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840A -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840A
KR20220069840A KR1020210159362A KR20210159362A KR20220069840A KR 20220069840 A KR20220069840 A KR 20220069840A KR 1020210159362 A KR1020210159362 A KR 1020210159362A KR 20210159362 A KR20210159362 A KR 20210159362A KR 20220069840 A KR20220069840 A KR 20220069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scraping
spacer
crush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타로 타나카
카즈히사 마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9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8B1/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스크레이퍼의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터부와 스페이서부로 이루어지는 파쇄날을 갖는 파쇄장치로서, 스페이서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와, 스크레이퍼와 스페이서부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하는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마모된 스크레이퍼의 스크레이핑성능을 회복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크레이퍼의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쇄장치{CRUSHING APPARATUS}
본 출원은 2020년 11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20-193795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처리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 등의 처리대상물을 처리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처리대상물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파쇄장치로서는, 복수의 회전날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이와 같은 파쇄장치에 있어서는, 처리대상물을 파쇄할 때, 회전날에 폐기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를 마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파쇄장치에 마련된 회전하는 복수의 날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그 스페이서에 끼어진 폐기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페이서와 스크레이퍼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214013호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장치에 스크레이퍼를 마련한 경우, 처리대상물과 스크레이퍼가 마찰되는 점에서, 스크레이퍼가 마모된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와 스크레이퍼의 간극이 커져, 처리대상물을 긁어내는 성능이 떨어져 버리는 점에서, 정기적으로 스크레이퍼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스크레이퍼의 교환을 위해서는 파쇄장치를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나, 스크레이퍼 자체의 비용이 드는 점에서, 스크레이퍼의 교환빈도가 높아지는 것은, 파쇄장치의 유지관리라는 점에서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스크레이퍼의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에 대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파쇄장치에 스크레이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마모에 의하여 발생한 스페이서와 스크레이퍼의 폭을 적절한 폭으로 조정함으로써, 스크레이퍼의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 본 발명을 완성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쇄장치는, 커터부와 스페이서부로 이루어지는 파쇄날을 갖는 파쇄장치로서, 스페이서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와, 스크레이퍼와 스페이서부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특징에 의하면, 조정기구를 마련함으로써, 스페이서와 스크레이퍼의 간극을 조정하여, 부착물의 스크레이핑(긁어내기)에 있어서 적절한 폭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스크레이퍼의 마모가 발생해도, 즉시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크레이퍼가 부착물을 긁어내는 성능을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일 실시형태로서는, 조정기구는, 스크레이퍼의 고정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스크레이퍼의 고정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스페이서와 스크레이퍼의 간극을 적절한 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파쇄날의 축이동이나 분해를 행하지 않고, 부착물의 제거를 계속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일 실시형태로서는, 스크레이퍼는, 지지체와 스크레이핑클로를 갖고, 조정기구는, 지지체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핑클로의 고정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부착물의 스크레이핑 시에 마모되는 것은 스크레이퍼의 일부인 스크레이핑클로가 된다. 또, 스크레이퍼의 일부인 스크레이핑클로의 위치조정을 행하는 점에서, 파쇄날이나 스크레이퍼 전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보다 간편하게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성능을 회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일 실시형태로서는, 스크레이핑클로는, 지지체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스크레이핑클로를 단단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스크레이핑에 의한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크레이퍼 전체를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보다,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일 실시형태로서는, 파쇄날을 회전시키는 제1 축 및 제2 축을 구비하고, 제1 축에 장착된 커터부와, 제2 축에 장착된 스페이서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제1 축은, 제2 축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스크레이퍼는, 제1 축에 장착된 스페이서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위치에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제2 