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307A -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307A
KR20220065307A KR1020200151676A KR20200151676A KR20220065307A KR 20220065307 A KR20220065307 A KR 20220065307A KR 1020200151676 A KR1020200151676 A KR 1020200151676A KR 20200151676 A KR20200151676 A KR 20200151676A KR 20220065307 A KR20220065307 A KR 2022006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lame retardant
retardant
app
pv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자우
유성구
김아현
이하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슬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슬린
Priority to KR1020200151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307A/ko
Publication of KR2022006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박리 가능한(peelable) 코팅제용 수지인 PVB에 캡슐화된 난연제를 첨가하여 캡슐 내부에 존재하는 APP의 난연 특성을 유지하면서 캡슐 외피가 PVB의 발화시 열안정성을 부여하고 내수성을 배가시키면서 APP가 PVB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난연 성능의 지속력을 높인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를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 5 내지 20 wt%, 인계 난연재 3 내지 18 wt%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10 wt%를 교반하여 난연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상기 난연성 혼합물에 PVB 50 내지 70 wt%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제를 형성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난연 코팅제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Peelable coatings with flame retardant nanomicro caps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수지를 기반으로 조성된 박리형 코팅 조성물에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를 난연제로 첨가하여 코팅제를 충격이나 오염방지 등의 보호가 필요한 대상물에 도포/건조 후 UV, 강우, 미세먼지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난연제 성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 부티랄(Polybinyl Butyral, PVB)은 강한 결합력, 다양한 소재 표면과의 뛰어난 접착성, 우수한 인성 및 유연성과 광학적 투명성으로 다양한 분야의 유용성이 인정되고 있다.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매우 뛰어나며, 일반 탄화수소계 용제에도 강한 화학적 특성으로 자동차 안전유리 접착제, 코팅제, 도료, 바인더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금속, 유리, 목재, 직물 등 다양한 소재에 접착력을 보이면서도 필요시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peelable) 코팅에 최적의 재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B는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난연성 부여가 곤란하여, 코팅 대상물질에 적용 후 발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대형화재로 이어지기 쉬워 다양한 산업현장에 활용되기 어려운 제약이 있다. 따라서 PVB의 활용을 위한 난연 성능 부여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난연성을 판단하는 UL 94 V Test(수직연소 시험)의 V-0 등급의 난연재는 자유 라디컬(free radical) 방출에 의해 가연을 촉진하는 H 또는 OH를 억제할 수 있는 벤젠 구조 및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여 높은 난연성 구현에 용이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물질이 독성을 띠며, 연소 시 많은 양의 연기를 방출하여 환경 오염을 야기할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V-1 및 V-2 등급의 난연재는 할로겐계 난연재보다 낮은 결합 에너지를 갖는 인(phosphorous) 또는 질소(nitrogen)계 난연재가 주를 이룬다. 독성 물질이나 연기의 방출이 적어 할로겐계 난연재보다 친환경적이나, 난연 효율이 떨어지며, 표면처리 없이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기지재료에 대한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높은 난연 효율성을 가지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난연재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친환경적인 고효율의 난연재는 할로겐 원소 또는 독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으며, 높은 분자량을 가져 상온에서 고체상을 띠고, 높은 융점을 가져야 하며, 표면처리나 소수성 기능기 등을 도입하여 낮은 수용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연소 이후 재(ash)를 형성하여 화재로부터 물질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기지재료인 PVB과 호환성이 좋아야 한다.
