 표면에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한 후, 판유리의 제 1 영역(스크라이브선의 일방측의 영역)의 이면을 이면 지지 부재로 지지해 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롤러(전동체)가 판유리의 제 2 영역(스크라이브선의 타방의 영역)의 표면을 따라 전동하면서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 롤러에 의한 밀어 넣기 동작에 의해, 스크라이브선의 근방에 굽힘 응력을 작용시키고, 판유리를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한다.
일본 특허공개 2017-226549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와 같이, 롤러를 사용하여 판유리를 할단하려고 하면, 롤러가 판유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하는 것 등에 기인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할단 전의 판유리에는 휨이 발생하고 있을 경우가 있다. 이 휨을 갖는 판유리를 롤러가 이면측으로 밀어 넣어갈 때에는, 판유리 중에서 휨에 따라 돌출되는 부분에 롤러가 점접촉 또는 선접촉하기 때문에, 롤러로부터의 밀어 넣기 힘이, 판유리의 제 2 영역에 국소적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판유리의 스크라이브선의 근방에 굽힘 응력을 균등하게 작용시킬 수 없어, 스크라이브선을 따른 적정한 할단이 저해된다. 그 결과, 판유리의 할단부에 치핑(할단 끝면의 부당한 크랙)이 발생해서 다량의 유리 가루가 비산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동 문헌의 도 4(b)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롤러가 판유리를 이면측으로 밀어 넣어갈 때에는, 판유리의 제 2 영역이 전체에 걸쳐서 만곡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판유리의 스크라이브선의 근방에 충분한 굽힘 응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롤러의 이동 거리(도면예의 하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길게 해서 전체에 걸쳐 곡률이 큰 만곡 변형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할단 작업에 요하는 시간의 장기화나, 롤러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대형화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할단시에 있어서의 판유리의 이면측으로의 밀어 넣기 동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해서, 판유리를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적정하게 할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판유리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부의 표면측에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는 할단 공정을 포함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할단 공정에서는, 이면 지지 부재가 상기 제 1 영역의 이면을 지지한 상태에 있을 때에,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가 상기 제 2 영역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당해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상기 판유리는, 판두께가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판두께가 3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판유리는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는, 판유리의 제 2 영역의 표면이 평면형상을 이룰 경우에는 당해 표면에 면접촉하고, 또한 당해 표면이 볼록부나 오목부 등을 갖는 경우에는 당해 표면에 복수 개소에서 접촉한다. 따라서,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가, 판유리의 제 2 영역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을 때에는, 양자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다. 그 때문에, 유리판에 휨이 발생하고 있어도,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로부터 제 2 영역에 작용하는 밀어 넣기 힘이 분산되어, 판유리의 휨이 교정됨과 아울러, 밀어 넣기 힘이 국소적으로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스크라이브선의 근방에는, 균등하게 굽힘 응력이 작용하고, 판유리를 적정하게 할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판유리의 할단부에 치핑이 발생해서 다량의 유리 가루가 비산하는 등의 문제가 회피된다. 이 경우, 판유리의 휨은, 판유리의 표면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선 및 이것과 평행한 임의의 가상 직선이 만곡되는 휨이면 특히 유효하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면,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가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었을 때에는, 밀어 넣기 영역이 넓은 범위에서 평면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제 2 영역이 전체에 걸쳐서 만곡 변형하지 않고,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당해 평면부와의 접촉 부위 및 그 접촉 부위로부터 스크라이브선에 이르기까지의 부위가 평탄한 형상에 가까운 형상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영역의 스크라이브선의 근방이, 굴곡형상에 가까운 형상 즉 큰 곡률로 만곡된 형상이 되어, 충분한 굽힘 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밀어 넣기 부재가 뒷측을 향해서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것 만으로, 판유리의 할단을 완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도, 판유리를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적정하게 할단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할단 작업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이나, 밀어 넣기 부재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컴팩트화 등이 실현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이란, 판유리에 휨이 발생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스크라이브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의미한다(이하, 마찬가지).
