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405A -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 Google Patents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405A
KR20220075405A KR1020227014823A KR20227014823A KR20220075405A KR 20220075405 A KR20220075405 A KR 20220075405A KR 1020227014823 A KR1020227014823 A KR 1020227014823A KR 20227014823 A KR20227014823 A KR 20227014823A KR 20220075405 A KR20220075405 A KR 2022007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display unit
holding device
variable
targe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체스코 카렐로
하이코 미햐엘 슈바익하르트
카스텐 린트슈테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7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constructional aspects of navigation devices, e.g. housings, mountings,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8Interfacing with an on-board device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20Cycle computers as cycle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딩 장치 내에 추가 기능들의 실행을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제대로 된 홀딩 및/또는 방향 설정이 존재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본 발명은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이륜차들에서도 사용자의 시야 영역 내에 내비게이션 장치, 속도계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들을 고정시키는 요구가 존재한다. 이 경우, 일부 공급 업체들에 의하여, 우선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을 홀딩부 내에 삽입한 이후 회전시킬 것을 필요로 하는 베이어닛 조인트(bayonet joint)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이 이와 같이 로킹된 이후, 사용자는 이러한 유닛의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홀딩 장치 내에 추가 기능들의 실행을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제대로 된 홀딩 및/또는 방향 설정이 존재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가 청구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러한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 예를 들어 래칭 위치를 인식하는데 적합하다. 이 경우, 목표 위치는, 이러한 목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이 자신이 홀딩되거나 로킹 또는 고정되는 홀딩 장치에 대한 사전 결정된 방향 설정 또는 배열을 취하도록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목표 위치가, 홀딩 장치의 또는 그 내부의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듈과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사이의 최적화된 데이터 연결을 구현하도록 사전 결정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최적화된 데이터 연결은, 홀딩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장착되거나 통합되는 여타의 또는 추가의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듈에 대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목표 위치의 인식을 위해, 본원의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센서의 제1 측정 변수를 검출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장치의 위치 또는 배향을 나타내는 센서 변수가 검출될 것이다. 또한, 제2 측정 변수로서는, 홀딩 장치에 통합되거나 홀딩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에 장착되는 무선 신호 전송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의 송신 신호가 검출된다. 이어서, 목표 위치의 인식 또는 목표 위치의 도달에 따른 정보 생성은 제1 측정 변수와 제1 비교 변수의 비교와, 제2 측정 변수와 제2 비교 변수의 추가 비교에 의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베이어닛 조인트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이 홀딩부 내에 삽입된 이후에 회전 운동하는 것과,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의 송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가 동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인식될 때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로킹 또는 고정이 실행된다고 가정된다. 이러한 지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내의 제어 기능은 사용자가 이를 수동으로 실행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제어 기능 뿐만 아니라 전송된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기능도 더욱 신속하게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내의 센서의 제1 측정 변수에 의해서는 위치 변수 또는 방향 설정이 검출된다. 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배향일 수 있지만, 특별한 위치 좌표일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운동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제1 측정 변수들도 검출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측정 변수 또는 복수의 제1 측정 변수들의 시간 시퀀스는 후속적으로, 시작 위치 또는 로킹 과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교 변수(들)과 비교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비교 변수를 통해 홀딩 장치의 상응하는 홀딩부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이 부착되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비교 변수는 홀딩 장치의 수용부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사전 결정된 제1 방향 설정을 나타내므로, 홀딩 장치 내로의 정확한 삽입이 인식되는 것도 고려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측정 변수들의 검출은 디스플레이 및/또는 제어 유닛 그리고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의 위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또는 요잉율 센서의 센서값들이 이에 적합하다. 그러나, 광 센서에 의하여 밝기 차이를 통해 홀딩 장치 내의 운동, 특히 기대될 운동을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 비교 변수는, 제1 측정 변수와의 비교를 통해 인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운동을 나타낸다.
