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855B1 -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855B1
KR101648855B1 KR1020160000526A KR20160000526A KR101648855B1 KR 101648855 B1 KR101648855 B1 KR 101648855B1 KR 1020160000526 A KR1020160000526 A KR 1020160000526A KR 20160000526 A KR20160000526 A KR 20160000526A KR 101648855 B1 KR101648855 B1 KR 10164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retardant
coating composition
glass powder
polystyre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권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머티리얼오아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머티리얼오아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머티리얼오아시스
Priority to KR102016000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7/12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난연성 코팅 조성물은 EPS(Expanded polystyrene) 샌드위치 패널의 코팅제로 사용할 때의 난연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화재 예방용도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Nonflammabl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glass powder for producing expanded polystyrene foam}
본 발명은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발포폴리스티렌 폼 비드의 무기 난연 원료의 접착 강도 증진을 위해 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 수화물, 금속 탄화물 등의 무기 난연 원료 복합재료를 친환경 수계 바인더 용액의 물 분산액에 혼합하여 얻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EPS(Expanded polystyrene)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공정은, 폴리스타이렌 알갱이(polystyrene beads)를 소정의 발포 비율로 발포한 후, 사일로(silo)에서 건조 숙성시킨 후 성형기에서 연화할 때까지 증기 가열 후 냉각시켜서 성형체를 성형하고, 소정의 양생과정을 거쳐 열선을 이용하여 규격대로 절단하여 제작되는 비난연 EPS 패널의 강판(아연도강판, 갈바늄강판, 알루미늄강판, 칼라강판 등)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후 규격대로 커팅(cutting)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한다.
이러한 EPS 샌드위치 패널은 높은 단열 효과와 경제성, 방음성, 경량성, 기계강도, 내약품성, 인체 무해성 등의 이유로 공장, 축사 등의 단열재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 대형화재 사고에서는 인화성과 유독가스 발생 등 인체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노출되어 EPS 샌드위치 패널의 난연화는 매우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개정된(2004년 10월) 건축법시행령 제61조 규정에 의하면, 일정규모 이상의 다중이용시설물, 공동주택, 생활권수련시설물, 자연수련시설물 등의 벽, 천장, 복도, 계단 등의 마감재료를 불연, 준불연 또는 난연재료를 사용하도록 개정함에 따라, 이전에는 내부 마감재료에 한하여 실시되는 불연성능시험(KS F 2271)을 내부 마감재료인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 등에 대하여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다중이용시설물 등의 내장재료로 사용되는 EPS, 폴리우레탄 등은 연소 시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또한 글라스울(glass-wool)의 경우 준 발암물질이 배출되므로 이들에 대한 특별한 조치 없이는 샌드위치패널의 내부 마감재료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종래 난연성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알갱이를 이용하여 폴리스타이렌 블록체를 성형하는 제1단계와, 열선에 의해 발포 폴리스타이렌 블록체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제2단계와, 일정 크기로 가공(절단)된 발포 폴리스타이렌 블록의 모든 표면에 일정 간격 및 깊이로 핀홀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블록을 액상의 난연 조성물 내에 함침시키거나, 또는 스프레이 분사기에 의해 블록에 액상 난연 조성물을 분사시켜 코팅처리하는 제4단계와, 난연 조성물이 코팅처리된 블록을 건조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샌드위치 패널은 기존의 제작하는 설비를 변경하지 않고, 발포 폴리스타이렌 블록의 최종 단계 제조공정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공정에서 스프레이 분사 또는 함침 등에 의해 난연제를 피복코팅처리하므로, 시공성이 뛰어나고, 설비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난연성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소정크기로 절단된 블록을 난연재에 함침시키거나 또는 스프레이 분사시키는 경우, 난연재가 블록의 모든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처리되지 않아 화재 발생 시 난연 성능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블록의 연소로 인한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5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14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9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9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66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6484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583호 (발명의 명칭 :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특허권자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일 : 2015년01월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1484호 (발명의 명칭 :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용 난연 코팅방법, 특허권자 : 박광식, 등록일 : 2014년08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949호 (발명의 명칭 :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용 