이와 같이 하면,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가 제 2 영역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해서, 당해 평면부를 적정하게 회전시켜 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당해 평면부의 회전 중심인 축선이,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당해 평면부와 제 2 영역의 접촉 상태가 치우치거나 해서, 제 2 영역의 표면에 상처가 나거나 또는 스크라이브선의 근방에 굽힘 응력이 치우쳐서 작용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가 적절히 회피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선은, 상기 평면부가 상기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를 제 2 영역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한층 적정하게 당해 평면부를 회전시켜 갈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가 상기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따르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평면부와의 접촉 부위의 각도 변화에 추수해서, 상기 평면부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가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어 갈 때에,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평면부와의 접촉 부위의 각도(경사 각도)가 변화되어도, 당해 평면부의 각도는, 변화되는 제 2 영역의 각도를 따르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밀어 넣기 부재와 제 2 영역의 접촉 상태를 항상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할단 공정에서는, 상기 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매달아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판유리에 휨이 발생하고 있을 경우의 상술의 작용 효과를 현저히 얻을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판유리를 정반 등의 위에 평평한 자세로 적재해서 할단할 경우에는 판유리의 휨이 작아지지만, 여기에서의 구성과 같이 판유리를 매달아 지지했을 경우에는 휨이 커진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판유리의 휨에 대해서는, 상술과 같이 적정하게 대처 가능하기 때문에, 그 작용 효과가 각별한 것으로 된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할단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영역의 이면을 흡착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영역의 이면의 흡착 유지에 의해, 판유리의 휨을 보조적으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한층 확실하게 스크라이브선의 근방에 균등한 굽힘 응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할단 후에 있어서는, 제 1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2 영역이 계속해서 흡착 유지되기 때문에, 제 2 영역을 낙하시키지 않고 퇴피 위치까지 반송해서, 원활하게 폐기 처분이나 회수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스크라이브선과 대향하는 끝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부위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와 같이 롤러를 사용하여 판유리를 할단 할 경우에, 당해 끝 가장자리부에 롤러가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판유리의 당해 끝 가장자리부(귀부로 호칭되어 있는 부위)는, 판유리의 중앙측의 부위보다 두껍고 또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끝 가장자리부에 롤러가 점접촉 또는 선접촉한 상태에서 제 2 영역을 밀어 넣었을 경우에는, 당해 끝 가장자리부와 롤러의 접촉 상태가 밀어 넣기 위치에 따라 변동될 우려가 있고, 이것에 따라 양자 간에 덜컹거림이 발생해 할단을 적정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평면부가 당해 끝 가장자리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 2 영역을 밀어 넣어도, 평면부와 당해 끝 가장자리부의 접촉 상태는 변동되기 어렵기 때문에, 양자 간에 덜컹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할단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제 2 영역의 스크라이브선과 직교하는 폭방향 치수가 좁을 경우라도, 평면부가 당해 끝 가장자리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양호하게 할단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어 넣기 부재는, 판두께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개의 표면 중 일방의 표면이 상기 평면부로 된 판형상 부재이며, 상기 판형상 부재는,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롤러를 갖는 롤러 부착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판유리의 휨의 정도에 따라서, 판형상 부재에 의한 제 2 영역의 밀어 넣기와, 롤러에 의한 제 2 영역의 밀어 넣기를 구별지어 쓸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판유리의 휨이 할단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판형상 부재에 의해 제 2 영역을 밀어 넣도록 한다. 이것에 대하여, 판유리의 휨이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일 경우에는, 롤러 부착 부재로부터 판형상 부재를 분리하고, 롤러에 의해 제 2 영역을 밀어 넣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판형상 부재에 의해 밀어 넣기를 행할 경우의 상술의 이점과, 롤러에 의해 밀어 넣기를 행할 경우의 이점을 겸비할 수 있다. 또한, 휨이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판유리에 대해서, 롤러에 의해 밀어 넣기를 행할 경우의 이점으로서는, 밀어 넣기시에 제 2 영역의 표면에 상처가 나기 어려워지는 것이나 롤러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구성이 간소화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부의 표면측에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할단 장치를 구비한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할단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이면을 지지하는 이면 지지 부재와,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영역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당해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는 평면부가 형성된 밀어 넣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제조 장치에 의하면, 상술의 제조 방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판유리의 할단이 적정하게 행해지고, 할단시의 치핑의 발생이나 다량의 유리 가루의 비산 등이 회피됨과 아울러, 할단에 요하는 작업 시간의 단축이나 밀어 넣기 부재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컴팩트화 등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할단시에 있어서의 판유리의 이면측으로의 밀어 넣기 동작이 양호하게 행해져서, 판유리가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적정하게 할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할단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할단 장치의 요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확대 개략 하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할단 장치의 요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확대 개략 하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할단 장치를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할단 장치의 요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확대 개략 하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할단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할단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할단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할단 공정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할단 공정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할단 공정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할단 공정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할단 공정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하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할단 장치(1)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유리(G)는, 표면측(부호 Ga, Gx의 측)에 형성된 스크라이브선(S)을 경계로 해서, 그 폭방향 일방측(화살표(A) 방향측)이 제 1 영역(G1)으로 되고, 그 폭방향 타방측(화살표(B) 방향측)이 제 2 영역(G2)으로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영역(G1)이 제품 부분으로 되고, 제 2 영역(G2)이 비제품 부분으로 된다. 단, 제 1 영역(G1)과 제 2 영역(G2)의 쌍방이 제품 부분으로 되어도 좋다. 도면예에서는, 스크라이브선(S)은 판유리(G)의 상단 및 하단에 도달하고 있지 않지만, 상단 및 하단에 도달하고 있어도 좋다.