축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제1 축의 커터부가, 제2 축의 스페이서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점에서, 제2 축의 스페이서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가 불필요해져, 스크레이퍼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레이퍼의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퍼 근방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에 있어서의 조정기구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에 있어서, 스크레이퍼의 마모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에 있어서, 조정기구에 의한 스크레이퍼의 위치조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퍼 근방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에 있어서의 조정기구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에 있어서, 스크레이핑클로의 마모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에 있어서, 조정기구에 의한 스크레이핑클로의 위치조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파쇄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는 파쇄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파쇄장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를 변형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쇄장치는, 처리대상물을 파쇄하는 장치로서, 파쇄부로서 회전하는 커터 및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 관한 파쇄부의 구조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1축형 파쇄기, 2축형 파쇄기라고 불리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 의하여, 어느 구조에 있어서도, 스크레이퍼의 교환빈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쇄부로서 2축형 파쇄기의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 의하여 파쇄되는 대상인 처리대상물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정이나 공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일반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 혹은 하수의 침전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자루에 채워진 쓰레기와 같이, 파쇄처리에 의하여, 플라스틱의 세편(細片) 등, 파쇄부로의 부착물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본 발명의 처리대상물로서 적합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1A)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1의 (A)는, 파쇄장치(1A)의 측면도이며, 도 1의 (B)는, 파쇄장치(1A)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파쇄장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파쇄장치(1A)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2)와, 구동모터(2)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축(5a)과, 구동축(5a)의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하는 종동축(5b)과, 구동축(5a) 및 종동축(5b)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 매의 파쇄날(6)과, 스크레이퍼(7)를 구비하고 있다.
또, 파쇄장치(1A)는, 파쇄날(6)과 구동축(5a), 및, 파쇄날(6)과 종동축(5b)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된 커터유닛(4a 및 4b)을 수용하는 케이싱(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파쇄장치(1A)는,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기구(8a)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파쇄장치(1A)에 관한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모터]
구동모터(2)는, 구동축(5a)에 회전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파쇄날(6)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동모터(2)의 회전 기구로서는,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동모터, 유압모터, 수압모터, 공기압모터엔진 등을 들 수 있다.
[구동축]
구동축(5a)은, 구동모터(2)의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부재이다. 또, 구동축(5a)의 주위에는, 파쇄날(6)이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축(5a)의 회전과 함께 파쇄날(6)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한다.
구동축(5a)의 형상은, 주위에 배치된 파쇄날(6)을 고정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구동축(5a)에 볼록부, 파쇄날(6)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이들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구성이나, 구동축(5a)을 단면다각형상으로 하며, 파쇄날(6)의 중심부에 구동축(5a)과 대략 동일한 다각형상의 축구멍을 마련하여 맞물리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종동축]
종동축(5b)은, 구동모터(2)의 회전동력이 구동축(5a)을 개재하여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축부재이다.
또, 구동축(5a)과 동일하게, 종동축(5b)의 주위에는, 파쇄날(6)이 배치되어 있으며, 종동축(5b)의 회전과 함께 파쇄날(6)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한다. 다만, 종동축(5b)과 파쇄날(6)의 고정에 관한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축(5a)과 파쇄날(6)의 고정에 관한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구동축(5a)으로부터 종동축(5b)으로의 회전동력의 전달수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각 축의 상단에 설치된 풀리를 벨트로 연결하는 수단이나, 기어에 의하여 연결하는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쇄날(6)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하여, 구동축(5a)과 종동축(5b)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각의 축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구동축(5a)과 종동축(5b)의 회전속도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축(5a)과 종동축(5b)을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나, 구동축(5a)과 종동축(5b)을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회전축의 회전속도의 관계에 대해서는, 회전동력의 전달수단에 관한 구조설계의 용이성이나 구동에 관한 전력사용량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쇄날]