난연 코팅액 및 그 제조방법, 특허권자 : 김충회, 등록일 : 2014년08월0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901호 (발명의 명칭 :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 특허권자 : 임홍빈, 등록일 : 2013년10월1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6625호 (발명의 명칭 : 난연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출원인 : (주)실빅스, 공개일 : 2013년12월1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6484호 (발명의 명칭 : 다중코팅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성능 발포폴리스티렌 성형물, 출원인 : (주)폴머 외 1인, 공개일 : 2011년11월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폴리스티렌 폼 비드의 무기 난연 원료의 접착 강도 증진을 위해 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 수화물, 금속 탄화물 등의 무기 난연 원료 복합재료를 친환경 수계 바인더 용액의 물 분산액에 혼합하여 얻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수화물, 금속탄화물, 산화철, 수계 바인더 용액 및 물을 함유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글라스파우더 0.1~20중량%, 팽창흑연 0.1~25중량%, 금속수화물 0.1~50중량%, 금속탄화물 0.1~30중량%, 산화철 0.1~5중량%, 수계 바인더 용액 5~25중량% 및 물 20~50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파우더는 연화점 영역이 700~980℃이고 평균입경이 0.5~50㎛인 None Akali-Aluminium Silicate Glass를 포함하면서, Soda lime Glass, Borosilicate Glass 및 Bismuth Silicate Glass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의 팽창율은 50~350배이고, 평균입경이 100~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수화물은 Al(OH)3, Mg(OH)2, Ca(OH)2, Sr(OH)2, Ba(OH)2, Mg3Si4O10(OH)2, Al2Si2O5(OH)4 및 3CaO·Al2O3·6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며, 평균입경이 0.5~5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탄화물은 BaCO3, CaCO3, SrCO3, MgCO3 및 CaMg(CO3)2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며, 평균입경이 0.5~5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계 바인더 용액은 페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아크릴산(PAA)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며, 고형분 함량이 40~60중량%, 점도가 300~30,000cp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23℃, 65rpm 조건에서 점도 영역이 500~10,000cp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계 바인더 용액을 물에 첨가하고 희석 및 분산시켜 얻은 수계 바인더 분산 용액에 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수화물, 금속탄화물 및 산화철이 포함된 혼합물을 혼합하여 얻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수화물, 금속탄화물, 산화철, 수계 바인더 용액 및 물을 함유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난연 특성 증진과 동시에 유독가스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친환경 특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수계 고분자 바인더와 무기 난연 원료와의 복합 재료(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수화물, 금속탄화물, 산화철)의 최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700℃ 이상의 화기에 난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온 글라스파우더를 첨가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폴리스티렌 폼 비드에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용액을 코팅할 때, 난연 특성을 한층 더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용액의 점도는 23℃, 65rpm 조건에서 점도 영역이 500~10,000cps가 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글라스파우더는 화재시 고온에 의해 연화되면서 주변 타 난연재료 파우더와 복합 글라스막을 형성하게 되어 난연 특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0.1~20중량%가 바람직하고, 5~1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글라스파우더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고온에 의해 연화되는 글라스량이 부족하여 주변 타 난연재료 파우더와 복합 글라스막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난연 특성을 증진는 효과가 없으며, 20중량%를 초과하면 고온에 의해 연화되는 글라스 양이 너무 많아져서 주변 타 난연재료 파우더와 복합 글라스막을 형성하지만 글라스가 넘쳐 흘러내려서 난연 특성을 저하시키게 한다.
상기의 팽창흑연은 화재시 고온에 의해 원래 입자의 50~350배로 팽창하면서 불연성 Char를 형성하면서 EPS 수축과 더불어 타 난연재료 파우더의 수축을 막아주어 난연 효과를 증진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이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0.1~25중량%가 바람직하고, 5~2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팽창흑연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불연성 Char 형성량도 작고 EPS 수축과 더불어 타 난연재료 파우더의 수축을 막아주기 어려워져 난연 특성이 저하되며, 25중량%를 초과하면 불연성 Char 형성량은 많아지지만 EPS 수축 대비 과다 팽창으로 구멍이 생겨 난연 특성을 저하시키게 한다.
상기의 금속수화물은 화재시 고온에 의해 연소율을 감소시키는 흡열 분해를 수행하므로 난연 효과를 증진 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이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0.1~50중량%가 바람직하고, 10~4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금속수화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연소율을 감소시키는 흡열 분해의 효과가 미비해서 난연 특성이 저하되며, 50중량%를 초과하면 연소율을 감소시키는 흡열 분해 효과는 커지지만 그에 반해 EPS 수축시 같이 수축되어 테두리 부분의 난연 특성을 저하시키게 한다.