판유리(G)는 스크라이브선(S)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매달아 지지되어 있다. 판유리(G)의 판두께는, 예를 들면 200~2000㎛로 할 수 있다. 판두께가 작을수록 휨이 발생하기 쉬워짐과 아울러 발생하는 휨이 커지고, 후술의 본 발명의 휨을 교정하는 효과가 현저해지므로, 판두께는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또한, 판유리(G)는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판유리(G)에 휨이 발생하고 있다. 이 휨은, 판유리(G)의 표면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선(S) 및 이것과 평행한 임의의 가상 직선이 만곡되는 형상을 보이고 있다.
할단 장치(1)는 판유리(G)를 굽힘 응력에 의해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할단하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할단 장치(1)는, 판유리(G)를 매달아 지지하는 파지 기구(2)와, 제 1 영역(G1)의 이면(Gb)측을 지지하는 이면 지지 부재(3)와, 제 2 영역(G2)의 이면(Gy)측을 흡착 유지하는 흡착 기구(4)와,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접촉한 상태에서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영역(G2)을 이면(Gy)측으로 밀어 넣는 밀어 넣기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밀어 넣기 부재(5)는, 판두께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표면 중 일방의 표면이,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접촉하는 평면부(5a)로 된 판형상 부재이다(도 2b 참조).
파지 기구(2)는, 제 1 영역(G1)의 상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판유리(G)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파지 기구(2)는, 판유리(G)의 상방을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도시 생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판유리(G)를 할단하는 공정이 행해질 때에는, 파지 기구(2) 및 판유리(G)는 정지한 상태로 된다. 또한, 파지 기구(2)는 제 1 영역(G1)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복수 개소에 배치해도 좋다.
이면 지지 부재(3)는 제 1 영역(G1)의 스크라이브선(S)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이면(Gb)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면 지지 부재(3)와 스크라이브선(S)의 폭방향의 이간 거리(L1)는, 예를 들면 10~30㎜이며, 바람직하게는 10~20㎜이다(도 4a 참조).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면 지지 부재(3)는, 제 1 영역(G1)의 이면(Gb)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평면으로 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장척인 기둥형상체 또는 판형상체(정반)이다. 또한, 이면 지지 부재(3)의 형상은 환봉형상 등이라도 좋다. 또한, 이면 지지 부재(3)는, 제 1 영역(G1)의 상단(Gd) 및 하단(Ge)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 나와 있지만, 상단(Gd) 및 하단(Ge)에 도달하지 않는 길이라도 좋다.
흡착 기구(4)는, 상하 방향으로 장척인 유지 기재(6)와, 유지 기재(6)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장착된 복수개(도면예에서는 5개)의 흡착 패드(7)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기재(6)는 로보트암 등의 구동 수단(도시 생략)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흡착 패드(7)는, 신축 가능한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제 2 영역(G2)의 이면(Gy)을 부압에 의해 흡착하는 것이다.
밀어 넣기 부재로서의 판형상 부재(5)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측에 배치되어 있다. 판형상 부재(5)와 스크라이브선(S)의 폭방향의 이간 거리(L2)는, 예를 들면 80~160㎜이다(도 4a 참조).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이간 거리(L2)는 제 2 영역(G2)을 밀어 넣기 전의 이간 거리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판형상 부재(5)는, 상하 방향으로 장척인 평판이며, 제 2 영역(G2)의 상단(Gf) 및 하단(Gg)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 나와 있지만, 상단(Gf) 및 하단(Gg)에 도달하지 않는 길이라도 좋다.