파쇄날(6)은, 디스크상의 커터부(61)와, 커터부(61)보다 작은 직경의 스페이서부(62)가 동심(同心)으로 겹쳐서 구성된다. 다만, 커터부(61)와 스페이서부(62)는 일체로 마련되어도 되고, 별체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일체”란, 1개의 커터부(61)와 1개의 스페이서부(62)를 조합하여 일체화한 것 외에, 커터부(61)와 스페이서부(62)를 번갈아 복수 매 적층한 조합을 일체화한 것이나, 복수의 커터부(61)와 복수의 스페이서부(62)의 조합을 일체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커터부(61)와 스페이서부(62)를 일체로 한 경우, 부품개수를 줄여, 조립에 관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커터부(61)와 스페이서부(62)를 별체로 한 경우, 커터부(61)나 스페이서부(62)의 사양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나, 어느 하나에 결함 등에 의한 교환이 필요해진 경우에, 교환에 관한 대응이 용이해진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날(6)은, 복수의 파쇄날(6)이 적층되도록 구동축(5a) 및 종동축(5b)의 주위에 각각 배치되어, 커터유닛(4a 및 4b)을 구성하고 있다. 커터유닛(4a 및 4b)은, 일방의 커터유닛의 스페이서부(62)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에, 타방의 커터유닛의 커터부(61)가 계합(係合)되도록 하여, 케이싱(3)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유닛(4a)은, 파쇄장치(1A)의 상부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커터유닛(4b)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처리대상물이 파쇄장치(1A)의 상방으로부터 투입되면, 처리대상물은, 대향회전하는 커터유닛(4a 및 4b)의 사이를 통과하여, 파쇄날(6)의 커터부(61)에 의하여 절단된다.
파쇄날(6)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공구강, 크로뮴몰리브데넘강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재료,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질화 규소 등의 세라믹스재료 등을 들 수 있다. 강도가 높아 파손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공구강, 크로뮴몰리브데넘강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레이퍼]
스크레이퍼(7)는 처리대상물을 처리했을 때에, 스페이서부(62)에 달라붙은 부착물을 긁어내는 기능을 갖는다.
스크레이퍼(7)는, 커터유닛(4a)의 커터부(61)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커터부(61)의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부(62)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퍼(7)의 근방에 관한 개략설명도(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사이에는,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에 적합한 폭 W1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크레이퍼(7)는 스페이서부(62)에 달라붙은 부착물을 스크레이핑함으로써 마모되는 점에서,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는, 파쇄장치(1A)를 사용함에 따라, 점차 폭 W1보다 커진다.
스크레이퍼(7)는, 케이싱(3)의 벽면(36)에 설치된다. 또, 스크레이퍼(7)는 스페이서부(62)에 달라붙은 부착물과 접촉하는 스크레이핑부분(70)이 스페이서부(62)의 구동축(5a)의 축심(5c)보다 하측(중력방향)이 되도록 설치한다.
스크레이퍼(7)를 마련하는 개소 및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퍼(7)는, 구동축(5a)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때, 구동축(5a)과 종동축(5b)의 회전속도는 상이하며, 스크레이퍼(7)가 마련된 측인 구동축(5a)의 쪽이 종동축(5b)보다 회전속도가 빠르게 설정되어 있다.
구동축(5a)과 종동축(5b) 중, 빠르게 회전하는 쪽을 제1 축으로 하고, 느리게 회전하는 쪽을 제2 축으로 하면, 제2 축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제1 축의 커터부(커터유닛(4a) 내의 커터부(61))가, 제2 축의 스페이서부(커터유닛(4b) 내의 스페이서부(62))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점에서, 제2 축의 스페이서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가 불필요해져, 스크레이퍼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즉, 회전이 빠른 제1 축(구동축(5a))측에만, 스페이서부(62)의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7)를 마련하면, 커터유닛(4a 및 4b)의 양방의 스페이서부(62)의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제2 축(종동축(5b))측에도 스페이서부(62)에 달라붙은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7)를 마련해도 된다. 이로써, 부착물을 긁어내는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7)에는 케이싱(3)의 측벽(31)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2)를 수용하는 수용부(33)가 마련된다. 도 2에는, 수용부(33)로서, 구멍의 내부에 암나사가 마련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수용부(33)로서는 고정구(32)를 받아내어, 스크레이퍼(7)를 케이싱(3)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정구(32) 및 수용부(33)는, 고정구(32)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스크레이퍼(7)의 위치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조정기구(8a)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고정구(32) 및 수용부(33)의 조합으로서는 착탈 가능한 고정수단을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
케이싱(3)은 상기 커터유닛(4a 및 4b)을 수용하는 것이다. 또,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3)은, 상부(도시 상측)에 처리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3a)가 형성되고, 하부(도시 하측)에 처리대상물(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구(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3)의 측벽(31)에는 스크레이퍼(7)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긴 구멍(81)이 마련된다.