상기의 금속탄화물은 화재시 불꽃 근처에서 연료 및 산소를 감소시키며 비연소 가스로 분해를 수행하므로 난연 효과를 증진 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그 함량이 0.1~30중량%가 바람직하고, 3~2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금속탄화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화재시 불꽃 근처에서 연료 및 산소를 감소시키며 비연소 가스로 분해가 미비해서 난연 특성이 저하되며, 30중량%를 초과하면 화재시 불꽃근처에서 연료 및 산소를 감소시키며 비연소 가스로 분해 효과는 커지지만 그에 반해 EPS 수축시 같이 수축되어 테두리 부분의 난연 특성을 저하시키게 한다.
상기의 산화철은 화재시 자체적인 비연소 충진제로서 난연 효과를 증진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그 함량이 0.1~5중량%가 바람직하고, 0.5~3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산화철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화재시 자체적인 비연소 충진제로서의 역할이 미비해서 난연 특성이 저하되며, 5중량%를 초과하면 화재시 자체적인 비연소 충진제로서의 효과는 커지지만 그에 반해 EPS 수축시 같이 수축되어 테두리 부분의 난연 특성을 저하시키게 한다.
상기 수계 바인더 용액의 함량은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 100중량% 기준으로, 5~25중량%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가 좋다. 수계 바인더 용액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 되면 EPS 비드와 무기난연제 파우더의 부착력이 낮아져서 난연 성능을 저하시키며, 또한 25중량% 초과하면 EPS 비드와 무기난연제 파우더의 부착력이 좋아지지만 무기난연제 파우더 비율이 낮아져서 전체적인 난연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기 물의 함량은 2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한 것은 25~45중량%가 좋다. 물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이 되면 난연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분산하기 힘들게 되고 난연액 코팅시 점도가 너무 높아서 골고루 코팅이 어려우며, 또한 50중량%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낮아져서 난연액 코팅막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어 난연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점도 특성은 EPS 난연액 코팅 시 난연 고형분의 코팅성과 관련이 있고 난연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하므로, 난연성 코팅 조성물은 23℃, 65rpm 조건에서 점도 영역이 500~10,000cps가 바람직하고, 1,000~5,000cps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500cps 미만이면 점도가 너무 낮아서 EPS 난연액 코팅 시 EPS 비드 표면에 코팅되지 못하고 코팅실 바닥으로 흘러내리므로 난연 특성이 저하되며, 점도가 10,000cps 이상이 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서 EPS 비드 표면에 코팅이 어려워져 난연 특성을 저하시키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수계 바인더 용액을 물에 첨가하고 희석 및 분산시켜 얻은 수계 바인더 분산 용액에 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수화물, 금속탄화물 및 산화철이 포함된 혼합물을 혼합하여 얻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1단계) 최종 제조되는 난연성 코팅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글라스파우더 0.1~20중량%, 팽창흑연 0.1~25중량%, 금속수화물 0.1~50중량%, 금속탄화물 0.1~30중량%, 산화철 0.1~5중량%, 수계 바인더 용액 5~25중량% 및 물 20~50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2단계) 상기 1단계에서 준비한 수계 바인더 용액을 물에 첨가하고 희석 및 분산시켜 수계 바인더 분산 용액을 얻는 단계; 및,
(3단계) 상기 2단계에서 얻은 수계 바인더 분산 용액과 상기 1단계에서 준비한 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수화물, 금속탄화물 및 산화철이 포함된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난연성 코팅 조성물은 EPS(Expanded polystyrene) 샌드위치 패널의 코팅제로 사용할 때의 난연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화재 예방용도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5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14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9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9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66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6484호 등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난연성 코팅 조성물과는 그 구성성분이 다르기에, 본 발명과는 다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수계 바인더 용액을 물에 첨가하고 희석 및 분산시켜 수계 바인더 분산 용액을 얻은 후 글라스파우더, 팽창흑연, 금속수화물, 금속탄화물 및 산화철이 포함된 혼합물을 혼합하여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각 조성물의 물성을 확인하여 나타내었다. 이 때 각 조성물의 특성들은 하기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 액평가(점도) : 난연액의 온도를 23℃ 유지하여, 65rpm 속도의 조건에서 측정한 점도 값
