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876A -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876A
KR20220065876A KR1020227014053A KR20227014053A KR20220065876A KR 20220065876 A KR20220065876 A KR 20220065876A KR 1020227014053 A KR1020227014053 A KR 1020227014053A KR 20227014053 A KR20227014053 A KR 20227014053A KR 20220065876 A KR20220065876 A KR 20220065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projection module
auxiliary
diaphragm
ligh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만들
토비아스 카라스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5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Elongated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21W2102/14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having vertical cut-off lines; specially adapted for adaptive high beams, i.e. wherein the beam is broader but avoids glaring other road users
    • F21W2102/1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having vertical cut-off lines; specially adapted for adaptive high beams, i.e. wherein the beam is broader but avoids glaring other road users wherein the light is emitted under L-shaped cut-off lines, i.e. vertical and horizontal cutoff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투영 모듈은 제1 광원(110) 및 제2 광원(120); 수평으로 배치되는 빔 조리개(200); 비대칭 명암 경계를 생성하기 위한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210); 그리고 투영 렌즈(300);를 포함하며, 제1 광원(110)은 빔 조리개(200)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조리개 에지부(210)와 조합되어 로우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며, 제2 광원(120)은 빔 조리개(200)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하이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며, 상기 투영 모듈(10)은 수직으로 빔 조리개(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보조 조리개(400)를 더 포함하고, 보조 조리개는, 수직으로 뻗어 있으면서, 부분 하이빔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2 광원(120)의 광을 부분적으로 차광하도록 구성되는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를 포함하며, 보조 조리개(400)는 고정 섹션(430)을 포함하며, 제1 조리개 에지부(410)는 빔 조리개(200)의 방향으로 수직 연장부에 단부(4100)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411)는 빔 조리개(20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그리고 보조 조리개(400)는, 제1 조리개 에지부(410)의 단부(411)에서 출발하여 고정 섹션(430)까지 뻗어 있는 제2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20)를 포함하며, 제2 조리개 에지부(420)는 빔 조리개(200) 상으로의 투영에서 간극을 한정하며, 상기 간극은 제2 광원(120)과 조합되어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내의 세그먼트(500)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투영 모듈은
- 제1 광원 및 제2 광원;
- 장착된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 투영 모듈을 규정에 따라 사용할 때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비대칭 명암 경계를 생성하기 위한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optically relevant diaphragm edge)를 구비하는 빔 조리개(beam diaphragm)로서, 제1 광원은 빔 조리개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빔 조리개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와 조합되어 로우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고, 제2 광원은 빔 조리개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하이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는, 상기 빔 조리개; 및
- 광축 및 초점면을 보유하여 투영 모듈의 전방에 주 방사 방향으로 광 분포를 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영 렌즈로서, 빔 조리개의 조리개 에지부는 선명한 명암 경계의 생성을 위해 실질적으로 투영 렌즈의 초점면 내에 배치되고, 광축은 주 방사 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영 렌즈;
를 포함한다.
본원은 예컨대 하이빔 및/또는 하이빔 광 분포의 실현을 위한 투영 모듈에 관계될 수 있다. 상기 투영 모듈은, 눈부심을 감소시키는 경우 서로 나누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는, 좌우 헤드램프를 위한 분할된 하이빔 클라우드(high-beam cloud)를 매핑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모듈 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빔 조리개 상에는 수직 플랩들(vertical flap) 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보조 조리개(auxiliary diaphragm)가 배치된다.
이 경우, 광 기능은 투영 모듈 또는 자동차 헤드램프를 통해 법적으로 규정된 광 분포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광 분포들에 대한 예시는 로우빔 광 분포 및 하이빔 광 분포이다.