[조정기구]
상술한 바와 같이, 본래, 케이싱(3) 내에 있어서는,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사이에는,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에 적합한 폭 W1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파쇄장치(1A)의 사용에 따른 스크레이퍼(7)의 마모에 의하여,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가 폭 W1보다 점차 커지며, 부착물의 스크레이핑효율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파쇄장치에서는, 스크레이퍼를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1A)는,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기구(8a)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가 폭 W1이 되도록 재차 조정하여, 스크레이퍼(7)의 교환에 관계없이,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성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정기구(8a)는,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정기구(8a)로서는, 예를 들면, 스크레이퍼(7)의 고정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3)의 측벽(31)에 볼트와 같은 고정구(32)로 고정된 스크레이퍼(7)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정기구(8a)로서는, 케이싱(3)에 마련된 상하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81)과, 고정구(32) 및 스크레이퍼(7)에 마련된 수용부(33)의 조합이 해당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에 근거하여, 조정기구(8a)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정기구(8a)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다만,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32)는, 두부(頭部)(34)와 나사본체(35)로 이루어진다. 또, 나사본체(35)를 수용부(33)에 끼워 넣고, 고정구(32)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용부(33)가 고정구(32)를 받아내어, 스크레이퍼(7)가 고정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구멍(81)은, 고정구(32)의 두부(34)가 통과할 수 없고, 또한 고정구(32)의 나사본체(35)가 통과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7)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폭의 구멍이다.
조정기구(8a)로서 케이싱(3)의 측벽(31)에 긴 구멍(81)을 마련함으로써, 케이싱(3)의 측벽(31)에 대한 스크레이퍼(7)의 고정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정 가능해진다.
[조정기구를 이용한 조정수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쇄장치(1A)의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스크레이퍼(7)는 마모되어 있지 않으며,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는,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에 적합한 폭 W1이 유지되어 있다. 한편, 파쇄장치(1A)의 사용에 따라, 스크레이퍼(7)가 마모되었을 때, 조정기구(8a)에 의하여,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의 조정을 행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마모된 스크레이퍼(7)의 위치조정을 행하여,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적절한 폭 W1으로 회복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도 4는, 파쇄장치(1A)의 사용에 따라, 스크레이퍼(7)가 마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나타낸 파쇄장치(1A)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퍼(7)는, 파쇄장치(1A)의 사용에 따라,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모부분(71)이 발생한다. 이 마모부분(71)에 의하여,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가 폭 W1보다 커져(폭 W2),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성능이 저하된다.
마모된 스크레이퍼(7)가 된 상태에 있어서, 케이싱(3)의 벽면(36)에 고정되어 있는 스크레이퍼(7)의 위치를, 조정기구(8a)에 의하여 조정한다.
도 5는, 조정기구(8a)에 의하여 스크레이퍼(7)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32)를 느슨하게 하여, 긴 구멍(81)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스크레이퍼(7)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폭 W2으로부터 좁게 할 수 있다. 즉, 도 5중, 검은 화살표의 방향으로 스크레이퍼(7)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조정한다.
