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145B1 -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145B1
KR101769145B1 KR1020170008329A KR20170008329A KR101769145B1 KR 101769145 B1 KR101769145 B1 KR 101769145B1 KR 1020170008329 A KR1020170008329 A KR 1020170008329A KR 20170008329 A KR20170008329 A KR 20170008329A KR 101769145 B1 KR101769145 B1 KR 10176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lame retardant
retardant coating
coating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09D1/0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with organic additives
    • C09D7/12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 수용성 아크릴 3 내지 9 중량부 및 팽창흑연 3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및 팽창흑연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난연성 및 접착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시 독성가스의 배출이 없어 환경 및 인체 유해성이 없어 친환경적인 소재로서,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의 표면에 코팅하여 난연 처리하는 방법에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Coating compositions using for flame retardant and flame-retarding method for inflammable materi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에 코팅 또는 도포하여 화염에 인화되지 않도록 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가연성 물질을 난연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시공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축 내장재로 종이, 목재, 스티로폼,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가연성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연성 건축 내장재는 화재 발생시 급속한 발화가 이루어짐은 물론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켜 인명피해 등의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화재 발생에 의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 내염 및 방염 처리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가연성 건축 내장재에 난연제(flame retardant)를 코팅하는 난연 처리방법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난연제의 코팅을 통한 난연 처리방법은 표면에 난연성 도막을 형성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 또는 화염에 의한 발화를 차단 또는 지연시키거나 연소의 확대를 방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시간을 제공하거나 대피시간을 늘려줄 수 있어 화재에 의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최근 난연 처리방법에 도입되는 일반적인 난연제는 할로겐계, 인계, 무기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활용되고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난연제는 브롬 또는 염소 등을 포함하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할로겐계 난연제는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연소시 다량의 독성 가스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인계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에 비해 난연 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1200 ℃ 이상의 고온에서는 독성가스의 감소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무기계 난연제의 경우, 600 ℃ 이하의 저온에서는 난연효과가 있지만, 600 ℃를 초과하는 조건에서는 난연효과가 미미하여 난연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과량 첨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의 표면에 코팅하는 공정에 도입이 힘들다는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난연 코팅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5821호 (공개일 : 2012.07.09)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3137호 (공개일 : 2016.12.14)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70485호 (공개일 : 2008.07.30)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6294호 (공개일 : 2008.09.2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독성가스의 배출이 없어 환경 및 인체 유해성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접착 특성 및 난연 특성을 갖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가연성 소재를 난연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 수용성 아크릴 3 내지 9 중량부 및 팽창흑연 3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기바인더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고로슬래그 시멘트, 반수석고, 무수석고 및 플라이 애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상기 보통포틀랜드시멘트 100 중량부, 상기 수용성 아크릴 5 중량부 및 상기 팽창흑연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열방출량이 6 MJ/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물을 1:0.3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난연 코팅제를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및 팽창흑연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난연성 및 접착성을 구현할 수 있어,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를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시 독성가스의 배출이 없어 환경 및 인체 유해성이 없어 친환경적이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난연 코팅제를 코팅한 난연제의 열방출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난연 처리한 지관의 난연 특성을 평가한 난연시험성적서(KICT-R-K-2017-00022-1~2)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무기바인더, 수용성 아크릴 및 팽창흑연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무기 바인더는, 경화의 주성분이되어 화재에 의한 코팅층의 기계적 강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경도 및 강도를 부여하고, 우수한 효율로 열을 차단하는 차열성(heat block)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 응집 및 경화가 가능하여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에 코팅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바인더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normal portaland cement), 알루미나 시멘트(alumina cement), 고로슬래그 시멘트(portland blast furnace cement), 반수석고(gypsum hemihydrate), 무수석고(anhydrous gypsum), 플라이 애쉬 시멘트(fly-ash cemen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작고 균일한 입도를 가져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아크릴은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더욱 강한 접착 강도를 부여하고, 난연 코팅제 조성물의 각 성분들의 결속력을 좋게 하면서도 균질한 혼합을 가능하게 하며, 수축성이 좋아 우수한 성형성을 부여하고,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코팅시 표면 균일성을 좋게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성 아크릴은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스타이렌(styr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친수성 단량체로 중합시킨 수용성 아크릴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용성 아크릴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20 내지 5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가교 성능이 우수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1 내지 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수용성 아크릴을 사용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구현하는 수용성 아크릴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 내지 15 중량부, 아크릴산 1 내지 5 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액 중합공정으로 중합한 수용성 아크릴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용성 아크릴은 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이 10 내지 20만인 것을 사용하여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우수한 접착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팽창흑연은 층상의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의 팽창흑연은 연소에 의해 형성된 화염, 물 및 산화 화합물에 의해 20 배에서 350 배까지 발포되어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여 가연성 소재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화염이 가연성 