판형상 부재(5)의 앞측에는, 판형상 부재(5)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롤러 부착 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 부착 부재(8)는, 스크라이브선(S)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롤러축(9)과, 롤러축(9)의 축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도면예에서는 5개)의 롤러(10)와, 롤러축(9)을 지지하는 지지체(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스크라이브선(S)은 판유리(G)에 휨이 전혀 없다고 했을 경우의 스크라이브선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판형상 부재(5)는, 결속 밴드(12)를 사용해서 롤러축(9)에 연결되어 있다. 결속 밴드(12)는, 판형상 부재(5)와 롤러축(9)에 걸쳐서 권취 및 풀림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판형상 부재(5)가 롤러 부착 부재(8)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체(11)는, 로보트암 등의 구동 수단(도시 생략)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롤러 부착 부재(8)와 판형상 부재(5)가 동기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판형상 부재(5)의 주변을 하방으로부터 본 하면도이다.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롤러(10)는, 판형상 부재(5)에 있어서의 평면부(5a)와 대향하는 표면(평면상을 이룬다)에 접촉해서, 판형상 부재(5)를 압압하는 것이다. 판형상 부재(5)는, 동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롤러(10)와 동일 개소에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해서, 롤러축(9)의 둘레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판형상 부재(5)로부터 앞측으로 이간한 위치에,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롤러축(9)(엄밀하게는, 롤러축(9)의 중심인 축선(9a))이 존재하고 있다. 롤러축(9)의 축선(9a)과 판형상 부재(5)의 이간 거리(L3)(롤러(10)의 반경)는, 예를 들면 10~30㎜이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5)는, 롤러(1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해서, 뒷측으로의 D 방향으로 직진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D 방향은 제 2 영역(G2)의 표면(Gx)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이란, 휨이 전혀 없다고 했을 경우의 제 2 영역(G2)의 절할(折割) 공정 전의 표면(Gx)이다. 동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10)가 D 방향으로 직진 이동했을 경우에는, 제 2 영역(G2)의 각도 변화에 추수해서,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의 각도가 변화된다. 여기에서, 롤러축(9)(축선(9a))의 이동 경로(Z)를 기준으로 하면,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는, 각도 변화와 함께, 스크라이브선(S)에 접근하는 측으로 거리(L6)만큼 상대 이동한다. 따라서, 당해 평면부(5a)와 제 2 영역(G2)의 접촉 위치도, 롤러축(9)의 이동 경로(Z)에 대하여, 스크라이브선(S)에 접근하는 측으로 거리(L6)만큼 상대 이동한다. 이 경우, 가령 특허문헌 1에 개시와 같이 롤러(10)가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직접 접촉하고 있었다면, 롤러(10)와 제 2 영역(G2)의 접촉 위치(a)는, 상기 거리(L6)보다도 짧은 거리(L7)만큼 스크라이브선(S)에 접근하는 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상처가 나기 어려운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평면부(5a)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형상 부재(5)는 적당한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는, 판형상 부재(5)는, 판유리(G)와 동 정도 또는 그것보다도 높은 강성을 구비한 뒤에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으로부터, 판형상 부재(5)는 플라스틱 골판지나 파로니아로 대표되는 다공질 수지판 또는 발포 수지판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조 장치를 사용한 판유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위치의 상류측의 공정에 있어서, 판유리(G)를 파지 기구(2)에 의해 매달아 지지한 상태에서, 휠 커터에 의한 압압이나 레이저의 조사 등에 의해, 판유리(G)의 표면(Gx)에 스크라이브선(S)을 형성한다. 이어서, 스크라이브선(S)이 형성된 판유리(G)를 파지 기구(2)에서 매달아 지지한 상태 그대로, 판유리(G)를 폭방향으로 반송해서 정지시킨다. 판유리(G)가 정지한 시점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지지 부재(3)가 앞측을 향해 이동해서 판유리(G)의 제 1 영역(G1)의 이면(Gy)에 접촉한다. 또한, 롤러 부착 부재(8)가 뒷측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가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접촉한다. 또한, 흡착 기구(4)의 유지 기재(6)가 앞측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흡착 패드(7)가 제 2 영역(G2)의 이면(Gy)을 흡착한다.