다만,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적절한 폭 W1을 확보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크레이퍼(7)와 스페이서부(62)의 사이에 간극게이지라고 불리는 지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폭을 조정하는 것이나, 작업자의 육안에 의한 조정을 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적절한 폭 W1으로 조정이 완료되면, 고정구(32)를 조여, 스크레이퍼(7)가 케이싱(3)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파쇄장치(1A)에서는, 스페이서와 스크레이퍼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에 있어서 적절한 폭 W1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스크레이퍼의 마모가 발생해도, 즉시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크레이퍼가 부착물을 긁어내는 성능을 회복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레이퍼의 교환에 관한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파쇄장치(1A)에서는, 긴 구멍(81)을 케이싱(3)에 마련하고, 수용부(33)를 스크레이퍼(7)에 마련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긴 구멍(81)을 스크레이퍼(7)에 마련하며, 수용부(33)를 케이싱(3)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고정구(32)가 스크레이퍼(7)측으로부터 설치되고, 고정구(32)의 두부(34)가 스크레이퍼(7)의 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 구조이면, 스크레이퍼(7)에 긴 구멍(81)을 마련하면 되기 때문에, 암나사와 같은 수용부(33)의 가공의 필요가 없고, 스크레이퍼(7)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처리대상물에 포함되는 액체가, 케이싱(3)의 긴 구멍(81)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다만,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 중, 스크레이퍼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설명도(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1B)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1A)에 있어서, 스크레이퍼(7)가, 지지체(72)와 스크레이핑클로(73)를 갖는 점이 상이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정기구(8B)로서는, 지지체(72)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핑클로(73)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1B)의 구성 중, 제1 실시형태의 파쇄장치(1A)의 구성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체(72)는, 스크레이핑클로(73)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체(72)는 케이싱(3)의 벽면(36)에 고정된다.
또, 지지체(72)는, 스크레이핑클로(73)를 고정하는 고정구(74)를 받아내는 수용부(75)를 갖는다. 도 6에서는, 수용부(75)로서, 구멍의 내부에 암나사가 마련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수용부(75)의 구조는, 고정구(74)를 받아내어, 스크레이핑클로(73)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지지체(72)는, 스크레이핑클로(73)를 지지하는 부재이지만, 지지체(72) 자체도 부착물의 스크레이핑기능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로써, 스페이서부(62)에 달라붙은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크레이핑클로(73)는, 처리대상물을 처리했을 때에, 스페이서부(62)에 달라붙은 부착물을 긁어내는 기능을 갖는다.
스크레이핑클로(73)는, 커터유닛(4a)의 커터부(61)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커터부(61)의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부(62)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또, 스크레이핑클로(73)와 스페이서부(62)의 사이에는,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에 적합한 폭 W3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크레이핑클로(73)는 스페이서부(62)에 달라붙은 부착물을 스크레이핑함으로써 마모되는 점에서, 스크레이핑클로(73)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는, 파쇄장치(1B)를 사용함에 따라, 점차 폭 W3보다 커진다.
스크레이핑클로(73)는, 스페이서부(62)에 달라붙은 부착물이 접촉하는 스크레이핑부분(76)이, 스페이서부(62)의 구동축(5a)의 축심(5c)보다 하측(중력방향)이 되도록 설치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레이핑클로(73)는 지지체(72)의 측면에 볼트와 같은 고정구(74)로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핑클로(73)는, 조정기구(8B)를 구비하고,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정기구(8B)는, 스크레이핑클로(73)의 길이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82)과, 고정구(74) 및 수용부(75)의 조합이 해당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에 근거하여, 조정기구(8B)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정기구(8B)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다만,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74)는, 두부(78)와 나사본체(79)로 이루어진다. 또, 나사본체(79)를 수용부(75)에 끼워 넣고, 고정구(74)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용부(75)가 고정구(74)를 받아내어, 스크레이핑클로(73)가 고정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구멍(82)은, 고정구(74)의 두부(78)가 통과할 수 없고, 또한 나사본체(79)가 통과할 수 있으며, 스크레이핑클로(73)가 이동할 수 있는 폭의 구멍이다.