제어부를 통해서는, 예컨대 선행 교통 및/또는 반대 차선 접근 교통에도 불구하고 하이빔 광 분포의 일부분이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공되는 부분 하이빔 기능을 이용한 자동 하이빔 전환(automatic high-beam switching)이 수행된다. 이 경우, 투영 모듈 또는 자동차 헤드램프 또는 자동차 헤드램프 시스템은, 다른 주행 차량들이 위치하는 곳에서, 다른 주행 차량들을 눈부시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이빔 광 분포 내에 비조명 부분 영역(non-illuminated partial region)을 생성하며, 예컨대 -공통 하이빔 광 분포의 각각의 일부분을 생성하는 좌측 헤드램프 및 우측 헤드램프가 존재할 경우-, 상기 부분들은 서로 나누어지도록 회동되며, 상기 부분들 사이에는 반대 차선 접근 교통 또는 선행 교통이 그 내에 포지셔닝되는 곳인 비조명 영역이 생성된다. 이제 반대 차선 접근 주행 차량 또는 선행 주행 차량이 예컨대 자동차에 매우 가깝게 위치한다면, 비조명 영역은, 하이빔 광 분포의 부분들의 서로 나누어지는 회동을 통해 더 이상 확대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회동 각도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 헤드램프들 중 일측 헤드램프, 예컨대 좌측 헤드램프는, 비조명 영역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위치 오프되어야 한다.
부분적으로 차광되는 상기 하이빔 광 분포는 하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일의 자동차 헤드램프 또는 이런 자동차 헤드램프 내의 투영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부분 하이빔 광 분포로서 지칭된다. 상기 유형의 투영 모듈들은 자동차 헤드램프들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들로 실현되거나 구현된다.
상기 투영 모듈들은, 하이빔 클라우드의 각각의 반부(half)가 예컨대 H-H 라인 상의 3.5°에서 차광되는 점을 보장한다. 그러나 법적 요건들에서는 차별화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헤드램프들의 개별 충족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다시 말하면 하이빔 내에서 법적 평가(legal evaluation)의 몇몇 점과 선(point and line)이 설치된 보조 조리개들의 차광을 통해 광이 도달할 수 없는 곳에서도 충족되어야 한다.
이는, ECE-AFS 표준에 대한 평가 시,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여기서 좌측 헤드램프와 우측 헤드램프가 합산되고 그런 다음 광도는 이등분되어 측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CCC 표준) 및 미국(FMVSS)에서도 부분 하이빔을 포함하는 상기 ADB 변형예의 승인(approval)을 달성하기 위해, 헤드램프들은, ECE 표준과 관련한 평가에서처럼, 더 이상 함께 평가되지 않아도 될뿐더러, 각각의 헤드램프들의 개별 충족도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투영 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투영 모듈이,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 투영 모듈을 규정에 따라 사용할 때 수직으로 빔 조리개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보조 조리개로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면서 광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를 구비하는 상기 보조 조리개를 포함하고,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는, 부분 하이빔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2 광원의 광을 부분적으로 차광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보조 조리개는 안착 섹션(seating section)을 포함하고, 이런 안착 섹션 상에는 빔 조리개 상에서 보조 조리개가 안착되며,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는 빔 조리개의 방향으로 수직 연장부에 빔 조리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단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보조 조리개는,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의 단부에서 출발하여 안착 섹션까지 뻗어 있는 제2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를 포함하며, 수직 방향으로 빔 조리개까지 제2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의 이격 간격은 간극(gap)을 한정하며, 상기 간극은 제2 광원과 조합되어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내의 세그먼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일반적으로, 하기에서, 예컨대 "수평으로", "수직으로", "수평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부에", 하부에", "전방에", "후방에", "그 밑에", "그 위에" 등과 같은 위치 또는 배향과 관련한 용어들은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 대상이 되는 투영 모듈의 규정에 따른 장착 위치에 관련된다.
보조 조리개는 간극 또는 슬릿(slit)을 구비한다. 상기 간극은, 상승부 및/또는 하강부와 함께, 부분 하이빔 또는 부분 하이빔 광 분포의 세계적인 승인(global approval)을 가능하게 한다.
좌측통행 교통의 경우, 어셈블리는 시상면(sagittal plane)을 중심으로 반사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조리개의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는, 측정 스크린 상에서 생성 가능한 하이빔 광 분포를 -5° 내지 -1°에서, 바람직하게는 -3.5°에서 수평으로 차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간극은,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내의 세그먼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세그먼트는 수평으로 -3.5°에서 최대 -12°까지, 바람직하게는 최대 -6°까지, 바람직하게는 최대 -5°까지 뻗어 있으며, 그리고 수직으로는 측정 스크린 상에서 2°까지, 바람직하게는 1°까지, 바람직하게는 0.2°까지 뻗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각도는 입체각이며, 그런 까닭에 측정 스크린의 이격 간격은 원칙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또한, 측정 스크린은 투영 모듈로부터 25m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빔 조리개와 보조 조리개는 그 자체로 강성인 복합 조리개(composite diaphragm)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강성"이란, 상대 이동(relative movement)이 최대한 방지되거나 불가능해야 하는 방식으로 빔 조리개와 보조 조리개가 상호 간에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투영 렌즈의 초점면은 만곡되어 있을 수 있으며, 빔 조리개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만곡된 초점면을 따른다.