한편, 이 분야의 종래 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501797(2005.07.07.)호는 물유리를 이용한 난연처리방법 있다. 이 기술은 피처리제에 난연제 성분인 물유리를 분무, 침지 또는 도포와 같은 방법으로 부여하는 물유리 처리단계, 상기 물유리 처리된 재료에 규산염물질과 반응하여 친유성기를 도입하는 알코올류, 케톤류 또는 에테르류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개질처리제와 규산염물질의 중합을 일으키는 산의 혼합처리제를 처리하여 물유리를 화학적으로 고화시킴과 동시에 친유성을 부여하는 물유리의 개질고화단계; 및 상기 혼합처리제 처리된 재료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인체에 무해하고 우수한 난연효과를 갖는 물유리를 난연재로 사용하여 난연 처리를 하였으나, 물유리의 개질고화단계에서 개질처리제 및 산을 처리하며 코팅 대상물질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높다. 또한, 물유리가 고화되어 형성된 다공성 실리카는 코팅 대상물질 표면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PVB 소재의 코팅 조성물은 난연재와 혼합되면 PVB수지의 물성이 변경됨에 따라 코팅시 균열이 발생하며 점차 난연성, 필름 강도가 떨어지고 내수성과 벗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10990(2005.08.22.)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81111(2009.01.22.)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86396(2014.04.1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69145(2017.08.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 가능한(peelable) 코팅제용 수지인 PVB에 캡슐화된 난연제를 첨가하여 캡슐 내부에 존재하는 APP의 난연 특성을 유지하면서 캡슐 외피가 PVB의 발화시 열안정성을 부여하고 내수성을 배가시키면서 APP가 PVB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난연 성능의 지속력을 높인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를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 5 내지 20 wt%, 인계 난연재 3 내지 18 wt%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10 wt%를 교반하여 난연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상기 난연성 혼합물에 PVB 50 내지 70 wt%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제를 형성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S10) 단계는, 마그네틱 교반기 상에 위치한 플라스크에 폴리비닐 알콜(PVA), 표면개질제인스테아르산 및 증류수 투입하는 단계(S110)와;
이후 교반기에서 교반하면서 반응 촉매로 황산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S120)와;
이후 상기 조성된 용액에 용제인 에탄올을 투입하고 진공 배양기에서 건조하는 단계(S130)와;
이후 상기 용액에 증류수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분산시키는 단계(S140)와;
이후 발수성이 있는 스테아르산으로 코팅된 APP를 상기 용액에 투입하고 이어 추가로 PH 조절제인 구연산을 첨가하고 분산하는 단계(S150)와;
이후 제조된 APP 캡슐을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는 코팅용도에 따라 사용입자 크기가 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또는 4 내지 20 나노미터의 나노마이크로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 5 내지 20 wt%, 인계 난연재 3 내지 18 wt%, 계면활성제 1 내지 10 wt%, PVB 50 내지 70 wt%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은 고난연성을 가지면서도 균일하게 코팅 가능하고, 우수한 벗김성과 난연성의 저감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특성을 갖는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물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박리 가능한(peelable) 코팅제용 수지인 PVB에 캡슐화된 APP를 첨가하여 캡슐 내부에 존재하는 APP의 난연 특성을 유지하면서 캡슐 외피가 PVB의 발화시 열안정성을 부여하고 내수성을 배가시키면서 APP가 PVB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난연 성능의 지속력을 높인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화된 APP를 첨가함으로써 전체 코팅제 중 난연제 투입량을 50% 이상 감소시킨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화된 APP를 첨가함으로써 난연제와 PVB 수지간의 트러블(층분리, 경화, 겔화 등)을 방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장점을 구비한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를 준비하는 단계(S10), 난연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난연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를 준비하는 단계를 가진다(S10).
이 단계(S10)는 발수성이 있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코팅된 APP, 용제인 폴리비닐 알콜(PVA), 표면개질제인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반응촉매인 황산, 세척제인 에탄올(Ethanol), PH 조절제인 구연산(Citric acid)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후술한다.
상기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는 사용하고자 하는 코팅 용도에 따라 입자 크기가 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인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하거나, 입자 크기가 4 내지 20 나노미터인 나노캡슐을 사용한다.
이후 준비된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에 액상 인계 난연재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난연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S20).