* 액투입(EPS비드중량:액중량)에서 'EPS비드중량:액중량 = 1:1'은 EPS비드 중량 100g에 난연액 100g를 투입한 비율을 뜻함
* EPS무게 감량 비율 : (W1 - W2)/W1 x 100
※ W1: 콘칼로리미터 평가 전 EPS 무게
※ W2 : 콘칼로리미터 평가 후 EPS 무게(난연제 재의 무게)
* 외관평가 : 육안 관찰시 콘칼로리미터 평가 이후 남은 재를 500루멘 이상 LED 등으로 수직방향으로 빛을 비추어 육안 관찰시 난연제의 재가 관통되어 철판이 완전히 노출되지 않은 것과 동시에 테두리 수축이 2mm이하의 것을 우수, 난연제의 재가 관통되어 철판이 완전히 노출되는 것과 동시에 테두리 수축이 2mm 초과의 것을 불량으로 나타냄
* 난연제 높이 : 콘칼로리미터 평가 후 타고 남은 난연제의 재의 높이를 '자'로 측정
* 난연제 수축 길이 : 콘칼로리미터 평가 후 타고 남은 난연제의 재의 테두리 수축 길이를 '자'로 측정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난연코팅액
조성
.



%
글라스파우더 5 10 10 15 15 0 0  25 0  0
팽창흑연 15 10 15 5 10 35 0  5 5 15
금속 수화물 Mg(OH)2 5 5 5 5 5 5 22 5 5 5
Al(OH)3 23 23 18 23 18 8 30 13 5 24
금속
탄화물
BaCO3 3 3 3 3 3 3 3 3 36 3
산화철 1 1 1 1 1 1 1 1 1 1
수계바인더
용액
28 28 28 28 28 28 24 28 24 20
20 20 20 20 20 20 20 20 24 32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액평가 점도 (cps) 1,780 2,870 2,580 3,180 2,840 675 7,850 1,250 956 1,865
액투입 EPS비드중량 : 액중량 1:1 1:1 1:1 1:1 1:1 1:1 1:1 1:1 1:1 1:1
신뢰성평가
(콘칼로리미터평가)
W1 (g) 10.1 10.6 10.6 10.7 10.1 8.7 7.9 8.9 9.1 9.2
W2 (g) 7.5 7.4 7.5 7.3 7.5 7.5 7.3 7.2 7.6 7.3
EPS 무게감량 비율 (%) 26 30 29 32 26 14 8 19 16 21
외관평가 (난연제 관통 여부)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난연제 높이 (mm) 17 14 18 16 15 24 18 15 14 18
난연제 수축 길이 (mm) 2 1 - - 2 4 7 4 4 8
**글라스파우더 : None Akali-Aluminium Silicate Glass 사용
**수계 바인더 용액 :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사용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본원발명의 실시예 1~5의 조성물은 콘칼로리미터 평가 시 외관 평가 부분에서 난연제의 재가 관통되어 철판이 전혀 노출이 없는 보통 및 우수로 확인되는 것과 동시에 난연제의 재의 테두리 수축 길이가 2mm이하로 난연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으나, 비교예 1~5의 조성물은 콘칼로리미터 평가 시 외관 평가 부분에서 난연제의 재가 관통되어 철판이 완전히 노출되는 불량으로 확인되는 것과 동시에 난연제 재의 테두리 수축 길이가 4mm이상으로 난연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Claims (9)

  1. 연화점 영역이 700~980℃이고 평균입경이 0.5~50㎛인 None Akali-Aluminium Silicate Glass를 포함하는 글라스파우더 0.1~20중량%;
    팽창율 50~350배이고 평균입경이 100~1,000㎛인 팽창흑연 0.1~25중량%;
    Al(OH)3, Mg(OH)2, Ca(OH)2, Sr(OH)2, Ba(OH)2, Mg3Si4O10(OH)2, Al2Si2O5(OH)4 및 3CaO·Al2O3·6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면서 평균입경이 0.5~50㎛인 금속수화물 0.1~50중량%;
    BaCO3, CaCO3, SrCO3, MgCO3 및 CaMg(CO3)2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며, 평균입경이 0.5~50㎛인 금속탄화물 0.1~30중량%;
    산화철 0.1~5중량%;
    페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아크릴산(PAA)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면서 고형분 함량이 40~60중량%이고 점도가 300~30,000cps인 수계 바인더 용액 5~25중량%; 및,
    물 20~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 65rpm 조건에서 점도 영역이 500~10,000cps인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파우더는 Soda lime Glass, Borosilicate Glass 및 Bismuth Silicate Glass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00526A 2016-01-04 2016-01-04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101648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26A KR101648855B1 (ko) 2016-01-04 2016-01-04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26A KR101648855B1 (ko) 2016-01-04 2016-01-04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855B1 true KR101648855B1 (ko) 2016-08-17

Family

ID=5687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26A KR101648855B1 (ko) 2016-01-04 2016-01-04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8308A (zh) * 2023-05-06 2023-06-06 潍坊亚贝涂料有限公司 一种木材表面抗裂阻燃型涂料及其制备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520A (ja) * 1993-11-19 1995-05-30 Kubokou Paint Kk 断熱塗料及びそれを塗装した構造体