또한, 보조 조리개는 투영 렌즈의 광축에 대해 직교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조리개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는 투영 렌즈의 광축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격 간격은 1㎜의 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8/10㎜의 크기이다.
여기서 주지할 사항은, "이격 간격"에, 보조 조리개의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가 광축의 방향에서 투영 렌즈의 배치 방향 쪽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이격 간격도 포함된다는 점이다.
상기 이격 간격을 통해,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및/또는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세그먼트;의 명암 경계는, 발생하는 색 줄무늬(color fringe)가 감소되어야 하는 정도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전술한 이격 간격이 커지면 커질수록, 명암 경계의 색 줄무늬는 더욱더 짙은 푸른빛으로 나타난다는 점이 적용된다.
또한, 보조 조리개는 표지광 광 분포(sign-light light distribution)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지광 광 분포를 위한 개별 영역들 또는 점들의 제조만이 제공된다.
또한, 안착 섹션은, 빔 조리개 상에서 보조 조리개가 그 상에 고정되는 곳인 고정 섹션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예시의 도면들을 기초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수평 빔 조리개를 포함하는 예시의 투영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빔 조리개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보조 조리개를 포함하는 예시의 빔 조리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빔 조리개를 도시한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빔 조리개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예시의 투영 모듈의 개략도를 하부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서의 부분 하이빔 광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영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부분 하이빔 광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10)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투영 모듈(10)은 제1 광원(110) 및 제2 광원(120); 그리고 투영 모듈(10)을 규정에 따라 사용할 때 장착된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비대칭 명암 경계를 생성하기 위한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210)를 구비하는 빔 조리개(2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광원(110)은 빔 조리개(200)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빔 조리개(200)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210)와 조합되어 로우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며, 제2 광원(120)은 빔 조리개(200)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하이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한다.
또한, 투영 모듈(10)은 광축(A) 및 초점면(F)을 보유하여 투영 모듈(10)의 전방에 주 방사 방향(X)으로 광 분포를 투영하기 위한 투영 렌즈(300)를 포함하고, 빔 조리개(200)의 조리개 에지부(210)는 선명한 명암 경계의 생성을 위해 실질적으로 투영 렌즈(300)의 초점면(F)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광축(A)은 주 방사 방향(X)과 일치한다.
또한, 투영 모듈(10)은 (도 1에는 미도시된) 보조 조리개(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조리개는 도 2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확인되며,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 투영 모듈(10)을 규정에 따라 사용할 때 수직으로 빔 조리개(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수직으로 뻗어 있으면서 광축(A)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를 포함한다. 도 2에는, 보조 조리개(400)를 포함한 빔 조리개(200)가 비스듬하게 후방에서부터, 그리고 하부에서부터 바라본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는, 부분 하이빔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2 광원(120)의 광을 부분적으로 차광하도록 구성되며, 보조 조리개(400)는, 빔 조리개(200) 상에서 보조 조리개(400)가 그 상에 고정되어 있는 곳인 고정 섹션(430)을 포함하며, 빔 조리개(200)와 보조 조리개(400)는 그 자체로 강성인 복합 조리개를 형성한다.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는 빔 조리개(200)의 방향으로 수직 연장부에 단부(411)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411)는 빔 조리개(20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보조 조리개(400)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의 단부(411)에서 출발하여 고정 섹션(430)까지 뻗어 있는 제2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20)는 빔 조리개(200) 상으로의 투영 또는 직교 투영(orthogonal projection)에서 간극을 한정하며, 상기 간극은, 제2 광원(120)과 조합되어,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내의 세그먼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간극은 수직 방향으로, 또는 보조 조리개(400)의 연장 방향으로 빔 조리개(200)로부터 제2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20)의 이격 간격을 통해 한정된다.