소재에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고 다공성 구조에 독성 가스를 가두는 역할을 하여 우수한 난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흑연은 발연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 가스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어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팽창흑연은 연소의 억제 효과와 난연 코팅제 조성물의 표면 균일성 및 접착성을 유지하고, 물리적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평균 입자크기가 50 내지 50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우수한 난연성 및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 수용성 아크릴 3 내지 9 중량부 및 팽창흑연 3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아크릴의 포함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 코팅제 조성물의 접착력이 약해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된 코팅층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수용성 아크릴의 포함함량이 9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의 접착력은 증가하나 난연 특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팽창흑연의 포함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 특성이 떨어지고, 독성 가스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포함함량이 9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난연 특성을 향상되나, 접착성이 떨어지고, 표면에 코팅된 뒤 경화되었을 때,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포함함량으로 무기바인더, 수용성 아크릴 및 팽창흑연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우수한 난연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다양한 가연성 물질의 표면에 코팅하여 난연성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화염에 의한 난연성이 증가되어 난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접착성이 우수하여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을 여러겹 적층하여 부착하는 각층의 중간에 도포하여 각층을 접착하는 난연 접착제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시멘트 100 중량부, 수용성 아크릴 5 중량부 및 팽창흑연 5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제조한 난연 코팅제를 종이에 도포한 후, 건조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시킨 난연 코팅층을 포함하는 종이를 이용한 열방출량 평가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의 열방출량은 6 MJ/m2로 확인되어, 3급 난연제의 조건(8 MJ/m2 이하)을 충족하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다양한 가연성 물질의 난연처리를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난연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리섬유 등과 같은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섬유는 접촉시 피부 자극이 적고, 내열온도가 1,300 ℃ 이상으로 높아 우수한 화재의 확산 방지 및 불꽃 차단 효과를 갖는 실리카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리섬유는 평균두께가 50 내지 500 ㎛인 것을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비율로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하도록 구성하여 접착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의 표면에 코팅시 우수한 난연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물유리층을 형성하는 액상의 규산나트륨, 산화 안티몬, 붕산아연(zinc borate), 붕산, 파라핀 왁스 등과 같은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난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성물 충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비율로 난연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접착제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을 여러겹 부착할 경우, 접착 특성을 더욱 강하게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로 초산비닐수지계, 녹말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접착제로 포리졸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 수용성 아크릴 3 내지 9 중량부 및 팽창흑연 3 내지 9 중량부를 반응기에 투입한 후, 교반하여 균질한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물을 1:0.3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내지 1,000 rpm으로 10 내지 180분 동안 교반하여 난연 코팅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한 난연 코팅제는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재의 난연 처리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기재된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물을 1:0.3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난연 코팅제를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조한 난연 코팅제에 종이를 함침시키거나, 난연 코팅제를 종이의 상면에 분사하여 종이의 표면에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켜 가연성 소재를 난연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처리방법에서는,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기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물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코팅하여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0.5 내지 1.5 mm 두께의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난연 코팅층의 두께가 0.5 mm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얇아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난연 특성을 부여하기 힘든 문제가 있고, 두께가 1.5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난연 코팅층을 코팅하여 형성시키고 건조한 후에 난연 코팅층이 깨져 유실될 우려가 있으며,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에서는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물유리층을 추가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물유리층은 열이 가해지면 부풀어 올라 지관에 난연성을 추가적으로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물유리층은 액상의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을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mm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mm의 두께로 액상의 규산나트륨을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물유리층을 형성시키고, 이와 같이 형성시킨 물유리층의 상면에 상기 난연 코팅제를 도포하여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난연 처리방법을 통해 가연성 소재의 난연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한 난연 코팅제를 접착제로 활용하여 난연성 직물을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가연성 소재의 난연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난연성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아라미드 섬유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직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난연 처리하여 제조한 난연성 직물이라면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처리방법에서는 종이 원지를 수회 반복접합해 제조하여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가연성 지관(paper sleeve)을 난연 코팅제 조성물로 난연 처리하여 난연 특성이 우수한 난연성 지관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한 난연성 지관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건축자재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지관의 외주면에 액상 규산나트륨을 도포하여 물유리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물을 혼합해 제조한 난연 코팅제를 물유리층의 상면 및 지관의 내주면에 도포하여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키고, 난연 코팅층의 상면에 난연성 직물을 부착하는 난연 처리방법을 통해 난연성 지관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난연 코팅제를 도포하는 난연 처리방법으로 난연 코팅층을 포함하는 소재는 난연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해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분자량(Mw)이 20만인 수용성 아크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아크릴산 5 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포함) 및 팽창흑연을 각각 100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물과 1: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난연 코팅제를 제조하였으며, 난연 코팅제에 종이를 함침시켜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켰으며, 이를 통해 난연성 소재를 제조하였다.