이 단계(S20)는 전체 난연 코팅제 조성물 100 wt% 중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 5 내지 20 wt%, 인계 난연재 3 내지 18 wt%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10 wt%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될 때까지 충분히 교반한다.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이와 같은 함량 구간수치일 때 가장 좋은 난연코팅제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인계 난연재는 액상 인계 난연재일 수 있는데 특히 이소프로필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Triaryl phosphates isopropylate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인계 난연재는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에 흡수되거나 흡착되어 폴리비닐 부티랄 (PVB)을 포함하는 기지 재료와 혼합될 때 PVB를 흡수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난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난연성 혼합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알코올(alkylaryl polyether alcohols) 유형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비이온성의 인계 난연재와 기지재료인 PVB가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후 난연성 혼합물에 PVB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난연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가진다(S30).
이 단계(S30)에서 PVB는 전체 난연 코팅제 조성물 100 wt% 중 50 ~ 70 wt가 첨가되어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PP)가 완전하게 분산될때까지 충분히 교반된다. 보다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PVB는 복수 번에 걸쳐 일정량씩 첨가 및 교반될 수 있다. 일 예로, 난연성 혼합물에 전체 첨가될 PVB 중 1/2 정도를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한 다음 나머지 1/2 정도를 다시 첨가하고 교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박리 가능한 난연석 코팅 조성물은 APP를 캡슐화하여 캡슐 내부에 존재하는 APP의 난연 특성을 유지하면서 캡슐 외피가 APP가 수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APP를 다양한 수지와 결합하여 수지의 기본 기계 및 화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뛰어난 난연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캡슐화된 APP는 PVB 수지가 발화시 열안정성을 부여하고, 수지의 내수성을 배가시키며 종래와 달리 난연제가 수지 표면에서 이탈(Migration)하는 것을 차단하여 난연 성능의 지속력을 높인 코팅제가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단계(S10)는 먼저, 마그네틱 교반기 상에 위치한 플라스크에 폴리비닐 알콜(PVA), 표면개질제인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및 증류수 투입하는 단계(S110)를 가진다.
이후 교반기에서 교반하면서 반응 촉매로 황산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S120)를 가진다.
이 단계(S120) 단계는 교반기의 온도와 속도록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는 70~90℃를 유지하고 200~300rpm으로 교반하면서 황산을 첨가하고 12~24시간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상기 (S110)단계에서 혼합된 폴리비닐 알콜(PVA),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이 잘 용해되어 녹으면서 혼합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교반기의 온도는 80℃를 유지하고 속도는 250rpm으로 유지할 때 가장 좋은 교반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황산을 첨가하고 24시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조성된 용액에 세척제로 에탄올(Ethanol)을 투입하고 진공 배양기에서 건조하는 단계(S130)를 가진다. 에탄올은 세척 과정을 거친 후 휘발되어 사라진다.
이 (S130)단계는 조성된 용액에 에탄올(Ethanol)을 투입하고 진공 배양기에서 6~12시간 건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첨가된 상태에서 12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용액에 증류수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분산시키는 단계(S140)를 가진다.
이 (S140) 단계는 용액에 증류수를 투입하고 300~450rpm으로 1~2시간 분산시키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400rpm으로 2시간 분산시킨다. 이 정도면 충분히 교반되기 때문에 더 이상 교반할 필요는 없다. 이단계를 거치면 고른 분산이 이루어져 이후 단계에서 APP가 첨가되어 혼합시 균질한 혼합물을 얻게 된다.
이후 상기 (S110)단계에서 표면개질제로 사용한 스테아르산(Stearic acid)과 다른 별도의 발수성이 있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코팅된 APP를 상기 용액에 투입하고 이어 추가로 PH 조절제인 구연산(Citric acid)을 첨가하고 분산하는 단계(S150)를 가진다.
이 (S150) 단계는 발수성이 있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코팅된 APP를 상기 용액에 투입하고 이어 추가로 PH 조절제인 구연산(Citric acid)을 첨가하고 400~500rpm으로 3~4시간 분산하는 단계로 바람직하게는 구연산(Citric acid)을 첨가하고 500rpm으로 4시간 교반하여 분산을 완료한다.