도 5에는, 하부에서 바라본 투영 모듈(1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는, 제1 광학 관련 수직 조리개 에지부(410)와 이 조리개 에지부(410)의 단부(411)가 투영 렌즈의 광축(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렇게 형성되는 이격 간격(440)은 1㎜의 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8/10㎜의 크기인 점이 확인된다.
또한, 보조 조리개(400)가 투영 렌즈(300)의 광축(A) 상에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도 확인된다.
또한, 투영 렌즈(300)의 초점면(F)이 만곡되어 있고, 빔 조리개(200)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210)의 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만곡된 초점면(F)을 따르는 점도 확인된다.
도 6에는, 종래 기술에서의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또는 보조 조리개(400)의 제1 광학 관련 수직 조리개 에지부(410)가 수직 연장부에서 완전히 빔 조리개(200)까지 도달할 수도 있는 예시의 부분 하이빔 광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보조 조리개의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가 하이빔 광 분포를 -3.5°에서 수평으로 차광하는 점이 확인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투영 모듈(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부분 하이빔 광 분포가 도시되어 있고, 보조 조리개를 통해 한정되는 전술한 간극은,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내의 세그먼트(500)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세그먼트(500)는 수평으로 -2°에서 최대 -12°까지, 바람직하게는 최대 -6°까지, 바람직하게는 최대 -5°까지,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최대 -3.5°까지 뻗어 있으며, 그리고 수직으로는 측정 스크린 상에서 2°까지, 바람직하게는 1°까지, 바람직하게는 0.2°까지 뻗어 있다.

Claims (10)

  1.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10)로서,
    상기 투영 모듈(10)은,
    - 제1 광원(110) 및 제2 광원(120);
    - 장착된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 투영 모듈(10)을 규정에 따라 사용할 때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비대칭 명암 경계를 생성하기 위한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210)를 구비하는 빔 조리개(200)로서, 제1 광원(110)은 빔 조리개(200)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빔 조리개(200)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210)와 조합되어 로우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고, 제2 광원(120)은 빔 조리개(200)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하이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는, 상기 빔 조리개(200); 및
    - 광축(A) 및 초점면(F)을 보유하여 투영 모듈(10)의 전방에 주 방사 방향(X)으로 광 분포를 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영 렌즈(300)로서, 빔 조리개(200)의 조리개 에지부(210)는 선명한 명암 경계의 생성을 위해 실질적으로 투영 렌즈(300)의 초점면(F) 내에 배치되고, 광축(A)은 주 방사 방향(X)과 일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영 렌즈(300);
    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에 있어서,
    상기 투영 모듈(10)은,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 상기 투영 모듈(10)을 규정에 따라 사용할 때 수직으로 상기 빔 조리개(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보조 조리개(400)로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면서 광축(A)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를 구비하는 상기 보조 조리개(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는, 부분 하이빔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광원(120)의 광을 부분적으로 차광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보조 조리개(400)는 안착 섹션(430)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섹션 상에는 상기 빔 조리개(200) 상에서 상기 보조 조리개(400)가 안착되며, 상기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는 상기 빔 조리개(200)의 방향으로 수직 연장부에 단부(411)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411)는 상기 빔 조리개(20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보조 조리개(400)는, 상기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의 단부(411)에서 출발하여 상기 안착 섹션(430)까지 뻗어 있는 제2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20)를 포함하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빔 조리개(200)까지 상기 제2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20)의 이격 간격은 간극을 한정하며, 상기 간극은 상기 제2 광원(120)과 조합되어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내의 세그먼트(500)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조리개(400)의 제1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는, 측정 스크린 상에서 생성 가능한 하이빔 광 분포를 -5° 내지 -1°에서, 바람직하게는 -3.5°에서 수평으로 차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부분 하이빔 광 분포 내의 세그먼트(500)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세그먼트(500)는 수평으로 -2°에서 최대 -12°까지, 바람직하게는 최대 -6°까지, 바람직하게는 최대 -5°까지 뻗어 있으며, 그리고 수직으로는 측정 스크린 상에서 2°까지, 바람직하게는 1°까지, 바람직하게는 0.2°까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스크린은 상기 투영 모듈로부터 25m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조리개(200)와 상기 보조 조리개(400)는 그 자체로 강성인 복합 조리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렌즈(300)의 초점면(F)은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빔 