조정기구(8B)로서 스크레이핑클로(73)에 긴 구멍(82)을 마련함으로써, 스크레이핑클로(73)의 선단(스크레이핑부분(76))을, 스페이서부(62)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크레이핑클로(7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부재로 하는 것 외에, 스크레이핑클로(73)의 선단에 경사를 마련하여, 부착물의 스크레이핑효율을 높이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스크레이핑클로(73)는 지지체(72)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되지만, 지지체(72)보다 단단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크레이핑에 의한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크레이퍼(7) 전체를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보다,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마모된 스크레이핑클로(73)의 위치조정을 행하여, 스크레이핑클로(73)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적절한 폭 W3으로 회복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도 8은, 파쇄장치(1B)의 사용에 따라, 스크레이핑클로(73)가 마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나타낸 파쇄장치(1B)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핑클로(73)는, 파쇄장치(1B)의 사용에 따라, 도 8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모부분(77)이 발생한다. 이 마모부분(77)에 의하여, 스크레이핑클로(73)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가 폭 W3보다 커져(폭 W4),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성능이 저하된다.
마모된 스크레이핑클로(73)가 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체(72)에 고정되어 있는 스크레이핑클로(73)의 위치를, 조정기구(8B)에 의하여 조정한다.
도 9는, 조정기구(8B)에 의하여 스크레이핑클로(73)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74)를 느슨하게 하여, 긴 구멍(82)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스크레이핑클로(73)의 선단이 스페이서부(62)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크레이핑클로(73)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폭 W4으로부터 좁게 할 수 있다. 즉, 도 9 중, 검은 화살표의 방향으로 스크레이핑클로(73)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레이핑클로(73)와 스페이서부(62)의 거리를 조정한다.
다만, 스크레이핑클로(73)와 스페이서부(62)의 사이의 적절한 폭 W3을 확보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크레이핑클로(73)와 스페이서부(62)의 사이에 간극게이지라고 불리는 지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폭을 조정하는 것이나, 작업자의 육안에 의하여 폭을 조정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적절한 폭 W3으로 조정이 완료되면, 고정구(74)를 조여, 스크레이핑클로(73)가 지지체(72)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1B)에서는, 스크레이퍼가 지지체와 스크레이핑클로를 갖고, 조정기구로서, 지지체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핑클로의 고정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에 따라 스크레이퍼의 일부인 스크레이핑클로가 마모되어, 이 스크레이핑클로의 위치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쇄날이나 스크레이퍼 전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보다 간편하게, 스크레이퍼의 스크레이핑성능을 회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상술한 실시형태는 파쇄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파쇄장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를 변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의 조정기구로서는, 스크레이퍼측의 부품을 스페이서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정기구의 다른 예로서는, 스페이서부 쪽을 스크레이퍼측으로 이동시켜, 스크레이퍼와 스페이서부의 폭을 부착물의 스크레이핑에 적합한 폭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조정기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구동축 및 종동축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장치의 조정기구는, 복수를 조합한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조정기구(8a)와 제2 실시형태에 나타낸 조정기구(8b)를 조합하여, 스크레이퍼와 스페이서부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복수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로써, 마모된 스크레이퍼의 교환빈도를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는, 처리대상물의 파쇄처리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가정이나 공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대상물의 파쇄처리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1A, 1B 파쇄장치
2 구동모터
3 케이싱
3a 투입구
3b 배출구
31 측벽
32 고정구
33 수용부
34 두부