혼합비
실시예 1 시멘트 + 수용성아크릴 + 팽창흑연
100 : 5 : 5
비교예 1 시멘트 + 수용성아크릴 + 팽창흑연
100 : 10 : 5
비교예 2 시멘트 + 수용성아크릴 + 팽창흑연
100 : 20 : 5
비교예 3 시멘트 + 수용성아크릴 + 팽창흑연
100 : 40 : 5
<실시예 2>
포리졸 접착제를 이용해 6겹의 종이 원지를 반복 권취시켜 제조한 지관(paper sleeve)의 외주면에 액상 규산나트륨을 함침시켜 0.5 mm 두께의 물유리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지관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의 난연 코팅제에 함침시켜 상기 물유리층의 상면 및 지관의 내주면에 0.7 mm 두께의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키고, 난연 코팅층의 상면에 각각 0.5 mm 두께의 패브릭천을 부착하여 난연 직물층을 형성시키고, 난연 직물층의 상면에 0.7 mm 두께의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키고, 난연 코팅층의 상면에 각각 0.5 mm 두께의 패브릭천을 부착한 후, 마지막으로 난연 직물층의 상면에 난연 코팅층을 추가적으로 형성시켜, 난연 코팅층+난연 직물층+난연 코팅층+난연 직물층+난연 코팅층+지관+물유리층+난연 코팅층+난연 직물층+난연 코팅층의 구조를 가지며, 대략 10 mm의 두께, 1028.9 kg/m3의 밀도를 갖는 난연성 지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및 팽창흑연을 각각 100 : 10 : 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종이에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켜 난연성 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및 팽창흑연을 각각 100 : 20 : 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종이에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켜 난연성 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및 팽창흑연을 각각 100 : 40 : 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종이에 난연 코팅층을 형성시켜 난연성 소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난연 코팅제 조성물의 난연 특성 평가
제조한 난연 코팅제 조성물의 난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난연성 소재를 이용해 난연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난연 테스트는 건설기술연구원에서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난연 코팅제를 코팅한 난연성 소재의 열방출량은 6 MJ/㎡으로 확인되어 한국산업규정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난연재료(난연 3급)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난연 코팅제는 불꽃에 의한 직접연소가 아닌 훈연에 의한 발열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을 종이, 발포수지 또는 직물 등과 같은 다양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를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난연 코팅제 조성물로 난연 처리한 소재의 난연 특성 평가
난연 코팅제 조성물로 난연 처리한 소재의 난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난연 처리한 지관 3개를 시험체로 이용하여 난연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난연 테스트는 건설기술연구원에서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난연 처리한 지관의 열방출량은 모두 8 MJ/m2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어 한국산업규정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난연재료(난연 3급)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난연 처리한 지관의 열방출률이 200Kw/m2를 초과한 시간(초)은 0초로서 10초 이상의 기준에 적합하였으며, 난연 처리한 지관의 전부 용융,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 등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난연 처리한 지관 2개를 시험체로 이용하여 가스유해성을 분석한 결과, 가스 유해성시험항목인 평균행동정지시간은 모두 11분 이상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9분 이상의 규정에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코팅제 조성물은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를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유해 가스를 배출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 수용성 아크릴 5 중량부 및 팽창흑연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열방출량이 6 MJ/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유리섬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코팅제 조성물.
  5. 가연성 소재의 표면에 물유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제1항 또는 제4항 기재된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물을 1:0.3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난연 코팅제를 상기 물유리층 상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 처리방법.