조리개(200)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210)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상기 만곡된 초점면(F)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조리개(400)는 상기 투영 렌즈(300)의 광축(A)에 대해 직교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조리개(400)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410)는 상기 투영 렌즈(300)의 광축(A)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격 간격(440)은 1㎜의 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8/1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조리개(400)는 표지광 광 분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섹션(430)은, 상기 빔 조리개(200) 상에서 상기 보조 조리개(400)가 그 상에 고정되는 곳인 고정 섹션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KR1020227014053A 2019-12-20 2020-11-16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KR202200658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8697.1A EP3839327A1 (de) 2019-12-20 2019-12-20 Projektions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EP19218697.1 2019-12-20
PCT/EP2020/082182 WO2021121817A1 (de) 2019-12-20 2020-11-16 Projektions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876A true KR20220065876A (ko) 2022-05-20

Family

ID=6941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053A KR20220065876A (ko) 2019-12-20 2020-11-16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29834B2 (ko)
EP (2) EP3839327A1 (ko)
JP (1) JP7366269B2 (ko)
KR (1) KR20220065876A (ko)
CN (1) CN114761729B (ko)
WO (1) WO20211218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9968B2 (ja) 2006-07-31 2011-08-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FR2919377B1 (fr) * 2007-07-25 2013-08-23 Valeo Vision Module optique a source lumineuse transverse pour projecteur automobile
DE102009008631B4 (de) * 2009-02-12 2016-11-0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Projektions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JP5717565B2 (ja) * 2011-07-11 2015-05-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灯具
JP6036497B2 (ja) 2013-04-08 2016-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システム
DE102013207850A1 (de) * 2013-04-29 2014-10-30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DE102014215785B4 (de) 2014-08-08 2016-03-31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Projektions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JP6550934B2 (ja) 2015-06-02 2019-07-31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TWI568973B (zh) * 2016-02-22 2017-02-01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of the headlight module
CN206072926U (zh) * 2016-08-31 2017-04-05 南宁燎旺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全新led远近光一体前照灯投影灯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8022A1 (de) 2022-10-26
CN114761729A (zh) 2022-07-15
CN114761729B (zh) 2024-03-01
JP7366269B2 (ja) 2023-10-20
JP2023504556A (ja) 2023-02-03
US11629834B2 (en) 2023-04-18
EP4078022B1 (de) 2023-08-16
WO2021121817A1 (de) 2021-06-24
EP3839327A1 (de) 2021-06-23
US20230052888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6210B1 (en) Headlamp for a vehicle
CN108431491B (zh) 用于车辆的前照灯
US9366405B2 (en) Headlamp system for motor vehicles
US4841423A (en) Additional headlight for use on a motor vehicle in conjunction with a dipped headlight
US11230224B2 (en) Lamp for vehicle
US7241035B2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failure of lighting on a bend
EP3933258A1 (en) Vehicle lamp
KR20230036131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JP2022129347A (ja) 車両用ランプおよびそのランプを含む車両
JP4257675B2 (ja) 車両用前照灯
CN104864337A (zh) 车辆用灯具
JP5319199B2 (ja) 車両用前照灯
CN112997034B (zh) 用于产生具有明暗边界的光分布的机动车大灯用的照明单元
KR20220065876A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모듈
US20220099265A1 (en) Lamp for vehicle
JP3898312B2 (ja) 車輌用前照灯
US9296331B2 (en) Vehicle headlight
CN116802431A (zh) 用于给道路照明的机动车辆照明装置
KR20220089401A (ko) 차량용 램프
JP5618312B2 (ja) 車両用前照灯
JP2004119381A (ja) 光ビームの遮断が平坦ではない反射鏡と偏向要素とを組み合わせた自動車用前照灯装置
US11898715B2 (en) Lamp for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modules arranged in width direction with an optical unit with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lenses grouped so as the emit multiple beam patterns
JP2000100226A (ja) 前照灯
US11953172B2 (en) Light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preliminary lenses
US6543919B2 (en)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mirror equipped with at least one lateral fender ski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