그리고,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면접촉한 상태를 유지해서, 제 2 영역(G2)을 이면(Gy)측으로 밀어 넣어 간다. 이 단계에서, 제 2 영역(G2)과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의 면접촉부(Gw) 주변은, 도 3a에 나타내는 측면시 및 도 3b에 나타내는 하면시(실선으로 그려진 형태)에 있어서, 휨이 거의 없는 평탄한 형상으로 된다. 이 경우, 가령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롤러(10)를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직접 접촉시켰다면, 예를 들면, 도 3b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10)가 판유리(G) 중에서 휨에 따라 돌출된 부분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함으로써, 제 2 영역(G2)의 롤러(10)와의 접점부(b)의 근방이 국소적으로 크게 패인다. 그리고, 이 국소적인 구덩이는, 제 2 영역(G2)의 넓은 범위에 부당한 변형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그 때문에, 판유리(G)의 할단시에는, 스크라이브선(S)의 근방에 균등한 굽힘 응력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가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면접촉하고 있으면, 제 2 영역(G2)과 당해 평면부(5a)의 면접촉부(Gw) 주변이 평탄한 형상으로 되는 점으로부터, 제 2 영역(G2)의 넓은 범위에 부당한 변형을 발생시키기에는 이르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판유리(G)의 할단시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경우와 비교해서, 스크라이브선(S)의 근방에 균등하게 굽힘 응력이 작용하고, 치핑의 발생이나 다량의 유리 가루의 비산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 2 영역(G2)의 이면(Gy)은, 흡착 패드(7)에 의해 흡착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판유리(G)의 휨을 보다 한층 작게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단, 흡착 패드(7)는, 신축하는 등의 용이하게 변형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흡착 패드(7)만으로는 판유리(G)의 휨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없고, 휨의 저감에 대해서 보조적인 역할을 다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가 회전하면서 제 2 영역(G2)을 이면(Gy)측으로 밀어 넣고, 판유리(G)를 할단해 가는 공정을 시계열로 예시하고 있다. 우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부착 부재(8)를 이동시켜서,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를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면접촉시킨다. 이 때, 롤러(10)는 판형상 부재(5)에 접촉한 상태에 있고, 판형상 부재(5) 및 유지 기재(6)는 쌍방 모두 경사지지 않은 상태(제 1 영역(G1)의 표면(Ga)과 평행한 상태)에 있다. 이하, 이 상태를 초기 상태라고 부른다.
이어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10) 및 롤러축(9)이 D 방향으로 직진 이동(평행 이동)함으로써,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면접촉한 상태를 유지해서 롤러축(9)(축선(9a))의 둘레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판유리(G)는 이면 지지 부재(3)를 기점으로 해서 휜다. 이 때,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의 각도 변화에 추수해서, 각도가 변화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는, 제 2 영역(G2)에 있어서의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와의 면접촉부(Gw)로부터 스크라이브선(S)에 이르기까지의 부위가 평탄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제 2 영역(G2)의 스크라이브선(S)의 근방은 굴곡에 가까운 형상 즉 큰 곡률로 만곡된 형상으로 된다. 여기에서, 동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만곡선(W)은, 특허문헌 1에 개시와 같이 롤러(10)가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했을 경우에, 제 2 영역(G2)의 표면(Gx)이 휘었을 때의 형상을 그린 것이다. 이 만곡선(W)은, 제 2 영역(G2)의 스크라이브선(S)의 근방이 작은 곡률로 만곡하고 있다. 그 때문에, 롤러(10)가 직접 접촉할 경우보다도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가 면접촉할 경우의 쪽이, 제 2 영역(G2)의 스크라이브선(S)의 근방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 커진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을 활동하고, 제 2 영역(G2)에 대한 상대 위치가 스크라이브선(S)으로부터 이반하는 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대하여, 흡착 패드(7)의 제 2 영역(G2)에 대한 상대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 후, 롤러(10) 및 롤러축(9)이 D 방향으로 더 직진 이동해서,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가 제 2 영역(G2)을 더 밀어 넣고, 스크라이브선(S)의 근방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 충분히 커진 시점에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유리(G)가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할단된다. 이 경우, 도 4b에 의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영역(G2)이 휘었을 때에는, 제 2 영역(G2)의 면접촉부(Gw)로부터 스크라이브선(S)에 이르기까지의 부위가 평탄에 가까운 형상으로 된다. 그 때문에, 롤러(10)를 D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키는 거리가 짧아도, 판유리(G)를 할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판유리(G)의 할단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됨과 아울러, 롤러 부착 부재(8)를 이동시키는 기구의 컴팩트화도 도모된다. 