목표 위치 도달의 인식은 추가적으로, 홀딩 장치 또는 홀딩 장치가 고정되는 차량에 장착되는 무선 신호 전송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의 송신 신호의 검출을 통해 실행된다. 이 경우, 송신 신호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내의 상응하는 수신 모듈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의 장착 위치 뿐만 아니라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의 송신 출력을 앎으로써, 사전 결정된 목표 위치에 따라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제대로 된 홀딩이 존재하게 되는 신호 임계값이 제2 비교 변수로서 설정될 수 있다. 제2 측정 변수가 이러한 신호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한다면,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으로 구성된 본원의 방법이나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이 사전 결정된 목표 위치에 위치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원의 방법이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이전에, 추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딩 장치는, 목표 위치에서야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전기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상호 작동 연결되는 전기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장치의 연결 요소들이 홀딩 장치의 상응하는 연결 요소들에 접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또는 홀딩 장치를 통해 이러한 전기 접점들에서 전류-, 전압- 또는 저항 측정이 실행된다면, 접촉과 이에 따라 목표 위치가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과 홀딩 장치 또는 무선 신호 전송 모듈 사이의 현존하는 무선 연결부가, 홀딩 장치 내로의 삽입 이전에 존재한다. 이 경우, 무선 연결부를 통해서는, 삽입 및 목표 위치 도달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또는 제2 비교 변수가 전송될 수 있다. 홀딩 장치 또는 홀딩 장치가 고정된 차량의 상응하는 비교 변수들을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으로 이러한 형태로 전송하는 것에 대한 장점은, 전송된 비교 변수들이, 홀딩 장치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특유의 기하 구조들 및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비교 변수는, 목표 위치와 블루투스 모듈 사이의 준수될 그리고 요구되는 기하학적 간격에 매칭되는 신호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및/또는 제2 비교 변수는, 예를 들어 평균값 주위의 1%, 2%, 5% 또는 10%의 값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에 대한 홀딩 장치의 다양한 장착 조건들 또는 제조 정확도들이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전거 및 전기 자전거와 같은 이륜차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전기 모터를 위한 속도 디스플레이 또는 제어 유닛으로서 활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빠져나옴 또는 부정확한 로킹을 통한 의도치 않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련 홀딩 장치 내의 상응하는 확실한 홀딩부가 이에 필요하다. 또한,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한 무선 데이터 전송에서는, 이륜차의 제어 뿐만 아니라 데이터 피드백도 보장하기 위하여, 규정된 신호 강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의 수신 모듈에 대한 홀딩 장치 내 송신 모듈의 최소 간격을 의도한 대로 설정함으로써 달성되는 최소 강도의 신호 수신이 요구된다. 물론, 이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모듈로의 제어 신호의 송신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내에 제공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가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가능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의 블록 회로도에 의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의 원리가 설명된다. 이 경우, 검출된 측정 변수들의 평가에 적합한 제어 유닛(100)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 유닛(100)은 독립적 유닛으로서 홀딩 장치에 장착될 수 있거나, 홀딩 장치 내에 삽입되어 최종적으로 로킹 또는 고정되는 상위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제어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유닛, 예를 들어 속도 표시기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부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 유닛(100)은, 본원의 방법을 실행하거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비교 변수들이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11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또는 모바일 단말 장치 내에 존재하는 센서(120)의 제1 측정 변수들을 검출한다. 이는, 가속도 센서, 요잉율 센서, 위치 센서, 기울기 센서, 각도 검출용 센서일 뿐만 아니라, GPS 또는 기타 위치 식별 모듈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이 삽입될 홀딩 장치에 제공되는 무선 신호 전송 모듈(130),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의 제2 측정 변수들을 검출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은, 홀딩 장치가 고정된 차량에 홀딩 장치와는 분리된 상태로도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에 대한 전기 접점(140)들을 통한 전기 연결부가 검출되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무선 신호 전송 모듈(130) 또는 추가 송신 모듈(150)이 상응하는 제1 및/또는 제2 비교 변수를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에 송신하도록 하는 무선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에 의해 수신 및 저장된 비교 변수들은 이에 따라, 차량에서의 무선 신호 전송 모듈(130) 배열체 및 홀딩 장치의 사전 결정된 치수, 기하 구조 및/또는 배열에 개별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또는 제어 유닛(100)이 홀딩 장치 내의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인식한 이후,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내의 평가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또는 차량의 구성 요소(160)들의 기능을 자동으로 트리거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목표 위치 도달의 인식에 대해서도, 상응하는 장치(17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또는 음향적으로 통지받을 수 있다.