상기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는 난연제로써 다른 난연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함량의 인(P)과 질소(N)를 가지고 있어 인과 질소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화염에 의한 분해온도가 높고, 습한 환경에서 용해도가 낮고 분산성이 우수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양호하다.
또한 페인트, 수지,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료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난연제로 사용 범위가 넓고 다양하다.
APP는 적용된 수지가 연소시 물을 발생시키고 수지 표면에 탄소층을 형성하여 난연 성능이 우수하며 수지 표면에 형성된 탄소층은 산소와 화염가스 및 탄소의 가스화를 차단한다.
그러나 APP는 각종 재료와 상용성이 낮으며 APP가 적용된 수지의 각종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APP가 적용되는 수지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 단계에 따른 APP의 캡슐화를 통한 표면 개질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후 제조된 APP 캡슐을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S160);를 가진다.
이 (S160)단계는 제조된 APP 캡슐을 필터링하고 건조하여 고순도의 캡슐화된 APP를 얻는 단계로 바람직하게는 12시간 건조하면 캡슐화된 난연성 APP를 얻게 된다.
상기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PP)의 물성은 아래 표 1과 같은 품질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Figure pat00001
-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PP)의 물성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하기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마그네틱 교반기 상에 위치한 플라스크에 폴리비닐 알콜(PVA), 표면개질제인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및 증류수를 투입하고, 이후 교반기의 온도를 80℃로 유지하고 250rpm으로 교반하면서 황산을 첨가하고 24시간 혼합한다.
이후 조성된 용액에 세척제로 에탄올(Ethanol)을 투입하고 진공 배양기에서 12시간 건조한다.
이후 상기 용액에 증류수를 투입하고 400rpm으로 2시간 분산시킨다.
이후 별도의 발수성이 있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코팅된 APP를 상기 용액에 투입하고 이어 추가로 PH 조절제인 구연산(Citric acid)을 첨가하고 500rpm으로 4시간 분산한다.
이후 제조된 APP 캡슐을 필터링하고 12시간 건조하여 난연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난연특성 테스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 비극성 계면활성제 및 액상 인계 난연재로 이루어진 난연성 코팅제를 300 rpm으로 3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였다. PVB을 두 번에 나누어 첨가하고 교반하여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난연성 코팅제를 130 mm ㅧ 13 mm의 시편 1로 제작하였고, 비교를 위하여 PVB을 이용한 시편 2와 PVB에 계면활성제, 액상 인계 난연재를 첨가한 시편 3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편들은 메탄가스 버너를 이용하여 시편의 아래 부분과 버너 끝간의 거리를 10 mm로 유지하며 연소시켰다.
점도 7시간 이후의 점도 벗김 특성 난연성 테스트
시편 1 적용 가능 적용 가능 좋음 80초
시편 2 적용 가능 적용 가능 좋음 15초
시편 3 적용 가능 적용 가능 좋음 33초
- 난연 물성 시험
표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시편들은 박리 가능한 코팅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점도를 가지며, 코팅 대상물질에 적용하였을 때 벗김 특성 역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탄가스 버너를 이용한 난연성 테스트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복합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로 제조된 시편 1이 완전 연소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80초가 걸려 PVB만을 포함하는 시편 2에 비하여 5배 이상, PVB에 동일한 조성의 인계 난연재를 포함하였을 때에 비하여 2.4배 이상 증가한 높은 난연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를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 5 내지 20 wt%, 인계 난연재 3 내지 18 wt%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10 wt%를 교반하여 난연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상기 난연성 혼합물에 PVB 50 내지 70 wt%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제를 형성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는,
    마그네틱 교반기 상에 위치한 플라스크에 폴리비닐 알콜(PVA), 표면개질제인스테아르산 및 증류수 투입하는 단계(S110)와;
    이후 교반기에서 교반하면서 반응 촉매로 황산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S120)와;
    이후 상기 조성된 용액에 용제인 에탄올을 투입하고 진공 배양기에서 건조하는 단계(S130)와;
    이후 상기 용액에 증류수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분산시키는 단계(S140)와;
    이후 발수성이 있는 스테아르산으로 코팅된 APP를 상기 용액에 투입하고 이어 추가로 PH 조절제인 구연산을 첨가하고 분산하는 단계(S150)와;
    이후 제조된 APP 캡슐을 필터링하고 건조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는 코팅용도에 따라 사용입자 크기가 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또는 4 내지 20 나노미터의 나노마이크로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의 제조방법.