또한, 판유리(G)가 할단됨으로써 제 2 영역(G2)이 제 1 영역(G1)으로부터 분리된 후는, 제 2 영역(G2)은 낙하하지 않고, 흡착 패드(7)에 의해 흡착 유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 제 2 영역(G2)은, 제 1 영역(G1)에 영향이 발생하지 않는 대피 위치까지 반송된 후, 흡착 패드(7)에 의한 흡착이 해제되어서 낙하 회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은, 상기 예시의 구성 대신에,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가, 제 2 영역(G2)의 스크라이브선(S)과 대향하는 끝 가장자리부(Gz)를 포함하는 부위의 표면(Gx)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영역(G2)의 끝 가장자리부(Gz)(귀부로 호칭되는 부위)는, 제 2 영역(G2)의 그 밖의 부위보다도 두께가 크고 또한 상하 방향(동 도면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롤러를 제 2 영역(G2)의 끝 가장자리부(Gz) 또는 그 근방의 표면(Gx)에 접촉시켰을 경우에는, 롤러가 D 방향으로 직진 이동해 가는 과정에서 롤러와 끝 가장자리부(Gz)의 불안정한 접촉에 기인해서 양자간에 덜컹거림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가 당해 끝 가장자리부(Gz)를 포함하는 부위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에는, 판형상 부재(5)를 D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켜도,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와 끝 가장자리부(Gz)의 접촉 상태가 안정되기 때문에, 양자간에 덜컹거림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5a에 나타내는 판유리(G)는 제 2 영역(G2)의 폭방향의 치수가 짧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영역(G2)의 좁은 폭에 대해서는,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를, 당해 끝 가장자리부(Gz)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 도면예에서는 끝 가장자리부(Gz)로부터 비어져 나오게 함으로써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5)가 가요성을 갖도록 하면, 제 2 영역(G2)의 끝 가장자리부(Gz)로부터 그 근방에 걸쳐서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를 극간 없이 또는 약간 극간이 발생한 상태에서 면접촉시킬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판형상 부재(5)의 강성이 판유리(G)의 강성보다도 높고 또한 판형상 부재(5)가 가요성을 갖는 것이면,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5)가 제 2 영역(G2)을 변형시킨 뒤에, 판형상 부재(5) 자체도 변형되는 형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은, 이상의 설명에 따른 판유리(G)보다도 휨이 작거나 또는 휨이 없는 판유리를 할단할 경우에, 이하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우선, 롤러 부착 부재(8)의 결속 밴드(12)를 풀어서, 판형상 부재(5)를 분리한다. 그 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롤러(10)를 전동 가능하게 접촉시킴과 아울러, 제 2 영역(G2)의 이면(Gy)을 흡착 패드(7)에 의해 흡착 유지시킨다. 이 상태를 초기 상태라고 한다. 그리고, 이 초기 상태로부터, 롤러(10)를 D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킴으로써, 상술의 도 4b에 나타내는 상태와 같이 제 2 영역(G2)을 휘게 한다. 이 과정에서는, 롤러(10)는, 제 2 영역(G2)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제 2 영역(G2)의 표면(Gx)을 전동하고, 이것에 따라 롤러(10)의 제 2 영역(G2)에 대한 상대 위치가 스크라이브선(S)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2 영역(G2)의 휨이 커지고, 스크라이브선(S)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이 충분한 크기로 된 시점에서, 상술의 도 4c에 나타내는 상태와 같이 판유리(G)가 할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은, 판유리(G)를 1개소에서 할단할 뿐만 아니라,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유리(G)를 2개소에서 할단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유리(G)의 폭방향의 중앙측 영역을 제 1 영역(G1)으로 해서, 그 양측에 스크라이브선(S)을 형성하고, 각 스크라이브선(S)의 폭방향의 외측 영역을 각각 제 2 영역(G2)으로 한다. 그리고, 각 제 2 영역(G2)의 표면(Gx)측에 롤러 부착 부재(8)를 각각 배치하고, 각 제 2 영역(G2)의 이면(Gy)측에 흡착 기구(4)를 각각 배치한다. 또한, 제 1 영역(G1)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이면(Gb)측에, 이면 지지 부재(3)를 각각 배치한다. 이 경우에는, 각 롤러 부착 부재(8)를 기준으로 하면, 폭방향의 중앙측이 도 1의 화살표(A) 방향측으로 되고 또한 폭방향의 양쪽 외측이 도 1의 화살표(B) 방향측으로 된다. 이것들을 전제 조건으로 하면, 판유리(G)의 폭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이미 설명한 작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이 행해지고, 또한, 이미 설명한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은,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5)의 앞측에 고정한 브래킷(13)에,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14)을 삽입 통과하고, 이 축(14)을 지지체(15)의 뒷측에 고정한 브래킷(16)에 의해 지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는, 축(14)(축선(14a))의 둘레로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체(15)는, 로보트암 등의 구동 수단의 동작에 의해, 초기 상태에 있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과 직교하는 D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 이외에도, 지지체(15)에 의해 지지된 축의 둘레로 판형상 부재(5)의 평면부(5a)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다른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롤러축(9)(축(14))이, 초기 상태에 있는 제 2 영역(G2)의 표면(Gx)과 직교하는 D 방향으로 직진 