KR1020170008329A 2017-01-17 2017-01-17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KR10176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29A KR101769145B1 (ko) 2017-01-17 2017-01-17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29A KR101769145B1 (ko) 2017-01-17 2017-01-17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145B1 true KR101769145B1 (ko) 2017-08-17

Family

ID=5975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329A KR101769145B1 (ko) 2017-01-17 2017-01-17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1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90A (ko) * 2017-11-06 2019-05-15 (주)유송엔지니어링 단열재용 시멘트계 바탕조정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용 시멘트계 바탕조정재
KR102181421B1 (ko) * 2019-10-24 2020-11-24 (주)에이디비앤에이치 친환경 발포성 내화 코팅제, 이를 이용한 난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58690B1 (ko) * 2020-09-21 2021-05-28 한국세라믹기술원 내열 및 불연 특성을 갖는 불연소재,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 보온재, 흡음재 및 단열재
KR20220065307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에슬린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472A (ja) * 1999-01-26 2000-08-02 Dainippon Toryo Co Ltd 鋼材表面に対する耐火被覆方法
JP2010168440A (ja) * 2009-01-21 2010-08-05 Showa Denko Kenzai Kk 熱膨張耐火性組成物
JP4675054B2 (ja) 2003-03-31 2011-04-20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発泡性耐火塗料
JP4812104B2 (ja) 2005-10-31 2011-11-09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発泡性耐火塗料
JP4812102B2 (ja) 2006-07-04 2011-11-09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発泡性耐火塗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472A (ja) * 1999-01-26 2000-08-02 Dainippon Toryo Co Ltd 鋼材表面に対する耐火被覆方法
JP4675054B2 (ja) 2003-03-31 2011-04-20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発泡性耐火塗料
JP4812104B2 (ja) 2005-10-31 2011-11-09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発泡性耐火塗料
JP4812102B2 (ja) 2006-07-04 2011-11-09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発泡性耐火塗料
JP2010168440A (ja) * 2009-01-21 2010-08-05 Showa Denko Kenzai Kk 熱膨張耐火性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90A (ko) * 2017-11-06 2019-05-15 (주)유송엔지니어링 단열재용 시멘트계 바탕조정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용 시멘트계 바탕조정재
KR101989927B1 (ko) * 2017-11-06 2019-06-17 (주)유송엔지니어링 단열재용 시멘트계 바탕조정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용 시멘트계 바탕조정재
KR102181421B1 (ko) * 2019-10-24 2020-11-24 (주)에이디비앤에이치 친환경 발포성 내화 코팅제, 이를 이용한 난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58690B1 (ko) * 2020-09-21 2021-05-28 한국세라믹기술원 내열 및 불연 특성을 갖는 불연소재,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 보온재, 흡음재 및 단열재
KR20220065307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에슬린 난연 나노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박리성 난연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145B1 (ko)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TWI477552B (zh) 防火聚胺酯材料及防火結構
JPS63273690A (ja) 難燃剤添加組成物
WO2020247876A1 (en) Fire resistant compositions and articl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101431002B1 (ko) 발포 폴리스티렌폼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20140033451A (ko) 피복재
CN109504232A (zh) 一种由多种碳基材料增强的环氧膨胀型防火涂料
KR102181421B1 (ko) 친환경 발포성 내화 코팅제, 이를 이용한 난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97209B1 (ko) 내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9060B1 (ko) 수성계 친환경 및 무독성 발포 방염 내화도료
JP3218359B2 (ja) 発泡耐火性積層体とその形成方法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616943C1 (ru) Автономное сред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448253B1 (ko) 발포성 탄화층 구조의 내화피복재 조성물
KR101769146B1 (ko) 난연 코팅층을 포함하는 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6282A (ko)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불연성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683350B (zh) 一种用于地下空间充填防灭火型强加固材料、制备方法及应用
KR102334180B1 (ko) 다공성 폼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폼 단열보드
JP2020002551A (ja) 耐火材料
KR101085932B1 (ko) 리그린계 셀루로오스 섬유질 포비성 내화피복재 조성물
KR101437636B1 (ko) 수성 세라믹 불연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48855B1 (ko)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JP2003261371A (ja) 耐爆裂性水硬性硬化体
KR101137301B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조성물
JP5269573B2 (ja) 断熱材製造用のプレミックス組成物及び断熱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