  4. 캡슐화된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 5 내지 20 wt%, 인계 난연재 3 내지 18 wt%, 계면활성제 1 내지 10 wt%, PVB 50 내지 70 wt%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KR1020200151676A 2020-11-13 2020-11-13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5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676A KR20220065307A (ko) 2020-11-13 2020-11-13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676A KR20220065307A (ko) 2020-11-13 2020-11-13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07A true KR20220065307A (ko) 2022-05-20

Family

ID=8180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676A KR20220065307A (ko) 2020-11-13 2020-11-13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5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89322A (zh) * 2023-03-13 2023-06-23 浙江理工大学 一种阳离子化疏水微胶囊阻燃纸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990B1 (ko) 2002-11-29 2005-08-30 주식회사 유진텍 이십일 난연성 코팅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1111B1 (ko) 2007-01-25 2009-02-02 정맥산업개발(주) 발포수지용 난연 코팅제, 이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폼 및그 폼의 제조방법
KR101386396B1 (ko) 2012-11-28 2014-04-17 김태경 난연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KR101769145B1 (ko) 2017-01-17 2017-08-17 이피아이주식회사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990B1 (ko) 2002-11-29 2005-08-30 주식회사 유진텍 이십일 난연성 코팅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1111B1 (ko) 2007-01-25 2009-02-02 정맥산업개발(주) 발포수지용 난연 코팅제, 이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폼 및그 폼의 제조방법
KR101386396B1 (ko) 2012-11-28 2014-04-17 김태경 난연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KR101769145B1 (ko) 2017-01-17 2017-08-17 이피아이주식회사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89322A (zh) * 2023-03-13 2023-06-23 浙江理工大学 一种阳离子化疏水微胶囊阻燃纸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2541C (zh) 阻燃型有机硅改性丙烯酸树脂乳液及其制备方法
EP3538616B1 (en) Surfactants for intumescent foam stabilization
CN108440907A (zh) 一种高介电性能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6049064B (zh) 一种解决磷系阻燃涂层织物吸湿发粘的方法
DE102012221451A1 (de) Intumeszierende Zusammensetzung und ausgehärteter intumeszierender Stoff
CN108250824B (zh) 一种氟硅烷表面改性超细聚磷酸铵的制备方法
CN111704687B (zh) 聚合物作为抗熔滴阻燃剂的应用
KR20220065307A (ko)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48830A (zh) 一种磷硅复合阻燃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17281B1 (ko)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난연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KR102623765B1 (ko)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TWI695856B (zh) 含有官能基改質氣凝膠顆粒之複合材料的製備方法
CN116285478A (zh) 一种玄武岩无机长晶鳞片防火涂料及其制备方法
CN114213707B (zh) 一种膨胀型阻燃剂、制备方法及其用途
CN113234324B (zh) 一种阻燃可陶瓷化有机硅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90119B1 (ko)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185873A (zh) 一种生物基阻燃及抗光老化pva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729384B1 (ko) 난연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물
KR20210071508A (ko) 복합 나노기공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박리 가능한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97206B1 (ko) 우수한 탄화 수득율을 가지는 난연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CN112300445A (zh) 一种陶瓷化耐火填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305590A (zh) 一种阻燃环氧树脂胶黏剂及其制备方法
CN1268539A (zh) 含水膨胀涂料组合物及用其生产的防火材料
KR102662268B1 (ko) 나노 세라믹 입자가 포함된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9666A (ko) 난연효율이 우수한 고분자수지용 무기수산화물―실리카하이브리드 복합 난연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난연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