목표 위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이 로킹되거나 고정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래칭 위치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이 사용자의 다른 관여없이 분리되거나 홀딩 장치로부터 빠져나오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목표 위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바람직한 방향 설정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사용 시에 가능한 한 넓은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홀딩 장치 내의 표시 장치가 의도한 대로 종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목적에 유용하다. 대안적으로, 이륜차의 핸들바에서 공간을 가능한 한 적게 차지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가 종방향으로 배향되어야 할 수도 있다.
본원의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시작 이후에, 단계(200)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내의 센서(120)의 하나 이상의 제1 측정 변수가 검출된다. 이러한 제1 측정 변수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요잉율 센서, 밝기 센서, 일반적으로는 위치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의 센서 변수일 수 있다. 물론, 홀딩 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방향 설정 및/또는 위치 설정을 검출하기 위하여, 센서 변수들의 조합도 검출될 수 있다. 추가 단계(210)에서, 블루투스 모듈(130)의 송신 신호가 검출된다. 이 경우, 2개의 단계(200 및 210)들은 연속적으로, 동시적으로 또는 단계(220)에서부터의 측정 변수들의 후속 평가와는 독립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변수들의 시간적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복수의 측정 변수들이 검출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운동 또는 무선 신호 전송 모듈(130)의 신호 강도의 변화가 인식될 수 있다.
검출된 제1 및 제2 측정 변수의 평가를 위해, 단계(220)에서는 제1 측정 변수가 제1 비교 변수와 비교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이 홀딩 장치 내에 삽입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동일한 센서 또는 다른 센서의 제1 측정 변수들의 추가 검출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운동이 홀딩 장치 내의 로킹 및/또는 고정을 구현하기에 적합한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변수들을 통해서는, 베이어닛 조인트의 사용에 있어서 전형적인 회전이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 변수들에 의해서는, 공지된 몇몇 홀딩 컨셉들에서도 사용되는 슬라이딩 운동도 인식될 수 있다.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로킹 또는 고정에 있어서 전형적인 운동이 단계(220)에서의 비교를 통해 인식되지 않으면, 본원의 방법은 제1 측정 변수들의 검출과 함께 새로이 실행될 수 있다.
추가 단계(230)에서, 검출된 제2 측정 변수는 제2 비교 변수와 비교된다. 이 경우, 제2 비교 변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확실한 로킹을 인식하기 위해 달성되어야 하는 최소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최소 신호 강도는, 무선 전송이 제어 신호들의 송신과 작동 파라미터들의 수신을 위해 충분하도록 보장하기도 한다. 단계(230)는 단계(220) 이전 또는 이후에 실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계와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최소 신호 강도가 달성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단계(200)에서의 측정 변수들의 검출이 새로이 시작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새로운 제2 측정 변수들만이 단계(210)에서 검출된다.
단계(220)에서, 로킹에 적합한 운동이 실행되었고,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의 수신된 신호의 송신 강도가 최소 신호 강도를 초과한다는 것이 인식되면, 후속 단계(240)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목표 위치, 래칭 위치 또는 요구되는 방향 설정의 정확한 달성을 나타내는 신호가 생성된다. 이러한 신호는 차량의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또는 음향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비교 변수는 크기 간격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균값과의 편차가 1%, 2%, 5% 또는 10%인 경우에, 이러한 평균값에 기초하여 최소 신호 강도가 달성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목표 위치의 인식에 대한 허용 오차의 이러한 유형의 증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예를 들어, 홀딩 장치가 블루투스 모듈과는 분리된 상태로 차량에, 예를 들어 핸들바에 장착되고, 공간 상의 이유로 간격이 확대되어야 할 때 고려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추가 단계(250)에서는, 목표 위치 도달의 인식에 기초하여, 홀딩 장치가 장착되는 이륜차의 구성 요소들의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전기 자전거의 모터는 복잡하지 않은 출발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자동으로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클라우드 서버와 무선 연결부의 연결 초기화도 개시될 수 있다.