35 나사본체
36 벽면
4a, 4b 커터유닛
5a 구동축
5b 종동축
5c 축심
6 파쇄날
61 커터부
62 스페이서부
7 스크레이퍼
70 스크레이핑부분
71 마모부분
72 지지체
73 스크레이핑클로
74 고정구
75 수용부
76 스크레이핑부분
77 마모부분
78 두부
79 나사본체
8a, 8b 조정기구
81 긴 구멍
82 긴 구멍

Claims (5)

  1. 커터부와 스페이서부로 이루어지는 파쇄날을 갖는 파쇄장치로서,
    상기 스페이서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스크레이퍼와 상기 스페이서부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스크레이퍼의 고정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지지체와 스크레이핑클로를 갖고,
    상기 조정기구는, 상기 지지체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레이핑클로의 고정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클로는, 상기 지지체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날을 회전시키는 제1 축 및 제2 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축에 장착된 상기 커터부와, 상기 제2 축에 장착된 상기 스페이서부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2 축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제1 축에 장착된 상기 스페이서부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위치에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KR1020210159362A 2020-11-20 2021-11-18 파쇄장치 KR20220069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3795A JP2022082311A (ja) 2020-11-20 2020-11-20 破砕装置
JPJP-P-2020-193795 2020-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840A true KR20220069840A (ko) 2022-05-27

Family

ID=8159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362A KR20220069840A (ko) 2020-11-20 2021-11-18 파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82311A (ko)
KR (1) KR20220069840A (ko)
CN (1) CN114515634B (ko)
TW (1) TWI825505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4013A (ja) 2018-06-12 2019-12-19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二軸破砕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093A (ja) * 1994-03-14 1995-10-03 Goshina Sangyo Kk 破砕装置
CN201304347Y (zh) * 2008-11-28 2009-09-09 上海建设路桥机械设备有限公司 用于轮齿式破碎机的清扫器
CN101987309A (zh) * 2009-08-04 2011-03-23 常熟日新机械有限公司 固体废弃物破碎装置
CN201815349U (zh) * 2010-10-23 2011-05-04 河南省澳斯迪环保机械有限责任公司 垃圾破袋装置
JP6025929B1 (ja) * 2015-07-15 2016-11-16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破砕機
CN105268522A (zh) * 2015-11-03 2016-01-27 湖南三一路面机械有限公司 一种破碎机
CN208878689U (zh) * 2018-10-08 2019-05-21 郑州亚太能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涡轮磨粉机的粉碎机构
CN210846641U (zh) * 2019-07-05 2020-06-26 深圳市科鸿环保新能源科技有限公司 废弃物破碎刀组
CN111282684A (zh) * 2020-03-06 2020-06-16 中山市昊瑞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双轴破碎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4013A (ja) 2018-06-12 2019-12-19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二軸破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82311A (ja) 2022-06-01
CN114515634B (zh) 2024-03-26
CN114515634A (zh) 2022-05-20
TWI825505B (zh) 2023-12-11
TW202220753A (zh)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4712B2 (ja) 骨肉分離機
US7753302B2 (en) Rotor for an impact crusher
KR101998055B1 (ko) 폐지 파쇄기
EP1532321B1 (en) A bucket for crushing and screening stone
EP3238826B1 (en) Granulator
CN108421609B (zh) 垃圾填埋场用垃圾粉碎处理装置
CN105080674B (zh) 双轴差动式破碎机
KR100823690B1 (ko) 파이프 고착물 제거장치
US5381976A (en) Replaceable tip hammer
KR20220069840A (ko) 파쇄장치
KR20220069843A (ko) 파쇄장치
CN107626398A (zh) 一种切屑与切削液混合处理装置
JPH0938515A (ja) 破砕機
JP4292542B2 (ja) 破砕バケット
JP6460442B2 (ja) 水中の夾雑物を破砕する二軸差動型破砕機、二軸差動型破砕機のカッターの交換方法
KR20080081660A (ko) 파쇄기
CN210787634U (zh) 一种水磨机用主轴刀片及水磨机
CN221335969U (zh) 一种可调式自清除切条机
KR20150112607A (ko) 드레서를 갖춘 파쇄장치
CN221334585U (zh) 碎纸机刮屑装置
CN114225514B (zh) 一种高效刮泥装置
JP2594752Y2 (ja) 砕石等研磨装置
JP2024021998A (ja) ロールクラッシャ
JP2022082314A (ja) 破砕装置及び破砕方法
TW202322905A (zh) 磁鐵分離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