이동하도록 구성했지만, 이것 대신에, D 방향과 각도를 이루는 경사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롤러축(9)(축(14))은, 이면 지지 부재(3)의 근방이나 스크라이브선(S)의 근방을 중심으로 하는 원궤도 또는 이것에 유사하는 궤도 등의 만곡 궤도를 따라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롤러축(9)(축(14))과 유지 기재(6)를 동일한 만곡 궤도(예를 들면 상기 만곡 궤도)를 따라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판유리(G)의 휨이, 판유리(G)의 표면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선(S) 및 이것과 평행한 임의의 가상 직선이 만곡하는 형상을 보인 것이지만, 이것과는 다른 형상을 보이는 휨이라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판유리(G)를 종자세로 매달아 지지하도록 했지만, 판유리(G)를 횡자세(바람직하게는 수평 자세)로 평평하게 놓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판유리(G)의 하면을 이면 지지 부재(3)로 지지하고, 판유리(G)의 제 2 영역(G2)의 상면을 판형상 부재(5)에 의해 하면측(하방)으로 밀어 넣게 된다. 또한, 판유리(G)의 상면을 이면 지지 부재(3)로 지지하고, 판유리(G)의 제 2 영역(G2)의 하면을 판형상 부재(5)에 의해 상면측(상방)으로 밀어 넣도록 해도 좋다. 또한, 판유리(G)의 자세는 연직면이나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자세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판형상 부재(5)의 폭방향 치수(L4)(단위: ㎜, 도 2a 참조)는, 판유리(G)의 제 2 영역(G2)의 폭방향의 치수(㎜)에 대한 백분율로,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2 영역의 스크라이브선의 근방을 큰 곡률로 만곡한 형상으로 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한편, 판형상 부재(5)의 폭방향의 치수(L4)의 상한은, 예를 들면 90%로 할 수 있다. 판형상 부재(5)의 길이 방향 치수(L5)(단위: ㎜, 도 3a 참조)는, 판유리(G)의 길이 방향 치수(㎜)에 대한 백분율로, 예를 들면 70%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도 3a와 같이 100% 이상이라도 좋다. 판형상 부재(5)의 두께(T)는, 예를 들면 5~15㎜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영역(G2)의 표면(Gx)에 접촉하는 밀어 넣기 부재는, 판형상 부재(5)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밀어 넣기 부재는, 단면이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그 밖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기둥형상체나, 이것들 이외의 입체형상을 이루는 것이라도, 평면부를 갖는 부재이면 좋다. 또한, 밀어 넣기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장척인 단일의 부재가 아니어도 좋고,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밀어 넣기 부재가 배열되도록 해도 좋다. 단, 이 경우에는, 동일한 축선의 둘레로 동일한 지름으로 복수의 밀어 넣기 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1 : 판유리의 제조 장치(할단 장치)
3 : 이면 지지 부재
5 : 판형상 부재(밀어 넣기 부재)
5a : 평면부
7 : 흡착 패드
8 : 롤러 부착 부재
9 : 롤러축
9a : 축선
10 : 롤러
14 : 축
14a : 축선
G : 판유리
G1 : 제 1 영역
G2 : 제 2 영역
Ga : 제 1 영역의 표면
Gb : 제 1 영역의 이면
Gx : 제 2 영역의 표면
Gy : 제 2 영역의 이면
Gz : 판유리의 끝 가장자리부
S : 스크라이브선

Claims (9)

  1. 판유리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부의 표면측에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는 할단 공정을 포함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할단 공정에서는, 이면 지지 부재가 상기 제 1 영역의 이면을 지지한 상태에 있을 때에, 밀어 넣기 부재의 평면부가 상기 제 2 영역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당해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은, 상기 평면부가 상기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가 상기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따르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평면부와의 접촉 부위의 각도 변화를 추수해서, 상기 평면부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단 공정에서는, 상기 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매달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단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영역의 이면을 흡착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스크라이브선과 대향하는 끝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부위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 넣기 부재는, 판두께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개의 표면 중 일방의 표면이 상기 평면부로 된 판형상 부재이며, 상기 판형상 부재는,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롤러를 갖는 롤러 부착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
  9.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부의 표면측에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판유리를,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할단 장치를 구비한 판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할단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의 이면을 지지하는 이면 지지 부재와,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영역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당해 제 2 영역을 이면측으로 밀어 넣는 평면부가 형성된 밀어 넣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제조 장치.