Claims (10)

  1.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특히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Figure pct00001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센서의 하나 이상의 제1 측정 변수를 검출하는 단계(200)와,
    Figure pct00002
    홀딩 장치의 무선 신호 전송 모듈, 특히 블루투스 모듈의 송신 신호, 특히 송신 신호의 신호 강도의 제2 측정 변수를 검출하는 단계(210)와,
    Figure pct00003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 특히 래칭 위치의 도달에 대한 정보를,
    Figure pct00004
    제1 측정 변수와 제1 비교 변수가 비교되는 단계(220)에 따라 그리고
    Figure pct00005
    제2 측정 변수를 통해 제2 비교 변수가 초과되는 단계(230)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240)를 포함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06
    제1 측정 변수는 위치 변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7
    제1 비교 변수는 홀딩 장치의 수용부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시작 위치, 특히 사전 결정된 제1 방향 설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08
    제1 측정 변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위치 변화를, 특히 가속도 값 또는 요잉율의 형태로서 검출하고,
    Figure pct00009
    제1 비교 변수는 제1 측정 변수의 시간적 진행 추이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운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비교 변수는 신호 임계값을 나타내고, 특히 신호 임계값은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의 근사치에 따라 사전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딩 장치 내의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목표 위치는 추가적으로, 홀딩 장치와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사이의 전기 접점(150)의 검출에 따라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비교 변수는 홀딩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으로의 전송에 의하여, 특히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의 송신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7.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내에서, 특히 모바일 단말 장치 내에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Figure pct00010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센서의 하나 이상의 제1 측정 변수를 검출하는 단계(200)와,
    Figure pct00011
    홀딩 장치의 무선 신호 전송 모듈, 특히 블루투스 모듈의 송신 신호, 특히 송신 신호의 신호 강도의 제2 측정 변수를 검출하는 단계(210)와,
    Figure pct00012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 특히 래칭 위치의 도달에 대한 정보를,
    Figure pct00013
    제1 측정 변수와 제1 비교 변수가 비교되는 단계(220)에 따라 그리고
    Figure pct00014
    제2 측정 변수를 통해 제2 비교 변수가 초과되는 단계(230)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240)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 제7항에 있어서, 이러한 프로그램은 제1 및/또는 제2 비교 변수를 홀딩 장치로부터의 전송에 의해, 특히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의 송신 신호를 통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9.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나 제7항 또는 제8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특히 모바일 단말 장치로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은,
    Figure pct00015
    센서(130, 140)에 의해 제1 측정 변수, 특히 위치 변수를 검출하고,
    Figure pct00016
    수신 모듈에 의하여 홀딩 장치의 무선 신호 전송 모듈, 특히 블루투스 모듈(120)의 송신 신호, 특히 송신 신호의 신호 강도의 제2 측정 변수를 검출하고,
    Figure pct00017
    제1 측정 변수와 제1 비교 변수의 비교에 따라 그리고
    Figure pct00018
    제2 측정 변수를 통한 제2 비교 변수의 초과에 따라
    Figure pct00019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의 목표 위치, 특히 래칭 위치의 도달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10. 제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은 제1 및/또는 제2 비교 변수를 홀딩 장치로부터의 전송에 의해, 특히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의 송신 신호를 통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100).