JPH0971675A (ja) * 1995-06-26 1997-03-18 Sekisui Chem Co Ltd 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3478A (ko) * 2008-07-01 2010-01-11 (주) 스필코리아 난연성 발포수지 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26484A (ko) 2010-05-17 2011-11-23 (주)폴머 다중코팅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성능 발포폴리스티렌 성형물
KR20130136625A (ko) 2012-06-05 2013-12-13 (주)실빅스 난연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KR101459380B1 (ko) * 2014-02-20 2014-11-07 주식회사 진광화학 Eps용 난연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eps 난연 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520A (ja) * 1993-11-19 1995-05-30 Kubokou Paint Kk 断熱塗料及びそれを塗装した構造体
JPH0971675A (ja) * 1995-06-26 1997-03-18 Sekisui Chem Co Ltd 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3478A (ko) * 2008-07-01 2010-01-11 (주) 스필코리아 난연성 발포수지 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26484A (ko) 2010-05-17 2011-11-23 (주)폴머 다중코팅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성능 발포폴리스티렌 성형물
KR20130136625A (ko) 2012-06-05 2013-12-13 (주)실빅스 난연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KR101459380B1 (ko) * 2014-02-20 2014-11-07 주식회사 진광화학 Eps용 난연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eps 난연 보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901호 (발명의 명칭 :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 특허권자 : 임홍빈, 등록일 : 2013년10월1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949호 (발명의 명칭 :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용 난연 코팅액 및 그 제조방법, 특허권자 : 김충회, 등록일 : 2014년08월0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1484호 (발명의 명칭 :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용 난연 코팅방법, 특허권자 : 박광식, 등록일 : 2014년08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583호 (발명의 명칭 :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특허권자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일 : 2015년01월28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8308A (zh) * 2023-05-06 2023-06-06 潍坊亚贝涂料有限公司 一种木材表面抗裂阻燃型涂料及其制备工艺
CN116218308B (zh) * 2023-05-06 2023-06-30 潍坊亚贝涂料有限公司 一种木材表面抗裂阻燃型涂料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0089B1 (en) Fire retardant intumescent coating for lignocellulosic materials
KR100493535B1 (ko) 난연또는불연장식용적층시트
CN111732885B (zh) 一种水性弹性聚氨酯阻燃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200831B1 (ko) 준불연 특성이 우수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NZ200896A (en) Fire-resistant expanded polystyrene
CN102851949B (zh) 一种阻燃的柔性天花膜及制备方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1769145B1 (ko)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7209B1 (ko) 내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8855B1 (ko)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102175376B1 (ko)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32843B1 (ko) 적층구조를 포함하는 불연성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253B1 (ko) 발포성 탄화층 구조의 내화피복재 조성물
CN104559043B (zh) 气相主动阻燃改性聚苯板及其制备方法
KR101616447B1 (ko) 저온글라스 원료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101979449B1 (ko) 단열재용 난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단열재
KR102415013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TW201335344A (zh) 無機防火組合物、防火材料及其形成方法
KR101876205B1 (ko)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20200107367A (ko) 플렉시블한 고분자소재를 코어로 갖는 불연성 재료
KR102334180B1 (ko) 다공성 폼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폼 단열보드
KR20190139116A (ko)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0750A (ko) 불연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6207B1 (ko)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