KR1020227004507A 2019-10-08 2020-09-15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220079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85419 2019-10-08
JP2019185419A JP7336071B2 (ja) 2019-10-08 2019-10-08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PCT/JP2020/034941 WO2021070579A1 (ja) 2019-10-08 2020-09-15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515A true KR20220079515A (ko) 2022-06-13

Family

ID=7538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507A KR20220079515A (ko) 2019-10-08 2020-09-15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36071B2 (ko)
KR (1) KR20220079515A (ko)
CN (1) CN114302865A (ko)
WO (1) WO2021070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02006A (ja) * 2021-06-22 2023-01-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板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
WO2023210143A1 (ja) * 2022-04-26 2023-11-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6549A (ja) 2016-06-20 2017-12-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417A (ja) * 1996-03-27 1997-10-07 Bando Kiko Kk ガラス板の加工装置及びそれに好適な折り割り装置
JPH11171573A (ja) * 1997-08-25 1999-06-29 Bando Kiko Kk ガラス板の折割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押し割りヘッド手段
KR100890764B1 (ko) * 2008-01-25 2009-03-2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가공 테이블 일체형 유리 기판 브레이킹 장치
KR20120107722A (ko) * 2011-03-22 2012-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절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기판 절단 방법
KR101732445B1 (ko) * 2011-06-07 2017-05-04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형상 유리의 절단방법 및 그 절단장치
JP5796421B2 (ja) * 2011-09-02 2015-10-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割断装置
WO2014017577A1 (ja) * 2012-07-27 2014-01-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及び板ガラスの製造方法、並びに板ガラスの製造装置
JP6628032B2 (ja) * 2015-12-21 2020-01-0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6589620B2 (ja) * 2015-12-21 2019-10-1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6549A (ja) 2016-06-20 2017-12-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0579A1 (ja) 2021-04-15
JP7336071B2 (ja) 2023-08-31
CN114302865A (zh) 2022-04-08
JP2021059476A (ja)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8557B2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220079515A (ko)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JP4947488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6792824B2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の折割装置
TWI725257B (zh) 板玻璃的製造方法及板玻璃的折斷裝置
CN105985012B (zh) 划线设备
JP2018030376A (ja) 脆性材料基板のローリングブレーク装置
KR20040033245A (ko) 취성재료기판의 브레이크 방법, 그 장치 및 가공장치
KR20220080072A (ko)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JP6032428B2 (ja) ガラスフィルム切断装置及びガラスフィルム切断方法
JP4447654B2 (ja) スクライブ装置及びスクライブ方法
KR20150022638A (ko) 기판 분단 장치
CN107151091B (zh) 划片设备
CN100529873C (zh) 用于除去面板边缘的空白玻璃的装置及其方法
KR101236805B1 (ko) 기판 커팅 장치 및 기판 커팅 방법
CN105313227A (zh) 脆性材料基板的端材分离方法及端材分离装置
JP2008094632A (ja) パネル分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247599A (ja) 板ガラス切断方法および板ガラス切断装置
CN108218214A (zh) 基板保持单元和具有该基板保持单元的划片设备
CN107922238B (zh) 利用辊的非金属材料的切割装置及切割方法
KR20230098772A (ko) 판유리의 제조 방법, 그 제조 장치 및 판유리
WO2023100865A1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原板梱包体
JP5842484B2 (ja) 板ガラスの位置決め装置及びその位置決め方法
JP4081533B2 (ja) ガラス基板分割方法
CN116583388A (zh) 板玻璃的制造方法以及割断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