KR1020227014823A 2019-10-10 2020-10-08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KR20220075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15537.5A DE102019215537A1 (de) 2019-10-10 2019-10-10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Zielposition einer Anzeige- und/oder Steuereinheit in eine Haltevorrichtung sowie entsprechende Anzeige- und/oder Steuereinheit
DE102019215537.5 2019-10-10
PCT/EP2020/078238 WO2021069561A1 (de) 2019-10-10 2020-10-08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zielposition einer anzeige- und/oder steuereinheit in eine haltevorrichtung sowie entsprechende anzeige- und/oder steuereinhe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405A true KR20220075405A (ko) 2022-06-08

Family

ID=7280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823A KR20220075405A (ko) 2019-10-10 2020-10-08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32260A1 (ko)
EP (1) EP4042106B1 (ko)
JP (1) JP2022552473A (ko)
KR (1) KR20220075405A (ko)
DE (1) DE102019215537A1 (ko)
NL (1) NL2026650B1 (ko)
WO (1) WO2021069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10116A1 (de) * 2022-09-26 2024-03-2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fahrrad mit einer Funkschnittstelle; System umfassend ein Elektrofahrrad und ein mobiles Endgerä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mobilen Endgeräts und/oder zur Steuerung eines Elektrofahrrad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229A (ja) * 2002-01-08 2003-07-18 Navitime Japan Co Ltd 車載/携帯兼用地図表示装置
JP2008124959A (ja) * 2006-11-15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082729B2 (ja) * 2007-10-02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98356A (ja) * 2008-10-14 2010-04-30 Panasonic Corp 携帯端末
US20110295458A1 (en) * 2010-05-28 2011-12-01 Verizon Virginia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Disabling One or More Features of a Mobile Access Device and/or a Vehicle Associated with the Mobile Access Device
US9891054B2 (en) * 2010-12-03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Inertial sensor aided heading and positioning for GNSS vehicle navigation
US10306422B2 (en) * 2011-01-21 2019-05-2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vehicle electronic device usage blocker
DE102011101808A1 (de) * 2011-05-17 2012-11-22 Volkswagen Ag Verfahren und System zum Bereitstellen einer Nutzerschnittstelle in einem Fahrzeug
JP2014204242A (ja) * 2013-04-03 2014-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US9448250B2 (en) * 2013-06-08 2016-09-20 Apple Inc. Detecting mount angle of mobile device in vehicle using motion sensors
TWM476874U (en) * 2013-10-18 2014-04-21 Jin-Zhu Weng Bluetooth rotatable bracket
KR101569020B1 (ko) * 2013-12-12 2015-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KR101714275B1 (ko) * 2015-12-14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JPWO2019021534A1 (ja) * 2017-07-26 2020-05-28 株式会社Momo 携帯情報端末の保護ケース、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2106B1 (de) 2023-12-06
EP4042106A1 (de) 2022-08-17
NL2026650A (nl) 2021-05-31
WO2021069561A1 (de) 2021-04-15
NL2026650B1 (nl) 2022-12-20
DE102019215537A1 (de) 2021-04-15
JP2022552473A (ja) 2022-12-16
US20220332260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0746B2 (en) Vehicle-mounte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352090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program for motorcycle
CN111599036B (zh) 车辆检测系统及车辆检测方法
KR101628427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추측항법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142707B2 (ja) 車両位置補正装置
US11200800B2 (en) Vehicle search system, vehicle search method, and vehicle used therefor
AU201741519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head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09324B1 (ko) 차량 레이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31769A1 (en) Following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nd following target identification method
CN216611094U (zh) 摄像头装置
KR20220075405A (ko) 홀딩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의 목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
JP2005331332A (ja) センサ装置
CN108806019B (zh) 基于加速度传感器的行车记录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20110109310A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US20200193740A1 (en) Calibration method of the positioning of an onboard device for the acquisition and the remote transmission of data relating to motion and driving parameters of motor vehicles and motorcycles
US20170102704A1 (en) Automated Vehicle Object Detection Device With Level Detection
US10708552B2 (en) Vehicle driving assistant device
US10611303B2 (en) Portable device and vehicle
JP2016156802A (ja) 車両位置検出装置、車両位置検出方法
WO2019142820A1 (ja) 情報連携システム
JP2018081609A5 (ko)
CN110914131A (zh) 用于检测坐在车辆中的乘员的运动的系统和方法
JP6037351B2 (ja) 車両画像処理装置および車両画像処理方法
US10126922B2 (en) On-board unit and fault determination method
CN107851340B (zh) 用于与机动车的控制电子装置交换数据的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